[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3307B1 - 진공 유리 패널 모듈 - Google Patents

진공 유리 패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307B1
KR101453307B1 KR1020140041788A KR20140041788A KR101453307B1 KR 101453307 B1 KR101453307 B1 KR 101453307B1 KR 1020140041788 A KR1020140041788 A KR 1020140041788A KR 20140041788 A KR20140041788 A KR 20140041788A KR 101453307 B1 KR101453307 B1 KR 101453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metal plate
sealing portion
glass
sea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최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피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피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피온
Priority to KR102014004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3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5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having optical properties
    • C03C17/366Low-emissivity or solar contro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4Discrete spacing elements, e.g. for 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유리 패널 모듈에 관한 것이고, 상기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은 제1 유리 패널,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있는 제2 유리 패널,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재, 상기 제1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결합하고 있는 제1 밀봉부,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유리 패널과 결합하고 있는 제2 밀봉부, 그리고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제2 밀봉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와 결합하는 금속판을 포함하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 밀봉부의 부분과 상기 금속판의 부분은 복수의 제1 볼록부와 복수의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 밀봉부의 부분과 상기 금속판의 부분은 복수의 제2 볼록부와 복수의 제2 오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유리 패널 모듈{VACUUM GLASS PANEL MODULE}
본 발명은 진공 유리 패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진공 유리 패널 모듈(vacuum glass panel module)은 판 유리인 두 개의 유리패널을 부착한 후 유리 패널 사이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형성된다. 이러한 진공 유리 패널 패널은 약 20년 내지 30년 동안 진공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을 건물에 사용할 경우, 두 개의 유리 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하나의 유리 패널로 이루어진 복층 유리 패널 모듈에 비해, 단열 성능과 방음 효과가 향상되고 열전도성이 낮아져 에너지 소비율이 크게 향상된다.
다음,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종래의 진공 유리 패널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종래의 진공 유리 패널 모듈(90)은 진공 유리 패널 모듈(90)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유리 패널(91), 제1 유리 패널(91) 위에서 제1 유리 패널(91)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유리 패널(92), 제1 및 2 유리 패널(91, 92)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간격재(spacer)(94), 복수의 간격재(94)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제1 및 제2 유리 패널(91, 92)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부(93), 그리고 제1 및 제2 유리 패널(91, 92) 중 하나[예를 들어, 제2 유리 패널(92)]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유리 패널(91, 92)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구(95)를 구비한다.
따라서, 밀봉부(93)에 의해 제1 및 제2 유리 패널(91, 92) 사이의 공간이 밀봉되고 배기부(95)에 의해 제1 및 제2 유리 패널(91, 92)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감압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제1 및 제2 유리 패널(91, 92) 사이의 공간은 진공 상태로 유지된다.
하지만, 이러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90)의 경우, 제1 및 제2 유리 패널(91, 92) 중 하나는 외부에 접해 있고 나머지 하나는 실내에 접하게 시공되는 경우 등과 같이, 제1 및 제2 유리 패널(91, 92)간의 온도 차이로 인해 진공 유리 패널 모듈(90)에 변동 즉, 휨(bending) 변형이 생긴다.
이러한 휨 변동이 진공 유리 패널 모듈(90)에 발생할 경우, 유리 패널(91, 92)의 균열이나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1 및 제2 유리 패널(91, 92) 사이의 온도 차이가 증가할 수록 그리고 제1 및 제2 유리 패널(91, 92)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심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도 변화로 인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은 제1 유리 패널,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있는 제2 유리 패널,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재, 상기 제1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결합하고 있는 제1 밀봉부,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유리 패널과 결합하고 있는 제2 밀봉부, 그리고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제2 밀봉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와 결합하는 금속판을 포함하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 밀봉부의 부분과 상기 금속판의 부분은 복수의 제1 볼록부와 복수의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 밀봉부의 부분과 상기 금속판의 부분은 복수의 제2 볼록부와 복수의 제2 오목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은 상기 제1 밀봉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밀봉부와 결합하고 있는 높이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높이 보정부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추가로 위치하며, 상기 금속판은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 위에 바로 위치하여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와 바로 결합되어 있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의 부분과 상기 금속판의 부분은 복수의 제3 볼록부와 복수의 제3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금속판은 상기 제2 유리 패널 위에 위치한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상기 제2 밀봉부에 각각 접해있는 두 개의 제1 부분과 상기 두 개의 제1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공중에 떠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판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인 것이 좋다.
상기 제2 유리 패널은 상기 제1 유리 패널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금속판은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와 각각 접해있는 두 개의 제1 부분과 상기 두 개의 제1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공중에 떠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리 패널은 모따기된 모서리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간격재는 각각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과 선 접촉 또는 면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은 상기 복수의 간격재 각각과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 중 하나의 유리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에서,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상기 제2 유리 패널 사이에는 진공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층과 바로 접하고 있는 제1 유리 패널의 내부면과 제2 유리 패널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 저방사율막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은 상기 제1 유리 패널 하부에 위치하는 제3 유리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상기 제3 유리 패널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층과 바로 접하고 있는 제3 유리 패널의 내부면에 위치한 저방사율막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판은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제1 및 제2 유리 패널보다 큰 열 팽창 계수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금속판은 15×10-6/K 내지 40×10-6/K의 열 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금속판 간의 열 팽창계수의 차이는 6×10-6/K 내지 33×10-6/K인 것이 좋다.
상기 금속판은 0.1×106kgf/cm2 내지 1.3×106kgf/cm2의 인장 탄성 계수를 갖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은 제1 유리 패널,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있는 제2 유리 패널,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과 접하고 있는 복수의 간격재, 상기 제1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결합하고 있는 제1 밀봉부,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유리 패널과 결합하고 있는 제2 밀봉부, 그리고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제2 밀봉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와 결합하는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 각각은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과 선 접촉 또는 점 접촉하고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은 상기 제1 밀봉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밀봉부와 결합하고 있는 높이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높이 보정부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판은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 위에 바로 위치하여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와 바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은 상기 복수의 간격재 각각과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 중 하나의 유리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제1 및 제2 유리 패널 사이에 금속판이 위치하며, 온도 차이로 인해 제1 및 제2 유리 패널의 열 팽창 차이는 금속판에 의해 흡수된다. 이로 인해, 온도 차이로 인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휨 현상이나 손상 정도가 감소한다.
제1 밀봉부 및 제2 밀봉부와 결합되는 금속판의 탄성계수(stiffness)가 낮아 제1 및 제2 밀봉부에 온도 차이로 인한 팽창과 수축 시 측력 발생에 의한 금속과 밀봉재 계면의 박리현상 발생 및 전달이 없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밀봉부와 결합되는 금속판의 부분에 제1 및 제2 밀봉부와금속판의 열팽창 계수 차이로 인해 복수의 볼록부가 존재하여, 제1 및 제2 밀봉부와 금속판은 톱니 결합 구조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밀봉부와 금속판간의 접합 면적이 증가하여, 제1 및 제2 밀봉부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밀봉력은 또한 증가한다.
이에 더하여, 간격재와 제1 및 제2 유리 패널 간의 접촉이 선 접촉 또는 점 접촉되고 있으므로,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휨 현상이 발생하더라고 간격재에 의해 제1 및 제2 유리 패널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감소하거나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을 Ⅱ-Ⅱ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3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을 Ⅴ-Ⅴ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을 VIIb-VII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을 VIIIb-VIII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또 다른 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또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100)은 제1 유리 패널(glass panel)(110), 제1 유리 패널(110) 상부에서 제1 유리 패널(110)과 마주보고 있고 제1 유리 패널(110)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2 유리 패널(120), 제1 유리 패널(110) 위에 제2 유리 패널(120)을 에워 싸게 위치하고 있는 높이 보정부(125),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 위에 위치하여 제2 유리 패널(110)과 높이 보정부(125)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밀폐하는 금속판(300), 높이 보정부(125)와 제1 유리 패널(110) 사이에 위치하여 높이 보정부(125)와 제1 유리 패널(110) 사이의 가장자리 부분을 밀봉하는 제1 밀봉부(131), 금속판(300)과 제2 유리 패널(120)이 중첩하는 부분과 금속판(300)과 높이 보정부(125)가 중첩하는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제2 밀봉부(132), 제1 밀봉부(131)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재(2), 제1 유리 패널(110)의 한 분분에 위치한 배기구(111), 그리고 배기구(111)를 막는 덮개부(140)를 구비한다.
제1 유리 패널(110)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과 같은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판 유리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유리 패널(120)은 제1 유리 패널(110) 위에 제1 유리 패널(110)과 마주보게 위치하고 있고 제1 유리 패널(110)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유리 패널(120)은 제1 유리 패널(110)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지만, 제1 유리 패널(110)보다 작은 크기(즉, 가로 크기와 세로 크기)와 면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유리 패널(110)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 없이 제1 유리 패널(110) 위 내부에 제2 유리패널(120) 전체가 위치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한 예로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각각의 두께는 약 2.5㎜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각각은 강화 처리된 강화 유리이거나 강화 처리되지 않는 일반 유리일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 각각은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유리 패널(110)은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또는 제1 면)에서부터 외부면(또는 제2 면) 쪽으로 움푹 들어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113)을 갖고 있다. 본 예에서,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은 제2 유리 패널(120)의 내부면(또는 제1 면)과 인접한 면이고, 제1 유리 패널(110)의 외부면은 외부와 접하고 있는 면으로서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면이다.
이로 인해, 제1 유리 패널(110)의 외부면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높이를 갖고 있지만,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높이를 갖는다. 즉, 본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홈(113)이 형성된 제2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의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홈(113)이 형성되지 않는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의 부분의 높이보다 낮다.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113)은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홈(113)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게터(getter)(4)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유리 패널(1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113)과 이 홈(113)과 마주보고 있는 제2 유리 패널(120)의 내부면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게터방이라 한다.
적어도 하나의 게터(4)는 가스를 흡착하는 성질이 큰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예를 들어, 철(Fe)/바나듐(V)/티타늄(Ti) 합금, 마그네슘(Mg), 바륨(Ba), 또는 바륨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게터(4)에 열을 가해 게터(4)의 상태를 활성화시킬 경우, 게터(4)는 주변에 존재하는 기체를 흡수하여, 주변의 진공도를 증가시킨다.
본 예에서, 게터(4)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게터(4)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113)은 제1및 제2 밀봉부(131, 132)로 에워싸여져 형성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의 사이의 밀폐 공간 내에 위치하고, 밀폐 공간에서 가장 자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와 달리, 홈(113)에 의해 형성된 게티방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고, 이 경우, 제1 유리 패널(110)에 형성되는 홈(113)의 개수 역시 복수 개이다. 홈(113)이 복수 개일 경우, 복수의 홈(113)은 밀폐 공간 내에 서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이때, 복수의 홈(113)는 밀폐 공간의 가장 자리부에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게터방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113)은 제1 유리 패널(110) 대신 제2 유리 패널(120)에 위치하거나 제1 유리 패널(110)뿐만 아니라 제2 유리 패널(1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모두에 홈이 형성될 경우, 진공 유리 패널모듈(100)은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에서부터 외부면 쪽으로 돌출된 홈과 제2 유리 패널(120)의 내부면에서부터 외부면(즉, 내부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면)(또는 제2 면)쪽으로 돌출된 홈을 포함하고, 이때, 제1 유리 패널(110)에 형성된 홈과 제2 유리 패널에 형성된 홈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대응하는 제1 유리 패널(110)의 홈과 제2 유리 패널(120)의 홈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게터방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 게터방은 서로 다른 유리 패널(110, 120)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한 쌍의 홈에 의해 형성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게터방은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 사이의 내부 공간 내에 형성되므로, 게터방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유리 패널(110)에 형성된 홈과 제2 유리 패널에 형성되는 홈 역시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게터(4)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게터방 형성을 위한 홈(113) 역시 생략된다.
높이 보정부(125)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가운데 부분이 빈 테두리 형상(즉, 가운데 부분이 빈 사각 링 형상))을 갖고 있고, 빈 공간인 가운데 부분에 제2 유리 패널(120)을 위치시켜 제2 유리 패널(120)을 에워싸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높이 보정부(125)의 외측 끝단, 즉 제2 유리 패널(120)와 인접한 내측 끝단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외부와 인접한 끝단은 제1 유리 패널(110)의 가장자리 끝단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수직선은 제1 유리 패널(110)에 수직을 이루는 직선일 수 있다.
이때, 높이 보정부(125)의 폭(W1)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높이 보정부(125)의 폭(W1)은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의 가로폭의 차이와 세로폭의 차이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높이 보정부(125)와 제2 유리 패널(120)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의 폭(W2)은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의 가장자리 단부 사이의 간격에서 높이 보정부(125)의 폭(W1)을 뺀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제1 유리 패널(110)은 그 위에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 즉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 사이의 부분이 존재한다.
높이 보정부(125)는 제2 유리 패널(12)과 동일한 두께를 갖고, 제2 유리 패널(120)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높이 보정부(125)와 제2 유리 패널(120)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유리 패널(120)과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높이 보정부(125)가 위치함에 따라, 이들(125, 120) 위에 위치하는 금속판(300)의 배치가 좀더 용이하게 행해지고, 이로 인해 진공 유리 패널(100)의 평탄도가 향상된다.
하지만 이러한 높이 보정부(125)는 생략될 수 있다. 높이 보정부(125)가 생략될 때, 금속판(300)은 제1 유리 패널(110)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제1 밀봉부(131)와 접합하여, 제1 밀봉부(131)를 통해 제1 유리 패널(110)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된다.
금속판(300)은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 사이에 형성된 개방된 공간을 덮고 이 공간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2 유리 패널(120)의 가장자리 부분과 높이 보정부(125)의 가장자리 부분까지 연장되게 위치한다.
이로 인해,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 사이에 개방된 공간은 금속판(300)에 의해 완전히 덮어진다.
이처럼,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 사이에 개방된 공간은 금속판(300)으로 밀봉되고 제1 유리 패널(110)과 위치 보정부(125) 사이의 개방된 공간은 제1 밀봉부(131)로 에워싸여지므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 사이에 위치한 금속판(300)은 제1 유리 패널(110) 쪽으로 굽어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판(300)은 제2 유리 패널(120) 위에 위치한 부분과 높이 보정부(125) 위에 위치한 두 개의 제1 부분(301)와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제2 부분(302)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 부분(302)은 대략 'U'자 형태로 경사져 있고,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에 접해있지 않고 공중에 떠 있다.
이로 인해, 금속판(300)의 제2 부분(302)은 금속판(300)의 하부면[즉, 제1 유리 패널(110)에 인접한 면](또는 제1 면)과 상부면(즉 하부면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외부에 인접한 면)(제2 면)이 모두 제1 유리 패널(110) 쪽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온도 변화로 인해 금속판(300)이 수축되거나 팽창될 때, 금속판(300)의 제2 부분(302)에서 금속판(300)의 수축 방향과 팽창 방향은 제2 부분(302)의 경사 방향과 같고, 이로 인해, 제2 유리 패널(120)과 위치 보정부(125)에 부착되지 않아 구속되지 않는 제2 부분(302)에서 수축이나 팽창과 같은 금속판(300)의 변형이 주로 이루어져, 제2 유리 패널(120)과 위치 보정부(125)의 변형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금속판(30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박막으로서, 금속판(300)의 두께는 대략 10㎛ 내지 200㎛ 일 수 있다.
금속판(300)의 하부면, 즉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에 인접한 면의 일부는 제2 밀봉부(132)와 결합되어 있다.
금속판(300)이 위치한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가 제1 유리 패널(110)보다 온도 변화가 큰 환경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예를 들어, 제1 유리 패널(110)은 실내에 위치하고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의 변형 정도는 제1 유리 패널(110)의 변형 정도보다 훨씬 크다.
이때,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이 제1 밀봉부(131)를 통해 직접적으로 접합되어 있을 경우,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의 변형 정도 차이로 인해,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예의 경우, 제1 유리 패널(110)보다 환경 변화가 큰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에 금속판(300)이 부착되고, 이 금속판(300)은,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에 접합되지 않고 경사진 부분인 제2 부분(302)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에 수축이나 팽창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경우, 제2 유리 패널(120)이나 높이 보정부(125)에 연결되지 않은 금속판(300)의 제2 부분(302)이 제1 부분(301)보다 많이 수축되거나 팽창되어 제2 유리 패널(120)의 변형은 금속판(300)의 제2 부분(302)에 대부분 흡수되어 제1 유리 패널(110)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의 변형 정도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이 각각 수축되거나 팽창되더라도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사이에 위치한 금속판(300)에 의해 열 팽창 차이가 흡수되므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간의 온도 차이로 인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의 휨 현상이 방지되어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제2 밀봉부(132)는 금속판(300)과 이 금속판(300) 하부에 위치한 제2 유리 패널(120) 사이 그리고 금속판(300)과 이 금속판(300) 하부에 위치한 높이 보정부(125)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에 금속판(300)을 부착시킨다.
따라서, 제2 밀봉부(132)는 제2 유리 패널(120) 및 높이 보정부(125)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을 에워싸게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밀봉부(132)는 글라스 프릿(glass frit)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2 밀봉부(132) 위에 위치하고 있는 금속판(300)의 부분과 결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2 유리 패널(120)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132)와 금속판(300)과의 결합 부분은 복수의 톱니(예, 제2 볼록부)(3011)와 복수의 오목부(예, 복수의 제2 오목부)(3012)를 구비하고 있고, 높이 보정부(125)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132)와 금속판(300)과의 결합 부분 역시 복수의 톱니(예, 제3 볼록부)(3011)와 복수의 오목부(예, 복수의 제3 오목부)(3012)를 구비하고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높이 보정부(125)가 생략되어, 금속판(300)의 일측 단부가 높이 보정부(125)가 아닌 제1 유리 패널(110) 위에 위치한 제1 밀봉부(131)와 직접 결합될 경우에도, 제1 유리 패널(110) 위에 위치한 제1 밀봉부(131)와 금속판(300)과의 결합 부분은 복수의 톱니(예, 복수의 제1 볼록부)(3011)와 복수의 오목부(예, 복수의 제1 오목부)(3012)를 구비한다.
또한, 도 5와 같이, 제2 밀봉부(132)와 결합되지 않은 금속판(300)의 나머지 부분 역시 복수의 볼록부(3011)와 복수의 오목부(3012)를 구비한다.
이러한 복수의 톱니(3011)로 인해, 제2 밀봉부(132)와 해당 금속판(300)과의 결합은 톱니 결합 구조를 갖고 있어 접합 면적과 접합력이 증가하여 제2 밀봉부(132)와 금속판(300)과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고, 이로 인해,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의 밀봉력이 증가한다.
이처럼, 금속판(300)과 제2 밀봉부(132)에 요철면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판(300)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탄성이 적고 열팽창 계수가 제2 밀봉부(132) 및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의 열팽창 계수보다 큰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금속판(300)의 인장 탄성 계수는 0.1×106kgf/cm2 내지 1.3×106 kgf/cm2이다.
금속판(300)의 인장 탄성 계수가 1.3×106kgf/cm2 이하일 때, 금속판(300)의 탄성이 적어 열로 인해 변형된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금속판(300)과 제2 밀봉부(132)의 접합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힘(즉, 수직력으로서, 금속판을 뜯어내는 힘)이 작용할 때, 인장 탄성 계수가 높을 수록 접합 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된다.
따라서, 금속판(300)의 인장 탄성 계수가 1.3×106 kgf/cm2 이하일 때, 제2 밀봉부(132)와의 접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인가되는 수직력에 의해 금속판(300)의 박리가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2 밀봉부(132)의 열 팽창 계수는 7×10-6/K 내지 9×10-6/K일 수 있고, 금속판(300)의 열 팽창계수는 15×10-6/K 내지 40×10-6/K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밀봉부(132)와 금속판(300) 간의 열 팽창계수 차이는 6×10-6/K 내지 33×10-6/K일 수 있다.
제2 밀봉부(132)와 금속판(300) 간의 열 팽창계수 차이가 6×10-6/K 이상일 때, 열로 인한 금속판(300)의 팽창 정도가 제2 밀봉부(132)의 팽창 정도보다 안정적으로 커, 제2 밀봉부(132)와의 접착 부위에 안정적인 크기의 주름이나 요철면이 형성되어, 제2 밀봉부(132)와 금속판(300)의 접착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간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한 팽창 또는 수축 현상에 의한 측력(side force)이 발생하여 제2 밀봉부(132)와 금속판(300)의 접합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박리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쉽게 계면을 따라 박리 현상이 전파되지 않아 제2 밀봉부(132)와 금속판(300) 사이의 접합력은 좀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2 밀봉부(132)의 열 팽창 계수가 33×10-6/K 이하이면, 금속판(300)의 과도한 팽창으로 인한 과도한 크기의 주름이나 요철면의 발생이 방지되므로, 주름 사이나 요철 사이에 해당 밀봉부(131, 132)와 접합되지 않는 부분의 발생이 안정적으로 감소되어 제2 밀봉부(132)과 금속판(300)간의 접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2 밀봉부(132)의 열 팽창 계수가 9×10-6/K 이하이면, 접하고 있는 해당 제2 유리 패널(110) 및 높이 보정부(125))와의 접합 계면에서 압축 응력이 발생되어 유리 절단(cutting) 후 가장자리 부분에 존재하는 미세 크랙(crack)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이 억제되어 해당 부분(110, 125)의 손상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제2 밀봉부(132)의 열 팽창 계수가 7×10-6/K 이상이면, 과도한 압축 응력으로 인해 해당 부분(110, 125)이 제2 밀봉부(132)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제1 밀봉부(13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을 에워싸고 있는 높이 보정부(125)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과 높이 보정부(125)의 내부면 또는 하부면[즉, 제1 유리 패널(110)과 인접한 면] 각각과 접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유리 패널(110)과 높이 보정부(125)는 제1 밀봉부(131)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때, 이미 높이 보정부(125)는 금속판(300)에 의해 제2 유리 패널(120)과 일체화 되므로, 결국,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과 높이 보정부(125)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된다.
제1 밀봉부(13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의 가장 자리 부분에서 가장 자리 부분을 에워싸는 고리 형상으로 부착되고, 역시, 높이 보정부(125)의 내부면 또는 하부면의 가장 자리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을 에워싸는 고리 형상으로 부착된다.
이로 인해, 제1 유리 패널(110)과 높이 보정부(125) 사이는 제1 밀봉부(131)로 밀폐되고,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 사이의 간격은 제2 밀봉부(132)를 이용해 금속막(300)으로 밀폐되므로,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 및 높이 보정부(125) 사이에는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어, 본 명세서에서 이 밀폐 공간을 진공 유리 패널(100)의 내부 공간이라 한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배기구(111)를 통하지 않고서는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한다.
제1 밀봉부(131)는 제2 밀봉부(132)처럼 글라스 프릿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홈(113)은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제1 밀봉부(131) 및 금속판(300)으로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복수의 간격재(2)는 내부 공간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하여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과 제2 유리 패널(120)의 내부면에 접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간격재(2)는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을 지지하며 제1 유리 패널(1100과 제2 유리 패널(120)의 간격(I1)이 위치에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각 간격재(2)은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고, 접하고 있는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과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원기둥인 각 간격재(2)의 밑면, 즉 원기둥(2)의 밑면이 인접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과 접해 있다.
이러한 복수의 간격재(2) 각각은 압축 강도가 약 5t/㎠ 이상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한 예로서,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간격재(2)의 압축 강도가 약 5t/㎠ 이상일 경우,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 각각의 무게와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에 작용하는 대기압 등으로 인해 간격재(2)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의 사이의 간격(I1)이 유지되어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의 단열 성능이 감소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유리 패널(120)에 형성된 배기구(111)는 제1 유리 패널(110)을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이다.
본 예에서, 배기구(111)는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이므로, 배기구(111)는 내부 공간의 한 부분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는 배기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의 내부 공간은 진공 상태가 된다.
본 예에서, 내부 공간의 진공도는 대략 1×10-6 torr일 수 있다.
덮개부(140)는 제1 유리 패널(110)에 형성된 배기구(111)를 막아 외부로부터 공기가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덮개부(14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배기구(111)를 막는 덮개(141)와 덮개(141)를 배기구(111)에 부착시키는 접착제(142)를 구비한다.
이때, 덮개(141)는 유리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으로서, 배기구(111)의 최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배기구(111)는 덮개(141)에 의해 완전히 덮어진다.
접착제(142)는 한 예로서, 인듐(In)이나 글라스 프릿일 수 있다.
위에 기재한 본 예에서, 배기구(111)는 제1 유리 패널(110)에 위치하지만 이와는 달리, 제2 유리 패널(1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구(111)는 제2 유리 패널(120)의 일부를 관통하여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다.
이처럼, 배기구(111)와 게터방을 위해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홈(113)은 드릴 공정(drilling)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 게터방과 배기구(111)가 제1 유리 패널(110)에 형성되는 경우를 참고로 하여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유리 패널(110)에 드릴 공정을 통해 게터방을 위한 홈(113)과 배기구(111)를 형성한다(도 6a).
다음, 도 6b를 참고로 하면, 제1 유리 패널(110)에 형성된 홈(113) 내에 적어도 하나의 게터(4)를 위치시키고, 제1 유리 패널(110)의 가장 자리 부분을 에워싸는 고리 형상으로 제1 밀봉재(31)를 형성한다(도 6c). 이때, 제1 밀봉재(31)는 배기구(111)와 홈(113)을 에워싸게 형성된다.
이때, 게터(4)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제1 밀봉재(31)를 형성하는 단계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다음, 제1 밀봉재(31)에 의해 에워싸여진 제1 유리 패널(110)의 부분 위에 복수의 간격재(2)를 위치시킨다(도 6d).
그런 다음, 도 6e를 참고로 하면, 제1 밀봉제(31)가 도포된 제1 유리 패널(110)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제2 밀봉재(32)가 형성된 높이 보정부(125)를 위치시키고 높이 보정부(125)에 의해 에워싸여진 제1 유리 패널(110) 내부 쪽의 복수의 간격재(20) 위에 제2 밀봉재(32)가 형성된 제2 유리 패널(120)을 또한 위치시킨다.
이때, 간격재(2)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고, 간격재(2)의 양측 밑면이 각각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에 접하는 상태, 즉 기립 상태로 위치한다.
제2 밀봉재(32)는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고 있는 높이 보정부(125)의 가장자리 부분과 제2 유리 패널(120)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그런 다음, 제2 밀봉재(32) 위에 평탄하고 사각 링 형상의 금속판(300)을 위치시킨다(도 6f).
다음, 도 6g에 도시한 것처럼, 금속판(300) 위에 유리판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판(40)을 위치시킨 후 클램프(clamp)와 같은 복수의 고정 기구(500)를 이용하여 제1 유리패널(110)과 높이 보정부(125)의 위치와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의 위치를 고정한 후, 공정 챔버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1 밀봉재(31)에 제1 유리 패널(110)과 높이 보정부(125)를 부착시키고, 또한, 제2 밀봉재(32)에 높이 보정부(125)와 금속판(300)을 부착시킨다. 그런 다음, 배기구(111)를 밀봉한다.
이때, 보호판(40)에 의해 안정적으로 금속판(300)과 제2 밀봉재(32)가 부착되고 또한 복수의 고정 기구(500)의 압박 동작으로부터 금속판(30)을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막(40)을 고정 기구(500)를 이용한 부착 공정이 완료된 후 고정 기구(500)와 함께 제거된다.
이러한 열처리 공정은 대기 상태 또는 진공 상태에서 행해질 수 있다.
공정 챔버가 진공 상태인 진공 챔버일 때, 진공 챔버는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시설과 히터(heater)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정 기구에 위치가 고정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이 진공 챔버로 유입되면, 진공 챔버는 배기구(111)를 통한 배기 동작을 실시하고 챔버 내부의 진공도가 원하는 진공도에 도달하면 히터를 가열하여 원하는 온도까지 공정 챔버의 내부 온도를 증가시킨다. 이때, 공정 챔버의 온도는 약 270℃ 내지 500℃일 수 있고, 열처리 시간은 약 10 내지 40분일 수 있다.
이처럼, 열처리 동작이 행해지면, 제1 및 제2 밀봉재(31, 32)는 녹게 되어 접착력과 유동성이 증가하고, 금속판(300)은 신장되어 공정 챔버로 유입되기 전보다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이때, 금속판(300)의 신장 정도는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제1 밀봉재(31) 사이에 위치한 제1 유리 패널(110)과 높이 보정부(125)는 제1 밀봉재(31)와 용이하게 접착된다.
또한, 제2 밀봉재(32)와 접해 있는 금속판(300)의 부분은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해 복수의 볼록부인 돌출부(3011)와 복수의 오목부(3012)를 생성하면서 제2 밀봉재(32)와 결합된다.
이때, 제2 밀봉재(32)의 상태는 유동성이 증가된 상태이므로, 금속판(300)과 접하는 제2 및 밀봉재(32)의 표면 프로파일(profile)은 접해있는 금속판(300)의 프로파일과 반대 형상을 갖게 되므로, 제2 밀봉재(32)에도 복수의 볼록부와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제2 밀봉재(32)와 금속판(300)은 톱니 결합 구조를 갖게 된다.
금속판(300)에 발생하는 복수의 볼록부(3011)의 모양과 크기는 일정하지 않고 상이하며, 복수의 오목부(3012) 역시 모양과 크기는 상이하다.
설정 시간 동안의 열처리 동작이 완료되면, 배기구(111)가 형성된 부분에 접착제(142)가 도포된 덮개(141)를 위치시켜 배기구(111)를 밀봉한 덮개부(140)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공정 챔버의 온도를 감소시켜 냉각 공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냉각 공정을 통해 제1 밀봉재(31)와 제2 밀봉재(32)는 각각 경화되어 제1 밀봉부(131)와 제2 밀봉부(132)로 형성되며,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2 밀봉부(132)와 금속판(300)의 접합면은 복수의 볼록부(3011)와 복수의 오목부(3012)를 구비한 요철면이 된다.
이처럼, 제1 밀봉부(31) 및 제2 밀봉부(32)의 접합 공정에 의해, 복수의 간격재(2)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간격(I1)만큼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높이 보정부(125), 금속판(300) 및 제1 밀봉부(131, 132)로 에워싸여진 공간은 진공 유리 패널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공정 챔버가 진공 챔버가 아닐 경우, 공정 챔버에서 열처리와 냉각 공정을 통해 제1 밀봉재(31)를 제2 밀봉재(32)를 이용해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높이 보정부(125), 금속판(300) 및 제1 밀봉부(131, 132)로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을 형성한 후, 오링(O ring), 배기구 및 배기 펌프 등을 구비한 진공 기구를 배기구(111)에 밀착시켜 배기구(111)를 통해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진공 챔버가 아닌 대기 상태의 챔버에서 기체의 배출 공정이 행해질 때, 제1 유리 패널(100)과 제2 유리 패널(120) 사이의 공기가 배기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진공 동작에 의해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판(300)의 부분이 배기구(111)가 위치하고 있는 제1 유리 패널(110) 쪽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유리 패널(120)과 높이 보정부(125)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판(300)의 부분은 대략 'U'자 형태로 제1 유리 패널(110) 쪽으로 볼록한 제2 부분(302)으로 형성된다.
본 예와 달리, 배기구(111)가 제2 유리 패널(120) 쪽에 형성될 경우, 블록한 제2 부분(302)는 제2 유리 패널(120) 쪽으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하지만, 진공 챔버에서 배기 동작이 행해질 때, 금속판(300)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금속판(300)에는 볼록한 제2 부분(302)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접착제(142)가 도포된 덮개(141)를 배기구(111)에 부착시켜 배기구(111)를 밀봉하고 냉각 공정을 실시하여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의 진공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배기구(111)는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유리 패널(110)에 형성된 홈(113)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게터(4)가 위치한 게터방이 형성된다.
다음, 공정 챔버에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을 빼낸 후, 유도 가열 방식이나 레이저(laser) 등을 이용하여 게터방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게터(4)에 설정 시간(예, 30초 내지 1분) 동안 열을 가해 약 500℃ 내지 700℃의 온도로 게터(4)를 가열하여 게터(4)를 활성화시켜,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을 완성한다(도 3 내지 도 5). 이와는 달리, 다른 예로 배기 공정 중에 게터(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게터(4)의 활성화 동작에 의해, 게터(4)는 기체를 흡수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가 된다.
게터(4)의 활성화 동작은 복수 번 반복되어, 원하는 진공도(예, 약 1×10-6 torr)까지 진공 유리 패널의 내부 공간의 진공값을 낮춰 진공도를 증가시킨다.
다음, 도 7 및 도 8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5와 도 7를 비교할 때, 도 5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100)의 간격재(2)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고,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 사이에 간격재(2)가 기립 상태로 위치하고 있고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은 간격재(2)와 면 접촉하고 있다.
하지만, 도 7의 (a)와 (b)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100a)의 간격재(2a)는 도 5와 같이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지만, 도 5와 달리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 사이에서 도 7의 간격재(2a)는 기립 상태가 아닌 누운 상태, 즉 곡면인 원기둥의 옆면이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과 접하고 있어, 간격재(2a)와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는 면접촉이 아닌 선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 8의 (a)와 (b)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100b)의 간격재(2b)는 원형인 둥근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간격재(2b)와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는 점 접촉을 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의 경우, 진공 유리 패널(100a, 100b)를 제조할 때 원하는 위치에 복수의 간격재(2a, 2b)를 고정시키기 위해 복수의 간격재(2a, 2b) 각각과 각 간격재(2a, 2b)와 접해 있는 제1 유리 패널(110) 또는 제2 유리 패널(120) 사이에는 접착제(150)가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격재(2a, 2b)에 의해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과 면 접촉이 아닌 선 접촉 또는 점 접촉함에 따라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a, 100b)의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과 접하고 있는 간격재(2a, 2b)의 표면은 평면이 아니라 곡면이 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이 간격재(2a, 2b)를 사이에 두고 수축과 팽창이 행해질 때 간격재(2a, 2b)와 접하는 면과 미끄럼 마찰이 아닌 구름 마찰이 발생하여, 간격재(2a, 2b)와 접하는 있는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의 접촉 부분의 손상 정도가 크게 감소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간격재(2)와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이 면 접촉을 갖고 있을 때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과 접하는 간격재(2)의 부분(즉, 밑면)과 그렇지 않은 간격재(2)의 옆면은 90도 직각을 형성하여, 밑면과 옆면이 만나는 밑면의 모서리 부분은 90도로 각져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의 변형 정도가 서로 상이하여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이 해당 방향으로 수축 팽창되면,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과 접해 있는 간격재(2)의 밑면의 각진 모서리 부분에 가해지는 힘의 강도가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힘의 강도보다 훨씬 커진다.
이로 인해, 간격재(2)의 밑면의 모서리 부분과 접하는 제1 유리 패널(110) 부분과 제2 유리 패널(120) 부분이 파이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이 파손되거나 흠집이 발생하여 불량율을 더욱 증가시킨다.
하지만,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과 접하는 부분이 곡면이라서 간격재(2a, 2b)와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과의 접촉이 선 접촉이나 점 접촉일 경우, 제1 및 제2 유리 패널(110, 120)과 접하는 간격재(2a, 2b)의 부분과 그렇지 않은 간격재(2a, 2b)의 부분은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완만하게 경사진 곡면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a, 100b)이 해당 방향으로 휘거나 수축 팽창되더라도 곡면인 간격재(2a, 2b)의 표면을 따라 제1 유리 패널(110) 또는 제2 유리 패널(120)이 이동하므로 어느 특정 부분에 집중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간격재(2a, 2b)와 접하는 제1 유리 패널(110) 부분과 제2 유리 패널(120) 부분에 발생하는 손상 문제가 크게 줄어들거나 해소되어,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a, 100b)의 불량율이 감소하여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a, 100b)의 신뢰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a, 100b)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이미 도 6a 내지 도 6g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단지 도 6d 공정에서 원기둥 형상의 간격재(2)를 기립 상태로 배열하는 대신 원기둥 형상의 간격재(2a)를 원하는 위치에 누운 상태로 배열하거나 원 형상의 간격재(2b)를 원하는 상태에 배열하는 것만 상이하므로, 본 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a, 100b)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또한, 대안적인 예에서, 제1 유리 패널(110) 또는 제2 유리 패널(120)의 원하는 위치에 해당 상태로 간격재(2a, 2b)를 배열하기 바로 전에 즉, 도 6c에 도시한 공정을 행한 후에 원하는 위치에 접착제(150)를 도포하는 공정을 추가로 실시함에 따라 접착제(150)를 사용하여 복수의 간격재(2a, 2b)를 해당 상태로 배열한다. 이로 인해, 곡면으로 인해 간격재(2a, 2b)의 배열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이미 설명한 것처럼, 간격재(2a, 2b)와 제1 또는 제2 유리 패널(110, 120) 사이에는 접착제(150)가 존재한다.
다음, 도 9 및 도 10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유리 패널 모듈의 또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a, 100b)과 비교할 때, 본 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c)은 제2 유리 패널(120a)의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되어 테이퍼진 형상(tapered shape)을 갖고 있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요소는 이미 설명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 100a, 100b)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며 제조 방법 역시 도 6a 내지 도 6g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제2 유리 패널(120a)에서, 서로 다른 두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되어 있으므로, 제2 유리패널(120a)의 네 모서리 부분은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금속판(300)을 제2 유리 패널(120a)에 부착할 때, 금속판 부착을 위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응력(stress)으로 금속판(300)이 손상되는 문제가 줄어들거나 해소된다.
예를 들어, 제2 유리 패널(120)의 가장자리 부분이 모따기 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2 유리 패널(120)의 상부면과 이 상부면에 인접해 있는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거의 수직으로, 제2 유리 패널(120)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의 각도 변화는 0도에서 바로 90도로 급변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금속판(300)을 제2 유리 패널(120) 위에 위치시킨 후 부착할 때, 상부면과 인접한 두 측면과 같이 세 개의 면이 만나 꼭짓점을 형성하는 네 모서리 부분에 이해 금속판(300)이 손상되며, 또한, 부착 동작이 행해질 때 네 모서리 부분에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하여 금속판(300)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로 금속판(300)의 손상이나 파손의 위험은 더욱더 증가한다.
하지만, 본 예의 경우, 제2 유리 패널(120a)의 모서리 부분이 모따기 되어 있어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제2 유리 패널(120a)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의 각도는 90보다 작은 값을 갖게 되어 제2 유리 패널(120a)과 높이 보정부(125)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의 경사도 변화는 0도에서 90도 사이에서 다단계 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사면을 갖는 제2 유리 패널(120a) 위에 금속판(300)을 부착할 때 뽀족함 정도가 감소하고 제2 유리 패널(120a)에서 금속판(300)으로 인가되는 응력이 크기가 감소하여 금속판(300)의 손상이나 파손의 위험이 비교예의 경우보다 크게 줄어든다.
다음, 도 1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유리 패널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고로 하면, 진공 유리 패널 모듈(100d)은 제1 유리 기판(110)과 제1 유리 기판(110) 위에 간격재(2)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제2 유리 기판(120 또는 120a) 이외에 제1 유리 기판(110) 하부에 제3 유리 기판(130)을 더 구비한다.
도 11에는 한 장의 유리 기판(130)이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유리 기판이 제1 및 제2 유리 기판(110, 120 또는 120a)에 의해 형성된 진공 유리 패널 위에 차례로 공기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면서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유리 기판(110, 120 또는 120a)의 진공 유리 패널 위에 적어도 하나의 유리 기판(130)을 형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기층(K)을 형성함에 따라 단열성과 방음 성능이 향상된다.
이때, 제1 유리 기판(110)과 제3 유리 기판(130) 사이에는 제1 유리 기판(110)과 제3 유리 기판(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실리콘(silicon)과 부틸(butyl)로 접합된 간봉인 밀봉부(133)가 위치하고 이 밀봉부(133)에 의해 제1 유리 기판(110)과 제3 유리 기판(120)이 서로 접한다.
제1 유리 기판(110)과 제2 유리 기판(120 또는 120a) 사이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진공층(S)을 형성하는 반면, 제1 유리 기판(110)과 제3 유리 기판(130) 사이는 공기층(K)을 형성한다.
이때, 외부에 노출되는 두 유리 패널(120, 120a, 130) 중에서, 제3 유리 패널(130)이 옥외 공간에 접할 경우 제2 유리 패널(120 또는 120a)은 실내 공간에 접할 수 있고, 반대로 제3 유리 패널(130)이 실내 공간에 접할 경우 제2 유리 패널(120 또는 120a )은 옥외 공간에 접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진공층(S)과 바로 접하고 있는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과 제2 유리패널(120 또는 120a)의 내부면, 그리고 공기층(K)과 바로 접하고 있는 제3 유리 패널(130)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저방사율막층(M)이 형성된다.
저방사율막층(M)은 투명 유전체층으로 은(Ag)으로 이루어진 은층을 사이에 끼워 구성한 복합층이거나 불소를 혼입시킨 산화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막에 의해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유리 패널(110), 제2 유리 패널(120, 120a) 및 제3 유리 패널(130) 중 적어도 하나는 저방사율막층(M)이 형성된 저방사 유리(low emissivity glass)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진공층(S)과 바로 접하고 있는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과 제2 유리패널(120 또는 120a)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저방사율막층(M)이 형성되어, 저방사율막층(M4)에 의한 근적외선 흡수로 의해 제1 유리 패널(110)의 내부면과 제2 유리패널(120 또는 120a)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면의 온도 상승이 다른 면 보다 증가하더라고 복수의 볼록부(3011)와 복수의 오목부(3012)를 갖는 금속판(300)에 의해 제1 유리 패널(100), 제2 유리 패널(120, 120a)의 변형으로 인한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저방사율막(M)에 따른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 또는 120)의 휨 현상의 염려없이 제1 유리 패널(110)과 제2 유리 패널(120, 120a) 및 제3 유리 패널(130) 중 적어도 하나에 저방사율막(M)이 형성됨에 따라, 적외선의 반사율이 증가하여 차폐 계수와 열관류율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냉방과 난방에 따른 부담감이 감소하여 에너지 소비가 크게 감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 2a, 2b: 간격재 4: 게터
100, 100a, 100b, 100c, 100d: 진공 유리 패널 모듈
110, 120, 120a, 130: 유리 패널
111: 배기구 113: 홈
125: 높이 보정부 131, 132, 133: 밀봉부
140: 덮개부 141: 덮개
142, 150: 접착제 300: 금속판
3011: 볼록부 3012: 오목부

Claims (19)

  1. 제1 유리 패널,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있는 제2 유리 패널,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재,
    상기 제1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결합하고 있는 제1 밀봉부,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유리 패널과 결합하고 있는 제2 밀봉부, 그리고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제2 밀봉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와 결합하는 금속판
    을 포함하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 밀봉부의 부분과 상기 금속판의 부분은 복수의 제1 볼록부와 복수의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 밀봉부의 부분과 상기 금속판의 부분은 복수의 제2 볼록부와 복수의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밀봉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밀봉부와 결합하고 있는 높이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높이 보정부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추가로 위치하며,
    상기 금속판은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 위에 바로 위치하여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와 바로 결합되어 있고,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의 부분과 상기 금속판의 부분은 복수의 제3 볼록부와 복수의 제3 오목부를 포함하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3. 제2항에서,
    상기 제2 유리 패널은 모따기된 모서리 부분을 구비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
  4. 제2항에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제2 유리 패널 위에 위치한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상기 제2 밀봉부에 각각 접해있는 두 개의 제1 부분과 상기 두 개의 제1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공중에 떠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5. 제1항에서,
    상기 금속판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인 진공 유리 패널 모듈.
  6. 제1항에서,
    상기 제2 유리 패널은 상기 제1 유리 패널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7. 제1항에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와 각각 접해있는 두 개의 제1 부분과 상기 두 개의 제1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공중에 떠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8. 제1항에서,
    상기 제2 유리 패널은 모따기된 모서리 부분을 구비한 진공 유리 패널 모듈.
  9.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는 각각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과 선 접촉 또는 면 접촉하고 있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10. 제9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 각각과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 중 하나의 유리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11. 제1항에서,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상기 제2 유리 패널 사이에는 진공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층과 바로 접하고 있는 제1 유리 패널의 내부면과 제2 유리 패널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 저방사율막층을 더 포함하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유리 패널 하부에 위치하는 제3 유리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상기 제3 유리 패널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층과 바로 접하고 있는 제3 유리 패널의 내부면에 위치한 저방사율막층을 더 포함하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제1 및 제2 유리 패널보다 큰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14. 제13항에서,
    상기 금속판은 15×10-6/K 내지 40×10-6/K의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15. 제13항에서,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금속판 간의 열 팽창계수의 차이는 6×10-6/K 내지 33×10-6/K인 진공 유리 패널 모듈.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금속판은 0.1×106kgf/cm2 내지 1.3×106kgf/cm2의 인장 탄성 계수를 갖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17. 제1 유리 패널,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있는 제2 유리 패널,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과 접하고 있는 복수의 간격재,
    상기 제1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유리 패널과 결합하고 있는 제1 밀봉부,
    상기 제2 유리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유리 패널과 결합하고 있는 제2 밀봉부, 그리고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제2 밀봉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밀봉부 및 상기 제2 밀봉부와 결합하는 금속판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간격재 각각은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과 선 접촉 또는 점 접촉하고 있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18. 제17항에서,
    상기 제1 밀봉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밀봉부와 결합하고 있는 높이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높이 보정부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추가로 위치하며,
    상기 금속판은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 위에 바로 위치하여 상기 높이 보정부 위에 위치한 제2 밀봉부와 바로 결합되어 있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19. 제17항에서,
    상기 복수의 간격재 각각과 상기 제1 유리 패널 및 상기 제2 유리 패널 중 하나의 유리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진공 유리 패널 모듈.
KR1020140041788A 2014-04-08 2014-04-08 진공 유리 패널 모듈 Active KR101453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788A KR101453307B1 (ko) 2014-04-08 2014-04-08 진공 유리 패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788A KR101453307B1 (ko) 2014-04-08 2014-04-08 진공 유리 패널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307B1 true KR101453307B1 (ko) 2014-10-23

Family

ID=5199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788A Active KR101453307B1 (ko) 2014-04-08 2014-04-08 진공 유리 패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3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3777A (zh) * 2018-07-09 2018-11-13 常州美索虹铭玻璃有限公司 无抽气口真空玻璃的封接设备及封接方法
CN109095792A (zh) * 2018-07-09 2018-12-28 苏州珀力玛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可标准化操作的复合防火玻璃封口的密封方法
CN110818285A (zh) * 2019-10-17 2020-02-21 中航三鑫股份有限公司 一种s型曲面中空玻璃及制备方法
CN117800621A (zh) * 2024-02-29 2024-04-02 沃卡姆(山东)真空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激光辅助的曲面真空玻璃玻璃粉封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0229A (ja) 2004-04-08 2005-11-17 Nippon Sheet Glass Co Ltd 減圧ガラ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66570A1 (en) 2007-01-10 2008-07-10 Cooper David J Vacuum IG window unit with metal member in hermetic edge seal
US20080245011A1 (en) 2007-04-05 2008-10-09 Wolfgang Friedl Vacuum insulated glass building compon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KR20140037451A (ko) * 2012-09-18 2014-03-27 주식회사 한화건설 진공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0229A (ja) 2004-04-08 2005-11-17 Nippon Sheet Glass Co Ltd 減圧ガラ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66570A1 (en) 2007-01-10 2008-07-10 Cooper David J Vacuum IG window unit with metal member in hermetic edge seal
US20080245011A1 (en) 2007-04-05 2008-10-09 Wolfgang Friedl Vacuum insulated glass building compon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KR20140037451A (ko) * 2012-09-18 2014-03-27 주식회사 한화건설 진공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3777A (zh) * 2018-07-09 2018-11-13 常州美索虹铭玻璃有限公司 无抽气口真空玻璃的封接设备及封接方法
CN109095792A (zh) * 2018-07-09 2018-12-28 苏州珀力玛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可标准化操作的复合防火玻璃封口的密封方法
CN110818285A (zh) * 2019-10-17 2020-02-21 中航三鑫股份有限公司 一种s型曲面中空玻璃及制备方法
CN110818285B (zh) * 2019-10-17 2024-02-09 海控南海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s型曲面中空玻璃及制备方法
CN117800621A (zh) * 2024-02-29 2024-04-02 沃卡姆(山东)真空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激光辅助的曲面真空玻璃玻璃粉封接装置
CN117800621B (zh) * 2024-02-29 2024-05-14 沃卡姆(山东)真空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激光辅助的曲面真空玻璃玻璃粉封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2081B (zh) 真空绝缘玻璃构件以及其制造方法和装置
EP1506945B1 (en) Translucent glass panel
JP6495170B2 (ja) 厚い断熱ガラス窓ユニットを収容するように設計された窓枠内に真空断熱ガラス窓ユニットを設置するためのスペーサーシステム
EP0860406B1 (en) Insulating double-glazing unit and vacuum double-glazing unit
KR101041603B1 (ko) 진공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6541084B2 (en) Vacuum IG window unit with polymer spacers
JP6270167B2 (ja) 排気管保護リング及び/又はキャップを含む真空断熱ガラス(vig)窓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343283B2 (ja) 厚い断熱ガラス窓ユニットを収容するように設計された窓枠内に真空断熱ガラス窓ユニットを設置するためのスペーサーシステム
US6444281B1 (en) Vacuum IG window unit with spacers between first and second edge seals
US6291036B1 (en) Vacuum IG window unit with spacers in seal
US6506272B1 (en) Vacuum IG unit with seal for pump-out aperture
CN105074113B (zh) 具有真空绝缘玻璃(vig)单元和含有真空绝缘结构的窗
KR101453307B1 (ko) 진공 유리 패널 모듈
US20130074445A1 (en) Vacuum insulating glass (vig) unit pump-out tube protecting techniques, and/or vig units incorporating the same
US1191327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JPH09268035A (ja) 複層ガラス
US12209454B2 (en) Glass pane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lass panel unit
KR101283744B1 (ko)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212605A1 (en) Vacuum glass including pillars having different arrangement distan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8012637A (ja) 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KR101407318B1 (ko) 진공 유리 패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8985095B2 (en) Roof-mounted water heater
KR101209946B1 (ko) 진공창 및 진공창의 제조방법
JP7676173B2 (ja) 複層ガラスユニット及び複層ガラス
JP6295005B1 (ja) 大量生産型真空低圧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22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062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