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069B1 - Correcting device for orthopedics - Google Patents
Correcting device for orthopedic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3069B1 KR101453069B1 KR1020140066667A KR20140066667A KR101453069B1 KR 101453069 B1 KR101453069 B1 KR 101453069B1 KR 1020140066667 A KR1020140066667 A KR 1020140066667A KR 20140066667 A KR20140066667 A KR 20140066667A KR 101453069 B1 KR101453069 B1 KR 101453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coupled
- shaft
- chair
- auxili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3—Rotation of a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Neur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형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위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어 제1실린더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어 제2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드되고 상부고정판이 형성되는 상부슬라이드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어 제3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드되며 하부고정판이 형성되는 하부슬라이드부, 상기 하부슬라이드부에 형성된 하부고정판에 결합되는 제4실린더로 구성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된 상부슬라이드부의 상부고정판에 결합되는 헤드고정판, 상기 헤드고정판에 고정되는 헤드지지대, 상기 헤드지지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헤드회전부, 상기 헤드지지대에 결합되어 헤드회전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헤드회전제어부, 상기 헤드회전부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환자의 머리가 고정되는 헤드받침부, 상기 헤드회전부의 결합되어 헤드받침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보조헤드회전제어부로 구성된 헤드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된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며 등받이가 형성되는 등받이지지판, 상기 등받이지지판의 전면 양측으로 위치되는 몸체지지부, 상기 몸체지지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거치대제어레버로 형성되는 거치대제어부, 상기 등받이지지판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고정축부와 상기 고정축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축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형성된 슬라이드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끈고정부가 형성되는 끈고정대로 구성된 몸체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형성된 하부슬라이드부의 하부고정판과 제4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제4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하부슬라이드판과, 상기 하부슬라이드판에 결합되어 환자가 착석하는 의자의 회전을 제어하는 의자제어부로 구성된 하부장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를 교정하기 위해 본체프레임, 헤드부, 몸체부, 하부장치를 작동시키고 원상태로 복귀시킬 때, 헤드회전제어부, 보조헤드회전제어부, 의자제어부, 보조의자제어부에 의해 의자 및 헤드받침부가 정확한 원점지점에 위치하게 되어 환자의 신체를 보다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를 통해 환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고정시키면서 교정할 수 있어 교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 which comprises a pedestal placed on a floor, a fixed frame fixed to the pedestal, a main frame coupled to the fixed frame and rotated by a first cylinder, And a fourth cylinder coupled to the lower fixing plate formed on the lower slide portion, wherein the lower slide portion is slid by the third cylinder and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A head fixing plate coupled to the upper fixing plate of the upper slide unit formed on the main body frame, a head supporting bar fixed to the head fixing plate, a head rotating unit coupled to the head supporting bar to rotate the head supporting bar, A head rotation control unit coupled to the head rotation unit, A head unit including a head support unit to which a head of a patient is fixed and an auxiliary head rotation control unit coupled to the head rotation unit to control rotation of the head support unit; A cradle control unit formed of a cradle control lever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cradle, a fixed plat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ackrest support plate, A body portion formed of a height adjusting portion formed with a fixed shaft portion coupled to the fixing plate and a slide shaft slidably coupled to the fixed shaft portion, and a cord fastener coupled to the slide shaft formed i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and having a cord fastening portion,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lide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frame And coupled to the fourth cylinder comprises a lower unit consisting of a sea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chair that the patient is seated and the second lower portion which slides by the slide plate 4, a cylinder, coupled to the lower slide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a body of a patient by operating a head frame, a head, a body, and a lower device to restore the original body frame,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atient's body more precisely because the support part is located at the precise origin point, and it is possible to fix the patient's body safely by fixing the body through the body part, thereby improving the correction abil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형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척추 및 목 등의 치료시 환자들을 보다 편안하게 테이블에 견고하게 지지시키면서 고정시킴은 물론, 환자들의 신체를 정확한 각도로 회전시켜 운동효율성을 증가시키며, 환자들이 안전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치료받을 수 있는 정형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 for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s, which more firmly supports and fixes patients on a table more comfortably during a treatment of the spine and ne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 which allows patients to be easily treated in a safe state.
일반적으로 척추를 견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자는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7-0114814호와 같이 프레임, 시트 등받이부, 의자 하부를 통해 환자들의 경추나 척추를 고정한 상태에서 시트 등받이부나 의자 등을 이동시키면서 회전시켜 환자들의 척추 등을 견인하도록 함으로써, 환자들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Generally, a chair used for traction of a spine is configured to move a seat back, a chair, and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a cervical spine or a vertebra of a patient is fixed through a frame, a seat back, and a chair bottom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114814 And the patient's spine and the like are pulled to rotate the patient's treatment effect.
하지만, 상기와 같이 프레임, 시트 등받이부, 의자 하부 등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환자들을 치료하게 되더라도 시트 등받이부나 의자가 회전하여 원상복귀할 때, 정확한 영점지점을 잡지못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어 환자들의 신체를 정확하게 견인, 회전시키지 못하게 됨으로써, 운동효율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patients are treated while rotating using the frame, the seat back, the chair bottom,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at back or the chair rotates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It is not possible to precisely traction and rotate the motor, resulting in poor motion efficiency.
그리고, 환자들의 신체 고정시 어깨, 겨드랑이와 같은 신체부분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한 상태로 환자들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움직이게 됨으로써, 치료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patient's body is fixed, the patient does not properly support the body parts such as the shoulders and armpits, and the patient moves in an unstable stat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 헤드부, 몸체브, 하부장치를 통해 환자의 신체를 교정하기 위해 본체프레임, 헤드부, 몸체부, 하부장치를 작동시키고 원상태로 복귀시킬 때, 헤드회전제어부, 보조헤드회전제어부, 의자제어부, 보조의자제어부에 의해 의자 및 헤드받침부가 정확한 원점지점에 위치하게 되어 환자의 신체를 보다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를 통해 환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고정시키면서 교정할 수 있어 교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alibrating a patient's body through a body frame, a head unit, a body unit, and a lower unit, the body frame, the head unit, the body unit, The head rotation control unit, the assistant head rotation control unit, the chair control unit, and the assistant chair control unit, the chair and the head support unit are positioned at the precise origin point, and the patient's body can be calibrated more accurately, So that the calibration 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제1, 2, 3, 4슬라이드레일을 통해 헤드부, 몸체부, 하부장치를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으며, 헤드부, 몸체부, 하부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환자의 신체를 용이하게 교정하고,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등지지회전부가 결합되는 높이조절부를 통해 등지지회전부의 높이를 환자에 맞게 원활하게 조절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에 형성되는 축부 및 축멈춤부를 통해 높이조절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환자들에 대한 교정치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거치대를 통해 환자들의 몸을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교정치료를 실시할 수 있으며, 거치대제어레버를 통해 거치대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에 끈고정대에 끈을 고정시키고 환자의 머리를 헤드받침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환자의 머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교정치료를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상체부분에 대한 교정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lide rails formed on the main frame can smoothly slide the head unit, the body unit and the lower unit without shaking, and precisely control the positions of the head unit, the body unit, The height adjustment unit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entire back side of the patient to fit the patient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back side of the back side of the body, And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can be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shaft stop portion, so that the orthodontic treatment for the patients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atient's body is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cradle formed on the body portion And the cradle can be smoothly rotated or fixed through the cradle control lever, and the cradle can be fixed to the cradle by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on the upper part of the patient by performing orthodontic treatment by firmly fixing the head of the patient with the patient's head placed on the head rest part.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를 교정하기 위해 본체프레임, 헤드부, 몸체부, 하부장치를 작동시키고 원상태로 복귀시킬 때, 헤드회전제어부, 보조헤드회전제어부, 의자제어부, 보조의자제어부에 의해 의자 및 헤드받침부가 정확한 원점지점에 위치하게 되어 환자의 신체를 보다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를 통해 환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고정시키면서 교정할 수 있어 교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a body of a patient by operating a head frame, a head, a body, and a lower device to restore the original body frame,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atient's body more precisely because the support part is located at the precise origin point, and it is possible to fix the patient's body safely by fixing the body through the body part, thereby improving the correction ability.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제1, 2, 3, 4슬라이드레일을 통해 헤드부, 몸체부, 하부장치를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으며, 헤드부, 몸체부, 하부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환자의 신체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lide rails formed on the main frame can smoothly slide the head unit, the body unit, and the lower unit without shaking, and precisely control the positions of the head unit, the body uni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tient's body can be easily calibrated.
또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등지지회전부가 결합되는 높이조절부를 통해 등지지회전부의 높이를 환자에 맞게 원활하게 조절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에 형성되는 축부 및 축멈춤부를 통해 높이조절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환자들에 대한 교정치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entire back side branch is smoothly adjust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height adjusting part formed on the body part and all the back side branching parts are coupled with each other, and the height adjusting part is firmly fixed through the shaft part and the shaft stop part formed on the height adjusting part So that it is easy to perform orthodontic treatment for patients.
그리고,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거치대를 통해 환자들의 몸을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교정치료를 실시할 수 있으며, 거치대제어레버를 통해 거치대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atient's body is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cradle formed on the body portion, and the cradle can be smoothly rotated or fixed through the cradle control lever.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에 끈고정대에 끈을 고정시키고 환자의 머리를 헤드받침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환자의 머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교정치료를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교정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tient's head is fixed to the head restraint by fixing the string to the height adjuster, the patient's head is fixed firmly to perform the orthodontic treatment. .
도 1은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본체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본체프레임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본체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헤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헤드부의 헤드회전제어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헤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하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하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간략도.
도 21은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헤드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간략도.
도 2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하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인 정형용 교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orthodontic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frame of a orthodontic applian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ody frame of a orthodontic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ain frame of a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head portion of a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d rotation control unit of the head of the orthodontic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head portion of a orthodontic applian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ody portion of a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device of a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7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lower devic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rthodontic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0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orthodontic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ead port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 to 2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lower devic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orthodontic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정형용 교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 헤드부(20), 몸체부(30), 하부장치(40)로 이루어진다.The
먼저, 상기 본체프레임(1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위치되는 받침대(11)가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여기서, 상기 받침대(11)에는 사용자가 원활하게 받침대(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바퀴(도면에 미도시)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바퀴의 이동을 제어하는 잠금장치(도면에 미도시)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의자 등에 설치되어 바퀴를 제어하는 어떠한 형상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The locking device may be of any shape, such as a chair, which controls the wheel.
또한, 상기 받침대(1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대(12)가 형성되어 있다.Further, a fixing table 12 to be fixed to the
그리고, 상기 고정대(12)는 후술할 메인프레임(14)이 고정대(12)에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받침대(11)의 상부로 위치하면서 양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fixing table 1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여기서, 상기 고정대(12)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받침대(11)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거나 볼트 등과 같은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결합되어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fixing table 12 may be fixed to the
또한, 상기 고정대(1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메인프레임(14)이 형성되어 있다.Further, a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4)의 후면방향으로 일측은 받침대(11)에 고정되며 타측은 메인프레임(14)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13)가 형성되어, 상기 제1실린더(13)에 의해 메인프레임(14)이 회전되도록 형성된다.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4)의 내측으로는 제1, 2슬라이드레일(14a, 14b)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lide rails 14a and 14b are preferably formed inside the
이는, 후술할 상부슬라이드부(16)와 하부슬라이드부(18)가 상기 제1, 2슬라이드레일(14a, 14b)에 각각 결합되어 제1, 2슬라이드레일(14a, 14b)에서 상부슬라이드부(16)와 하부슬라이드부(18)가 용이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이에 더해, 상기 메인프레임(14)이 고정대(12)에 결합될 때, 메인프레임(14)이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샤프트(도면에 미도시)나 베어링(도면에 미도시) 등이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나 베어링 등이 결합되는 홈(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a shaft (not shown) or a bearing (not shown) that is currently in use so that the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4)의 상측으로 상부고정판(16a)이 형성되는 상부슬라이드부(16)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슬라이드부(16)는 메인프레임(14)가 결합되는 제2실린더(15)에 의해 메인프레임(14)에서 상, 하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상부슬라이드부(16)는 메인프레임(14)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레일(14a)에 결합되면서 상, 하로 슬라이드하게 된다.Here, the
다시 말해, 상기 제2실린더(15)의 일측은 상부슬라이드부(16)에 결합되고 타측은 메인프레임(14)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메인프레임(14)의 제1슬라이드레일(14a)에 결합된 상부슬라이드부(16)가 제2실린더(15)의 작동에 의해 제1슬라이드레일(14a)을 따라 원활하게 상, 하로 슬라이드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상부슬라이드부(16)에 형성된 상부고정판(16a)에 제1, 2슬라이드레일(14a, 14b)과 같은 제3슬라이드레일(16a1)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A third slide rail 16a1 such as the first and second slide rails 14a and 14b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fixed
상기 제3슬라이드레일(16a1)은 후술할 헤드부(20)의 헤드고정판(21)이 원활하게 고정되면서 용이하게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third slide rail 16a1 is for easily sliding the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4)의 하측으로 하부고정판(18a)을 포함하는 하부슬라이드부(18)가 메인프레임(14)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A
그리고, 상기 하부슬라이드부(18)에는 하부슬라이드부(18)를 슬라이드시키는 제3실린더(17)가 연결되어 있다.A
이는, 상기 제3실린더(17)의 일측은 메인프레임(14)의 내부 하측으로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하부슬라이드부(18)에 연결되어 있어, 제3실린더(17)가 작동하면서 하부슬라이드부(18)를 상, 하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하부슬라이드부(18)는 메인프레임(14)의 내측에 형성된 제2슬라이드레일(14b)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레일(14b)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하부슬라이드부(18)에 형성되는 하부고정판(18a)의 하측으로 제4실린더(19)가 형성되어 있다.A fourth cylinder (19) is formed below the lower fixing plate (18a) formed on the lower slide part (18).
여기서, 상기 제4실린더(19)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고정판(18a)의 하측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하부고정판(18a)의 측면이나 받침대(11), 메인프레임(14) 등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하부고정판(18a)에도 제1, 2, 3슬라이드레일(14a, 14b, 16a1)과 같은 제4슬라이드레일(18a1)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상기 제4슬라이드레일(18a1)은 후술할 하부장치(40)의 하부슬라이드판(41)이 하부고정판(18a)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fourth slide rail 18a1 slides smoothly while allowing the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13), 제2실린더(15), 제3실린더(17), 제4실린더(19)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The
또한, 상기 제1실린더(13)에 의해 메인프레임(14)이 제자리에서 회전하여 메인프레임(14)이 눕혀지거나 세워지고, 제2실린더(15)에 의해 상부슬라이드부(16)가 제1슬라이드레일(14a)을 따라 메인프레임(14)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 하로 슬라이드되며, 제3실린더(17)에 의해 하부슬라이드부(18)가 제2슬라이드레일(14b)을 따라 메인프레임(14)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 하로 슬라이드되고, 제4실린더(19)에 의해 하부슬라이드판(41)이 메인프레임(14)의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한편, 상기 헤드부(20)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의 상부슬라이드부(16)에 고정된 상부고정판(16a)에 결합되는 헤드고정판(21)이 형성되어 있다.6 to 11, the
여기서, 상기 헤드고정판(21)이 상부고정판(16a)에 결합될 때, 상기 상부고정판(16a)에는 제3슬라이드레일(16a1)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헤드고정판(21)에 제3슬라이드레일(16a1)에 결합되어 상기 제3슬라이드레일(16a1)에서 헤드고정판(21)이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When the
그리고, 상기 헤드고정판(21)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헤드지지대(22)가 형성되어 있다.A
또한, 상기 헤드고정판(21)이 결합되는 헤드지지대(22)의 반대방향으로 헤드회전부(23)가 헤드지지대(22)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헤드회전부(23)가 헤드지지대(22)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될 때, 상기 헤드회전부(23)의 회전을 제어하는 헤드회전제어부(24)가 헤드지지대(22)에 고정되면서 헤드회전부(23)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When the
여기서, 상기 헤드회전제어부(2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상기 헤드지지대(22)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헤드회전부(23)가 결합되면서 잠금홀(24a1)이 포함되는 헤드축(24a)이 형성되어 있다.9, the head
또한, 상기 헤드축(24a)에 결합되되 상기 헤드축(24a)에 형성된 잠금홀(24a1)에 결합되는 헤드잠금쇠(24b1)와 헤드레버(24b2)가 결합되는 헤드클램프(24b)로 형성되어 있다.And a
여기서, 상기 헤드레버(24b2)를 잠그게 되면 헤드클램프(24b)가 헤드축(24a)에 밀착되면서 헤드회전부(23)가 완전히 회전할 수 없게 되며, 헤드레버(24b2)를 풀게 되면 헤드클램프(24b)가 헤드축(24a)과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헤드회전부(23)가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When the head lever 24b2 is locked, the
또한, 상기 헤드잠금쇠(24b1)를 헤드축(24a)의 잠금홀(24a1)에서 분리하여 헤드회전부(23)를 회전시키다가 상기 헤드잠금쇠(24b1)가 잠금홀(24a1)에 결합되면 상기 헤드회전부(23)가 원점상태로 복귀하면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head pawl 24b1 is separated from the lock hole 24a1 of the
그리고, 상기 헤드회전부(23)에 연결되어 헤드회전부(23)와 같이 회전할 수 있으며 환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헤드받침부(25)가 형성되어 있다.A
이에 더해,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회전부(23)에 연결된 헤드받침부(25)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보조헤드회전제어부(26)가 상기 헤드회전부(23)의 타측부분(헤드회전제어부가 위치되지 않는 부분)에 결합되어 헤드받침제어부(27)에 의해 헤드받침부(25)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10 to 11, an auxiliary head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헤드회전부(23)의 타측부분에 헤드받침제어부(27)의 헤드프레임(27a)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프레임(27a)에 연결되며 헤드프레임레버(27b1)가 결합된 헤드프레임클램프(27b)가 형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상기 헤드프레임클램프(27b)의 헤드프레임레버(27b1)를 풀게 되면, 헤드받침부(25)가 상, 하로 회전하게 되고 헤드프레임레버(27b1)를 잠그게 되면, 헤드받침부(25)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형성되어 있다.When the head frame lever 27b1 of the
다시 말해, 상기 헤드프레임(27a)에 헤드받침부(25)가 연결되면서 헤드프레임클램프(27b)에 의해 헤드받침부(25)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또한, 상기 헤드프레임(27a)이 헤드회전부(23)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보조헤드회전제어부(26)에 의해, 헤드프레임(27a)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조헤드회전제어부(26)에 형성된 보조헤드축(26a)에 헤드회전부(23)와 헤드프레임(27a)이 결합되고, 상기 보조헤드축(26a)에 보조헤드클램프(26b)가 결합되어 있다.The
다시 말해, 상기 보조헤드축(26a)에 형성된 보조잠금홀(26a1)에 보조헤드클램프(26b)의 보조헤드잠금쇠(26b1)가 결합되고 상기 보조헤드클램프(26b)에 보조헤드레버(26b2)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uxiliary head clamp 26b1 of the
또한, 상기 보조헤드클램프(26b)에 형성된 보조헤드레버(26b2)를 잠그게 되면, 상기 보조헤드클램프(26b)가 보조헤드축(26a)에 밀착되면서 헤드프레임(27a)이 완전히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보조헤드레버(26b2)를 풀게 되면, 보조헤드클램프(26b)가 보조헤드축(26a)에서 이격되어 헤드프레임(27a)이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auxiliary head lever 26b2 formed on the
그리고, 상기 보조헤드클램프(26b)에 형성된 보조헤드잠금쇠(26b1)가 보조헤드축(26a)에 형성된 보조잠금홀(26a1)에서 분리되면 헤드프레임(27a)이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보조헤드잠금쇠(26b1)가 보조잠금홀(26a1)에 삽입되면 헤드프레임(27a)이 원상태로 복귀한 상태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auxiliary head claw 26b1 formed on the
한편, 상기 몸체부(3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된 메인프레임(14)의 전방으로 고정되며 환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31a)가 결합된 등받이지지판(31)이 형성되어 있다.12 to 14, the
그리고, 상기 등받이지지판(31)의 전방 양측으로 몸체지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A
또한, 상기 몸체지지부(32)에는 거치대제어부(33)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지지부(32)의 전방으로 환자의 팔 등을 지지할 수 있는 거치대(33a)와, 상기 몸체지지부(32)의 측면으로 거치대(33a)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거치대제어레버(33b)가 형성되어 있다.A
여기서, 상기 거치대제어레버(33b)에는 거치대(33a)가 용이하게 회전하거나 작동하기 편리하면서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시(도면에 미도시), 스프링(도면에 미도시), 베어링(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또한, 상기 거치대(33a)는 환자를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쿠션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그리고, 상기 등받이지지판(31)의 양측으로 높이조절부(34)가 형성되어 있다.A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등받이지지판(31)의 측면방향으로 고정판(3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34a)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고정축부(34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축부(34b)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축(34c)이 형성되어 있다.A fixing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축(34c)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끈고정부가(35a)가 포함된 끈고정대(35)가 형성되어 있다.A
여기서, 상기 끈고정부(35a)에 별도의 끈을 연결하여 환자의 머리가 헤드받침부(25)에 위치하게 되면 끈을 환자의 머리에 둘러 환자의 머리가 견고하게 헤드받침부(25)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When a patient's head is placed on the
이에 더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축(34c)이 고정축부(34b)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드될 때, 슬라이드축(34c)이 자중에 의해 쉽게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축부(34b)에는 축부(34bb)를 더 포함시켜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축(34c)에는 축멈춤부(34cc)를 더 포함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4, when the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축부(34b)의 하측으로 돌출턱(34b1)과 결합홈(34b2)이 형성된 축부(34bb)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축(34c)의 하측으로 결합턱(34c1)이 형성되며 상기 축부(34bb)에 형성된 결합홈(34b2)에 결합되는 축멈춤부(34cc)가 형성되어 있다.A shaft portion 34bb having a protruding protrusion 34b1 and an engaging groove 34b2 is formed below the fixed
다시 말해, 상기 슬라이드축(34c)이 고정축부(34b)를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드된 후, 슬라이드축(34c)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축(34c)에 형성된 축멈춤부(34cc)가 고정축부(34b)의 축부(34bb)에 형성된 결합홈(34b2)에 결합되면서 축부(34bb)에 형성된 돌출턱(34b1)에 슬라이드축(34c)의 축멈춤부(34cc)에 형성된 결합턱(34c1)이 걸리게 되어 슬라이드축(34c)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여기서, 상기 결합홈(34b2)에는 슬라이드축(34c)의 축멈춤부(34cc)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Here, a spac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34b2 so that the shaft stop portion 34cc of the
그리고, 상기 고정축부(34b) 또는 슬라이드축(34c)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환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지지대(36a)가 결합된 등지지회전부(36)가 형성되어 있다.The back
여기서, 상기 등지지회전부(36)에는 고정축부(34b)나 슬라이드축(34c)에서 자중에 의해 떨어지지 않도록 클램프 등과 같은 멈춤부재(도면에 미도시) 등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Here, a stop member (not shown) such as a clamp or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한편, 상기 하부장치(40)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0)의 하부슬라이드부(18)에 형성된 하부고정판(18a)에 결합되어 제4실린더(19)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하부슬라이드판(41)이 형성되어 있다.15 to 17, the
여기서, 상기 제4실린더(19)의 일측은 하부슬라이드부(18)에 형성된 하부고정판(18a)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은 하부슬라이드판(41)에 연결되어 제4실린터(19)의 작동에 의해 하부슬라이드판(41)이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이에 더해, 상기 하부슬라이드판(41)이 하부고정판(18a)에 결합될 때, 상기 하부고정판(18a)에 형성되는 제4슬라이드레일(18a1)에 결합되어 상기 제4슬라이드레일(18a1)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하부슬라이드판(41)의 상측으로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의자와 연결되면서 회전되는 의자제어부(42)가 형성되어 있다.Further, a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슬라이드판(41)과 의자에 결합되며 의자축홈(42a1)이 형성된 의자축(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의자축(42a)에 외측으로 의자축(42a)에 결합되면서 의자축홈(42a1)에 삽입되는 의자잠금쇠(42b1)와 의자레버(42b2)가 포함되는 의자클램프(42b)로 형성된다.16, a
여기서, 상기 의자레버(42b2)를 작동시켜 의자클램프(42b)를 잠그게 되면, 상기 의자클램프(42b)가 의자축(42a)에 밀착되면서 의자축(42a)이 완전히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의자레버(42b2)를 작동시켜 의자클램프(42b)를 풀게 되면 의자클램프(42b)가 의자축(42a)과 이격되면서 의자축(42a)이 회전하게 된다.When the
또한, 상기 의자클램프(42b)에 형성된 의자잠금쇠(42b1)를 의자축홈(42a1)에 삽입하지 않게 되면 의자축(42a)이 원활하게 회전하다가 의자잠금쇠(42b1)가 의자축홈(42a1)에 결합되면 의자축(42a)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의자자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hair claw 42b1 is not inserted into the chair shaft groove 42a1 and the
이에 더해, 상기 의자를 다른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보조의자제어부(43)를 더 포함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제어부(42)에 형성된 의자축(42a)에 연결되며, 보조의자축홈(43a1)이 포함된 보조의자축(4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의자축(43a)의 외측으로 결합되되 보조의자축홈(43a1)에 결합되는 보조의자잠금쇠(43b1)와 보조의자레버(43b2)가 포함된 보조의자클램프(43b)가 형성되어 있다, 17, auxiliary
여기서, 상기 보조의자레버(43b2)를 작동시켜 보조의자클램프(43b)를 잠그게 되면, 상기 보조의자클램프(43b)가 보조의자축(43a)에 밀착되면서 보조의자축(43a)이 완전히 회전하지 않게 되며, 보조의자레버(43b2)를 작동시켜 보조의자클램프(43b)를 풀게 되면 보조의자클램프(43b)가 보조의자축(43a)과 이격되면서 보조의자축(43a)이 회전하게 된다.When the auxiliary chair lever 43b2 is operated to lock the
또한, 상기 보조의자클램프(43b)에 형성된 보조의자잠금쇠(43b1)를 보조의자축홈(43a1)에 삽입하지 않게 되면 보조의자축(43a)이 원활하게 회전하다가 보조의자잠금쇠(43b1)가 보조의자축홈(43a1)에 결합되면 보조의자축(43a)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의자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auxiliary chair pin 43b1 formed on the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0)에 형성된 헤드잠금쇠(24b1), 보조헤드잠금쇠(26b1)와 상기 하부장치(40)에 형성된 의자잠금쇠(42b1), 보조의자잠금쇠(43b1)는 결합부(a1)가 형성되는 손잡이(a), 내측으로 상기 손잡이(a)의 결합부(a1)가 삽입되면서 스프링(s)이 결합되는 볼트(b), 일측은 상기 볼트(b)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손잡이(a)에 형성된 결합부(a1)에 결합되는 타측은 볼트(b)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걸림부(c)로 구성된다.17, the head pawl 24b1, the auxiliary head pawl 26b1, and the chair pawl 42b1, the auxiliary chair pawl 43b1 formed on the
다시 말해, 상기 볼트(b)가 헤드클램프(24b), 보조헤드클램프(26b), 의자클램프(42b), 보조의자클램프(43b)에 결합되면, 상기 볼트(b)의 내측으로 결합되면서 일부가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걸림부(c)가 상기 헤드축(24a), 보조헤드축(26a), 의자축(42a), 보조의자축(43a)에 각각 형성된 잠금홀(24a1), 보조잠금홀(26a1), 의자축홈(42a1), 보조의자축홈(43a1)에 삽입되면서 헤드축(24a), 보조헤드축(26a), 의자축(42a), 보조의자축(43a)이 회전하지 않게 되며, 상기 손잡이(a)를 잡아당기게 되면 손잡이(a)의 결합부(a1)에 결합되어 있던 걸림부(c)가 잠금홀(24a1), 보조잠금홀(26a1), 의자축홈(42a1), 보조의자축홈(43a1)에서 분리되어 상기 헤드축(24a), 보조헤드축(26a), 의자축(42a), 보조의자축(43a)이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bolt b is coupled to the
또한, 상기 손잡이(a)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걸림부(c)가 볼트(b)의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상기 헤드축(24a), 보조헤드축(26a), 의자축(42), 보조의자축(43a)이 회전하면서 잠금홀(24a1), 보조잠금홀(26a1), 의자축홈(42a1), 보조의자축홈(43a1)에 맞닿게 되면 자동적으로 걸림부(c)가 잠금홀(24a1), 보조잠금홀(26a1), 의자축홈(42a1), 보조의자축홈(43a1)에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a is removed, the resilient force of the spring s pushes the engagement portion c outward of the bolt b, and the
그리고, 상기 볼트(b)에는 나사산 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헤드클램프(24b), 보조헤드클램프(26b), 의자클램프(42b), 보조의자클램프(43b)에서 볼트(b)를 분리하지 않는 이상 헤드클램프(24b), 보조헤드클램프(26b), 의자클램프(42b), 보조의자클램프(43b)에 항상 결합되어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bolts b are formed with threads or the like, the user does not separate the bolts b from the
또한, 상기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결합부(a1)와 걸림부(c)가 분리되거나 걸림부(c)가 볼트(b)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암, 수결합형태나 용접형태 등으로 결합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engaging part a1 and the engaging part c from separating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s and the engaging part c not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bolt b, It is self-explanatory to be combined with the shape and the welding form, and the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10), 헤드부(20), 몸체부(30), 하부장치(40)가 결합되는 부분에 핀, 용접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볼트 등을 이용하여 분리, 결합할 수 있는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각각의 회전부분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베어링 등이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부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아울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에는 각 구성을 보호하면서 미관을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커버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8,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형용 교정장치(100)의 의자에 환자가 의자에 착석하게 되면서 환자의 등이 몸체부(30)의 등받이지지판(31)에 형성된 등받이(31a)에 밀착된다.18, the patient's back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그런 후, 환자의 신체에 맞게 헤드부(20), 몸체부(30), 하부장치(40)를 셋팅하도록 한다.Then, the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9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의자에 착석하고 등받이(31a)에 등을 밀착시킬 때, 상기 높이조절부(34)의 슬라이드축(34c)이 고정된 고정축부(34b)를 (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축부(34b)에 결합된 등지지회전부(36)가 (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등지지회전부(36)에 형성된 등지지대(36a)가 환자의 등에 밀착되도록 한다.19 to 20, when the patient is seated on the chair and the
그런 후, 상기 헤드부(20)의 헤드받침부(25)에 환자의 머리가 위치되도록 하는데, 환자의 머리에 맞게 헤드받침부(25)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Then, the head of the patient is positioned on the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된 제2실린더(15)를 작동시켜 제2실린더(15)에 결합된 상부슬라이드부(16)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슬라이드부(16)에 연결된 헤드부(20)의 헤드지지대(22)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The
그러면, 상기 헤드지지대(22)에 연결된 헤드회전부(23)의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헤드회전부(23)에 연결된 헤드받침제어부(27)의 헤드프레임(27a)의 높이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헤드받침부(25)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The height of the
이와 동시에, 상기 헤드받침제어부(27)에 형성된 헤드프레임클램프(27b)의 헤드프레임레버(27b1)를 풀어 환자의 머리 위치에 맞게 헤드받침부(25)의 방향을 (나)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가 완전하게 헤드받침부(25)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At the same time, the head frame lever 27b1 of the
또한, 환자의 머리가 헤드받침부(25)에 위치되면 다시 헤드프레임레버(27b1)를 회전시켜 헤드프레임클램프(27b)를 잠그고 헤드받침부(25)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킨다.When the head of the patient is positioned on the
이와 동시에, 상기 높이조절부(34)에 형성된 슬라이드축(34c)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축부(34b)의 축부(34bb)에 형성된 결합홈(34b2)에 슬라이드축(34c)에 결합된 축멈춤부(34cc)를 삽입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그런 후, 상기 슬라이드축(34c)을 회전시켜 축부(34bb)의 돌출턱(34b1)에 축멈춤부(34cc)의 결합턱(34c1)이 걸리도록 하면서 슬라이드축(34c)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 후, 상기 슬라이드축(34c)에 결합된 끈고정대(35)의 끈고정부(35a)에 끈을 연결하여 환자의 머리가 완전하게 헤드부(20)의 헤드받침부(25)에 고정되도록 한다.Thereafter, the
또한, 상기 헤드부(20)의 헤드회전부(23)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헤드회전부(23)가 결합된 헤드고정판(21)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다.The position of the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헤드고정판(21)은 본체프레임(10)의 상부슬라이드부(16)에 형성된 상부고정판(16a)에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고정판(16a)이 제3슬라이드레일(16a1)에 결합되어 있어, 헤드고정판(21)을 제3슬라이드레일(16a1)에서 슬라이드시키면서 환자의 머리에 맞게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몸체부(30)에 형성된 거치대제어부(33)의 거치대제어레버(33b)를 작동시켜 거치대(33a)를 (다)방향으로 회전시켜 환자의 겨드랑이 밑으로 거치대(33a)가 위치되도록 한 후, 다시 거치대제어레버(33b)를 작동시켜 거치대(33a)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The
상기와 같이 환자의 머리를 헤드부(20)에 고정시키고 의자에 환자를 착석시켜 환자의 상체를 고정한 후, 환자의 하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장치(40)를 작동시키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atient's head is fixed to the
먼저, 환자가 의자에 착석하게 되면 의자 및 등지지회전부(36)에 끈고정부(35a)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그 장치에 끈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복부 및 대퇴부 등을 등지지회전부(36) 및 의자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First, when the patient is seated in a chair, a separate device such as a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된 제3실린더(17)를 작동시켜 상기 제3실린더(17)에 연결된 하부슬라이드부(18)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하부슬라이드부(18)에 결합되는 하부장치(40)가 동시에 높이가 조절되면서 의자에 착석해 있던 환자가 동시에 내려오게 되는데 상기 환자의 겨드랑이가 본체프레임(10)의 메인프레임(14)에 고정된 거치대제어부(33)의 거치대(33a)에 거치되어 있어, 환자의 상체와 하체가 상, 하로 끌어 당겨지게 되면서 환자의 자세가 틀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height of the
또한, 환자의 하체는 의자에 고정되는 끈에 의해 의자에 고정되어 있어 환자의 몸이 하부장치(40)와 같이 상, 하로 움직이게 된다.Further, the lower body of the patient is fixed to the chair by a string fixed to the chair, so that the body of the patient moves up and down like the
여기서, 상술한 순서대로 환자를 정형용 교정장치(100)에 위치시켜 고정시킬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환자의 고정순서는 얼마든지 다르게 변경하여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although the patient may be placed and fixed in the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환자를 정형용 교정장치(100)에 위치하도록 한 후, 환자의 특성에 맞게 헤드부(20), 몸체부(30), 하부장치(40)를 작동시켜 환자의 자세에 대한 교정치료를 진행하면 되는 것이다.After the patient is placed in the
먼저, 환자의 상체 부분에 대한 교정치료에 대한 설명을 하면, First of all, if we explain the orthodontic treatment for the upper part of the patient,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제2실린더(15)를 상, 하로 승, 하강시키면서 상기 제2실린더(15)에 연결된 상부슬라이드부(16), 상기 상부슬라이드부(16)에 연결된 헤드부(20)를 승, 하강시키면서 환자의 목부터 머리를 끌어당겼다 푸는 교정수행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도록 한다.An
이와 동시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0)의 헤드회전제어부(24)의 헤드레버(24b2)를 풀어 헤드회전부(2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헤드회전제어부(24)에 형성된 헤드잠금쇠(24b1)를 헤드축(24a)의 잠금홀(24a1)에서 분리시킨다.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21, the head
그러면, 자동이나 수동으로 상기 헤드회전부(23)를 회전시키면서 환자의 목뼈 등을 (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교정치료를 수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헤드회전부(23)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헤드회전제어부(26)의 보조헤드클램프(26b)에 결합된 보조헤드레버(26b2)를 푼 상태에서 보조헤드축(26a)의 보조잠금홀(26a1)에서 보조헤드잠금쇠(26b1)를 분리시켜 상기 헤드회전부(23)와 연결된 헤드받침제어부(27)의 헤드프레임(27a)이 회전되도록 하면서 환자의 목뼈 등을 (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교정치료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Then,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while rotating the
상기와 같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헤드회전제어부(24), 보조헤드회전제어부(26)를 통해 동시에 교정치료를 수행하거나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orthodontic treatment through the head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교정치료를 수행한 후, 상기 헤드회전부(23) 및 헤드받침제어부(27)의 헤드프레임(27a)을 회전시키게 되면, 헤드회전제어부(24)의 헤드축(24a)에 형성된 잠금홀(24a1)에서 분리되어 있던 헤드클램프(24b)의 헤드잠금쇠(24b1)가 잠금홀(24a1)에 삽입되면서 헤드회전부(23)가 최초 정지되어 있던 원점을 찾으면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보조헤드축(26a)의 보조잠금홀(26a1)에서 분리되어 있던, 보조헤드클램프(26b)의 보조헤드잠금쇠(26b1)가 상기 보조잠금홀(26a1)에 삽입되면서 헤드프레임(27a)이 원점을 찾으면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이처럼, 상기 헤드축(24a)의 잠금홀(24a1)과 헤드클램프(24b)의 헤드잠금쇠(24b1) 및 보조헤드축(26a)의 보조잠금홀(26a1)과 보조헤드클램프(26b)의 보조헤드잠금쇠(26b1)를 통해 교정치료를 위해 회전되었던 헤드회전부(23) 및 헤드프레임(27a)이 원활하게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The auxiliary lock hole 26a1 of the
한편, 환자의 하체의 교정치료에 대한 설명을 하면, On the other hand, when explanation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lower body of the patient,
도 22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제3실린더(17)를 작동시키게 되면 하부고정판(18a)이 형성된 하부슬라이드부(18)가 승, 하강하면서 상기 하부슬라이드부(18)에 결합된 하부장치(40)가 동시에 승, 하강하게 되어 환자의 하체를 당겼다 풀었다 하는 과정을 반복수행하게 된다.22 to 23, when the
이와 동시에, 본체프레임에(10)에 형성된 제4실린더(19)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환자가 착석한 의자도 동시에 전, 후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움직이게 하면서 환자의 허리부분을 지속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At the same time, as the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10)에는 제1슬라이드레일(14a), 제2슬라이드레일(14b), 제3슬라이드레일(16a1), 제4슬라이드레일(18a1)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슬라이드부(16), 하부슬라이드부(18), 하부장치(40)가 원활하게 승, 하강하거나 전, 후로 흔들리지 않고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slide rail 14a, the second slide rail 14b, the third slide rail 16a1 and the fourth slide rail 18a1 are formed on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제3, 4실린더(18, 19)를 통해 몸체부(30) 및 하부장치(40)를 승, 하강시키면서 환자의 신체를 당겼다 풀었다 하면서 하부장치(40)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허리 등의 교정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angle of the
다시 말해, 상기 하부장치(40)에 형성된 의자제어부(42)의 의자레버(42b2)를 풀어 의자축(42a)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의자축(42a)의 의자축홈(42a1)에서 의자클램프(42b)의 의자잠금쇠(42b1)를 분리시켜 의자가 바닥면에서 좌, 우방향인 (바)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보조의자제어부(43)의 보조의자클램프(43b)에 결합된 보조의자레버(43b2)를 풀어 보조의자축(43a)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보조의자축(43a)에 형성된 보조의자축홈(43a1)에서 보조의자잠금쇠(43b1)를 분리시켜 의자가 바닥면에 수직인 수직면에서 좌, 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사)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하부장치(40)를 회전시키면서 환자에게 교정운동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hair lever 42b2 of th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부장치(40)의 교정운동을 수행한 후, 의자를 일정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의자제어부(42)의 의자축(42a)이 회전하게 되면서 의자축(42a)에 형성된 의자축홈(42a1)으로 의자클램프에(42b)에 결합된 의자잠금쇠(42b1)가 결합되면서 의자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보조의자제어부(43)의 보조의자축(43a)이 회전하게 되어 보조의자축홈(43a1)으로 보조의자잠금쇠(43b1)가 결합되어 의자가 완전한 원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hair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fter the calibrating motion of the
또한, 상기와 같이 환자를 중력방향으로 앉은 상태에서 교정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된 제1실린더(13)를 작동시켜 상기 메인프레임(14)이 (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눕혀지도록 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4)에 결합되는 헤드부(20), 몸체부(30), 하부장치(40)를 눕히도록 하여, 환자가 눕혀진 상태에서도 교정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24,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가 수행하는 교정치료를 어느 한 부분씩만 선택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방법을 모두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orthodontic treatment performed by the patient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only one part or all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상기와 같이 본체프레임(10), 헤드부(20), 몸체부(30), 하부장치(40)를 통해 환자의 교정치료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로 헤드부(20), 몸체부(30), 하부장치(40)를 회전시킬 수 있어, 환자에 대한 교정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The user can smoothly perform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patient through the
또한, 헤드부(20), 하부장치(40)에 형성된 헤드잠금쇠(24b1), 보조헤드잠금쇠(26b1), 의자잠금쇠(42b1), 보조의자잠금쇠(43b1)를 통해 헤드부(20) 및 하부장치(40)의 작동시켜 환자에게 교정치료를 수행할 때 헤드부(20) 및 하부장치(40)의 원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교정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30)의 거치대(33a) 및 고정축부(34b), 등지지대(36a)를 통해 환자를 정확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교정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교정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고정축부(34b)를 이용하여 끈고정대(35)를 통해 환자의 머리를 헤드부(20)의 헤드받침부(25)에 정확하게 고정함은 물론, 상기 높이조절부(34)에 형성된 축부(34bb), 축멈춤부(34cc)를 통해 슬라이드축(34c)이 자중에 의해 쉽게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환자를 안전하게 정형용 교정장치(100)에 위치시켜 교정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head of the patient can be accurately fixed to the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 : 본체프레임
11 : 받침대 12 : 고정대
13 : 제1실린더 14 : 메인프레임
14a : 제1슬라이드레일 14b : 제2슬라이드레일
15 : 제2실린더 16 : 상부슬라이드부
16a :상부고정판 16a1 : 제3슬라이드레일
17 : 제3실린더 18 : 하부슬라이드부
18a : 하부고정판 18a1 : 제4슬라이드레일
20 : 헤드부
21 : 헤드고정판 22 : 헤드지지대
23 : 헤드회전부 24 : 헤드회전제어부
24a : 헤드축 24a1 : 잠금홀
24b : 헤드클램프 24b1 : 헤드잠금쇠
24b2 : 헤드레버 25 : 헤드받침부
26 : 보조헤드회전제어부
26a : 보조헤드축 26a1 : 보조잠금홀
26b : 보조헤드클램프 26b1 : 보조헤드잠금쇠
26b2 : 보조헤드레버 27 : 헤드받침제어부
27a : 헤드프레임 27b :헤드프레임클램프
27b1 : 헤드프레임레버
30 : 몸체부
31 : 등받이지지판 31a : 등받이
32 : 몸체지지부 33 : 거치대제어부
33a : 거치대 33b : 거치대제어레버
34 : 높이조절부 34a : 고정판
34b : 고정축부 34b1 : 돌출턱
34b2 : 결합홈 34bb : 축부
34c : 슬라이드축 34c1 : 결합턱
34cc :축멈춤부 35 : 끈고정대
35a : 끈고정부 36 : 등지지회전부
36a : 등지지대
40 : 하부장치
41 : 하부슬라이드판 42 : 의자제어부
42a : 의자축 42a1 : 의자축홈
42b : 의자클램프 42b1 : 의자잠금쇠
42b2 : 의자레버 43 : 보조의자제어부
43a : 보조의자축 43a1 : 보조의자축홈
43b : 보조의자클램프 43b1 : 보조의자잠금쇠
43b2 : 보조의자레버
100 : 정형용 교정장치10: Body frame
11: pedestal 12:
13: first cylinder 14: main frame
14a: first slide rail 14b: second slide rail
15: second cylinder 16: upper slide part
16a: upper fixing plate 16a1: third slide rail
17: third cylinder 18: lower slide part
18a: Lower fixed plate 18a1: Fourth slide rail
20: head portion
21: head fixing plate 22: head supporting plate
23: head rotation part 24: head rotation control part
24a: head shaft 24a1: lock hole
24b: Head Clamp 24b1: Head Clamp
24b2: head lever 25: head support portion
26: auxiliary head rotation control section
26a: auxiliary head shaft 26a1: auxiliary locking hole
26b: Auxiliary head clamp 26b1: Auxiliary head clamp
26b2: auxiliary head lever 27: headrest control part
27a:
27b1: Head frame lever
30:
31:
32: body support part 33: cradle control part
33a:
34:
34b: fixed shaft portion 34b1:
34b2: coupling groove 34bb:
34c: slide shaft 34c1:
34cc: Axial stopper 35: Cord holder
35a: Strong government 36: Back branch all
36a: back ground
40:
41: lower slide plate 42: chair control unit
42a: Chair shaft 42a1: Chair shaft shaft
42b: Chair Clamp 42b1: Chair Clasp
42b2: chair lever 43: auxiliary chair control unit
43a: auxiliary axis 43a1: auxiliary auxiliary axis groove
43b: auxiliary chair clamp 43b1: auxiliary chair holder
43b2: Auxiliary chair lever
100: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
Claims (12)
상기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된 상부슬라이드부(16)의 상부고정판(16a)에 결합되는 헤드고정판(21), 상기 헤드고정판(21)에 고정되는 헤드지지대(22), 상기 헤드지지대(2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헤드회전부(23), 상기 헤드지지대(22)에 결합되어 헤드회전부(23)의 회전을 제어하는 헤드회전제어부(24), 상기 헤드회전부(23)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환자의 머리가 고정되는 헤드받침부(25), 상기 헤드회전부(23)의 결합되어 헤드받침부(25)의 회전을 제어하는 보조헤드회전제어부(26)로 구성된 헤드부(20);
상기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된 메인프레임(14)에 결합되며 등받이(31a)가 형성되는 등받이지지판(31), 상기 등받이지지판(31)의 전면 양측으로 위치되는 몸체지지부(32), 상기 몸체지지부(3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거치대(33a)와 상기 거치대(33a)의 회전을 제어하는 거치대제어레버(33b)로 형성되는 거치대제어부(33), 상기 등받이지지판(31)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고정판(34a)과 상기 고정판(34a)에 결합되는 고정축부(34b)와 상기 고정축부(34b)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축(34c)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34), 상기 높이조절부(34)에 형성된 슬라이드축(34c)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끈고정부(35a)가 형성되는 끈고정대(35)로 구성된 몸체부(30);
상기 본체프레임(10)에 형성된 하부슬라이드부(18)의 하부고정판(18a)과 제4실린더(19)에 결합되어 상기 제4실린더(19)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하부슬라이드판(41)과, 상기 하부슬라이드판(41)에 결합되어 환자가 착석하는 의자의 회전을 제어하는 의자제어부(42)로 구성된 하부장치(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정형용 교정장치.
A main frame 14 coupled to the fixed base 12 and rotated by the first cylinder 13, a main frame 14 fixed to the base 11, An upper slide 16 coupled to the main frame 14 and slid by the third cylinder 15 to be slid by the second cylinder 15 and forming an upper fixed plate 16a, A body frame 10 composed of a lower slide part 18 on which a fixing plate 18a is formed and a fourth cylinder 19 joined to a lower fixing plate 18a formed on the lower slide part 18;
A head fixing plate 21 coupled to the upper fixing plate 16a of the upper slide unit 16 formed on the main frame 10, a head support 22 fixed to the head fixing plate 21, A head rotation control part 24 coupled to the head support 22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head rotation part 23 and a head rotation part 23 coupled to the head rotation part 23 to rotate the head rotation part 23, A head unit 20 including a head support unit 25 having a head fixed thereto and an auxiliary head rotation control unit 26 coupled to the head rotation unit 23 to control rotation of the head support unit 25;
A back support plate 31 coupled to the main frame 14 formed on the body frame 10 and having a back 31a formed thereon, a body support 32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back support plate 31, A cradle control unit 33 formed of a cradle 33a coupled to the cradle 32 and a cradle control lever 33b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cradle 33a, A height adjusting portion 34 formed with a fixing shaft portion 34b coupled to the fixing plate 34a and a slide shaft 34c coupled to the fixing shaft portion 34b, (30) formed of a cord fastener (35) which is coupled to the slide shaft (34c) formed in the fastener stringer (34c) and on which the string fastener (35a) is formed;
A lower fixing plate 18a of a lower slide portion 18 formed in the main body frame 10 and a lower slide plate 41 coupled to a fourth cylinder 19 and slidable by the fourth cylinder 19, And a chair control unit (42) coupled to the lower slide plate (41)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chair on which the patient is seated.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slide rail (14a) and a second slide rail (14b) are further formed in the main frame (14) formed on the body frame (10) .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slide rail (16a1)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fixing plate (16a) of the upper slide part (16) formed in the body frame (10).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fourth slide rail (18a1)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fixing plate (18a) of the lower slide part (18) formed in the body frame (10).
The head rotation control unit (24)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rotation control unit (24) comprises a head shaft (24a) to which a head support (22) and a head rotation unit (23) are coupled and a lock hole (24a1) And a head clamp 24b coupled to the head shaft 24a and coupled to the head lever 24b1 inserted into the lock hole 24a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head rotation control part (26) formed on the head part (20) comprises an auxiliary head shaft (26a) formed with an auxiliary locking hole (26a1) (26b1) coupled to the auxiliary locking hole (26a) and inserted into the auxiliary locking hole (26a1) and the auxiliary head clamp (26b) engaged with the auxiliary head lever (26b2).
The headres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part (20) is provided with a head frame (27a) connected to the head support part (25) and an auxiliary head rotation control part (26) (27) formed with a head frame clamp (27b) on which a head frame lever (27b1) is form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head frame (27) (25).
The slide faste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otruding step (34b1) and a coupling groove (34b2) are formed in the fixed shaft part (34b)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34) formed on the body part (30) The slide shaft 34c further includes a shaft stop 34cc formed on the slide shaft 34c and coupled to the engagement groove 34b2 to form a coupling protrusion 34c1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34b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rised of a formed orthotic device.
The patient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30) is provided with a back side support part (36) which is coupled to a fixing shaft part (34b) formed on a height adjustment part (34) and formed with a back support part (36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The chair control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ir control unit (42) formed on the lower device (40) comprises a chair shaft (42a) connected to the chair and having a chair shaft groove (42a1) And a chair clamp (42b) to which a chair lock (42b1) inserted into the seat cushion (42a1) and a chair lever (42b2) are coupled.
The chai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lower device (4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shaft (43a) connected to a chair shaft (42a) formed in the chair control part (42) and having an auxiliary shaft groove (43a1) And an auxiliary chair control part (43) composed of an auxiliary chair clamp (43b1) coupled to the first chair lever (43a1) and an auxiliary chair clamp (43b) to which the auxiliary chair lever (43b2) is coupl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6667A KR101453069B1 (en) | 2014-06-02 | 2014-06-02 | Correcting device for orthopedics |
CN201410682811.4A CN105266942B (en) | 2014-06-02 | 2014-11-24 | Device for correcting bod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6667A KR101453069B1 (en) | 2014-06-02 | 2014-06-02 | Correcting device for orthopedic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3069B1 true KR101453069B1 (en) | 2014-10-22 |
Family
ID=5199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6667A Active KR101453069B1 (en) | 2014-06-02 | 2014-06-02 | Correcting device for orthopedic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3069B1 (en) |
CN (1) | CN105266942B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42168A1 (en) * | 2016-02-19 | 2017-08-24 | 박진한 | Spinal traction device |
CN115300156A (en) * | 2022-08-16 | 2022-11-08 | 中南大学 | Oral cavity supporter for dental orthodontic treat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10510A (en) * | 2016-04-19 | 2019-02-05 | 瑞穗株式会社 | Medical device |
FI20207015A1 (en) * | 2020-01-28 | 2021-07-29 | Enerfine Oy | Lumbar traction apparatus |
CN112353675A (en) * | 2020-11-04 | 2021-02-12 | 江苏谦恩按摩椅科技有限公司 | M-shaped guide rail structure of vibration massage machine core for massage chai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4594A (en) * | 1996-12-07 | 1998-09-05 | 조진환 | Ribs and Spine Correction Device |
KR19990005079U (en) * | 1997-07-11 | 1999-02-05 | 정찬수 | Spine braces |
KR20000002918A (en) * | 1998-06-24 | 2000-01-15 | 김봉준 | Vertebra correction device |
KR20070114814A (en) * | 2005-04-01 | 2007-12-04 | 데이비드 비. 베이스 | Recliner Spine Tract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70479A (en) * | 1968-06-03 | 1971-03-16 | Gerald E Horn | Traction table |
US4103681A (en) * | 1976-09-10 | 1978-08-01 | Shanley Bernard J | Tilting traction apparatus |
US4649905A (en) * | 1984-11-01 | 1987-03-17 | Barnes James E | Cervically adjustable chiropractic treatment table |
DE3930983C2 (en) * | 1989-09-16 | 1993-09-30 | Rolf Voelkle | Seating with an adjustable seat |
CN2163624Y (en) * | 1993-06-28 | 1994-05-04 | 秦皇岛市中医医院 | Vertical vertebra traction therapeutic equipment |
US5423861A (en) * | 1994-01-13 | 1995-06-13 | Leander Research, Manufacturing & Distributing, Inc. | Chiropractic treatment table |
-
2014
- 2014-06-02 KR KR1020140066667A patent/KR101453069B1/en active Active
- 2014-11-24 CN CN201410682811.4A patent/CN105266942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4594A (en) * | 1996-12-07 | 1998-09-05 | 조진환 | Ribs and Spine Correction Device |
KR19990005079U (en) * | 1997-07-11 | 1999-02-05 | 정찬수 | Spine braces |
KR20000002918A (en) * | 1998-06-24 | 2000-01-15 | 김봉준 | Vertebra correction device |
KR20070114814A (en) * | 2005-04-01 | 2007-12-04 | 데이비드 비. 베이스 | Recliner Spine Traction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42168A1 (en) * | 2016-02-19 | 2017-08-24 | 박진한 | Spinal traction device |
CN115300156A (en) * | 2022-08-16 | 2022-11-08 | 中南大学 | Oral cavity supporter for dental orthodontic treat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266942B (en) | 2018-07-27 |
CN105266942A (en) | 2016-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3069B1 (en) | Correcting device for orthopedics | |
US8650677B2 (en) | Hoist provided with a clamping device for moving persons | |
CN103237534B (en) | Adjustable hair transplantation chair | |
US7846080B2 (en) | Machine and method for head, neck and, shoulder stretching | |
JP2022109232A (en) | Child seat for motor vehicle | |
US2010014731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ody treatment | |
KR101482769B1 (en) | A wheelchair | |
KR100874686B1 (en) | Traction Chair | |
KR101939582B1 (en) | Support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runk of Human Body | |
CN110913964B (en) | Amusement ride seat assembly including leg lock | |
JP2010279491A (en) | Human body gripping tool and transfer support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906672B1 (en) | Chair for stretching of spine and cervical vertebrae | |
WO2015034372A1 (en) | Folding mechanism for a folding wheelchair, backrest post for wheelchair and wheelchair | |
JP2020509843A (en) | Independent and walking aids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 | |
HU229901B1 (en) | Massage table | |
JP2019051428A (en) | Mounting device for leg rest in wheelchair | |
KR20130070755A (en) | Correction and traction apparatus for cervical vertebrae, vertebrae lumbales | |
US20130110094A1 (en) | Patient transfer arrangement, medical treatment apparatus and medical treatment system | |
CN105939696B (en) | Stretching device for stretching the back | |
KR101966342B1 (en) | Folding walking assistance device | |
US20160037941A1 (en) | Childcare chair | |
JP6736817B2 (en) | Chair equipment | |
JP2016529075A5 (en) | ||
JP6317146B2 (en) | Transfer support device | |
EP1637099A1 (en) | Health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6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