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2909B1 - Apparatus for check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heck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909B1
KR101452909B1 KR1020130074772A KR20130074772A KR101452909B1 KR 101452909 B1 KR101452909 B1 KR 101452909B1 KR 1020130074772 A KR1020130074772 A KR 1020130074772A KR 20130074772 A KR20130074772 A KR 20130074772A KR 101452909 B1 KR101452909 B1 KR 101452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inspection line
line
article
scanne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7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철우
Original Assignee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4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9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90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4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bodily destination marks on either articles or load-carriers
    • B65G47/49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bodily destination marks on either articles or load-carriers without bodily contact between article or load carrier and automatic control device, e.g. the destination marks being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detected
    • B65G47/493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bodily destination marks on either articles or load-carriers without bodily contact between article or load carrier and automatic control device, e.g. the destination marks being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detected by use of light respons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6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방향으로 피검물품이 이송되는 검수라인; 상기 검수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피검물품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구와 출구가 순차 형성된 스캐너유닛; 상기 스캐너유닛의 출구 후방 측에서 상기 검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스캐너유닛 입구 측까지 연결되는 재검라인; 상기 검수라인에 있는 피검물품을 상기 재검라인 쪽으로 경로 전환시키는 1차경로전환수단; 상기 스캐너유닛을 통해 제공받은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와 미리 입력된 정보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불일치시 상기 재검라인으로 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A radio identification tag validation apparatus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sp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inspection line to which an article to be inspected is conveyed in one direction; A scanner unit provided on the inspection line and analyzing tag information of the inspected object and sequentially forming an entrance and an exit alo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spected object; A re-inspection line branched from the inspection line at an exit rear side of the scanner unit and connected to an inlet side of the scanner unit; A primary path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inspection object in the inspection line to the re-inspection line;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ag information of the article to be inspected provided through the scanner unit matches the previously input information and sending the tag information to the re-inspecting line in the event of inconsistency.

Description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APPARATUS FOR CHECK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본 발명은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차 불합격 판정된 피검물품이 자동적으로 재검수되도록 하여 검수 작업 속도와 효율이 개선되도록 한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dio identification tag valid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dio identification tag validation apparatus in which a checked object is automatically re-examined to improve the speed and efficiency of a verification operation.

일반적으로, 제품의 포장용기에는 제품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바코드를 부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바코드 시스템은 접촉에 의해 정보를 획득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Generally, a barcode is attached to a packaging container of a product so that the product can be easily identified. However, such a barcode system has a limitation in tha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contact.

최근에는 바코드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무선식별"이라 한다) 태그(Tag)를 사용하고 있는바, 상기 무선식별 기술은 제품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전파를 이용하여 제품의 정보 및 주변 환경을 인식하여 각 제품의 정보를 수집, 저장, 가공, 추적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원격처리, 관리 및 제품간 정보 교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recent year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have been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barcode system. It is able t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such as remote process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exchange among products by collecting, storing, processing and tracking information of each product by recognizing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무선식별 기술은 기존의 바코드를 대체하여 물품 관리를 네트워크화, 지능화함으로써 유통 및 물품 관리뿐만 아니라 보안, 안전, 환경 관리 등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Wireless identification technology is expected to bring innovation to security,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s well as distribution and product management by networking and intelligentizing product management by replacing existing barcode.

통상적으로 무선식별 태그는 프린터를 통해 발행되는데, 작업자는 발행된 무선식별 태그를 직접 수동으로 제품에 부착하거나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여 제품에 부착한다.Typically,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is issued through a printer, wherein the operator manually attaches the issu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to the product or attaches it to the product using automated equipment.

또한, 무선식별 태그가 부착된 제품이 여러 개일 경우 이 여러 개의 제품을 별도의 박스에 담아 배송하게 되는데, 상기 박스에는 각 제품의 정보가 입력된 별도의 태그가 부착된다.Also,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roducts to which a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s attached, the plurality of products are delivered in a separate box, and a separate tag to which information of each product is input is attached to the box.

예를 들어, 약품 도, 소매처 등의 수요처에 의약품을 공급할 경우, 의약품 도, 소매처에서 요구하는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에 맞추어 각각 박스포장을 하고, 고객이 요구한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이 각 박스에 정확하게 담겨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바, 이러한 확인이 쉽고 편리하도록 각 의약품 및 박스에는 무선식별 태그가 부착된다.For example, when supplying medicines to consumers such as drug stores and retailers, the medicines should also be packed in boxes according to the type and quantity of medicines required by the retailer, and the type and quantity of medicines required by the customer Make sure that the box is correctly packed, and each medication and box will have a radio identification tag for easy and convenient identification.

이와 같이 여러 개의 제품을 박스에 담아 고객에게 배송하게 될 경우 박스의 내용물이 고객의 주문사항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검수과정을 거치게 된다.When a plurality of products are delivered to a customer in a box, the inspection process is performed to check whether the contents of the box match the customer's order.

종래에 수행하던 무선식별 태그 검수작업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A conventional wireless ID tag validation operation will now be described.

복수개의 제품이 담겨 있고 무선식별 태그가 부착된 박스가 벨트 컨베이어 상에서 이동하는 동안 검수기는 상기 박스를 검수하여 검수를 통과한 박스는 그대로 통과시킨다.While the box containing the plurality of products and the radio identification tag is moved on the belt conveyor, the examiner inspects the box and passes the box passed through the inspection.

한편, 검수를 통과하지 못한 박스는 작업자가 박스를 개봉하여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다시 검수를 하는데, 이때 이상이 없는 제품은 다시 벨트 컨베이어에 올려져 검수기에서 다시 검수 작업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x that has not passed the inspection is opened by the operator and the inspection is carried out manually by hand. At this time, the product which is not abnormal is put on the belt conveyor again and the inspection machine performs the inspection operation again.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무선식별 태그 검수작업은 검수기에서 1차 검수결과 불합격되면 해당 박스를 작업자가 수동 검사부로 옮겨 수작업으로 검수해야 하고 이를 다시 또 검사라인에 옮겨 놓아야 하는바, 이러한 수작업 방식으로 인해 검수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검수 속도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adio identification tag validation work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xaminer fails the first examination result, the operator must move the box to the manual inspection section and manually inspect the box, and then transfer the box to the inspection line again. The inspection work is very inconvenient and the inspection speed is delayed.

또한, 종래의 무선식별 태그 검수작업은 검수기가 가끔 무선식별 태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정상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불합격 판정하는 경우가 있는바, 이러한 경우는 다시 한번 검수기에서 검수를 하면 통과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자는 해당 제품을 수동 검사부로 옮겨 수작업으로 검수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수작업 검수량이 증가되는 불편과 함께 전체적인 검수 작업이 지연되는 복합적인 문제를 초래한다.
Further, in the conventional radio identification tag inspection work, the checker sometimes fails to properly recognize the radio identification tag, so that a failure is determined even though the product is a normal product. In such a case, The worker has no choice but to manually move the product to the manual inspection unit. Therefore, the problem of increased manual inspection and the overall inspection work is delayed.

한국특허공개 10-2011-010138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01383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를 분석하는 스캐너유닛이 1차 불합격 판정을 하더라도 자동으로 다시 한번 재검수하여 판정의 신뢰도를 높이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identification tag validation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re-examines a tag even if the scanner unit for analyzing the tag information of the test object makes a first-order rej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determin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캐너유닛이 적어도 2번 이상 불합격 판정한 물품에 대해서는 별도의 불량라인으로 경로 전환시켜 별도의 정밀 검수를 할 수 있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radio identification tag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switching paths to separate defective lines for an article which has been judged to have failed the scanner unit at least two times or more, thereby enabling separate precision insp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검물품들간에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피검물품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스캐너유닛에 들어가도록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nspection apparatus that allows the inspected articles to be inserted into the scanner unit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gap to prevent bottlenecks between the inspected articl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검수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병렬 배치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inspecting apparatus which is independently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inspection work can be performed quick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재검라인 상에 재검 전용 재검스캐너유닛을 별도로 마련하여 재검의 신뢰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Furth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ag inspecting apparatus for separately providing a re-examination re-inspection scanner unit on a re-inspecting lin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re-inspec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방향으로 피검물품이 이송되는 검수라인; 상기 검수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피검물품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구와 출구가 순차 형성된 스캐너유닛; 상기 스캐너유닛의 출구 후방 측에서 상기 검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스캐너유닛 입구 측까지 연결되는 재검라인; 상기 검수라인에 있는 피검물품을 상기 재검라인 쪽으로 경로 전환시키는 1차경로전환수단; 상기 스캐너유닛을 통해 제공받은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와 미리 입력된 정보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불일치시 상기 재검라인으로 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sp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inspection line to which an article to be inspected is conveyed in one direction; A scanner unit provided on the inspection line and analyzing tag information of the inspected object and sequentially forming an entrance and an exit alo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spected object; A re-inspection line branched from the inspection line at an exit rear side of the scanner unit and connected to an inlet side of the scanner unit; A primary path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inspection object in the inspection line to the re-inspection lin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ag information of the article to be inspected provided through the scanner unit matches the previously input information and sending the tag information to the re-inspecting line in the event of inconsistency.

여기서, 상기 스캐너유닛은, 피검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입구와 출구가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수용된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 바닥에 마련되는 왕복이동수단; 상기 본체부에 수용된 물품의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안테나수단; 상기 안테나수단에 의해 인식된 상기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canner unit may include: a main body unit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inspected object and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 reciprocating mean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for reciprocating the article received in the main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 antenna means for recognizing a tag of an articl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a reader for reading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antenna means.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입구와 출구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입구도어와 출구도어가 각각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nlet door and an outlet door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respectively,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the outlet.

상기 입구도어와 출구도어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let door and the outlet door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상기 검수라인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설치된 무한궤도 형태의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reciprocating means includes an endless track shaped conveying unit installed to advance in the same or opposite direction as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inspection line; And a driving roller unit for supplying a forward or reverse driving force to the feeding unit.

상기 안테나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입구와 출구를 제외한 본체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 내벽, 천장, 바닥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tenna means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wall, the ceiling, and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facing each other excep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body portion.

상기 안테나수단 중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안테나수단은 피검물품의 높이에 대응하여 물품에 근접하도록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tenna means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antenna means is raised and lowered in proximity to the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inspected object.

상기 리더기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read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검수라인의 스캐너유닛 입구와 상기 재검라인의 배출 측 사이에는 피검물품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높이감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height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height of the inspected object is provided between the scanner unit inlet of the inspection line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상기 높이감지수단은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높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sens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height sensing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상기 검수라인에서 상기 재검라인의 배출 측과 합쳐지는 지점의 전방에는 상기 스캐너유닛으로의 피검물품 진입을 미리 감지하기 위한 물품인식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article recognizing means for sensing in advance the entry of the inspected object into the scanner unit is provided in front of a point in the inspection line that is merged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상기 재검라인의 배출 측에는 재검물품의 진입을 미리 감지하기 위한 재검품인식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re-inspection recognition means for detecting the entry of the re-inspection article in advance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상기 물품인식수단 및 재검품인식수단은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rticle recognition means and re-inspection recognition means may be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또한 상기 재검라인의 배출 측 및 상기 검수라인에서 재검라인의 배출 측과 합쳐지는 지점의 전방에는, 재검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재검물품과 검수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피검물품간의 충돌 및 병목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물품대기수단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llision and a bottleneck phenomenon between the inspected item conveyed along the inspection line and the inspected line conveyed along the inspection line are prevented from being located in front of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and the point where the inspection line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re- And an article waiting means is provided for each of the articles.

또한 상기 물품대기수단은 검수라인 또는 재검라인 상에서 물품 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차단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rticle waiting means is a blocking bar protruding toward the article on the inspection line or the re-inspection line.

상기 스캐너유닛의 출구 후방에서 상기 재검라인의 후방 위치에는 상기 검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불량라인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efective line branching from the inspection line is disposed at a rear position of the re-inspection line at the rear of the outlet of the scanner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너유닛을 통해 제공받은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와 미리 입력된 정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적어도 2번 이상 정보가 불일치하면 피검물품을 상기 불량라인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tag information of the inspected object provided through the scanner unit matches the pre-input information, and send the inspected object to the defective line when the information is inconsistent at least two times.

또한 상기 검수라인에는 피검물품을 상기 불량라인 쪽으로 경로 전환시키기 위한 2차경로전환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inspection lin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ary path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path of the inspected object toward the defective line.

상기 경로전환수단들은 상기 재검라인 또는 불량라인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검수라인 상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검수라인으로부터 돌출되어 해당 물품을 재검라인 또는 불량라인으로 밀어줌으로써 경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th switching means is provided on the inspection lin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inspection line or the defective line, and is switched from the protruding line to pushing the product to the re-inspection line or the defective line.

또한 상기 경로전환수단들은, 상기 검수라인의 벽면으로부터 물품 쪽으로 돌출되는 푸시로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ath switching means is a push rod protruding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inspection line toward the article.

상기 푸시로드체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sh rod member is a cylinder rod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상기 푸시로드체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길이가 신축되는 전자식 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ush rod member is an electronic rod whose length is expanded and contracted by an electrical signal.

상기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는 검수 적체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병렬로 2개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FID tag valida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RFID tags are provided in parallel to prevent authentication failure.

또한 상기 재검라인에는 재검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재검물품을 검수하기 위한 재검스캐너유닛이 별도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re-inspection line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spection scanner unit for re-inspecting the re-inspection item transferred along with the re-inspection line.

또한 상기 재검스캐너유닛에서 합격(정보 일치)된 물품은 상기 검수라인 상의 스캐너유닛을 그냥 통과하고, 상기 재검스캐너유닛에서 불합격(정보 불일치)된 물품은 상기 검수라인 상의 스캐너유닛에서 다시 검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article passed (information matching) in the rechecking scanner unit passes through the scanner unit on the inspection line, and the article rejected (information discordance) in the rechecking scanner unit is again checked in the scanner unit on the inspection line .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스캐너유닛에서 1차 불합격 판정된 피검물품이 재검라인으로 경로 전환되어 자동으로 재검수되므로 무선식별 태그 검수에 따른 신뢰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수작업 검수량이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pected article determined as the primary failure in the scanner unit is changed over to the re-inspection line and automatically re-inspected, not only the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of the RFID tag is increased but also the manual inspection quantity of the operator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 are advantag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캐너유닛에서 적어도 2번 이상 불합격 판정된 물품이 자동으로 불량라인을 통해 경로 전환이 되므로 작업자의 수작업 검수가 한 층 편리하고 검수량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roduct determined to have failed at least two times in the scanner un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hrough the defective line, manual inspection of the operator is convenient and the amount of black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물품대기수단이 스캐너유닛으로 들어가는 물품들의 간격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피검물품들간에 발생하는 병목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ace of the articles entering the scanner unit is properly maintained, the bottleneck phenomenon occurring between the inspected article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가 2개 이상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병렬 배치될 수 있으므로 피검물품의 검수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less ID tag validation apparatuses can be arranged in two or more independently in parallel, the inspection work of the inspected article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재검라인 상에 재검 전용 재검스캐너유닛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재검의 신뢰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ability of the re-inspection can be greatly improved by separately providing the re-inspection re-inspection scanner unit on the re-inspection lin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의 제어로직을 나타낸 블록도,
도3은 도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물품대기수단을 나타낸 설명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경로전환수단을 나타낸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8 내지 도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용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val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ntrol logic of a control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article waiting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and Fig. 5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path switching mea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20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설명은 생략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1 and 2,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val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의 제어로직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는 크게 검수라인(100), 스캐너유닛(200), 재검라인(300), 1차경로전환수단(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adio identification tag vali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logic of a controll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inspection line 100, the scanner unit 200, the re-inspection line 300, the primary path switching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500.

상기 검수라인(100)은 피검물품(B)이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검수라인(100)에는 벨트나 롤러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컨베이어(110)가 설치되어 그 컨베이어(110)의 이동에 의해 피검물품(B)의 이송이 이루어진다.The inspection line 100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convey the object B in one direction. The inspection line 100 is provided with a conveyor 110 composed of a belt, a roller, The conveyance of the article B to be inspected is carried out.

여기서, 상기 피검물품(B)은 검수 대상이 되는 물품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피검물품(B)에는 무선식별 태그가 부착된 개별 제품이 해당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개별 제품들을 여러 개 수용하고 있는 포장 박스도 피검물품으로 볼 수 있는데, 이 포장 박스에는 역시 그 내용물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무선식별 태그가 부착될 수 있다.Here, the object to be inspected (B)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object to be inspected. The object (B) to be inspected may be an individual product to which th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s attached, The packaging box can also be regarded as a test article, which may also be provided with a radio identification tag that contains information on its contents.

한편, 상기 스캐너유닛(200)은 검수라인(100) 상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피검물품(B)의 태그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스캐너유닛(200)에는 피검물품의 진행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입구(211)와 출구(212)가 형성된다.Meanwhile, the scanner unit 2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pection line 100 to analyze the tag information of the object B to be inspected. The scanner unit 200 is provided with the scanner unit 200,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are formed.

즉, 검수라인(100)을 따라 이동되던 피검물품이 스캐너유닛(200)으로 들어가는 부분에 입구(211)가 형성되고 스캐너유닛(200)으로부터 나오는 부분에 출구(212)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캐너유닛(2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구조는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at is, an inlet 211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inspected product moved along the inspection line 100 into the scanner unit 200, and an outlet 212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canned product in the scanner unit 200,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3은 도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 실시예의 스캐너유닛(200)에 대한 구성 및 구조를 보여준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nd shows the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scanner unit 20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캐너유닛(200)은 본체부(210), 왕복이동수단(220), 안테나수단(230) 및 리더기(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3, the scanner unit 200 may include a body 210, a reciprocating means 220, an antenna 230, and a reader 240.

상기 본체부(210)는 피검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피검물품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구(211)와 출구(212)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The main body 210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spected object therein, and an inlet 211 and an outlet 212 are sequentially forme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spected object.

상기 본체부(210)는 그 형상에 크게 제약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육면체로 이루어져 있는바, 그 육면체 중에서 피검물품의 진행방향 상에 놓여져 있는 두 면에는 각각 입구(211)와 출구(212)가 형성된다.Although the shape of the main body part 210 is not limited, the entire shape of the main body part 210 is formed in a hexahedron. In this embodiment, two faces lying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inspected object are provided with an inlet 211 and an outlet (212) is formed.

상기 본체부(210)에서 입구(211)와 출구(212)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각각 입구도어(213)와 출구도어(214)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입구도어(213)와 출구도어(214)는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진다.An inlet door 213 and an outlet door 214 are openably and clos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The inlet door 213 and the outlet door 212 214 are opened and clos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0.

여기서, 상기 입구도어(213)와 출구도어(214)는 본체부(210)의 입구(211)와 출구(212)를 각각 개폐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구도어(213)와 출구도어(214)는 각각 상기 본체부(2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inlet door 213 and the outlet door 214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of the main body 210. In this embodiment, (213) and the outlet door (214) are installed on the main body (210)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respectively.

즉, 입구도어(213)와 출구도어(214)는 도시되지 않은 승강수단을 통해 본체부(210) 상에서 상하(높이)방향으로 상승되거나 하강됨으로써 본체부(210)의 입구(211) 및 출구(212)를 각각 개폐하게 된다. That is, the inlet door 213 and the outlet door 214 are raised or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elevation means (not shown), so that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respectively.

상기 입구도어(213)와 출구도어(214)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조나 구성은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여기에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entrance door 213 and the exit door 214 correspond to well-known technologie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구도어(213)와 출구도어(214)가 승강되는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회전에 의해 본체부(210) 입구(211) 및 출구(212)를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the inlet door 213 and the outlet door 214 are elevated and lowered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of the main body 210 by rotation It is possible.

상기 왕복이동수단(220)은 본체부(210)에 수용된 피검물품(B)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210) 바닥에 마련된다.The reciprocating means 220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10 in such a manner that the inspected article B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210 reciprocat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왕복이동수단(2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이송부(221)와 구동롤러부(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이송부(221)는 검수라인(10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설치된 무한궤도 형태의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221)는 벨트컨베이어가 될 수 있다.3, the reciprocating unit 220 may include a conveying unit 221 and a driving roller unit 222. The conveying unit 221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direction as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inspection line 100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Here, the conveying unit 221 may be a belt conveyor.

상기 구동롤러부(222)는 이송부(221)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롤러부(222)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와 같은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정, 역방향으로 모두 회전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왕복이동수단(220)의 진행방향 역시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driving roller unit 222 is configured to provide a forward or reverse driving force to the conveying unit 221. The driving roller unit 222 receives power from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eciprocating means 220 may als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0.

상기 구동롤러부(222)가 예컨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이송부(221)는 검수라인(10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전진방향)으로 진행되고, 구동롤러부(22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송부(221)는 검수라인(100)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후진)으로 진행되는바, 이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부(222)와 이송부(221)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일정구간 또는 일정시간 동안 전진방향과 후진방향을 반복한다.When the driving roller portion 222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for example, the conveying portion 221 proceeds in the same direction (advancing direction) as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inspection line 100. When the driving roller portion 222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driving roller unit 222 and the conveyance unit 221 in a predetermined period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Repeat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backward direction.

상기 왕복이동수단(220)이 전, 후진방향으로 반복 이동되는 것은, 이송부(221) 위에 놓인 피검물품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들을 잘 흔들어 재배열시킴으로써 상기 안테나수단(230)이 내용물 및 미검물품에 부착된 태그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ciprocating means 220 is repeatedly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repeatedly shaking and rearran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inspected object placed on the conveying unit 221 so that the antenna means 230 is attached to the contents and the undetected So that the tag can be effectively recognized.

또한, 상기 안테나수단(230)은 본체부(210)에 수용된 피검물품의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수단(230)은 본체부(210)의 입구(211)와 출구(212)를 이루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4개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3, the antenna unit 230 includes an inlet 211 of the main body 210, and an antenna 211 of the body 210, ) And the outlet 212. In other words, the outlet 212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surfaces.

즉, 안테나수단(230)은 본체부(210)의 입구(211)와 출구(212)를 제외한 본체부(210)의 서로 마주보는 양 내벽, 천장, 바닥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마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4개 면에 모두 설치된 것으로 구현된다.That is, the antenna means 23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walls, the ceiling, and the floor facing each other of the body portion 210 excluding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of the body portion 2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lemented as being installed on all four surfaces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안테나수단(230) 중 천장에 설치되는 안테나수단(230)은 피검물품(B)의 높이에 대응하여 피검물품(B)에 근접하도록 승강될 수 있다. Here, the antenna means 23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antenna means 230 can be raised and lowered close to the article B to be inspected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article B to be inspected.

참고로, 안테나수단(230)은 태그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것인바, 태그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안테나수단(230)의 수신 감도는 저하된다. 그런데, 본체부(210)의 높이는 통상 피검물품(B)보다 높고 피검물품 안에 들어있는 내용물도 피검물품의 바닥에 놓여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안테나수단(230)이 천장에 고정되어 있으면 안테나수단(230)과 내용물의 태그간 거리가 너무 멀어 안테나수단(230)의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antenna means 230 receives a radio wave from the tag, and the more the distance from the tag is, the lower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antenna means 230 is. Since the height of the main body 210 is usually higher than that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B and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object to be inspected are also placed on the bottom of the inspected object, if the antenna means 230 is fixed on the ceiling, 230 and the tag of the contents are too far away, the sensitivity of the antenna means 230 may be lowered.

따라서, 천장에 설치된 안테나수단(230)은 수신 감도가 개선되도록 피검물품(B)의 높이에 대응하여 피검물품에 근접하도록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tenna means 230 installed on the ceiling is raised and lowered in proximity to the article to be inspected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article B to be inspected so as to improve reception sensitivity.

여기서, 상기 천장에 설치된 안테나수단(230)은 후술하게 될 높이감지수단(600)을 통해 측정된 피검물품의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그 승강높이가 결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높이감지수단(600)을 설명할 때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elevation height of the antenna unit 230 installed on the ceiling is determined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inspected object measured through the height sensing uni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 will explain it again.

상기 안테나수단(230)을 승강시키는 구성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에 속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antenna means 230 belongs to a generally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210)의 양 내벽, 천장, 바닥에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안테나수단(230)을 통해 박스형태로 된 피검물품 및 그 피검물품에 들어있는 내용물의 태그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ag information of the article to be inspected in the form of a box and contents contained in the inspected article can be more effectively recognized through at least one or more antenna means 230 provided on both inner walls, ceiling, and floor of the main body 210 do.

한편, 상기 리더기(240)는 안테나수단(230)에 의해 인식된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리더기(240)는 안테나수단(230)으로부터 제공된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태그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된 태그 정보를 제어부(500)에 제공한다. The reader 240 reads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antenna means 230. The reader 240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antenna means 230 and reads the tag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read tag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500.

여기서, 상기 리더기(240)의 설치 위치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더기(240)가 본체부(210)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현된다.
Although the reader 240 is not limited in its installation position, the reader 24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210 in the present embodiment.

한편, 상기 재검라인(300)은 스캐너유닛(200)의 출구(212) 후방 측에서 상기 검수라인(100)으로부터 분기되어 스캐너유닛(200)의 입구(211) 측까지 연결되는 구성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재검라인(300)은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재검라인(300)의 형상은 여기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re-inspection line 300 is branched from the inspection line 100 at the rear side of the outlet 212 of the scanner unit 200 and connected to the inlet 211 side of the scanner unit 200, The re-inspection line 3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shape of the re-inspection line 30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here.

상기 재검라인(300) 역시 피검물품이 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벨트나 롤러로 이루어진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캐너유닛(200) 출구(212)를 통해 배출된 피검물품을 스캐너유닛(200)의 입구(211) 쪽으로 분리 이송시키도록 그 경로가 설정된다.The inspected line 300 is also provided with a belt or roller conveyor so that the inspected object can be conveyed in one direction. The inspected object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12 of the scanner unit 200 is conveyed to the scanner unit 200, The path is set so as to be separated and transferred toward the inlet 211 of the main body.

이때, 상기 재검라인(300)을 따라 이송되는 피검물품은 설명의 편의상 재검물품이라는 용어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물품 자체가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inspected articles transported along the re-inspection line 300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term re-inspec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is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change the article itself.

한편,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경로전환수단(400)은 검수라인(100)에 있는 피검물품을 상기 재검라인(300) 쪽으로 경로 전환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스캐너유닛(200)에서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를 분석하여 불합격(정보 불일치)된 피검물품이 스캐너유닛(200)의 출구(212)를 통해 배출되면 그 피검물품이 재검라인(30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피검물품의 경로를 전환시켜 준다.5A, the primary path switching unit 400 switches the path of the inspected object in the inspection line 100 toward the re-inspection line 300, The tag information of the article is analyzed and the path of the inspected object is moved so that the inspected article that failed (information discordant)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12 of the scanner unit 200 and is transported along the re-inspection line 300 Switch.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스캐너유닛(200)을 통해 제공받은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와 제어부(500)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해당 물품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가 제어부(500)에 입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정보가 불일치하면 해당 피검물품을 상기 재검라인(300)으로 보내게 된다. 물론, 상기 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해당 피검물품이 검수라인(100)을 따라 계속 이송되도록 하여 다음 작업 단계로 넘어가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500 further compares the tag information of the inspected object provided through the scanner unit 200 with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object previously input to the control unit 500 and outputs the tag information of the inspected object to the controller 500. [ And if the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inspected object is sent to the re-inspecting line 300. Of course, if the information agrees wit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500 causes the inspected object to continue to be conveyed along the inspection line 100 to proceed to the next operation step.

참고로, 상기 제어부(500)에는 고객으로부터 주문 받은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있는바, 이 입력 정보를 상기 스캐너유닛(200)에서 분석하여 제공된 해당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와 비교하여 그 정보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500 analyzes the input information in the scanner unit 200 and compares the input information with the ta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nspected object, Are determined.

예를 들어 a, b, c의 제품을 고객으로부터 주문 받은 경우를 가정하면, 주문 받은 a, b, c 제품 각각에는 무선식별 태그가 부착되고 이 제품들을 발송하기 위해 이들을 포장 박스에 넣고 포장 박스에도 무선식별 태그를 부착한다. 이렇게 태그가 부착된 포장 박스(피검물품)를 편의상 1번 피검물품이라고 가정한다.For example, suppose you have ordered a, b, and c products from a customer. Each of the a, b, and c products that you order has a wireless identification tag attached to them. Attach the radio identification tag. It is assumed that the tagged packaging box (object to be inspected) is the item to be inspected once for convenience.

또한, 제어부(500)에는 상기 1번 피검물품에 대한 정보와 그 내용물 a, b, c에 대한 정보가 각각 입력되어 있는데, 상기 제어부(500)는 스캐너유닛(200)을 통해 제공받은 1번 피검물품의 정보와 그 내용물(a, b, c)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력되어 있는 주문사항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first test article and information on the contents a, b, and c of the first test item.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first test unit The information of the articl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s (a, b, c) are compared with the order information inputted in advance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y match.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후술하게 될 물품인식수단(650), 높이감지수단(600), 그리고 각 라인(검수라인(100), 재검라인(300))별 이송속도 및 리더기(240)로부터 각각의 정보를 입력받아 스캐너유닛(200)의 각 도어(231, 214), 물품대기수단(670), 안테나수단(230), 경로전환수단(400, 800), 스캐너유닛(200)의 왕복이동수단(220) 등을 필요에 따라 각각 제어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conveying speed of each of the lines (inspection line 100, re-inspection line 300), the height detection means 600 and the article recognition means 650,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reader 24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doors 231 and 214 of the scanner unit 200, the article waiting unit 670, the antenna unit 230, the path switching unit 400 and 800, 200, and the like, as needed.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수라인(100)의 스캐너유닛(200) 입구(211)와 재검라인(300)의 배출 측 사이에는 피검물품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높이감지수단(600)이 마련될 수 있다.1, between the inlet 211 of the scanner unit 200 of the inspection line 100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300, a height sensing means 600 for sensing the height of the inspected object .

상기 높이감지수단(60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검물품이 스캐너유닛(200)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피검물품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스캐너유닛(200)의 천장에 설치된 안테나수단(230)이 피검물품의 높이에 맞추어 승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detecting means 600 measures the height of the inspected object before the inspected object enters the scanner unit 200, so that the antenna means 230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scanner unit 200 detects the height of the inspected object So as to move up and down.

상기 높이감지수단(600)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높이감지센서(610)가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도록 구현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height detection sensors 61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상기 높이감지센서(610)에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많은 개수의 높이감지센서(610)가 사용되면 배치 간격을 좁힐 수 있기 때문에 피검물품의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The height detection sensor 610 may be an ultrasonic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and may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height direction. If a large number of height detection sensors 610 are used, The height of the inspected object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수라인(100)에서 재검라인(300)의 배출 측 과 합쳐지는 지점의 전방에는 상기 스캐너유닛(200)으로의 피검물품 진입을 미리 감지하기 위한 물품인식수단(650)이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 article recognition unit (not shown) for sensing the entry of the inspected object into the scanner unit 200 in advance is provided in front of a point where the inspection line 100 is combined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re- (650) may be provided.

상기 물품인식수단(650)은 검수라인(100) 상에서 스캐너유닛(200)으로 최초 진입되는 피검물품을 미리 감지하여 상기 스캐너유닛(200)의 입구(211)에 마련된 입구도어(213)가 개방되도록 한다. The article recognizing means 650 detects the inspected article firstly entering the scanner unit 200 on the inspection line 100 so that the entrance door 213 provided at the inlet 211 of the scanner unit 200 is opened do.

또한, 상기 재검라인(300)의 배출 측에도 재검물품의 진입을 미리 감지하기 위한 재검품인식수단(660)이 마련될 수 있다.Also, the re-inspection recognition means 660 may be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300 to detect the entry of the re-inspection item in advance.

상기 스캐너유닛(200)에서 불합격되어 재검라인(300)으로 들어온 재검물품은 상기 스캐너유닛(200)에 다시 한번 보내져 검수되어야 하는바, 이때 상기 재검품인식수단(660)은 재검물품을 감지하여 스캐너유닛(200)의 입구(211)에 마련된 입구도어(213)가 개방되도록 한다.The re-inspection product which has failed in the scanner unit 200 and has entered the re-inspection line 300 is sent to the scanner unit 200 once again for inspection. At this time, the re-inspection recognition unit 660 detects the re- The inlet door 213 provided at the inlet 211 of the unit 200 is opened.

여기서, 상기 물품인식수단(650) 및 재검품인식수단(660)은 물체의 감지가 가능한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초음파센서 및 적외선 센서는 물체 감지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the article recognizing means 650 and re-inspection recognizing means 660 may be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capable of sensing an object. Ultrasonic sensors and infrared sensors are widely used for object detection, so a detailed explanation is omitted.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검라인(300)의 배출 측(제1개소) 및 상기 검수라인(100)에서 재검라인(300)의 배출 측과 합쳐지는 지점의 전방(제2개소)에는, 재검라인(300)을 따라 이송되는 재검물품과 검수라인(100)을 따라 이송되는 피검물품 간의 충돌 및 병목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물품대기수단(670)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the discharge side (first position) of the rechecking line 300 and the front (second position) of the point merging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rechecking line 300 in the check line 100, An article waiting means 670 for preventing a collision and a bottleneck phenomenon between the inspected article conveyed along the re-inspection line 300 and the inspected article conveyed along the inspection line 100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검수라인(100)과 재검라인(300)이 공존하고, 재검라인(300)을 따라 이송되던 재검물품도 검수라인(100)상에 마련된 스캐너유닛(200)에 들어가 다시 검수받기 위해서는 검수라인(100)의 일정구간을 거쳐야 하는바,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재검라인(300)의 물품과 검수라인(100)의 물품이 서로 충돌하거나 재검라인(300)을 지나 검수라인(100)에 다시 올려진 물품이 이웃하는 다른 물품과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고 너무 붙어 있어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pection line 100 and the re-inspection line 300 coexist, and the re-inspection product that has been transported along the re-inspection line 300 is also transferred to the scanner unit 200 provided on the inspection line 100 The product of the re-inspection line 300 and the product of the inspection line 100 may collide with each other due to such a structure, or may pass through the re-inspection line 300, The article put back on the article 100 may not be kept at a distance from other articles adjacent to the article and may be too attached to cause a bottleneck.

물론, 이러한 병목현상은 재검라인(300)과 검수라인(100)이 서로 합쳐지는 구조에 의해서만 생기는 것은 아니고 검수라인(100) 상에 너무 많은 피검물품이 올려지면 그 간격이 작아질 수 있다. 참고로, 피검물품은 스캐너유닛(200)에 들어가 검수받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되므로 검수라인(100) 상의 피검물품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Of course, such a bottleneck phenomenon is not caused only by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inspection line 300 and the inspection line 100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if too many articles to be inspected are placed on the inspection line 100, the interval can be reduced. For reference, since it takes a certain period of time to enter the scanner unit 200 for inspection, the inspected articles on the inspection line 100 are preferably kept at a constant interval.

따라서, 상기 물품대기수단(670)이 재검라인(300) 상의 물품과 검수라인(100) 상의 물품이 서로 충돌하거나 검수라인(100) 상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상기 물품대기수단(67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수라인(100)에서 재검라인(300)의 배출 측과 합쳐지는 지점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품대기수단(670)은 재검라인(300)의 배출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rticle waiting unit 670 prevents the articles on the re-inspection line 300 and the articles on the inspection line 100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or causing bottlenecks on the inspection line 100, 670 are preferably installed in front of a point merging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300 in the inspection line 100 as described above. Further, the article waiting means 670 may be install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300.

이때, 상기 물품인식수단(650)과 재검품인식수단(660)은 각 라인에 각각 설치된 물품대기수단(670)의 앞에 설치되어 물품이 인식되면 필요에 따라 즉시 상기 물품대기수단(670)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article recognizing means 650 and re-inspection recognizing means 660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article waiting means 670 provided in each line, and when the article is recognized, the article waiting means 670 immediately operates .

상기 물품인식수단(650)과 재검품인식수단(660)은 스캐너유닛(200)의 입구도어(213)가 개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식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물품대기수단(670)이 작동되도록 한다.The article recognizing means 650 and the re-inspection recognizing means 660 not only allow the entrance door 213 of the scanner unit 200 to be opened but also allow the article waiting means 67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recognized order.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물품인식수단(650)과 재검품인식수단(660)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상기 물품대기수단(670)을 제어하는데, 상기 제어부(500)는 먼저 정보를 받은 쪽의 인식수단에 우선권을 준다. 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article recognizing unit 650 and the re-inspection recognizing unit 660 and controls the article waiting unit 670. The controller 500 first recognizes Give priority to means.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가 물품인식수단(650)으로부터 정보를 먼저 받으면 검수라인(100) 상의 피검물품을 먼저 진행시키기 위해 상기 재검라인(300)에 설치된 물품대기수단(670)을 작동시키고, 재검품인식수단(660)으로부터 정보를 먼저 받으면 재검라인(300) 상의 재검물품을 먼저 진행시키기 위해 상기 검수라인(100)에 설치된 물품대기수단(670)을 작동시킨다.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article recognition unit 650, the article waiting unit 670 installed in the re-inspection line 300 is operated to advance the article to be inspected on the inspection line 100 first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re-inspection recognition means 660, the article waiting means 670 installed in the inspection line 100 is operated so that the re-inspection item on the re-inspection line 300 is advanced first.

그러나, 상기 물품인식수단(650)과 재검품인식수단(660)으로부터 동시에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재검라인(300) 상의 재검물품을 먼저 진행시키기 위해 검수라인(100)에 설치된 물품대기수단(670)을 작동시키는데, 이는 검수작업의 효율을 위해 재검라인(300)의 물품에 우선권을 주는 것이다.However, when information is simultaneously input from the article recognition means 650 and the re-inspection recognition means 660,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inspection line 300 to be installed in the inspection line 100 to advance the re- The article standby means 670 is operated, which gives priority to the article of the re-searched line 300 for the inspection work efficiency.

여기서, 상기 물품대기수단(67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수라인(100) 또는 재검라인(300) 상에서 물품 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차단바(671)일 수 있다. 상기 차단바(6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이 더 이상 앞으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가로막아 현 위치에서 물품이 대기하도록 한다. Here, the article waiting unit 670 may be a shutoff bar 671 protruding toward the article on the inspection line 100 or the re-inspection line 300 as shown in FIG. The blocking bar 671 allows the article to wait at the current position, as shown, to prevent the article from moving further forward.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바(671)는 검수라인(100) 또는 재검라인(300)의 내벽 일측에서 돌출되어 물품을 가로 막는 구조로 구현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가 롤러 컨베이어인 경우 롤러간에 틈새가 있으므로 그 틈새 사이로 차단바(671)가 돌출되어 물품을 가로 막을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bar 671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inspection line 100 or the re-inspection line 300 to block the product. However, the blocking bar 67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It is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conveyor is a roller conveyor, there is a clearance between the rollers, so that the blocking bar 671 protrudes between the clearances to block the product.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캐너유닛(200)의 출구(212) 후방에서 상기 재검라인(300)의 후방 위치에는 검수라인(100)으로부터 분기되는 불량라인(700)이 배치될 수 있다.1, a defective line 700 branching from the inspection line 100 may be disposed at a rear position of the re-inspection line 300 behind the outlet 212 of the scanner unit 200 .

상기 불량라인(700)은 검수라인(100)의 진행방향으로 볼 때 재검라인(300)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스캐너유닛(200)에서 최종 불합격(정보 불일치)된 피검물품은 별도로 정밀 검수를 하기 위해 불량라인(700)을 따라 이송된다.The defective line 700 is positioned behind the re-searched line 300 when view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spection line 100. The defective line 700 is subjected to a final inspection (information discordance) in the scanner unit 200, Lt; RTI ID = 0.0 > 700 < / RTI >

스캐너유닛(200)에서 불합격된 피검물품은 검수라인(100)의 출구(212) 측을 일정구간 지나다가 불량라인(700)으로 들어가야 하는바, 이를 위하여 상기 검수라인(100)에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물품을 불량라인(700) 쪽으로 경로 전환시키기 위한 2차경로전환수단(800)이 마련될 수 있다. The inspected object rejected in the scanner unit 200 must enter the defective line 700 after passing through the outlet 212 side of the inspection line 100 for a certain period. To this end, in the inspection line 100, A secondary path switching means 800 for switching the path of the article to be inspected to the defective line 700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는 불합격된 피검물품을 불량라인(700) 쪽으로 보내기 위하여, 스캐너유닛(200)을 통해 제공받은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와 미리 입력된 정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적어도 2번 이상 정보가 불일치하면 피검물품을 상기 불량라인(700)으로 보내도록 설정된다.Here, 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ag information of the inspected object provided through the scanner unit 200 matches the previously inpu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jected inspected item to the defective line 700 at least twice If the abnormal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inspected object is set to be sent to the defective line (700).

즉, 다시 재검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캐너유닛(200)에서 검수한 태그정보와 제어부(500)에 입력된 정보가 서로 불일치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해당 피검물품을 2차경로전환수단(800)을 통해 불량라인(700)으로 보내 정밀검사를 실시하도록 한다.That is, if the tag information inspected by the scanner unit 200 and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control unit 500 do not match each other despite the re-inspection, the control unit 500 transmits the inspected product to the secondary path switching unit 800 To the defective line (700) to perform the close inspection.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로전환수단들(1차경로전환수단(400)과 2차경로전환수단(800))은 재검라인(300) 또는 불량라인(700)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검수라인(100) 상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경로전환수단(400, 800)들은 검수라인(100)으로부터 돌출되어 해당 물품을 재검라인(300) 또는 불량라인(700)으로 밀어줌으로써 경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5A and 5B, the path switching means (the primary path switching means 400 and the secondary path switching means 800) are connected to the re-checking line 300 or the defective line 700 And the path switching means 400 and 800 protrude from the inspection line 100 and push the product to the rediscovery line 300 or the defective line 700 So that path switching is performed.

이때, 상기 제어부(500)에는 검수라인(100)과 재검라인(300)의 라인별 이송속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므로 스캐너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된 피검물품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해당 피검물품이 재검라인(300) 또는 불량라인(700)으로 경로 전환되도록 그에 맞는 경로전환수단을 작동시킨다.Since 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onveyance speed of each of the inspection line 100 and the re-inspection line 300, the position of the inspected object discharged from the scanner unit 200 can be relatively determined. Thus, the path switching means is operated so that the inspected article is switched to the re-inspection line 300 or the defective line 700. [

상기 경로전환수단에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검수라인(100)의 벽면으로부터 물품 쪽으로 돌출되는 푸시로드체(410, 810)일 수 있다.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path switching means may be a push rod member 410 or 810 protruding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inspection line 100 toward the article.

여기서, 상기 푸시로드체(410, 81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그 길이가 신축되도록 작동되는 실린더로드로 구현될 수 있다. 실린더로드는 작동매체로 오일 또는 공기를 이용하며 그로 인해 발행하는 유압 또는 공압을 통해 그 길이가 신장되거나 단축된다. Here, the push rod bodies 410 and 810 may be embodied as a cylinder rod that is operated to be extended or contracted by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The cylinder rod uses oil or air as the working medium, and the length thereof is elongated or shortened through the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that is issued.

또한, 상기 푸시로드체(410, 810)는 외부의 전기적 신호(제어신호)에 의해 그 길이가 신축되는 전자식 로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체(410, 810)가 전자식 로드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전자식 로드에 제어신호를 보내 그 길이가 순간적으로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검수라인(100)을 따라 이송되는 피검물품을 재검라인(300) 또는 불량라인(700)으로 밀어 피검물품의 경로가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Also, the push rod members 410 and 810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rod whose length is expanded and contracted by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control signal). When the push rod members 410 and 810 ar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rod, the control unit 500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rod to instantaneously extend the length of the push rod member 410 and 810, (300) or the defective line (700) so that the path of the inspected object can be switched.

한편,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로 2개 이상 마련되어 검수 작업의 속도를 높임으로써 검수 적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wireless ID tag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sensors in parallel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inspection work, thereby preventing the inspection error phenomenon.

도6에서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가 병렬로 2개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그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Although FIG. 6 shows that two wireless identification tag validation devices are provided in parallel, it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but may be increased more than necessary.

또한,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검라인(300)에는 재검라인(300)을 따라 이송되는 재검물품을 검수하기 위한 재검스캐너유닛(900)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 re-inspection scanner unit 900 for inspecting a re-inspected item to be transported along the re-inspection line 3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re-inspection line 300.

상기 재검스캐너유닛(900)은 앞에서 설명한 스캐너유닛(200)과 구성 및 구조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재검스캐너유닛(900)의 입구(211) 측 전방에는 재검품인식수단(660) 및 높이감지수단(600)이 마련되는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The recheck scanner unit 900 is the same in structure and structure as the scanner unit 200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re-inspection recognition means 660 and height detection means 600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entrance 211 side of the recheck scanner unit 900,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sinc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재검스캐너유닛(900)이 재검라인(300)에 별도로 마련되어 재검물품을 검수하게 되면, 상기 검수라인(100)에 설치되어 있는 높이감지수단(600)의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되어야 한다. When the re-inspection scanner unit 900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re-inspection line 300 and the re-inspection product is inspected, the position of the height detection unit 600 installed in the inspection line 100 is changed as shown in do.

즉, 검수라인(100)의 스캐너유닛(200) 입구(211)와 재검라인(300)의 배출 측 사이에 배치되던 높이감지수단(600)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검수라인(100)에서 재검라인(300)의 배출 측과 합쳐지는 지점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위치 변경된다.That is, the height detecting means 600 disposed between the inlet 211 of the scanner unit 200 of the inspection line 100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ositioned in front of a point which merges with the discharge side of line (300).

따라서, 재검스캐너유닛(900)이 별도로 마련되면 재검스캐너유닛(900)에서 합격(정보 일치)된 물품은 상기 검수라인(100) 상의 스캐너유닛(200)은 그냥 통과하고, 상기 재검스캐너유닛(900)에서 불합격(정보 불일치)된 물품은 상기 검수라인(100) 상의 스캐너유닛(200)에서 다시 검수되는바, 총 3번의 검수를 거치게 된다. Therefore, if the re-inspection scanner unit 900 is separately provided, the article passed (information-matched) in the re-inspection scanner unit 900 passes through the scanner unit 200 on the inspection line 100, (Information mismatch) is checked again by the scanner unit 200 on the inspection line 100, and the inspection is performed three times in total.

본 실시예에서, 총 3번의 검수 후에도 불합격된 물품은 상기 불량라인(700)을 통해 배출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rejected articles even after three inspections in total are discharged through the defective line (700).

이하, 도1 및 도8 내지 도20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8 to Fig.

먼저, 도1에서 보듯이 검수라인(100)에 올려진 1번 피검물품은 컨베이어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다. 1번 피검물품이 검수라인(100)을 따라 이송되다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수라인(100)에 설치된 물품인식수단(650)이 이를 감지하면 스캐너유닛(200)의 입구도어(213)가 개방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 the inspected item No. 1 placed on the inspection line 100 is conveyed forward by the conveyor. When the inspected item No. 1 is conveyed along the inspection line 100 and the article recognition means 650 installed on the inspection line 100 senses it as shown in FIG. 8, the entrance door 213 of the scanner unit 200 Is opened.

계속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수라인(100)에 설치된 높이감지수단(600)은 검수라인(100)을 따라 진행되는 1번 피검물품의 높이를 측정하게 되고, 제어부(500)는 이 높이에 기초하여 스캐너유닛(200)의 천장에 설치된 안테나수단(23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9, the height sensing means 600 installed on the inspection line 100 measures the height of the first inspected item along the inspection line 100, and the control unit 500 measures the height Adjusts the height of the antenna means 23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scanner unit 200 based on the height.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수단(23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1번 피검물품은 스캐너유닛(200) 내부로 들어가 검수를 받게 되고 검수라인(100)에는 다른 2번 피검물품이 놓여진다.10, when the height of the antenna means 230 is adjusted, the inspected object No. 1 enters the scanner unit 200 and is inspected, and the inspected line 100 is placed with the other inspected object No. 2 .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피검물품의 검수 결과 불합격되면 제어부(500)는 1차경로전환수단(400)을 작동시켜 1번 피검물품을 재검라인(300)으로 보낸다. 이와 동시에 2번 피검물품은 스캐너유닛(200)으로 들어가 검수를 받게 된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first inspected object is rejected, the control unit 500 operates the primary path switching means 400 to send the inspected object No. 1 to the re-inspection line 300. At the same time, the inspected item No. 2 enters the scanner unit 200 and is inspected.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피검물품은 재검라인(300)을 따라 재검을 위하여 다시 스캐너유닛(200)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이때, 검수라인(100)에는 3번 피검물품이 놓여진다. As shown in FIG. 12, the inspected item No. 1 enters the scanner unit 200 again for rechecking along the re-inspection line 300. At this time, the inspected line 100 places the inspected item 3 times.

재검라인(300)의 배출 측에 위치하는 1번 피검물품과 3번 피검물품은 서로 충돌하거나 간섭될 우려가 있는바, 제어부(500)는 재검라인(300) 배출 측에 마련된 재검품인식수단(660)을 통해 재검라인(300)에 있는 1번 피검물품이 먼저 감지되었기 때문에 검수라인(100)에 마련된 물품대기수단(670)을 작동시켜 3번 피검물품의 진행을 차단하고 스캐너유닛(200)의 입구도어(213)를 개방한다. 이때 2번 피검물품은 불합격 판정을 받고 스캐너유닛(200)에서 나온다.The control unit 500 may be provided with the re-inspection recognition means (not shown) provid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300,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spected item No. 1 locat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re- 6), the article waiting unit 670 provided in the inspection line 100 is operated to block the progress of the third inspected item, and the scanner unit 200 can be stopped, The inlet door 213 is opened. At this time, the second inspected item is rejected and comes out from the scanner unit 200.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합격된 2번 피검물품은 다시 재검라인(300)으로 경로 전환되고, 1번 피검물품은 높이감지수단(600)을 통과하면서 스캐너유닛(200)으로 들어가 다시 재검을 받게 된다. 이때 3번 피검물품은 물품대기수단(670)에 의해 진행이 억제되는바, 이로 인해 검수라인(100)의 병목현상이 해소될 수 있다. 13, the rejected second inspected item is again switched to the re-inspection line 300, and the first inspected item passes through the height detecting means 600 and enters the scanner unit 200 to be re-inspected again do. At this time, the article to be inspected No. 3 is inhibited from proceeding by the article standby unit 670, which can eliminate the bottleneck of the inspection line 100.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피검물품은 스캐너유닛(200)에서 다시 재검을 받게 되고, 진행 대기 상태에 있던 3번 피검물품은 물품대기수단(670)의 작동이 해제되어 검수라인(100)을 따라 진행된다. 이때 2번 피검물품은 재검라인(300)의 배출 측에 막 도달하였으나 3번 피검물품과의 충돌 또는 병목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물품대기수단(670)에 의해 진행이 억제된다.14, the inspected item No. 1 is again inspected in the scanner unit 200, and the inspected item No. 3 in the waiting standby state is released from operation of the article waiting unit 670, ). At this time, the article to be inspected No. 2 reaches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300), but the article waiting means (670) suppresses the progress of the article to prevent collision or bottleneck with the article to be inspected No. 3.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피검물품은 재검을 통해서도 불합격되었고, 3번 피검물품이 스캐너유닛(200)으로 들어간다.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inspected item is rejected even by re-inspection, and the third inspected item enters the scanner unit 200. [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번 피검물품은 여전히 물품대기수단(670)에 의해 이송이 억제되고 이때 검수라인(100)에는 4번 피검물품이 놓여지며, 스캐너유닛(200)으로 들어간 3번 피검물품의 검수가 수행된다. 재검에서도 불합격된 1번 피검물품은 2차경로전환수단(800)의 작동에 의해 불량라인(700)으로 보내진다.16, the article to be inspected No. 2 is still conveyed by the article waiting unit 670, and the inspected line 100 is placed with the inspected item No. 4, and the inspected item No. 3 inserted into the scanner unit 200 Inspection of the goods is carried out. The rejected first inspected item in the re-inspection is sent to the defective line 700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ary path switching means 800.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량라인(700)으로 보내진 1번 피검물품은 작업자에 의해 정밀 검수를 받게 되고, 3번 피검물품은 합격되어 스캐너유닛(200)에서 나온다. 이때, 재검라인(300)에서 대기 상태에 있던 2번 피검물품은 대기 해제되어 검수라인(100)을 통해 스캐너유닛(200)으로 들어가고 검수라인(100)에 새롭게 놓여졌던 4번 피검물품은 물품대기수단(670)에 의해 대기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17, the inspected item No. 1 sent to the defective line 700 is subjected to the precise inspection by the operator, and the inspected item No. 3 passes through the scanner unit 200. At this time, the inspected item No. 2 in the waiting line 300 is released from standby, enters the scanner unit 200 through the inspection line 100, and is placed in the inspection line 100, And is put into a standby state by the means 670.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정밀 검수 결과 합격된 1번 피검물품은 다시 검수라인(100)에 놓여져 이송되고, 또 합격된 3번 피검물품도 검수라인(100)을 따라 이송되며, 2번 피검물품이 스캐너유닛(200)에 들어가 다시 재검을 받게 된다. 이때 4번 피검물품은 병목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다.18, the inspected item No. 1 passed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operator is placed on the inspection line 100 again, and the inspected item No. 3 passed is also conveyed along the inspection line 100, The inspected item No. 2 enters the scanner unit 200 and is inspected again. At this time, the fourth test article is waiting to prevent the bottleneck phenomenon.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격된 3번 피검물품은 검수라인(100)을 따라 계속해서 이송되며 2번 피검물품은 스캐너유닛(200)에서 재검이 진행된다. 이때 검수라인(100)에는 또 다른 5번 피검물품이 놓여지는데 대기하고 있던 4번 피검물품과의 간격이 좁다.As shown in Fig. 19, the passed inspection item No. 3 is continuously conveyed along the inspection line 100, and the inspection item No. 2 is re-scanned in the scanner unit 200.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inspected line 100 and the fourth inspected object which is waiting for another inspected object 5 times is small.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번 피검물품은 재검 결과 합격으로 판정되어 검수라인(100)을 따라 계속 진행하게 된다. 이때 대기하고 있던 4번 피검물품은 스캐너유닛(200)으로 들어가 검수를 받게 되고 병목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5번 피검물품은 물품대기수단(670)에 의해 대기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0, the inspected item No. 2 is judged as a result of the re-inspecting, and proceeds along the inspection line 100. At this time, the fourth inspected object enters the scanner unit 200 and receives the insp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bottleneck, the fifth inspected object is queued by the article waiting means 670.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0 : 검수라인 200 : 스캐너유닛
210 : 본체부 211 : 입구
212 : 출구 213 : 입구도어
214 : 출구도어 220 : 왕복이동수단
221 : 이송부 222 : 구동롤러부
230 : 안테나수단 240 : 리더기
300 : 재검라인 400 : 제1경로전환수단
500 : 제어부 600 : 높이감지수단
650 : 물품인식수단 660 : 재검품인식수단
670 : 물품대기수단 671 : 차단바
800 : 2차경로전환수단 900 : 재검스캐너유닛
100: inspection line 200: scanner unit
210: main body 211: inlet
212: Exit 213: Entrance door
214: exit door 220: reciprocating means
221: transfer part 222: drive roller part
230: antenna means 240: reader
300: re-inspecting line 400: first path switching means
500: control unit 600: height detecting means
650: article recognizing means 660: re-inspection recognizing means
670: article waiting means 671: shut-off bar
800: secondary path switching means 900: recheck scanner unit

Claims (25)

한 방향으로 피검물품이 이송되는 검수라인;
상기 검수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피검물품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구와 출구가 순차 형성된 스캐너유닛;
상기 스캐너유닛의 출구 후방 측에서 상기 검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스캐너유닛 입구 측까지 연결되는 재검라인;
상기 검수라인에 있는 피검물품을 상기 재검라인 쪽으로 경로 전환시키는 1차경로전환수단;
상기 스캐너유닛을 통해 제공받은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와 미리 입력된 정보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불일치시 상기 재검라인으로 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너유닛은,
피검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입구와 출구가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수용된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 바닥에 마련되는 왕복이동수단; 상기 본체부에 수용된 물품의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부의 입구와 출구를 제외한 본체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 내벽, 천장, 바닥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마련되는 안테나수단; 및 상기 안테나수단에 의해 인식된 상기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수단 중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안테나수단은 피검물품의 높이에 대응하여 물품에 근접하도록 승강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A inspection line through which the article to be inspected is conveyed in one direction;
A scanner unit provided on the inspection line and analyzing tag information of the inspected object and sequentially forming an entrance and an exit alo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spected object;
A re-inspection line branched from the inspection line at an exit rear side of the scanner unit and connected to an inlet side of the scanner unit;
A primary path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inspection object in the inspection line to the re-inspection line;
And a control unit for judging whether the tag information of the inspected object provided through the scanner unit matches the previously input information and for sending the disagreement to the re-inspection line,
The scanner unit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inspected object is accommodated and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 reciprocating mean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for reciprocating the article received in the main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 antenna means for recognizing a tag of an articl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portion, the antenna means being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wall, the ceiling, and the floor facing each other of the main body except for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main body; And a reader for reading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antenna means,
Wherein the antenna means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antenna means is raised and lowered in proximity to the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article to be inspec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입구와 출구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입구도어와 출구도어가 각각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let door and an outlet door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respectively,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the out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도어와 출구도어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ntrance door and the exit door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상기 검수라인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설치된 무한궤도 형태의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iprocating means includes:
An endless track configured to move in the same or opposite direction as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inspection line; And
And a driving roller portion for providing a forward or reverse driving force to the transpor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der is installed on an outer sid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수라인의 스캐너유닛 입구와 상기 재검라인의 배출 측 사이에는 피검물품의 높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캐너유닛의 천장에 설치된 상기 안테나수단이 피검물품의 높이에 맞추어 승강되도록 하는 높이감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ight sens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scanner unit inlet of the inspection line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rechecking line for sensing the height of the inspected object and allowing the antenna mean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scanner unit to ascend and descen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spected object To th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감지수단은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높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height sensing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height sensing sensors spaced apart in a heigh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수라인에서 상기 재검라인의 배출 측과 합쳐지는 지점의 전방에는 상기 스캐너유닛으로의 피검물품 진입을 미리 감지하기 위한 물품인식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n article recognition means is provided in front of a point in the inspection line which is combined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to detect the entry of the inspection object into the scanner unit in advan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검라인의 배출 측에는 재검물품의 진입을 미리 감지하기 위한 재검품인식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re-inspection recognition unit for detecting the entry of the re-inspection product in advance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re-inspection lin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인식수단 및 재검품인식수단은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rticle recognition means and re-inspection recognition means comprise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검라인의 배출 측 및 상기 검수라인에서 재검라인의 배출 측과 합쳐지는 지점의 전방에는, 재검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재검물품과 검수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피검물품간의 충돌 및 병목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물품대기수단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prevent collision and bottleneck phenomenon between the inspected item conveyed along the re-inspecting line and the inspected object conveyed along the inspection line, And an article waiting means is provided for each of the RFID tag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대기수단은 검수라인 또는 재검라인 상에서 물품 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차단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rticle waiting means is a blocking bar protruding toward the article on the inspection line or the re-inspection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유닛의 출구 후방에서 상기 재검라인의 후방 위치에는 상기 검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불량라인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efective line branching from the inspection line is disposed at a rear position of the re-inspection line behind the exit of the scanner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너유닛을 통해 제공받은 피검물품의 태그 정보와 미리 입력된 정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적어도 2번 이상 정보가 불일치하면 피검물품을 상기 불량라인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judges whether or not the tag information of the inspected object provided through the scanner unit matches the previously input information and sends the inspected object to the defective line when the information is inconsistent at least two times.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수라인에는 피검물품을 상기 불량라인 쪽으로 경로 전환시키기 위한 2차경로전환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inspection line further includes secondary path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path of the article to be inspected to the defective line.
제1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수단들은 상기 재검라인 또는 불량라인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검수라인 상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검수라인으로부터 돌출되어 해당 물품을 재검라인 또는 불량라인으로 밀어줌으로써 경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8,
Wherein said path switching mean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said inspection lin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said re-inspection line or said defective line, so as to be switched by projecting from said inspection line and pushing said product to a re-inspection line or a defective line. Identification tag validation de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수단들은,
상기 검수라인의 벽면으로부터 물품 쪽으로 돌출되는 푸시로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path switching means comprises:
And a push rod protruding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inspection line toward the articl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체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push rod member is a cylinder rod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체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길이가 신축되는 전자식 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push rod body is an electronic rod whose length is expanded and contracted by an electrica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는 검수 적체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병렬로 2개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ID tag validation device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at least two of the wireless ID tag validation devices in order to prevent authentication e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검라인에는 재검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재검물품을 검수하기 위한 재검스캐너유닛이 별도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spection line is provided with a re-inspection scanner unit for re-inspecting the re-inspection item to be transported along with the re-inspection lin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재검스캐너유닛에서 합격(정보 일치)된 물품은 상기 검수라인 상의 스캐너유닛을 그냥 통과하고, 상기 재검스캐너유닛에서 불합격(정보 불일치)된 물품은 상기 검수라인 상의 스캐너유닛에서 다시 검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article passed (information-matched) in the re-inspection scanner unit passes through the scanner unit on the inspection line, and the article rejected (information discordance) in the re-inspection scanner unit is again checked in the scanner unit on the inspection line The wireless identification tag identification device.



KR1020130074772A 2013-06-27 2013-06-27 Apparatus for check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Expired - Fee Related KR101452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772A KR101452909B1 (en) 2013-06-27 2013-06-27 Apparatus for check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772A KR101452909B1 (en) 2013-06-27 2013-06-27 Apparatus for check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909B1 true KR101452909B1 (en) 2014-10-22

Family

ID=5199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7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2909B1 (en) 2013-06-27 2013-06-27 Apparatus for check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909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450B1 (en) * 2018-04-30 2019-02-13 (주)에스티아이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of chemical container and the method thereof
CN109342925A (en) * 2018-10-26 2019-02-15 珠海市晶宸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lectronic tag test machine
KR101955211B1 (en) * 2017-10-24 2019-03-07 서한산업(주) Device for inspecting joint housing of constant velocity joint
KR101984508B1 (en) * 2018-10-31 2019-05-31 (주)에스티아이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of chemical container and the method thereof
KR102067753B1 (en) * 2018-08-21 2020-02-21 (주)에스티아이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of chemical container and the method thereof
CN112399955A (en) * 2018-07-10 2021-02-23 系统科技公司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device and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method
CN116967159A (en) * 2023-08-28 2023-10-31 深圳市卓茂科技有限公司 Full-automatic high-speed detector for X-RAY of cylindrical batt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0934A (en) * 1997-10-29 2001-11-06 サンドビック アクティエボラーグ Classification mechanism
KR20110047516A (en) * 2009-10-30 2011-05-09 (주)알판트 Inspection system of RFID card tag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10093048A (en) * 2010-02-11 2011-08-18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using RDF tag recording system and RDF tag recording system
JP2012035958A (en) * 2010-08-05 2012-02-2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Stock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0934A (en) * 1997-10-29 2001-11-06 サンドビック アクティエボラーグ Classification mechanism
KR20110047516A (en) * 2009-10-30 2011-05-09 (주)알판트 Inspection system of RFID card tag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10093048A (en) * 2010-02-11 2011-08-18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using RDF tag recording system and RDF tag recording system
JP2012035958A (en) * 2010-08-05 2012-02-2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Stock apparatus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211B1 (en) * 2017-10-24 2019-03-07 서한산업(주) Device for inspecting joint housing of constant velocity joint
CN112055691A (en) * 2018-04-30 2020-12-08 系统科技公司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device and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method
CN112055691B (en) * 2018-04-30 2022-06-21 系统科技公司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device and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method
KR101947450B1 (en) * 2018-04-30 2019-02-13 (주)에스티아이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of chemical container and the method thereof
WO2019212117A1 (en) * 2018-04-30 2019-11-07 (주)에스티아이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porting chemical container
CN112399955A (en) * 2018-07-10 2021-02-23 系统科技公司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device and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method
CN112512939A (en) * 2018-08-21 2021-03-16 系统科技公司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device and automatic chemical container conveying method
WO2020040365A1 (en) * 2018-08-21 2020-02-27 (주)에스티아이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chemical container
KR102067753B1 (en) * 2018-08-21 2020-02-21 (주)에스티아이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of chemical container and the method thereof
CN109342925A (en) * 2018-10-26 2019-02-15 珠海市晶宸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lectronic tag test machine
CN109342925B (en) * 2018-10-26 2024-06-04 珠海市晶宸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tag tester
KR101984508B1 (en) * 2018-10-31 2019-05-31 (주)에스티아이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of chemical container and the method thereof
CN116967159A (en) * 2023-08-28 2023-10-31 深圳市卓茂科技有限公司 Full-automatic high-speed detector for X-RAY of cylindrical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909B1 (en) Apparatus for check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EP2985242B1 (en) Cross-belt system and automated item diversion
US10216175B2 (en) Conveyors including sensors for detecting error conditions associated with products traveling on the conveyors
JP5263263B2 (en) RFID system
US8682480B2 (en) Device and process for recognizing and guiding individually packaged products with a code
JP7615430B2 (en) Transport system inspection device (Doctor Logistics)
US7195159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aterial tracking and apparatus
US100356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leeve detection
TWI605253B (en) Sample processing apparatus and sample processing method
KR101255776B1 (en) System for management storehouse by using rfid
WO2018003162A1 (en) Examination system and entry management facility
CN111999299A (en) Belt detection method, belt detection device and belt detection system
CN108205737A (en) The method and system that a kind of cargo delivery state suitable for unmanned dispensing vehicle monitors
CN114787054B (en) Warehouse and picking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or avoiding future faults
US20180004991A1 (en) A method of identification of an item using phase data for movement detection
KR101200343B1 (en) Shipment verification equipment for medical supplies
KR20110115790A (en) Baggage Vertical Transfer Device and Method
JP7205407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CA3020409A1 (en) Conveyors for sorting products
KR20110091121A (en) RDF tag recor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2005661A1 (en) A checkout counter
KR101360898B1 (en) Verification equipment of shipment and verification method thereof
KR20170112270A (en) A apparatus for inpecting credit card in envelope and a method therefor
KR20110093048A (en)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using RDF tag recording system and RDF tag recording system
KR20090000731A (en) Entrance direction detection gate system and detection method using RD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