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2690B1 - 냉동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690B1
KR101452690B1 KR1020147019771A KR20147019771A KR101452690B1 KR 101452690 B1 KR101452690 B1 KR 101452690B1 KR 1020147019771 A KR1020147019771 A KR 1020147019771A KR 20147019771 A KR20147019771 A KR 20147019771A KR 101452690 B1 KR101452690 B1 KR 101452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refrigerant
expansion mechanism
outdoor heat
compres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313A (ko
Inventor
다카유키 세토구치
게이스케 다니모토
노리유키 오쿠다
다카무네 오쿠이
준이치 시모다
츠요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6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05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of the single uni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31Sensor arrangements
    • F25B2313/0314Temperature sensors near the indoo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2Inflammable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3Economi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9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series, i.e. multi-stage expansion,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공기 조화 장치(1)는, 냉방 운전 시에 압축기(21), 실외 열교환기(23), 팽창 기구(24, 26) 및 실내 열교환기(41)의 순으로 냉매가 흐르고, 난방 운전 시에 압축기(21), 실내 열교환기(41), 팽창 기구(26, 24) 및 실외 열교환기(23)의 순으로 냉매가 흐른다. 여기에서는, 실내 열교환기(41)가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23)가 적층형 열교환기이다. 팽창 기구(24, 26)는, 냉매를 감압하는 상류측 팽창 기구와, 상류측 팽창 기구에 있어서 감압된 냉매를 감압하는 하류측 팽창 기구를 갖고, 상류측 팽창 기구와 하류측 팽창 기구 사이에는, 상류측 팽창 기구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탱크(25)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냉동 장치{REFRIGERATION DEVICE}
본 발명은, 냉동 장치, 특히, 냉각 운전 및 가열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냉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난방 운전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 등의 냉동 장치에서는, 냉방 운전(냉각 운전) 시에 최적의 냉매량과, 난방 운전(가열 운전) 시에 최적의 냉매량이 다르다. 이로 인해, 냉방 운전 시에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과, 난방 운전 시에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실내 열교환기의 용적이 다르다. 통상은,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적보다도 크기 때문에, 난방 운전 시에 실내 열교환기에서 다 수용하지 못한 냉매는, 압축기의 흡입측에 접속된 냉매 저류 탱크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6-143991호 공보
그러나, 상기 냉동 장치에 있어서,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6-14399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고성능 방열기가 실외 열교환기로서 사용되게 되면,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적 이하가 된다. 이로 인해, 이 경우에는, 냉방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에서 다 수용하지 못한 냉매(잉여 냉매)가 발생하고, 그 양은, 냉매 저류 탱크 등에 저류 가능한 양을 초과해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냉각 운전 및 가열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냉동 장치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적 이하인 경우에, 냉각 운전 시에 발생하는 잉여 냉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제1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는, 냉각 운전 시에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 기구 및 실내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가 흐르고, 가열 운전 시에 압축기, 실내 열교환기, 팽창 기구 및 실외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가 흐르는 냉동 장치이다. 그리고, 이 냉동 장치에서는, 실내 열교환기가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가 적층형 열교환기이다. 게다가, 팽창 기구는, 냉매를 감압하는 상류측 팽창 기구와, 상류측 팽창 기구에 있어서 감압된 냉매를 감압하는 하류측 팽창 기구를 갖고 있으며, 상류측 팽창 기구와 하류측 팽창 기구 사이에는, 상류측 팽창 기구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적층형 열교환기의 용적은, 동등한 열교환 성능을 갖는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의 용적에 비해서 작다. 예를 들어,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의 양쪽이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인 냉동 장치에 대하여, 실외 열교환기만을 동등한 열교환 성능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로 변경한 경우를 상정한다. 그러면, 이 적층형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은, 크로스 핀형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에 비해서 작아질 뿐만 아니라, 이에 접속되어 있는 크로스 핀형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도 작아진다.
이로 인해, 이러한 냉동 장치에서는,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도 작아짐으로써, 냉각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잉여 냉매가, 기상 부분을 갖는 실내 열교환기로부터 압축기의 흡입측까지의 부분에 과잉으로 퍼져가면,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류측 팽창 기구와 하류측 팽창 기구 사이에 상류측 팽창 기구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탱크를 설치함으로써, 냉각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에서 다 수용하지 못한 잉여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의 하류측 근방에 위치하는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 냉동 장치에서는, 기상 부분을 갖는 실내 열교환기로부터 압축기의 흡입측까지의 부분에 과잉으로 퍼져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는, 냉각 운전 시에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 기구 및 실내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가 흐르고, 가열 운전 시에 압축기, 실내 열교환기, 팽창 기구 및 실외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가 흐르는 냉동 장치이다. 그리고, 이 냉동 장치에서는,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이, 실내 열교환기 용적의 100% 이하이다. 게다가, 팽창 기구는, 냉매를 감압하는 상류측 팽창 기구와, 상류측 팽창 기구에 있어서 감압된 냉매를 감압하는 하류측 팽창 기구를 갖고 있으며, 상류측 팽창 기구와 하류측 팽창 기구 사이에는, 상류측 팽창 기구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적 이하가 되면, 냉각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잉여 냉매가, 기상 부분을 갖는 실내 열교환기로부터 압축기의 흡입측까지의 부분에 과잉으로 퍼져가면,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류측 팽창 기구와 하류측 팽창 기구 사이에 상류측 팽창 기구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탱크를 설치함으로써, 냉각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에서 다 수용하지 못한 잉여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의 하류측 근방에 위치하는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 냉동 장치에서는, 기상 부분을 갖는 실내 열교환기로부터 압축기의 흡입측까지의 부분에 과잉으로 퍼져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는, 제1 또는 제2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가 R32이다.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로서 R32를 사용하면, 저온 조건에 있어서는, 압축기의 윤활을 위해 냉매와 함께 봉입되어 있는 냉동기유의 용해도가 매우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이 되면, 냉매 온도의 저하에 의해, 냉동기유의 용해도가 크게 저하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압축기의 흡입측에 냉매 저류 탱크를 갖는 종래의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로서 R32를 사용하면,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이 되는 냉매 저류 탱크 내에서 냉매와 냉동기유가 2층 분리되어, 압축기로 냉동기유가 되돌아가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이 냉동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류측 팽창 기구와 하류측 팽창 기구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기의 흡입측에 냉매 저류 탱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압축기로 냉동기유가 되돌아가기 쉽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냉동 장치에서는, 상류측 팽창 기구와 하류측 팽창 기구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를 설치함으로써, 실외 열교환기로서 적층형 열교환기 등을 사용하는 등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적 이하로 함으로써 발생하는 잉여 냉매의 문제뿐만 아니라, 냉매로서 R32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압축기로의 냉동기유 복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제4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는, 제1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냉동 장치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가, 간격을 두고 겹쳐지도록 배열된 복수의 편평관과, 인접하는 편평관에 끼워진 핀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이다.
이 냉동 장치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와 마찬가지로,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 이하가 되기 때문에, 냉동 장치 내의 냉매량이 저감된다. 또한, 이 냉동 장치에서는, 냉각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지만, 이 잉여 냉매를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는, 제1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냉동 장치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가, 간격을 두고 겹쳐지도록 배열된 복수의 편평관과, 편평관이 삽입되는 절결이 형성된 핀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이다.
이 냉동 장치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와 마찬가지로,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 이하가 되기 때문에, 냉동 장치 내의 냉매량이 저감된다. 또한, 이 냉동 장치에서는, 냉각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지만, 이 잉여 냉매를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는, 제1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냉동 장치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는, 사행 형상으로 성형된 편평관과, 편평관의 서로 인접하는 면 사이에 끼워진 핀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이다.
이 냉동 장치에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와 마찬가지로,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 이하가 되기 때문에, 냉동 장치 내의 냉매량이 저감된다. 또한, 이 냉동 장치에서는, 냉각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지만, 이 잉여 냉매를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7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는, 제2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가 R32이다.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로서 R32를 사용하면, 저온 조건에 있어서는, 압축기의 윤활을 위해 냉매와 함께 봉입되어 있는 냉동기유의 용해도가 매우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이 되면, 냉매 온도의 저하에 의해, 냉동기유의 용해도가 크게 저하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압축기의 흡입측에 냉매 저류 탱크를 갖는 종래의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로서 R32를 사용하면,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이 되는 냉매 저류 탱크 내에서 냉매와 냉동기유가 2층 분리되어, 압축기로 냉동기유가 되돌아가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이 냉동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류측 팽창 기구와 하류측 팽창 기구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기의 흡입측에 냉매 저류 탱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압축기로 냉동기유가 되돌아가기 쉽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냉동 장치에서는, 상류측 팽창 기구와 하류측 팽창 기구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를 설치함으로써,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적 이하로 함으로써 발생하는 잉여 냉매의 문제뿐만 아니라, 냉매로서 R32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압축기로의 냉동기유 복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제8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는, 제2 또는 제7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가,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이며, 실외 열교환기의 전열관 직경이, 실내 열교환기의 전열관 직경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이 냉동 장치에서는, 상기 제2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와 마찬가지로,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 이하가 되기 때문에, 냉동 장치 내의 냉매량이 저감된다. 또한, 이 냉동 장치에서는, 냉각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지만, 이 잉여 냉매를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9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는, 제1 내지 제8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 저류 탱크 내에 저류되는 냉매의 가스 성분을 압축기 또는 압축기의 흡입관으로 유도하는 바이패스관이 더 설치되어 있다.
이 냉동 장치에서는, 상류측 팽창 기구에 있어서 감압된 냉매가, 냉매 저류 탱크에 있어서 액 성분과 가스 성분으로 분리되고, 가스 성분은 바이패스관을 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 냉동 장치에서는, 가열 운전 시에, 증발에 기여하지 않은 가스 성분이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로 유입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그 만큼만,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동 사이클에서의 감압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10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는, 제9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에 있어서, 바이패스관이, 유량 조정 기구를 갖는다.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는, 냉매 저류 탱크로부터 기액 2상 상태의 냉매가 바이패스관을 통해서 압축기 또는 압축기의 흡입관으로 되돌아가서, 압축기로 흡입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냉동 장치에서는, 바이패스관에 유량 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액 2상 상태의 냉매 액 성분이 감압되어 증발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 냉동 장치에서는, 압축기 또는 압축기의 흡입관에 액 성분이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냉동 장치에서는, 가열 운전 시에, 유량 조정 기구를 통과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에 있어서 증발한 후에, 압축기 또는 압축기의 흡입관을 향하는 냉매에 합류하게 된다. 이때, 유량 조정 기구가 전동 팽창 밸브인 경우에는, 밸브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로 흡입되기 직전의 냉매 상태를, 보다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유량 조정 기구의 밸브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로 되돌아가는 냉매의 유량을 증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내 열교환기측의 냉동 부하에 따라서 냉매의 순환류량, 즉 실내 열교환기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11 관점에 따른 냉동 장치는, 제1 내지 제10 관점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 저류 탱크가, 기액 분리기이다.
이 냉동 장치에서는, 기액 분리기를 포함하는 냉매 저류 탱크가, 액 성분을 저류하는 기능 및 액 성분과 가스 성분을 분리하는 기능의 양쪽을 담당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 냉동 장치에서는, 냉매 저류 기능을 갖는 기기와 기액 분리 기능을 갖는 기기를 병설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장치 구성의 간소화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동 장치로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실내 열교환기의 개략 정면도.
도 3은 실외 열교환기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실외 열교환기 용적/실내 열교환기 용적비를 능력별로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변형예 1에서의 냉매 저류 탱크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변형예 2에서의 실외 열교환기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변형예 2에서의 실외 열교환기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장치의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1)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동 장치로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증기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행함으로써, 냉각 운전으로서의 냉방 운전 및 가열 운전으로서의 난방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냉동 장치이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주로, 실외 유닛(2)과, 실내 유닛(4)이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외 유닛(2)과 실내 유닛(4)은, 액 냉매 연락관(5) 및 가스 냉매 연락관(6)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즉, 공기 조화 장치(1)의 증기 압축식 냉매 회로(10)는, 실외 유닛(2)과, 실내 유닛(4)이 냉매 연락관(5, 6)을 통해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실내 유닛>
실내 유닛(4)은, 실내에 설치되어 있고, 냉매 회로(1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실내 유닛(4)은, 주로, 실내 열교환기(41)를 갖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41)는, 냉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해서 실내 공기를 냉각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해서 실내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이다. 실내 열교환기(41)의 액측은 액 냉매 연락관(5)에 접속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41)의 가스측은 가스 냉매 연락관(6)에 접속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4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이며, 주로, 전열 핀(411)과, 전열관(412)을 갖고 있다. 여기서, 도 2는, 실내 열교환기(41)의 정면도이다. 전열 핀(411)은, 얇은 알루미늄제가 평판이며, 전열 핀(411)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전열관(412)은, 전열 핀(411)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직관(412a)과, 인접하는 직관(412a)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U자관(412b, 412c)을 갖고 있다. 직관(412a)은 전열 핀(411)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후에 확관 가공됨으로써, 전열 핀(411)과 밀착시키게 되어 있다. 직관(412a)과 제1 U자관(412b)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 U자관(412c)은 직관(412a)이 전열 핀(411)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확관 가공된 후에, 용접이나 납땜 등에 의해 직관(411a)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내 유닛(4)은, 실내 유닛(4) 내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열교환기(41)에 있어서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에, 공급 공기로서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실내 팬(42)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는, 실내 팬(42)으로서, 실내 팬 모터(43)에 의해 구동되는 원심팬이나 다익팬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실내 유닛(4)은, 실내 유닛(4)을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측 제어부(4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실내측 제어부(44)는, 실내 유닛(4)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나 메모리 등을 갖고 있으며, 리모트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와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 등의 수수를 행하거나, 실외 유닛(2)과의 사이에서 전송선(8a)을 통해서 제어 신호 등의 수수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외 유닛>
실외 유닛(2)은 실외에 설치되어 있으며, 냉매 회로(1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실외 유닛(2)은 주로, 압축기(21)와, 전환 기구(22)와, 실외 열교환기(23)와, 제1 팽창 기구(24)와, 냉매 저류 탱크(25)와, 제2 팽창 기구(26)와, 액측 폐쇄 밸브(27)와, 가스측 폐쇄 밸브(28)를 갖고 있다.
압축기(21)는,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의 냉매를 고압이 될 때까지 압축하는 기기이다. 압축기(21)는, 로터리식이나 스크롤식 등의 용적식 압축 요소(도시하지 않음)를 인버터에 의해 제어되는 압축기 모터(21a)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밀폐식 구조로 되어 있다. 압축기(21)는, 흡입측에 흡입관(31)이 접속되어 있고, 토출측에 토출관(32)이 접속되어 있다. 흡입관(31)은, 압축기(21)의 흡입측과 전환 기구(22)의 제1 포트(22a)를 접속하는 냉매관이다. 흡입관(31)에는, 어큐뮬레이터(29)가 설치되어 있다. 토출관(32)은 압축기(21)의 토출측과 전환 기구(22)의 제2 포트(22b)를 접속하는 냉매관이다.
전환 기구(22)는, 냉매 회로(10)에서의 냉매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기구이다. 전환 기구(22)는, 냉방 운전 시에는, 실외 열교환기(23)를 압축기(21)에 있어서 압축된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시키고, 또한, 실내 열교환기(41)를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방열한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키는 전환을 행한다. 즉, 전환 기구(22)는, 냉방 운전 시에는, 제2 포트(22b)와 제3 포트(22c)를 연통시키고, 또한, 제1 포트(22a)와 제4 포트(22d)를 연통시키는 전환을 행한다. 이에 의해, 압축기(21)의 토출측(여기서는, 토출관(32))과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여기서는, 제1 가스 냉매관(33))이 접속된다(도 1의 전환 기구(22)의 실선을 참조). 게다가, 압축기(21)의 흡입측(여기서는, 흡입관(31))과 가스 냉매 연락관(6)측(여기서는, 제2 가스 냉매관(34))이 접속된다(도 1의 전환 기구(22)의 실선을 참조). 또한, 전환 기구(22)는, 난방 운전 시에는, 실외 열교환기(23)를 실내 열교환기(41)에 있어서 방열한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고, 또한, 실내 열교환기(41)를 압축기(21)에 있어서 압축된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시키는 전환을 행한다. 즉, 전환 기구(22)는, 난방 운전 시에는, 제2 포트(22b)와 제4 포트(22d)를 연통시키고, 또한 제1 포트(22a)와 제3 포트(22c)를 연통시키는 전환을 행한다. 이에 의해, 압축기(21)의 토출측(여기서는, 토출관(32))과 가스 냉매 연락관(6)측(여기서는, 제2 가스 냉매관(34))이 접속된다(도 1의 전환 기구(22)의 파선을 참조). 게다가, 압축기(21)의 흡입측(여기서는, 흡입관(31))과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여기서는, 제1 가스 냉매관(33))이 접속된다(도 1의 전환 기구(22)의 파선을 참조). 제1 가스 냉매관(33)은, 전환 기구(22)의 제3 포트(22c)와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을 접속하는 냉매관이다. 제2 가스 냉매관(33)은, 전환 기구(22)의 제4 포트(22d)와 가스 냉매 연락관(6)측을 접속하는 냉매관이다. 전환 기구(22)는, 여기에서는, 사방 전환 밸브이다.
실외 열교환기(23)는, 냉방 운전 시에는 실외 공기를 냉각원으로 하는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실외 공기를 가열원으로 하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교환기이다. 실외 열교환기(23)는, 액측이 액 냉매관(35)에 접속되어 있고, 가스측이 제1 가스 냉매관(33)에 접속되어 있다. 액 냉매관(35)은, 실외 열교환기(23)의 액측과 액 냉매 연락관(7)측을 접속하는 냉매관이다.
실외 열교환기(2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형 열교환기이며, 주로, 편평관(231)과, 파형 핀(232)과, 헤더(233a, 233b)를 갖고 있다. 여기서, 도 3은, 실외 열교환기(23)의 외관 사시도이다. 편평관(231)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전열면으로 되는 평면부(231a)와, 냉매가 흐르는 복수의 내부 유로(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편평관(231)은 평면부(231a)를 상하를 향한 상태에서 간격(통풍 공간)을 두고 겹쳐지도록 복수단 배열되어 있다. 파형 핀(232)은, 파형으로 절곡된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핀이다. 파형 핀(232)은, 상하로 인접하는 편평관(231)에 끼워진 통풍 공간에 배치되고, 골부 및 산부가 편평관(231)의 평면부(231a)와 접촉되어 있다. 또한, 골부와 산부와 평면부(231a)는 납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헤더(233a, 233b)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배열된 편평관(231)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헤더(233a, 233b)는, 편평관(231)을 지지하는 기능과, 냉매를 편평관(231)의 내부 유로으로 유도하는 기능과, 내부 유로로부터 나온 냉매를 집합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실외 열교환기(23)가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제1 헤더(233a)의 제1 출입구(234)로부터 유입한 냉매는, 최상단의 편평관(231)의 각 내부 유로로 거의 균등하게 분배되어, 제2 헤더(233b)를 향해서 흐른다. 제2 헤더(233b)에 도달한 냉매는, 2단째의 편평관(231)의 각 내부 유로로 균등하게 분배되어 제1 헤더(233a)를 향해서 흐른다. 이후, 홀수단째의 편평관(231) 내의 냉매는, 제2 헤더(233b)를 향해서 흐르고, 짝수단째의 편평관(231) 내의 냉매는, 제1 헤더(233a)를 향해서 흐른다. 그리고, 최하단에서 또한 짝수단째의 편평관(231) 내의 냉매는, 제1 헤더(233a)를 향해서 흘러서, 제1 헤더(233a)로 집합하고, 제1 헤더(233a)의 제2 출입구(235)로부터 유출된다. 실외 열교환기(23)가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제1 헤더(233a)의 제2 출입구(235)로부터 냉매가 유입되고,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와는 반대 방향으로 편평관(231) 및 헤더(233a, 233b)를 흐른 후에, 제1 헤더(233a)의 제1 출입구(234)로부터 유출된다. 그리고, 실외 열교환기(23)가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편평관(231) 내를 흐르는 냉매는, 파형 핀(232)을 통해서 통풍 공간을 흐르는 공기류로 방열한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23)가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편평관(231) 내를 흐르는 냉매는, 파형 핀(232)을 통해서 통풍 공간을 흐르는 공기류로부터 흡열한다. 여기에서는, 실외 열교환기(23)로서, 상기와 같은 적층형 열교환기를 사용함으로써, 실외 열교환기(23)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41)의 용량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 점에 관해서, 패키지 에어콘을 예로 들어, 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실외 열교환기 용적/실내 열교환기 용적비를 능력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있어서, ◇은 패키지 에어콘의 통상 타입(크로스 핀형 실외 열교환기), ◆은 패키지 에어콘의 실외 열교환기 세경 타입(적층형 실외 열교환기), △은 룸 에어콘의 통상 타입(크로스 핀형 실외 열교환기), ▲은 룸 에어콘의 실외 열교환기 세경 타입(적층형 실외 열교환기)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의하면,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가 모두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인 경우에 비해서, 실외 열교환기만을 동등한 열교환 성능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로 변경한 경우에는, 실외 열교환기 용량/실내 열교환기 용적비가 1.0을 하회하고 있다. 이것은, 적층형 열교환기의 용량이 크로스 핀형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에 비해서 작아질 뿐만 아니라, 이에 접속되어 있는 크로스 핀형 실내 열교환기(41)의 용량보다도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냉방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그 잉여 냉매를 냉매 저류 탱크(25)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의하면, 실외 열교환기 용량/실내 열교환기 용적비가 0.3 내지 0.9일 때, 잉여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 저류 탱크(2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외 열교환기 용량/실내 열교환기 용적비가 1.0인 경우에도 냉매 저류 탱크(25)를 사용함으로써, 안정된 냉매 제어가 가능해진다.
제1 팽창 기구(24)는, 냉방 운전 시에는,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방열한 냉매를 냉동 사이클에서의 중간압까지 감압하는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기기이고, 또한, 제1 팽창 기구(24)는, 난방 운전 시에는,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2 팽창 기구(26)에 있어서 감압된 후에 냉매 저류 탱크(25)에 일시적으로 저류된 냉매를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까지 감압하는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기기이다. 제1 팽창 기구(24)는, 액 냉매관(35)의 실외 열교환기(23)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팽창 기구(24)로서, 전동 팽창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제2 팽창 기구(26)는, 냉방 운전 시에는,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24)에 있어서 감압된 후에 냉매 저류 탱크(25)에 일시적으로 저류된 냉매를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까지 감압하는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기기이다. 또한, 제2 팽창 기구(26)는, 난방 운전 시에는, 실내 열교환기(41)에 있어서 방열한 냉매를 냉동 사이클에서의 중간압까지 감압하는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기기이다. 제2 팽창 기구(26)는, 액 냉매관(35)의 액측 폐쇄 밸브(27)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2 팽창 기구(26)로서, 전동 팽창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냉매 저류 탱크(25)는, 제1 팽창 기구(24)와 제2 팽창 기구(26)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제1 팽창 기구(24) 또는 제2 팽창 기구(26)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잉여 냉매로서 저류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이다. 예를 들어, 실내 열교환기(41)가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난방 운전 시에 실내 열교환기(41)에 수용할 수 있는 액 냉매량이 1100cc이며, 실외 열교환기(23)가 냉매의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냉방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23)에 수용할 수 있는 액 냉매량이 800cc인 경우에는, 냉방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23)에 다 수용하지 못하여 남은 액 냉매 300cc는, 냉매 저류 탱크(25)에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예를 들어 냉매 저류 탱크(25)로 들어가기 직전의 냉매에는,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제1 팽창 기구(24) 또는 제2 팽창 기구(26)에 있어서 감압될 때 발생한 가스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냉매는, 냉매 저류 탱크(25)로 들어간 후, 액 성분과 가스 성분으로 분리되어, 하부측에 액 냉매가 저류되고, 상부측에 가스 냉매가 저류되게 된다. 그리고, 냉매 저류 탱크(25)에서 분리된 가스 냉매는, 바이패스관(30)을 통해서, 압축기(21)의 흡입관(31)으로 흐른다. 또한, 냉매 저류 탱크(25)에서 분리된 액 냉매는,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제2 팽창 기구(26) 또는 제1 팽창 기구(24)에 있어서 감압된 후에, 실외 열교환기(23)로 흐른다. 여기서, 바이패스관(30)은, 냉매 저류 탱크(25)의 상부와 흡입관(31) 도중 부분의 사이를 접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관(30) 도중에는, 유량 조정 기구(30a)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유량 조정 기구(30a)로서, 전동 팽창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바이패스관(30)의 출구는, 흡입관(31) 도중 부분에 접속하는 것은 아니고, 압축기(21)에 직접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액측 폐쇄 밸브(27) 및 가스측 폐쇄 밸브(28)는, 외부의 기기·배관(구체적으로는, 액 냉매 연락관(5) 및 가스 냉매 연락관(6))의 접속구에 설치된 밸브이다. 액측 폐쇄 밸브(26)는, 액 냉매관(35)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가스측 폐쇄 밸브(27)는 제2 가스 냉매관(34)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외 유닛(2)은, 실외 유닛(2) 내에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에,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 팬(36)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는, 실외 팬(36)로서, 실외 팬 모터(37)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 팬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실외 유닛(2)은, 실외 유닛(2)을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측 제어부(38)를 갖고 있다. 그리고, 실외측 제어부(38)는, 실외 유닛(2)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나 메모리 등을 갖고 있으며, 실내 유닛(4)의 실내측 제어부(43) 사이에서 전송선(8a)을 통해서 제어 신호 등의 수수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실내측 제어부(44)와 실외측 제어부(38)과 제어부(38, 44) 사이를 접속하는 전송선(8a)에 의해, 공기 조화 장치(1) 전체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8)가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8)는, 각종 운전 설정이나 각종 센서의 검출값 등에 기초하여, 각종 기기 및 밸브(21a, 22, 24, 26, 30a, 37, 43)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매 연락관>
냉매 연락 배관(5, 6)은, 공기 조화 장치(1)를 건물 등의 설치 장소에 설치할 때, 현지에서 시공되는 냉매관이며, 설치 장소나 실외 유닛과 실내 유닛의 조합 등의 설치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나 관경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실외 유닛(2)과, 실내 유닛(4)과, 냉매 연락관(5, 6)이 접속됨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회로(10)가 구성되어 있다. 냉매 회로(10)는, 냉각 운전으로서의 냉방 운전 시에, 압축기(21), 실외 열교환기(23),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24), 냉매 저류 탱크(25),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2 팽창 기구(26) 및 실내 열교환기(41)의 순으로 냉매가 흐르는 냉동 사이클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냉매 회로(10)는, 가열 운전으로서의 난방 운전 시에, 압축기(21), 실내 열교환기(41),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2 팽창 기구(26), 냉매 저류 탱크(25),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24) 및 실외 열교환기(23)의 순으로 냉매가 흐르는 냉동 사이클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1)는, 실내측 제어부(44)와 실외측 제어부(38)로 구성되는 제어부(8)에 의해,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 등의 각종 운전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2) 공기 조화 장치의 동작
공기 조화 장치(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이하,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방 운전 시 및 난방 운전 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난방 운전>
난방 운전 시에는, 전환 기구(22)가 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나는 상태, 즉 제2 포트(22b)와 제4 포트(22d)를 연통시키고, 또한 제1 포트(22a)와 제3 포트(22c)를 연통시키는 전환을 행한다.
이 냉매 회로(10)에 있어서,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의 냉매는, 압축기(21)로 흡입되고, 고압이 될 때까지 압축된 후에 토출된다.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22), 가스측 폐쇄 밸브(28) 및 가스 냉매 연락관(6)을 통해서, 실내 열교환기(41)로 보내진다.
실내 열교환기(41)로 보내진 고압의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41)에 있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방열한다. 이에 의해, 실내 공기는 가열된다. 여기서, 실내 열교환기(41)의 용량은, 실외 열교환기(23)의 용량보다도 크기 때문에,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액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41)에 수용되게 된다.
실내 열교환기(41)에서 방열한 고압의 냉매는, 액 냉매 연락관(5) 및 액측 폐쇄 밸브(27)를 통해서,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제2 팽창 기구(26)로 보내진다.
제2 팽창 기구(26)로 보내진 냉매는, 제2 팽창 기구(26)에 의해 중간압까지 감압되고, 그 후, 냉매 저류 탱크(25)로 보내진다. 냉매 저류 탱크(25)로 들어가기 직전의 냉매에는, 제2 팽창 기구(26)에 있어서 감압될 때 발생한 가스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만, 냉매 저류 탱크(25)로 들어간 후, 액 성분과 가스 성분으로 분리되어, 하부측에 액 냉매가 저류되고, 상부측에 가스 냉매가 저류된다. 그리고, 이때, 바이패스관(30)의 유량 조정 기구(30a)가 개방 상태로 제어되기 때문에, 냉매 저류 탱크(25)의 가스 냉매는, 바이패스관(30)을 통해서 압축기(21)의 흡입관(31)으로 향한다. 냉매 저류 탱크(25)의 액 냉매는,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 제1 팽창 기구(24)에 의해 저압까지 감압된 후에, 실외 열교환기(23)로 보내진다.
실외 열교환기(23)로 보내진 저압의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실외 팬(36)에 의해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한다. 이때, 냉매 저류 탱크(25)에서의 기액 분리 조작 및 기액 분리된 가스 냉매를 바이패스관(30)을 통해서 압축기(21)로 흡입시키는 조작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23)로 유입되는 냉매가 감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실외 열교환기(23)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이 감소하고, 그 만큼만 압력 손실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냉동 사이클에서의 감압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23)에서 증발한 저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22)를 통해서, 다시, 압축기(21)로 흡입된다.
<냉방 운전>
냉방 운전 시에는, 전환 기구(22)가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나는 상태, 즉 제2 포트(22b)와 제3 포트(22c)를 연통시키고, 또한 제1 포트(22a)와 제4 포트(22d)를 연통시키는 전환을 행한다.
이 냉매 회로(10)에 있어서,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의 냉매는, 압축기(21)로 흡입되고, 고압이 될 때까지 압축된 후에 토출된다.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전환 기구(22)를 통해서, 실외 열교환기(23)로 보내진다.
실외 열교환기(23)로 보내진 고압의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방열한다.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방열한 고압의 냉매는,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제1 팽창 기구(24)로 보내져서, 제1 팽창 기구(24)에 의해 중간압까지 감압되고, 그 후, 냉매 저류 탱크(25)로 보내진다. 여기서, 실외 열교환기(23)의 용량은, 실내 열교환기(41)의 용량 이하이기 때문에,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실외 열교환기(23)가 모든 액 냉매를 수용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실외 열교환기(23)에 다 수용하지 못한 액 냉매는 냉매 저류 탱크(25)에 저류되며, 냉매 저류 탱크(25)는 액 냉매로 채워진다. 냉매 저류 탱크(25)로 들어가기 직전의 냉매에는, 제1 팽창 기구(24)에 있어서 감압될 때 발생한 가스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만, 냉매 저류 탱크(25)로 들어간 후, 액 성분과 가스 성분으로 분리되어, 하부측에 액 냉매가 저류되고, 상부측에 가스 냉매가 저류된다. 그리고, 이때, 바이패스관(30)의 유량 조정 기구(30a)가 개방 상태로 제어되기 때문에, 냉매 저류 탱크(25)의 가스 냉매는, 바이패스관(30)을 통해서 압축기(21)의 흡입관(31)으로 향한다. 냉매 저류 탱크(25)의 액 냉매는,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제2 팽창 기구(26)에 의해 저압까지 감압된 후에, 액측 폐쇄 밸브(27) 및 액 냉매 연락관(5)을 통해서, 실내 열교환기(41)로 보내진다.
실내 열교환기(41)로 보내진 저압의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41)에 있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한다. 이에 의해, 실내 공기는 냉각된다. 이때, 냉매 저류 탱크(25)에서의 기액 분리 조작 및 기액 분리된 가스 냉매를 바이패스관(30)을 통해서 압축기(21)로 흡입시키는 조작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41)로 유입되는 냉매가 감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실내 열교환기(41)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이 감소하고, 그 만큼만 압력 손실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냉동 사이클에서의 감압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51)에 있어서 증발한 저압의 냉매는, 가스 냉매 연락관(6), 가스측 폐쇄 밸브(28) 및 전환 기구(22)를 통해서, 다시, 압축기(21)로 흡입된다.
(3) 공기 조화 장치의 특징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에는, 이하와 같은 특징이 있다.
<A>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41)가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23)가 적층형 열교환기이며, 실외 열교환기(23)의 용적이, 실내 열교환기(41)의 용적의 100% 이하이다.
이로 인해,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냉각 운전으로서의 냉방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잉여 냉매가, 기상 부분을 갖는 실내 열교환기(41)로부터 압축기(21)의 흡입측까지의 부분에 과잉으로 퍼져가면,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24) 및 제2 팽창 기구(26)의 한쪽과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24) 및 제2 팽창 기구(26)의 다른 쪽 사이에, 상류측 팽창 기구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탱크(25)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냉방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23)에서 다 수용하지 못한 잉여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23)의 하류측 근방에 위치하는 냉매 저류 탱크(25)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기상 부분을 갖는 실내 열교환기(41)로부터 압축기(21)의 흡입측까지의 부분에 과잉으로 퍼져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30)이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관(30)은, 냉매 저류 탱크(25) 내에 저류되는 냉매의 가스 성분을 압축기(21) 또는 압축기(21)의 흡입관(31)으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24) 및 제2 팽창 기구(26)의 한쪽에 있어서 감압된 냉매가, 냉매 저류 탱크(25)에 있어서 액 성분과 가스 성분으로 분리되고, 가스 성분은 바이패스관(30)으로 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난방 운전 시에, 증발에 기여하지 않는 가스 성분이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23)로 유입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그 만큼만,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23)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냉동 사이클에서의 감압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C>
압축기(21)의 운전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는, 냉매 저류 탱크(25)로부터 기액 2상 상태인 냉매가 바이패스관(30)을 통해서 압축기(21) 또는 압축기(21)의 흡입관(31)으로 되돌아가서, 압축기(21)로 흡입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바이패스관(30)에 유량 조정 기구(30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액 2상 상태인 냉매 액 성분이 감압되어 증발하게 된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압축기(21) 또는 압축기(21)의 흡입관(31)에 액 성분이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
또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난방 운전 시에, 유량 조정 기구(30a)를 통과한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41)나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증발한 후에, 압축기(21) 또는 압축기(21)의 흡입관(31)을 향하는 냉매에 합류하게 된다. 이때, 유량 조정 기구(30a)가 전동 팽창 밸브인 경우에는, 밸브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21)로 흡입되기 직전의 냉매 상태를, 보다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유량 조정 기구(30a)의 밸브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21)로 되돌아가는 냉매의 유량을 증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내 열교환기(41)측의 냉동 부하에 따라서 냉매의 순환류량, 즉 실내 열교환기(41)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4)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저류 탱크(25)로서 냉매를 저류하는 용기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이클론 방식의 기액 분리기를 채용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냉매 저류 탱크(25)는, 주로, 원통용기(251), 제1 접속관(252), 제2 접속관(253) 및 제3 접속관(254)을 갖고 있다.
제1 접속관(252)은, 원통용기(251)의 원주 측벽의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원통용기(251)의 내부와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2 팽창 기구(26) 또는 제1 팽창 기구(24)를 연락하고 있다. 제2 접속관(253)은, 원통용기(251)의 저벽에 연결되어 있고, 원통용기(251)의 내부와 상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팽창 기구(24) 또는 제2 팽창 기구(26)를 연락하고 있다. 제3 접속관(254)은, 원통용기(251)의 상벽에 연결되어 있고, 원통용기(251)의 내부와 바이패스관(30)을 연락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접속관(252)을 통해서 원통용기(251)로 유입되는 중간압의 냉매는, 원통용기(251)의 원주 측벽의 내주면(251a)을 따라 소용돌이처럼 흐르고, 그때, 그 내주면(251a)에 액 냉매가 부착되어 액 냉매와 가스 냉매가 효율적으로 분리된다.
액 냉매는 중력에 의해 강하하여, 하부측으로 저류되고, 제2 접속관(253)을 통해서 원통용기(251)로부터 유출된다. 한편, 가스 냉매는 선회하면서 상승하여, 상부측으로 저류되고, 제3 접속관(254)을 통해서 원통용기(251)로부터 유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냉매 저류 탱크(25)로서, 사이클론 방식의 기액 분리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액 분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액 분리기를 포함하는 냉매 저류 탱크(25)가 액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기능 및 액 성분과 가스 성분을 분리하는 기능의 양쪽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냉매 저류 용기와 기액 분리기를 병설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장치 구성의 간략화에 기여한다.
(5)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에서는, 실외 열교환기(23)가 복수의 편평관(231)과 파형 핀(232)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가 예시되어 있다. 이 실외 열교환기(23)는, 복수의 편평관(231)이 간격을 두고 겹쳐지도록 배열되고, 파형 핀(232)이 인접하는 편평관(231)에 끼워져 있다.
그러나, 실외 열교환기(23)는,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에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겹쳐지도록 배열된 복수의 편평관(231)과, 편평관(231)이 삽입되는 절결(236a)이 형성된 핀(236)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변형예 3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에서는, 실외 열교환기(23)가 복수의 편평관(231)과 파형 핀(232)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가 예시되어 있다. 이 실외 열교환기(23)는, 복수의 편평관(231)이 간격을 두고 겹쳐지도록 배열되고, 파형 핀(232)이 인접하는 편평관(231)에 끼워져 있다.
그러나, 실외 열교환기(23)는,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에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편평관이 사행 형상으로 성형되고, 핀이 편평관의 서로 인접하는 면 사이에 끼워져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2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7) 변형예 4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3에서는, 실외 열교환기(23)가 복수의 편평관(231)과, 파형 핀(232)이나 절결(236a)이 형성된 핀(236)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냉방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23)를 물로 냉각하는 냉동 장치의 경우, 실외 열교환기(23) 및 실내 열교환기(41)가 모두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이며, 실외 열교환기(23)의 전열관 직경이 실내 열교환기(41)의 전열관 직경보다도 좁은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3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변형예 5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4에서는, 냉매 회로(10)에 봉입되는 냉매로서, 다양한 냉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그 1종으로서, HFC계 냉매의 1종인 R32를 사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로서 R32를 사용하면, 저온 조건에서는, 압축기(21)의 윤활을 위해 냉매와 함께 봉입되어 있는 냉동기유의 용해도가 매우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이 되면, 냉매 온도의 저하에 의해, 냉동기유의 용해도가 크게 저하되게 된다. 냉매 회로(10)에서는,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제2 팽창 기구(26)를 통과한 후부터 실내 열교환기(41)를 거쳐서 압축기(21)로 흡입될 때까지의 사이의 회로 부분이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이 된다. 또한,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 기능하는 제1 팽창 기구(24)를 통과한 후부터 실외 열교환기(23)를 거쳐서 압축기(21)로 흡입될 때까지의 사이의 회로 부분이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이 된다. 또한, 냉매로서 R32를 사용하는 경우의 냉동기유로서는, R32에 대하여 어느정도 상용성을 갖는 에테르계 합성유나, R32에 대하여 비상용성을 갖는 광유, 알킬 벤젠계 합성유 등이 생각된다. 그리고, 에테르계 합성유에서는, -5℃ 정도까지 온도가 저하되면 상용성이 상실되고, 광유나 알킬 벤젠계 합성유에서는, 에테르계 합성유보다도 고온의 조건에서도 상용성을 갖지 않는다. 여기서, 예를 들어 압축기의 흡입측에 냉매 저류 탱크를 갖는 종래의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로서 R32를 사용하면, 냉동 사이클에서의 저압이 되는 냉매 저류 탱크 내에서 냉매와 냉동기유가 2층 분리되어, 압축기로 냉동기유가 되돌아가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변형예의 냉동 장치(1)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류측 팽창 기구 및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및 제2 팽창 기구(24, 26)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2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기(21)의 흡입측에 냉매 저류 탱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압축기(21)의 흡입측에서의 2층 분리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압축기(21)로 냉동기유가 되돌아가기 쉽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의 냉동 장치(1)에서는, 상류측 팽창 기구 및 하류측 팽창 기구로서의 제1 및 제2 팽창 기구(24, 26)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25)를 설치함으로써, 실외 열교환기(23)로서 적층형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등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23)의 용적이 실내 열교환기(41)의 용적 이하로 함으로써 발생하는 잉여 냉매의 문제뿐만 아니라, 냉매로서 R32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압축기(21)로의 냉동기유 복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각 운전 및 가열 운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냉동 장치에 대하여, 널리 적용 가능하다.
1 : 공기 조화 장치(냉동 장치)
21 : 압축기
23 : 실외 열교환기
24, 26 : 팽창 기구
25 : 냉매 저류 탱크
30 : 바이패스관
30a : 유량 조정 기구
41 : 실내 열교환기

Claims (11)

  1. 냉각 운전 시에 압축기(21), 실외 열교환기(23), 팽창 기구(24, 26) 및 실내 열교환기(41)의 순으로 냉매가 흐르고, 가열 운전 시에 상기 압축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 상기 팽창 기구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가 흐르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적층형 열교환기이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대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비가 0.3 내지 0.9이며,
    상기 팽창 기구는,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고압의 냉매를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까지 감압하는 상류측 팽창 기구와, 상기 상류측 팽창 기구에 있어서 감압된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의 냉매를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까지 감압하는 하류측 팽창 기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 상기 상류측 팽창 기구 및 상기 하류측 팽창 기구는 실외 유닛(2)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실내 유닛(4)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 유닛과 상기 실내 유닛은 액 냉매 연락관(5)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냉매는 R32이며,
    상기 상류측 팽창 기구와 상기 하류측 팽창 기구 사이에는, 상기 상류측 팽창 기구에 의해 감압된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의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탱크(2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매 저류 탱크는 상기 냉각 운전 시에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이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용적보다도 작은 것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잉여 냉매를 수용하는 냉동 장치(1).
  2. 냉각 운전 시에 압축기(21), 실외 열교환기(23), 팽창 기구(24, 26) 및 실내 열교환기(41)의 순으로 냉매가 흐르고, 가열 운전 시에 상기 압축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 상기 팽창 기구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순으로 냉매가 흐르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 용적의 30% 내지 90%이며,
    상기 팽창 기구는,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고압의 냉매를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까지 감압하는 상류측 팽창 기구와, 상기 상류측 팽창 기구에 있어서 감압된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의 냉매를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저압까지 감압하는 하류측 팽창 기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 상기 상류측 팽창 기구 및 상기 하류측 팽창 기구는 실외 유닛(2)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실내 유닛(4)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 유닛과 상기 실내 유닛은 액 냉매 연락관(5)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냉매는 R32이며,
    상기 상류측 팽창 기구와 상기 하류측 팽창 기구 사이에는, 상기 상류측 팽창 기구에 의해 감압된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중간압의 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탱크(2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매 저류 탱크는 상기 냉각 운전 시에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이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용적보다도 작은 것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잉여 냉매를 수용하는 냉동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3)는, 간격을 두고 겹쳐지도록 배열된 복수의 편평관과, 인접하는 상기 편평관에 끼워진 핀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인 냉동 장치(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3)는, 간격을 두고 겹쳐지도록 배열된 복수의 편평관과, 상기 편평관이 삽입되는 절결이 형성된 핀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인 냉동 장치(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3)는, 사행 형상으로 성형된 편평관과, 상기 편평관의 서로 인접하는 면 사이에 끼워진 핀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인 냉동 장치(1).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3)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41)는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이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전열관 직경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전열관 직경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냉동 장치(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저류 탱크(25) 내에 저류되는 냉매의 가스 성분을 상기 압축기(21) 또는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의 냉매관으로 유도하는 바이패스관(30)이 더 설치되어 있는 냉동 장치(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30)은 유량 조정 기구(30a)를 갖는 냉동 장치(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저류 탱크(25)는 기액 분리기인 냉동 장치(1).
  10. 삭제
  11. 삭제
KR1020147019771A 2011-12-20 2012-12-19 냉동 장치 Active KR101452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78427 2011-12-20
JPJP-P-2011-278427 2011-12-20
JPJP-P-2012-074660 2012-03-28
JP2012074660A JP5403095B2 (ja) 2011-12-20 2012-03-28 冷凍装置
PCT/JP2012/082912 WO2013094638A1 (ja) 2011-12-20 2012-12-19 冷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313A KR20140102313A (ko) 2014-08-21
KR101452690B1 true KR101452690B1 (ko) 2014-10-22

Family

ID=4866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771A Active KR101452690B1 (ko) 2011-12-20 2012-12-19 냉동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40360223A1 (ko)
EP (1) EP2801770B1 (ko)
JP (1) JP5403095B2 (ko)
KR (1) KR101452690B1 (ko)
CN (1) CN103998875B (ko)
AU (1) AU2012354761B2 (ko)
BR (1) BR112014014557B1 (ko)
ES (1) ES2797450T3 (ko)
WO (1) WO2013094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8022B2 (ja) * 2013-10-24 2016-02-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15111175A1 (ja) * 2014-01-23 2015-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装置
JP6865846B2 (ja) * 2017-10-10 2021-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11280529B2 (en) * 2019-06-10 2022-03-22 Trane International Inc. Refrigerant volume control
JP2021055958A (ja) * 2019-09-30 2021-04-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6828790B1 (ja) * 2019-10-31 2021-02-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7372556B2 (ja) * 2021-09-30 2023-11-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容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378A (ja) * 1994-11-29 1996-09-13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H10332212A (ja) * 1997-06-02 1998-12-15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の冷凍サイク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1908A3 (en) 1984-07-11 1987-07-15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gen and production thereof
US5111876A (en) * 1991-10-31 1992-05-12 Carrier Corporation Heat exchanger plate fin
JP2001248922A (ja) * 1999-12-28 2001-09-14 Daikin Ind Ltd 冷凍装置
JP5011957B2 (ja) * 2006-09-07 2012-08-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811204B2 (ja) * 2006-09-11 2011-11-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EP1974171B1 (en) * 2006-09-29 2014-07-23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nt vapor compression system with flash tank receiver
JP4856044B2 (ja) * 2007-10-17 2012-01-18 シャープ株式会社 熱交換器
ES2650443T3 (es) * 2007-12-26 2018-01-18 Lg Electronics Inc. Sistema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CN201196506Y (zh) * 2008-04-22 2009-02-18 陈灿 一种制暖系统的冷媒与制冷系统分离的空调装置
JP5228637B2 (ja) * 2008-06-11 2013-07-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冷媒回収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378A (ja) * 1994-11-29 1996-09-13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H10332212A (ja) * 1997-06-02 1998-12-15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の冷凍サイ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313A (ko) 2014-08-21
EP2801770A4 (en) 2015-09-16
EP2801770A1 (en) 2014-11-12
BR112014014557B1 (pt) 2022-01-11
CN103998875A (zh) 2014-08-20
EP2801770B1 (en) 2020-04-01
JP5403095B2 (ja) 2014-01-29
JP2013148328A (ja) 2013-08-01
AU2012354761A1 (en) 2014-08-07
US20140360223A1 (en) 2014-12-11
WO2013094638A1 (ja) 2013-06-27
BR112014014557A2 (pt) 2017-06-13
AU2012354761B2 (en) 2015-10-29
CN103998875B (zh) 2015-09-02
ES2797450T3 (es)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574B1 (ko) 냉동 장치
KR101452690B1 (ko) 냉동 장치
WO2012043377A1 (ja) 冷凍回路
CN105723164B (zh) 空调装置
US9488399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GB2569898A (en) Air conditioner
WO2013089179A1 (ja) 冷凍装置
US11181305B2 (en) Heat exchanger or refrigeration apparatus including heat exchanger
US20230106747A1 (en) Heat exchanger or refrigeration apparatus including heat exchanger
JP6036356B2 (ja) 冷凍装置
CN114502887B (zh) 冷冻装置
JP6036357B2 (ja) 空気調和装置
JP5765278B2 (ja) 室外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
KR101622225B1 (ko) 공기조화장치
CN106918167B (zh) 换热装置和具有所述换热装置的制冷剂蒸汽压缩系统
JP2014129961A (ja) 空気調和装置
JP2008196760A (ja) 冷凍装置
JP2024034631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