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2392B1 - 혐기성 소화조 - Google Patents

혐기성 소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392B1
KR101452392B1 KR20140039479A KR20140039479A KR101452392B1 KR 101452392 B1 KR101452392 B1 KR 101452392B1 KR 20140039479 A KR20140039479 A KR 20140039479A KR 20140039479 A KR20140039479 A KR 20140039479A KR 101452392 B1 KR101452392 B1 KR 10145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pump
gas
pip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3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나비니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나비니테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나비니테즈
Priority to KR2014003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39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02F3/2893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with biogas recyc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13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anaerobic contac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혐기성 소화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혐기성 소화조는,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처리된 소화여액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임펠러가 구비되어 유입된 폐수를 교반하는 기계적 교반부; 및 펌프를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된 폐수를 순환시켜 교반하는 펌프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적 교반 방식과 펌프 교반 방식을 혼합하여 동작할 수 있는 혐기성 소화조를 제공함으로써, 기계적 교반 방식의 장점과 펌프 교반 방식의 장점을 결합시켜 혐기성 소화조의 동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혐기성 소화조{ANAEROBIC DIGESTION TANK}
본 발명은 혐기성 소화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혐기성 소화조로 유입된 폐수를 교반하여 혐기성 소화조 내의 폐수 농도를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한 혐기성 소화조에 관한 것이다.
혐기성 소화는 액상 및 반고상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이용되며, 주로, 음식물류 폐기물 탈리액, 분뇨 등 유기성 폐수를 처리하여 폐수 또는 폐기물을 처리함과 동시에 메탄 등의 바이오 가스를 회수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유기성 폐수를 수용할 수 있는 탱크가 필요하며, 이 탱크를 혐기성 소화조라 한다.
혐기성 소화조 내에 유기성 폐수를 수용한 상태에서 여러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통해 바이오가스로 전환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혐기성 소화조 내부에 석회질, 뼛가루, 섬유질 등의 무기성 침전물이 쌓인다. 이 무기성 침전물이 점차 고형화되어 혐기성 소화조 하부에 쌓이면서 결국에는 정기적으로 침전물을 준설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혐기성 소화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혐기성 소화조 내로 유입된 폐수를 혼합하여야 하며, 혼합방식은 세 가지 정도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로, 혐기성 소화조 내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의 압력에 의한 수두차(水頭差)를 이용한 무동력 교반 방식이 있으며, 두 번째로, 혐기성 소화조에 직접 교반기를 설치하여 교반하는 기계적 교반 방식이 있고, 세 번째로, 펌프를 이용한 펌프 교반 방식이 있다.
무동력 교반 방식은 하수처리장 등에 설치된 경우가 많이 있지만, 혼합 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혐기성 소화조에 적용하면 혼합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결국에는 혐기성 소화조 내부에 침전물이 발생하여 혐기성 소화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혐기성 소화조의 동작으로 발생한 바이오가스를 직접 혐기성 소화조 내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유지비용은 적게 소요되지만,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소수성물질의 표면활성 슬러지로 인해 혐기성 소화조 상단에 스컴(scum)이 발생하여 혐기성 소화조 동작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기계적 교반 방식은 외부에 구비된 모터가 구동되어 내부의 임펠러가 회전하여 폐수를 혼합한다. 이런 기계적 교반 방식은 소요 동력이 적게 소모되고, 고농도 및 하루에 100톤 이상의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이지만, 혐기성 소화조 하부에 모래 등과 같이 무거운 물질들이 축척될 여지가 있어, 상하교반이 완전하지 않은 영역이 혐기성 소화조 내에 발생할 문제가 있다.
펌프 교반 방식은 펌프를 이용하여 유입된 폐수를 순환시켜 교반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펌프 교반 방식은 교반효율이 높지만 소요 동력도 높아 혐기성 소화조를 동작시키는 비용이 상승하여 하루에 100톤 이상의 대용량을 처리하는 경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988587호(혐기성 소화조, 등록일: 2010.10.1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혐기성 소화조 내에 유입된 폐수가 적절히 혼합되도록 하여 효율성이 높은 혐기성 소화조를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혐기성 소화조는,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처리된 소화여액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임펠러가 구비되어 유입된 폐수를 교반하는 기계적 교반부; 및 펌프를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된 폐수를 순환시켜 교반하는 펌프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계적 교반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 상기 몸체부 내부 상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임펠러는 둘 이상이며, 둘 이상의 임펠러 중 하나는 유입된 폐수의 상부 표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펌프 교반부는, 상기 몸체부 내의 폐수를 흡입하기 위해 상방향 또는 측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흡입구가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폐수를 상기 몸체부 내로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타 측에 구비된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 중간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 내의 폐수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관은, 상기 하나 이상의 흡입구에서 흡입된 폐수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타 측에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구비된 제1배출순환관; 상기 제1배출순환관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흡입구에서 흡입된 폐수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타 측에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구비된 제2배출순환관; 및 상기 제2배출순환관 내의 폐수 이송여부를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혐기성 소화조는, 상기 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관; 상기 가스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바이오가스를 압축하는 가스 압축기; 상기 순환관과 연결되며, 상기 가스 압축기에서 압축된 바이오가스를 상기 순환관 내부로 이송하는 가스 이송관; 및 상기 가스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바이오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저장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적 교반부 및 펌프 교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계적 교반부와 펌프 교반부를 교대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기계적 교반부와 펌프 교반부의 동작 시간을 a 대 1의 비율이 되도록 교대로 동작하게 제어하며, 상기 a는 1 이상 10 이하의 숫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적 교반 방식과 펌프 교반 방식을 혼합하여 동작할 수 있는 혐기성 소화조를 제공함으로써, 기계적 교반 방식의 장점과 펌프 교반 방식의 장점을 결합시켜 혐기성 소화조의 동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불어, 혐기성 소화조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펌프 교반을 위한 순환관에 유입시켜, 순환관을 통해 혐기성 소화조 몸체부 내부로 배출되는 폐수에 바이오가스를 같이 배출되도록 하여 펌프 교반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해 기계적 교반과 펌프 교반이 교대로 동작하도록 하여, 기계적 교반 방식이 갖는 적은 소요 동력 이용 및 대용량 처리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펌프 교반 방식으로 기계적 교반 방식이 갖는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혐기성 소화조의 유지비용을 낮추고 성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혐기성 소화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혐기성 소화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혐기성 소화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혐기성 소화조(100)는 몸체부(110), 기계적 교반부(120), 펌프 교반부(130), 가스 이송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몸체부(1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2)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처리가 완료된 소화여액이 배출되는 배출관(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부(110) 상단에 몸체부(110) 내부에서 폐수가 혐기성 소화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바이오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관(14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입관(112)은 몸체부(110) 하부 일측면에 형성되며, 배출관(114)은 몸체부(110) 상부에 형성되어, 몸체부(110) 하부에서 유입된 폐수가 혐기성 소화 작용을 통해 처리된 소화여액은 몸체부(110) 상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몸체부(110) 내부에 소화여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114)과 연결되어 유량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위어(weir, 116)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18)이 몸체부(110) 내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격벽(118)은 몸체부(110)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 격벽(118)은 기계적 교반부(120) 또는 펌프 교반부(130)가 동작할 때, 폐수가 회전하면서 발생된 난류가 격벽(118)에 부딪혀 산란 작용에 의해 보다 강한 난류 흐름이 만들기 위해 설치된다.
기계적 교반부(120)는 몸체부(110) 내부에 구비되어, 몸체부(110) 내부의 폐수를 회전시켜 교반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내지 제3임펠러(122a, 122b, 122c), 샤프트(124) 및 모터(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내지 제3임펠러(122a, 122b, 122c)는 샤프트(124)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제1임펠러(122a)는 몸체부(110) 내부로 유입된 폐수의 상부 표면에 배치되어 회전됨으로써, 폐수가 혐기성 소화 작용에 의해 발생된 기포에 의해 스컴(scum)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종래에 스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던 분산판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제1임펠러(122a)를 구동시킴으로써, 보다 능동적으로 스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임펠러(122b) 및 제3임펠러(122c)는 몸체부(110) 내부로 유입된 폐수에 잠긴 상태에서 회전하여 폐수를 회전 교반시킨다. 물론, 필요에 따라 임펠러의 수는 변동될 수 있다.
샤프트(124)는 몸체부(110) 상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제1 내지 제3임펠러(122a, 122b, 122c)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축으로 역할을 하고, 모터(126)에 의해 구동된다.
모터(126)는 몸체부(110) 상단 외부에 위치하여, 샤프트(124)와 연결되고, 제어부(150)를 제어를 받아 샤프트(124)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펌프 교반부(130)는 펌프(134)를 이용하여 유입된 폐수를 순환시켜 교반하기 위한 것으로, 순환관(132) 및 펌프(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순환관(132)은 몸체부(110) 내의 상부의 폐수를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부측인 일측에 폐수를 흡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흡입구(S1, S2, S3)가 구비되고, 하부측인 타측에 흡입구(S1, S2, S3)를 통해 흡입된 폐수를 다시 몸체부(110) 내로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구(D1, D2, D3)가 구비된다. 그리고 순환관(132)은 몸체부(110)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몸체부(110) 내부로 연장된다. 그리하여, 흡입구(S1, S2, S3)로 흡입된 폐수는 몸체부(110) 외부로 나갔다가 내부로 다시 들어와 배출구(D1, D2, D3)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흡입구(S1, S2, S3)는 상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흡입구(S1)와 측방향으로 형성된 제2 및 제3흡입구(S2, S3)가 구비되어, 제1흡입구(S1)를 통해서는 몸체부(110) 내부의 상부쪽의 폐수를 흡입하고, 제2 및 제3흡입구(S2, S3)는 몸체부(110) 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분리되어 몸체부(110) 내부의 측부쪽의 폐수를 흡입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더 많은 흡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관(132)은 몸체부(110) 외부에서 제1배출순환관(132a)과 제2배출순환관(132b)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배출순환관(132a)의 단부에 형성된 제1배출구(D1)는 몸체부(110) 내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폐수가 몸체부(110)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난류를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배출순환관(132a)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는 두 개의 제1배출순환관(132a)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두 개의 제1배출순환관(132a)이 설치되는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배출순환관(132a)에서 배출된 폐수가 원활한 회전 난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제1배출순환관(132a)의 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배출구(D1, D2)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배출구(D1, D2)는 단부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꺾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부(110) 하부에 침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속도를 증가시켜 회전 난류를 형성하는데 보다 유리하다.
제2배출순환관(132b)은 몸체부(110) 내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몸체부(110) 하부 중앙으로 연장된다. 제2배출순환관(132b)에 형성된 제3배출구(D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랫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3배출구(D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3배출구(D3)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출순환관(132b)에는 폐수의 이용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밸브(136)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배출순환관(132b)에 밸브(136)가 구비되는 것은 혐기성 소화조(100)의 운전 조건에 따라 불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며, 밸브(136)를 개방하여 제2배출순환관(132b)까지 동작시키는 것이 난류 형성에 보다 바람직하다.
펌프(134)는 몸체부(110) 외부에 위치하고 순환관(132) 중간에 설치되며, 흡입구(S1, S2, S3)를 통해 폐수가 순환관(132)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펌프(134)는 순환관(132)이 제1배출순환관(132a)과 제2배출순환관(132b)으로 분리되기 전의 순환관(132) 중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되도록 흡입구(S1, S2, S3)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스 이송부(140)는 몸체부(110) 내에서 혐기성 소화 작용에 의해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스 배출관(142), 가스 압축기(144), 가스 이송관(146) 및 가스 저장조(1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스 배출관(142)은 몸체 상부에 형성되며, 몸체부(110)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가 배출된다.
가스 압축기(144)는 가스 배출관(142)을 통해 배출된 바이오가스를 압축하여 압축된 바이오가스를 가스 이송관(146)으로 보낸다.
가스 이송관(146)은 일단이 가스 압축기(144)와 연결되며 타단이 순환관(132)과 연결되어, 가스 압축기(144)에서 압축된 바이오가스는 가스 이송관(146)을 통해 순환관(132) 내부로 이송된다. 이때, 가스 이송관(146)의 타단과 순환관(132)이 연결되는 위치는 펌프(134)의 전단에 위치하여, 펌프(134)에 폐수와 압축된 바이오가스가 함께 유입되어 바이오가스가 폐수에 잘 혼합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순환관(132)을 통해 제1 내지 제3배출구(D1, D2, D3)로 배출되는 폐수는 바이오가스가 혼합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펌프 교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가스 저장조(148)는 가스 배출관(142)과 연결되어 가스 압축기(144)로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바이오가스가 저장된다.
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 교반부(120), 펌프 교반부(130) 및 가스 이송부(14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이때, 펌프 교반부(130)는 가스 이송부(140)의 가스 압축기(144)와 동시에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펌프 교반부(130)만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기계적 교반부(120)와 펌프 교반부(130)를 동시에 구동시키지 않고, 정해진 시간동안 교대로 구동시킨다. 일례로, 펌프 교반부(130)는 구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기계적 교반부(120)를 하루에 20시간 동안 동작시킨 다음, 기계적 교반부(120)의 동작을 중지한 상태에서 펌프 교반부(130)를 나머지 4시간 동안 동작시킨다.
기계적 교반 방식은 혐기성 소화조(100) 교반에 필요한 소요 동력이 적게 소모되고, 하루 100톤 이상의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교반이 가능하지만, 하부에 모래 등의 무거운 물질들이 축적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계적 교반부(120)가 20시간 동안 동작된 이후, 펌프 교반부(130)가 나머지 4시간 동안 동작되어 하부에 축적된 물질들을 순환시켜 몸체부(110) 내부에 사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기계적 교반부(120)와 펌프 교반부(130)를 교대로 동작시키는 것을 좀 더 세분화할 수 있다. 그 예로, 10시간 동안 기계적 교반부(120)를 동작시키고, 2시간 동안 펌프 교반부(130)를 동작시키며, 다시 10시간 동안 기계적 교반부(120)를 동작시키고, 2시간 동안 펌프 교반부(130)를 동작시키는 등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대용량 혐기성 소화조(100)의 안정적인 교반이 가능하고, 혐기성 소화조(100) 내부의 사영역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혐기성 소화조(100) 동작에 필요한 소요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50)가 기계적 교반부(120)와 펌프 교반부(130)를 일정 비율의 시간에 따라 교대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기계적 교반부(120)의 동작시간과 펌프 교반부(130)의 동작시간의 비율은 a:1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a는 1 내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기계적 교반부(120)를 동작시킬 때, 실질적으로 모터(126)를 제어하여 기계적 교반부(120)를 동작시키며, 펌프 교반부(130)를 동작시킬 때 펌프(134)를 제어하여 펌프 교반부(130)를 동작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펌프 교반부(130)와 가스 이송부(140)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펌프(134)와 같이, 가스 압축기(144)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혐기성 소화조
110: 몸체부 112: 유입관
114: 배출관 116: 위어
118: 격벽 120: 기계적 교반부
122a: 제1임펠러 122b: 제2임펠러
122c: 제3임펠러 124: 샤프트
126: 모터 130: 펌프 교반부
132: 순환관 132a: 제1배출순환관
132b: 제2배출순환관 S1, S2, S3: 제1 내지 제3흡입구
D1, D2, D3: 제1 내지 제3배출구
134: 펌프 136: 밸브
140: 가스 이송부 142: 가스 배출관
144: 가스 압축기 146: 가스 이송관
148: 가스 저장조 150: 제어부

Claims (8)

  1.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처리된 소화여액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하나는 유입된 폐수의 상부 표면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상기 하나와 하부로 이격된 다수의 임펠러와, 상기 몸체 부 내부 상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유입된 폐수를 교반하는 기계적 교반부;
    상기 몸체부 내의 폐수를 흡입하기 위해 상방향 또는 측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흡입구가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폐수를 상기 몸체부 내로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타측에 구비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 중간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 내의 폐수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시키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된 폐수를 순환시켜 교반하는 펌프 교반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관과, 상기 가스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바이오가스를 압축하는 가스 압축기와, 상기 순환관과 연결되며 상기 가스 압축기에서 압축된 바이오가스를 상기 순환관 내부로 이송하는 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스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바이오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저장조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 내에서 발생되어 배출된 바이오가스를 압축하여 상기 펌프 교반부의 폐수에 혼합시키는 가스 이송부 및
    상기 기계적 교반부, 펌프 교반부 및 가스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펌프 및 가스 압축기를 각각 제어하여, 기계적 교반부와 펌프 교반부를 교대로 동작시키되, 상기 펌프 교반부의 동작 시, 상기 가스 이송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소화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은,
    상기 하나 이상의 흡입구에서 흡입된 폐수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타 측에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구비된 제1배출순환관;
    상기 제1배출순환관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흡입구에서 흡입된 폐수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타 측에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구비된 제2배출순환관; 및
    상기 제2배출순환관 내의 폐수 이송여부를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소화조.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계적 교반부와 펌프 교반부의 동작 시간을 a 대 1의 비율이 되도록 교대로 동작하게 제어하며, 상기 a는 1 이상 10 이하의 숫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소화조.
KR20140039479A 2014-04-02 2014-04-02 혐기성 소화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45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9479A KR101452392B1 (ko) 2014-04-02 2014-04-02 혐기성 소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9479A KR101452392B1 (ko) 2014-04-02 2014-04-02 혐기성 소화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392B1 true KR101452392B1 (ko) 2014-10-22

Family

ID=5199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94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2392B1 (ko) 2014-04-02 2014-04-02 혐기성 소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39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11B1 (ko) 2016-09-20 2016-12-27 주식회사 부강테크 고효율 혐기성 소화조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23639B1 (ko) 2018-11-30 2019-09-20 주식회사 환경에너지오앤엠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고율 건식 혐기성 소화 장치
KR20200112146A (ko) 2019-03-21 2020-10-05 일산실업주식회사 폐수 처리를 위한 혐기성 소화조
KR102348469B1 (ko) * 2021-07-06 2022-01-10 주식회사 디에이치 진동과 소음방지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형 혐기성 소화조시스템
WO2022015843A1 (en) * 2020-07-14 2022-01-20 Jacobi Robert W Water and wastewate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412840B1 (ko) * 2021-11-23 2022-06-23 김유학 바이오가스 재활용을 통한 교반 효율을 극대화시킨 소화조 교반기
KR102440944B1 (ko) * 2021-07-06 2022-09-06 주식회사 디에이치 하이브리드형 혐기성 소화조
KR102470350B1 (ko) 2022-07-01 2022-11-25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싸이클론식 퇴적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역순환형 혐기성 소화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7608A (ja) * 2004-12-16 2006-06-29 Sumitomo Heavy Ind Ltd 低動力撹拌による発酵方法および装置
JP2008136955A (ja) * 2006-12-04 2008-06-19 Kajima Corp アンモニア阻害抑制型メタン発酵装置
KR101032608B1 (ko) * 2010-11-30 2011-05-06 현대건설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272243B1 (ko) * 2013-05-07 2013-06-11 새한환경기술(주)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선택 작동식 혐기성 소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7608A (ja) * 2004-12-16 2006-06-29 Sumitomo Heavy Ind Ltd 低動力撹拌による発酵方法および装置
JP2008136955A (ja) * 2006-12-04 2008-06-19 Kajima Corp アンモニア阻害抑制型メタン発酵装置
KR101032608B1 (ko) * 2010-11-30 2011-05-06 현대건설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272243B1 (ko) * 2013-05-07 2013-06-11 새한환경기술(주)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선택 작동식 혐기성 소화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11B1 (ko) 2016-09-20 2016-12-27 주식회사 부강테크 고효율 혐기성 소화조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23639B1 (ko) 2018-11-30 2019-09-20 주식회사 환경에너지오앤엠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고율 건식 혐기성 소화 장치
KR20200112146A (ko) 2019-03-21 2020-10-05 일산실업주식회사 폐수 처리를 위한 혐기성 소화조
WO2022015843A1 (en) * 2020-07-14 2022-01-20 Jacobi Robert W Water and wastewater conditioning apparatus
US11938452B2 (en) 2020-07-14 2024-03-26 Rezolv Technology LLC Water and wastewate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348469B1 (ko) * 2021-07-06 2022-01-10 주식회사 디에이치 진동과 소음방지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형 혐기성 소화조시스템
KR102440944B1 (ko) * 2021-07-06 2022-09-06 주식회사 디에이치 하이브리드형 혐기성 소화조
KR102412840B1 (ko) * 2021-11-23 2022-06-23 김유학 바이오가스 재활용을 통한 교반 효율을 극대화시킨 소화조 교반기
KR102470350B1 (ko) 2022-07-01 2022-11-25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싸이클론식 퇴적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역순환형 혐기성 소화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392B1 (ko) 혐기성 소화조
KR101043917B1 (ko) 쌍방향 흡입 교반장치
KR100971998B1 (ko) 혐기성 소화조 장치
CN102482130A (zh) 离心分离装置
CN202492407U (zh) 一种消除泡沫装置
JPH07256071A (ja) 固液混合装置
CN105236554A (zh) 具备双重空气管的微泡扩散器及废水处理系统
EA006732B1 (ru) Разб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густителя
JP2010167328A (ja) 曝気攪拌機
KR101192174B1 (ko) 하폐수고도처리장치
KR101049253B1 (ko) 급속 교반기를 구비한 오폐수 정화장치
CN204981285U (zh) 一种混合反应罐
EP2826548A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N207877535U (zh) 废水处理高效生物氧化装置
US20140367332A1 (en) Septic system and method of treating sewage and grease
KR102195868B1 (ko) 단일 반응조형 가압부상 시스템
KR100220189B1 (ko) 하.폐수 처리장치
KR20170003069U (ko) 스컴 제거를 위한 혐기성 소화조
KR102298527B1 (ko) 가스믹서와 분쇄펌프가 결합된 일체식 순환시스템이 장착된 혐기성 소화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9368868B (zh) 应用于电路板生产行业的自动化污水处理设备及处理方法
CN220703368U (zh) 絮凝固体过滤回收一体机
CN207760146U (zh) 一种综合富氧污水沉淀池
JPS6024407Y2 (ja) 迂流式混合装置
CN215798926U (zh) 一种溶气气浮机
CN216005582U (zh) 一种可循环抗老化化粪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