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359B1 - Method for providing of toy assembly video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of toy assembly video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2359B1 KR101452359B1 KR1020140020593A KR20140020593A KR101452359B1 KR 101452359 B1 KR101452359 B1 KR 101452359B1 KR 1020140020593 A KR1020140020593 A KR 1020140020593A KR 20140020593 A KR20140020593 A KR 20140020593A KR 101452359 B1 KR101452359 B1 KR 1014523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y
- image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colo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8—Dolls of flat paper to be cut-out, folded, or cloth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8—Assembling,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사용자기기가 카메라부가 완구판을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기기의 색상인식부가 인식된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기기의 식별정보추출부가 인식된 완구판으로부터 완구판의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사용자기기의 영상생성부가 사용자기기의 메모리부로부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조립영상을 추출하고, 제 1 색상정보와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기기의 영상재생부가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 2 조립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s. The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user equipment recognizing the toy plate of the camera unit, the color recognition unit of the user equipment coloring each of at least one toy piece placed on the recognized toy plate A step of extracting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oy plate from the toy plat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of the user equipment is recognized, the image generating unit of the user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of the user device Generating a second assembly image in which at least one colored toy piece is assembled using the first color information and the first assembly image, And displaying the second assembled imag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ssembled par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가 완구판을 인식하는 동안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조립영상을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y assembly image providing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an assembly image in which a plurality of toy pieces arranged on a toy plate are assembled through a display unit of a user device while a camera portion of the user device recognizes the toy plate.
일반적으로 장난감은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여러 가지 물건이다. 최근에는, 장난감이 단순히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물건이 아닌, 아이들의 상상력 및 창작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oys are a variety of things that children play with. In recent years, toys have been used to improve children's imagination and creative abilities, rather than simply playing with children.
아이들의 상상력 및 창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난감의 예를 들면, 장난감은 복수의 장난감조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장난감조각이 조립됨으로써 동물 또는 공룡 등의 모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이들은 복수의 동물 또는 공룡 등의 모형을 완성하기 위하여 장난감조각을 조립하는 동안 창작 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조립된 동물 또는 공룡 모형을 가지고 노는 동안 상상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장난감조각 각각에는 복수의 장난감조각이 결합되는 순서에 대한 소정의 번호가 기입될 수 있다. 아이들은 복수의 조각 각각에 기입된 소정의 번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각을 결합하는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a toy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toy pieces, and a plurality of toy pieces may be assembled into a model such as an animal or a dinosaur. Children can improve their creative ability during assembly of toy pieces to complete a model of multiple animals or dinosaurs, and the imagination can be improved while playing with an assembled animal or dinosaur model.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toy pieces may be given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order in which the plurality of toy pieces are combined. The children can confirm the order of combining the plurality of pieces using the predetermined number writte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하지만, 복수의 조각 각각에 기입된 번호만으로는 복수의 장난감조각이 어떻게 결합되는 지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어렵고, 나이가 어린 아이들은 복수의 장난감조각 각각에 기입된 번호만으로는 스스로 복수의 장난감조각을 조립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know how a plurality of toy pieces are combined by only the numbers writte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and it is difficult for young children to know how many pieces of toy pieces are difficult to assemble by themselves .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가 인식하는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조립영상을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which can display an assembly image in which a toy piece disposed on a toy plate recognized by a camera unit of a user equipment is assembled through a display unit of the user equipment There is a purpose i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제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objects which are not limit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사용자기기가 카메라부가 완구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색상인식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식별정보추출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으로부터 상기 완구판의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생성부가 상기 사용자기기의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조립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제 1 색상정보 및 상기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재생부가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 2 조립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comprising: recognizing a toy plate of a camera unit by a user equipment; Generating first color information for the colored color in each of the at least one toy pieces disposed on the toy board where the color recognition portion of the user device is recognized; Extracting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oy plate from the toy plat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of the user equipment is recognized; Wherein the image generating unit of the user equipment extracts a first assembly image corresponding to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of the user equipment and generates at least one toy piece colored with the first color information and the first assembly image Generating a second assembly image to be assembled; And displaying the second assembly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equipment.
또한, 상기 식별정보추출부는 상기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의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may extract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hap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oy pieces disposed on the toy plate.
또한, 상기 식별정보추출부는 상기 완구판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이 배치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may extract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a position where each of the at least one toy pieces is disposed on the toy plate.
또한, 상기 메모리부는 복수의 완구판 각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영상에 대한 복수의 샘플영상이 기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may store a plurality of sample images for an image in which at least one toy piec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oy plates is assembled.
또한, 상기 복수의 샘플영상 각각은 영상식별정보가 매칭되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ample imag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by matching th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영상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샘플영상 중 상기 완구식별정보에 일치하는 상기 영상식별정보가 매칭된 샘플영상을 상기 제 1 조립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Also, the image generating unit may extract a sample image in which th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ample images is matched with the first assembly i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상기 색상인식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이 채색된 제 1 색상에 대한 제 2 색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second color information for a first color in which an area other tha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oy plate recognized by the color recognition unit is colored; .
또한, 상기 완구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중 하나에 채색된 색상이 제 2 색상이면, 상기 영상생성부는 상기 제 2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색상이 채색된 완구조각에 상기 제 1 색상을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완구 조각이 조립되는 상기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If the color of one of the at least one toy pieces arranged on the toy plate is a second color, the imag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the first color information by using the second color information, The color may be applied to generate the second assembly image in which at least one toy piece is assembled.
또한, 상기 제 2 색상은 흰색일 수 있다.Also, the second color may be white.
또한, 상기 메모리부는 복수의 완구판 각각의 정보에 대한 복수의 데이터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may store a plurality of pieces of data information for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oy plates.
또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정보 각각은 데이터식별정보가 매칭되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data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with matching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상기 영상생성부가 상기 복수의 데이터정보 중 상기 완구식별정보에 일치하는 상기 데이터식별정보가 매칭된 데이터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재생부는 추출된 데이터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comprising: extracting data information in which the image generation unit matches th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pieces of data information; And the image reproducing unit may display the extracted data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영상재생부는 제 2 조립영상 및 상기 데이터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reproducing unit may display the second assembly image and the data information as an augmented reality through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y assembly imag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따르면, 영상재생부가 영상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 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과정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assembly image, in which at least one toy piece generated from the image generation unit is assembl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toy pieces placed on the toy plate can be easily confi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따르면, 제 2 조립영상이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 조각이 조립되는 영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ssembly image is formed of an image in which at least one toy piece colored by the user is assembled, thereby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to the user can do.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 가능한 사용자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적용 가능한 완구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의해 생성된 제 2 조립영상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의해 생성된 제 2 조립영상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equipment capable of performing a toy assembly imag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y plate applicable to a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econd assembly image generated by a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of a user equipment.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econd assembly image generated by a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of a user equipment.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nly.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or "compris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not the exclusion of any other element . Also, the terms "... unit," " part, "or" module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Software. ≪ / RTI >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function block or means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ub-components, and the electrical, electronic, and mechanical functions performed by the components may be electronic circuits, An integrated circuit, an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or the like,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two or more may be integrated into one.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f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the steps of the flowchart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edd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a special purpose computer, a portable notebook computer, a network computer,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 on-line game service provision serv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ose instructions, which are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data processing equipment as possible, will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s described below.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memory or in a computer readable memory available to a computer device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products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respective steps of the flowchar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onto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process for performing a series of operating steps on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be created to determine each block and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Fig.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terminal " means all calculation means capable of collecting, reading, processing, processing, storing, and displaying data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smart phone, a PDA, . In particular, the termi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written in a readable code, and capable of displaying and transmitting the software to a user. In addition, the software may be stored on its own if necessary, or may be read with data from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 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 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LTE, LTE-A,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unctions such as input, output, and storage as well as the above-described data processing functions. For this purpose, a CPU, a main board, a graphic card, a hard disk, Such as a CPU, a main board, a graphic chip, a memory chip, a sound engine, a speaker, a touch pad, a USB, etc. of wireless smartphone terminals as well as various elements such as a sound card, a speaker, a keyboard, a mouse, a monitor,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antenna, a communication modem capable of implementing communication such as 3G, LTE, LTE-A, WiFi, Bluetooth, and the lik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various element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or a combination of the various elements may implement one or more functions, and may be embodied in one or more blocks in the drawings or in the description Portions thereof may mean that the various elements included in the above terminal may be singly or two or more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various elements may represent one or more function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WCDMA, Wibro, WiFi, LTE, LTE-A, 유무선 전화망 등의 각종 네트워크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have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may be a wired Internet, a wireless Internet, an infrared communication, a Bluetooth, a WCDMA, a Wibro, a WiFi, an LTE, an LTE- Various network means can be provid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 가능한 사용자기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도 1에 도시된 사용자기기(100)는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영상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기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통해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기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구동됨으로써 완구 조립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기기(100)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 등과 같이 카메라를 통해 특정 물체를 인식하고 표시할 수 있는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도 1을 참고 하면, 사용자기기(100)는 제어부(110), 메모리부(120), 송수신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및 카메라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제어부(110)는 사용자기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기기(100)에 기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구동되어 사용자기기(100)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제어부(110)는 색상인식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인식부(111)는 카메라부(160)가 인식하는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색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제어부(110)는 식별정보추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정보추출부(112)는 카메라부(160)가 인식하는 완구판으로부터 완구판에 포함된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제어부(110)는 영상생성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정보추출부(112)로부터 추출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20)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영상에 대한 복수의 샘플영상 중 하나를 제 1 조립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생성부(113)는 색상인식부(111)로부터 생성되는 색상정보 및 추출된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제어부(110)는 영상재생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재생부(114)는 영상생성부(113)로부터 생성되는 제 2 조립영상을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메모리부(120)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과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과 상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으로써 복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영상에 대한 복수의 샘플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The
송수신부(130)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웹서버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영상재생부(114)에 의해 조립영상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공지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50)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키보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공지의 입력수단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카메라부(160)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사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촬영되는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적용 가능한 완구판(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도 2를 참고 하면, 완구판(200)은 완구판(2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은 특정 형상의 모형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됨으로써, 상기 특정 형상의 모형이 완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중 일부는 공룡 또는 동물의 신체 일부를 형상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중 나머지는 공룡 또는 동물의 신체 일부를 형상화하여 형성된 완구조각을 결합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됨으로써, 공룡 또는 동물의 모형이 완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은 자동차 또는 가구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이 자동차 또는 가구의 일보로 형성되면,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어 자동차 또는 가구의 모형이 완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2, the
한편, 완구판(200)은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을 통해 코드화될 수 있다. 즉, 완구판(200)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의 형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완구판(200)에 배치되는 위치를 통해 코드화될 수 있다. 완구판(200)은 코드화됨으로써, 완구판(200)을 식별하기 위한 완구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완구판(2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완구판(200)과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형상 또는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완구판(2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완구판(200)과 상이한 완구식별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완구판(200)은 소정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모형의 설명이 기입될 수 있다. 또한, 완구판(200)은 소정위치에 공룡 또는 동물의 신체 일부를 형상화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설명이 기입될 수 있다.A description of a model in which at least one piece of
한편, 완구판(200)은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성분이 발생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구판(200)은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한 성분이 발생되지 않는 종이 골판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종이 골판지와 같이 유해성분이 발생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된 완구판(200)을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동안 완구판(200)을 통해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한 성분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인 도 3을 참고 하여, 사용자기기(100)에서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조립영상이 표시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which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displaying an assembly image in which a toy piece is assembled in the
먼저, 사용자기기(100)의 카메라부(160)가 완구판(200)을 인식한다(S110). 카메라부(160)는 완구판(200)을 촬영함으로써 완구판(200)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기기(100)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되는 완구판(200)을 사용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First, the
다음으로, 사용자기기(100)의 색상인식부(111)가 인식된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한다(S120).Next, the
이때,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소정 색상으로 채색되어 있을 수 있다. 색상인식부(111)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되는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에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색상을 인식할 수 있다. 색상인식부(111)는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에 채색된 색상을 근거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 1 색상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정보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at least one
다음으로, 사용자기기(100)의 식별정보추출부(112)가 인식된 완구판(200)으로부터 완구판(200)의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한다(S130).Next, the identification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완구판(200)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의 형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완구판(200)에 배치되는 위치를 통해 코드화됨으로써 완구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식별정보추출부(112)는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형상을 이용하여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식별정보추출부(112)는 완구판(2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이 배치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다음으로, 사용자기기(100)의 영상생성부(113)가 사용자기기(100)의 메모리부(120)로부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조립영상을 추출한다(S140).Next, the
이때, 메모리부(120)에는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에 대한 샘플영상이 기 저장될 수 있다. 완구판(200)은 서로 다른 종류로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완구판(200)이 존재하는 경우, 메모리부(120)에는 복수의 완구판(200) 각각에 대응되는 샘플영상이 기 저장될 수 있다. 즉, 메모리부(120)에는 복수의 샘플영상이 기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120)에 기 저장되는 복수의 샘플영상은 사용자기기(10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기기(100)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때, 메모리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복수의 샘플영상 각각은 영상식별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샘플영상 각각에 매칭되는 영상식별정보는 완구판(200)에 포함된 완구식별정보와 동일한 형태의 정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구판(200)에 포함된 완구식별정보가 소정의 숫자와 문자가 조합된 코드정보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샘플영상 각각에 매칭되는 영상식별정보도 소정의 숫자와 문자가 조합된 코드정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영상생성부(113)는 완구식별정보와 영상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Also, each of the plurality of sample images may be matched with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ample images may be formed of the same type of information as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영상생성부(113)는 복수의 샘플영상 중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에 일치하는 영상식별정보가 매칭된 샘플영상을 제 1 조립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즉, 영상생성부(113)로부터 추출된 제 1 조립영상은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일 수 있다.The
다음으로, 영상생성부(113)가 제 1 색상정보 및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한다(S150).Next, the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색상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정보이고, 제 1 조립영상은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210) 조립되는 샘플영상일 수 있다. 즉, 영상생성부(113)는 제 1 색상정보와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에 대한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l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color painted on each of the at least one toy pieces, and the first assembly image is at least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toy piece disposed on the
한편, 색상인식부(111)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채색된 제 1 색상에 대한 제 2 색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색상인식부(111)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채색된 색상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색상을 인식하는 위치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완구판(200)이 책상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카메라부(160)가 완구판(200)과 책상을 함께 인식하고, 기 설정된 색상을 인식하는 위치가 책상의 소정위치인 경우, 색상인식부(111)는 책상의 색상을 이용하여 제 2 색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완구판(20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중 하나에 채색된 색상이 제 2 색상이면, 영상생성부(113)는 제 2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색상이 채색된 완구조각에 제 1 색상을 적용하여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완구판(200)은 기본 색이 흰색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 2 색상은 흰색일 수 있다. 즉, 제 2 색상이 채색된 완구조각은 사용자에 의해 채색되지 않은 조각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생성부(113)는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완구조각과 완구판(200) 이외의 영역에서 인식된 색상이 적용된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If the color of one of the at least one toy pieces arranged on the
다음으로, 사용자기기(100)의 영상재생부(114)가 사용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제 2 조립영상을 표시한다(S160, 도 4 및 도 5 참고). 이때, 영상재생부(114)는 제 2 조립영상을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영상재생부(114)는 제 2 조립영상을 증강현실로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촬영화면 위에 제 2 조립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Next, the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 조립영상은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이므로, 사용자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방법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assembly image is an image in which at least one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 조립영상은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ssembly image is formed as an image in which at least one
다음으로, 영상생성부(113)는 메모리부(120)로부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정보를 추출한다(S170).Next, the
이때, 메모리부(120)에는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었을 때 생성되는 모형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완구판(200)은 서로 다른 종류로 복수개가 있을 수 있으며, 복수의 완구판(200)이 존재하는 경우, 메모리부(120)에는 복수의 완구판(200) 각각에 대응되는 데이터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즉, 메모리부(120)에는 복수의 데이터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120)에 저장되는 복수의 데이터정보는 사용자기기(10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기기(100)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때, 메모리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복수의 데이터정보 각각은 데이터식별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데이터정보 각각에 매칭되는 데이터식별정보는 완구판(200)에 포함된 완구식별정보와 동일한 형태의 정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구판(200)에 포함된 완구식별정보가 소정의 숫자와 문자가 조합된 코드정보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데이터정보 각각에 매칭되는 데이터식별정보도 소정의 숫자와 문자가 조합된 코드정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영상생성부(113)는 완구식별정보와 데이터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data information may be matched with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data information may be formed of the same type of information as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영상생성부(113)는 복수의 데이터정보 중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에 일치하는 데이터식별정보가 매칭된 데이터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데이터정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었을 때 형성되는 모형의 입체모습,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었을 때 형성되는 모형이 움직이는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었을 때 형성되는 모형의 실제 모습에 대한 영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영상생성부(113)는 제 1 색상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었을 때 형성되는 모형의 입체모습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영상생성부(113)는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된 모형을 입체모습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마지막으로, 영상재생부(114)가 추출된 데이터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한다(S180). 이때, 영상재생부(114)는 제 2 조립영상이 다 재생된 후, 추출된 데이터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재생부(114)는 데이터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Finally, the
이때, 데이터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된 모형의 입체모습으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입력되는 별도의 이동신호 또는 회전신호를 이용하여 모형의 입체모습을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다양한 방향에서 모형의 입체모습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data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 stereoscopic shape of the assembled model of at least 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제 2 조립영상 및 추출된 데이터정보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되므로, 카메라부(160)를 통해 완구판(200)이 인식되는 동안에만 제 2 조립영상 및 추출된 데이터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카메라부(160)로부터 완구판(200)이 인식되지 않으면, 제 2 조립영상 또는 데이터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중지될 수 있다.The second assembly image and the extracted data information are displayed as augmented reality through the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카메라부(160)를 통해 완구판(200)이 모두 인식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카메라부(160)를 통해 완구판(200)의 일부만 인식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메라부(160)를 통해 완구판(200)의 소정부분이 인식되면, 식별정보추출부(112)는 인식되는 완구판(200)의 소정영역을 통해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형상 또는 배치되는 위치를 예측하여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식별정보추출부(112)로부터 추출된 완구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완구판(20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providing a toy assembly im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완구판(2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완구판(2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완구판(200)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이 배치되는 경계에 소정두께로 경계선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경계선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형상 및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경계선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형상 및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므로, 식별정보추출부(112)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되는 완구판(200)에 표시된 경계선을 이용하여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식별정보추출부(112)로부터 추출된 완구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완구판(20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the toy assembly im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ase where at least one
상기와 같은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스마트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 DVD, 블루레이,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toy assembly image providing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a smartphone readable code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smart phone.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a smart phone may include any type of recording device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or a smartphone system.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or a smart phone include ROM, RAM, CD, DVD, Blu-ray,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flash memor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a smartphone can be distributed to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a code readable by a computer or a smartphone in a distributed manner can be stored and execu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사용자기기
110: 제어부
120: 메모리부
130: 송수신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인터페이스부
160: 카메라부
200: 완구판
210: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100: User device
110:
120: memory unit
130: Transmitting /
140:
150:
160:
200: toy plate
210: at least one piece of toy
Claims (14)
상기 사용자기기의 색상인식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식별정보추출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으로부터 상기 완구판의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생성부가 상기 사용자기기의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조립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제 1 색상정보 및 상기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재생부가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 2 조립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Recognizing a toy part of a camera part of the user equipment;
Generating first color information for the colored color in each of the at least one toy pieces disposed on the toy board where the color recognition portion of the user device is recognized;
Extracting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oy plate from the toy plat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of the user equipment is recognized;
Wherein the image generating unit of the user equipment extracts a first assembly image corresponding to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of the user equipment and generates at least one toy piece colored with the first color information and the first assembly image Generating a second assembly image to be assembled; And
And displaying the second assembly image through a display unit of the user equipment.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상기 식별정보추출부는 상기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의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hap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oy pieces disposed on the toy plate,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상기 식별정보추출부는 상기 완구판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이 배치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a position where each of the at least one toy pieces is disposed on the toy plate,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상기 메모리부는 복수의 완구판 각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영상에 대한 복수의 샘플영상이 기 저장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ory unit stores a plurality of sample images for an image in which at least one toy piec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oy plates is assembled,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상기 복수의 샘플영상 각각은 영상식별정보가 매칭되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ample images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상기 영상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샘플영상 중 상기 완구식별정보에 일치하는 상기 영상식별정보가 매칭된 샘플영상을 상기 제 1 조립영상으로 추출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mage generating unit extracts a sample image in which th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ample images is matched to the first assembly image,
How to assemble toys
상기 방법은,
상기 색상인식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이 채색된 제 1 색상에 대한 제 2 색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comprises:
And generating second color information for a first color in which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oy plate in which the color recognition section is recognized is painted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상기 완구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중 하나에 채색된 색상이 제 2 색상이면,
상기 영상생성부는 상기 제 2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색상이 채색된 완구조각에 상기 제 1 색상을 적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완구 조각이 조립되는 상기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f the color of one of the at least one toy pieces disposed on the toy plate is a second color,
Wherein the image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second assembly image in which the at least one toy piece is assembled by applying the first color to the toy pieces colored with the second color using the second color information,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상기 제 2 색상은 흰색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color is white,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상기 메모리부는 복수의 완구판 각각의 정보에 대한 복수의 데이터정보가 기 저장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ory unit stores a plurality of pieces of data information for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oy plates,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상기 복수의 데이터정보 각각은 데이터식별정보가 매칭되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data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생성부가 상기 복수의 데이터정보 중 상기 완구식별정보에 일치하는 상기 데이터식별정보가 매칭된 데이터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재생부는 추출된 데이터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ethod comprises:
The image generating unit extracting data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to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pieces of data information; And
Wherein the image reproducing unit displays the extracted data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상기 영상재생부는 제 2 조립영상 및 상기 데이터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mage reproducing unit displays the second assembly image and the data information as augmented reality through the display unit,
Method of providing toy assembly imag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0593A KR101452359B1 (en) | 2014-02-21 | 2014-02-21 | Method for providing of toy assembly video |
PCT/KR2014/008525 WO2015126022A1 (en) | 2014-02-21 | 2014-09-12 | Method for providing toy assembly video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0593A KR101452359B1 (en) | 2014-02-21 | 2014-02-21 | Method for providing of toy assembly video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2359B1 true KR101452359B1 (en) | 2014-10-23 |
Family
ID=5199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05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2359B1 (en) | 2014-02-21 | 2014-02-21 | Method for providing of toy assembly video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2359B1 (en) |
WO (1) | WO2015126022A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79857A (en) * | 2018-04-28 | 2018-08-10 | 黔南民族师范学院 | A kind of content configurable type toy platform |
CN108452537A (en) * | 2018-04-28 | 2018-08-28 | 黔南民族师范学院 | A kind of man-machine interactive content configurable type toy platform |
KR101910295B1 (en) * | 2017-11-17 | 2018-10-19 | 박유영 | Psychology analy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coloring 3d model for color therapy |
KR20190002308A (en) * | 2017-06-29 | 2019-01-08 | 예스튜디오 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coloring service creating profit |
KR102290664B1 (en) * | 2020-09-04 | 2021-08-19 | 주식회사 베이스디 | Method for supplying toy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assembly video that can be evaluated |
KR20220105968A (en) * | 2021-01-21 | 2022-07-28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Paper toy-based AR interactive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86064A (en) * | 2011-01-25 | 2012-08-02 | 주식회사 팬택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f augmented reality integrated information |
JP2012157568A (en) | 2011-02-01 | 2012-08-23 | Hitachi Ltd | Toy block system having assembly recognition function |
KR20130100558A (en) * | 2012-03-02 | 2013-09-11 | 주식회사 유진로봇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robot |
KR20140003107A (en) * | 2012-06-29 | 2014-01-09 |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
-
2014
- 2014-02-21 KR KR1020140020593A patent/KR10145235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9-12 WO PCT/KR2014/008525 patent/WO201512602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86064A (en) * | 2011-01-25 | 2012-08-02 | 주식회사 팬택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f augmented reality integrated information |
JP2012157568A (en) | 2011-02-01 | 2012-08-23 | Hitachi Ltd | Toy block system having assembly recognition function |
KR20130100558A (en) * | 2012-03-02 | 2013-09-11 | 주식회사 유진로봇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robot |
KR20140003107A (en) * | 2012-06-29 | 2014-01-09 |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2308A (en) * | 2017-06-29 | 2019-01-08 | 예스튜디오 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coloring service creating profit |
KR102091538B1 (en) | 2017-06-29 | 2020-04-23 | 예스튜디오 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coloring service creating profit |
KR101910295B1 (en) * | 2017-11-17 | 2018-10-19 | 박유영 | Psychology analy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coloring 3d model for color therapy |
CN108379857A (en) * | 2018-04-28 | 2018-08-10 | 黔南民族师范学院 | A kind of content configurable type toy platform |
CN108452537A (en) * | 2018-04-28 | 2018-08-28 | 黔南民族师范学院 | A kind of man-machine interactive content configurable type toy platform |
KR102290664B1 (en) * | 2020-09-04 | 2021-08-19 | 주식회사 베이스디 | Method for supplying toy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assembly video that can be evaluated |
KR20220105968A (en) * | 2021-01-21 | 2022-07-28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Paper toy-based AR interactive system |
KR102436240B1 (en) | 2021-01-21 | 2022-08-24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Paper toy-based AR interactive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26022A1 (en) | 2015-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2359B1 (en) | Method for providing of toy assembly video | |
US1028480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optically machine readable code for a captured image | |
US10937240B2 (en) | Augmented reality bindings of physical objects and virtual objects | |
US8764571B2 (en) |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o implement games and applications on devices | |
CN105536266B (en) | The control method and system that intelligent building blocks game device, intelligent building blocks are played | |
CN107045508B (en) | Application program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
US9524587B2 (en) | Adapting content to augmented reality virtual objects | |
US2016020364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ugmented reality to printed books | |
JP2019071048A (en) | System and method for deep learning based hand gesture recognition from first person view point | |
US20160184724A1 (en) | Dynamic App Programming Environment with Physical Object Interaction | |
KR102242324B1 (en) | Illuminating a Virtual Environment With Camera Light Data | |
CN106254848A (en) | A kind of learning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terminal | |
CN107885483B (en) | Audio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 |
US11531702B2 (en) |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video comprising character and method thereof | |
US20150331888A1 (en) | Image capture and mapping in an interactive playbook | |
Kounlaxay et al. | Design of Learning Media in Mixed Reality for Lao Education. | |
CN104750246A (en) | Content display metho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CN110020340A (en) | A kind of method, apparatus and client of data processing | |
US20200211413A1 (en) |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for constructing parts together | |
KR20180080919A (en) | Device and method for software coding training | |
KR101271421B1 (en) |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using auto puzzle recognition | |
KR2015009358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board game | |
US20200162679A1 (en) | Image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 |
CN108537149B (en) |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150227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board g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3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