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1606B1 -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 Google Patents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606B1
KR101451606B1 KR1020130042333A KR20130042333A KR101451606B1 KR 101451606 B1 KR101451606 B1 KR 101451606B1 KR 1020130042333 A KR1020130042333 A KR 1020130042333A KR 20130042333 A KR20130042333 A KR 20130042333A KR 101451606 B1 KR101451606 B1 KR 101451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ble
optical
optical fibe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우
이강훈
오현식
안성진
Original Assignee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빛샘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6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8Fibre wiring boards, i.e. where fibres are embedded or attached in a pattern on or to a substrate, e.g. flexible sheets
    • G02B6/3612Wiring methods or mach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02B6/4413Helical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은 기설 광케이블의 중간 외피를 탈피하고, 복수의 루즈튜브들 중에서 중간분기로 사용할 루즈튜브만 반으로 절단하는 단계; 반으로 절단된 상기 루즈튜브의 외피를 제거한 후, 상기 루즈튜브로부터 분기된 광심선들의 길이 연장을 위해 더미코어들을 접속하는 단계; 익스팬드 보호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광심선들에 접속된 상기 더미코어들 및 더미코어들의 접속점을 보호하는 단계; 및 반으로 절단된 상기 루즈튜브와 상기 더미코어들이 함체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설 광케이블을 상기 함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optical cable divergence method in Fiber Optic Splice Closure for Aerial Line}
본 발명은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함체 내부에서 기설 광케이블을 여장하지 않고 기설 광케이블에서 일부 루즈튜브만 분기할 수 있는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은 유한한 길이로 제공되기 때문에 전화국과 가입자 빌딩이나 일반 광 가입자 사이의 광 전송선로는 광 접속함을 필요로 하며, 광 접속함을 매개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현장에서 상호 접속된다. 그리고, 광 가입자측의 광 전송 선로에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광 가입자의 전송 장치와 상호 연결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로부터 광섬유가 광 가입자에게 분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광가입자 빌딩의 건물 내외벽이나 전주나 철주 등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필요로 한다.
광케이블 접속 함체는, 외부 광 선로와 가입자 전송 장치간의 연결 및 분배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종단장치의 하나로서, 인입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단심의 광 섬유 코드(또는 광 점퍼 코드)의 광섬유와 접속되어 근거리의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분배되며, 광 케이블 내의 나머지 광섬유들은 광 접속된 후 광케이블 형태로 다시 인출됨으로써 장거리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분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 함체에서 먼거리에 있는 신설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광케이블을 분기하는 경우 신설 비용, 작업성 및 인허가 등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광케이블의 분기작업에 있어서 최적의 지점에서 광케이블을 분기하지 못하고 특정장소까지 불필요하게 인입용 광케이블을 연장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과, 분기 지점에서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광심선)들의 안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2012-0044858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함체 내부에 유니트(루즈튜브)를 여장하지 않고 기설 광케이블로부터 일부 광심선(코어)만 분기할 수 있는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기작업이 용이하고, 광심선 및 접속점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여장 분기가 가능한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설 광케이블의 중간 외피를 탈피하고, 복수의 루즈튜브들 중에서 중간분기로 사용할 루즈튜브만 반으로 절단하는 단계; 반으로 절단된 상기 루즈튜브의 외피를 제거한 후, 상기 루즈튜브로부터 분기된 광심선들의 길이 연장을 위해 더미코어들을 접속하는 단계; 익스팬드 보호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광심선들에 접속된 상기 더미코어들 및 더미코어들의 접속점을 보호하는 단계; 및 반으로 절단된 상기 루즈튜브와 상기 더미코어들이 함체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설 광케이블을 상기 함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 광케이블을 상기 함체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익스팬드 보호튜브는 상기 함체의 바닥에 설치된 보호튜브 가이드를 통과하게 한 후 여장판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신설용 케이블을 준비하고, 상기 신설용 케이블의 루즈튜브를 탈피한 후 유니트 보호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신설용 케이블의 루즈튜브를 보호하는 단계; 상기 신설용 케이블을 상기 함체에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설용 케이블을 상기 함체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유니트 보호튜브는 상기 익스팬드 보호튜브와 X자로 교차 또는 평행하도록 상기 보호튜브 가이드를 통과하게 한 후 여장판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익스팬드 보호튜브는 상기 더미코어들의 접속점 및 상기 광심선들은 상기 익스팬드 보호튜브의 제1튜브내에 위치되고, 상기 더미코어는 상기 제1튜브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튜브 보다 직경이 작은 제2튜브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함체 내부에 유니트(루즈튜브)를 여장하지 않고 사용중인 기설 광케이블로부터 일부 광심선만 분기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익스팬드 보호튜브가 기설 광케이블의 분기 작업시 외부로 노출된 광심선과 더미코어들의 접속점들을 안전하게 감싸면서 보호함으로써 광심선의 손상을 방지하고, 광심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4c는 기설 광케이블에서 필요한 루즈튜브를 분기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반으로 절단된 루즈튜브 각각으로부터 광심선을 분기할 수 있는 분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10)는 함체(100) 내부에 광케이블을 여장하지 않고 사용중인 기설 광케이블(20)의 중간 외피를 탈피하여 필요한 유니트(루즈튜브)만 선택적으로 분기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10)은 함체(100)와 가설 모듈(900)을 포함한다.
함체(100)는 가설 모듈(900)에 의해 가공 지선(GW, Ground Wire;)에 고정되고, 함체(100)에는 기설 광케이블(OC, Optical Cable;20)과 신설용 광케이블(30)이 인입된다.
가설 모듈(900)은, 함체(100)가 공중에 가설되도록 함체(100)를 가공 지선(GW)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함체(100) 상단의 복수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설 모듈(900)은 함체(100) 상단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함체(100)는, 가설 부재(900)에 의해 가공 지선(GW)에 고정된 상태에서, 광 케이블의 접속을 위해 개폐될 수 있다.
함체(100)는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100a)과 제2 하우징(100b)은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 방식에 개폐될 수 있다. 가설 부재(900)는 제 1 하우징(100a)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 1 하우징(100a)은 가설 부재(900)에 의해 가공 지선(GW)에 고정되며, 함체(100)는 제 2 하우징(100b)의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100b)의 회전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이 닫히면, 제 1 및 제 2 하우징(100a,100b)은 잠금 모듈(300)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 그리고, 광 케이블의 접속 시공을 위해, 제 1 및 제 2 하우징(100a,100b)은 잠금모듈(300)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잠금 모듈(300)은 잠금 레버(320)와, 레버 록킹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하우징(100a)의 측면에는 기설 광케이블(20)이 인입되는 분기용 광케이블 인입구(112)가 제공되고, 기설 광케이블(20)은 분기용 광케이블 인입구(112)에 설치되는 외피홀더(113) 및 케이블 고정브라켓(115)에 의해 2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기설 광케이블(20) 인입시 완벽한 기밀성 유지와 중간분기 시공상의 편의를 위해 1구 케이블 가스켓(114)이 설치된다. 1구 케이블 가스켓(114)은 광케이블의 다양한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 3가지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종류는 광케이블 직경 Φ10~13를 수용할 수 있는 type1, 광케이블 직경 Φ13~16을 수용할 수 있는 type2, 광케이블 직경 Φ16~19를 수용할 수 있는 type3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1구 케이블 가스켓(114)은 분기용 광케이블 인입구(112)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접속용 광케이블 인입구(116)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100a)의 측면에는 신설용 광케이블(30)이 인입되는 접속용 광케이블 인입구(116)가 제공된다. 접속용 광케이블 인입구(116)는 분기용 광케이블 인입구(112))와 나란하게 위치된다. 접속용 광케이블 인입구(116)에는 신설용 광케이블(30)의 인입시 완벽한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콘형 케이블 가스켓(118)이 설치된다. 그리고, 신설 광케이블(30)의 외피는 외피홀더(113) 및 서스밴드브라켓(117)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중심인장선은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1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함체(100)에는 여장판 지지대(140)가 설치된다. 여장판 지지대(140)는 제 1 하우징(100a)에 힌지 결합된다. 여장판 지지대(140)는 전방을 향하도록 젖혀지거나(180°), 지면과 수평하도록 펼쳐질 수 있다(90°). 여장판 지지대(140)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여장판이 설치된다.
기설 광케이블(20)과 신설용 광케이블(30)은, 함체(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함체(100)에 인입되고 분기 및 접속 시공된다. 시공 완료 후, 함체(100)는, 광 케이블(20)의 분기 부위 및 광심선의 접속 부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10)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및 접속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4c는 기설 광케이블에서 필요한 루즈튜브를 분기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 광케이블(20)에 종이테이프 또는 펜 등을 사용해 탈피 위치를 표시한 후 중심 인장선을 제외한 외권 테이프, 아라미드 얀(aramid yarn) 등 모든 외피를 제거한다. 일 예로, 기설 광케이블(20)의 탈피 폭은 대략 370mm일 수 있다.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가 제거되면서 노출된 다수의 루즈튜브(22)들 중에서 중간 분기로 사용할 루즈튜브(22)를 반으로 절단한다(도 3b). 반으로 나누어진 루즈튜브(22) 중 사용하지 않은 루즈튜브(22)는 보호튜브(70)를 삽입하여 광심선을 보호하고, 다른 하나는 노출된 일단으로부터 60mm를 남기고 외피를 제거한다(도 3c, 도 3d).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가 제거된 루즈튜브(22)에서 노출된 광심선(24)들은 그 길이 짧아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광심선(24)의 길이를 연장하여 분기 작업이 용이하도록 심선 연장 작업을 실시한다. 심선 연장 작업에서는 중간 분기로 사용할 광심선(24)들과 부속품으로 제공되는 더미코어(40)들이 열수축 슬리브(50)에 의해 접속된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팬드 보호튜브(80)를 이용하여 광심선(24)들에 접속된 더미코어(40)들 및 더미코어(40)들의 접속점(열수축슬리브)을 보호한다. 익스팬드 보호튜브(80)는 루즈튜브(22)에서 외부로 노출된 광심선들과 더미코어의 접속점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유연한 관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익스팬드 보호튜브(80)는 제1튜브부분(82)과 제1튜브부분(82)의 직경보다 작은 제2튜브부분(84)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직경이 큰 제1튜브부분(82)에는 더미코어(40)들의 접속점 및 광심선(24)들이 삽입되고, 직경이 작은 제2튜브부분(84)에는 나머지 더미코어(40) 부분이 삽입된다. 제1튜브부분(82)의 직경은 최대 12개의 열수축슬리브(50)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익스팬드 보호튜브(80)를 이용하면 한 번의 작업으로 복수개의 더미코어(40) 접속점(열수축 슬리브)들과 광심선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익스팬드 보호튜브(80)가 삽입이 완료되면, 제1튜브부분(82)의 끝단은 케이블 타이를 이용해 고정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반으로 절단된 루즈튜브 각각으로부터 광심선을 분기할 수 있는 분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중간 분기로 사용할 루즈튜브(22)를 반으로 절단한 후, 절단된 루즈튜브(22) 각각을 노출된 일단으로부터 60mm를 남기고 외피를 제거한 후, 그리고 외피가 제거된 2개의 루즈튜브(22) 각각에 더미코어를 접속하고, 익스팬드 보호튜브를 이용하여 광심선(24)들에 접속된 더미코어(40)들 및 더미코어(40)들의 접속점(열수축슬리브)을 보호한다. 이처럼, 루즈튜브(22) 각각에 더미코어(40)를 연결 접속한 것은, 광케이블을 함체(100)에 설치한 후에는 더미코어 연결 접속 작업이 불편하기 때문에 사전에 미리 작업을 해두는 것이다.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분기를 위한 루즈튜브가 분기된 기설 광케이블(20)에 칼(또는 가위)로 측면을 절개한 1구 케이블 가스켓(114)을 끼워넣는다. 1구 케이블 가스켓(114)은 외피 절단면에서 대략 20mm 이격된 위치에 장착한다.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구 케이블 가스켓(114)은 함체(100)의 분기용 광케이블 인입구(112)에 끼워넣고, 외피홀더(113) 및 케이블 고정브라켓(115)으로 기설 광케이블(20)의 외피를 고정한다. 그리고, 익스팬드 보호튜브(80)는 함체 바닥 중간에 설치된 보호튜브 가이드(150)를 통과하도록 위치시킨 후 케이블 타이로 고정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준비된 신설용 광케이블(30)을 약 1200mm 탈피한다. 중심인장선(CSM, Central Strength Member, 38)은 80mm 남기고 절단한다. 광심선(34)이 노출되도록 사용할 루즈튜브(32)를 80mm 남기고 탈피한다. 유니트 보호튜브(90)는 탈피된 루즈튜브(32)에 삽입한다. 유니트 보호튜브(90)는 케이블 절단면까지 밀어넣는다. 일 예로, 유니트 보호튜브(90)의 길이는 550mmm이다. 절연테이프를 사용하여 유니트 보호튜브(90)를 고정하고, 진공그리스를 케이블 절단면 부위에 도포한다.
콘형 케이블 가스켓(118)의 끝부분을 칼(또는 가위)로 절단한 후 절단된 콘형 케이블 가스켓을 함체의 접속용 광케이블 인입구(116)에 삽입한다. 탈피된 신설용 광케이블은 콘형 케이블 가스켓을 통해 함체(100)로 인입하고, 광케이블 외피는 외피홀더(113) 및 서스밴드 브라켓으로 고정한다. 중심인장선(38)은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160)에 고정한다.
신설용 광케이블(30)의 루즈튜브에 끼워진 유니트 보호튜브는 익스팬드 보호튜브(80)와 X자로 교차 또는 평행하게 보호튜브 가이드를 통과하게 한 후 여장판에 고정한다. 유니트 보호튜브는 케이블 타이를 이용해 여장판에 고정될 수 있다. 유니트 보호튜브로부터 인출된 광심선들은 곡률반경을 유지하며 여장판(150)에 여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은 사용중인 기설 광케이블(20)의 최적의 지점(분기가 필요한 지점)에서 직접 해당 광심선만을 루즈튜브 단위로 분기하고, 더미코어(40) 및 익스팬드 보호튜브(80)를 활용하여 광심선과 접속점들을 편리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 기설 광케이블 30 : 신설용 광케이블
80 : 익스팬드 보호튜브 100 : 함체
900 : 가설 모듈

Claims (5)

  1.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에 있어서:
    기설 광케이블의 중간 외피를 탈피하고, 복수의 루즈튜브들 중에서 중간분기로 사용할 루즈튜브만 반으로 절단하는 단계;
    반으로 절단된 상기 루즈튜브의 외피를 제거한 후, 상기 루즈튜브로부터 분기된 광심선들의 길이 연장을 위해 더미코어들을 접속하는 단계;
    익스팬드 보호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광심선들에 접속된 상기 더미코어들 및 더미코어들의 접속점을 보호하는 단계; 및
    반으로 절단된 상기 루즈튜브와 상기 더미코어들이 함체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설 광케이블을 상기 함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익스팬드 보호튜브는
    상기 더미코어들의 접속점 및 상기 광심선들은 상기 익스팬드 보호튜브의 제1튜브내에 위치되고, 상기 더미코어는 상기 제1튜브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튜브 보다 직경이 작은 제2튜브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 광케이블을 상기 함체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익스팬드 보호튜브는 상기 함체의 바닥에 설치된 보호튜브 가이드를 통과하게 한 후 여장판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신설용 케이블을 준비하고, 상기 신설용 케이블의 루즈튜브를 탈피한 후 유니트 보호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신설용 케이블의 루즈튜브를 보호하는 단계;
    상기 신설용 케이블을 상기 함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설용 케이블을 상기 함체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유니트 보호튜브는 상기 익스팬드 보호튜브와 X자로 교차 또는 평행하게 상기 보호튜브 가이드를 통과하게 한 후 여장판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5. 삭제
KR1020130042333A 2013-04-17 2013-04-17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Active KR101451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33A KR101451606B1 (ko) 2013-04-17 2013-04-17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33A KR101451606B1 (ko) 2013-04-17 2013-04-17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606B1 true KR101451606B1 (ko) 2014-10-23

Family

ID=5199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333A Active KR101451606B1 (ko) 2013-04-17 2013-04-17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6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369B1 (ko) * 2020-08-18 2020-12-04 최경식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KR20210049500A (ko) 2019-10-25 2021-05-06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단자함
KR20230117850A (ko) 2022-02-03 2023-08-10 유씨엘 주식회사 광케이블 분기 및 보호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4644A (ja) * 1996-05-10 1997-11-2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分岐接続方法
KR20000031825A (ko) * 1998-11-10 2000-06-05 이계철 광섬유케이블의 중간분기접속공법
JP2010243836A (ja) 2009-04-07 2010-10-2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構造体、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方法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分岐具
KR101158256B1 (ko) 2011-12-29 2012-06-19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광케이블 분기 접속 함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4644A (ja) * 1996-05-10 1997-11-2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分岐接続方法
KR20000031825A (ko) * 1998-11-10 2000-06-05 이계철 광섬유케이블의 중간분기접속공법
JP2010243836A (ja) 2009-04-07 2010-10-2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構造体、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方法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分岐具
KR101158256B1 (ko) 2011-12-29 2012-06-19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광케이블 분기 접속 함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500A (ko) 2019-10-25 2021-05-06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단자함
KR102187369B1 (ko) * 2020-08-18 2020-12-04 최경식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KR20230117850A (ko) 2022-02-03 2023-08-10 유씨엘 주식회사 광케이블 분기 및 보호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3115B2 (ja) 複合成形中間分岐点を有する配線ケーブル組立体
JP4728249B2 (ja) 光ファイバの配置と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7668432B2 (en) Multi-drop closure systems and methods for fiber optic cabling
AU2011318087B2 (en) Prefabricated distribution optical cab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2831655B1 (en) Distributed optical network using indexing terminals and multi-service terminals
BRPI0718928A2 (pt) Dispositivo de interface de rede.
JP2008501152A (ja) 複合成形分岐点を有するあらかじめコネクタ接続加工された光ファイバ配線ケーブル
EP2613189A1 (en) Prefabricated optical fiber cable distribution assembly and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system
KR101451606B1 (ko) 중간분기용 무여장 광접속함체에서의 광케이블 분기 방법
EP3571536A1 (en) Fiber optic cable extension sleeve for receiving a splice protector of fused fiber strands
KR20100071468A (ko) 스플리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광가입자망 시스템
KR20200000013U (ko) 커넥터형 접속함체
EP2157461A1 (en) Preassembled optical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assemled optical cables
KR100947631B1 (ko) 광단자함에서의 광케이블 분기방법
KR200472023Y1 (ko) 커넥터형 접속함체
KR200294692Y1 (ko) 광단자함
JP3934598B2 (ja) 光ファイバのスプライス損失を低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JP2004086060A (ja) 光モジュール及び光成端箱
JP2010243835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構造体、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方法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分岐具
US20100104247A1 (en)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KR102187369B1 (ko) 패시브 바이패스 모듈 설치 방법
JP3548907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中間分岐接続方法
CN116047691B (zh) 机场围界安保设施通信光缆同缆多环的施工方法、结构
CN213069261U (zh) 一种光缆分纤结构
KR101080374B1 (ko) 인입용 광케이블 분기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