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1601B1 -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601B1
KR101451601B1 KR1020130051156A KR20130051156A KR101451601B1 KR 101451601 B1 KR101451601 B1 KR 101451601B1 KR 1020130051156 A KR1020130051156 A KR 1020130051156A KR 20130051156 A KR20130051156 A KR 20130051156A KR 101451601 B1 KR101451601 B1 KR 101451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up
container body
cap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서희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3005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601B1/ko
Priority to PCT/KR2014/003709 priority patent/WO201418198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6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5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탈리하기 위하여 나사결합을 해체시에 캡의 내측에 구비된 내용물 흡입부가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내용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캡을 개방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The containe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its content}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탈리하기 위하여 나사결합을 해체시에 캡의 내측에 구비된 내용물 흡입부가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내용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캡을 개방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며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캡으로 이루어져 용기본체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캡을 분리시킨 후, 용기본체의 배출구를 아래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중 간장과 같은 조미료가 수용되는 용기와 같은 경우, 음식의 레시피에 따라 컵 또는 숟가락에 일정량을 덜어 사용하게 되는데, 간장을 한 큰술 또는 한 컵을 넣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용기본체의 기울이는 속도 또는 각도의 조절을 실패하여 요구하는 내용물의 양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내용물이 배출되어 불필요한 내용물이 소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한 큰술 또는 한 컵보다 더 많은 간장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집중하여 용기를 기울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강세척을 위한 가글액과 같은 경우,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캡의 내측 공간에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용기본체를 기울이는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시마다 일정량의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 후, 캡을 용기본체에 결합시에 캡의 내측 공간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흘러내려 용기를 더럽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탈리하기 위하여 나사결합을 해체시에 캡의 내측에 구비된 내용물 흡입부가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내용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캡을 개방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용물 저장컵; 및 상기 배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배출부로부터 탈리시에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내용물 저장컵으로 일정량 흡입하도록 내용물 흡입부가 구비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흡입부는, 상기 캡의 내측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용기본체에 캡을 결합시키거나 탈리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는 내용물 흡입봉; 및 상기 내용물 흡입봉의 하단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내용물 흡입봉의 상승에 따라 상기 내용물 저장컵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하단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유입홀에는 상기 내용물 흡입부의 승하강에 따라 개폐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은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상기 캡의 탈리시 상기 피스톤과 이격되도록 그 상부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내용물 저장컵이 상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주면을 둘러싸며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을 가압시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탈리하기 위하여 나사결합을 해체시에 캡의 내측에 구비된 내용물 흡입부가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내용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캡을 개방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용기본체(100), 내용물 저장컵(200), 캡(300)이 포함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1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부(1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캡(300)과의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제1나사산(11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출부(110)의 내측에는 내용물 저장컵(200)의 하단을 지지하며, 내용물 저장컵(200)을 고정시키는 고정체(400)가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체(400)의 하단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여 내용물 저장컵(200)으로 이동시키는 내용물 흡입관(500)이 결합되도록 결합부(4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400)의 내측에는 내용물 저장컵(200)이 상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주면을 둘러싸며 걸림턱(42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20)은 내용물 저장컵(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30)의 상단을 지지하여 내용물 저장컵(2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내용물 저장컵(200)은 상기 배출부(110)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체(400)에 안착되어 상기 용기본체(100)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그 하단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유입홀(210)에는 후술할 내용물 흡입부(320)의 승하강에 따라 개폐되는 체크밸브(22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저장컵(200)은 상기 용기본체(100)로부터 캡(300)을 탈리시에 내용물 흡입부(320)를 구성하는 피스톤(322)과 이격되도록 그 상부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내용물 저장컵(200)의 상부에서 내용물 흡입부(320)의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내용물 저장컵(200) 내부의 압력이 해제됨으로써, 내용물 유입홀(210)을 통해 내용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200)을 넘쳐 흐르지 않고, 내용물 저장컵(200)의 일정 높이까지만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내용물 저장컵(200)의 외주면에는 내용물 저장컵(2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체(4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턱(420)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돌기(230)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돌기(230)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200)의 양측을 가압시에 상기 걸림턱(4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저장컵(200)을 고정체(400)로부터 인출하여 내용물 저장컵(200)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용물 저장컵(200)은 사용자가 양측을 가압시에 내측 방향으로 소폭 이동하였다가 벌어지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캡(300)은 상기 배출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110)의 제1나사산(111)과 나사결합 되도록 제1나사산(111)과 맞닿는 내주면에 제2나사산(3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300)의 내측에는 상기 배출부(110)로부터 탈리시에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내용물 저장컵(200)으로 일정량 흡입하는 내용물 흡입부(32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내용물 흡입부(320)는 상기 캡(300)의 내측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용기본체(100)에 캡(300)을 결합시키거나 탈리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내용물 저장컵(200)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는 내용물 흡입봉(321)과, 상기 내용물 흡입봉(321)의 하단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내용물 저장컵(200)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내용물 흡입봉(321)의 상승에 따라 상기 내용물 저장컵(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피스톤(3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322)은 용기본체(100)로부터 캡(300)을 탈리시에 상기 내용물 흡입봉(321)의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하며 상기 체크밸브(220)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내용물 유입홀(210)을 통해 내용물 저장컵(200)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캡(300)이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된 배출부(110)의 제1나사산(111)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나사결합을 해체하게 되면, 즉, 용기본체(100)로부터 캡(300)을 분리하기 위하여 캡(300)을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나사산(310)이 제1나사산(111)을 따라 이동하여 캡(300)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캡(300)의 내측에 구비된 내용물 흡입부(320)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 흡입부(320)가 상승하게 되면, 내용물 흡입봉(321)의 하부에 결합된 피스톤(322)에 의해 내용물 저장컵(200) 내부에 압력이 변화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내용물 저장컵(200)의 하단부에 설치된 체크밸브(220)가 개방됨으로써,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물 유입홀(210)을 통해 내용물 저장컵(200)의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100)로부터 캡(300)을 탈리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용물 저장컵(200)으로 일정량의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간장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조미료 용기에 적용할 경우, 용기본체(100)로부터 캡(300)을 탈리시에 한 큰술 또는 한 컵에 해당하는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200)에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글액이 수용되는 용기에 적용할 경우, 용기본체(100)로부터 캡(300)을 탈리시에 1회 가글시 적정량에 해당하는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200)에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배출부
111: 제1나사산 200: 내용물 저장컵
210: 내용물 유입홀 220: 체크밸브
230: 고정돌기 300: 캡
310: 제2나사산 320: 내용물 흡입부
321: 내용물 흡입봉 322: 피스톤
400: 고정체 410: 결합부
420: 걸림턱 500: 내용물 흡입관

Claims (6)

  1.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용물 저장컵;
    상기 배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배출부로부터 탈리시에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내용물 저장컵으로 일정량 흡입하도록 내용물 흡입부가 구비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내용물 흡입부는 상기 캡의 내측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용기본체에 캡을 결합시키거나 탈리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는 내용물 흡입봉; 및 상기 내용물 흡입봉의 하단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내용물 흡입봉의 상승에 따라 상기 내용물 저장컵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하단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유입홀에는 상기 내용물 흡입부의 승하강에 따라 개폐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은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상기 캡의 탈리시 상기 피스톤과 이격되도록 그 상부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내용물 저장컵이 상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주면을 둘러싸며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을 가압시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20130051156A 2013-05-07 2013-05-07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51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156A KR101451601B1 (ko) 2013-05-07 2013-05-07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PCT/KR2014/003709 WO2014181988A1 (ko) 2013-05-07 2014-04-28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156A KR101451601B1 (ko) 2013-05-07 2013-05-07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601B1 true KR101451601B1 (ko) 2014-10-22

Family

ID=5186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1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1601B1 (ko) 2013-05-07 2013-05-07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1601B1 (ko)
WO (1) WO2014181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448A1 (ko) * 2018-05-08 2019-11-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핑 용기 및 용기 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312Y1 (ko) * 1996-09-06 1999-06-15 한기정 정량인출용기
KR20110133700A (ko) * 2010-06-07 2011-12-14 로레알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20120073670A (ko) * 2010-12-27 2012-07-05 (주)연우 회전식 펌핑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307A (ja) * 2008-03-24 2009-10-08 Sunstar Inc カップ付容器
JP5697096B2 (ja) * 2011-07-27 2015-04-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定量注出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312Y1 (ko) * 1996-09-06 1999-06-15 한기정 정량인출용기
KR20110133700A (ko) * 2010-06-07 2011-12-14 로레알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20120073670A (ko) * 2010-12-27 2012-07-05 (주)연우 회전식 펌핑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1988A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785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US10239647B2 (en) Squeezable leak proof feeding bottle
CN105121293B (zh) 液体容器的定量吐出装置
KR200494062Y1 (ko) 화장품 드로퍼
KR200491085Y1 (ko) 디스펜서를 이용한 하향식 액체용기 배출장치
KR20170060397A (ko) 2 way 분리 펌핑 용기
KR101451601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CN105197387A (zh) 推式自动开闭出液嘴
US9382106B2 (en) Liquid handling system with reduced exposure to air
KR1014547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JP2015030482A (ja) 注出容器
KR101694989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JP2010126178A (ja) 液体もしくは粘体の排出用補助具及び排出方法
KR10146719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WO2015152251A1 (ja) 注出ポンプの支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注出ポンプと注出容器
CN205034499U (zh) 推式自动开闭出液嘴
KR1017130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190054699A (ko) 펌핑용기 거꾸로 사용기구
JP2004298804A (ja) 液体噴出器
KR101768889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JP2017190171A (ja) 液体取出し装置
JP7203549B2 (ja) 吐出キャップ
JP2010260586A (ja) 中栓付容器
KR20180002815U (ko) 공기 유입관이 포함된 용기
JP2006069586A (ja) 注出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