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094B1 - Close-type exposure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se-type exposur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1094B1 KR101451094B1 KR1020130118480A KR20130118480A KR101451094B1 KR 101451094 B1 KR101451094 B1 KR 101451094B1 KR 1020130118480 A KR1020130118480 A KR 1020130118480A KR 20130118480 A KR20130118480 A KR 20130118480A KR 101451094 B1 KR101451094 B1 KR 1014510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vacuum
- photomask
- stage
- lower s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27 co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5—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supports or layers with means for obtaining a screen effect or for obtaining better contact in vacuum print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808—Construction details, e.g. housing, load-lock, seals or windows for passing light in or out of apparatus
- G03F7/70841—Constructional issues related to vacuum environment, e.g. load-lock chamb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991—Connection with other apparatus, e.g. multiple exposure stations, particular arrangement of exposure apparatus and pre-exposure and/or post-exposure apparatus; Shared apparatus, e.g. having shared radiation source, shared mask or workpiece stage, shared base-plate; Utilities, e.g. cable, pipe or wireless arrangements for data, power, fluids or vacuu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착형 노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 진공을 수행하여 포토 마스크와 노광 대상체 간의 진공 밀착도를 향상시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제품 생산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밀착형 노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type exposur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ct type exposure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multi-stage vacuum to improve the degree of vacuum adhesion between a photomask and an exposure target to lower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 / RTI >
일반적으로, 포토 레지스트(Photo resist)등의 감광 재료를 도포한 노광 대상체(예를 들어, 글라스, 웨이퍼, 기판 등)에 소정의 패턴을 노광 장치에 의해 감광 인화시킨 다음, 에칭(Etching)공정에 의해 노광 대상체 위에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리소그라피법(Photolithographic Method)은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Generally, a predetermined pattern is sensitized by an exposure apparatus to an exposure subject (e.g., glass, wafer, substrate, etc.) coated with a photosensitive material such as a photoresist and then subjected to an etching process Photolithographic method for forming a pattern on an object to be exposed has been widely applied in various fields.
이와 같은 노광 장치는 노광 시에 패턴의 원화가 그려진 포토 마스크(Photo Mask)와 노광 대상체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포토 마스크와 노광 대상체 사이를 진공으로 밀착시키는 진공 밀착법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In such an exposure apparatus, a vacuum adhesion method in which a photomask and an object to be exposed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vacuum is widely adopted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photomask and the object to be exposed.
그러나, 이런 진공 밀착법에 의한 노광 장치에 있어서, 포토 마스크와 노광 대상체 사이를 완벽하고 균일하게 밀착시킨다는 것은 매우 어렵고 많은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포토 마스크는 유리제 또는 노광할 회로들이 그려진 포토 마스크 필름을 진공 흡착시킨 유리 또는 수지판으로 이루어지므로, 진공압에 의해 포토 마스크가 노광 대상체에 접촉될 때, 노광 대상체와 밀착 접촉되지 않아 포토 마스크 사이에 발생되는 갭(Gap)에 의하여 빛의 산란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에 접촉 불량 부위가 노광 시에 해상 불량의 원인이 된다.However, in such an exposure apparatus using the vacuum adhesion method, it is very difficult and many problems to bring the photomask and the object to be expos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perfectly uniformly. In other words, since the photomask is made of glass or a resin plate on which a glass or a photomask film on which circuits to be exposed are drawn is vacuum-adsorbed, when the photomas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xposure target object by the vacuum pressure, Scattering of light occurs due to a gap generated between the masks, resulting in defective contact at the time of exposure.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39202호는 프린트 배선 기판용의 노광 장치를 개시한다. 프린트 배선 기판용의 노광 장치는 노광되는 기판을 재치하는 노광 테이블과, 노광되는 기판에 노광을 하고자 하는 패턴이 그려진 필름 마스크, 필름 마스크의 주변을 밀착시켜 필름 마스크와의 사이에 유체를 도입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필름 마스크 홀더, 상기 노광 테이블과 필름 마스크 홀더를 근접시키는 동력 장치, 상기 근접에 의해 상기 노광 테이블과 필름 마스크 홀더와의 사이를 밀봉하여 상기 기판과 필름 마스크를 수납하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실(Seal) 장치, 상기 밀폐공간을 감압하여 상기 필름 마스크와 기판을 1차적으로 밀착시키는 1차 밀착수단, 상기 감압수단에 의해 1차 밀착 후에 상기 필름 마스크와 상기 포토 마스크 홀더의 사이에 소정의 압력으로 유체를 도입시켜, 상기 필름 마스크와 기판을 다시 한번 밀착시키는 2차 밀착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필름 마스크와 기판의 밀착성을 가장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정밀도가 높은 노광을 얻을 수 있고, 노광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필름 마스크가 늘어나거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39202 discloses an exposure apparatus for a printed wiring board. An exposure apparatus for a printed wiring board is provided with an exposure table on which a substrate to be exposed is placed, a film mask on which a pattern to be exposed is drawn on a substrate to be exposed, and a fluid to be introduced between the film mask and the periphery of the film mask A power device for bringing the exposure table and the film mask holder close to each other, and a seal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ubstrate and the film mask is formed by sealing the gap between the exposure table and the film mask holder by the proximity of the film mask holder A first contact means for firstly bringing the film mask and the substrat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reducing the airtightness of the sealed space and a second contact means for applying predetermined pressure between the film mask and the photo mask holder A fluid is introduced by a pressure, and the film mask and the substrate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again, To be characterized by having.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make the adhesion between the film mask and the substrate the most favorable, thereby obtaining an exposure with high precision, shortening the exposure time, and increasing the film mask or preventing deformation.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6832호는 포토 마스크와 기판의 밀착성을 높이는 밀착형 노광장치를 개시한다. 밀착형 노광장치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그 위에 위치시키는 플라텐(Platen)과, 노광하고자 하는 패턴이 그리어지고, 프린트 배선기판과 접촉하여 이 패턴을 노광토록 하는 포토 마스크, 상기 포토 마스크와 프린트 배선기판과의 사이를 밀봉(Seal)하는 밀봉장치, 상기 포토 마스크와 프린트 배선기판과의 사이를 흡인하는 흡인장치를 구비한 밀착형 노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을 둘러싸는 형상을 하고, 프린트 배선기판과 거의 동일한 두께로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을 둘러싸도록 밀봉장치의 내측에서 상기 플라텐 상에 위치한 틀체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틀체는 일체로 된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흡착에 의한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며, 취부 또는 취출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자동 반송과 자동 교환이 가능하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66832 discloses a close-contact type exposure apparatus that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a photomask and a substrate. The contact type exposure apparatus includes a platen for positioning a printed wiring board thereon, a photomask for drawing a pattern to be exposed, contacting the printed wiring board to expose the pattern, And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the photomask between the photomask and the printed wiring 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type exposure device has a shape surrounding the printed wiring board, And a frame disposed on the platen on the inner side of the sealing device so as to surround the printed wiring board with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s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ique, the frame body is constituted by a single member, which can securely be fixed by suction, and is easy to mount or take out, as well as capable of automatic transportation and automatic exch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단 진공을 수행하여 포토 마스크와 노광 대상체 간의 진공 밀착도를 향상시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제품 생산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밀착형 노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se-contact type exposure apparatus capable of enhancing the vacuum adhesion between a photomask and an exposure target by performing multi-stage vacuum, thereby lowering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and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product production.
실시예들 중에서, 밀착형 노광 장치는 상면에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기판과 맞닿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을 포함하는 하부 스테이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과 별도로 제어되는 진공홀을 통해 다단 진공을 수행하는 단계적 진공부 및 포토 마스크를 장착하고 상기 다단 진공에 따라 상기 하부 스테이지에 이동하여 상기 포토 마스크를 상기 기판에 밀착시키는 마스크 홀더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coherent exposure apparatus includes a lower stage having a substrat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including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at a position abutting the substrate, a vacuum hole controlled separately from the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And a mask holder for mounting a photomask on the stage and moving the photomask to the lower stage according to the multi-stage vacuum to adhere the photomask to the substrat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스테이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홀더와 상기 하부 스테이지의 이격된 간격을 밀폐하는 씰링(Sealing)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ortion formed along an edge of the lower stage and sealing the gap between the mask holder and the lower st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다단 진공에 따라 그 내부에 기체를 유입하여 팽창되도록 하는 씰링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may include a sealing tube for infusing and expanding a gas therein according to the multi-stage vacuum.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스테이지는 상기 기판의 바깥 면과 상기 씰링 튜브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stage may further include a vacuum hole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sealing tub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적 진공부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한 진공 과정에서 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다단 진공을 수행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wise vacuum portion may be formed of a vacuum pump and a solenoid valve for performing the multi-stage vacuum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n the vacuum process by the vacuum pump.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 진공은 상기 마스크 홀더와 상기 하부 스테이지의 간격이 이격된 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가 시작되며, 상기 마스크 홀더가 상기 하부 스테이지로 이동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포토마스크의 밀착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ulti-stage vacuum starts to open and close the solenoid valve after the gap between the mask holder and the lower stage is separated, the mask holder is moved to the lower stage, Can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은 상기 기판이 배치될 때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may be spaced along the edge of the substrate when the substrate is dispos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 홀은 상기 다단 진공을 통해 상기 기판과 상기 포토 마스크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기층을 흡입하여 밀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acuum hole can increase the degree of adhesion by sucking the air layer generat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hotomask through the multi-stage vacuum.
실시예들 중에서, 밀착형 노광 장치는 상면에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기판과 맞닿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을 포함하는 하부 스테이지, 포토 마스크를 장착하고 상기 하부 스테이지에 이동하여 상기 포토 마스크를 상기 기판에 밀착시키는 마스크 홀더 및 상기 하부 스테이지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씰링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과정에서 상기 씰링 튜브를 팽창시켜 상기 마스크 홀더와 상기 하부 스테이지의 이격된 간격을 밀폐하는 씰링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contact type exposure apparatus includes a lower stage having a substrat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including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substrate is in contact with the arranged substrate, a photomask mounted on the lower stage, And a sealing tube formed along an upper surface edge of the lower stage to expand the sealing tube to seal the gap between the mask holder and the lower stag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과 별도로 제어되는 진공 홀을 통해 다단 진공을 수행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한 진공 과정에서 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단계적 진공을 수행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된 단계적 진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vacuum pump for performing a multi-stage vacuum through a vacuum hole controlled separately from the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and a solenoid valve for performing the stepwise vacuum through opening and closing of a valve in a vacuum process by the vacuum pump As shown in FI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폐 시간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진공시 마스크 홀더는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하부 스테이지와의 밀착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lenoid valve can adjust the opening / closing time interval, and the mask holder can control the tight contact interval with the lower stage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실시예들 중에서, 밀착형 노광 장치는 상면에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기판과 맞닿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과 별도로 제어되는 진공 홀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스테이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스테이지, 상기 기판 및 씰링부에 밀착되는 포토 마스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을 통해 다단 진공을 수행하는 단계적 진공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contact type exposure apparatus includes a substrate on an upper surface, and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and a vacuum hole controlled separately from the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substrate is in contact with the disposed substrate, And a sealing portion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tage. The photomask closely contacts the substrate and the sealing portion, and the stepwise vacuum is performed to perform the multi-stage vacuum through the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토 마스크는 마스크 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마스크 홀더를 통해 상기 하부 스테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hotomask can be mounted to a mask holder and moved to the lower stage through the mask hol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노광 장치는 다단 진공을 수행하여 포토 마스크와 노광 대상체 간의 진공 밀착도를 향상시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고, 제품 생산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contact type expos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multi-stage vacuum to improve the vacuum adhesion between the photomask and the exposure target, thereby reducing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and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product prod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노광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하부 스테이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단계적 진공부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밀착형 노광 장치가 노광 작업을 수행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노광 작업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4의 노광 작업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있는 기판과 포토 마스크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을 다단 진공을 수행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sely-spaced expos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wer stage of FIG.
FIG.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step-by-step evolution in FIG.
FIG. 4 is a side view of the contact type exposure apparatus shown in FIG. 1 performing an exposure opera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ogress of the exposure operation of FIG.
6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the progress of the exposure operation of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ving an air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hotomask in FIG. 5 by performing a multi-stage vacuum.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and / or "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 may be presented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the items that can b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for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노광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sely-spaced exposu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밀착형 노광 장치(100)는 하부 스테이지(110), 단계적 진공부(120), 마스크 홀더(130) 및 씰링부(140)를 포함한다.1, the contact
하부 스테이지(110)는 상면에 노광 작업이 이루어지는 기판(10)이 배치되며, 하부 스테이지(110)의 하단에서 연결되는 단계적 진공부(120)를 통해 상면에 배치되는 기판(10)을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 스테이지(110)는 기판(10)이 배치되는 위치 및 하부 스테이지의 가장자리에서 형성되는 복수의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단계적 진공부(120)는 하부 스테이지(110)의 하단에서 연결되며 하부 스테이지(110)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을 통하여 기판(10)을 고정시키고,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의 밀착 과정에서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제거할 수 있다.The
마스크 홀더(130)는 중앙이 관통되는 액자틀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별도의 동력에 의하여 하부 스테이지(110)를 향하여 이동된다. 또한 마스크 홀더(130)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면에 기판(10)의 상단과 밀착되는 포토 마스크(20)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포토 마스크(20)는 노광할 회로들이 그려진 포토 마스크 필름을 진공 흡착시킨 강화 유리 또는 투명 수지판이다.The
씰링부(140)는 하부 스테이지(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튜브의 형태로 형성된다. 씰링부(140)는 튜브 내부로 기체(예를 들어, 공기)를 유입하는 복수의 유입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노광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유입 홀을 통해 내부에 기체가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된 씰링부(140)는 하부로 이동된 마스크 홀더(130) 및 포토 마스크(20)와 맞닿으며, 하부 스테이지(110)와 마스크 홀더(130) 사이를 밀폐시켜 외부로부터 노광 작업이 수행되는 밀폐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씰링부(140)은 포토 마스크(20)와 기판(10)의 밀착 정도에 따라 형상이 일그러질 수 있다.
The sealing
도 2는 도 1에 있는 하부 스테이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wer stage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스테이지(110)는 베이스 판(110a), 노광 판(110b)을 포함하고, 하단에서 단계적 진공부(120)와 연결되며, 상단에는 씰링부(14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베이스 판(110a)은 하부 스테이지(110)를 구성하며, 하단에는 단계적 진공부(120)가 연결되고, 상단에는 노광 판(110b)과 연결되는 판으로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노광 판(110b) 및 단계적 진공부(120)와 체결된다. 또한 베이스 판(110a)은 판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a) 및 진공 홀(220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a)은 노광 판(110b)의 상단 중앙에 배치되는 기판(10)을 흡착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단계적 진공부(120)로부터 생성된 흡입력을 노광 판(110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b) 에 전달할 수 있으며, 베이스 판(110a)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210a is configured to suck and fix the
진공 홀(220)은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의 밀착시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흡입 및 제거하여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며, 기판(10)이 놓여지지 않는 가장자리 부근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판(110a)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 및 진공 홀(220)은 하단에 연결된 단계적 진공부(120)에서 형성된 흡입력을 노광 판(110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 및 진공 홀(220)에 전달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노광 판(110b)은 베이스 판(110a)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투명한 재질의 판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은 베이스 판(110a)과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으로 체결되어 연결된다. 또한 노광 판(110b)은 조명계에 의해 전달된 일정한 파장의 빛을 기판(10)에 쪼일 수 있도록 노광 판(110b)의 상단에 기판(1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노광 판(110b)은 상단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이 형성되며, 기판(10)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이 형성된 노광 판(110b)의 상단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은 노광 작업시 단계적 진공부(120)에서 형성된 흡입력을 베이스 판(110a)의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로부터 전달받아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의 밀착 과정에서 기판(10)이 흔들리거나,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은 기판(10)이 놓여지는 위치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되며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노광 판(110b)은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의 밀착시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흡입하는 진공 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진공 홀(220)은 기판(10)으로부터 사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노광 판(110b)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씰링부(14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공 홀(220)은 포토 마스크(20)와 노광 판(110b)을 밀착시키는 것과 동시에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을 제거하여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서, 노광 판(110b)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 및 진공 홀(220)은 베이스 판(110a)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 및 진공 홀(220)과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단계적 진공부(120)는 하부 스테이지(110)를 구성하는 베이스 판(110a)의 하단과 체결 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베이스 판(110a) 및 노광 판(110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을 통해 기판(10)을 고정시키며, 진공 홀(220)을 통해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을 다단 진공을 수행하여 제거한다. 여기에서, 다단 진공은 종래의 노광 작업에 있어서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의 밀착 과정 중에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제거가 어려우며, 공기층의 제거에 필요한 장치의 구성 및 힘의 강약 조절이 어려운 것을 보완하는 것이다. The stepped
보다 구체적으로, 다단 진공은 단계적 진공부(120)의 솔레노이드 밸브(320)와 연결된 진공 홀(220)을 통해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의 밀착 과정에서 그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을 짧은 시간동안 복수의 횟수(예를 들어, 3번 내지 5번)만큼 반복 흡입하여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를 밀착률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솔레노이드 밸브(320)는 다단 진공에 필요한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순간적으로 복수의 횟수(예를 들어, 3번 내지 5번)만큼 개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이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거되어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의 밀착률을 중앙에서부터 단계적으로 넓혀 나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고하면, A는 다단 진공이 수행됨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20)가 1번 개폐되어 포토 마스크(20)의 중앙과 기판(10)이 밀착되는 영역을 나타내며 상기 언급한 복수의 횟수만큼 솔레노이드 밸브(320)를 개폐하여 포토 마스크(20)와 기판(10)의 밀착 영역을 B, C, D순으로 넓혀 나갈 수 있다. 이러한 다단 진공은 종래 기술대비 진공 안정 시간이 더 적게 소요되며, 적은 양의 전력을 사용하여 공기층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공 안정 시간은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을 제거하여 완전 밀착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More specifically, the multi-stage vacuum is applied to the
다시 도2에서, 씰링부(140)는 노광 판(110b)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 판(110a) 및 노광 판(110b)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진공 홀(2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씰링부(140)는 튜브 내부로 기체(예를 들어, 공기)를 유입하는 복수의 유입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노광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유입 홀(미도시)을 통해 튜브 내부에 기체가 유입되어 일정한 크기로 팽창될 수 있다.2, the sealing
일 실시예에서, 씰링부(140)는 탄력을 갖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유입되는 기체로 인하여 1mm 내지 3mm의 높이로 팽창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aling
도 3은 도 1에 있는 단계적 진공부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FIG.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step-by-step evolutio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단계적 진공부(120)는 진공 펌프(310), 솔레노이드 밸브(320)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tepped
도 3a는 단계적 진공부(12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진공 펌프(310)는 솔레노이드 밸브(320)와 연결된다. 단계적 진공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을 통해 기판(10)을 하부 스테이지(11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진공 홀(220)을 통해 밀폐된 공간의 내부 공기 및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을 흡입하여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를 밀착 시킬 수 있다.3A shows the construction of the stepped
진공 펌프(310)는 하부 스테이지(110), 마스크 홀더(130) 및 씰링부(140)를 통해 밀폐된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흡입력을 생성한다.The
솔레노이드 밸브(320)는 진공 펌프(310)와 연결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솔레노이드 밸브(320)는 주어지는 신호에 따라 밸브의 개폐를 순간적으로 제어하여 다단 진공을 수행하며,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가 밀착된 진공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서, 단계적 진공부(120)는 도 3b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서로 연결하여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stepped
도 4는 도 1에 있는 밀착형 노광 장치가 노광 작업을 수행하는 측면도이다.FIG. 4 is a side view of the contact type exposure apparatus shown in FIG. 1 performing an exposure operation.
도 4를 참조하면, 마스크 홀더(130)는 외부 동력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부 스테이지(110)의 상단에 형성된 씰링부(140)와 맞닿으며 이 때, 마스크 홀더(130)는 하부 스테이지(110)를 대향하는 하단면에 포토 마스크(20)가 장착될 수 있다.4, the
씰링부(140)는 내부에 기체가 유입되어 팽창되며, 마스크 홀더(130)와 하부 스테이지(110)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되어 있는 틈을 밀폐 시킬 수 있다. 팽창된 씰링부(140)는 외부로부터 노광 작업이 수행되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aling
단계적 진공부(120)는 하부 스테이지(110)의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 및 진공 홀(220)을 통해 진공밀착 작업을 수행한다. 마스크 홀더(130)에 장착된 포토 마스크(20)의 중심이 기판(10)을 향하여 함몰되어 맞닿게 되며 다단 진공 과정을 통해 중앙으로부터 가장 자리 방향으로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의 밀착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The stepped
도 5는 도 4의 노광 작업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rogress of the exposure operation of FIG.
도 5a를 참조하면, 마스크 홀더(130)는 하단에 포토 마스크(20)를 장착하며, 하부 스테이지(110)의 상단을 향하여 이동하여 그 상단에 형성된 씰링부(140)와 맞닿을 수 있다. 여기에서, 포토 마스크(20)와 기판(10)은 일정한 간격(2mm 내지 3mm)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하부 스테이지(1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은 단계적 진공부(120)에서 생성된 흡입력으로 인해 기판(10)을 하부 스테이지(110)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5A, the
마스크 홀더(130)와 씰링부(140)가 맞닿아 노광 작업이 준비가 되면 단계적 진공부(120)에 의해 다단 진공이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다단 진공은 솔레노이드 밸브(320)가 짧은 시간 개폐 이루어지면서 다단 진공이 수행되면 그 중앙이 A에 해당하는 만큼이 기판(10)의 상단과 진공 밀착 될 수 있으며, 다단 진공이 반복 수행될 때마다 B, C 및 D의 크기로 기판(10)과 진공 밀착되는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포토 마스크(20)의 휨의 정도가 더 커질 수 있다.When the
다시 도 5에서, 도 5b는 포토 마스크(20)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210) 및 진공 홀(220)에서 다단 진공이 수행되어 하부 스테이지(110)를 향하여 볼록하게 휨이 발생할 수 있다. 휨이 발생한 포토 마스크(20)는 기판(10)의 중앙에서부터 진공 밀착되며 기판(1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포토 마스크(20)의 휨 정도에 따라 밀착도가 낮을 수 있다. 여기에서, 낮은 밀착도는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 사이에 다수의 공기층을 야기할 수 있다. 이 때 진공 홀(220)은 공기층을 제거 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다단 진공을 수행하여 도 6의 D와 같이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를 완벽하게 진공 밀착 시킬 수 있다.5, the
마스크 홀더(130)는 도 5C와 같이 포토 마스크(20)와 진공 밀착된 기판(10)을 향하여 추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씰링부(140)는 마스크 홀더(130)에 의해 형상이 일그러질 수 있다.
The
도 7은 도 5에 있는 기판과 포토 마스크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을 다단 진공을 수행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ving an air layer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hotomask in FIG. 5 by performing a multi-stage vacuum.
도 7a를 참조하면 다단진공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 기판(10)과 포토 마스크(20)가 밀착되는 과정에서 기판(10)의 가장자리와 포토 마스크(20)가 먼저 밀착되어 그 중앙에 공기층(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층(A)은 오랜 진공 안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제거되지 않아 밀착불량을 일으키며, 노광 작업시 빛이 산란이 일어나 해상도를 떨어뜨려 제품의 품질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다단 진공은 하부 스테이지(110)의 가장자리에서 형성된 진공 홀(220)을 통해 수행되어 공기층(A)을 기판(10)의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B)로 밀어내 제거하며, 도 7b와 같이 기판(10)을 포토 마스크(20)와 완전 밀착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A, when the multi-stage vacuum is not applied, the edge of the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 기판
20: 포토 마스크
100: 밀착형 노광 장치
110: 하부 스테이지
120: 단계적 진공부
130: 마스크 홀더
140: 씰링부
210: 적어도 하나의 기판 흡입 홀
220: 진공 홀
310: 진공 펌프
320: 솔레노이드 밸브10: substrate
20: Photomask
100: contact type exposure apparatus
110: Lower stage
120: Gradual progression study
130: mask holder
140: Sealing part
210: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220: Vacuum hole
310: Vacuum pump
320: Solenoid valve
Claims (13)
진공 펌프 및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한 진공 과정에서 밸브의 개폐를 통해 다단 진공을 수행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고, 상기 진공 홀을 통해 상기 다단 진공을 수행하는 단계적 진공부; 및
포토 마스크를 장착하고 상기 다단 진공에 따라 상기 하부 스테이지에 이동하여 상기 포토 마스크를 상기 기판에 밀착시키는 마스크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 진공은
상기 마스크 홀더와 상기 하부 스테이지의 간격이 이격된 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가 시작되며, 상기 마스크 홀더가 상기 하부 스테이지로 이동되어 상기 기판과 상기 포토마스크의 밀착 간격을 제어하는 밀착형 노광장치.
A lower stage including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at a position where a substrate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and abuts on the arranged substrate, and a vacuum hole which is controlled separately from the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and is arrang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stepping vacuum chamber formed of a vacuum pump and a solenoid valve for performing multi-stage vacuum through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during a vacuum process by the vacuum pump, and performing the multi-stage vacuum through the vacuum hole; And
And a mask holder which mounts a photomask and moves to the lower stage according to the multi-stage vacuum to adhere the photomask to the substrate,
The multi-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olenoid valve is started after the gap between the mask holder and the lower stage is separated and the mask holder is moved to the lower stage to control the tight contact interval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hotomask.
상기 하부 스테이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 홀더와 상기 하부 스테이지의 이격된 간격을 밀폐하는 씰링(Sealing)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노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part formed along an edge of the lower stage and sealing the gap between the mask holder and the lower stage.
상기 다단 진공에 따라 그 내부에 기체를 유입하여 팽창되도록 하는 씰링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노광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sealing portion
And a sealing tube for inflowing the gas into the inside of the sealing tube according to the multi-stage vacuum to expand the sealing tube.
상기 기판의 바깥 면과 상기 씰링 튜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노광 장치.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vacuum hole
And the sealing tube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sealing tube.
상기 기판이 배치될 때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노광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an edge of the substrate when the substrate is disposed.
상기 다단 진공을 통해 상기 기판과 상기 포토 마스크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기층을 기판 흡입하여 밀착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노광 장치.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vacuum hole
And the air layer generat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hotomask through the multi-stage vacuum is sucked into the substrate to increase the degree of contact.
포토 마스크를 장착하고 상기 하부 스테이지에 이동하여 상기 포토 마스크를 상기 기판에 밀착시키는 마스크 홀더;
상기 하부 스테이지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씰링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과정에서 상기 씰링 튜브를 팽창시켜 상기 마스크 홀더와 상기 하부 스테이지의 이격된 간격을 밀폐하는 씰링부; 및
상기 진공 홀을 통해 다단 진공을 수행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한 진공 과정에서 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다단 진공을 수행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된 단계적 진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폐 시간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기판과 상기 포토 마스크의 밀착 간격을 제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노광 장치.
A lower stage including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at a position where a substrate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and abuts on the arranged substrate, and a vacuum hole which is controlled separately from the at least one substrate suction hole and is arrang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mask holder mounted with a photomask and moved to the lower stage to closely adhere the photomask to the substrate;
A sealing part formed on a top edge of the lower stage to seal the gap between the mask holder and the lower stage by expanding the sealing tube in the moving process; And
And a stepping vacuum formed by a solenoid valve for performing the multi-stage vacuum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during the vacuum process by the vacuum pump,
The solenoid valve
Closing time interval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hotomask, and the close contact interval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photomask is control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480A KR101451094B1 (en) | 2013-10-04 | 2013-10-04 | Close-type exposur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480A KR101451094B1 (en) | 2013-10-04 | 2013-10-04 | Close-type exposure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1094B1 true KR101451094B1 (en) | 2014-10-15 |
Family
ID=5199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84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1094B1 (en) | 2013-10-04 | 2013-10-04 | Close-type exposure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109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7449B1 (en) * | 2017-12-19 | 2018-04-10 | 김상모 | Stepper for preventing movment of substrat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33302A (en) | 2002-10-11 | 2004-04-30 | Toshiba Corp | Method for adhering photomask and apparatus therefor |
KR20070066832A (en) * | 2005-12-22 | 2007-06-27 | 가부시키가이샤 아도테크 엔지니어링 | Close Exposure Type |
JP2009069362A (en) * | 2007-09-12 | 2009-04-02 | Ono Sokki Co Ltd | Contact exposure method and apparatus |
-
2013
- 2013-10-04 KR KR1020130118480A patent/KR10145109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33302A (en) | 2002-10-11 | 2004-04-30 | Toshiba Corp | Method for adhering photomask and apparatus therefor |
KR20070066832A (en) * | 2005-12-22 | 2007-06-27 | 가부시키가이샤 아도테크 엔지니어링 | Close Exposure Type |
JP2009069362A (en) * | 2007-09-12 | 2009-04-02 | Ono Sokki Co Ltd | Contact exposure method and apparatu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7449B1 (en) * | 2017-12-19 | 2018-04-10 | 김상모 | Stepper for preventing movment of substra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9469B1 (en) | Vacuum adsorption head | |
KR102679292B1 (en) | Pellicle frame and pellicle | |
US8349525B2 (en) | Protective apparatus, mask, mask fabricating method and conveying apparatus, and exposure apparatus | |
CN1987655A (en) | Exposure device of closing type | |
KR20180053251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graphen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ellicle using the same | |
JP2011114238A (en) | Substrate holding device, exposure device using the same,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CN104749874A (en) | Mask plate, mask exposure apparatus and mask exposure method | |
KR101451094B1 (en) | Close-type exposure apparatus | |
KR102070074B1 (en) | Pellicle frame | |
CN104570590A (en) | Dustproof film component | |
TW201736945A (en) | Substrate container | |
US12311504B2 (en) | Holding mechanism and exposure apparatus | |
JP2005148747A (en) | Mask fixing apparatus, exposure system and exposure method using the same | |
JP2008111969A (en) | Exposure apparatus | |
JP2001209192A (en) | Method for exposing substrate and aligner | |
CN112859532A (en) | Direct exposure apparatus and method for exposing substrate | |
JP2001305744A (en) | Contact exposure device | |
JP2007178557A (en) | Exposure apparatus | |
JP2010039227A (en) | Exposure apparatus, exposure method and substrate-mounting method | |
JP2011085831A (en) | Pellicle sticking device, method for sticking pellicle, and mask with pellicle | |
JP2003021909A (en) | Exposure device | |
KR20140079144A (en) | Process chamber and method for removing particle using the same | |
US20070190430A1 (en) | Photo-mask stage | |
JP6844804B1 (en) | Exposure device and exposure method | |
JP7196269B2 (en) | Mask maintenance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1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