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9526B1 -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 Google Patents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526B1
KR101449526B1 KR1020100129569A KR20100129569A KR101449526B1 KR 101449526 B1 KR101449526 B1 KR 101449526B1 KR 1020100129569 A KR1020100129569 A KR 1020100129569A KR 20100129569 A KR20100129569 A KR 20100129569A KR 101449526 B1 KR101449526 B1 KR 10144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art
coil spring
torsional vibration
damper
vibration dam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8120A (ko
Inventor
김원현
곽용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5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2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 F16F15/24Compensation of inertia forces of crankshaft systems by particular disposition of cranks, pisto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16Torsional springs, e.g. torsion bar or torsionally-loaded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14Masses driven by elastic elements
    • F16F15/1421Metallic springs, e.g. coil or spir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2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 F16F3/04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composed only of 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에 관한 것으로, 내측 부품과 외측 부품 사이에 고강성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여 주파수 조정이 가능하게 하고, 엔진 윤활유를 댐퍼 내부로 유동시켜 커버에 가공된 좁은 틈새로 윤활유가 지날 때 발생하는 감쇠력을 이용하여 엔진 축계 비틀림 진동을 저감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는, 크랭크 축에 고정되는 내측 부품(10)과, 상기 내측 부품(10)과 코일 스프링(30)으로 연결 및 지지되는 외측 부품(20)과, 상기 내측 부품(10)의 홈과 상기 외측 부품(20)의 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30)과, 상기 내측 및 외측 부품(10,20)의 양쪽에 설치되는 커버(40)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Opened coil spring type torsional vibration damper}
본 발명은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torsional vibration damp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축계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랭크 샤프트는 선박의 디젤기관이나 차량의 가솔린기관과 같은 내연기관에 설치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크랭크 샤프트는 회전운동시 내연기관의 폭발행정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전달받아 비틀림 진동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비틀림 진동은 엔진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한편, 크랭크 샤프트의 고유진동과 충격력에 의한 크랭크 샤프트의 강제진동이 서로 동일한 주파수에서 발생 될 시 발생 되는 공진 현상은 크랭크 샤프트를 비롯한 엔진 구성요소들의 파손을 야기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는 비틀림 진동댐퍼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비틀림 진동댐퍼는 유체의 점성을 이용하거나 탄성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키고 공진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데, 엔진 축계에 과도한 비틀림 진동이 발생할 경우 크랭크 핀 필렛부, 저널 필렛부 등에 집중 응력이 발생하여 축계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용 추진기나 발전용으로 사용되는 중형 엔진 축계에는 비틀림 진동 저감을 위해 점성형 댐퍼 또는 스프링-점성형 댐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상기 점성형 댐퍼는 질량체 역할을 하는 관성링과 댐퍼 케이싱(casing) 사이에 충진된 실리콘 오일 점성에 의한 감쇠력을 이용해 진동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큰 진동 제어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점성형 댐퍼는 스프링에 의한 주파수 조정 효과가 없기 때문에 도 1과 같은 진동 저감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도 1의 a는 댐퍼 설치 전의 진동 그래프이고, b는 점성형 댐퍼 설치 후의 진동 그래프를 나타낸다.
상기 스프링-점성형 댐퍼는 크랭크 축에 고정되는 내측 부품과 질량체 역할을 하는 외측 부품 사이에 강성(stiffness)을 구현하는 부품을 추가하여, 도 2와 같이 주파수 조정 효과가 더해져 큰 진동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c는 댐퍼 설치 전의 진동 그래프이고, d는 스프링 점성형 댐퍼 설치 후의 진동 그래프를 나타낸다.
기존의 스프링 점성형 댐퍼에서는 비교적 큰 질량체를 사용하고 원하는 작동 주파수를 얻기 위해서 강성이 매우 큰 스프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스프링 강 재질의 판 스프링(plate spring)을 내측 부품과 내축 부품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한 것이 사용되어 왔으나 많은 수의 부품이 필요하고, 열처리 과정이 추가되며 조립에 어려움이 있어 진동 저감 성능은 우수하나 고가인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엔진 축계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크랭크 축과 연결되는 내측 부품과 댐퍼의 관성 역할을 하는 외측 부품 사이에 코일 스프링을 장착하여, 엔진 축계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을 줄인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측 부품과 외측 부품 사이에 고강성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여 주파수 조정이 가능하게 하고, 엔진 윤활유를 댐퍼 내부로 유동시켜 커버에 가공된 좁은 틈새로 윤활유가 지날 때 발생하는 감쇠력을 이용하여 엔진 축계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키는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는, 크랭크 축과 연결되는 내측 부품과 댐퍼의 관성(inertia) 역할을 하는 상기 외측 부품 사이에 코일 스프링을 장착하여 비틀림 진동댐퍼의 강성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크랭크 축의 엔진 윤활유를 댐퍼 내부로 유동시켜 커버에 가공된 좁은 틈새(홈)를 윤활유가 지날 때 발생하는 감쇠력을 이용하여 엔지 축계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켰다.
여기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질량체(seismic mass) 역할을 하는 외측 부품과 연계하여 댐퍼의 작동 주파수를 결정하게 되고, 댐퍼가 작동되는 동안 댐퍼 커버에 가공된 댐핑 간극 홈에서의 엔진 오일 유동에 의해 구현되는 댐핑으로 엔진 축계의 비틀림 진동을 저감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랭크 축과 연결되는 내측 부품과 댐퍼의 관성 역할을 하는 외측 부품 사이에 코일 스프링을 장착하여, 엔진 축계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내측 부품과 외측 부품 사이에 고강성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여 주파수 조정이 가능하게 하고, 엔진 윤활유를 댐퍼 내부로 유동시켜 커버에 가공된 좁은 틈새로 윤활유가 지날 때 발생하는 감쇠력을 이용하여 엔진 축계 비틀림 진동을 저감 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큰 질량체를 적용하면서도 30㎐∼70㎐대의 댐퍼 작동 주파수를 확보함과 동시에 제품의 제작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점성형 댐퍼의 비틀림 진동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종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프링-점성형 댐퍼의 비틀림 진동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의 구성을 커버를 제거하고 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측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외측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의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의 구성을 커버를 제거하고 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측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외측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축에 고정되는 내측 부품(10)과, 상기 내측 부품(10)과 코일 스프링(30)으로 연결 및 지지되는 외측 부품(20)과, 상기 내측 부품(10)의 홈과 상기 외측 부품(20)의 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30)과, 상기 내측 및 외측 부품(10,20)의 양쪽에 설치되는 커버(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내측 부품(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크랭크 축 삽입구(12)가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외주 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부(13)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3)에는 양쪽 중앙에 격벽(15)이 수직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15)의 양쪽에 복수 개의 스프링 설치 홈(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부품(10)은 상기 몸체부(11)의 외주 면과 측면에 오일 홀(Oil Hole)(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오일 홀(Oil Hole)(16)은 내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1)의 외주 면에 형성된 오일 홀(16)은 상기 고정부(13)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내측 부품(10)을 상기 외측 부품(20)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외측 부품(20)의 고정부 삽입구(23)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부품(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부품(10)을 삽입하기 위한 내측 부품 삽입구(22)와 복수 개의 고정부 삽입구(23)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몸체부(21)와, 상기 고정부 삽입구(23)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된 스프링 설치 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 측면에 볼트 체결 홀(25)과 오일 홀(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오일 홀(26)은 상기 내측 부품(10)의 오일 홀(16)과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 삽입구(23)의 폭 크기는 상기 내측 부품(10)의 고정부(13)의 측면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30)은 상기 내측 부품(10)의 스프링 설치 홈(14)과 상기 외측 부품(20)의 스프링 설치 홈(24)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내측 부품(10)과 상기 외측 부품을 연결 및 지지하고 있다(도 3 참조).
상기 커버(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부품(10)의 외주 면보다 큰 크기를 갖는 원형 구멍(41)이 가운데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원형의 댐핑 간극 홈(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댐핑 간극 홈(42)은 상기 커버(4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조립된 상기 내측 및 외측 부품(10,20)의 양쪽에 상기 커버(40)를 설치하였을 때 상기 외측 부품(20)의 오일 홀(26)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4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 홀(4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외측 부품(20)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 체결 홀(2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부품(10)은 크랭크 축과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외측 부품(20)은 상기 내측 부품(10)과 상기 코일 스프링(30)으로 연결 및 지지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30)은 상기 내측 부품(10)의 스프링 설치 홈(14)에 일 단이 장착되고, 상기 외측 부품(20)의 스프링 설치 홈(24)에 타 단이 장착되어 상기 내측 부품(10)과 상기 외측 부품(20)이 서로 지지 및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30)은 미리 압축된 상태에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 스프링(30)은 충분한 강성 또는 목표하는 주파수에 따라 여러 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질량체 역할을 하는 상기 외측 부품(20)과 연계되어 댐퍼의 작동 주파수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내측 부품(10)과 상기 외측 부품(20)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30)이 조립된 댐퍼는 양쪽으로 커버(40)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40)의 볼트 체결 홀(43)과 상기 외측 부품(20)의 볼트 체결 홀(25)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 축에서 공급되는 엔진 윤활유는 상기 내측 부품(10)의 오일 홀(16)을 통해 댐퍼 내부로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공급되며, 비틀림 진동에 의해 상기 내측 부품(10)과 상기 커버(40) 사이에 상대 운동이 발생할 때 공급된 오일이 상기 커버(40)의 댐핑 간극 홈(42)을 유동하면서 발생하는 엔진 윤활유 유동 댐핑으로 감쇠 성능을 구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크랭크 축과 연결되는 상기 내측 부품(10)과 댐퍼의 관성(inertia) 역할을 하는 상기 외측 부품(20) 사이에 상기 코일 스프링(30)을 장착하여 비틀림 진동댐퍼의 강성을 구현하였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30)은 질량체(seismic mass) 역할을 하는 상기 외측 부품(20)과 연계하여 댐퍼의 작동 주파수를 결정하게 되고, 댐퍼가 작동되는 동안 댐퍼 커버(40)에 가공된 댐핑 간극 홈(42)에서의 엔진 오일 유동에 의해 구현되는 댐핑으로 엔진 축계의 비틀림 진동을 저감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는 내측 부품과 외측 부품 사이에 고강성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여 주파수 조정이 가능하게 하고, 엔진 윤활유를 댐퍼 내부로 유동시켜 커버에 가공된 좁은 틈새로 윤활유가 지날 때 발생하는 감쇠력을 이용하여 엔진 축계 비틀림 진동을 저감 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내측 부품 11 : 몸체부
12 : 크랭크축 삽입구 13 : 고정부
14 : 스프링 설치 홈 15 : 격벽
16 : 오일 홀(oil hole) 20 : 외측 부품
21 : 몸체부 22 : 내측 부품 삽입구
23 : 고정부 삽입구 24 : 스프링 설치 홈
25 : 볼트 체결 홀(hole) 26 : 오일 홀(oil hole)
30 : 코일 스프링(coil spring) 40 : 커버(cover)
41 : 원형 구멍 42 : 댐핑 간극(damping gap)
43 : 볼트 체결 홀

Claims (10)

  1. 크랭크 축에 고정되는 내측 부품(10)과;
    상기 내측 부품(10)과 코일 스프링(30)으로 연결 및 지지되는 외측 부품(20)과;
    상기 내측 부품(10)의 홈과 상기 외측 부품(20)의 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코일 스프링(30); 및
    상기 내측 및 외측 부품(10,20)의 양쪽에 설치되는 커버(40);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부품(10)은 크랭크 축 삽입구(12)가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외주 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부(13); 및
    상기 고정부(13)의 양쪽 면에 형성된 스프링 설치 홈(14);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3)는 양쪽 중앙에 격벽(15)이 수직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격벽(15)의 양쪽에 상기 스프링 설치 홈(14)이 각각 형성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품(10)은:
    상기 몸체부(11)의 외주 면과 측면에 하나로 연결된 오일 홀(Oil Hole)(16)이 각각 형성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의 외주 면에 형성된 오일 홀(16)은:
    상기 고정부(13)의 양쪽에 형성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품(20)은:
    상기 내측 부품(10)을 삽입하기 위한 내측 부품 삽입구(22)와 복수 개의 고정부 삽입구(23)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몸체부(21)와;
    상기 고정부 삽입구(23)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된 스프링 설치 홈(24);
    을 포함하는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품(20)은:
    양쪽 측면에 볼트 체결 홀(25)과 오일 홀(2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 홀(26)은 상기 내측 부품(10)의 오일 홀(16)과 연결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삽입구(23)는:
    상기 내측 부품(10)의 고정부(13)의 측면 폭보다 크게 형성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는:
    상기 내측 부품(10)의 스프링 설치 홈(14)과 상기 외측 부품(20)의 스프링 설치 홈(24) 사이에 상기 코일 스프링(30)이 각각 설치된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는:
    중앙에 상기 내측 부품(10)의 외주 면보다 크게 형성된 원형 구멍(41)과;
    측면에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부품(20)의 오일 홀(26)과 연결된 댐핑 간극 홈(42); 및
    상기 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볼트 체결 홀(43);
    을 포함하는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KR1020100129569A 2010-12-17 2010-12-17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Expired - Fee Related KR101449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569A KR101449526B1 (ko) 2010-12-17 2010-12-17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569A KR101449526B1 (ko) 2010-12-17 2010-12-17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120A KR20120068120A (ko) 2012-06-27
KR101449526B1 true KR101449526B1 (ko) 2014-10-13

Family

ID=4668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5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9526B1 (ko) 2010-12-17 2010-12-17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0407A (zh) * 2018-05-31 2018-11-0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阻尼式曲轴扭转减振器总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505A (ja) 2000-07-27 2002-03-22 Luk Lamellen &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トーション振動減衰器
JP2005273798A (ja) * 2004-03-25 2005-10-06 Koyo Seiko Co Ltd 動力伝達装置
JP2006506583A (ja) 2002-11-14 2006-02-23 ルーク ラメレン ウント クツプルングスバウ ベタイリグングス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2つの軸を連結するための装置
JP2010513793A (ja) 2006-12-18 2010-04-30 ボーグワーナ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部分的な一次要素を含むねじり振動ダン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505A (ja) 2000-07-27 2002-03-22 Luk Lamellen &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トーション振動減衰器
JP2006506583A (ja) 2002-11-14 2006-02-23 ルーク ラメレン ウント クツプルングスバウ ベタイリグングス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2つの軸を連結するための装置
JP2005273798A (ja) * 2004-03-25 2005-10-06 Koyo Seiko Co Ltd 動力伝達装置
JP2010513793A (ja) 2006-12-18 2010-04-30 ボーグワーナ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部分的な一次要素を含むねじり振動ダン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120A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837B2 (en) Pendulum absorber system
CN112673188B (zh) 组合的隔离及扭转振动阻尼装置
US8146457B2 (en) Disk pendulum vibration damper
US8677849B2 (en) Sprocket with damper and compensator
JP2009529628A (ja) 振動吸収アイソレータ
US10113611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and engin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6417662B2 (ja) 内燃機関および内燃機関のカバー取付構造
IT9047880A1 (it) Dispositivo ammortizzatore di torsione ad ammortizzatore dinamico, in particolare per autoveicoli.
US11236801B2 (en) Crankshaft assembly comprising a torsional vibration damper
KR101370158B1 (ko) 정밀 간격 조정이 가능한 엔진 축계 비틀림 점성 댐퍼
KR101449526B1 (ko) 개방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CN106662198B (zh) 具有双弹性体构件的扭转振动减振器
US20060272446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CN102678820A (zh) 液压式扭振减振器
KR100845983B1 (ko) 유압식 스프링형 비틀림 진동댐퍼
KR101449530B1 (ko) 폐쇄형 코일 스프링 비틀림 진동 댐퍼
US6508713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KR100921698B1 (ko) 비틀림 진동댐퍼
EP2414701B1 (e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attenuating the vibration of a piston engine and a piston engine
CN222615917U (zh) 一种减震器及柴油机
RU2169279C1 (ru) Поршневой двигатель
WO2017089160A1 (en) Oil sump balance shaft assembly for an engine and method of balancing the engine
KR100891589B1 (ko) 비대칭 저강성 감쇠를 위한 이중 질량 플라이휠
KR101412884B1 (ko) 위상 가변형 밸런스샤프트
KR20030039473A (ko)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라 가변적 불평형 질량을 갖는밸런스 샤프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6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