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9384B1 - 빨래집게 - Google Patents

빨래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384B1
KR101449384B1 KR1020140064030A KR20140064030A KR101449384B1 KR 101449384 B1 KR101449384 B1 KR 101449384B1 KR 1020140064030 A KR1020140064030 A KR 1020140064030A KR 20140064030 A KR20140064030 A KR 20140064030A KR 101449384 B1 KR101449384 B1 KR 101449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fixing bracket
tightening nut
shape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만
Original Assignee
강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만 filed Critical 강석만
Priority to KR102014006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38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5/00Clothes-pegs
    • D06F55/02Clothes-pegs with pivoted independent clamping me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3/00Clothes-lines; Supports therefor 
    • D06F53/005Accessories, e.g. line cleaning devices, line protectors, clothes-pin hold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래집게에 관한 것으로, 봉상의 건조대, 행거를 포함한 피고정체에 걸림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이 나사체결되도록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너트; 상기 조임너트의 하단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S'형상으로 하향 연장되고, 판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빨래홀더; 상기 빨래홀더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빨래홀더간 하단 간격을 조절하는 사각틀 형태의 간격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집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빨래를 널 때는 끼우고, 걷을 때는 빼기만 하면 되는 빨래집게이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빨래집게{A CLOTHES CLAMP}
본 발명은 빨래집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 고정 조임강도가 조절되어 세탁물을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개선된 빨래집게에 관한 것이다.
주거문화의 개선에 따라 최근에는 편리함과 실용성 및 외관상의 이유 등으로 종전의 빨랫줄 대신 다수개의 건조봉이 수평으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건물의 베란다나 옥상 등에 설치되는 빨래건조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빨래건조대에 피건조물을 널때에는 피건조물이 바람에 의해 건조봉으로부터 탈리되지 않도록 통상 빨래집게가 사용되는데, 피건조물의 두께가 두껍거나 건조봉의 지름이 큰 경우 등에는 빨래집게의 집게부가 피건조물과 건조봉을 함께 협지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곤란하며, 특히 건조봉의 지름이 큰 겅우에는 빨래집게의 미사용시에 빨래집게를 상기 건조봉에 걸어둘 수 없어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개실용 제1987-0010247호에서는 빨래집게의 양측 협지간의 상측단에 각각 걸고리를 설치한 예가 있다.
그 외에도, 빨래집게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등록실용 제0178668호, 등록실용 제0361333호, 일본공개특허 제2000-262388호 등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기술들에 나타난 빨래집게는 가위형태로 이루어진 집게를 눌러 잡고 빨래를 고정해야 하므로 사용하기 불편하고, 특히 다수의 빨래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 빨래를 널 때 일일이 잡고 벌린 다음에 고정해야 하므로 상당히 불편하였다.
뿐만 아니라, 건조 후에도 빨래집게 자국이 남아 있어 외관 품위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건조 후 빨래를 걷을 때에도 일일이 집게를 벌린 후에라야 회수가 가능하였기 때문에 다량의 빨래를 널고 걷는 주부 입장에서는 좀 더 편리한 기능을 갖는 빨래집게의 개발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창출된 것으로, 빨래의 두께에 따라 탄성 고정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단순히 하방에서 상방으로 끼워 넣는 것만으로도 빨래를 널 수 있고, 걷을 때에는 하방으로 당기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된 새로운 개념의 빨래집게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봉상의 건조대, 행거를 포함한 피고정체에 걸림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이 나사체결되도록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너트; 상기 조임너트의 하단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S'형상으로 하향 연장되고, 판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빨래홀더; 상기 빨래홀더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빨래홀더간 하단 간격을 조절하는 사각틀 형태의 간격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집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은 타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고정체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공용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일부가 개방된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피고정체에 끼워 걸 수 있거나 혹은 상단이 절곡 형성되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봉상으로 형성된 후 흡착구가 결합되어 벽면에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하면에 구멍이 형성된 건조대 또는 행거를 포함한 피고정체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돌기; 상기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조임너트; 상기 조임너트의 하단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S'형상으로 하향 연장되며, 판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빨래홀더; 상기 빨래홀더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빨래홀더간 하단 간격을 조절하는 사각틀 형태의 간격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집게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빨래를 널 때는 끼우고, 걷을 때는 빼기만 하면 되는 빨래집게이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빨래의 두께에 따라 탄성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활용폭도 매우 넓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집게의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집게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집게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집게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집게의 또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집게의 다른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집게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빨래집게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빨래집게는 봉상의 건조대 혹은 행거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대략 타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 일부가 절개된 후 하향 연장되어 연장부(110)를 구성하고, 연장부(110)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연장부(110)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본 상태로 배치되는데, 한 쌍이 서로 맞대어졌을 때 하나의 원기둥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장부(110)는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요철(120)이 형성되어 봉상의 건조대 혹은 행거 등의 피고정체(H)에 물렸을 때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부(110)의 내측면, 즉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홈(G)과 돌기(D)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00) 설치시 위치를 쉽고 빠르게 잡아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원형 링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도 7의 (a),(b)에서와 같이, 타원형 링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서 직경이 다른 피고정체(H,H')에 고정할 때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피고정체에도 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활용폭을 넓히도록 함이 더욱 좋다.
나아가, 상기 연장부(110)의 하단은 테이퍼가공하여 경사면(112)을 갖도록 함으로써 후술되는 조임너트(200)에 체결하기 쉽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상술한 일체형에 국한되지 않고, 도 4의 예시와 같이, 반 분할된 한 쌍이 힌지(130)를 통해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벌어졌다 오므려졌다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연장부(110)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원형상으로 경사진 부위 일부까지 올려서 형성함으로서 고정브라켓(100)의 나사체결 깊이에 따라 조임구경의 크기를 더 폭넓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구경의 피고정체(H)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후술될 도 10의 집게형 고정브라켓(100)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110)는 조임너트(200)에 체결된다.
사실상, 본 발명에 따른 빨래집게의 사용은 먼저 고정브라켓(100)을 행거 등의 피고정체(H)에 걸어 고정한 다음 상기 조임너트(200)를 연장부(110)에 끼운 다음 조임너트(200)를 돌려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지만, 도시 설명의 편의상 연장부(110)가 조임너트(200)에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렇게 설명하더라도 결과적으로는 같은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임너트(200)는 도시와 같이, 육각너트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도 5,6과 같은 원형은 물론,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각, 삼각 등 다양한 형태의 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사각형태로 할 경우에는 후술되는 간격조절구(400)를 조임너트(200) 상측에서 하측으로 곧바로 끼워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사각형상을 갖는 조임너트(200)의 크기를 작게 해서 상기 간격조절구(4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함은 당연하다 하겠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임너트(200)의 상단면 연장부(110) 삽입홀(210)의 주변은 하향 연장되게 테이퍼부(21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장부(110)의 초기 삽입시 쉽고 빠른 삽입을 유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210)의 내경에는 상기 연장부(110)가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 상기 조임너트(200)의 하단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빨래홀더(300)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빨래홀더(300)는 대략 'S'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상의 부재로서, 최초 성형시에는 한 쌍의 빨래홀더(300) 하단의 간격이 서로 이격되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빨래홀더(300)에 홀딩될 빨래의 두께에 따라 벌어지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두께의 빨래, 이를 테면 수건에서부터 런닝셔츠에 이르기까지 다종류의 빨래를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빨래집게는 기존의 집게형과 달리 끼움형이기 때문에 상술한 두께 조절기능은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상기 빨래홀더(300)는 'S' 형으로 구성됨으로써 탄성고정력이 증대되는 형상이 되며, 간격조절을 위해 빨래홀더(300)의 외주면 상단에는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걸림돌기(310)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빨래홀더(300)의 하단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보강리브(320)를 더 포함하는데, 보강리브(320)는 상기 빨래홀더(300)의 하단에 강성을 주어 쉽게 부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다른 한편, 상기 빨래홀더(300)에는 간격조절구(400)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구(400)는 대략 사각형상의 틀체로서, 상기 빨래홀더(300)의 하단을 통해 끼워진 다음 상기 걸림돌기(310)에 다단 걸림됨으로써 빨래홀더(300)의 벌어짐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a)와 같이 상단에 걸렸을 때에는 빨래홀더(300)의 벌어짐이 다소 크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운 빨래를 끼워 건조할 때 활용되며, (b)와 같이 하단에 걸렸을 때에는 빨래홀더(300)의 벌어짐이 매우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빨래를 끼워 건조할 때 활용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단에 걸렸을 때에는 이들 사이의 두께에 해당되는 빨래를 끼워 건조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간격조절구(4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끼워 건조할 수 있는 빨래의 두께별로 대응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간격조절구(400)는 도 6과 같이 변형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간격조절구(400)의 일부를 절단하여 슬릿(S)을 만들고, 이를 상하로 트위스트시키게 되면 그 사이가 벌어지므로 간격조절구(400)를 빨래홀더(300)의 측방에서 곧바로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빨래홀더(300)의 하단을 통해 끼우지 않고도 곧바로 측방에서 끼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도 8에서와 같이, 고정브라켓(100)을 변형하여, 고정브라켓(100)을 봉상으로 만들고, 그 상단에 흡착구(102)를 설치하여 유리면 혹은 벽면에 진공흡착 방식으로 고정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착구(102)는 각도조절 가능하게 구성하면 더욱 좋다.
특히, 주방에 부착할 경우, 행주를 비롯한 고무장갑 등을 걸어 둘 수도 있다.
또다른 예로, 도 9에서와 같이, 고정브라켓(100)을 봉상으로 만들고, 그 상단을 수직절곡하여 턱 등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빨래집게는 기존 집게형 개념을 벗어나 완전히 새로운 개념인 끼워 사용가능한 구조를 갖춤으로써 건조후 집게 자국도 남지 않아 외관 품위도 향상되는 실로 활용도가 큰 발명이라 할 수 있겠다.
또다른 예로,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브라켓(100)의 형상을 집게형으로 구성하고, 외주면에 원형 곡선이 형성되는 경사면까지 나사산을 형성한 후 조임너트(200)에 체결하게 되면 주방의 서랍에 구비된 손잡이 등에 쉽고 편리하게 맞물어 걸어둘 수 있으므로 행주, 수건, 고무장갑 등과 같이 비교적 작고 가벼운 크기의 주방용품을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게형 고정브라켓(100)의 맞물림은 그 하단에 형성된 나사산의 조임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집게의 벌어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쉽다.
또다른 예로, 도 11에서와 같이, 공지의 행거 혹은 건조대의 하면에 구멍(Hole)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Hole)에 강제 끼움방식 혹은 억지 끼움방식으로 고정되는 돌기형 고정브라켓(100)을 구성하여 끼워 고정함으로써 쉽고 편리한 빨래집게 활용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에는, 고정브라켓(100)이 조임너트(200)의 상면과 일체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TD)를 갖는 구조일 수 있다.
100: 고정브라켓 200: 조임너트
300: 빨래홀더 400: 간격조절구

Claims (4)

  1. 건조대 또는 행거를 포함한 피고정체에 걸림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이 나사체결되도록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너트;
    상기 조임너트의 하단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S'형상으로 하향 연장되고, 판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빨래홀더;
    상기 빨래홀더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빨래홀더간 하단 간격을 조절하는 사각틀 형태의 간격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집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타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고정체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공용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집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일부가 개방된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피고정체에 끼워 걸 수 있거나 혹은 상단이 절곡 형성되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봉상으로 형성된 후 흡착구가 결합되어 벽면에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집게.
  4. 하면에 구멍이 형성된 건조대 또는 행거를 포함한 피고정체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돌기;
    상기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조임너트;
    상기 조임너트의 하단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S'형상으로 하향 연장되며, 판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빨래홀더;
    상기 빨래홀더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빨래홀더간 하단 간격을 조절하는 사각틀 형태의 간격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집게.
KR1020140064030A 2014-05-27 2014-05-27 빨래집게 Expired - Fee Related KR101449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030A KR101449384B1 (ko) 2014-05-27 2014-05-27 빨래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030A KR101449384B1 (ko) 2014-05-27 2014-05-27 빨래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384B1 true KR101449384B1 (ko) 2014-10-13

Family

ID=5199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0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9384B1 (ko) 2014-05-27 2014-05-27 빨래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1069A (ko) 2022-12-23 2024-07-02 이서호 빨래 집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364A (ja) 2005-01-17 2006-08-03 Chiori Ito 洗濯ばさみ
KR100988951B1 (ko) 2008-07-11 2010-10-20 최용복 세탁물 건조대용 빨래 집게
KR101123503B1 (ko) 2009-01-22 2012-03-23 이제헌 고무장갑 건조용 집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8364A (ja) 2005-01-17 2006-08-03 Chiori Ito 洗濯ばさみ
KR100988951B1 (ko) 2008-07-11 2010-10-20 최용복 세탁물 건조대용 빨래 집게
KR101123503B1 (ko) 2009-01-22 2012-03-23 이제헌 고무장갑 건조용 집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1069A (ko) 2022-12-23 2024-07-02 이서호 빨래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384B1 (ko) 빨래집게
KR20160004879A (ko) 빨래집게
TWM484647U (zh) 夾子組成
KR200459959Y1 (ko) 집게 없는 빨래 건조대
JP3194631U (ja) 物干し竿補助具
JP3213876U (ja) 角度付きハンガー
JP6147705B2 (ja) 靴用ハンガー
JP3146937U (ja) スーパーマルチハンガー
KR200468507Y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90011056U (ko) 고무장갑 걸이
JP2004275346A (ja) フード付衣料用ハンガー
CN213940638U (zh) 一种拖把挂钩
KR101512335B1 (ko) 거치형 행거
KR20160041184A (ko) 빨래감을 끼웠다 뺄 수 있는 빨래행거의 폭조절장치
JPH0951998A (ja) ハンガー
JP3179023U (ja) 物干装置
KR102658846B1 (ko) 클램프형 옷걸이
JP2012148040A (ja) 左右を挟む洗濯挟み
JP2010240355A (ja) 靴べら付、履物用整頓棒
KR20160015822A (ko) 욕실용 악세사리 고정장치
KR200432665Y1 (ko) 고무장갑을 파지하는 결착고리
JP2004049831A (ja) ハンガー
KR101548737B1 (ko) 빨래행거
TWM552313U (zh) 衣架夾裝置
JP2009006105A (ja) ダブルフック洗濯角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