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9323B1 -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323B1
KR101449323B1 KR1020130103131A KR20130103131A KR101449323B1 KR 101449323 B1 KR101449323 B1 KR 101449323B1 KR 1020130103131 A KR1020130103131 A KR 1020130103131A KR 20130103131 A KR20130103131 A KR 20130103131A KR 101449323 B1 KR101449323 B1 KR 10144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engine
hybrid vehicle
engine clutch
accele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323B1/ko
Priority to US14/133,301 priority patent/US91328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3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08Clutch engagement state, e.g. engaged or dis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0Direction indicator val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감속 주행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지를 방지하여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의 경우, 엔진 클러치의 접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를 실시하여, 엔진 클러치 접합 해제 및 재접합에 따른 운전성 및 가속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UTCH OF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감속 주행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지를 방지하여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유가 및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에 따른 친환경을 실현하는 동시에 연비향상을 도모하고자, 최근에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과 같은 친환경 차량이 양산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차량 중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 뿐만 아니라 모터를 동력원으로 채택하여, 배기가스 저감 및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으로서, 엔진 또는 모터 동력을 별로도 주행 휠로 전달하거나, 엔진 및 모터 동력을 함께 주행 휠로 전달하는 고효율 및 고성능의 동력전달 시스템이 요구된다.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결된 엔진(10)과 모터(12), 엔진(10) 및 모터(12) 사이에 배열되어 엔진 동력을 전달 또는 단절시키는 엔진 클러치(13)와, 주행상황에 따라 클러치의 접합 및 접합해지 제어를 하는 컨트롤러(15)와, 동력을 주행 휠로 변속하여 출력하는 자동변속기(14)와, 이들의 동작을 위한 구성으로서 엔진의 크랭크 풀리와 연결되어 엔진시동 및 발전을 하는 ISG(16, Integrated Starter Generato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엔진 클러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원가 절감과 변속기에 전달되는 토크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토크 컨버터 대신에 엔진과 모터의 사이에 장착되어 엔진의 출력 토크를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동력전달장치를 갖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모드를 보면, 모터 동력만을 이용하는 순수 전기자동차 모드인 EV(electric vehicle)모드와, 엔진을 주동력으로 하면서 모터를 보조동력으로 이용하는 HEV(hybrid electric vehicle)모드와, 차량의 제동 혹은 관성에 의한 주행시 차량의 제동 및 관성 에너지를 상기 모터에서 발전을 통하여 회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회생제동(RB: Regenerative Braking)모드 등을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하이브리드 모드(HEV)는 예를 들어, 엔진에 큰 부하가 걸리는 발진, 가속, 등판 등과 같은 주행시, 엔진 클러치의 접합(engaged)과 동시에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릴레이가 온 되어, 엔진과 모터 출력토크의 합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모드를 말한다.
또한, 모터만으로 주행하는 EV 모드시에는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지(disengaged)와 동시에 메인 릴레이는 온 되어, 모터의 출력토크에 의해서만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EV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모드(HEV)로의 주행모드 천이 시, 엔진 클러치가 접합되는 바, 예를 들어 ISG에 의한 크랭킹과 함께 엔진 클러치 양단의 속도, 즉 엔진의 출력속도와 모터의 속도를 동기화시킨 후, 엔진 클러치가 접합되어 하이브리드 모드로의 주행모드 천이가 이루어진다.
이때, EV 모드(엔진클러치 접합 해제 상태)에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의해 차량이 EV모드에서 하이브리드 모드로 천이될 때, 엔진클러치의 접합을 위한 시간이 소요된 후, 하이브리드 모드로의 천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EV 모드에서 엔진 클러치의 접합과 하향 변속을 통해 하이브리드 모드로 천이될 때, 차량을 가속하는 킥 다운(Kick Down)에서의 가속 성능은 엔진클러치의 응답속도 및 응답성능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반면, 상기 하이브리드 모드에서 EV 모드로의 주행모드 천이 시, 엔진 클러치의 접합이 해제되며, 이때의 엔진 클러치 해제 진입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ISG 토크(ISG Tq)량에 의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2) 엔진 토크(Engine Tq)량에 의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3) 차속과 기어단에 의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4) 모터 RPM이 차속과 브레이크 밟음량(Break Depth)에 의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5) 차속, 기어단, 브레이크 밟음량에 따른 변속 제어기(TCU)의 변속단(Shift Phase)에 의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러한 진입 조건을 토대로 하는 엔진 클러치 접합 해제 조건을 첨부한 도 2를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1) ISG 토크량에 의한 진입조건 및 3) 차속과 기어단에 의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ISG 토크량이 현재 차속과 기어단에 의한 테이블(Table)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토크량에 의한 엔진클러치 접합 해제 조건에 진입한다.
둘째, 1) 상기 엔진 토크량에 의한 진입조건 및 3) 차속과 기어단에 의한 진입조건에 의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엔진 출력 토크량이 현재 차속과 기어단에 의한 테이블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토크량에 의한 엔진클러치 접합 해제조건에 진입한다.
셋째, 위의 첫째 및 둘째 조건 동시 성립시, 차속과 기어단에 의한 테이블 값에 따라 일정 시간의 지연(Delay)를 가지며 토크에 의한 엔진클러치 접합 해제 조건에 진입한다.
넷재, 상기 4) 모터 RPM이 차속과 브레이크 페달 밟음량에 의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현재 차속과 브레이크 페달 밟음량의 의한 테이블 값보다 모터 RPM이 작은 경우, 속도에 의한 엔진클러치 접합 해제 조건에 진입한다.
다섯째, 상기 5) 차속, 기어단, 브레이크 밟음량량에 따른 변속 제어기의 변속단에 의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차속이 기어단 별 설정값보다 작고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인 경우, 변속 제어기(TCU)의 변속단에 의해 엔진 클러치 접합 해제 조건이 결정되고, 또한 차속이 기어단 별 설정값보다 크거나 브레이크 스위치가 오프인 경우 변속 제어기(TCU)의 변속단이 정차 전 변속중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엔진 클러치 접합 해제 조건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엔진 토크, ISG 토크, 차속, 기어단 등을 입력요소로 하여 토크에 의한 클러치 접합 해제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모터 RPM, 차속, 브레이크 밟음량 등을 입력요소로 하여 속도에 의한 클러치 접합 해제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변속 제어기의 변속단에 따라 클러치 접합 해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차선변경 및 차량추월, 교차로에서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회전 주행 등을 위해 차량을 감속하는 경우, 상기한 엔진 클러치 해제 진입 조건을 만족하게 되므로, 엔진 클러치의 접합이 해지될 수 밖에 없다.
즉, 차량이 HEV 모드로 주행하는 중, 감속 직후 차량의 재가속이 필요한 주행 상황(차선변경 및 차량추월, 교차로에서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회전 주행 등)에 직면하는 경우, 운전자는 안전을 위하여 대개 차량을 감속시키게 되므로, 상기한 엔진 클러치 해제 진입 조건을 만족하여 엔진 클러치의 접합이 해지될 수 밖에 없다.
이렇게 차량의 HEV 모드에서 감속 직후, 엔진 클러치 접합이 해지되면, 차량이 EV 모드로 천이되고, 다시 재가속이 필요한 경우에 엔진 클러치가 접합되어야 하므로, 차량의 운전성 및 가속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국, 감속 직후 차량의 재가속이 요구되는 경우, EV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모드로의 천이를 위한 EV 킥 다운 동작을 위하여 엔진 클러치의 재접합이 필요하고, 이때의 엔진 클러치 재접합 시간이 일정 시간(약 1.1 초)이상 소요되므로, 차량의 운전성 및 가속성에 악영향을 미침과 함께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의 경우, 엔진 클러치의 접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를 실시하여, 엔진 클러치 접합 해제 및 재접합에 따른 운전성 및 가속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엔진과 모터의 사이에 설치되는 엔진 클러치의 접합 및 접합 해제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클러치가 접합된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재가속 요구 감지수단과; 상기 재가속 요구 감지수단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제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엔진 클러치의 접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가속 요구 감지수단은: 좌측 및 우측 턴 시그널 램프의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의 턴 온 신호가 클러스터로 전송될 때의 캔 신호가 컨트롤러에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엔진과 모터의 사이에 설치되는 엔진 클러치의 접합 제어 단계 및 접합 해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 클러치가 접합된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면, 상기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제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엔진 클러치의 접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는: 좌측 또는 우측 턴 시그널 램프의 스위치의 턴 온 신호를 감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는: 좌측 또는 우측 턴 시그널 램프의 스위치의 턴 온 신호가 클러스터로 전송될 때의 신호를 감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클러치가 접합된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차선변경 및 차량추월, 교차로에서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회전 주행 등)에 직면하는 경우, 엔진 클러치의 접합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제어를 실시하여, 운전성 및 가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제 및 접합 동작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 계통도,
도 2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이 엔진 클러치가 접합된 상태에서 엔진과 모터를 함께 동력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모드로 주행할 때,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차선변경 및 차량추월, 교차로에서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회전 주행 등)에 직면하더라도, 차량 감속에 따른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제 조건을 충족하여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제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차량의 감속직후 재가속이 필요한 상황에서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가속시 엔진클러치가 다시 접합되며 킥 다운(Kick Down)에 진입하게 되어 변속시간이 일정 시간(약 1.1sec 이상) 소요되고, 결국 감속직후 재가속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가속 성능이 떨어지고, 엔진 클러치의 과도한 접합 및 접합 해제의 반복으로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의 경우, 엔진 클러치의 접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를 실시하여, 엔진 클러치 접합 해제 및 재접합에 따른 운전성 및 가속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클러치 제어 장치는 첨부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클러치(13)가 접합된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중,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재가속 요구 감지수단(20)과, 재가속 요구 감지수단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엔진 클러치(13)의 접합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제어를 하는 컨트롤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15)는 엔진 클러치의 접합 또는 접합 해제를 위한 제어를 담당하며, 상기 재가속 요구 감지수단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제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엔진 클러치의 접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를 한다.
상기 재가속 요구 감지수단(20)은 차선변경 및 차량추월, 교차로에서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회전 주행 시 점등되는 좌측 및 우측 턴 시그널 램프의 스위치로 채택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턴 시그널 램프의 스위치를 턴 온시킬 때의 캔 통신 신호가 운전석 전면의 클러스터로 전송될 때 컨트롤러(15)에 함께 전송됨으로써, 컨트롤러(15)에서 감속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임을 인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엔진 클러치(13)가 접합된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이 엔진 및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주행모드에서 EV 모드로 천이할 때,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제 진입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ISG 토크(ISG Tq)량에 의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2) 엔진 토크(Engine Tq)량에 의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3) 차속과 기어단에 의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4) 모터 RPM이 차속과 브레이크 밟음량(Break Depth)에 의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5) 차속, 기어단, 브레이크 밟음량에 따른 변속 제어기(TCU)의 변속단(Shift Phase)에 의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따라서, 첨부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토크, ISG 토크, 차속, 기어단 등을 입력요소로 하여 토크에 의한 클러치 접합 해제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모터 RPM, 차속, 브레이크 밟음량 등을 입력요소로 하여 속도에 의한 클러치 접합 해제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변속 제어기의 변속단에 따라 클러치 접합 해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엔진 클러치 접합 해제 진입 조건과 달리, 엔진 클러치(13)가 접합된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이 엔진 및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주행모드로 주행할 때, 하이브리드 차량의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면, 엔진 클러치를 접합 해제하지 않고 그대로 접합 유지시키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주행모드로 주행 중, 운전자가 차선변경 및 차량추월, 교차로에서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회전 주행 등을 위하여 좌측 또는 우측 턴 시그널 램프의 스위치를 턴 온 신호시키면, 좌측 또는 우측 턴 시그널 램프의 스위치의 턴 온 신호가 캔 통신을 통하여 클러스터로 전송되는 동시에 엔진 클러치의 접합 및 해제 제어를 하는 컨트롤러로 전송되며, 이에 컨트롤러는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임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의 감속에 따른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제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재가속이 요구되는 상황임을 인지하는 동시에 엔진 클러치의 접합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제어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의 감속직후 재가속이 필요한 상황에서 엔진 클러치의 접합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기존에 엔진 클러치 접합 해제후 재가속시 엔진클러치가 다시 접합되며 킥 다운(Kick Down)에 진입하게 되어 변속시간이 일정 시간(약 1.1sec 이상) 소요되는 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속직후 재가속이 필요한 상황에서 가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엔진 클러치의 과도한 접합 및 접합 해제의 반복으로 연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0 : 엔진
12 : 모터
13 : 엔진 클러치
14 : 자동변속기
15 : 컨트롤러
16 : ISG
20 : 재가속 요구 감지수단

Claims (6)

  1. 엔진과 모터의 사이에 설치되는 엔진 클러치의 접합 및 접합 해제를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클러치가 접합된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재가속 요구 감지수단과;
    상기 재가속 요구 감지수단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제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엔진 클러치의 접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가속 요구 감지수단은:
    좌측 및 우측 턴 시그널 램프의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턴 온 신호가 클러스터로 전송될 때의 캔 신호가 컨트롤러에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4. 엔진과 모터의 사이에 설치되는 엔진 클러치의 접합 제어 단계 및 접합 해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 클러치가 접합된 상태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감속 직후,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면, 상기 엔진 클러치의 접합 해제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엔진 클러치의 접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는:
    좌측 또는 우측 턴 시그널 램프의 스위치의 턴 온 신호를 감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재가속이 요구되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는:
    좌측 또는 우측 턴 시그널 램프의 스위치의 턴 온 신호가 클러스터로 전송될 때의 신호를 감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
KR1020130103131A 2013-08-29 2013-08-29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144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31A KR101449323B1 (ko) 2013-08-29 2013-08-29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
US14/133,301 US9132822B2 (en) 2013-08-29 2013-12-18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utch of hybri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31A KR101449323B1 (ko) 2013-08-29 2013-08-29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323B1 true KR101449323B1 (ko) 2014-10-08

Family

ID=5199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131A Active KR101449323B1 (ko) 2013-08-29 2013-08-29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32822B2 (ko)
KR (1) KR101449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567A (ko) * 2016-12-08 201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클러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749B1 (ko) * 2014-05-15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토크 저감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1383A (ja) 1999-01-22 2000-08-02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0537702B1 (ko) 2002-08-30 2005-12-2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구동력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7842B2 (ja) 2001-11-27 2006-02-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変速機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車駆動構造の運転方法
JP3453132B2 (ja) * 2001-12-10 2003-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制御装置
JP2007083796A (ja) 2005-09-21 2007-04-05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JP4325615B2 (ja) 2005-12-12 2009-09-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JP5096552B2 (ja) * 2010-12-28 2012-12-12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車両の動力伝達制御装置
JP5494839B2 (ja) * 2011-02-01 2014-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EP2754598B1 (en) * 2011-09-06 2017-08-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Hybrid vehicle control apparatus
EP2578871B1 (en) * 2011-10-03 2016-09-21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vehicle provided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system for variable actuation of the intake valv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1383A (ja) 1999-01-22 2000-08-02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0537702B1 (ko) 2002-08-30 2005-12-2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구동력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567A (ko) * 2016-12-08 201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클러치 제어 방법
KR102440493B1 (ko) * 2016-12-08 2022-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클러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2822B2 (en) 2015-09-15
US20150065295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8557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US20100312427A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vehicle
JP2007237775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5478572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4637770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US9381910B2 (en) Hybrid electric vehicle control device
JP2007069787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減速制御装置
KR20180067984A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mhsg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7230431A (ja) 車両の駆動制御装置
JP420687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シフトダウン操作時におけるモータジェネレータの回生制御方法
JP4567619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2006118681A (ja) ハイブリッド車用駆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4932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8075718A (ja) 車両用変速制御装置
KR20110048690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JP2004210028A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514153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15101192A (ja) ハイブリッド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JP4227830B2 (ja) 内燃機関の停止及び始動制御システム
JP641407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駆動装置
JP605309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制御装置
JP2005253151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3940260B2 (ja) 車両の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
JP413697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動力伝達装置
JP2009067225A (ja) ハイブリッド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