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161B1 -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Google Patents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8161B1 KR101448161B1 KR1020130101439A KR20130101439A KR101448161B1 KR 101448161 B1 KR101448161 B1 KR 101448161B1 KR 1020130101439 A KR1020130101439 A KR 1020130101439A KR 20130101439 A KR20130101439 A KR 20130101439A KR 101448161 B1 KR101448161 B1 KR 1014481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ss
- web
- steel
- beam structure
- steel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abstract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상기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는, 스틸조립체와, 상기 스틸조립체와 합성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보 구조체로서, 상기 스틸조립체는, 상·하현재 및 상기 상·하현재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웨브트러스와, 상기 웨브트러스의 하현재 하면에 부착되는 하부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웨브트러스에는, 1개 이상의 긴장재가 수직재를 경유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 구조체를 건축물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 구조체를 구성하는 스틸조립체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스틸조립체가 하나의 웨브트러스를 가지는 경우에 있어, 웨브트러스의 여러 가지 실시예이다.
도 5는 상기 스틸조립체가 두 개의 웨브트러스를 가지는 경우에 있어, 스틸조립체의 여러 가지 실시예이다.
도 6은 상기 웨브트러스의 수직재가 웨브트르서의 중앙부보다 양단부에서 더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 웨브트러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스틸조립체에 거치대 또는 막음판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 스틸조립체의 여러 가지 실시예이다.
도 8 및 도 9은 스틸조립체의 웨브트러스에 긴장재를 거치하기 위한 수단의 제1·2 실시예이다.
도 10은 상기 긴장재를 정착하는 방법에 관한 두 가지 실시예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긴장재를 웨브트러스에 배치하는 방법에 관한 여러 가지 실시예이다.
도 14 내지 도 16는 스틸조립체가 기둥과 접합되는 방법에 관한 여러 가지 실시예이다.
도 17은 스틸조립체에 단부보강부재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실시예이다.
211 : 상현재 212 : 하현재
213 : 수직재 213f : 걸침부재
213h : 강선보호링 214 : 긴장재
220 : 하부플랜지 230 : 상부연결재
240a : 거치대 240b : 막음판
300 : 콘크리트 400 : 접합부재
500 : 단부보강부재
G : 보 구조체 h : 관통홀
v : 강선걸침홈
Claims (16)
- 스틸조립체(200)와, 상기 스틸조립체(200)와 합성되는 콘크리트(300)로 이루어지는 보 구조체(G)에 있어서,
상기 스틸조립체(200)는, 상·하현재(211, 212) 및 상기 상·하현재(211, 212)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재(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웨브트러스(210)와, 상기 웨브트러스(210)의 하현재(212) 하면에 부착되는 하부플랜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웨브트러스(210)의 상·하현재(211, 212)는 앵글, ㄷ형강, T형강, 강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수직재(213)는 앵글, ㄷ형강, 강관, 띠형강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플랜지(220)의 폭은 웨브트러스(2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부플랜지(220) 위에 바닥판 부재(D)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웨브트러스(210)에는, 1개 이상의 긴장재(214)가 수직재(213)를 경유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조립체(200)는 2개의 웨브트러스(210)를 구비하며, 상기 웨브트러스(210)들은 보 구조체(G)의 폭방향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조립체(200)에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웨브트러스(210)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연결재(23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트러스(210)의 수직재(213)는, 웨브트러스(2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중앙부에서보다 더 촘촘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조립체(200)의 폭방향 단부에는, 하부플랜지(220) 위로 바닥판 부재(D)를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대(240a) 또는 영구거푸집 역할을 하는 막음판(240b)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트러스(210)에는 1개의 긴장재(214)가 웨브트러스(21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되, 어느 한 수직재(213)의 상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수직재(213)의 하단부를 교대로 경유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트러스(210)에는 2개의 긴장재(214)가 각각 웨브트러스(21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되, 각각의 긴장재(214)는 어느 한 수직재(213)의 상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수직재(213)의 하단부를 경유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인접한 두 수직재(213) 사이에서 X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214)의 단부는 웨브트러스(210)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수직재(213)에 정착되되, 2개의 긴장재(214)가 정착되는 수직재(213)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트러스(210)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긴장재(214)가 웨브트러스(21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치되되, 길이가 긴 긴장재(214)는 길이가 더 짧은 긴장재(214)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트러스(210)의 수직재(213)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관통홀(h)이 형성되고, 긴장재(214)는 상기 관통홀(h)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트러스(210)의 수직재(213)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강선걸침홈(v)을 가진 걸침부재(213f)가 형성되고, 긴장재(214)는 상기 강선걸침홈(v)에 걸쳐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214)는 경유하는 각 수직재(213)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조립체(200)의 단부 하면에는 단부 보강을 위한 단부보강부재(50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1439A KR101448161B1 (ko) | 2013-08-27 | 2013-08-27 |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1439A KR101448161B1 (ko) | 2013-08-27 | 2013-08-27 |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8161B1 true KR101448161B1 (ko) | 2014-10-07 |
Family
ID=5199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14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8161B1 (ko) | 2013-08-27 | 2013-08-27 |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8161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78217A (zh) * | 2018-04-27 | 2018-10-19 | 西安建筑科技大学 | 预应力筋斜置的自复位装置及钢管混凝土框架钢板剪力墙 |
CN108755391A (zh) * | 2018-07-26 | 2018-11-06 |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主梁结构及桥梁 |
CN109629674A (zh) * | 2019-01-10 | 2019-04-16 | 中南大学 | 滑动摩擦耗能桁架、制作方法及建筑结构 |
CN113802450A (zh) * | 2021-08-16 | 2021-12-17 |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 一种钢砼组合梁结构及建造方法 |
KR20220152643A (ko) * | 2021-05-10 | 2022-11-17 | 이한솔 |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는 복합 철골빔과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가 구성된 천장 시공방법 |
KR20230008455A (ko) * | 2021-07-07 | 2023-01-16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스트레스 케이블로 보강된 프레임 |
CN115787930A (zh) * | 2022-10-11 | 2023-03-14 |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 一种控制楼承板上层钢筋保护层厚度的装置和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2470A (ko) * | 2003-05-28 | 2004-12-08 | 노윤근 | 교량의 연속화를 통하여 잉여 휨모멘트 크기를 절감할 수있는 구조로 제작된 단위 교량거더를 이용한 다경간연속화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0650158B1 (ko) * | 2006-01-05 | 2006-11-30 |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 중공복부, 축소된 상자형 하현재 및 개방된 상부플랜지로구성된 조립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KR20090093561A (ko) * | 2008-02-29 | 2009-09-02 | 에스에이치공사 | 무거푸집 기둥과 tsc 합성보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
-
2013
- 2013-08-27 KR KR1020130101439A patent/KR10144816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2470A (ko) * | 2003-05-28 | 2004-12-08 | 노윤근 | 교량의 연속화를 통하여 잉여 휨모멘트 크기를 절감할 수있는 구조로 제작된 단위 교량거더를 이용한 다경간연속화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0650158B1 (ko) * | 2006-01-05 | 2006-11-30 |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 중공복부, 축소된 상자형 하현재 및 개방된 상부플랜지로구성된 조립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KR20090093561A (ko) * | 2008-02-29 | 2009-09-02 | 에스에이치공사 | 무거푸집 기둥과 tsc 합성보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78217A (zh) * | 2018-04-27 | 2018-10-19 | 西安建筑科技大学 | 预应力筋斜置的自复位装置及钢管混凝土框架钢板剪力墙 |
CN108678217B (zh) * | 2018-04-27 | 2023-12-22 | 西安建筑科技大学 | 预应力筋斜置的自复位装置及钢管混凝土框架钢板剪力墙 |
CN108755391A (zh) * | 2018-07-26 | 2018-11-06 |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主梁结构及桥梁 |
CN109629674A (zh) * | 2019-01-10 | 2019-04-16 | 中南大学 | 滑动摩擦耗能桁架、制作方法及建筑结构 |
CN109629674B (zh) * | 2019-01-10 | 2024-01-12 | 中南大学 | 滑动摩擦耗能桁架、制作方法及建筑结构 |
KR20220152643A (ko) * | 2021-05-10 | 2022-11-17 | 이한솔 |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는 복합 철골빔과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가 구성된 천장 시공방법 |
KR102554475B1 (ko) * | 2021-05-10 | 2023-07-11 | 이천규 | 하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는 복합 철골빔과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가 구성된 천장 시공방법 |
KR20230008455A (ko) * | 2021-07-07 | 2023-01-16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스트레스 케이블로 보강된 프레임 |
KR102539357B1 (ko) * | 2021-07-07 | 2023-06-01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스트레스 케이블로 보강된 프레임 |
CN113802450A (zh) * | 2021-08-16 | 2021-12-17 |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 一种钢砼组合梁结构及建造方法 |
CN115787930A (zh) * | 2022-10-11 | 2023-03-14 |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 一种控制楼承板上层钢筋保护层厚度的装置和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8161B1 (ko) | 트러스형 하이브리드 보 구조체 | |
KR101064731B1 (ko) | 포물선 형상의 웨브와 거푸집형 플랜지를 가지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
KR101533324B1 (ko) | 베드없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제작방법 | |
KR100882341B1 (ko) |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빔의 제작방법 및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빔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
JP2004520511A (ja) | プレストレスト合成トラス桁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321267B1 (ko) | 단면 강성증대와 복공판의 설치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강재 거더를 이용한 가설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125917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KR20170090610A (ko) |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 |
KR101396440B1 (ko) | 프리스트레스트 단부 보강 복합 보 | |
KR20200013911A (ko) |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264577B1 (ko) | 철골 콘크리트 빔 및 그의 제작 방법 | |
KR101347555B1 (ko) |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교량에서의 연속지점부의 시공방법 | |
KR101176846B1 (ko) | 보의 내력 강화구조를 갖는 공작물 | |
KR20120072469A (ko) | 단부블럭과 아치리브에 의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38244B1 (ko) | 트러스보강 조립보 | |
KR101940876B1 (ko) | 합성보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90057672A (ko) |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 |
JP3885583B2 (ja) | 複合トラス橋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102271672B1 (ko) | 한계상태설계법에 적합한 구조성능을 갖는 체결형 거더 | |
KR200333102Y1 (ko) | 보강판이 결합된 에이치 빔 | |
KR101483173B1 (ko) | 복부 파형강판 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구조 | |
KR20180011528A (ko) | 트러스 작용을 활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하이브리드 합성보 | |
KR101821164B1 (ko) | 복합 형식의 연속화 교량의 상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569879B1 (ko) | 프리스트레스 강재빔을 이용하여 제작된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89063B1 (ko) | 노치부정착빔을 이용하여 제작된 psc 거더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