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7887B1 - 소변배뇨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소변배뇨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887B1
KR101447887B1 KR1020120115100A KR20120115100A KR101447887B1 KR 101447887 B1 KR101447887 B1 KR 101447887B1 KR 1020120115100 A KR1020120115100 A KR 1020120115100A KR 20120115100 A KR20120115100 A KR 20120115100A KR 101447887 B1 KR101447887 B1 KR 10144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rine
function
degree
dis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848A (ko
Inventor
박택주
Original Assignee
박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택주 filed Critical 박택주
Priority to KR102012011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88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8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other discharge from male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발명은 소변배출기구를 사용하는 중환자와 요실금환자, 신경손상 장애인에게 소변 배출기구에 이탈과 역류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질환과 오염을 해소하고 청결유지와 요실금 약물로 인해 동반하는 변비증상을 완화하고 활동력을 높이고 보호자의 노동력 감소로 피로도 를 낮추는데 그 의미가 크다.

Description

소변배뇨고정기구 {urine fixed device}
본 발명은 중환자 및 고도 장애인들에게 사용되는 소변 배뇨 기구를 고정하고 방광염 예방과 약물중독의 부작용으로 유발하는 요실금과 청결유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변배출기구를 사용하는 중환자와 요실금환자, 신경손상 장애인에게 소변 배출기구에 이탈과 역류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질환과 오염을 해소하고 공기 주입,배출 기능을 이용하여 소변배출기구를 고정하고 역류를 막아주어 청결유지와 요실금 약물로 인해 동반하는 변비증상을 완화하고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의 활동력을 높이며 보호자의 노동력 감소로 피로도 를 감소시키고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돕는데 있다.
[선행문헌] KR 10-0757213호
KR 10-0934254호
KR 2013-0131137호
사고나 질병으로 자율 신경계 손상으로 의식이 없는 중환자이거나 전신마비 장애인과 하반신 마비 장애인, 등 다양한 장애인들이 소변 배출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넬라톤카테터(Nelaton's catheter)를 [고무제 카테터(flexible catheter/soft catheter)] 라고도 하는 연성(軟性) 고무 관으로 배출하거나 기스모(Gismo)를 사용 하여 배출하는 자들 중에 방광을 자극하여 아랫배를 눌러 배출하는 방법과, 압박 강제 배출하는 하반신마비 장애인 경우 (도. 2의)7.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힘에 밀려 빠지는 경우와 장애로 인해 오랜 좌식생활로 복부가 돌출되어 기스모 결박 벤드가 그 기능을 상실하여 빠지는 상황이 발생하여 외출이나, 일상생활시 소변을 의류에 적시는 경우가 발생하고 넬라톤 사용이 부적합하거나 중환자,또는 전신마비 장애인 경우에는 (도.2의 5.6.7.8.)에서 보는 바와 같이 (5)처럼 처음에는 음경이 밝기 상태로 고정되어 안전하나 시간이 지날수록 (6.7)처럼 된 후 결박 벤드 가 그 기능을 상실하여 빠지게 되며 침대 시트와 의류를 오염시키는 경우 바로 세척조치가 늦어질 시 피부염이나 욕창이 생기는 사고가 종종 일어나고 있다.
또한 넬라톤카테터(Nelaton's catheter)를 사용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나 환경이 허용치않아 소변주머니를 연결한 를리 커테터 를 사용하는 자들과 장기요양으로 폴리를 사용하는 장애인 경우 음경이 함몰되는 현상이 있고 (도.2)와같은 콘돔폴리는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1회용에 그치고 그나마 이도 기스모와 차이가 없다.
이에 (도2와) 같이 콘돔 커테터 와 기스모를 사용함에 있어 이탈을 방지하고 수회 재상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음경 발기를 도와주어 소변 배출을 쉽게 하고 역류를 막아주는 활동형 고정식과 그 기능을 분리하여 중환자나 전신마비 보호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분리형과 하반신 마비 장애인이 사용하는 소형 에어 벤드를 제공하고자한다.
본 고안은 본인이 사고로 전신마비가 된 후 넬라톤을 하여 소변 배출을 하였고 3년 뒤 콘돔. 폴리 와 기스모를 사용하면서 (도.2의)8과 같은 사고가 하루에도 수없이 일어나 그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수없는 실패를 통해 얻어낸 결과물이다.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동이나 격한 동작 활동시 완전고정하는 100과 같은 기능을 가진 제품이 필요하고 (도.1에)200과 같은 신체에 탈,부착이 용이한 밀착형 기능을 가진 소변배뇨기구 고정장치를 개발함에 있어 (도.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기를 도와주는 (도.3.4에)30의 공기 주입, 배출기능과 피부염과 발진을 예방하는 통풍구(도.3의) 11.12를 갖추고, 기스모, 콘돔 등 소변주머니를 결박하여 이탈을 차단, 하는 기능을 (도.4의)40.5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갖추고 소변주머니(55)를 결박하여 구속하고 분리가 용이하게 함으로서 보호자가 청결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를 주입하여 소변 주머니를 결박하고 소변의 역류를 막아주는 고정기구를 제작하여 과제를 해결하였다
첫째; 본 고안의 발명으로 손목 아랫부분의 기능상실 장애인도 스스로 소변을 배출하게 됨으로써 자립생활에 동기를 부여함에 의미가 크다.
둘째; 스포츠 활동에 있어 안전한 고정기능 제공한다.
셋째; 요실금으로 인한 약물 복용을 줄이고 소변누출을 막아주어 청결상태 유지를 도와준다.
넷째; 분리의 용이함으로 보호자의 간병 피로를 감소시켰다.
다섯째; 커테터 사용을 줄여 방광염 유발을 줄이고 수회 재사용을 함으로서 비용을 절감하였다.
여섯째; 취침시에도 이탈을 막아 수면에 도움을주고 음경 함몰예방 훈련도 가능하게 됨으로써 음경함몰을 막아준다.
일곱째; 하반신마비 장애인이 활동함에 그 불안감과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도. 1 고안 품 활용 설명도
도. 2 고안 동기 설명도
도. 3 기능별 기호도
도. 4 기능별 기호도
도. 5 50부 상세도
도. 6 50부 상세도
도. 7 20.30부 기능별 기호도
도. 8 70.80부 기능별 기호도
본 발명에 관한 실시를 위한 기술과 기능을 도면과 기호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대표도 이고 (도. 3.4)는 기능별 기호도이며 (도.5.6.7)은 각 부와 기능별 기호도이고 (도.8)은 공기주입 고정장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과 같은 소변 배뇨기구 고정장치가 그 위치에 고정됨이 그 용도에 맞고 이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체와 직접밀착되는 (10은) 11과 12를 가공하여 20의 결속 부를 구비하고 15의 기능과 40의 고정기능을 수행하는 프레임을 갖춤이 타당하다.
이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은 발명의 특징과 기술 기능수행을 위해 전체 (하,우,징)으로 신체에 밀착이 용이함이 우선됨에 따라 피부 염증이나 발진,땀띠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이를 방지키 위한 통풍구가 필요함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11)을 가공함이 옳고 30의 공기를 전달하는 (20을)고정하는 공간이 필요함에 그 기능을 수행하는 12를 가공하고 고정장치를 분리,구속하는 40을 가공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그 기능을 유지하는 (15) 가 10과 40 사이에 존재한다 이 (15)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몸을 숙이거나, 뒤로 젖일시 파손 및 훼손으로 상처나 부상을 제공하거나, 유발 하여 서는 안되며 또한 보호와 안전을 위한 소재로 감싸고 그 기능을 유지 영구지속 하기 위한 탄성 복구기능을 가짐이 옳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뇨기구 고정 장치인 50부는 40을 통하여 조립, 분리되고 50부 이는 30의 공기 주입장치와 20의 전달 공급 호스를 통하여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50부의 53에 결합 됨이 타당하다.
이유;
발명의도와 특징과 그 기능을 적용 수행하게 함에 있어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변배뇨기구 고정장치인 50부는 51의 전,후로 움직이는 51과 음경과 콘돔, 기스모 등을 밀착시켜 압박과 느슨함을 작동하는 공기 주머니 (52)와 주입구인 53을 하나의 프레임을 이룸이 그 기능을 수행하고 기술을 발휘함에 옳다.
이는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55는 콘돔 소변기구와 기스모(Gismo) 등이며 50.51.52.53은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이는 사용 용도나 상황에 따라 40을 이용하여 도. 1의 200과 같이 사용되며 또한 분리하여 사용함이 그 용도가 우수하며 기술력 또한 월등하고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52는 공기를 이용하여 그 활용도가 뛰어나다.
이는 고무의 탄성을 이용하여 53에 부여한 공기주입과 배출기능을 이용하여 주입량과 배출량에 따라 조절되고 음경과 소변 배뇨기구(주머니) 를 밀착시켜 소변의 역류를 막아주는 방법으로 우수하며 그 성질이 유지하는 한 기능 수행이 영구적이고 청결유지에도 그 응용 기술이 옳다.
도, 5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50은 51.52.53을 하나로 결합 된 프레임이고 이를 위해 51을 분리수납하는 가공 부가 필요하고 53을 영구구속하여 5와 하나의 몸체로 만들어 51과 52를 영구융합접착 하고 이를 50 내부에 영구 구속함이 타당하며 옳다.
이유;
발명의 기술과 필요한 기능수행을 위해 51은 50과 분리되어 전, 후로 움직이며 음경에 혈류량을 유지 또는 확장시키는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50의 수납통로를 이용하여 전, 후로 움직이는 기능을 하고 동시에 52의 돌발 행동을 제어하고 탈출 및 이탈을 막기 위해 52와 영구 접착결합함이 옳고,또한 50과 함께 55를 결박하여 그 기능을 영구수행함에 그 방식이 옳다.
52는 기술수행에 있어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신의 몸체에 공기저장 공간을 확보하고 공기주입량에 따라 바로 행동하기 위해 고무와 실리콘을 혼합한 소재가 타당하고, 기능수행을 위해 도. 5의(5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는 반듯하고 내피는 올록볼록하고 그 위치의 용도에 따라서 두께도 다르며 그 두께는 탄성의 강도와 운동범위가 다르다.
이는 그 성질을 이용하여 55와 만나는 부분과 51과 50의 사이에 위치하는 기능과 업무 그리고 55를 결박하고 소변의 역류를 막기 위해 응용기술과 방법 그 이유가 타당하고 옳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52는 55를 결박하는 부분은 그 업무를 함에 있어 효율적운영을 위한 올록볼록한(돌기) 부 가 존재하고 이는 55를 결박하고 55가 음경과 접촉하면서 생기는 피부의 괴사 그리고 발진이나 염증을 예방하는 충분한 공기순환 공간을 확보하여 이를 원활히 소통시키는 두께와 구조를 가짐이 옳고 타당하다.
또한 (51.과 50.) 사이에 위치한 52는 55를 담당하는 부분에 그 기능과 업무를 방해하지않고 51과 52를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여 51과 52를 전, 후 반복이동운동 기능을 수행하고 그 업무의 영구수행에 적합한 두께와 공기압력이 필요한 공간을 제공함이 타당하며 옳다.
도. 6.7에서 보는 바와 같이 53은 50과 하나의 몸체이며 54와 분리. 조립,결합 되는 기능을 가지고 52에 공기를 공급하는 30부와 20의 업무를 협력수행하고 그 기능을 영구지속함이 타당하고 30은 32와 20.21을 하나의 몸체를 이룸이 옳다
이유;
30은 31의 공기흡입기능을 통해 공기를 공급받아 32를 통해 20에게 공급함에 있어 32는 내측에 공기가 통과하는 출입에 충분한 공간을 갖추고 외,측에는 나사 산을 구비하고 나사 산이 배출량을 조절하여 50부가 그 업무수행을 하는데 중요한 장비이며 (도.7의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사 산을 이용하여 33의 내측에 나사 산이 32의 외,측을 통행하며 23과 24를 제어,통제, 운전하여 공기배출을 통합 관제하는 중요한 기능 부이다 이는 그 성질과 기능 수행에 있어 30.31은 고무와 실리콘을 적합배합하여 영구성을 높임이 타당하고, 32는 33을 조립하여 20.21.22를 조립 영구결합함이 기수, 기능업무수행에 적합하다.
20은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이는 기술과 기능 수행에 그 방법이 옳다.
또한 22는 21의 내,경 크기와 같은 크기의 외형과 내측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중심에 공기 양을 조절하기 유리한 제어 구를 구비함이 타당하고 양측에 한쪽은 21과 조립,결합 됨이 타당하고 한쪽에 24를 구비하여 23의 공기 배출량 조절 봉을 구속하여 33의 제어를 받고 관리를 받는 것이 본 발명의 의도와 그 기술, 기능수행에 옳다.
본 발명의 의도와 그 용도에 맞게 기술을 사용함에 있어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80은 85와 하나의 몸체로 70의 내측에 영구 결합 되고 70은 75를 통하여 통행하고 72에 71로 접착,결박함이 옳다.
이유;
이는 일상생활 활동이 활발한 하반신마비 장애인과 요실금 환자를 위한 소변주머니 고정장비이며 발명의 기술을 수행하기 위해 70은 자신의 몸체에 위치사수와 안내를 담당하는 75를 가공하여 71의 통행을 돕고 또한 마모나 손상을 막고 원활한 소통과 결박,고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부드러운 소재를 박음질함이 타당하고 71은 찍찍이(벨크로) 기능을 구비하여 70과 박음질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룸이 타당하다.
70과 80은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융합접착 영구결합됨이 옳다.
이는 도. 8에 (80)에서 보는 바와 같이 80은 소변주머니를 결박 고정하는 장치로써 소변주머니와 음경을 동시 고정함에 있어 80은 (도.5.6의)52와 같은 기능과 기수을 수행한다.
또한 (도.8의)80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85와 하나의 몸체로 제작함이 옳다.
이유;
이는 발명의도인 활발한 일상생활과 요실금 소변주머니를 고정a에.있어 (도.6.7.)에서 30부와 같은 공기 주입장비를 사용함에 불편함과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됨에 따라 이를 해결함에 있어 휴대가 용이한 특별한 방법이 동원됨이 타당하다 .
이에 따라 80의 85는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손이나 구멍사고를 유발하는 주사기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바늘이 없는 주사기 몸체를 사용하여 공기를 주입함이 타당하며 86의 공기 주입구와 87의 공기 누출 방지 부가 하나의 몸체로 80과 같은 몸체를 이룸이 기능수행에 영구함을 높이는 것이 옳다.
또한 발명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80은 상부에 70과 융합 영구결합함이 타당하고 옳다.
도. 9의 100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부가 예민하거나 잦은 피부염을 일으키는 환자나, 장애인들에게 속옷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도. 1의 100; 속옷 부착형 제시도
도. 1의 200; 발명품 사용도 제시도
도. 2의 5.6.7.8.; 본 발명의 기획 의도
도, 3의 10; 11.12.15.40의 몸체
도. 3의 11; 통풍구
12; 20 결속부
15; 부상방지 및 원상복귀 부
40; 50부 결합, 조립, 분리 고정부
20; 공기 전달 부
30; 공기 주입 부
도. 4의 55; 기스모(Gismo), 콘돔 소변주머니
도. 5의 50; 51.52.53의 프레임
51; 전, 후 동작 부
52; 공기주머니 소변 주머니 고정부
53; 공기 전달 부 조립 결합부
도. 6의 54; 공기 전달 연결부
도. 7의 20; 공기 주입 전달 및 21의 몸체
21; 공기배출 부
22; 공기배출 연결부
23; 공기배출량 조절 봉
24; 스프링
30; 31의 몸체
31; 공기 흡입 부
32;공기전달 및 조절 나사 산
33; 공기배출 조절 제어부
54; 공기전달 연결부
도. 8의 70; 72.75 몸체 및 결박, 고정, 가죽
71; 찍찍이 (벨크로) 조절, 고정부
72; 찍찍이 (벨크로) 고정 내면 부
75; 71.70 이탈 방지 및 통행 부
80; 소변 주머니 결박,고정,공기주머니
85; 공기주입 부
86; 공기주입 부
87;공기 누출 제어부

Claims (1)

  1. 공기주입부(30)와 공기전달부(20)에 의해 공기를 주입받기 위한 통풍구가 마련된 몸체(10)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음경을 지지하는 프레임(5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분리부(40)에 의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으로는 소변을 담는 소변주머니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으로 상기 소변주머니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공기 전달부(20)에 의해 공기를 전달받기 위한 공기 전알부 조립 결합부(53)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으로는 공기 전달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공기 전달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기 전달부는, 공기 배출을 결정하는 공기 배출부와 상기 배출을 연결하는 공기 배출 연결부 및 공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배출량 조절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변배뇨고정기구.
KR1020120115100A 2012-10-16 2012-10-16 소변배뇨고정기구 Active KR10144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00A KR101447887B1 (ko) 2012-10-16 2012-10-16 소변배뇨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00A KR101447887B1 (ko) 2012-10-16 2012-10-16 소변배뇨고정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491A Division KR20140070508A (ko) 2014-04-24 2014-04-24 소변배뇨고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848A KR20120129848A (ko) 2012-11-28
KR101447887B1 true KR101447887B1 (ko) 2014-10-13

Family

ID=4751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100A Active KR101447887B1 (ko) 2012-10-16 2012-10-16 소변배뇨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1883A (zh) * 2022-01-19 2022-04-26 吉林大学 一种内分泌小便采样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816U (ko) * 1997-05-02 1998-12-05 장양석 환자용 소변 배출기
KR19990066937A (ko) * 1995-10-19 1999-08-16 수잔 케이. 클리머 콘돔형 도뇨관 및 지지 장치
KR200236206Y1 (ko) * 2001-02-13 2001-10-25 이수학 소변 배출기구
KR20130131137A (ko) * 2012-05-23 2013-12-03 이준기 착용식 소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937A (ko) * 1995-10-19 1999-08-16 수잔 케이. 클리머 콘돔형 도뇨관 및 지지 장치
KR19980065816U (ko) * 1997-05-02 1998-12-05 장양석 환자용 소변 배출기
KR200236206Y1 (ko) * 2001-02-13 2001-10-25 이수학 소변 배출기구
KR20130131137A (ko) * 2012-05-23 2013-12-03 이준기 착용식 소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848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6282A (en) Apparatus and method to stabilize a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US6248096B1 (en) Male urinary incontinence device having expandable flutes
US7160277B2 (en) Male urinary incontinence sheath having gel adhesive and elastic securement tape
US6113582A (en) Male urinary incontinence device
US9254218B2 (en) External urinary catheter system
US20070117880A1 (en) Fluid impervious gel barrier
EP0855873A1 (en) Condom catheter and support devices
WO1997014353A9 (en) Condom catheter and support devices
US20050101923A1 (en) Male urinary incontinence sheath
KR101447887B1 (ko) 소변배뇨고정기구
KR20140070508A (ko) 소변배뇨고정기구
KR200445209Y1 (ko) 성기능 강화 링
US20210186787A1 (en) Urine collection device
CN204121230U (zh) 一种男性导尿器
CN2925430Y (zh) 一种安全套
CN102657567A (zh) 一种男性勃起功能障碍康复环
CN202078439U (zh) 一种男性接尿器
CN202035479U (zh) 一种男式保健内裤
JP3241131U (ja) 男性々器からの排泄尿を受け入れて保留する装具
US11071421B2 (en) Portable urinal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o use the same
JP6985992B2 (ja) 勃起不全又は勃起不能者用装着具
CN219720972U (zh) 一种尿道感染术后支撑架
KR101250591B1 (ko) 기저귀형 배뇨장치
CN212996950U (zh) 一种儿童颈部束缚带
NO175615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4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42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