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886B1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7886B1 KR101447886B1 KR1020120134909A KR20120134909A KR101447886B1 KR 101447886 B1 KR101447886 B1 KR 101447886B1 KR 1020120134909 A KR1020120134909 A KR 1020120134909A KR 20120134909 A KR20120134909 A KR 20120134909A KR 101447886 B1 KR101447886 B1 KR 1014478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touch screen
- screen display
- content
- electronic docu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은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에 대한 제1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에 대한 제2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전자문서 상의 위치들 사이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직관적인 제스쳐 입력을 통해 간편하게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작을 통해서 컨텐츠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택 모드를 트리거 한 후, 컨텐츠를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탠츠 선택 모드를 트리거 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입력이 검출된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전자문서 상의 컨텐츠에 마커를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되지 않은 컨텐츠까지 선택하기 위해 제3 입력을 검출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c 및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입력의 이동에 대응하여 마커를 이동시키고 전자문서 상의 일부분을 확대 디스플레이 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의 정확도를 보완한 컨텐츠 선택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110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111 디스플레이 패널부
112 터치스크린 패널부
120 처리부
121 메모리
200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
210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Claims (17)
-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에 대한 제1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컨텐츠 선택 모드를 트리거 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에 대한 제2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전자문서 상의 각각의 컨텐츠와 상기 각각의 컨텐츠 사이의 모든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전자문서 상의 상기 각각의 컨텐츠는 공백없이 연속하는 문자, 공백없이 연속하는 기호 또는 공백없이 연속하는 숫자로 이루어진 텍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의 상기 검출이 계속되는 동안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는 동안 상기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문서 상의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일부분을 확대하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양단에는 마커 (marker) 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3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스크롤 (scroll)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력은 드래그 (drag) 제스쳐 입력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에 대한 제1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컨텐츠 선택 모드를 트리거 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에 대한 제2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전자문서 상의 각각의 컨텐츠와 상기 각각의 컨텐츠 사이의 모든 컨텐츠를 선택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전자문서 상의 상기 각각의 컨텐츠는 공백없이 연속하는 문자, 공백없이 연속하는 기호 또는 공백없이 연속하는 숫자로 이루어진 텍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상기 제1 입력의 상기 검출이 계속되는 동안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상기 제2 입력을 검출하는 동안 상기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문서 상의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일부분을 확대하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양단에는 마커를 표시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삭제
- 삭제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3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스크롤 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력은 드래그 제스쳐 입력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 및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부는 전자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에 대한 제1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컨텐츠 선택 모드를 트리거 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에 대한 제2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전자문서 상의 각각의 컨텐츠와 상기 각각의 컨텐츠 사이의 모든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전자문서 상의 상기 각각의 컨텐츠는 공백없이 연속하는 문자, 공백없이 연속하는 기호 또는 공백없이 연속하는 숫자로 이루어진 텍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4909A KR101447886B1 (ko) | 2012-11-26 | 2012-11-26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4909A KR101447886B1 (ko) | 2012-11-26 | 2012-11-26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7541A KR20140067541A (ko) | 2014-06-05 |
KR101447886B1 true KR101447886B1 (ko) | 2014-10-08 |
Family
ID=5112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490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7886B1 (ko) | 2012-11-26 | 2012-11-26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78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1776B1 (ko) * | 2015-01-02 | 2021-0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컨텐츠 선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KR102017381B1 (ko) * | 2017-08-29 | 2019-10-21 | 강태호 |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및 장치 |
KR102035455B1 (ko) * | 2019-05-15 | 2019-10-23 | 최현준 | 커서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KR102085633B1 (ko) * | 2019-08-26 | 2020-03-06 | 강태호 |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
KR102419696B1 (ko) * | 2020-01-01 | 2022-07-11 | 최현준 | 스크롤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09182A1 (en) | 2007-10-26 | 2009-04-30 | Steven Fyke | Text selection u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KR20110133293A (ko) * | 2010-06-04 | 2011-12-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
2012
- 2012-11-26 KR KR1020120134909A patent/KR10144788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09182A1 (en) | 2007-10-26 | 2009-04-30 | Steven Fyke | Text selection u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KR20110133293A (ko) * | 2010-06-04 | 2011-12-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7541A (ko) | 2014-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00567B2 (en) | Explicit touch selection and cursor placement | |
US2019021291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ursor control and text selection and editing based on gesture-based touch inputs received in a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 |
JP3630153B2 (ja) |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 |
JP5325943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10684751B2 (en) |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 |
KR101328202B1 (ko) | 제스처 입력을 통한 기능 수행 명령실행 방법 및 장치 | |
TWI435238B (zh) | 整合式輸入/輸出裝置,以及用於在此種裝置上顯示的方法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 |
CN102902471B (zh) | 一种输入界面的切换方法以及装置 | |
KR20100130671A (ko) | 터치 인터페이스에서 선택 영역의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
CN106104450B (zh) | 选择图形用户界面某一部分的方法 | |
KR101893928B1 (ko) | 단말기의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 |
KR101447886B1 (ko)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160053547A (ko) |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 |
JP6100013B2 (ja) |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処理方法 | |
CN102841752B (zh) | 一种人机交互设备的字符输入方法和装置 | |
KR101505806B1 (ko)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포인터 활성화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101446075B1 (ko)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객체 서식 복사 방법 및 장치 | |
KR101392739B1 (ko)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자문서상에서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1544527B1 (ko) |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
KR101436805B1 (ko)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다중 객체 선택 방법 및 장치 | |
KR20160044194A (ko)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 상의 복수객체에서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1444202B1 (ko) | 터치 스크린을 통한 문서서식 적용방법 및 장치 | |
KR101436517B1 (ko)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자문서 상에서 테이블을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 | |
CN109690463A (zh) | 用于在包括触摸屏的智能设备上编辑字符的方法及用于实现该方法的智能设备 | |
KR20140067540A (ko)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