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7441B1 -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관리를 위한 방법 및모바일 시스템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상기 모바일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 - Google Patents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관리를 위한 방법 및모바일 시스템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상기 모바일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441B1
KR101447441B1 KR1020080004139A KR20080004139A KR101447441B1 KR 101447441 B1 KR101447441 B1 KR 101447441B1 KR 1020080004139 A KR1020080004139 A KR 1020080004139A KR 20080004139 A KR20080004139 A KR 20080004139A KR 101447441 B1 KR101447441 B1 KR 101447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epeater
information
mobile system
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279A (ko
Inventor
소정민
오기선
도미선
변희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441B1/ko
Priority to US12/186,781 priority patent/US8149760B2/en
Publication of KR2009007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4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4Shortest path evaluation using a combination of met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5Shortest path evaluation based on throughput or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multi-hop cellular network)에서의 경로 관리를 위한 방법 및 모바일 시스템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상기 모바일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개시한다. 모바일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 품질 정보, 트래픽 로드 정보 및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부를 포함한다.
멀티-홉(multi-hop), 주파수 채널(frequency channel), 셀룰러(cellular), 부호화 틀(coding scheme)

Description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관리를 위한 방법 및 모바일 시스템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상기 모바일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METHOD AND MOBILE SYSTEM FOR PATH MANAGEMENT IN MULTI-HOP CELLULAR NETWORK AND DATA FRAME USED FOR THE MOTHOD AND THE MOBILE SYSTEM}
본 발명은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multi-hop cellular network)에서의 경로 관리를 위한 방법 및 모바일 시스템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상기 모바일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multi-hop cellular network)에서는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단말기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중계기(relay station)를 거쳐서 멀티-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홉 셀룰러 시스템의 장점은 설치 비용과 유지 비용이 비싼 기지국 수를 줄이면서 값싼 중계기의 설치를 통해 서비스 영역을 넓힐 수 있다는 것이다.
단일-홉 시스템에서 임의의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때 단말기는 스캐닝을 통해 주변에 있는 기지국들을 검색하고, 만약 여러 개의 기지국이 있다면 그 중에서 신호 강 도(signal strength)가 가장 높은 기지국에 자신을 등록한다. 멀티-홉 셀룰러 시스템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단말기는 자신의 주변에 기지국 혹은 중계기가 존재하는지 스캐닝을 통해 찾고, 신호 강도가 높은 기지국 혹은 중계기와 연계하게 된다. 만약 단말기가 중계기와 연결을 했다면, 그 단말기는 중계기를 통해 그 중계기를 서비스 하고 있는 기지국과 연계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기지국과 한번 경로를 설정하면, 단말기의 이동 등 특정한 변화가 일어나기 전까지는 그 경로를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는 그 경로를 통해 기지국에 대역폭(bandwidth)을 요청하고, 동일한 경로를 통해 자원을 할당 받는다.
단말기가 새롭게 전원을 켜서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을 거치는 것 외에 다른 셀에서 서비스를 받던 단말기가 이동하여 핸드오버(handover) 과정을 통해 셀로 들어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기존 방법으로는 타겟 기지국 혹은 중계기 중 엑세스 링크(access link)의 신호 강도와 연관된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엑세스 링크(access link)뿐만 아니라 기지국까지의 전체 경로를 고려함으로써 자원(resource)의 추가 없이 서비스 율(service admission rate)을 낮추고 수락률(acceptance rate)과 성능(performance)을 높일 수 있는 모바일 시스템 및 경로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새로운 컨트롤 정보들을 상기 모바일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시스템 관리자의 정책에 따라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성능과 공정성(fairness)간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모바일 시스템 및 경로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새로운 컨트롤 정보들을 상기 모바일 시스템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 품질 정보, 트래픽 로드 정보 및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링크 품질 정보는 링크의 부호화 틀(coding schem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는 상기 기지국 및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초당 전송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로 설정부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자원사용증가율을 계산하는 자원사용증가율 계산부 및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은 모바일 시스템이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서 증가될 자원사용률의 예상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로 설정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 품질 정보, 트래픽 로드 정보 및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은 링크 품질 정보를 저장하는 링크 품질 정보 저장 영역 및 트래픽 로드 정보를 저장하는 트래픽 로드 정보 저장 영역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품질 정보 및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시스템이 연결될 기지국 또는 중계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일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셀에서 기지국(101)에는 제1 중계기(102) 및 제2 중계기(103)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제1 중계기(102)에는 제1 모바일 시스템(104)이, 제2 중계기(103)에는 제2 모바일 시스템(105)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3 모바일 시스템(106)이 다른 셀로부터 현재 셀로 이동하여 들어와서 기지국(101)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려 하는 경우, 기존의 방식에서는 제2 모바일 시스템(106)이 제1 중계기(102) 및 제2 중계기(103) 중 엑세스 링크(access link)의 신호 품질(signal quality)이 더 좋은 중계기를 선택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 더 좋은 경로 또는 제3 모바일 시스템(106)이 서비스를 받는 데에 더 좋은 경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3 모바일 시스템(106)은 링크 품질 정보, 트래픽 로드 정보 및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로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210)에서 경로를 설정하고자 하는 모바일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 품질 정보, 트래픽 로드 정보 및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품질 정보는 링크의 부호화 틀(coding schem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는 상기 기지국 및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초당 전송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기지국과 중계기들은 특정한 크기를 갖는 주파수 채널(frequency channel)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기들이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은 같을 수도 있고 각각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주파수 채널의 크기를 'F'라고 표현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기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때 목적지 노드까지의 거리와 채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부호화 틀을 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부호화 틀의 예로는 직교 위상 편이 변조(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64-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등을 들 수 있다. 각각의 부호화 틀은 해당하는 부호화 틀에 대한 스펙트럼 효율을 갖고, 상기 스펙트럼 효율을 'escheme'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들이 특정 시간동안 보낼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상기 주파수 채널의 크기 'F' 및 상기 스펙트럼 효율 'escheme'의 곱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이 10MHz 크기의 주파수 채널을 이용한다고 가정하고, 상기 스펙트럼 효율 'escheme'이 2b/s/Hz인 부호화 틀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모든 오버헤드(overhead)를 무시할 때 상기 기지국은 20Mbps의 전송속도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부호화 틀의 스펙트럼 효율 'escheme'이 1b/s/Hz인 경우에는 10Mbps의 전송속도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서 상기 스펙트럼 효율 'escheme'이 높은 부호화 틀을 이용할수록 같은 시간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바일 시스템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고자 할 때, 상기 부호화 틀의 상기 스펙트럼 효율 및 트래픽 로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단계(S220)에서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의 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21) 및 단계(S22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21)에서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자원사용증가율을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은 모바일 시스템이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서 증가될 자원사용률의 예상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의 상기 링크 품질 정보에 대한 제1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제1 비율의 상기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에 대한 제2 비율을 상기 자원사용증가율로서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바일 시스템의 추가로 인해 시스템 전체에서 발생하는 자원사용증가율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8003084052-pat00001
이때, 상기 'm'은 상기 모바일 시스템의 추가로 인해 시스템 전체에서 발생하는 자원사용증가율을, 상기 'Li'는 i-번째 플로우(flow)의 트래픽 로드를, 상기 'ei'는 i-번째 플로우에서 이용되는 부호화 틀의 스펙트럼 효율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로우는 경로상에 포함되는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S222)에서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하여 상기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경로상에 존재하게 되는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자원사용증가율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하거나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의 기존 자원사용률 및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자원사용률이 가장 높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자원사용증가율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의 자원사용률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하거나 상기 경로상에 존재하게 되는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자원사용증가율 각각에 홉 카운트(hop count)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자원사용증가율의 합이 최소화가 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시스템이 어떠한 경로에 추가되느냐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기들의 자원사용률이 변화될 수 있고,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자원사용률의 변화량 즉,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경로를 선택하는 기준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또는 기선정된 정책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두 개의 모바일 시스템이 연결된 기지국의 일례이다. 즉, 도 3에서 기지국(301)은 제1 모바일 시스템(302) 및 제2 모바일 시스템(303)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주파수 채널의 크기 'F'는 시스템의 모든 노드에서 10MHz가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기지국(301)이 제1 모바일 시스템(302)으로 5Mbps의 데이터를 스펙트럼 효율 'escheme'이 2b/s/Hz인 부호화 틀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제2 모바일 시스템(303)으로 5Mbps의 데이터를 스펙트럼 효율 'escheme'이 1b/s/Hz인 부호화 틀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결과적으로 기지국(301)은 제1 모바일 시스템(302)에게 자원의 25%(1/10MHz * 5Mbps/2b/s/Hz = 0.25)를 사용하게 되고, 제2 모바일 시스템(303)에게 자원의 50%(1/10MHz * 5Mbps/1b/s/Hz = 0.5)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301)은 제1 모바일 시스템(302) 및 제2 모바일 시스템(303)을 위해 자원의 75%를 사용하게 된다.
도 4는 기지국 및 중계기에서의 자원사용률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401)은 제1 중계기(402) 및 제2 중계기(403)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중계기(402)에는 제1 모바일 시스템(404)이, 제2 중계기(403)에는 제2 모바일 시스템(404)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주파수 채널의 크기 'F'는 시스템의 모든 노드에서 10MHz가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1 링크(406)에는 4b/s/Hz의 스펙트럼 효율을 갖는 부호화 틀이, 제2 링크(407)에는 2b/s/Hz의 스펙 트럼 효율을 갖는 부호화 틀이, 제3 링크(408)에는 2b/s/Hz의 스펙트럼 효율을 갖는 부호화 틀이 그리고 제4 링크(409)에는 1b/s/Hz의 스펙트럼 효율을 갖는 부호화 틀이 각각 이용되고 있다.
이때, 기지국(401)이 제1 모바일 시스템(404)으로 10Mbps의 데이터를, 제2 모바일 시스템(405)으로 5Mbps의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제1 중계기(402)의 자원사용률(410)은 50%(1/10MHz * 10Mbps/2b/s/Hz = 0.5)가 되고, 제2 중계기(403)의 자원사용률(411)은 50%(1/10MHz * 5Mbps/1b/s/Hz = 0.5)가 된다. 또한, 기지국(401)의 자원사용률(412)은 50%(1/10MHz * 10Mbps/4b/s/Hz + 1/10MHz * 5Mbps/2b/s/Hz = 0.5)가 된다.
이때,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이 다른 셀에서 현재 셀로 이동하여 어떠한 경로로 연결되는 가에 따라 기지국(401), 제1 중계기(402) 및 제2 중계기(403)의 자원사용률은 서로 다르게 변화하게 된다.
도 5는 모바일 시스템의 추가에 따라 자원사용률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즉, 도 5는 도 4의 상황에서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인 제3 모바일 시스템(501)이 현재 셀로 이동하여 제1 중계기(402)를 선택하는 경우의 자원사용률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때, 제1 중계기(402)와 제3 모바일 시스템(501)간에 설정되는 링크(502)에는 1b/s/Hz의 스펙트럼 효율을 갖는 부호화 틀이 이용되고, 제3 모바일 시스템(501)이 기지국(401)으로부터 5Mbps의 데이터를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3 모바일 시스템(501)이 연결되는 제1 중계기(402)의 자원사용증가율은 50%(1/10MHz * 5Mbps/1b/s/Hz = 0.5)으로서, 기존 자원사용률 50%와 함께 자원사용 률(503)이 100%가 된다. 또한, 기지국(401)의 자원사용증가율은 12.5%(1/10MHz * 5Mbps/4b/s/Hz = 0.125)으로서, 기존 자원사용률 50%와 함께 자원사용률(504)이 62.5%가 된다.
도 6은 모바일 시스템의 추가에 따라 자원사용률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이다. 즉, 도 6은 도 4의 상황에서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인 제3 모바일 시스템(601)이 현재 셀로 이동하여 제2 중계기(403)를 선택하는 경우의 자원사용률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때, 제2 중계기(403)와 제3 모바일 시스템(601)간에 설정되는 링크(602)에는 2b/s/Hz의 스펙트럼 효율을 갖는 부호화 틀이 이용되고, 제3 모바일 시스템(601)이 기지국(401)으로부터 도 5에서와 동일하게 5Mbps의 데이터를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3 모바일 시스템(601)이 연결되는 제2 중계기(403)의 자원사용증가율은 25%(1/10MHz * 5Mbps/2b/s/Hz = 0.25)으로서, 기존 자원사용률 50%와 함께 자원사용률이 75%가 된다. 또한, 기지국(401)의 자원사용증가율은 25%(1/10MHz * 5Mbps/2b/s/Hz = 0.25)으로서, 기존 자원사용률 50%와 함께 자원사용률이 75%가 된다.
즉, 도 5 및 도 6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이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연결 가능한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면, MS2가 BS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2개의 가능한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결과에 따라 기지국 및 중계기들의 자원 상태가 변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이 어떤 경로를 택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시스템의 정책에 달려 있다. 이하에서는 경로 선택의 기준으로서 상술한 4가지 예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첫째로, 상기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은 경로상에 존재하게 되는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자원사용증가율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새로운 서비스가 추가 됨으로써 증가하게 되는 자원사용률의 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제3 모바일 시스템(501)가 제1 중계기(402)를 통해 서비스를 받는다면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의 합은 62.5%(제1 중계기(402)에서 50%, 기지국(401)에서 12.5%)이다. 반면, 동일한 조건의 도 6에서와 같이 제3 모바일 시스템(601)가 제2 중계기(403)를 통해 서비스를 받는다면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의 합은 50%(제2 중계기(403)에서 25%, 기지국(401)에서 25%)이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은 제2 중계기(403)를 통해 서비스를 받아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둘째로, 상기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의 기존 자원사용률 및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자원사용률이 가장 높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자원사용증가율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경로상의 모든 기지국 및 중계기의 자원사용률을 고려하여, 새로운 서비스가 시작되었을 때 상기 자원사용률이 가장 높은 노드의 자원사용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제1 중계기(402)의 자원사용률은 100%가 되고, 도 6에서 제2 중계기(403)의 자원사용률은 75%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은 제2 중계기(403)를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 방법의 장점은 기지국 및 중계기의 자원사용률의 균형이 맞으므로, 이후 현재 셀의 임의의 위치에서 서비스를 새로 시작하려고 할 때 성공률이 높다는 것이 다. 만약, 상기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이 제1 중계기(402)를 통해 서비스를 받는다면, 제1 중계기(402)의 자원사용률이 100%가 되어 또 다른 모바일 시스템이 제1 중계기(402)를 통하는 경로밖에 없는 경우, 자원을 할당받지 못할 수 있다.
셋째로, 상기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기지국의 자원사용률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기지국(401)의 자원사용률은 63.5%이고, 도 6에서 기지국(401)의 자원사용률은 75%이다. 따라서, 상기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은 제1 기지국(402)을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기지국(402)은 자원사용률이 100%가 되어 더 이상의 모바일 시스템에게 자원을 할당할 수 없지만, 기지국(401)의 자원 사용 측면에서는 기지국(401)에 직접 연결되는 더 많은 수의 모바일 시스템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중계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보다 기지국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우선시 하는 경우 이와 같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경로상에 존재하게 되는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자원사용증가율 각각에 홉 카운트(hop count)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자원사용증가율의 합이 최소화가 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첫 번째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기지국으로부터의 홉 카운트를 고려하여 각각의 중계국마다 다른 가중치를 준 다음, 상기 가중치에 따라 자원사용률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런 방법에 의하면, 병목현상이 더 많이 나타나는 기지국에 가까운 중계국들의 자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중계국들의 자원에 비해 더 높은 중요성을 갖게 된다.
이상, 상기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이 경로를 설정하는 4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로 설정 방법을 이용하면, 엑세스 링크(access link)뿐만 아니라 기지국까지의 전체 경로를 고려함으로써 자원(resource)의 추가 없이 서비스 율(service admission rate)을 낮추고 수락률(acceptance rate)과 성능(performance)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시스템에는 없는 새로운 컨트롤 정보들이 모바일 시스템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여기서는 IEEE 802.16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른 셀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던 모바일 시스템이 이동하여 현재 셀로 들어오는 시나리오를 생각해보자. 이때, 기존 셀의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이라 하고, 새로운 셀의 기지국을 타겟 기지국이라 한다. 상기 모바일 시스템의 위치가 상기 타겟 기지국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면, 직접 연결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엔 상기 타겟 기지국과 연결된 중계국을 거쳐서 상기 타겟 기지국과 연결해야 한다. 이때, 서빙 기지국은 'MOB_NBR-ADV' 메시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시스템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시스템으로 전달해 준다.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할 때에 어떤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 핸드오버 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다. 현재 IEEE 802.16 시스템에서 상기 'MOB_NBR-ADV' 메시지는 링크의 'SINR'이나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홉(hop) 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밖에도 IEEE 802.16에서는 기지국에 현재 걸려있는 트래픽 로드를 나타내주는 가능한 라디오 자원 파라미터(available radio resource parameter)도 상기 'MOB_NBR-ADV' 메시지를 통해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경로 설정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에는 없는 추가적인 정보를 얻어야만 하는데, 그것은 경로(path) 정보이다. 만약 도 6에 서와 같이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이 제2 중계기(403)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시스템의 트래픽 로드가 어떻게 되는지 계산하기 위해서는, 연결 가능한 경로에 대한 링크 품질 정보 및 트래픽 로드 정보가 필요하다. 즉, 연결될 중계기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중계기로부터 기지국까지의 경로에 있는 모든 노드의 정보가 필요하다.
도 7 및 도 8은 모바일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일례이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프레임(700)은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이 도 4에서 설명한 제1 중계기(402)로부터 받을 수 있는 정보의 일례이다. 이때, 3행(701)은 기지국(401)의 다운 링크(down link, DL) 및 업 링크(up link, UL) 각각에 따른 트래픽 로드 및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내고, 2행(702)은 제1 중계기(402)의 다운 링크 및 업 링크 각각에 따른 트래픽 로드 및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데이터 프레임(800)은 상기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이 도 4에서 설명한 제2 중계기(403)로부터 받을 수 있는 정보의 일례이다. 도 7에서와 유사하게 3행(801) 은 기지국(401)의 다운 링크 및 업 링크 각각에 따른 트래픽 로드 및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내고, 2행(802)은 제2 중계기(403)의 다운 링크 및 업 링크 각각에 따른 트래픽 로드 및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은 링크 품질 정보를 저장하는 링크 품질 정보 저장 영역 및 트래픽 로드 정보를 저장하는 트래픽 로드 정보 저장 영역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링크 품질 정보 및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시스템이 연결될 기지국 또는 중계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시스템이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 대한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받을 때, 상기 서빙 기지국은 자신과 자신에게 연결된 중계기들의 현재 자원 상태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계기들은, 주기적으로 자신이 연결된 기지국에게 자신의 다운 링크(DL)와 업 링크(UL)의 현재 자원사용량에 대해 보고할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자원사용량을 기록해 놓을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내의 모든 노드가 10MHz의 주파수 채널의 크기를 사용한다고 가정했다. 하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노드마다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자원사용증가율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노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의 크기에 관한 정보도 필요하다. 즉, 노드마다 주파수 채널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는 전달되는 이웃 노드 관련 정보가 아래 설명되는 도 9와 같이 바뀌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은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를 저장하는 크기 정보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링크 품질 정보,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 각각의 자원사용증가율을 통해 상기 모바일 시스템이 연결될 기지국 또는 중계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로 설정 방법을 이용하면, 새로운 컨트롤 정보들을 상기 모바일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시스템 관리자의 정책에 따라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성능과 공정성(fairness)간의 조화를 이룰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새로운 컨트롤 정보들을 상기 모바일 시스템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일례이다. 여기서, 데이터 프레임(900)은 새로운 모바일 시스템이 도 4에서 설명한 제1 중계기(402)로부터 받을 수 있는 정보의 일례이다. 이때, 3행(901)은 기지국(401)의 다운 링크 및 업 링크 각각에 따른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 트래픽 로드 및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내고, 2행(902)은 제1 중계기(402)의 다운 링크 및 업 링크 각각에 따른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 트래픽 로드 및 링크 품질 정보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모바일 시스템(10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수신부(1010) 및 경로 설정부(1020)를 포함한다.
정보 수신부(10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 품질 정보, 트래픽 로드 정보 및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품질 정보는 링크의 부호화 틀(coding schem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 고,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는 상기 기지국 및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초당 전송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기지국과 중계기들은 특정한 크기를 갖는 주파수 채널(frequency channel)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기들이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은 같을 수도 있고 각각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주파수 채널의 크기를 'F'라고 표현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기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때 목적지 노드까지의 거리와 채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부호화 틀을 정하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부호화 틀은 해당하는 부호화 틀에 대한 스펙트럼 효율을 갖고, 상기 스펙트럼 효율을 'escheme'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들이 특정 시간동안 보낼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상기 주파수 채널의 크기 'F' 및 상기 스펙트럼 효율 'escheme'의 곱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이 10MHz 크기의 주파수 채널을 이용한다고 가정하고, 상기 스펙트럼 효율 'escheme'이 2b/s/Hz인 부호화 틀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모든 오버헤드(overhead)를 무시할 때 상기 기지국은 20Mbps의 전송속도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부호화 틀의 스펙트럼 효율 'escheme'이 1b/s/Hz인 경우에는 10Mbps의 전송속도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서 상기 스펙트럼 효율 'escheme'이 높은 부호화 틀을 이용할수록 같은 시간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모바일 시스템(1000)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고자 할 때, 상기 부호화 틀의 상기 스펙트럼 효율 및 트래픽 로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경로 설정부(1020)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의 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경로 설정부(1020)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사용증가율 계산부(1021) 및 선택부(102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원사용증가율 계산부(1021)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자원사용증가율을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은 모바일 시스템(1000)이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서 증가될 자원사용률의 예상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자원사용증가율 계산부(1021)는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의 상기 링크 품질 정보에 대한 제1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제1 비율의 상기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에 대한 제2 비율을 상기 자원사용증가율로서 계산할 수 있다.
선택부(1022)는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선택한다. 이때, 선택부(1022)는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하여 상기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부(1022)는 상기 경로상에 존재하게 되는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자원사용증가율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 기 중계기를 선택하거나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의 기존 자원사용률 및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자원사용률이 가장 높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자원사용증가율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의 자원사용률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하거나 상기 경로상에 존재하게 되는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자원사용증가율 각각에 홉 카운트(hop count)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자원사용증가율의 합이 최소화가 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시스템(1000)이 어떠한 경로에 추가되느냐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기들의 자원사용률이 변화될 수 있고, 선택부(1022)는 상기 자원사용률의 변화량 즉,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경로를 선택하는 기준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또는 기선정된 정책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을 이용하면, 엑세스 링크뿐만 아니라 기지국까지의 전체 경로를 고려함으로써 자원의 추가 없이 서비스 율을 낮추고 수락률과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역시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 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로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자원사용증가율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4는 기지국 및 중계기에서의 자원사용률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5는 모바일 시스템의 추가에 따라 자원사용률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6은 모바일 시스템의 추가에 따라 자원사용률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이다.
도 7은 모바일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일례이다.
도 8은 모바일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다른 예이다.
도 9는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모바일 시스템
1010: 정보 수신부
1020: 경로 설정부
1021: 자원사용증가율 계산부
1022: 선택부

Claims (21)

  1.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 품질 정보, 트래픽 로드 정보 및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설정부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을 계산하는 자원사용증가율 계산부; 및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품질 정보는 링크의 부호화 틀(coding schem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는 상기 기지국 및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초당 전송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은 모바일 시스템이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서 증가될 자원사용률의 예상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사용증가율 계산부는,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의 상기 링크 품질 정보에 대한 제1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제1 비율의 상기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에 대한 제2 비율을 상기 자원사용증가율로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경로상에 존재하게 되는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자원사용증가율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의 기존 자원사용률 및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자원사용률이 가장 높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자원사용증가율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기지국의 자원사용률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경로상에 존재하게 되는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에 대한 자원사용증가율 각각에 홉 카운트(hop count)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자원사용증가율의 합이 최소화가 되도록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자신의 다운 링크 및 업 링크의 자원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상기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12. 링크 품질 정보를 저장하는 링크 품질 정보 저장 영역;
    트래픽 로드 정보를 저장하는 트래픽 로드 정보 저장 영역; 및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를 저장하는 크기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품질 정보,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 및 상기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기지국 및 중계기 각각의 자원사용증가율을 통해 모바일 시스템이 연결될 기지국 또는 중계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품질 정보는 링크의 부호화 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는 상기 기지국 및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초당 전송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 품질 정보, 트래픽 로드 정보 및 주파수 채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으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설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품질 정보는 링크의 부호화 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로드 정보는 상기 기지국 및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초당 전송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19. 삭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사용증가율은 모바일 시스템이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중계기에서 증가될 자원사용률의 예상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18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04139A 2008-01-14 2008-01-14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관리를 위한 방법 및모바일 시스템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상기 모바일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 Active KR101447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139A KR101447441B1 (ko) 2008-01-14 2008-01-14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관리를 위한 방법 및모바일 시스템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상기 모바일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
US12/186,781 US8149760B2 (en) 2008-01-14 2008-08-06 Method and mobile system for path management in multi-hop cellular network and data frame used for the method and the mobil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139A KR101447441B1 (ko) 2008-01-14 2008-01-14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관리를 위한 방법 및모바일 시스템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상기 모바일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279A KR20090078279A (ko) 2009-07-17
KR101447441B1 true KR101447441B1 (ko) 2014-10-07

Family

ID=4085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139A Active KR101447441B1 (ko) 2008-01-14 2008-01-14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관리를 위한 방법 및모바일 시스템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상기 모바일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49760B2 (ko)
KR (1) KR101447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564B1 (ko) * 2008-11-12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WO2010110192A1 (ja) * 2009-03-25 2010-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中継装置、中継方法、及び中継装置制御プログラム
US20130336193A1 (en) 2012-06-19 2013-12-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information for assisting user equipment
US9264097B2 (en) 2009-06-04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21888B1 (ko) * 2009-06-26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링크 추가 및 삭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036262A (zh) * 2009-09-25 2011-04-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检测方法和装置
WO2012094774A1 (en) 2011-01-10 2012-07-19 Nokia Siemens Networks Oy Relay node related measurements
KR101877754B1 (ko) * 2012-11-26 2018-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홉 네트워크에서 채널 정보를 송, 수신하는 방법 및 그 단말들
US8750250B2 (en) * 2012-12-04 2014-06-10 Bandwidth.Com, Inc. Personalized user session information for call handoff
WO2014201658A1 (zh) * 2013-06-20 2014-12-24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便携式无线信号中转系统、方法及终端
US10064239B2 (en) * 2014-10-17 2018-08-28 Sony Corporation Apparatus to establish wireless backhaul connection
JP7152636B2 (ja) * 2017-12-26 2022-10-13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11178590B2 (en) * 2018-08-13 2021-11-16 Qualcomm Incorporated Hop-count indication in wireless systems
CN113382423B (zh) * 2020-03-09 2023-08-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信息指示方法和相关设备
US11445421B2 (en) * 2020-08-21 2022-09-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Load balancing wireless access node usage based on active users
CN114389952B (zh) * 2020-10-15 2024-05-31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面向多层网的移动通信网络容量配置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8891B2 (en) * 2003-03-31 2007-05-15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hop intelligent relay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KR20070120875A (ko) * 2006-06-20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릴레잉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3681B2 (ja) 2003-07-14 2007-12-19 Kddi株式会社 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経路選択方法
JP4496336B2 (ja) 2003-11-10 2010-07-07 株式会社産学連携機構九州 無線マルチホップ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ケット伝送方法
JP2006246202A (ja) * 2005-03-04 2006-09-14 Nec Corp 最適中継ノード選択方法、ノード及び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1708426A1 (en) * 2005-04-01 2006-10-0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Resource reservation in network routing
EP1734667B1 (en) 2005-06-17 2011-08-10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KR100810201B1 (ko) 2005-06-1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100839966B1 (ko) 2005-06-29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의 상태 보고 방법 및 시스템
KR100872413B1 (ko) 2005-09-13 200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및 인접 중계국 정보 획득 방법
KR101002903B1 (ko) 2005-11-07 201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홉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노드 결정 방법
KR100871620B1 (ko) 2005-11-10 2008-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망에서 다중홉 시스템을 위한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20070080265A (ko) 2006-02-07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회적 패킷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8891B2 (en) * 2003-03-31 2007-05-15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hop intelligent relay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KR20070120875A (ko) * 2006-06-20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릴레잉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279A (ko) 2009-07-17
US8149760B2 (en) 2012-04-03
US20090181693A1 (en)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441B1 (ko) 멀티-홉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관리를 위한 방법 및모바일 시스템 그리고 상기 방법 및 상기 모바일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
EP2082598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990707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ackhaul optimization
US8248941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uplink scheduling in a network that employs relay nodes
KR100950357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채널들을 할당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35038A (ko) 근접 기반 서비스 원격 및 중계 엔티티 서비스 품질 관리
EP2115957B1 (en) Method for changing route in wireless communication
US9107126B2 (en) Radio resource control for dual-access-technology cells
CN103222326B (zh) 在通信系统中运用调度器行为认知预测性资源选择的装置和方法
EP1615388A1 (en) Channel allocation for an access point in a mesh network
US200800451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using Wireless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US89828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in a rela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lay using same
US9713056B2 (en) Switching and aggregation of small cell wireless traffic
US12302216B2 (en) Methods,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KR101175612B1 (ko) 적응성 빔 기반 통신시스템 및 그 스케줄링 방법
KR20120139841A (ko) 링크의 각 섹션에서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비 및 노드
JP2008172762A (ja) 負荷レベルに基づいてリユースパターンを発生させ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KR20140127806A (ko)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기지국 및 통신 제어 시스템
KR101665568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분산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hai et al. Two-channel two-transceiver IEEE 802.16 wireless backhau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