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399B1 - Termination floor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Termination floor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7399B1 KR101447399B1 KR1020137011158A KR20137011158A KR101447399B1 KR 101447399 B1 KR101447399 B1 KR 101447399B1 KR 1020137011158 A KR1020137011158 A KR 1020137011158A KR 20137011158 A KR20137011158 A KR 20137011158A KR 101447399 B1 KR101447399 B1 KR 1014473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position detection
- elevator
- detection sensor
-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설치 조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설치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인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출력하는 과속 감시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작동판과, 승강로 내에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경로에 따라 병설되어 작동판을 검출하는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와,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경우에 자신으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정합성 체크 회로를 구비하고, 과속 감시부는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구성으로 한다.Provided is an end-stage forced reduction device for an elevator capable of simplifying installation adjustment and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adjustment. For this purpose, an elevator having an overspeed monitoring section for outputting a braking command for decelerating the elevator car, when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when the elevator car is at a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hoistwa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The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being provided in the hoistway along the lifting path of the car in the hoistway to detect the operating plate and the two position detecting sensors are provided on the output of both of the two position detecting sensors Based on an output from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the overspeed monitoring sec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levator car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hoistway based on the output from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Position of the vehicle.
Description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d-speed reduction device for an end-point layer of an elevator.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이나 균형추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가 승강로의 저부(底部) 피트(pit)에 설치되어 있다. 이 완충기는 엘리베이터 칸 등이 전속력으로 완충기에 충돌한 경우에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는 스트로크(stroke)로 할 필요가 있다. 이 필요한 스트로크는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높아질수록 길어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높을수록 완충기가 설치되는 피트도 깊게 할 필요가 생긴다. 하지만 이 정격속도가 어느 정도 이상 높아지면 필요로 되는 피트의 깊이가 비현실적인 수치가 되어 버린다. 여기서 완충기의 스트로크를 본래 필요한 길이보다 짧게 하고 피트의 깊이를 얕게 함과 아울러 완충기에 충돌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등을 감속하는 장치(종단층 강제 감속장치)가 종종 설치된다.Generally, in an elevator, an elevator car or a shock absorber for preventing balance further collision is provided at a bottom pit of a hoistway. This shock absorber needs to be a stroke that can sufficiently cushion the shock absorber even when the car collides with the shock absorber at full speed. The required stroke increases as the elevator's rated speed increases. Therefore, the higher the rated speed of the elevator, the deeper the pit on which the shock absorber is installed. However, if the rated speed increases above a certain level, the required depth of the pit becomes unrealistic. In this case, a device for shortening the stroke of the shock absorber to a shorter length than originally necessary, making the depth of the pit shallow, and decelerating the elevator car or the like before colliding with the shock absorber is often installed.
이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는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종단에 접근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속도가 종단에서부터의 거리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과속 검출 레벨 이상이 되었을 때, 엘리베이터 칸을 강제적으로 감속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에 위치 검출 스위치를 마련함과 동시에, 승강로의 상방(上方) 종단 부근 및 하방(下方) 종단 부근에 이 위치 검출 스위치와 맞물린 캠을 마련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있는 종래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는 캠에 동작점을 마련하고, 캠과 맞물린 위치 검출 스위치를 이 동작점에서 동작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때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확인하여 과속 검출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강제적으로 감속시킨다.Specifically, when the car approaches the end of the hoistway and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 reaches a predetermined overspeed detection level or higher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terminating end, the terminal compulsory decelerating device forcibly decelerates the car will be. In such a conventional longitudinally-forced-speed reduction device for an elevator, a position detection switch is provided in an elevator car, and a cam engaged with the position detection switch is provided near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the lower end of the hoistway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n the conventional terminal layer forced decelerator disclosed in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10-32447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324474
여기서, 승강로의 종단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충분히 감속시키기 위하여는 엘리베이터의 정격 속도가 높아질수록, 보다 종단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 있는 것과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는 위치 검출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점을 캠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Here, in order to sufficiently decelerate the elevator car at the end of the hoistway,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at a position farther from the longitudinal end as the elevating speed of the elevator becomes higher. In the conventional terminal-side forced decelerator for an elevator as in
따라서, 종단으로부터 먼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동작점을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캠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캠이 조금이라도 기울면 동작점의 위치가 크게 변화하여 버린다. 이 때문에, 캠의 설치 조정에 번잡한 수고가 들고, 설치 조정 시간이 증대하여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Therefore, the entire length of the cam required to set the operating poin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r at a position far from the end is long, and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point largely changes if the cam is tilted even a little.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roublesome labor is required to adjust the installation of the cam and the installation adjustment time is increased.
또, 캠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버리면, 캠의 제작에 필요한 재료의 양도 증가하여 기기에 필요한 비용이 증대한다는 과제도 있다.In addition, if the entire length of the cam is increased, the amount of material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cam also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cost required for the device.
이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설치 조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설치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를 얻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an end-stage forced reduction device for an elevator which can simplify installation adjustment and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adjustment.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승강이 자재(自在)로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출력하는 과속 감시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작동판과, 상기 승강로 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경로에 따라 병설되어 상기 작동판을 검출하는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와, 상기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경우에 자신으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정합성 체크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과속 감시부는 상기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이다.The apparatus for forced deceleration of a terminal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vator car disposed in a hoistway of an elevator in a freely liftable manner and an elevator car which is movable in the elevator car when the elevator car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end of the hoistway And an overspeed monitoring unit for outputting a braking command for decelerating the elevator car when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the elevator car comprising: an operating plate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that are provided side by side in accordance with the elevation path of the car and detect the operation plate; and an output from the self when the outputs of the two are matched based on the outputs of the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And a consistency check circuit for inverting Speed monitoring unit to recognize whether the end from which the elevator car in the elevator shaft on the basis of an output from the matching check circuit to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location.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는 설치 조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설치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보인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installation adjustment can be simplified and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adjustment can be shortened in the terminal end compulsory deceleration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운행 제어부의 전원 투입 시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센서 이상(ON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센서 이상(ON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센서 이상(OFF 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센서 이상(OFF 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nd-stage forced reduction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2 is a time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according to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at power-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4 is a time chart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at the time of sensor abnormality (ON failure) according to
5 is a time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at the time of sensor abnormality (ON failure) according to
6 is a time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at the time of sensor abnormality (OFF failure) according to
7 is a time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at the time of sensor abnormality (OFF failure) according to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nd-stage forced reduction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이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틀어 같은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복된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are appropriately simplified or omitted.
실시형태 1.
도 1에서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 도 3은 운행 제어부의 전원 투입 시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센서 이상(ON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 도 6 및 도 7은 센서 이상(OFF 고장) 시에 있어서의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erminal-end compulsory decelerator for an elevator. FIG. 2 is a time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4 and 5 are time chart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at the time of sensor abnormality (ON failure), and Figs. 6 and 7 are time charts Is a time chart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at the time of sensor abnormality (OFF failure).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이다. 이 승강로(1)의 꼭대기 부분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로(1)의 저부에는 최하층의 층 바닥면보다 더욱 하방으로 파여져서 피트(3)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이용자 등을 적재하여 복수의 층 사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이 자재로 배설(配設)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이 엘리베이터 칸(4)에 걸리는 하중을 보상하기 위한 균형추(5)도 승강이 자재로 배치되어 있다.1,
승강로(1)의 꼭대기 부분의 기계실(2)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의 승강을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에는 주 로프(7)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주 로프(7)는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에서 승강로(1) 내에 연직 상방으로 뻗어있고, 그 중간이 권상기(6)의 구동 시브(sheave)(6a)에 감겨져 걸려있다. 주 로프(7)의 타단 측은 권상기(6)의 구동 시브(6a)에서 승강로(1) 안으로 연직 하방으로 뻗어 있고, 균형추(5)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는 주 로프(7)에 의하여 승강로(1) 내에 두레박 형상으로 걸려있다.The
승강로(1)의 꼭대기 부분의 기계실(2) 내에는 조속기(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의 저부 근방의 피트(3) 내에는 인장 풀리(tension pulley)(9)가 회전 운동이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이 조속기(8)와 인장 풀리(9) 사이에는 조속기 로프(10)가 끝이 없는 형태(無端狀)로 감겨져 있다. 이 조속기 로프(10)는 일 측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하면 조속기 로프(10)가 주회(周回)하여 조속기(8)의 시브가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속도에 따른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조속기(8)에는 이 조속기(8)의 시브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 등으로 이루어진 속도 검출기(1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속도 검출기(11)에 의하여 검출된 조속기(8)의 시브의 회전 속도는 속도 검출 신호(11a)로서 출력된다.A governor (8)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2) at the top of the hoistway (1). A tension pulley 9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피트(3)의 저부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경로의 최하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4)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카 완충기(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피트(3)의 저부에 있어서의 균형추(5)의 승강 경로의 최하단부에는 균형추(5) 충돌 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균형추 완충기(13)가 설치되어 있다.A
엘리베이터의 운전 전반에 관한 기기의 동작은 제어반(14) 내에 수납된 각종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반(14) 내에 있는 운행 제어부(14a)는 권상기(6)나 브레이크(6b)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엘리베이터 칸(4))의 운행을 제어한다. 또, 제어반(14) 내에 있는 과속 감시부(14b)는 속도 검출기(11)로부터 출력되는 속도 검출 신호(11a)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 검출 속도 이상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조속기(8)를 작동시킨다. 조속기(8)가 작동하면 조속기 로프(10)가 파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비상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비상 정지된다.The operation of the device relating to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controlled by various control devices housed in the
승강로(1) 내의 하방 종단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는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띄워 병설되어 있다. 이때,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는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에 대하여 승강로(1)의 하방 종단 측에 오도록 배치된다.A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and a second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for detecting that the
또, 승강로(1) 내의 상방 종단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는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띄워 병설되어 있다. 이때,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는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에 대하여 승강로(1)의 상방 종단 측에 오도록 배치된다.A first upper position detecting sensor (TPA) 16a and a second upper
엘리베이터 칸(4)에는 이러한 위치 검출 센서와 대향하는 차폐판(17)이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오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쌍방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에 오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쌍방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The
이러한 위치 검출 센서는 비접촉식 센서이다. 그리고, 평시, 즉 위치 검출 센서의 센서부가 차폐판(17)에 차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압(포텐셜)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이다. 또,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에 그 센서부가 차단된 위치 검출 센서는 전압(포텐셜)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가 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이 전압(포텐셜)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신호가) 출력된 상태라고 표현하고, 전압(포텐셜)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를 출력이 차단된 상태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This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a non-contact type sensor. When the sensor portion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not blocked by the
제어반(14) 내에는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가 마련되어 있다.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는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출력 결과의 정합성을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의 출력은 과속 감시부(14b)로 입력된다. 또,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는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결과의 정합성을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출력도 과속 감시부(14b)로 입력된다.In the
과속 감시부(14b)는 이들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출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보다 하방 종단측, 또는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보다 상방 종단측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과속 감시부(14b)는 각각의 종단 위치보다 종단 측에 엘리베이터 칸(4)이 있다고 인식되고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미리 정한 소정의 속도 이상이라고 속도 검출 신호(11a)에 기초하여 판단한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엘리베이터 칸(4)을 정지 또는 감속하도록 운행 제어부(14a)로 제동 지령을 내린다. 이 제동 지령을 받은 운행 제어부(14a)는 브레이크(6b)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정지 또는 감속시킨다.The overspeed monitoring section 14b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이때, 하방 종단 위치보다 하방 종단 측에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4)을 강제적으로 감속하는 속도와, 상방 종단 위치보다 상방 종단 측에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4)을 강제적으로 감속하는 속도는 다른 별개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eed at which the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는 3개의 세이프티 릴레이인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 및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1 하방 측 상개접점(常開接點)(22a)과 제1 하방 측 상폐접점(常閉接點)(23a),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과 제2 하방 측상폐접점(23b),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과 제3 하방 측 상폐접점(23c)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lower position detection sensor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의 출력 측은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와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 사이에는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에 대하여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출력 측은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와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 사이에는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에 대하여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side of the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is connected to the first lower-side relay (LWA) 20a. A third lower side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의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에는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 측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측이 접속되어 있다.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와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 사이에는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 및 제2 하방 측 상폐접점(23b)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에 대하여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An output side of the first upper position detecting sensor (TPA) 16a and a second upper position detecting sensor TPB (16b) are connected to the third lower side relay (LWC) 20c of the lower position detecting sensor
또,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 측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측은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내에 있어서,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 및 제3 하방 측 상폐접점(23c)이 직렬로 접속된 다음,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 출력된다.The output side of the first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TPA) 16a and the output side of the second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TPB) 16b are provided in the lower position detection sensor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는 3개의 세이프티 릴레이인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 및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과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과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의 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하는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과 제3 상방 측 상폐접점(25c)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 측은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와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 사이에는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에 대하여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측은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와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 사이에는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에 대하여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side of the first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TPA) 16a is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relay (UPA) 21a. A third upper
또,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 측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측은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에도 접속되어 있다.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와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 사이에는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 및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이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에 대하여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side of the first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TPA) 16a and the output side of the second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TPB) 16b are also connected to the third upper relay (UPC) 21c. A first upper-side normally closed
아울러,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 측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 측은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 내에 있어서,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 및 제3 상방 측 상폐접점(25c)이 직렬로 접속된 다음,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 출력된다.In addition, the output side of the first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TPA) 16a and the output side of the second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TPB) 16b are provided in the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는 전원이 투입되면, 이후에 설명할 도 7에 나타난 흐름에 따라서 동작한다.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elevator equipped with the terminal-layer forced decelera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shown in FIG. 7 to be described later.
도 2에,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된 후, 먼저 엘리베이터 칸(4)을 최상층까지 주행시키고, 이어서 최하층까지 주행시키고, 그 후 다시 최상층까지 주행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먼저,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4)은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보다 하방에 있다. 따라서, 모든 위치 검출 센서, 즉,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들 모든 위치 검출 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고 있다.First, when the
그리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 있어서는, 초기 상태에서는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 및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는 석방된(여자(勵磁)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면,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와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 사이의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 및 제2 하방 측 상폐접점(23b)은 닫히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된 상태가 된다.In the lower position detection sensor
또한,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에 있어서는, 초기 상태에서는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 및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는 석방된(여자 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면,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와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와의 사이의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 및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은 닫히기 때문에,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여자된 상태가 된다.In the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 및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은 개방되어 있으며, 또한 제3 하방 측 상폐접점(23c)도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되어 있다. 또,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 및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은 개방되어 있으며, 또한 제3 상방 측 상폐접점(25c)도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도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어느 것으로부터도 출력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 검출은 부정(不定) 상태이다.In this state, since the first downward-side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먼저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를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차단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된다. 이어서, 차폐판(17)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를 차단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양쪽이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있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쌍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어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을 계속하면, 먼저 차폐판(17)은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를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된다.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되어 있고,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은 닫혀지는 점에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여자된다.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여자되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중의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이 닫히고,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이 개방된다. 따라서,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는 자기(自己) 유지된 상태가 된다.When the
또한,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이 개방되어도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은 닫혀있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여전히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과속 감시부(14b)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 검출은 부정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Since the third downward-side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하면 차폐판(17)은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도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도 재개된다.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되어 있고,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은 닫혀지는 점에서,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된다.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되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중의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닫히고, 제2 하방 측 상폐접점(23b)이 개방된다. 따라서,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도 자기 유지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제2 하방 측 상폐접점(23b)이 개방되면,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석방된다.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석방되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중의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이 개방되고, 제3 하방 측 상폐접점(23c)이 닫힌다. 따라서,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 및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닫히고, 또한 제3 하방 측 상폐접점(23c)도 닫히기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 신호가 출력된(전압이 높은) 상태가 된다.When the second lower side normally closed
이리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서부터 상승하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과속 감시부(14b)는 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의 신호 출력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서부터 상승하여 멀어지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의 출력이 있는 한편으로,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출력이 없는 상태가 된다. 과속 감시부(14b)는 이 출력 상황으로 엘리베이터 칸(4)은 상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Thus, when the
상승을 계속한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먼저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를 차단하고, 이어서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를 차단하며,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양쪽이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에 있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쌍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여전히 차단된 상태이다.The
더욱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을 계속하면, 먼저, 차폐판(17)은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를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된다. 여기서,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여자되어 있고,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는 닫혀 있는 점에서,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여자된다. 그리고,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여자되면,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이 닫혀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자기 유지 되는 됨과 아울러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이 개방되어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가 석방된다.The shielding
이 상태에서 더욱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하면, 차폐판(17)은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도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로부터의 출력도 재개된다.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이미 석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이 재개되어도,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는 여자되지 않고 석방된 채로 있다. 따라서,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여전히 차단되어 있다.When the
이리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보다 상승하여 최상층에 도착하면, 이번엔 최하층을 향하여 하강을 시작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우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를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차단하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된다. 이어서, 차폐판(17)이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를 차단하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양쪽이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상방 종단 위치에 있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쌍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어 있다.Thus, when the
그러면,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는 것에 수반하여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석방된다.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석방되면,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이 닫히기 때문에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가 여자된다.Then, as the output from the second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TPB) 16b is cut off, the second upper-side relay (UPB) 21b is released. When the second upper-side relay (UPB) 21b is released, the second upper-side normally closed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을 계속하면, 먼저, 차폐판(17)은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를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된다.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여자되어 있고,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은 닫혀있는 점에서,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가 여자 된다.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가 여자되면,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이 닫히고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이 개방된다. 따라서 제1 상방 측 릴레이(UPA)(21a)는 자기 유지된 상태가 된다.When the
여기서, 제1 상방 측 상폐접점(25a)이 개방되어도,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은 닫혀있기 때문에,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여자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여전히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과속 감시부(14b)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Here, even if the first upper-side normally closed
더욱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하면, 차폐판(17)은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도 차단하지 않게 되고,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로부터의 출력도 재개된다.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는 여자되어 있고,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은 닫혀 있는 점에서,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여자된다.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가 여자되면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이 닫히고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이 개방된다. 따라서, 제2 상방 측 릴레이(UPB)(21b)도 자기 유지된 상태가 된다.When the
제2 상방 측 상폐접점(25b)이 개방되면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가 석방된다. 제3 상방 측 릴레이(UPC)(21c)가 석방되면, 제3 상방 측 상개접점(24c)이 개방되고, 제3 상방 측 상폐접점(25c)이 닫힌다. 따라서 제1 상방 측 상개접점(24a) 및 제2 상방 측 상개접점(24b)이 닫히고, 또한 제3 상방 측 상폐접점(25c)도 닫히기 때문에,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에서 과속 감시부(14b)로 신호가 출력된 상태가 된다.When the second upper-side normally closed
이리 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서부터 하강하여 멀어지면,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과속 감시부(14b)는 이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신호 출력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서부터 하강하여 멀어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쌍방으로부터 출력이 있는 상태가 된다. 과속 감시부(14b)는 이 출력 상황으로 엘리베이터 칸(4)은 상방 및 하방 종단 위치의 중간에 있다고 인식한다.Thus, when the
최하층에서 한 번 최상층까지 주행한 엘리베이터 칸(4)이, 재차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먼저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를 차단한다. 그러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고 그때까지 여자되어 있던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된다.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되면,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개방되기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When the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이르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도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도 차단된다. 그러면, 여자되어 있던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석방된다.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석방되면,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이 닫히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된다.When the
엘리베이터 칸(4)이 더욱 하강하여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게 되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어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된다.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되면 제2 하방 측 상폐접점(23b)이 개방되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석방된다.When the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을 계속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차폐판(17)에 의해 차단되지 않게되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어도,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는 여자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 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is not blocked by the
이리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를 지나 최하층에 도착한 후, 다시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을 시작하면, 우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차폐판(17)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도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의 쌍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면,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된다.When the
이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차폐판(17)에 의해 차단되지 않게 되고,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면,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여자되어 자기 유지된다. 또한, 더욱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하여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도 차폐판(17)에 의해 차단되지 않게 되고,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도 재개되면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도 여자되어 자기 유지된다.When the third lower side relay (LWC) 20c is energized, the
이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된 단계에서, 차단되어 있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이 재개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를 지나 최하층에 도착하고 나서, 상승하여 다시 하방 종단 위치보다 상방에 통과할 때까지 동안에는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만 신호가 출력되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과속 감시부(14b)는 이 출력 상황으로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In the stage where the second lower-side relay (LWB) 20b is excited, the output from the lower position detection sensor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보다 상방으로 이동하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쌍방으로부터 출력이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및 하방 종단 위치의 중간에 있다고 인식한다.When the
그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하여 상방 종단 위치에 도달하면,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만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가 되어,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하여 상방 종단 위치보다 하방에 오면,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및 하방 종단 위치의 중간에 있다고 인식한다.Thereafter, when the
이와 같이, 전원 투입 후에 한 번 엘리베이터 칸(4)을 최하층에서 최상층으로 운전하여, 차폐판(17)에 의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 및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를 한 번 차단시킴으로써,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동작 상태를 리셋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합성 체크 회로의 출력에 기초하여,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를 인식한다.After the power is turned on, the
즉,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만 출력이 있고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 또, 반대로,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로부터만 출력이 있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 그리고,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양쪽으로부터 출력이 있는 경우에는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중간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That is, when there is output only from the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또한, 이상과 같이, 전원 투입 후에 한 번 엘리베이터 칸(4)을 종단층에서 반대측 종단층으로 운전하여, 차폐판(17)으로 각 위치 검출 센서 모두를 차단할 때까지는 엘리베이터 칸(4)이 중간 위치에 있다고는 인식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4)이 종단 위치에 있다는 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여기서, 전원 투입 후에 엘리베이터 칸(4)이 한 번 양 종단층을 왕복할 때까지는,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4)의 최고속도를 정격 속도가 아닌 완충기(버퍼)에 대응한 속도(이하, ‘버퍼 대응 속도’라 한다)로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until the
도 3의 흐름도는 이 전원 투입 시의 운행 제어부(14a)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The flow chart of Fig. 3 shows a process flow in the travel control section 14a when the power is turned on.
전원이 투입되면, 먼저, 스텝 S1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에 있어서 최고 속도를 버퍼 대응 속도로 설정한 다음, 스텝 S3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당해 등록되어 있는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주행시킨다.When the power is turned on, first, in step S1, the operation control section 14a confirms whether or not an elevator car call or a platform call is registered. If the elevator car call or the landing call is registered, the maximum speed is set as the buffer corresponding speed in step S2. Then, in step S3, the operation control unit 14a responds to the registered call to the elevator car ( 4).
스텝 S1에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혹은 스텝 S3에서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주행시킨 후에는 스텝 S4로 진행된다.이 스텝 S4에 있어서는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한다.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하고, 운행 제어부(14a)는 버퍼 대응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4)을 최상층으로 주행시킨다. 그리고, 이어지는 스텝 S6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한다.When the elevator car call or the landing call is not registered in step S1 or after the
이 스텝 S6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7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버퍼 대응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4)을 최하층으로 주행시킨 후, 스텝 S8에 있어서, 최고속도를 정격 속도로 설정하여 일련의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6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당해 등록되어 있던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주행시킨다.If the elevator car call or the landing call is not registered in step S6, the travel control unit 14a runs the
그리고, 이어지는 스텝 S10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하여 최고 속도를 정격 속도로 설정하고 일련의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되돌아간다.Then, in the subsequent step S10, the operation control section 14a checks whether or not the
한편, 스텝 S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 정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로 진행한다. 그리고, 운행 제어부(14a)는 스텝 S1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중간층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혹은 스텝 S1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중간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 that the
스텝 S13에 있어서는, 운행 제어부(14a)는 버퍼 대응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4)을 최하층으로 주행시킨다. 그리고, 이어지는 스텝 S14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한다. 이 스텝 S1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5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버퍼 대응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4)을 최상층으로 주행시킨 후, 스텝 S8에 있어서, 최고속도를 정격 속도로 설정하고 일련의 처리는 종료된다.In step S13, the operation control section 14a drives the
한편, 스텝 S1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또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6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당해 등록되어 있던 호출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주행시킨다. 그리고, 이어지는 스텝 S17에 있어서, 운행 제어부(14a)는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하여 최고속도를 정격 속도로 설정하고 일련의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4)이 최상층에 정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4로 되돌아간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 that the car call or the landing call has been register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14a causes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한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는 하방 종단 및 상방 종단에 각각 2개씩 위치 검출 센서를 마련하고, 이들 위치 검출 센서의 출력을 정합성 체크 회로를 통하여 과속 감시부(14b)에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종단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종단 측에 설치된 2개의 위치 검출 센서 중 어느 일방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 도 4 내지 도 7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nd-layer forced decel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respectively. The output of these position detection sensors is transmitted to the overspeed monitoring portion 14b via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Thereby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먼저, 도 4에 2개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중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에 ON고장, 즉, 계속 신호가 출력되어 버리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운전된 후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운전되고, 그 후 최상층에서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 바로 전까지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할 때까지는 도 2와 같으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First, FIG. 4 shows a case where an ON failure, that is, a failure in which a continuous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of two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s occurs. Here, it is assumed that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a failure occurs after the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먼저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를 차단한다. 그러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고, 그때까지 여자되어 있던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된다.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되면,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개방되기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When the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이르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도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된다. 그러나,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는 ON 고장이기 때문에,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은 차단되지 않고 계속된다. 이 때문에,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는 여자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은 개방된 채로 있고,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되지는 않는다.Next, when the
엘리베이터 칸(4)이 더욱 하강하여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게 되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된다. 그러나,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상개접점(22c)은 개방되어 있고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는 여자되지 않는다.When the
이와 같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N 고장나면, 차폐판(17)에 의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차단되었을 때,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여자된 채로 있게 되고,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 및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는 여자되지 않게 된다. 이 사정은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는 않는다.When the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fails to be ON in this way, the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and the second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B The first lower-
즉,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N 고장난 경우라도,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까지 하강한 경우에는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 이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 채로 있게 된다.That is, even when the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is turned ON, when the
이 상태는 과속 감시부(14b)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가 오인식(誤認識)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오인식은 위험 측이 아닌 안전 측으로 인식하고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최고 속도가 정격 속도보다 느린 버퍼 대응 속도로 설정된 상태가 계속되는 것이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This state means that the overspeed monitoring section 14b has misidentified (misrecognized) the position of the
도 5는 2개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중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에 ON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에서도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운전된 후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운전되고, 그 후 최상층에서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의 바로 앞까지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하기까지는 도 2와 같다.FIG. 5 shows a case where an ON failure occurs in the second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B) 15b of the two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s. Here, as in the case of Fig. 4, it is assumed that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a failure occurs after the
이 경우는 차폐판(17)에 의하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차단되었을 때,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여자된 채로 있게 되고,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 및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앞의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N 고장난 경우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In this case, when the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and the second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B) 15b are blocked by the
즉,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가 ON 고장난 경우라도,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까지 하강한 경우에는,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 이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 채로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전 측으로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를 인식하게 되므로, 앞의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N 고장난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까지 하강한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even when the second downward position detecting sensor (BTB) 15b is turned ON, when the
도 6에, 2개의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중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에 OFF 고장, 즉,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되어 버리는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도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최상층까지 운전된 후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전원 투입 후,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운전되고, 그 후 최상층에서부터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의 바로 앞까지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하기까지는 도 2와 같다.FIG. 6 shows a case where an OFF failure occurs in the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of the two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s, that is, a failure that the signal is not outputted. Here, as in the above case, it is assumed that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a failure occurs after the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다다르면, 엘리베이터 칸(4)의 차폐판(17)이 먼저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를 차단한다. 그러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고, 그때까지 여자되어 있던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된다. 제2 하방 측 릴레이(LWB)(20b)가 석방되면, 제2 하방 측 상개접점(22b)이 개방되기 때문에,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When the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에 이르러,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도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면,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도 차단된다. 그러면, 여자되어 있던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석방된다.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가 석방되면, 제1 하방 측 상폐접점(23a)이 닫히기 때문에 제3 하방 측 릴레이(LWC)(20c)가 여자된다.Next, when the
그 후,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하면,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 및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는 차폐판(17)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로부터의 출력은 재개되지만,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는 OFF 고장이기 때문에,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로부터의 출력은 이후에 있어서 재개되지는 않는다.Thereafter, when the
따라서,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FF 고장나면, 제1 하방 측 릴레이(LWA)(20a)는 여자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 하방 측 상개접점(22a)는 개방된 채로 있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if the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fails to be OFF, the first downside relay (LWA) 20a is not excited. Therefore, even if the
즉,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가 OFF 고장났을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까지 하강하였을 경우에는,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에서 과속 감시부(14b)로의 출력은 차단된다. 이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하여 하방 종단 위치를 통과하여도,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로부터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하방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 채로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전 측으로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를 인식하게 되기 때문에, 앞의 ON고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하방 종단 위치까지 하강한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even when the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ng sensor (BTA) 15a fails, when the
또한, 도 7에 나타난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에 OFF 고장이 발생한 경우도,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마찬가지이다.Further, when an OFF failure occurs in the second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B) 15b shown in FIG. 7,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또, 이상은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 중 어느 일방이 고장났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의 어느 일방이 고장난 경우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on the case where one of the first down position detecting sensor (BTA) 15a and the second down position detecting sensor (BTB) 15b has failed. However, the first upper position detecting sensor (TPA) This also applies to the case where one of the first upper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는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을 때, 즉, 엘리베이터 칸이, 하방 종단 위치보다 하방 종단 측 또는 상방 종단 위치보다 상방 종단 측에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일 때, 엘리베이터 칸(4)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과속 감시부(14b)가 출력하는 것이다.When the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에 마련된 동작판인 곳의 차폐판(17)을 검출하는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15a) 및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15b) 또는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16a) 및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16b))가 승강로(1) 내에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경로를 따라서 병설되어 있다.The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the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a and the second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B)) 15a for detecting the
그리고,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경우에 자신으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정합성 체크 회로를 구비하고, 과속 감시부(14b)는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이다.The overspeed monitoring unit 14b includes a consistency check circuit for inverting an output from itself if the outputs of the two are matched based on the outputs of the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Whether or not the
여기서,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상태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자의 일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면 이어서 타방으로부터의 출력도 차단되고, 양자의 일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면 이어서 타방으로부터의 출력도 재개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양자로부터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합성 체크 회로 자신으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킨다. 즉,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출력을 차단하고,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고 있는 경우에는 출력을 재개한다.Here, the state in which the outputs of the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are matched mea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output from one of the two is interrupted, the output from the other is also interrupted, The output from the other is also resumed. When the outputs from both are matched, the output from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itself is inverted. That is, when a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the output is cut off, and when the output from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is blocked, the output is resumed.
이 때문에, 캠을 이용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이 종단 위치에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어, 설치 조정을 간소화하고, 설치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때,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와 정합성 체크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위치 검출 센서 자체에는 고장 검출 기능을 마련하는 일 없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캠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기기의 제조 등에 필요한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car is at the end position without using the cam, so that the installation adjustment can be simplified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adjustment can be shortened. In this case, by using the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and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high reliability can be ensured without providing a failure detection function in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itself. Furthermore, since the cam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device to a low level.
또한, 게다가 정합성 체크 회로는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작동판을 검출한 취지의 출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과속 감시부(14b)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의 종단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다고 인식되는 출력을 실시하는, 즉, 출력을 차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is configured so that the overspeed monitoring unit 14b outpu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plate is det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That is, that the
여기서,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지 않는(부정합인) 상태란,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일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타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차단되지 않은 상태나, 반대로 양자의 일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타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재개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러한 부정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은 차단되고, 과속 감시부(14b)는 엘리베이터 칸(4)이 상하의 종단 위치에 있다고 인식한다.Here, a state in which the outputs of the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are not matched (mismatch) means that,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 to 7, the output from the other The output from the other is not resumed even though the output from one of the two is resumed. When such a mismatch occurs, the output from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is cut off, and the overspeed monitoring section 14b recognizes that the
이 때문에, 2개 있는 위치 검출 센서의 일방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안전 측으로 판정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엘리베이터 칸이 종단 위치에까지 하강한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ev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one of the two position detecting sensor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car has descended to the end position while determining safety and securing safety.
실시형태 2.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ngitudinal-layer forced reduction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형태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투입 시에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의 동작 상태를 세팅하기 위해, 한 번 엘리베이터 칸을 종단층에서부터 반대측의 종단층으로 운전하여, 차폐판으로 각 위치 검출 센서 모두를 한 번 차단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것은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된 후 복전(復電) 시에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즉,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되면,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의 릴레이의 여자가 모두 해제되어 버린다. 그리고, 복전 시에는 한 번 엘리베이터 칸을 종단층에서부터 반대 측의 종단층으로 운전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인식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rder to set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consistency check circuit at the time of turning on the power supply, the elevator car is operated from the terminal layer to the terminal layer on the opposite side once, I needed to block everyone once. This is also true at the time of power recovery after the power is cut off by a power failure or the like. That is, when the power supply is shut off due to a power failure or the like, all of the relays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consistency check circuit are released.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ar can not be normally recognized unless the car is driven once from the terminating layer to the terminating layer on the opposite side.
이에,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형태 2는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에 있어서의 전원이 차단되기 직전 릴레이의 작동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Thus,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battery for maint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lay immediately before the power supply is cut off in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consistency check circuit when the power supply is shut off due to a power failure or the like.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8) 및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19)에는 배터리(26)가 접속되어 있다.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이 배터리(26)에서 이들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로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이 배터리(26)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의 각 릴레이의 작동(여자) 상태가 유지된다.8, the
또한, 다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며,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내는 것이 가능한 것에 더하여,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도,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의 릴레이의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복전하였을 때에 한 번 엘리베이터 칸을 종단층에서 반대측 종단층으로 운전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정상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terminal end compulsory decelerator for an elev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even when the power supply is shut off due to power failure or the like,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consistency check circuit So that it is possible to normal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car without once driving the car from the terminating floor to the opposite terminating floor.
이 발명은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속도에 이르면, 엘리베이터 칸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출력하는 과속 감시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ntrol system for an elevator having an overspeed monitoring section for outputting a braking command for decelerating the elevator car when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reaches a predetermined speed when the elevator car i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end of a hoistway It can be used for deceleration devices.
1 승강로
2 기계실
3 피트
4 엘리베이터 칸
5 균형추
6 권상기
6a 구동 시브
6b 브레이크
7 주 로프
8 조속기
9 인장 풀리
10 조속기 로프
11 속도 검출기
11a 속도 검출 신호
12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
13 균형추 완충기
14 제어반
14a 운행 제어부
14b 과속 감시부
15a 제1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A)
15b 제2 하방 위치 검출 센서(BTB)
16a 제1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A)
16b 제2 상방 위치 검출 센서(TPB)
17 차폐판
18 하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
19 상방 위치 검출 센서 정합성 체크 회로
20a 제1 하방 측 릴레이(LWA)
20b 제2 하방 측 릴레이(LWB)
20c 제3 하방 측 릴레이(LWC)
21a 제1 상방 측 릴레이(UPA)
21b 제2 상방 측 릴레이(UPB)
21c 제3 상방 측 릴레이(UPC)
22a 제1 하방 측 상개접점
22b 제2 하방 측 상개접점
22c 제3 하방 측 상개접점
23a 제1 하방 측 상폐접점
23b 제2 하방 측 상폐접점
23c 제3 하방 측 상폐접점
24a 제1 상방 측 상개접점
24b 제2 상방 측 상개접점
24c 제3 상방 측 상개접점
25a 제1 상방 측 상폐접점
25b 제2 상방 측 상폐접점
25c 제3 상방 측 상폐접점
26 배터리1 hoistway
2 machine room
3 feet
4 Elevator cubicles
5 Balance
6 traction machine
6a drive sheave
6b brake
7 week rope
8 Governor
9 Tension Pulley
10 Governor rope
11 Speed detector
11a Speed detection signal
12 Elevator box shock absorber
13 Balance Shock Absorber
14 Control Panel
14a,
14b An overspeed monitoring unit
15a First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A)
15b Second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BTB)
16a First upper position detecting sensor (TPA)
16b second upper position detecting sensor (TPB)
17 shield plate
18 Downward position detection sensor consistency check circuit
19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consistency check circuit
20a First lower-side relay (LWA)
20b Second lower downside relay (LWB)
20c Third downside relay (LWC)
21a First upper-side relay (UPA)
21b Second upper-side relay (UPB)
21c Third Upper Relay (UPC)
22a first lower side upper contact
22b Second downward side upper contact
22c 3rd downward side upper contact
23a First lower-side normally closed contact
23b Second downward-side normally closed contact
23c Third downward side normally closed contact
24a first upper side upper contact
24b Second upper side upper contact
24c Upper third contact
25a First upper-side normally closed contact
25b Second upper-side normally closed contact
25c Third upper-side normally closed contact
26 Battery
Claims (8)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출력하는 과속 감시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작동판과,
상기 승강로 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경로에 따라 병설되어 상기 작동판을 검출하는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와,
상기 2개의 위치 검출 센서의 양자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고 있는 경우에 자신으로부터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정합성 체크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정합성 체크 회로는, 상기 양자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상기 작동판을 검출한 취지의 출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상기 양자의 출력이 정합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과속 감시부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다고 인식되는 출력을 실시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의 전원 투입 시의 초기 상태가 상기 과속 감시부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다고 인식되는 출력을 실시하는 것이며,
상기 과속 감시부는 상기 정합성 체크 회로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의 종단에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An elevator car disposed in a hoistway of an elevator in a freely movable manner,
And a speed monitoring unit for outputting a braking command for decelerating the elevator car when the speed of the car when the car is at a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hoistway is not less than a predetermined speed CLAIMS 1. A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an end-stage layer of an elevator,
An operating plate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the hoistway along the lifting path of the car and detecting the operating plate,
And a consistency check circuit for inverting an output from itself based on the outputs of both of the two position detection sensors when the outputs of the two are matched,
Wherein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outputs an output indicating that the actuating plate is det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two and if the outputs of the both are not matched, And an initial state when the elevator is powered on is set to be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hoistway in the overspeed monitoring portion, Lt; RTI ID = 0.0 > 1, < / RTI >
Wherein the overspeed monitoring unit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elevator car is located at a position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end of the hoistway based on an output from the consistency check circuit.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을 제어하는 운행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운행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전원 투입 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최고 속도를 상기 소정의 속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sets the maximum speed of the car to be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when the elevator is powered on.
상기 운행 제어부는 엘리베이터의 전원 투입 후에 자동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하의 종단층 사이에서 왕복 운전시킨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최고 속도를 정격 속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종단층 강제 감속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automatically sets the maximum speed of the elevator car at a rated speed after the elevator car is automatically reciprocated between upper and lower end floor layers after the power of the elevator is turned 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0/073527 WO2012090264A1 (en) | 2010-12-27 | 2010-12-27 | Termination floor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1758A KR20130061758A (en) | 2013-06-11 |
KR101447399B1 true KR101447399B1 (en) | 2014-10-06 |
Family
ID=4638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11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7399B1 (en) | 2010-12-27 | 2010-12-27 | Termination floor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660179B1 (en) |
JP (1) | JP5541372B2 (en) |
KR (1) | KR101447399B1 (en) |
CN (1) | CN103282298B (en) |
WO (1) | WO201209026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51854B2 (en) | 2015-07-22 | 2018-07-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equipment |
JP7292480B1 (en) | 2022-08-04 | 2023-06-16 |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elevator safety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1155A (en) * | 1998-06-09 | 2000-01-15 | 이종수 | Location detecting device of elevator |
JP2003095555A (en) * | 2001-09-25 | 2003-04-03 | Toshiba Elevator Co Ltd | Control device of elevator |
JP2009126705A (en) | 2007-11-28 | 2009-06-11 | Mitsubishi Electric Corp | Safety device for elevator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79346A (en) * | 1972-05-17 | 1973-12-18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Terminal slowdown control for elevator system |
JPS58135075A (en) * | 1982-02-08 | 1983-08-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Reduction gear at terminal stair of elevator |
JPH04182287A (en) * | 1990-11-16 | 1992-06-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Emergency operating device for elevator |
JPH07223783A (en) * | 1994-02-10 | 1995-08-22 | Hitachi Ltd | Elevator end floor safety device |
JPH08208145A (en) * | 1995-02-07 | 1996-08-13 |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 Inspection method of deep pit door lock switch and its equipment |
JPH09240938A (en) * | 1996-03-12 | 1997-09-16 | Toshiba Corp | Safety device of elevator |
JP3355913B2 (en) * | 1996-03-28 | 2002-12-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control device |
JPH10324474A (en) * | 1997-05-26 | 1998-12-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Deceleration device of elevator at terminal floor |
JPH11246141A (en) * | 1998-03-06 | 1999-09-14 | Mitsubishi Electric Corp | Terminal floor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
KR100633662B1 (en) * | 2002-04-24 | 2006-10-11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Overspeed regulating device of elevator system |
CN1950287B (en) * | 2005-03-30 | 2011-05-11 | 三菱电机株式会社 | Elevator apparatus |
PT2660180E (en) * | 2005-03-30 | 2014-12-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Overspeed detecting device for elevator apparatus with a safety interlock |
JP4705407B2 (en) * | 2005-05-13 | 2011-06-2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Elevator control device |
JP4999355B2 (en) * | 2006-05-09 | 2012-08-15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Elevator terminal floor speed control system |
JP4812037B2 (en) * | 2007-07-23 | 2011-11-0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Elevator car speed detector and elevator safety device |
JP4854640B2 (en) * | 2007-11-01 | 2012-01-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landing plate support device |
-
2010
- 2010-12-27 WO PCT/JP2010/073527 patent/WO201209026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12-27 KR KR1020137011158A patent/KR10144739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2-27 JP JP2012550593A patent/JP554137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2-27 CN CN201080070968.1A patent/CN103282298B/en active Active
- 2010-12-27 EP EP10861333.2A patent/EP266017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1155A (en) * | 1998-06-09 | 2000-01-15 | 이종수 | Location detecting device of elevator |
JP2003095555A (en) * | 2001-09-25 | 2003-04-03 | Toshiba Elevator Co Ltd | Control device of elevator |
JP2009126705A (en) | 2007-11-28 | 2009-06-11 | Mitsubishi Electric Corp | Safety device for elev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282298A (en) | 2013-09-04 |
JP5541372B2 (en) | 2014-07-09 |
KR20130061758A (en) | 2013-06-11 |
EP2660179A1 (en) | 2013-11-06 |
EP2660179B1 (en) | 2020-12-16 |
EP2660179A4 (en) | 2017-11-15 |
JPWO2012090264A1 (en) | 2014-06-05 |
WO2012090264A1 (en) | 2012-07-05 |
CN103282298B (en) | 2015-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77035B2 (en) | Elevator system which controls a value of overspeed | |
US9708157B2 (en) | Controlling speed of an elevator using a speed reducing switch and governor | |
JP5516729B2 (en) | Elevator system | |
EP1864935B1 (en) | Elevator apparatus | |
EP3366626B1 (en) |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 |
WO2017013763A1 (en) | Elevator device | |
US10773923B2 (en) |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 |
JP5741746B2 (en) | Elevator system | |
JP5462836B2 (en) | Elevator braking device and elevator | |
KR101447399B1 (en) | Termination floor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 |
WO2012127560A1 (en) | Elevator device | |
JP2012171771A (en) | Double-deck elev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JP4397720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20100135114A (en) | Speed governor for elevator | |
JP2004175560A (en) |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 |
CN111479766A (en) | Elevator control device for enabling elevator car to function as scaffold | |
CN114555506B (en) | elevator system | |
CN119156337A (en) | Method for ensuring the safety of an elevator in an elevator system, elevator control unit, elevato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4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