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6607B1 -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607B1
KR101446607B1 KR1020130071398A KR20130071398A KR101446607B1 KR 101446607 B1 KR101446607 B1 KR 101446607B1 KR 1020130071398 A KR1020130071398 A KR 1020130071398A KR 20130071398 A KR20130071398 A KR 20130071398A KR 101446607 B1 KR101446607 B1 KR 101446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ining
magnet
mounting bracket
headlining
sunroo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3007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6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18Roof or head liners supported by adhesion with the roof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선루프 프레임의 하면과 맞닿는 헤드라이닝의 테두리 부분에 고정 브라켓을 장착하고, 이 고정 브라켓에 마그네틱이 구비된 장착 브라켓을 끼워서 고정시킨 다음, 이 마그네틱의 자력을 이용하여 장착 브라켓을 선루프 프레임에 부착시킴으로써, 끼움 방식과 자력을 이용하여 헤드라이닝을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자력을 통해 헤드라이닝이 탈거되는 현상의 없앨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틱이 장착 브라켓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사출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장착 브라켓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마그네틱이 깨지지 않게 보호할 수 있게 하여 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라이닝{HEADLIN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된 선루프 프레임의 하면과 맞닿는 헤드라이닝의 테두리 부분에 고정 브라켓을 부착하고 이 고정 브라켓에 장착 브라켓을 끼워서 설치하되, 특히 이 장착 브라켓에는 마그네틱을 구비하여 이 자력을 이용하여 헤드라이닝을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삽입과 자력을 이용하여 헤드라이닝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자력이 가해지게 하여 선루프 프레임으로부터 헤드라이닝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루프 패널에는 완충기능과 무드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닐이나 면 등의 여러 가지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온도 변화에 대한 단열재 구실을 겸하는 헤드라이닝이 구비된다. 이러한 헤드라이닝은 루프 패널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게 되는데,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의 경우 도 1과 같이 헤드라이닝(100)에는 선루프가 설치되는 공간부(110)가 형성되게 제작된다. 그리고 이 공간부(110)의 테두리 부분은 통상적으로 클립과 듀얼 락 그리고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선루프 프레임(R)의 하면에 장착된다.
특허문헌1에는 선루프 프레임로부터 헤드라이닝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 구성은, 도 2와 같이, 선루프 프레임(21)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31)이 일측면에 설치된 헤드라이닝(30)의 단부는 접착 부재(40)를 통하여 선루프 프레임(2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라이닝(30)에 부착된 고정 프레임(31)에는 상부가 선루프 프레임(21)의 저면에 밀착되는 스토퍼(32)가 설치된다. 따라서, 헤드라이닝(30)이 선루프 프레임(21)의 상면에 일측으로 절곡된 단부와 접착 부재(40)를 통하여 고정되고, 이러한 헤드라이닝(30)이 선루프 프레임(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프레임(31)에 설치된 스토퍼(32)가 선루프 프레임(21)의 저면에 밀착되므로써, 헤드라이닝(30)의 조립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립강도의 향상을 통한 헤드라이닝(30)의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고온 다습한 지역에서의 장기간 사용 및 선루프 글래스의 빈번한 개폐동작에도 선루프 프레임로부터 헤드라이닝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써, 차실의 전체적인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헤드라이닝의 내구성 향상을 통한 제품의 완성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착방법에 의해 헤드라이닝을 장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장시간 햇빛 등에 노출되다 보면 접착부위의 경화 등으로 선루프 프레임으로부터 헤드라이닝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2) 또한, 헤드라이닝의 조립시 이러한 접착 부재가 경화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경화 시간 동안에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없게 되는 요인이 된다.
(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화 시간 없이 바로 헤드라이닝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듀얼 락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듀얼 락은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로 헤드라이닝에 부착하기 때문에, 이 또한 헤드라이닝으로부터 듀얼 락이 분리되는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게 되었다.
(4) 결국, 듀얼 락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한 헤드라이닝의 부착 방식은, 듀얼 락 부분에 대한 부착력이 저하되거나 접착제 부분이 경화 등에 의한 파손 등으로 인하여 선루프 프레임으로부터 헤드라이닝이 분리되고, 분리된 헤드라이닝이 주행 중 루프 패널이나 선루프 프레임과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과 부딪히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등록번호 제0482628호(등록일 : 2005년 04월 01일)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된 선루프 프레임의 하면과 맞닿는 헤드라이닝의 테두리 부분에 고정 브라켓을 장착하고, 이 고정 브라켓에 마그네틱이 구비된 장착 브라켓을 끼워서 고정시킨 다음, 이 마그네틱의 자력을 이용하여 장착 브라켓을 선루프 프레임에 부착시킴으로써, 끼움 방식과 자력을 이용하여 헤드라이닝을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자력을 통해 헤드라이닝이 탈거되는 현상의 없앨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틱이 장착 브라켓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사출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장착 브라켓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마그네틱이 깨지지 않게 보호할 수 있게 하여 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은,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에 장착되는 헤드라이닝에 있어서, 선루프 프레임(R)과 마주보는 헤드라이닝(100)의 공간부(110)의 테두리 부분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 브라켓(130)이 구비되며, 각 고정 브라켓(130)에는 장착 브라켓(120)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장착 브라켓(12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130)이 끼움가능하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압입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120)의 내부에는 마그네틱(1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장착 브라켓(120)은 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122)은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130)은, 양측이 헤드라이닝(100)에 맞닿게 장착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131); 및 이들 플랜지부(131) 사이에서 헤드라이닝(100)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압입홈(121)에 끼움 고정되는 끼움편(132);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헤드라이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장착 브라켓을 헤드라이닝에 구비된 고정 브라켓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단순 작업을 통해 장착 브라켓을 헤드라이닝에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설치된 장착 브라켓은 선루프 프레임 상에 마그네틱을 이용하여 쉽게 부착하여 헤드라이닝의 설치를 마감할 수 있다.
(2) 이에 장착 브라켓을 통해 헤드라이닝을 쉽고 신속하게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다.
(3) 장착 브라켓을 사출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도 마그네틱이 깨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이처럼 삽입과 자력을 이용하여 헤드라이닝을 설치하기 때문에 숙련도를 필요로 하지 않아 누구든지 쉽게 헤드라이닝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5) 마그네틱(영구자석)의 특성상 자력이 쉽게 저하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선루프 프레임에 한 번 장착된 헤드라이닝은 선루프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선루프 헤드라이닝의 장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특허문헌1의 대표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이 구비된 장착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헤드라이닝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헤드라이닝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에 끼움 설치되는 장착 브라켓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헤드라이닝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에 장착 브라켓이 끼움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닝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선루프를 장착하기 위해 헤드라이닝(100)에 형성된 공간부(110)의 테두리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 브라켓(130)을 장착하고, 이 고정 브라켓(130)에 내부에 마그네틱(122)이 구비된 장착 브라켓(120)을 설치한 다음, 마그네틱(122)의 자력에 의해 헤드라이닝(100)을 선루프 프레임(R)에 장착함으로써, 비숙련자라도 쉽고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에 헤드라이닝(100)을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루프 프레임(R)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탈거되지 않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착 브라켓(120)을 사출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마그네틱(122)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여 자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헤드라이닝(100)이 분리되거나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헤드라이닝(100)은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이용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헤드라이닝(100)은 선루프(미도시)가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의 루프 패널에 설치된 선루프 프레임(R)을 통해 실내외가 개방되게 된다. 이에, 헤드라이닝(100)에도 이처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선루프 프레임(R)의 하부에 그 크기에 해당하는 공간부(110)가 절개형성된다.
고정 브라켓(13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공간부(110)의 테두리 부분, 바람직하기로는 선루프 프레임(R)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헤드라이닝(100)에 장착된다. 이때, 고정브라켓(130)은 이 공간부(110)의 테두리 부분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된다. 도 6에서는 4각 형태로 형성된 공간부(110)의 각 변에 각각 2개씩 8개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130)은, 도 4와 같이, 실질적으로 헤드라이닝(100)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131)와 이 한 쌍의 플랜지부(131) 사이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끼움편(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편(132)은 도 3과 같이 고정 브라켓(130)이 헤드라이닝(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 헤드라이닝(100)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게 구성함으로써, 헤드라이닝(100)과 끼움편(132) 사이로 후술하게 될 장착 브라켓(120)이 끼워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브라켓(120)은, 도 3과 도 5 및 도 6과 같이, 블럭 형태로 제작된다. 특히, 이 장착 브라켓(120)에는, 일측에 압입홈(121)이 형성된다. 압입홈(121)에는 상기 끼움편(132)이 끼워지게 된다. 이에, 압입홈(121)의 폭은 끼움편(132)의 두께를 고려하여 억지끼움 형태로 끼울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 브라켓(120)에는 내부에 마그네틱(122)이 구비된다. 마그네틱(122)은, 도 3과 같이, 그 자력을 이용하여 장착 브라켓(120)을 선루프 프레임(R)에 고정시켜 주는 고정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마그네틱(122)으로는 장착 브라켓(120)을 포함하여 헤드라이닝(100)의 하중을 지지하여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력을 갖는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마그네틱(122)으로 전자석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영구자석을 이용함으로써 항상 소정 이상의 자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착 브라켓(120)이 선루프 프레임(R)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브라켓(120)은 내부에 마그네틱(122)이 위치하도록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출 방식은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특히 마그네틱(122)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사출하여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마그네틱(122)이 파손되지 않게 한다. 이에 마그네틱(122)이 갖는 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선루프 프레임(R)으로부터 헤드라이닝(100)이 분리되거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틱(122)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헤드라이닝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장착 브라켓 내부에 마그네틱을 구비하고, 이 장착 브라켓을 헤드라이닝의 공간부 테두리 부분에 구비된 고정 브라켓에 끼운 다음 자력을 이용하여 선루프 프레임에 부착함으로써, 헤드라이닝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마그네틱이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헤드라이닝
110 : 공간부
120 : 장착 브라켓
121 : 압입홈
122 : 마그네틱

Claims (4)

  1.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에 장착되는 헤드라이닝에 있어서,
    선루프 프레임(R)과 마주보는 헤드라이닝(100)의 공간부(110)의 테두리 부분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 브라켓(130)이 구비되며, 각 고정 브라켓(130)에는 장착 브라켓(120)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장착 브라켓(12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130)이 끼움가능하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압입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120)의 내부에는 마그네틱(122)이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122)은 영구자석이며,
    상기 고정 브라켓(130)은,
    양측이 헤드라이닝(100)에 맞닿게 장착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131); 및
    이들 플랜지부(131) 사이에서 헤드라이닝(100)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압입홈(121)에 끼움 고정되는 끼움편(132);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120)은 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3. 삭제
  4. 삭제
KR1020130071398A 2013-06-21 2013-06-21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Active KR101446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398A KR101446607B1 (ko) 2013-06-21 2013-06-21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398A KR101446607B1 (ko) 2013-06-21 2013-06-21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607B1 true KR101446607B1 (ko) 2014-10-06

Family

ID=5199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398A Active KR101446607B1 (ko) 2013-06-21 2013-06-21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6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6936A (zh) * 2016-07-27 2016-11-30 芜湖莫森泰克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全景天窗与车顶蓬的连接结构
KR20170015740A (ko) 2015-07-31 2017-02-09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의 배선 장착용 고정구
CN108357437A (zh) * 2017-01-26 2018-08-03 福特环球技术公司 动态悬挂式顶篷内衬
KR102192154B1 (ko) * 2019-10-10 2020-12-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US20210155170A1 (en) * 2019-11-21 2021-05-27 Precision Masters Inc. Magnet overmolding for mounting of a decorative fea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380U (ko) * 1996-10-16 1998-07-15 이관기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부착구조
JP2858154B2 (ja) 1990-03-08 1999-02-17 有限会社ターモ 係合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8154B2 (ja) 1990-03-08 1999-02-17 有限会社ターモ 係合具
KR19980021380U (ko) * 1996-10-16 1998-07-15 이관기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부착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740A (ko) 2015-07-31 2017-02-09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의 배선 장착용 고정구
CN106166936A (zh) * 2016-07-27 2016-11-30 芜湖莫森泰克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全景天窗与车顶蓬的连接结构
CN108357437A (zh) * 2017-01-26 2018-08-03 福特环球技术公司 动态悬挂式顶篷内衬
KR102192154B1 (ko) * 2019-10-10 2020-12-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선루프 오프닝 브라켓
US20210155170A1 (en) * 2019-11-21 2021-05-27 Precision Masters Inc. Magnet overmolding for mounting of a decorative feature
US11827161B2 (en) * 2019-11-21 2023-11-28 Precision Masters Inc. Magnet overmolding for mounting of a decorative fea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607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닝
JP6147915B2 (ja) 自動車窓ガラスの密閉構造
US10029549B2 (en) Middle insert and glass window
US9950595B2 (en) Vehicle door
US8572897B2 (en) Weatherstrip cinch clip
US9103155B2 (en) Window pane fastening
RU2011148981A (ru) Оконны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ATE405000T1 (de) Glasscheibe mit einem stützsockel
US9718338B2 (en) Vehicle door molding structure
US8465082B2 (en) Side window for a motor vehicle
EA030214B1 (ru) Остекление с инкапсулированной профилированной прокладкой и с присоединяемой деталью, закрепленной на прокладк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стекления
WO2018198959A1 (ja) モール付きウインドシールドおよびカウルルーバとモール付きウインドシールドとの連接構造
CN111132864A (zh) 装饰件与窗密封件的紧固
JP2016536196A (ja) ウィンドシールド及びシーリングエレメント
CN103253212B (zh) 通风盖板装饰件及汽车
KR102608786B1 (ko) 차량용 가니쉬 결합구조체
WO2008126679A1 (ja) 車両用ドアのインナベルトモール取付構造
JP5474912B2 (ja) 車両用窓板の装飾部材
KR200467812Y1 (ko) 차량의 사이드 가니쉬 마운팅 구조체
KR20200050083A (ko) 도어트림용 파스너
US11597264B2 (en) Window surround for a vehicle
KR101314109B1 (ko) 그로멧
JP2009262781A (ja) 自動車のフランジ部挟持用ゴム製品
JP5489273B2 (ja) 車両用内装部品
KR20210144757A (ko) 차량 창 구조물, 차량 창 장식 부품 및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