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480B1 - Container of wipes with dispensing nozzle - Google Patents
Container of wipes with dispensing nozz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6480B1 KR101446480B1 KR1020107000048A KR20107000048A KR101446480B1 KR 101446480 B1 KR101446480 B1 KR 101446480B1 KR 1020107000048 A KR1020107000048 A KR 1020107000048A KR 20107000048 A KR20107000048 A KR 20107000048A KR 101446480 B1 KR101446480 B1 KR 101446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pe
- nozzle
- opening
- container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8 resili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 노즐 (20) 을 갖는 와이프의 용기 (1) 에 관한 것이다. 와이프 (10) 를 갖는 하우징 (2A, 2B) 이 제공된다. 와이프 (10) 는 재료의 시트를 와이프로 구분하는 구멍 (11) 의 이격된 라인을 갖는 재료의 연속적인 시트로 형성된다. 분배 노즐 (20) 은 하우징으로부터 뻗어있다. 노즐 (20) 에는 와이프가 하우징으로부터 뽑혀질 수 있는 탄성적인 개구 (21) 가 형성된다. 탄성적인 개구 (21) 는 이 개구를 통하여 (와이프 (10) 가) 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확장될 수 있지만 수축된 상태에 더 치중한다. 사용시에 와이프가 노즐을 통하여 뽑힐 수 있고 노즐 개구를 통한 와이프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요구될 때 노즐을 확장하고 와이프과 다음의 인접한 와이프를 연결하는 구멍을 파열시킴으로써 분리된다. 노즐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고 와이프 끝부분으로부터의 수분의 심지흡수를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다음의 인접한 와이프의 끝부분 주위에 수축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 container (1) having a dispensing nozzle (20). A housing 2A, 2B having a wipe 10 is provided. The wipe 10 is formed of a continuous sheet of material having spaced lines of holes 11 that divide the sheet of material into wipes. The dispensing nozzle 20 extends from the housing. The nozzle 20 is formed with an elastic opening 21 through which the wipe can be pulled out of the housing. The resilient opening 21 can be expanded to enable it to be withdrawn (wipes 10) through this opening, but more concentrated in the retracted condition. When in use the wipe can be pulled through the nozzle and is required to allow the passage of the wipe through the nozzle opening to expand the nozzle and rupture the hole connecting the wipe and the next adjacent wipe. The nozzle is retracted about the end of the next adjacent wipe to help evaporate moisture from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prevent wicking of moisture from the wipe tip.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배 (dispensing) 노즐이 구비된 와이프 (wipe)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 container with a dispensing nozzle.
와이프를 용기안에 내장시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용기는 전형적으로 밀봉 단부와 개방 단부가 있는 원통형 하우징을 포함한다. 와이프는 하우징에 내장된다. 이상적으로는 외부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밀봉된 환경에서 용기를 밀봉하는 단부 캡이 전형적으로 개방 단부를 위해 제공된다. 또한 단부 캡에는 개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개구를 통하여 와이프가 분배되며 그 개구는 일반적으로 단부 캡을 수용하는 리세스내에 위치된다.It is known to incorporate the wipe into the container. Such a container typically includes a cylindrical housing with a sealing end and an open end. The wipe is housed in the housing. Ideally, an end cap sealing the container in a sealed environment is provided for the open end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outside. An end cap is also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wipe is dispensed and the opening is generally located within the recess receiving the end cap.
와이프는 일반적으로 습윤 혹은 함침된 소재 (material) 로 이루어진 기다랗고 연속적인 시트의 형태로서, 하나의 소재 시트를 손크기 만한 와이프 또는 종이수건 (towelette) 으로 분할시키는 이격된 천공 라인을 구비한다. 그러한 용기의 이용시, 와이프가 개구를 통해 꺼내어질 때, 캡 개구를 통해 나올 다음 와이프의 말단부가 남겨질 수 있도록 천공 라인이 파열되고 와이프가 소재 시트로부터 배출된다.The wipes are generally in the form of a continuous, continuous sheet of wet or impregnated material having spaced perforation lines that divide one sheet of material into a hand-wipe or paper towelette. When such a container is used, the perforation line is ruptured and the wipe is ejected from the sheet of material so that when the wipe is removed through the opening, the distal end of the next wipe coming through the cap opening is left.
독일 출원공개공보 (German Offenlegungschrift) DE-A1-40 06 987 (penaten) 에 용기의 일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분배기는 오리피스를 구비하며 그 오리피스를 통해 소재 시트가 당겨진다. 그러한 시트 또는 티슈 및 다양한 혼합물 그리고 함침될 수도 있는 액체 타입의 적용에 대해서 설명한다.One embodiment of a container is disclosed in German Offenlegungschrift DE-A1-40 06 987 (penaten). The dispenser has an orifice through which the sheet of material is pulled. The application of such sheets or tissues and various mixtures and liquid types which may be impregnated will be described.
그러한 용기와 관련된 3 가지 주요 문제가 있다. 와이프를 용기로부터 꺼낼 때 흔히 와이프가 캡 개구를 통해 완전하게 꺼내어지기 전에 천공 라인이 파열된다. 이로써, 용기 내측에 다음 와이프의 말단부가 남겨진다. 그 결과, 사용자는 캡을 제거하고 캡 개구를 통해 분배될 다음 와이프의 말단부를 공급해야 한다.There are three main problems associated with such vessels. When removing the wipe from the container, the perforation line is often ruptured before the wipe is completely removed through the cap opening. Thereby, the distal end of the next wipe is left inside the container. As a result, the user must remove the cap and supply the distal end of the next wipe to be dispensed through the cap opening.
다른 문제는 와이프가 제거되었을 때 와이프를 분리시키는 천공 라인이 때때로 파열되지 못하여 오직 하나의 와이프만이 필요한 경우에 뜻하지 않게 와이프의 '스트림' 이 뽑아지게 된다는 것이다.Another problem is that when the wipe is removed, the perforation line separating the wipe sometimes fails to rupture, so that a 'stream' of the wipe is unexpectedly drawn when only one wipe is needed.
또 다른 문제는 축축해야할 와이프가 오랜 시간동안 저장되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심지흡수 (wicking) 에 의하여 그리고 캡슐 개구를 통해 용기로부터 증기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건조된다.Another problem is that the wipes to be damped are dried because of wicking if they are not stored and used for a long time, and because the vapors can escape from the container through the capsule opening.
GB-A-2 002 327 에는, 와이프가 통과할 때 팽창하는 개구를 갖는 반구형 연질 고무 노즐을 구비한 와이프용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DE-A-8 707 614 에도, 반구형 노즐이 개시되어 있다. EP-A-0 107 487 에 기재된 용기에서, 와이프는 편평한 고무 멤브레인의 개구를 통과하는데, 이 개구는 티슈가 통과할 때 원뿔 형상으로 변형되고, 개구의 오리피스의 가장자리는 치형부 또는 무딘 톱니 형상부 (crenalation) 를 포함할 수 있다. EP-A-0 110 473 에는, 타원형 오리피스로 갑작스럽게 끝이 가늘어지는 비교적 넓은 원형 마우스 (mouth) 를 갖는 노즐을 구비한 와이프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노즐의 단부는, 와이프가 노즐을 통해 당겨질 때, 더 개방된 위치로 굽혀진 후, 노즐의 단부가 와이프에 파열압 (rupturing presure) 을 제공하도록 수축된다. 이 모든 용기에서, 출구 또는 노즐을 통과하는 와이프는, 그 와이프가 통과하는 오리피스의 외주에 의해 파지되서, 다음 와이프로부터 분리된다. 그렇지만, 그러한 노즐의 파지는, 당겨지는 와이프가 다음 와이프로부터 항상 분리시키지는 않으므로, 다음 와이프의 단지 짧은 길이 또는 '끝부분 (tail)' 만 남겨지고, 오히려, 제 1 와이프가 다음 와이프로부터 너무 빨리 분리되어, 사용자가 다음 와이프를 파지할 끝부분을 거의 또는 전혀 남기지 않거나, 또는 너무 느리게 또는 전혀 분리되지 않아서, 너무 많은 다음 와이프가 용기에서 뽑히게 된다.GB-A-2 002 327 describes a wipe container with a hemispherical soft rubber nozzle having an opening which expands when the wipe passes. DE-A-8 707 614 also discloses a hemispherical nozzle. In a container as described in EP-A-0 107 487, the wipe passes through an opening in a flat rubber membrane, which is deformed into a conical shape when the tissue is passed, and the edge of the orifice of the opening is in the form of a tooth or dull serrated and crenalization. EP-A-0 110 473 describes a wipe container with a nozzle having a relatively wide circular mouth that tapers abruptly into an elliptical orifice. The end of the nozzle is deflected to a more open position when the wipe is pulled through the nozzle and then the end of the nozzle is retracted to provide a rupturing presure to the wipe. In all of these vessels, the wipe passing through the outlet or nozzle is gripped by the circumference of the orifice through which the wipe passes and is separated from the next wipe. However, such gripping of the nozzles does not always separate the wipes being pulled from the next wipe so that only the short length or " tail " of the next wipe is left and rather the first wipe is separated too quickly from the next wipe So that the user leaves little or no end to grip the next wipe, or too slowly or not at all, so too many subsequent wipes are pulled out of the contai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따라서 충돌하는 2 개의 요건이 존재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한편으로는, 용기가 와이프가 습기를 확실히 보유할 수 있게 최대한 외부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밀봉된 환경에 가깝게 유지되어야 하며, 반면에 다른 한편으로는 와이프가 빠져나올때 오리피스를 분배시킴으로서 전해진, 과도하게 꽉 조여진 와이프상의 파지는 예측불허한 또는 시기상조의 와이프의 찢김을 발생시킨다.It is therefore clear that there are two conflicting requirements. On the one hand, the container must be kept close to the sealed environment so that the wipes are not affected as far as possible to ensure moisture retention, while on the other hand, the wipes are excessively tight The grip on the tightened wipe causes an unexpected or premature ripping of the wipe.
본 발명은, 절취선을 따라 파열의 개시가 이루어지게 하는 부가적인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극복한다. 이로써, 제조 비용이 싸고 작동이 용이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개선된 분배기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dditional means for causing the onset of rupture along the perforations. Thereby, an improved dispenser is provided that is cheap to manufacture, easy to operate, and reliable.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분배 노즐을 갖춘 와이프 용기로서,
a) 사용시 와이프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b) 하우징으로부터 신장하는 분배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프는 연속의 함침재 시트로 이루어지고, 연속의 함침재 시트를 와이프로 분할하는 이격된 절취선을 가지며, 상기 분배 노즐에는 와이프를 하우징에서 꺼낼 수 있게 하는 탄성 개구가 형성되며, 와이프가 삽입되기 이전에, 노즐 벽은 넓은 기부로부터 내방을 향해 테이퍼지며, 탄성 내부 벽을 제공하는 환형상 돌출부 내로 외방으로 휘어지고, 상기 내부 벽은, 와이프가 탄성 개구를 통해 뽑히는 경우, 개구를 통해 와이프를 꺼낼 수 있도록 팽창 가능하며, 수축 상태를 향해 편향되며, 이로써, 사용시, 와이프는 노즐을 통해 꺼내지고, 노즐이 바로 인접한 와이프의 끝부분 둘레를 수축하는 경우 와이프와 인접한 와이프를 결합하고 있는 절취선을 찢어서 분리되는, 분배 노즐을 갖춘 와이프 용기가 제공된다.
사용시, 와이프는 노즐을 통해 뽑히고, 노즐 개구를 통한 와이프의 통과의 허용이 필요한 때 팽창되는 상기 노즐로 와이프와 인접한 다음 와이프를 연결하는 절취선 (perforations) 을 파열함으로써 분리되며, 상기 노즐은 하우징 내부로부터 습기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와이프 끝부분으로부터 습기의 심지흡수 (wicking) 방지를 돕기 위해 인접한 다음 와이프의 끝부분 주위에서 수축한다.
넓은 베이스로부터 내측으로 좁아지는 노즐 벽의 제공은, 와이프가 모여서 노즐을 막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노즐 벽은 외측으로 환형 돌출부로 굽어져서, 탄성 내측 벽을 형성한다. 이 탄성 내측 벽은, 종래 기술의 노즐에서 보여진 개구의 외주반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파지 수단을 제공하고, 와이프가 개구를 완전히 빠져나오고 인접한 다음 와이프의 끝부분이 노출되기 전에 절취선의 조기 절단을 방지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pe container having a dispensing nozzle,
a) a housing for receiving a wipe in use, and
b) a dispensing nozzle extending from the housing,
The wipe comprises a continuous infiltration material sheet and has spaced apart perforations that divide the continuous impregnation material sheet into wipes, the dispensing nozzle having an elastic opening to allow the wipe to be removed from the housing, Previously, the nozzle wall tapered inwardly from the wider base and bent outwardly into the annular projection providing an elastic inner wall, which, when the wipe is pulled through the elastic opening, takes out the wipe through the opening And is deflected toward the retracted state so that, in use, the wipe is removed through the nozzle and the tearing line that connects the wipe to the adjacent wipe when the nozzle is about to contract around the end of the immediately adjacent wipe A dispensing nozzle is provided.
In use, the wipe is withdrawn through a nozzle and separated by rupturing the perforations connecting the wipe to the next wipe with the nozzle being inflated when the passage of the wipe through the nozzle opening is required, the nozzle being separated from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hrinks around the end of the next adjacent wipe to prevent moisture from escaping and to help prevent wicking of the moisture from the wipe tip.
The provision of a nozzle wall that narrows inwardly from the wide base prevents the wipes from gathering and blocking the nozzle. The nozzle wall then bends outwardly into an annular projection to form an elastic inner wall. This resilient inner wall provides a more effective gripping means than that provided by the outer half of the opening seen in the prior art nozzles and prevents premature opening of the perforation line before the wipe completely exits the opening and the adjacent end of the next wipe is exposed Prevent cutt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적으로, 노즐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수분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프 끝부분 (wipe tail) 으로부터 수분의 심지흡수를 방지하는 것을 돕도록 하는 형상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가해질 필요가 있는 최적 마찰력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함에 따라, 습식 와이프 (moist wipes) 를 분배하는 것과 관련된 기존의 문제점과 단점을 극복한다. 이 마찰력은 잡아당기기 시작할 때 종이수건 또는 와이프가 손상되지 (찢어지지) 않도록 충분히 작아야 하지만, 종이수건 또는 와이프가 뽑힐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아야 한다. 이 마찰은 정지 마찰 계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단 와이프가 움직이고 오리피스를 통해 뽑히면, 다른 형태의 마찰이 우선하게 된다. 이는 동적 마찰로 불리며 정지 마찰 계수보다 작다. 이는 부분적으로 운동에 기인하고 부분적으로 티슈와 노즐에 형성된 개구 사이에 성립된 액체 경계에 기인한다. 그러나, 와이프가 찢어지기 시작할 수 있도록 하거나 와이프의 찢어짐을 촉진하는 충분한 크기의 힘을 가하기 위해서, 노즐은 여전히 와이프에 충분한 파지력 (gripping force) 을 가할 수 있어야만 한다.Ideally, the nozzle is shaped to help prevent moisture from escaping from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to prevent wicking absorption of moisture from the wipe tail.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existing problems and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dispensing moist wipes as the inventors recognize that there is an optimal frictional force that needs to be applied. This frictional force should be small enough to prevent the paper towel or wipe from being damaged (torn) when it begins to pull, but it should be small enough to allow the paper towel or wipe to be pulled out. This friction is known as the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However, once the wipe moves and is pulled through the orifice, other forms of friction take precedence. This is called dynamic friction and is smaller than the static friction coefficient. This is due in part to motion and to the liquid boundary established partially between the tissue and the opening formed in the nozzle. However, the nozzle must still be able to apply sufficient gripping force to the wipe to allow the wipe to start tearing or to apply a sufficient magnitude of force to promote tearing of the wipe.
바람직하게는, 이에 따라, 노즐은, 개구를 통과해 하우징 안으로 와이프를 다시 잡아당기는 임의의 힘이 노즐 개구를 수축된 상태로 편향시키도록 하는 치수를 가져서, 와이프의 조기 파열 또는 찢어짐을 방지하여서 개구를 통과하여 와이프를 다시 끼울 필요가 없도록 해준다. Preferably, therefore, the nozzle has a dimension such that any force through the opening and retracting the wipe into the housing deflects the nozzle opening in a contracted state, thereby preventing premature rupture or tearing of the wipe, So that you do not have to reinsert the wipe.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와이프가 뽑히는 방향을 향해 노즐이 구부러질 수 있는 가요성 돌출부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nozzle is formed of a flexible protrusion capable of bending the nozzle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pe is pulled out.
이상적으로는, 리브 (rib), 핍 (pip) 또는 몇몇 유사한 부가적인 형태의 파지 (gripping) 수단이 노즐의 내면에 배치된다. 이들 리브, 핍 또는 파지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노즐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용기로부터 제거될 와이프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Ideally, a rib, pip or some similar additional type of gripping means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nozzle. These ribs, pip or grip means are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nozzle and elastically deformable to accommodate movement of the wipe to be removed from the container.
이상적으로는, 리브, 립 또는 파지 수단은 노즐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상적으로는 단일 샷 사출성형법 (single shot injection moulding process) 으로 형성된다.Ideally, the rib, lip or grip means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nozzle and is ideally formed by a single shot injection molding process.
리브, 핍 또는 임의의 다른 상승 영역은 오리피스의 및/또는 오리피스 아래의 영역에 있는 노즐의 내부를 중심으로 원형 대칭 또는 반경방향 대칭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들 상승 리브 또는 상승부는 와이프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승된 리브 또는 부분은 단지 오리피스에서만이 아니라 환형 돌출부의 길이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와이프와 결합할 수 있다.The ribs, pip, or any other raised areas may be formed in a pattern that is circularly symmetric or radially symmetric about the interior of the nozzle in the region beneath the orifice and / or the orifice, So that this raised rib or portion can engage the wipe along some or all of the length of the annular projection, not just the orifice.
리브, 핍 또는 임의의 다른 상승 영역은 파지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단지 오리피스에서만이 아니라 환형 돌출부의 길이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연속 나선형의 형태로 또는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The ribs, pip or any other raised areas may be arranged in a continuous spiral form or spaced along some or all of the length of the annular projection, not just in the orifice, so as to optimize gripping.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노즐은, 와이프가 개구를 통해 뽑힘에 따라 제 1 수축 위치로부터 제 2 팽창 위치로 이동한다. 개구 근처의 노즐 부분은, 제 1 수축 위치로부터 제 2 팽창 위치로 이동할 때 순서가 바뀌도록 조정된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nozzle moves from the first retracted position to the second expanded position as the wipe is pulled through the opening. The nozzle portion near the opening is adjusted to change order as it moves from the first retracted position to the second expanded position.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일반적으로 젖꼭지 형상이고 넓은 저부로부터 팁을 향해 경사지고, 개구가 팁에 제공된다.Preferably, the nozzle is generally nipple-shaped and is inclined from the wide bottom toward the tip, and an opening is provided in the tip.
다른 실시형태에서, 와이프를 인접한 와이프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와이프가 뽑힘에 따라, 용기는 재료 시트에 있는 천공 안으로 결합하는 노즐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치형부를 더 지지한다.In another embodiment, as the wipe is removed to separate the wipe from the adjacent wipe, the container further supports a pair of toothed portions spaced apart from the nozzle engaging into the perforations in the sheet of material.
다른 실시형태에서, 와이프의 삽입을 돕기 위해서, 노즐 벽은 넓은 저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경사진 다음, 외부를 향해, 돌출부의 벽 내부의 구멍을 규정하는 환형 돌출부 안으로 구부러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의 내벽은 유리하게는 와이프가 노즐을 통과하여 용기 안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단지 오리피스에서만이 아니라 환형 돌출부의 길이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와이프를 파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브, 파지 수단 또는 래칫 치형부 (ratchet teeth) 를 지지한다.In another embodiment, to assist insertion of the wipe, the nozzle wall is tilted inwardly from the wide bottom and then bent outwardly into an annular projection defining an interior hole in the wall of the proj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wall of the protrusions advantageously prevents the wipe from passing back through the nozzle and back into the container, but only one or more to grip the wipe along some or all of the length of the annular protrusion, not just the orifice Ribs, gripping means or ratchet teeth.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용기의 외면을 넘어 돌출한다.Preferably, the nozzle projects beyo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의 용기는, 그 내용이 여기에서 전체로서 참조되는 출원인의 동시계속 국제 특허 출원 번호 PCT/GB07/003189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분배기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dispenser as described in the co-pending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No. PCT / GB07 / 003189, the contents of which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도 1 은 용기의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 는 수축 및 팽창 위치에서 노즐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 는 수축 및 팽창 위치에서 제 2 노즐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 는 수축 및 팽창 위치에서 제 3 노즐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 는 수축 및 팽창 위치에서 제 3 노즐의 예를 도시한다.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container.
Figures 2a and 2b show examples of nozzles in contraction and expansion positions.
Figs. 3A and 3B show an example of a second nozzle at the retracted and inflated positions.
Figures 4A and 4B show an example of a third nozzle at the contraction and inflation position.
Figures 5A and 5B illustrate an example of a third nozzle at the retracted and inflated positions.
도 1 을 참조하면, 분배 노즐을 갖는 와이프의 용기 (1) 가 도시된다. 용기 (1) 는 원통형 베이스 (2A) 로 형성된 하우징을 갖고, 하우징은 일 폐쇄 단부 및 원통형 베이스 (2A) 의 다른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단부 캡 (2B) 을 구비한다. 용기 (1) 는 한 롤의 와이프 (10) 를 수용하고, 재료 시트를 와이프로 분리하는 분할선 (spaced line) 을 갖는 함침성 재료의 연속 시트상에 와이프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a wipe
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 합성 플라스틱 또는 유사한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젖꼭지 형태의 분배 노즐 (20) 은 단부 캡 (2B) 에 있는 개구로부터 연장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1) 의 외면을 넘어 돌출한다. 이에 따라 노즐 (20) 은, 전술된 국제 특허 출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배기와 결합하여 사용된다면, 와이프로의 접근이 용이할 수 있도록 분배기의 개구를 넘어 존재한다.A dispensing
노즐 (20) 은 넓어진 기저부 (20A) 로부터 첨단부 (20B) 로 테이퍼지고, 와이프 (wipe) 가 나타낸 하우징으로부터 뽑혀질 수 있는 탄성적인 개구 (21) 가 형성된다. 탄성적인 개구 (21) 는 이 개구를 통하여 와이프 (10) 가 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확장될 수 있지만 수축된 상태에 더 치중한다. 노즐 (20) 은 가요적이며 이에 의해 노즐은 와이프가 뽑히는 방향을 향해 구부러질 것이다.The
사용시에 와이프 (10) 가 노즐 (20) 을 통하여 뽑힐 수 있고 노즐 개구를 통한 와이프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요구될 때 노즐을 확장하고 와이프과 다음의 인접한 와이프를 연결하는 구멍 (perforation) (11) 을 파열시킴으로써 분리된다. 노즐은 그 후 용기 (1)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고 와이프 끝부분으로부터의 수분의 심지흡수를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다음의 인접한 와이프의 끝부분 주위에 수축된다.In use, the
단부 캡 (2B) 은 노즐 (20) 주위에 배치된 환형 치형부 (30) 의 세트를 지지한다. 치형부는 와이프가 인접한 와이프로부터 와이프가 분리되도록 뽑힐 때 재료의 시트의 구멍에 걸린다. 치형부는 다음의 인접한 와이프가 노즐 개구와 치형부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것을 또한 보장한다. The end cap (2B) supports a set of annular toothed portions (30) disposed about the nozzle (20). The toothed portion engages a hole in the sheet of material as the wipe is pulled apart to separate the wipe from the adjacent wipe. The toothed portion also ensures that the next adjacent wipe has a predetermined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opening and the toothed portion.
노즐 (20) 은 다양한 상이한 형상 및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가 이하에 설명된다. The
도 2a 및 2b 에 개구 (21) 를 갖는 노즐 (20) 의 제 1 실시형태가 단면도로 나타나 있고 이 개구는 말려있는 링 (22) 에 의해 규정되며 이 링은 와이프가 개구를 통하여 뽑힐 때 제 1 수축된 위치 (도 2a) 로부터 제 2 확장된 위치 (도 2b) 로 이동된다.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수축된 위치로부터 제 2 확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 개구에 인접한 노즐의 일부는 거꾸로 된다. 노즐 (20) 은 확장된 상태에서 하우징 안으로 개구를 통하여 와이프를 잡아 당기는 어떠한 힘이 노즐 개구를 그의 확장된 상태에서 수축 상태로 편향시키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A first embodiment of a
도 3a 및 3b 에 개구 (21) 를 갖는 노즐 (20) 의 다른 실시형태가 단면도로 나타나 있고 이 개구는 말려있는 첨단부 (22) 에 의해 규정되며 이 첨단부는 와이프가 개구 (21) 를 통하여 뽑힐 때 제 1 수축된 위치 (도 3a) 로부터 제 2 확장된 위치 (도 3b) 로 이동된다.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수축된 위치로부터 제 2 확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 개구에 인접한 노즐의 일부는 거꾸로 된다. 노즐은 확장된 상태에서 하우징 안으로 개구를 통하여 와이프를 잡아 당기는 어떠한 힘이 노즐 개구를 그의 확장된 상태에서 수축 상태로 편향시키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Another embodiment of a
도 4a 및 4b 에 개구 (21) 를 갖는 노즐 (20) 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단면도로 나타나 있고 이 개구는 휘어진 첨단부 (22) 에 의해 규정되며 이 휘어진 첨단부는 와이프가 개구 (21) 를 통하여 뽑힐 때 제 1 수축된 위치 (도 4a) 로부터 제 2 확장된 위치 (도 4b) 로 이동된다.Another embodiment of a
본 발명은 상기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치형부 (30) 는 생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different forms from those specifically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도 5a 및 도 5b 에 개구 (21) 를 갖는 노즐 (20) 의 제 4 실시형태가 단면도로 나타나 있고 이 개구는 환형 돌출부 (22) 에 의해 규정되며 이 환형 돌출부는 와이프가 개구 (21) 를 통하여 뽑힐 때 제 1 수축된 위치 (도 5a) 로부터 제 2 확장된 위치 (도 5b) 로 이동된다. 와이프가 안에 삽입되기 전에, 노즐 (20) 벽은 환형 돌출부 (22) 를 향하여 내측으로 테이퍼지고 (20B) 환형 돌출부 (22) 안으로 외측으로 휘어진 (20C) 넓어진 기저부 (20A) 를 갖는다. 벽이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것과 외측으로 휘어지는 것은 개구를 통하여 와이프가 매끄럽게 모여지도록 깔때기부를 생성한다. 이는 와이프가 다발이 되고 노즐을 막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와이프가 개구 (21) 에서 완전히 빠져나가서 다음의 인접한 와이프의 끝부분이 노출되기 전에 구멍의 이른 절단을 방지한다.5A and 5B show a fourth embodiment of a
와이프가 노즐 (20) 을 통하여 용기 안으로 다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와이프를 잡도록, 오리피스의 및/또는 오리피스 아래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래칫 치형부 (23) 를 지지할 수 있는 환형 돌출부 (22) 의 내벽이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되어 있다. 환형 래칫 치형부 대신, 하나 이상의 환형 리브 (예컨대, 수직방향 단면이 반원인) 가 사용될 수 있다. Which can support one or
여기 설명된 노즐은, 용기에 끼워맞춤 될 때, 출원인의 상기 언급된 국제 특허 출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분배기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와이프의 하우징은 와이프 분배기 챔버의 내부 형상과 매치되는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하우징이 대량의 사용 동안 안정적인 것을 보장하며 분배기 안으로 삽입시에 통 (tub) 의 밀봉 캡이 분배기의 수용 수단과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사용자가 통 (tub) 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The nozzles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dispenser as described in Applicant's above-mentioned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when fitted into a container. In this regard, the housing of the wi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xternal shape that matches the internal shape of the wipe distributor chamber. This ensures that the housing is stable during a large amount of use and ensures that the user accurately positions the tub so that the sealing cap of the tub is accurately aligned with the receiving means of the dispenser upon insertion into the dispenser.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른 변경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Other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노즐에는 용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기존 용기에 리트로 피트 (retro-fit) 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different forms from those specifically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nozzl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ainer or may be retro-fitted to an existing contain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설명되었고 이는 하나 이상의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가 상이한 용기 및/또는 노즐과 통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one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may be integrated with different vessels and / or nozzl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단지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설명된 실시예에 변형이 미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22)
a) 사용시 와이프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b) 하우징으로부터 신장하는 분배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프는 연속의 함침재 시트로 이루어지고, 연속의 함침재 시트를 와이프로 분할하는 이격된 절취선을 가지며,
상기 분배 노즐에는 와이프를 하우징에서 꺼낼 수 있게 하는 탄성 개구가 형성되며,
와이프가 삽입되기 이전에, 노즐 벽은 넓은 기부로부터 내방을 향해 테이퍼지며, 탄성 내부 벽을 제공하는 환형상 돌출부 내로 외방으로 휘어지고,
상기 내부 벽은, 와이프가 탄성 개구를 통해 뽑히는 경우, 개구를 통해 와이프를 꺼낼 수 있도록 팽창 가능하며, 수축 상태를 향해 편향되며, 이로써, 사용시, 와이프는 노즐을 통해 꺼내지고, 노즐이 바로 인접한 와이프의 끝부분 둘레를 수축하는 경우 와이프와 인접한 와이프를 결합하고 있는 절취선을 찢어서 분리되고,
상기 노즐은 바로 인접한 와이프의 끝부분 둘레를 수축시키고 있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의 수분의 방출을 방지하고 와이프의 끝부분에서의 수분의 심지흡수를 방지하는, 분배 노즐을 갖춘 와이프 용기.A wipe container having a dispensing nozzle,
a) a housing for receiving a wipe in use, and
b) a dispensing nozzle extending from the housing,
Wherein the wipe is made of a continuous impregnating material sheet and has spaced apart perforations for dividing the continuous impregnating material sheet into wipes,
The dispensing nozzl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opening to allow the wipe to be removed from the housing,
Before the wipe is inserted, the nozzle wall tapers inward from the wide base and is bent outwardly into the annular projection providing an elastic inner wall,
The inner wall is inflatable and deflectable toward the retracted condition so that when the wipes are pulled through the elastic opening, the wipes can be taken out through the opening and, in use, the wipes are taken out through the nozzle, The end portion of the wipe is separated by tearing the perforated line connecting the wipe and the adjacent wipe,
Wherein the nozzle shrinks around an end portion of an immediately adjacent wipe to prevent the release of moisture from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to prevent wicking of moisture at the end of the w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0710596.8 | 2007-06-04 | ||
GB0710596A GB2441397A (en) | 2006-08-29 | 2007-06-04 | Wipes container with dispensing nozzle |
PCT/GB2007/003267 WO2008025980A1 (en) | 2006-08-29 | 2007-08-29 | Container of wipes with dispensing nozz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3043A KR20100043043A (en) | 2010-04-27 |
KR101446480B1 true KR101446480B1 (en) | 2014-10-01 |
Family
ID=4227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000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6480B1 (en) | 2007-06-04 | 2007-08-29 | Container of wipes with dispensing nozzl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6480B1 (en) |
CA (1) | CA2726852A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02327A (en) | 1977-08-10 | 1979-02-21 | Wakodo Kk | Wet tissue container |
EP0110473B1 (en) | 1982-11-29 | 1986-05-28 | Unilever N.V. | Apparatus for dispensing wet wipes |
US6158614A (en) * | 1997-07-30 | 2000-12-1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et wipe dispenser with refill cartridge |
-
2007
- 2007-08-29 KR KR1020107000048A patent/KR10144648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8-29 CA CA2726852A patent/CA2726852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02327A (en) | 1977-08-10 | 1979-02-21 | Wakodo Kk | Wet tissue container |
US4180160A (en) * | 1977-08-10 | 1979-12-25 | Wakodo Kabushiki Kaisha | Wet tissue container |
EP0110473B1 (en) | 1982-11-29 | 1986-05-28 | Unilever N.V. | Apparatus for dispensing wet wipes |
US6158614A (en) * | 1997-07-30 | 2000-12-1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et wipe dispenser with refill cartri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726852A1 (en) | 2008-03-06 |
KR20100043043A (en) | 2010-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57614B2 (en) | Container of wipes with dispensing nozzle | |
US20150048105A1 (en) | Container of wipes with dispensing nozzle | |
EP2852313B1 (en) | Wipes dispenser nozzle | |
US9549646B2 (en) | Wipes dispenser | |
EP0534600B1 (en) | Wet wipe dispensing nozzle | |
US4328907A (en) | Dispenser for individual moistened paper tissues from a length therefor perforated at intervals | |
KR101368065B1 (en) | Towelette dispenser | |
US4784290A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wet wipes | |
EP3438018B1 (en) | Container for accommodating hygienic thin paper | |
WO2016181373A2 (en) | Container of wipes with 'fallback prevent' dispensing nozzle | |
IE42734B1 (en) | Dispensers for towelettes | |
EP2220984A2 (en) | Wipes dispenser with anti-roping and anti-fallback features | |
EP3438017B1 (en) | Container for accommodating hygienic thin paper | |
JP5410867B2 (en) | Household thin paper storage container | |
EP3723568B1 (en) | Wipes dispensers with easy load adjustable dispensing nozzle | |
BRPI0613936A2 (en) | dispensing cap and spray product | |
EP3403566A1 (en) | Endoscope cover, endoscope, cover unit, and endoscope unit | |
US20090194553A1 (en) | Wipes Canister | |
CA1140503A (en) | Closure for a dispensing container, having offset dispensing apertures | |
KR101446480B1 (en) | Container of wipes with dispensing nozzle | |
JP2022530348A (en) | Wipe dispenser with multiple wipe contact points | |
JP7623529B2 (en) | Sanitary tissue storage container | |
JP7479309B2 (en) | Sanitary tissue storage container | |
JP2024030787A (en) | Sanitary tissue paper storage container | |
JPH0672491U (en) | Structure of drawer cutting member used for a container containing a sheet-shaped continuous body of pap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1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