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313B1 - Touch window - Google Patents
Touch wind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6313B1 KR101446313B1 KR1020130151899A KR20130151899A KR101446313B1 KR 101446313 B1 KR101446313 B1 KR 101446313B1 KR 1020130151899 A KR1020130151899 A KR 1020130151899A KR 20130151899 A KR20130151899 A KR 20130151899A KR 101446313 B1 KR101446313 B1 KR 1014463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resin layer
- resin
- electrode material
- sta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임프린팅 메탈메쉬 공법으로 만들어진 전극패턴이 윈도우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터치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일정한 두께와 너비를 가지고 있으며 테두리에 데코필름이 라미레이트되어 있는 투명 윈도우와, 상기 투명 윈도우의 중앙에 UV resin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고, 일정한 너비를 가지고 있는 블레이드로 밀어내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에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스탬프가 찍혀지고, 경화후 스탬프를 분리하였을 때 내측에 미세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음각 패턴과, 상기 수지층 위로 전극물질이 도포되고, 닥터 블레이드로 음각 패턴 안쪽에 매립되어 있는 전극물질이 경화되면서 형성된 전극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이즈의 한계를 극복하고 시인성이 향상된 얇고 가벼운 일체형 터치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window in which an electrode pattern formed by a nanoimprinting metal mesh method is formed integrally with a window, more specifically, a transparent window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 A UV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i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window, a resin layer having a uniform thickness is pushed by a blade having a constant width, and a stamp having a fine pattern formed on the resin layer is printed An engraved pattern in which a pattern corresponding to a fine patter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hen the stamp is separated after curing, and an electrode material coated on the resin layer, and the electrode material embedded in the engraved pattern inside the hardened Electrode pattern to overcome the limit of size, To an improved thin and light integrated touch window.
Description
본 발명은 나노 임프린팅 메탈메쉬 공법으로 만들어진 전극패턴이 윈도우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터치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이즈의 한계를 극복하고 시인성이 향상된 얇고 가벼운 일체형 터치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터치패널은 PET 필름 혹은 유리나 아크릴 위에 투명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여 터치된 사실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부와, 상기 터치부를 중심으로 테두리에 복수 개의 전극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부와, 상기 메탈 라인의 끝에 연성보드(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본딩(Bonding)되어 지는 태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In general, a touch panel includes a touch part capable of sensing a touched fact by applying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a PET film or glass or acryl, an electrode part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lines formed on the rim with the touch part as a center, And a tag portion to whi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s bonded at the end of the line.
참고로, 상기 터치부는 ITO 물질을 일정한 간격으로 도포하여 포토리소그래피 방법 등으로 ITO 패턴을 형성하여 주었으나, 이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특히 상기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경우 증착되어 있는 상기 ITO 패턴이 깨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의 비용이 터치 패널의 제조비용 중 25%의 해당할 만큼 고가이었던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the ITO pattern is formed by applying the ITO materia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the ITO pattern by photolithography or the like. Howev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TO pattern is complicated.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nel is bent or warpe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cost thereof is as high as 25% of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ouch panel
따라서 최근에는 ITO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구리나 은을 미세하게 투명 기판에 입혀 전극을 구성하는 메탈메쉬 공법이 제시되게 되었으나,Recently, a metal mesh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an electrode is formed by finely coating copper or silver on a transparent substrate without using an ITO film. However,
이러한 메탈메쉬 공법은 원가가 저렴하고 저항이 낮아 대형화면에 터치를 적용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ITO보다 광투과율이 낮고 선폭이 8㎛ 이상으로 길어지면서 가까이서 보면 전극 패턴이 희미하게 보여져 버린다는 한계점이 있었던 것이다.This metal mesh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apply a touch to a large screen because of its low cost and low resistance. However, since the light transmittance is lower than that of ITO and the line width becomes longer than 8 탆, There was a limit.
즉, 투명기판 일측면에 음각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패턴 안쪽에 전극물질을 도포하여 전극 패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음각 페턴의 선폭이 8㎛ 이상으로 길고, 빛이 조사되게 되면 모서리 진 부분에서 빛이 산란하여 혹은 음영이 지면서 주시 방향에 따라 희미하게 전극 패턴이 보여지도 하였던 것이다.That is, an engraved patter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n electrode material is coated on the inside of the engraved pattern to form an electrode pattern. In this case, when the line width of the engraved pattern is longer than 8 탆, The light was scattered or shaded, and the electrode pattern was dimly displayed along the viewing direction.
따라서 현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은폐하기 위하여 모니터와 눈과의 거리가 멀고 정면에서 바라보는 20 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설치되어 사용되었던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conceal such a problem, it is installed in a display device of more than 20 inches which is far from the monitor and eyes and is viewed from the front.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나노 임프린팅 메탈 메쉬 공법으로 시인성 및 사이즈 제한이 해소된 20인치 이하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스마트폰에도 사용이 가능하고,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or a smartphone of 20 inches or less in which visibility and size limitation are solved by a nanoimprinting metal mesh method,
동시에 투명 윈도우 배면에 터치회로를 직접 형성하여 두께와 무게를 최소화한 감도가 우수한 터치 윈도우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At the same time, the touch screen is directly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to realize a touch window having excellent sensitivity with minimized thickness and weight.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두께와 너비를 가지고 있으며 테두리에 데코필름이 라미레이트되어 있는 투명 윈도우와,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arent window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 decoupled film laminated on the frame,
상기 투명 윈도우의 중앙에 UV resin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고, 일정한 너비를 가지고 있는 블레이드로 밀어내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수지층과,A resin layer having a uniform thickness by applying a UV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to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window and pushing it with a blade having a constant width,
상기 수지층에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스탬프가 찍혀지고, 경화후 스탬프를 분리하였을 때 내측에 미세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음각 패턴과, An engraved pattern in which a stamp in which a fine pattern is formed on the resin layer is formed and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ine patter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hen the stamp is separated after curing,
상기 수지층 위로 전극물질이 도포되고, 닥터 블레이드로 음각 패턴 안쪽에 매립되어 있는 전극물질이 경화되면서 형성된 전극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나노 임프린팅 메탈 메쉬 공법을 통해 만들어진 터치 윈도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touch window formed by a nanoimprinting metal mesh method including an electrode pattern formed by applying an electrode material onto the resin layer and curing an electrode material embedded in an engraved pattern with a doctor blade.
따라서 본 발명은 나노 임프린팅 공법으로 투명 윈도우 일측 PDMS 재질로 이루어진 스탬프로 3㎛의 두께와 2.5 ~ 3㎛의 선폭을 가지는 음각 패턴을 형성하고,전극물질을 충진시켜 줌에 따라, 사이즈의 한계를 극복하고 시인성이 향상된 얇고 가벼운 일체형 터치 윈도우를 서비스 할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ngraved pattern having a thickness of 3 mu m and a line width of 2.5 to 3 mu m with a stamp made of a PDMS material on one side of a transparent window by a nanoimprinting method, Thin and light all-in-one touch window with improved visibility and overcom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튜브와 은 페이스트를 혼합한 복합소재를 혹은 그래핀과 은 페이스트를 9:1로 혼합한 전극 물질을 충진하여 주면서 암색화와 전극 패턴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e material obtained by mixing carbon nanotubes and a silver paste or an electrode material in which a graphene and a silver paste are mixed at a ratio of 9: 1 is filled with a darkening agent and an electrode pattern simultaneously.
도 1은 종래의 메탈메쉬로 이루어진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윈도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윈도우의 패턴 이미지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TOP과 BOTTEN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공정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순서도.1 is a sectional view of a touch panel made of a conventional metal mesh;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image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TOP and BOTTEN images of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rocess schematic diagram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4와 도 5는 터치 패널의 TOP과 BOTTEN을 촬영한 사진이다.FIG. 3 is a photograph of a surface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hotograph of TOP and BOTTEN of the touch panel.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두리에 데코필름이 라미네이드 되어 있는 투명 윈도우(10)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UV resin 혹은 투명한 열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고, 표면을 블레이드로 밀어내 균일한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수지층(11)을 형성하고,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UV resin or a transparent thermosetting resin is applied on one side of a
상기 수지층의 일면에 돌출된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스탬프(20)를 가압하여 경화시 상기 미세 패턴에 대응하는 음각패턴(11a)을 형성하는 한편,The
상기 음각 패턴 안쪽으로는 일정량 이상의 투과도와 전도도를 가지고 있는 전극 물질을 도포하여, 닥터 블레이드로 상기 전극 물질을 음각패턴 안쪽으로 매립하여 경화하여 주었을 때, 투명한 윈도우(10)에 전극 패턴(12)이 형성되어 있는 터치 윈도우를 서비스하여 줄 수 있음에 따라, When the electrod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engraved pattern with a certain degree of transmittance and conductivity and the electrode material is buried inside the engraved pattern with the doctor blade and cured, the
시인성 및 사이즈의 제한을 해소하고 동시에 두께와 무게를 최소화한 감도가 우수한 터치 윈도우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uch window which is free from the limitation of visibility and size and at the same time has excellent sensitivity with minimized thickness and weight.
참고로, 상기 음각 패턴(11a)에는 실시 예에 따라 내표면을 세정하면서 이식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표면처리층(11b)과 시드층(11c)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 패턴(11a)은 PDMS 재질로 이루어진 스탬프가 가압되면서 두께가 3㎛이고 선폭이 2.5~3㎛인 음각패턴을 형성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A
참고로 투명 윈도우(10)는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고 있고, 투과율은 적어도 80%이상 확보하고 있는 유리이며, 테두리에는 데코 필름이 라미네이드 되어 있고, 하단에는 연성보드가 이방성전도 필름에 의해 접합되어 있게 된다.For reference, the
또한, 수지층(11)은 소정의 점도를 가지는 UV resin이나 열 경화성 수지를 투명 윈도우에 도포하고, 상기 UV resin이나 열 경화성 수지의 표면을 일정한 너비를 가지고 있는 블레이드로 밀어내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층을 형성하여 준다.The
참고로, 상기 수지층(11)은 3㎛ 정도의 두께를 유지하고 하고 있고, 이러한 수지층의 상면에 각인되어 있는 음각 패턴(11a)은, 3㎛의 두께와 2.5㎛ 내지 3㎛의 선폭을 가지고 있는 다수개의 라인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For reference, the
그리고 이러한 음각 패턴은(11a)은, 하단에 돌출된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스탬프를 세팅하고, 이러한 스탬프를 수지층에 밀착시켜 설정된 시간 동안 빛/열을 조사하여 경화하여 주게 되면, 스탬프 분리시 상기 수지층에 미세 패턴에 대응하는 음각 패턴을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이때 미세패턴의 두께와 선폭은 3㎛를 초과할 경우 전극패턴 형성시 빛의 산란에 의해 음각패턴이 보여져 버리게 된다.The engraved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V몰드 제작 및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한 나노 임프린팅 공정의 개략도로서, UV 경화성 고분자 몰드 열경화성 PDMS를 경화시킨후 이를 이용하여 복제하고자 하는 원판(Master) 패턴이 들어갈 수 있는 틀(flame)을 만든다. 원판을 PDMS 틀에 고정한 후에 UV 경화성 고분자를 틀에 붓고 PDMS 뚜껑을덮는다. UV (~365 nm) 램프를 30분가량 조사한 후에 적당한 온도 (70oC 이상)에서 부드러워진 NOA 복제 몰드를 원판으로부터 떼어낸다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UV mold and a nanoimprinting process using a doctor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a UV curable polymer mold thermosetting PDMS is cured and then a master pattern Create a flame to enter. After fixing the disk to the PDMS frame, pour the UV-curable polymer into the mold and cover the PDMS lid. After irradiating the UV (~ 365 nm) lamp for about 30 minutes, the softened NOA replica mold is removed from the plate at a moderate temperature (above 70 ° C)
Hard mold로 인하여 발생 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화성 저분자물질을 사용하여, 하나의 원판에서 다수의 극미세 나노 패턴이 구현될 수 있는 고분자 mold를만들 수 있는 기법을 연구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hard mold, a technique of making a polymer mold capable of realizing a plurality of microscopic nanopatterns in one disc by using a curable low-molecular material was studied
참고로, 본 발명에서 쓰인 고분자는 상용화된 UV 경화성 고분자로서 적절한 온도이상이 되면 급격하게 Si과의 접착성이 작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적절히 이용하면 쉽게 Si master 원판으로 부터 복제된 고분자 몰드를 얻을 수 있다.For reference, the polym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ercially available UV-curable polymer, and when it is above a suitable temperature, the adhesion to Si is reduced. By using this properly, a polymer mold replicated from the Si master disc can be easily obtained.
이러한 고분자 복제 몰드를 이용한 미세패턴기술은 다양성이라는 면에 있어서 기존의 SiO2나 Si, Quartz 등의 무기물로 제작하던 Hard mold의 제한요인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하나의 원판에서 다수의 고분자 mold를만들 수 있음으로, 공정비 전체를 경제성 있게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aspect of diversity, the fine pattern technology using the polymer replica mold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overcome the limit factors of the hard mold which was produced with the inorganic materials such as SiO 2, Si and Quartz,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tire process cost economically.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고분자 Mold와 전사되어지는 고분자와의 비접착성을 증진시켜야 하는 문제 및 다양한 경화성 물질을 사용하기 위해 원판과 복제되는고분자 mold 사이의 접착성을 낮추기 위한 원판의 표면처리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 되었다.However,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on-adhesion between the polymer mold and the transferred polymer, and to treat the various hardenable materials,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disk is required to lower the adhesion between the disk and the replica polymer mold It was a problem.
참고로, 도 6은 표면처리 기법을 응용하여 하나의 원판에 다수의 고분자 몰드를 만들고 이를 다시 투명 윈도우 위에 전사히는 임프린팅 리소그패리 공정을 실시하고, 이때 비 접착성 표면처리 기법이 단순하게 몰드에 국한되지 않고, 원판의 표면처리 등 다양한 비접착층 형성에 매우 탁월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몰드를 이루는 재질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비접착층인 PDMS 표면을 몰드가 갖게함으로써 다양한 기계적인 강도 및 실험적인 특성을 가지는 몰드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applying a surface treatment technique to a plurality of polymer molds on a single disk and transferring the polymer molds onto a transparent window using an imprinting lithography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old, and can be applied to an extremely excellent non-adhesive layer formation such as a surface treatment of an original plate. This has the advantage that a mold having various mechanical strengths and experimental characteristics can be constituted by having the mold having the PDMS surface which is always a constant non-adhesive layer regardles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mold.
또한, 전극 물질은 ITO(Indume Tin Oxide)보다 낮은 저항값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등의 나노 화합물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The electrode material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sistance value lower than that of indium tin oxide (ITO). Preferably, the electrode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Cu), silver (Ag), aluminum (Al), nickel (Ni) Can be used. However,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튜브와 은 페이스트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복합소재 또는 그래핀과 은 페이스트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복합소재를 적용하여 전극 패턴과 암색화를 한번에 처리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e material obtained by mixing carbon nanotubes and silver paste at a certain ratio or a composite material obtained by mixing graphene and silver paste at a certain ratio was applied to treat electrode patterns and darkening at one time.
즉, 본 발명에서는 일정량 이상의 전도도를 얻기 위하여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CNT)를 중첩시켜 연속적인 구조를 가지는 박막을 형성하는 한편, 광 투과율이 낮추기 위하여 은(Silver) 페이스트를 일부 혼합하여 인간의 눈에 가장 예민한 파장인 550nm에서 최대 투과율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때, 탄소나노튜브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투명도가 낮아졌고, 동시에 은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면 저항값이 낮아졌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in film having a continuous structure is formed by superimposing a plurality of carbon nanotubes (CNTs) in order to obtain a conductivity of a certain amount or more, while a silver paste is mixed in part to lower the light transmittance, To ensure the maximum transmittance at 550 nm, which is the most sensitive wavelength. At this time, the transparency was lowered as the ratio of carbon nanotubes was higher, and the surface resistance value was lowered as the ratio of silver was higher.
따라서 탄소나노튜브(CNT)와 은(Ag) 페이스트가 각각 1대9의 비율로 혼합되어졌을 ? 면 저항이 8Ω/sq이하이고 550nm 파장에서 87%이상의 투과율을 보이는 전극 패턴을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었다.Therefore, carbon nanotube (CNT) and silver (Ag) paste were mixed at a ratio of 1 to 9,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form an electrode pattern having a surface resistance of 8? / Sq or less and a transmittance of 87% or more at a wavelength of 550 nm.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는 일정량 이상의 전도도를 얻기 위하여 복수 개의 그래핀(graphene)을 중첩시켜 연속적인 구조를 가지는 박막을 형성하고 광 투과율이 낮추기 위하여 은(Silver) 페이스트를 일부 혼합하여 인간의 눈에 가장 예민한 파장인 550nm에서 최대 투과율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Simi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in film having a continuous structure is formed by superimposing a plurality of graphenes in order to obtain a conductivity of a certain amount or more, and a silver paste is mixed in order to lower the light transmittance, To ensure the maximum transmittance at 550 nm.
이때, 그래핀(graphene)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투명도가 낮아졌고, 동시에 은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면 저항값이 낮아졌다.At this time, transparency was lowered as the ratio of graphene was increased, and the surface resistance value was lowered as the silver ratio was higher.
따라서 그래핀(graphene)과 은(Ag) 페이스트가 각각 1대9의 비율로 혼합되어졌을 ? 최고의 투과율과 낮은 면 저항값을 가지는 전극 패턴을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었다.Thus, graphene and silver paste were mixed in a 1: 9 ratio,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form an electrode pattern having the highest transmittance and low surface resistance.
참고로 전극 물질은 음각 패턴 안쪽에 충진된 후 100℃ ~ 130℃에서 20~30분간 충진된 전극 물질을 경화하여 주었을 때 균일하면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전극 패턴을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or reference, the electrode material is filled in the depressed pattern, and then the electrode material filled at 20O < 0 > C to 130 < 0 > C for 20 to 30 minutes is cured to form an electrode pattern having a uniform and smooth surface.
또한, 표면처리층(11b)은 스탬프 분리 후 거칠어진 음각 패턴과 수지층의 상면을 다듬어주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시드층과 수지층과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표면처리층은 플라즈마나 이온 빔을 통해 표면 처리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또한, 시드층(11c)은 금속물질을 이용하여 무전해 도금, CVD 증착, 스퍼터링 방법으로 음각 패턴 내표면에 형성하여 주고, 이때 상기 시드층은 구리, 니켈, 크롬, 철, 텅스텐, 은, 산화구리 등으로 얇게 형성하여 주는 것이다.The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Hereinaft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touch windo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테두리에 데코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윈도우를 준비하고, A transparent window having a deco film formed on its rim is prepared,
상기 투명 윈도우의 중앙에 일정량 이상의 투과율과 점도를 가지는 UV resin이나 투명한 수지를 도포한다.A UV resin or a transparent resin having a transmittance and a viscosity of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i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window.
그리고 일정한 너비와 두께를 가지는 블레이드로 도포된 상기 UV resin이나 투명한 수지의 표면을 타측으로 밀어내 블레이드와 투명 윈도우의 이격된 높이만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수지층을 형성한다.Then, the surface of the UV resin or transparent resin coated with the blade having a certain width and thickness is pushed to the other side to form a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lades and the transparent window.
그리고 상기 수지층 위로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PDMS로 이루어진 스탬프를 가압하여 밀착시키고, 이를 소성로 안쪽으로 이송시켜 100℃ ~ 130℃ 범위 내에서 20 ~ 30분 동안 열처리 작업을 수행하여 수지층을 경화하여 준다.Then, a stamp made of PDMS having a fine pattern formed on the resin layer is pressed and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sintering furnace, and the sintered body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sintering furnace, and heat treatment is performed for 20 to 30 minutes in the range of 100 ° C to 130 ° C to cure the resin layer give.
이때, 상기 수지층의 상면에는 플라지마나 이온빔을 조사하여 깨끗한 표면처리층을 형성하고, 동시에 그 위로 금속물질을 증착하여 시드층을 형성한다. 참고로 이때 표면처리층은 세정후 제거되고, 그 위에 금속물질의 시드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top surface of the resin layer is irradiated with a plasma or ion beam to form a clean surface treatment layer, and a metal material is deposited thereon to form a seed layer. For reference, the surface treatment layer may be removed after cleaning, and a seed layer of a metal material may be formed thereon.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시드층 위로 전극 물질을 도포하고, 닥터 블레이드로 상기 전극 물질을 밀어내 음삭패턴 내측에 매립하여 주도록 한다.Then, the electrode material is applied onto the seed layer thus formed, and the electrode material is pushed into the doctor blade to fill the inside of the seed pattern.
이때, 상기 전극물질은 ITO(Indume Tin Oxide)보다 낮은 저항값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등의 나노 화합물들 중 어느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튜브와 은 페이스트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복합소재 또는 그래핀과 은 페이스트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복합소재이다,At this time, the electrode material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sistance value lower than that of indium tin oxide (ITO), and preferably copper, silver, aluminum, nickel, chromium, ,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e material obtained by mixing carbon nanotubes and silver paste at a certain ratio or a composite material obtained by mixing graphene and silver paste at a certain ratio,
그리고 이후 소성로 안쪽에서 100℃ ~ 130℃에서 20~30분간 충진된 전극 물질을 경화하여 준다. 이때 경화된 전극 패턴은 3㎛ 이하의 두께와 2.5~3㎛의 선폭을 가지는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Then, the filled electrode material is cured at 100 ° C to 130 ° C for 20 to 30 minutes in the baking furnace. At this time, the cured electrode pattern forms an electrode pattern having a thickness of 3 mu m or less and a line width of 2.5 to 3 mu m.
그리고 이후, 에칭액을 주입하여 전극 물질이 충진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노출된 시드층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투명 윈도우 일측에 2.5 ~ 3㎛의 선폭을 가지는 전극 패턴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터치 원도우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the etchant is injected to remove the exposed seed layer except for the portion filled with the electrode material, so that the touch window in which the electrode pattern having the line width of 2.5 to 3 m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window It will be possible to do.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에 따라 내식성이 강한 물질을 음각패턴 안쪽에 주입한 후 노출된 시드층을 제거하고, 이후에 전극 물질을 충진하여 전극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de pattern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corrosion resistant material into the engraved pattern, removing the exposed seed layer, and filling the electrode material thereafter.
따라서 본 발명은 나노 임프린팅 메탈 메쉬 공법으로 시인성 및 사이즈 제한이 해소된 20인치 이하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스마트폰에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두께와 무게를 최소화한 감도가 우수한 터치 윈도우를 구현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display device or a smartphone of 20 inches or less in which visibility and size limitation are solved by a nanoimprinting metal mesh method, but also to realize a touch window with excellent sensitivity with minimized thickness and weight It will be.
10:투명 윈도우 11:수지층
11a:음각 패턴 11b:표면처리층
11c:시드층 12:전극패턴
20:스탬프10: transparent window 11: resin layer
11a: engraved
11c: seed layer 12: electrode pattern
20: Stamp
Claims (15)
상기 투명 윈도우의 중앙에 UV resin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고, 일정한 너비를 가지고 있는 블레이드로 밀어내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에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스탬프가 찍혀지고, 경화후 스탬프를 분리하였을 때 내측에 미세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음각 패턴과,
상기 수지층 위로는 탄소나노튜브와 은(Ag) 페이스트가 각각 1대9의 비율로 혼합되어있는 전극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전극물질이 닥터블레이드에 의해 음각 패턴 안쪽에 매립되어지면서 경화시 면 저항이 8Ω/sq이하이고 550nm 파장에서 87%이상의 투과율을 보이는 전극 패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임프린팅 메탈 메쉬 공법을 적용한 터치 윈도우A transparent window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width, a decoupled film laminated on the rim,
A resin layer having a uniform thickness by applying a UV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to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window and pushing it with a blade having a constant width,
An engraved pattern in which a stamp in which a fine pattern is formed on the resin layer is formed and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ine patter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hen the stamp is separated after curing,
On the resin layer, an electrode material in which carbon nanotubes and silver (Ag) paste are mixed at a ratio of 1 to 9 are applied, and the electrode material is embedded in the depressed pattern by the doctor blade, And the electrode pattern having a transmittance of 87% or more at a wavelength of 550 n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스탬프는 PDMS로 만들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임프린팅 메탈 메쉬 공법을 적용한 터치 윈도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mp is made of PDMS.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탬프를 통해 각인된 음각패턴은 3㎛ 두께와 2.5~3㎛의 선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임프린팅 메탈 메쉬 공법을 적용한 터치 윈도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engraved pattern engraved through the stamp has a thickness of 3 탆 and a line width of 2.5 탆 to 3 탆. The touch window using the nanoimprinting metal mesh method
상기 수지층과 전극물질은 100℃ ~ 130℃에서 20 ~ 30분 동안 경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임프린팅 메탈 메쉬 공법을 적용한 터치 윈도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n layer and the electrode material are cured at 100 ° C to 130 ° C for 20 to 30 minutes. The nanoimprinting metal mesh method
상기 음각패턴 안쪽에는 내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이식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표면처리층 및 시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임프린팅 메탈 메쉬 공법을 적용한 터치 윈도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rface treatment layer and a seed layer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engraved pattern so as to smooth the inner surface and facilitate the implantation. The nanoimprinting metal mesh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투명 윈도우의 중앙에 UV resin이나 투명한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와,
일정한 너비와 두께를 가지는 블레이드로 도포된 상기 UV resin이나 투명한 수지의 표면을 밀어내 균일한 두께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층 위로 미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PDMS로 이루어진 스탬프를 가압하여 밀착시키고,
이를 소성로 안쪽으로 이송시켜 100℃ ~ 130℃ 범위 내에서 20 ~ 30분 동안 열처리 작업을 수행하여 수지층을 경화하여 주는 한편, 상기 스탬프를 분리하였을 때 수지층 상면에 미세패턴에 대응하는 음각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지층 위로 탄소나노튜브와 은(Ag) 페이스트가 각각 1대9의 비율로 혼합되어있는 전극물질을 도포하고, 닥터 블레이드로 상기 전극물질을 음각 패턴 안쪽에 매립하여 주는 단계와,
소성로 안쪽에서 100℃ ~ 130℃에서 20 ~ 30분간 충진된 전극 물질을 경화하여 면 저항이 8Ω/sq이하이고 550nm 파장에서 87%이상의 투과율을 보이는 3㎛ 이하의 두께와 2.5~3㎛의 폭을 가지는 전극 패턴을 형성하여 주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임프린팅 메탈 메쉬 공법을 적용한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A transparent window in which a deco film is formed on the rim is set,
Applying UV resin or transparent resin to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window,
Forming a resin layer of uniform thickness by pushing the surface of the UV resin or transparent resin coated with the blade having a constant width and thickness;
A stamp made of PDMS in which a fine pattern is formed on the resin layer is pressed and adhered,
And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firing furnace to perform heat treatment for 20 to 3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100 to 130 ° C. to cure the resin layer. When the stamp is separated, an engrave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ine pattern is formed on the resin layer ;
Applying an electrode material in which carbon nanotubes and silver (Ag) paste are mixed at a ratio of 1 to 9 on the resin layer, filling the electrode material inside the engraved pattern with a doctor blade,
The electrode material filled in the furnace at 100 ° C to 130 ° C for 20 to 30 minutes is cured to have a thickness of 3 μm or less and a width of 2.5 to 3 μm which has a surface resistance of 8 Ω / sq or less and a transmittance of 87%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al mesh pattern is formed by forming an electrode pattern.
상기 수지층 위로 전극 물질을 도포하고, 닥터 블레이드로 음각 패턴 안쪽에 매립하여 주는 단계는
상기 수지층의 상면에 플라지마나 이온빔을 조사하여 깨끗한 표면처리층을 형성하고, 동시에 그 위로 금속물질을 증착하여 시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임프린팅 메탈 메쉬 공법을 적용한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applying the electrode material onto the resin layer and embedding the electrode material inside the engraved pattern with the doctor blad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clean surface treatment layer by irradiating a plasma or ion bea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in layer and depositing a metal material thereon to form a seed layer, The method comprising:
상기 수지층의 상면에 에칭액을 주입하여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시드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임프린팅 메탈 메쉬 공법을 적용한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injecting an etchant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sin layer to remove a seed layer expos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nanoimprinting metal mesh method is appli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1899A KR101446313B1 (en) | 2013-12-06 | 2013-12-06 | Touch wind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1899A KR101446313B1 (en) | 2013-12-06 | 2013-12-06 | Touch window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6313B1 true KR101446313B1 (en) | 2014-10-07 |
Family
ID=5199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18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6313B1 (en) | 2013-12-06 | 2013-12-06 | Touch wind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631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0520A (en) * | 2015-04-08 | 2016-10-18 | 하이엔드테크놀로지(주) |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lic mesh-typ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anufactured thereby |
KR101717952B1 (en) | 2015-11-27 | 2017-03-20 | 한국과학기술원 | Elastic mold for direct impri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using the same |
KR20170062296A (en) | 2015-11-27 | 2017-06-07 | 한국과학기술원 | Elastic mold for direct impri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construction with high aspect rati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8059A (en) * | 2010-08-20 | 2012-02-29 | 미래나노텍(주) | Substrate for touch screen panel,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20040032A (en) * | 2010-10-18 | 2012-04-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film |
KR20120098230A (en) * | 2011-02-28 | 2012-09-05 |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including the same |
KR20130095151A (en) * | 2012-02-17 | 2013-08-27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Composites of graphene decorated with silver nan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2013
- 2013-12-06 KR KR1020130151899A patent/KR10144631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8059A (en) * | 2010-08-20 | 2012-02-29 | 미래나노텍(주) | Substrate for touch screen panel,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20040032A (en) * | 2010-10-18 | 2012-04-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film |
KR20120098230A (en) * | 2011-02-28 | 2012-09-05 |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including the same |
KR20130095151A (en) * | 2012-02-17 | 2013-08-27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Composites of graphene decorated with silver nanoparticl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0520A (en) * | 2015-04-08 | 2016-10-18 | 하이엔드테크놀로지(주) |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lic mesh-typ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anufactured thereby |
KR101716454B1 (en) | 2015-04-08 | 2017-03-16 | 하이엔드테크놀로지(주) |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lic mesh-typ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anufactured thereby |
KR101717952B1 (en) | 2015-11-27 | 2017-03-20 | 한국과학기술원 | Elastic mold for direct impri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using the same |
KR20170062296A (en) | 2015-11-27 | 2017-06-07 | 한국과학기술원 | Elastic mold for direct impri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construction with high aspect ratio |
KR101880176B1 (en) * | 2015-11-27 | 2018-07-20 | 한국과학기술원 | Elastic mold for direct impri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constru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412688B (en) | Capacitive touch scree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CN101063816B (en) | Resist composition, method for forming resist pattern, array substrate fabricate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array substrate | |
CN105117082B (en) | The preparation method and touch-screen of a kind of touch-screen | |
CN101116018A (en) | Method for patterning conductive layer,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produced using same | |
WO2014115728A1 (en) | Light-transmitting imprinting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rge-area mold | |
JP2015509254A (en) | Conductiv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2014511549A (en) | Patterned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1446313B1 (en) | Touch window | |
US20140293149A1 (en) | Capacitive touch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170199593A1 (en) | Transparent electrode having reduced optical reflectance and transparent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using printing process | |
JP2020518843A (en) | Partition patter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150060251A1 (en) |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US9536819B2 (en) |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nano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3529978A (en) | Electrode substrate and touch panel | |
JP5532939B2 (en) | Optical imprint mold and optical imprint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50068241A (en) | Touch Window which is made by NIP process | |
CN103135367A (en) | Electron beam exposure method | |
KR101474251B1 (en) | Touch panel | |
JP6146647B2 (en) | Printing method, method for producing conductive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conductive wirings are formed, and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printing method | |
CN112133472A (en) | A kind of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its production method | |
KR20150069971A (en) | A Touch Window that is based on intergrated NIP method,its method | |
WO2014071669A1 (en) | Transparent co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45171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el | |
KR20130033538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electrode film | |
Sato et al. | Fabrication of a stretchable transparent electrode with jagged grid structure using silver i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2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