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5560B1 -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 - Google Patents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560B1
KR101445560B1 KR1020120049544A KR20120049544A KR101445560B1 KR 101445560 B1 KR101445560 B1 KR 101445560B1 KR 1020120049544 A KR1020120049544 A KR 1020120049544A KR 20120049544 A KR20120049544 A KR 20120049544A KR 101445560 B1 KR101445560 B1 KR 101445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cancer
thymus
low
radi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917A (ko
Inventor
김희선
최승진
최무현
봉진종
신석철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4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560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280073091.0A priority patent/CN104284987B/zh
Priority to PCT/KR2012/003928 priority patent/WO2013168844A1/ko
Priority to US14/399,954 priority patent/US9512489B2/en
Priority to JP2015511333A priority patent/JP6064039B2/ja
Publication of KR20130125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560B1/ko
Priority to US15/346,680 priority patent/US9714453B2/en
Priority to US15/346,686 priority patent/US9708668B2/en
Priority to US15/347,533 priority patent/US9708670B2/en
Priority to US15/347,460 priority patent/US9708669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2Disease subtyping, staging or class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6Primer sets for multiplex ass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40Disorders due to exposure to physical agents, e.g. heat disorders, motion sickness, radiation injuries, altitude sickness, decompression illn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의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 유발된 AKR/J 생쥐와 정상의 ICR 생쥐에 저준위 전리방사선을 조사하고, 여기서 흉선을 채취하며, 상기 흉선에 대하여 마이크로어레이를 수행하여 당대사 관련 유전자를 분류하고, 상기 유전자를 증폭하고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암 유발 개체에서 발굴하고 정상 개체에서 검증되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교란 변수의 개입을 방지하여 방사선에 특이하게 반응하는 유전자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Detection Method of Sensitive Genes for Low-Dose-Rate Radiation and Genes Detected by This Method}
본 발명은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암 유발 생쥐 및 정상 생쥐에 저준위 전리방사선을 조사하여 흉선으로부터 정상 생쥐와 암 유발 생쥐에서 공통적으로 특이하게 관찰되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를 분류하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및 의료적 방사선의 활용증가와 더불어 인체영향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암치료에 관심 대상이다. 고선량 전리방사선은 DNA 손상, 유전적 변형, 암을 포함한 질병을 일으키지만, 200 mGy 이하 선량과 6 mGy/시간 이하의 선량률 방사선은 면역반응을 활성화시켜 암발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방사선과 암 발생과의 상관성, 특히 유전자 반응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그 결과의 신뢰성을 저해하는 교란변수가 많이 개입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유전자 일부를 변형하였거나 암세포주를 이용하여서 신체를 구성하는 세포, 조직, 장기 그리고 신체단계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반응을 설명할 수 없었다. 즉, 일반 마우스를 이용하여 유전자 반응을 평가하였기 때문에 발현 유전자가 다양하였을 뿐만 아니라 암 발생이 특정 장기에 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전자 반응을 해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암 연구를 위하여 세포를 이용하는 방법은, 유전자를 변경하거나 암 발생에서 중요한 p53이 결여된 암 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였기 때문에 정상 세포의 반응과는 근본적으로 달라 그 결과를 개체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간과 유전자가 95% 이상 유사한 생쥐를 이용하여 방사선에 대한 암 발생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생쥐는 자연암 발생률이 매우 낮아 다양한 암 연구용 모델 생쥐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연구내용은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당대사 관련된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한 당대사 관련된 유전자들은 기존에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에 대해 민감한 유전자라고 알려진 적이 없다.
본원발명의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에 대해 민감한 당대사 관련된 유전자 프로파일 발굴에 선행되었던 기술은 다음과 같다.
① 암세포는 당흡수와 당분해 활성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Warburg O, Science 1956; 123: 309-314).
② 활성화된 당대사는 흉선에서 p53 활성을 억제하고 puma 유도를 억제하고 Bcl2 family 단백질 발현의 세포사멸 억제균형에 영향을 주고 암 생존을 유지하였다 (Zhao Y et. al., J Biol Chem 2008; 283: 36344-36353).
③ 전리방사선이 조사된 Akt1 발현이 억제된 생쥐의 회장에서 세포사멸이 증가하였다 (Plastaras 등, 2008).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대해 민감한 당대사에 관련된 유전자 프로파일 발굴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암 유발된 AKR/J 생쥐와 정상의 ICR 생쥐에 저준위 전리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ⅱ) 상기 AKR/J 생쥐와 ICR 생쥐로부터 흉선을 채취하는 단계; ⅲ) 상기 흉선에 대하여 마이크로어레이를 수행하는 단계; ⅳ)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당대사 관련 유전자를 분류하는 단계; 및 ⅴ) 상기 유전자를 증폭하고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암 유발 개체에서 발굴하고 정상개체에서 검증되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흉선암 악화에 관여하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인 IRS1(NM_010570), Glut1(MM_011400), Glut4(NM_009204), LPK(NM_013631) 및 G6pc(NM_008061)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포함한 방사선-민감성 또는 방사선-발암 진단용 마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따른 마커를 포함하는 방사선-민감성 또는 방사선-발암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따른 마커를 포함하는 방사선-민감성 또는 방사선-발암 진단용 마이크로 어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사람을 제외한 흉선암을 갖는 포유동물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ⅱ) 상기 방사선이 조사된 포유동물로부터 적출한 흉선 조직과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ⅲ) 상기 흉선 조직으로부터 흉선암 악화에 관여하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인 IRS1(NM_010570), Glut1(MM_011400), Glut4(NM_009204), LPK(NM_013631) 및 G6pc(NM_008061)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민감성 또는 방사선-발암을 측정할 수 있는 유전자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방사선에 대한 인체영향 가운데 암 발생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 왔으나, 암세포 혹은 유전자가 변형된 세포주나 일반 생쥐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신체반응 (유전자 반응)을 설명하기 어려웠다. 특히, 개체 차원에서 전리 방사선에 대한 민감하고 당대사에 관련된 유전자 프로파일을 발굴하고 기능을 설명한 적이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1) 정상적인 ICR 생쥐와 흉선암 발병하는 AKR/J 생쥐를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에 조사 (암 발생 자극인자)한 후, 흉선에서 특이하게 발현하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당대사에 관련된 유전자 프로파일을 발굴하고 기능을 분석한 후, 2) 흉선암 발생단계를 진단할 수 있는 당대사에 관련된 유전자 프로파일 구성의 요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ⅰ) 암 유발된 AKR/J 생쥐와 정상의 ICR 생쥐에 저준위 전리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ⅱ) 상기 AKR/J 생쥐와 ICR 생쥐로부터 흉선을 채취하는 단계; ⅲ) 상기 흉선에 대하여 마이크로어레이를 수행하는 단계; ⅳ)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당대사 관련 유전자를 분류하는 단계; 및 ⅴ) 상기 유전자를 증폭하고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암 유발 개체에서 발굴하고 정상개체에서 검증되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준위 전리방사선은 감마선(Cs-137)을 0.7 mGy/시간의 세기로 최종 1.7 Gy의 방사선량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원발명의 상기 방법은 흉선암 진단용 키트의 제작, 암 환자의 암 진행 및 치료 정도의 평가, 산업 및 의료종사자의 방사선 피폭과 발암과의 상관성 평가, 방사선과 암 발생 인과관계 평가, 방사선 피폭에 대한 생물학적 선량평가 또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의한 흉선암 발생 및 진행도 평가의 지표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암은 흉선암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ⅱ) 단계의 흉선의 채취는 암으로 인하여 폐사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대사 관련 유전자는 IRS1(NM_010570), Glut1(MM_011400), Glut4(NM_009204), LPK(NM_013631) 및 G6pc(NM_008061)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유전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IRS1(NM_010570) 유전자는 서열번호 1 및 2로 기재되는 프라이머, Glut1(MM_011400) 유전자는 서열번호 3 및 4로 기재되는 프라이머, Glut4(NM_009204) 유전자는 서열번호 5 및 6으로 기재되는 프라이머, LPK(NM_013631) 유전자는 서열번호 7 및 8로 기재되는 프라이머, 그리고, G6pc(NM_008061) 유전자는 서열번호 9 및 10으로 기재되는 프라이머로 증폭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ⅳ)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당대사 관련 유전자의 분류는, 방사선 조사 전의 암 유발 개체에 비해 방사선 조사 후의 암 유발 개체에서 과발현 또는 저발현된 유전자를 마이크로어레이에 의해 검출한 후, 서열번호 1번 ∼ 10번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유전자의 기능 검색을 통해 상기 과발현 또는 저발현된 유전자의 정체를 밝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은 하기 실시 예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유전자의 기능 검색은 하기 실시예에서 생물정보 데이터 베이스 DAVID(http://apps1.niaid.nih.gov/david/)와 Pubmed 데이터 베이스(http://www.ncbi.nlm.nih.gov/)를 통해 실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란 방사선을 조사하기 전의 암 유발 개체와 비교하여 방사선을 조사한 후의 암 유발 개체에서 차별적으로 과발현 또는 저발현되는 유전자를 지칭한다. 즉 암 유발 개체에서 방사선 자극에 의해 발현 패턴의 변화가 유도되는 유전자를 의미하며, 특정한 암과 관련이 있는 타겟 유전자, 즉 종양 형성 유전자 또는 종양 억제 유전자일 수 있다. 이러한 암 특이적인 유전자를 검출해냄으로써 암 환자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분자적 기전을 확립하여 방사선 치료 효과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종양 형성 또는 종양 억제 유전자를 발굴하여 이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의 암 치료제 또는 치료 방법의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흉선암 악화에 관여하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인 IRS1(NM_010570), Glut1(MM_011400), Glut4(NM_009204), LPK(NM_013631) 및 G6pc(NM_008061)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포함한 방사선-민감성 또는 방사선-발암 진단용 마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따른 마커를 포함하는 방사선-민감성 또는 방사선-발암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따른 마커를 포함하는 방사선-민감성 또는 방사선-발암 진단용 마이크로 어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사람을 제외한 흉선암을 갖는 포유동물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ⅱ) 상기 방사선이 조사된 포유동물로부터 적출한 흉선 조직과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ⅲ) 상기 흉선 조직으로부터 흉선암 악화에 관여하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인 IRS1(NM_010570), Glut1(MM_011400), Glut4(NM_009204), LPK(NM_013631) 및 G6pc(NM_008061)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민감성 또는 방사선-발암을 측정할 수 있는 유전자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흉선암 연구모델인 AKR/J 생쥐와 건강한 생쥐종인 ICR에 대하여 저준위 (0.7 mGy/시간) 감마선 (Cs-137)을 조사하고, AKR/J 생쥐가 흉선암으로 인하여 폐사가 시작되는 시점 (100일)에서 흉선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흉선에 대하여 마이크로어레이를 수행한 후 데이비드 생물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를 분류하고,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를 핵산증폭하고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을 통하여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는 당대사 (IRS1, Glut1, Glut4, LPK 및 G6pc)에 중요한 5개의 유전자를 발굴하였으며,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는 당대사 (IRS1, Glut1, Glut4, LPK 및 G6pc) 관련 유전자의 기능을 알기 쉽게 제시하였다. 아울러, 흉선암으로 인하여 폐사가 관찰되는 100일째를 규정하여 흉선을 채취함으로써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반응을 보이는 당대사 유전자 반응을 일관성 있게 관찰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1) 흉선암 진단용 진단 키트 개발을 위한 당대사 관련 유전자 프로파일, 2) 저준위 전리방사선 환경에서 생활하는 산업 및 의료종사자의 암 발생 인과관계 평가 지표, 3) 암환자의 암발생을 진단하고 치료대책을 세울 수 있는 정보용 유전자 프로파일, 4) 방사선 피폭과 흉선암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구분할 수 있는 지표, 5) 저준위 전리방사선 피폭에 대한 생물학적 선량평가를 위한 새로운 유전자 지표로 폭 넓게 활용. 6)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당대사 신호전달은 저준위 전리방사선 피폭에 대한 타겟 치료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은, 흉선암 진단용 킷트를 제작하기 위한 저준위 (0.7 mGy/시간) 민감성 당대사 관련 지표 유전자 프로파일로 활용 가능하고, 암 환자의 암 진행 및 치료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저준위 (0.7 mGy/시간) 민감성 당대사 관련 지표 유전자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산업 및 의료종사자의 방사선 피폭과 발암과의 상관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저준위 (0.7 mGy/시간) 민감성 당대사 관련 지표 유전자로 활용 가능하고, 방사선과 암 발생 인과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저준위 (0.7 mGy/시간) 민감성 당대사 관련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피폭에 대한 생물학적 선량평가를 위한 새로운 지표로 활용가능하고,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에 의한 흉선암 발생 및 진행도, 억제효과를 평가하는 저준위 민감성 당대사 관련 지표 유전자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 조사로 인해 흉선암을 억제시키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 기능을 알기 쉽게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AKR/J와 ICR 생쥐를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 조사한 후 사육하면서, AKR/J 생쥐가 흉선암으로 폐사가 시작되는 시점 (100일)을 규정하여 흉선을 채취하여 흉선 무게를 계측하고, 이것을 지표로 방사선에 민감한 당대사 관련 유전자 반응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일본 SLC사에서 6주령의 흉선암 연구모델인 암컷 AKR/J 생쥐와 정상의 암컷 ICR 생쥐를 구입하였다. 감마선 발생장치 (IBL 147C, CIS bio international, France)를 이용하여 상기 AKR/J 생쥐에 저준위 전리방사선을 최종선량이 4.5 Gy에 도달하게 조사 (137Cs, 0.7 mGy/시간)하였다. 저준위 전리방사선 조사가 종료된 생쥐는 방사선이 차단된 무균 사육시설로 옮겨서 100일 동안 사육하면서 흉선암 발생을 관찰하였다. 유전자 분석을 위하여 동일한 실험조건에서 별도로 사육한 정상 생쥐(ICR 생쥐)를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 조사하고 100일 후에 채취한 흉선은 액체질소에 급속 냉동시킨 후 유전자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 예 2> 마이크로어레이 및 유전자 분석
상기 실시 예 1의 결과, 암 연구용 모델 생쥐(AKR/J 생쥐)를 이용하여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당대사에 관련된 유전자를 발굴하였으며, 이를 정상적인 생쥐(ICR 생쥐)에서 증명하였다. 즉,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 조사된 AKR/J와 ICR 생쥐의 흉선에서 특이하게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반응하는 당대사와 관련된 유전자를 발굴하고 기능을 해석하였다. 데이비드 생물정보 데이터 베이스, 정량적 핵산증폭법 및 통계프로그램 SAS (ANOVA와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유전자를 핵산 증폭하였다. 구체적으로,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 조사된 AKR/J와 ICR 생쥐에서 채취한 흉선을 마이크로어레이하고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들에 대하여 발현량을 계측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유전자번호 유전자이름 정방향(5' --> 3') 역방향(5' --> 3')
NM_010570 IRS1 GGTGCAGCAGATCTGGATAA GGTCTTCTGATGGGAAATGG
NM_011400 Glut1 ATCTTCGAGAAGGCAGGTGT ACAAACAGCGACACCACAGT
NM_009204 Glut4 AGAGAGCGTCCAATGTCCTT ACAGCATTGATGCCTGAGAG
NM_013631 LPK TGATCACTAAGGCTCGACCA GGTCTCTCCAGACAGCATGA
NM_008061 G6pc TCCTCTTTCCCATCTGGTTC TCCACTTGAAGACGAGGTTG
또한, AKR/J와 ICR 생쥐를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 조사한 후 사육하면서, AKR/J 생쥐가 흉선암으로 폐사가 시작되는 시점 (100일)에서 흉선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흉선을 마이크로어레이하고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고 당대사에 관련된 유전자를 구분한 다음 핵산을 증폭하여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저준위 전리방사선 조사된 생쥐에서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 (IRS1, Glut1, Glut4, LPK 및 G6pc)가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 정량적 핵산증폭법
유전자번호 유전자이름 ICR 생쥐 AKR/J 생쥐 ICR 생쥐 AKR/J 생쥐
NM_010570 IRS1 0.8 1.6 1.3 ±0.1 1.0 ±0.2
NM_011400 Glut1 1.0 1.1 2.3 ±0.5 1.3 ±0.4
NM_009204 Glut4 0.4 1.8 1.2 ±0.1 1.1 ±0.1
NM_013631 LPK 1.0 1.4 2.4 ±0.9 3.9 ±1.9
NM_008061 G6pc 0.8 0.7 1.4 ±0.4 2.7 ±0.6
*발현배수 ±표준편차
또한, 도 1에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 조사로 인해 흉선암을 억제시키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 기능을 알기 쉽게 도식화하였다. 저준위 전리방사선 조사는 인슐린 신호전달 (IRS1), 당흡수 (Glut1와 Glut4), 당분해 (LPK) 및 신당합성(G6pc)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고 흉선암을 억제하였다.
또한, 도 2는 AKR/J와 ICR 생쥐를 저준위 (0.7 mGy/시간) 전리방사선 조사한 후 사육하면서, AKR/J 생쥐가 흉선암으로 폐사가 시작되는 시점 (100일)을 규정하여 흉선을 채취하여 흉선 무게를 계측하고, 이것을 지표로 방사선에 민감한 당대사 관련 유전자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발명을 통하여 흉선암으로 인하여 폐사가 발생하는 암 발병 초기단계를 규정하여 흉선을 채취하고 무게를 비교함으로서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를 항시 일관성 있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110>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120> Detection Method of Sensitive Genes for Low-Dose-Rate Radiation and Genes Detected by This Method <130> P-2025 <160> 10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RS1 Forward Primer <400> 1 ggtgcagcag atctggataa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RS1 Backward Primer <400> 2 ggtcttctga tgggaaatgg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t1 Forward Primer <400> 3 atcttcgaga aggcaggtgt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t1 Backward Primer <400> 4 acaaacagcg acaccacagt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t4 Forward Primer <400> 5 agagagcgtc caatgtcctt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t4 Backward Primer <400> 6 acagcattga tgcctgagag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PK Forward Primer <400> 7 tgatcactaa ggctcgacca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PK Backward Primer <400> 8 ggtctctcca gacagcatga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6pc Forward Primer <400> 9 tcctctttcc catctggtt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6pc Backward Primer <400> 10 tccacttgaa gacgaggttg 20

Claims (11)

  1. ⅰ) 흉선암 유발된 AKR/J 생쥐와 정상의 ICR 생쥐에 0.7 mGy/시간의 세기로 최종 1.7 Gy의 방사선량의 감마선(Cs-137)의 저준위 전리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ⅱ) 상기 AKR/J 생쥐와 ICR 생쥐로부터 흉선을 채취하는 단계;
    ⅲ) 상기 흉선에서 유전자를 분리하고 상기 유전자에 대한 마이크로어레이를 수행하는 단계;
    ⅳ)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IRS1(NM_010570), Glut1(NM_011400), Glut4(NM_009204), LPK(NM_013631) 및 G6pc(NM_008061)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당대사 관련 유전자를 분류하는 단계; 및
    ⅴ) 상기 유전자를 증폭하고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흉선암 유발 개체에서 발굴하고 정상개체에서 검증되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의 검출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흉선암 진단용 키트의 제작, 암 환자의 암 진행 및 치료 정도의 평가, 산업 및 의료종사자의 방사선 피폭과 발암과의 상관성 평가, 방사선과 암 발생 인과관계 평가, 방사선 피폭에 대한 생물학적 선량평가 또는 저준위 전리전리방사선에 의한 흉선암 발생 및 진행도 평가의 지표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의 검출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의 흉선의 채취는 암으로 인하여 폐사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의 검출 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RS1(NM_010570) 유전자는 서열번호 1 및 2로 기재되는 프라이머, Glut1(NM_011400) 유전자는 서열번호 3 및 4로 기재되는 프라이머, Glut4(NM_009204) 유전자는 서열번호 5 및 6으로 기재되는 프라이머, LPK(NM_013631) 유전자는 서열번호 7 및 8로 기재되는 프라이머, 그리고, G6pc(NM_008061) 유전자는 서열번호 9 및 10으로 기재되는 프라이머로 증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의 검출 방법.
  8. 삭제
  9. 흉선암 악화에 관여하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인 IRS1(NM_010570), Glut1(NM_011400), Glut4(NM_009204), LPK(NM_013631) 및 G6pc(NM_008061)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포함한 흉선암에 대한 진단용 마커를 포함하는 흉선암 진단용 키트.
  10. 흉선암 악화에 관여하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인 IRS1(NM_010570), Glut1(NM_011400), Glut4(NM_009204), LPK(NM_013631) 및 G6pc(NM_008061)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포함한 흉선암에 대한 진단용 마커를 포함하는 흉선암 진단용 마이크로 어레이.
  11. i) 사람을 제외한 흉선암을 갖는 포유동물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ⅱ) 상기 방사선이 조사된 포유동물로부터 적출한 흉선 조직과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ⅲ) 상기 흉선 조직으로부터 흉선암 악화에 관여하는 당대사 관련 유전자인 IRS1(NM_010570), Glut1(NM_011400), Glut4(NM_009204), LPK(NM_013631) 및 G6pc(NM_008061)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흉선암에 대한 유전자의 검출방법.
KR1020120049544A 2012-05-10 2012-05-10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 Active KR101445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44A KR101445560B1 (ko) 2012-05-10 2012-05-10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
PCT/KR2012/003928 WO2013168844A1 (ko) 2012-05-10 2012-05-18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
US14/399,954 US9512489B2 (en) 2012-05-10 2012-05-18 Method for detecting genes sensitive to low-level ionizing radiation
JP2015511333A JP6064039B2 (ja) 2012-05-10 2012-05-18 低レベル電離放射線に敏感な遺伝子の検出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検出された遺伝子
CN201280073091.0A CN104284987B (zh) 2012-05-10 2012-05-18 对低强度电离放射线敏感的基因的检测方法及用所述方法检测的基因
US15/346,680 US9714453B2 (en) 2012-05-10 2016-11-08 Method for detecting genes sensitive to low-level ionizing radiation
US15/346,686 US9708668B2 (en) 2012-05-10 2016-11-08 Method for detecting genes sensitive to low-level ionizing radiation
US15/347,533 US9708670B2 (en) 2012-05-10 2016-11-09 Method for detecting genes sensitive to low-level ionizing radiation
US15/347,460 US9708669B2 (en) 2012-05-10 2016-11-09 Method for detecting genes sensitive to low-level ionizing radi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44A KR101445560B1 (ko) 2012-05-10 2012-05-10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917A KR20130125917A (ko) 2013-11-20
KR101445560B1 true KR101445560B1 (ko) 2014-09-29

Family

ID=4955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544A Active KR101445560B1 (ko) 2012-05-10 2012-05-10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9512489B2 (ko)
JP (1) JP6064039B2 (ko)
KR (1) KR101445560B1 (ko)
CN (1) CN104284987B (ko)
WO (1) WO2013168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383B1 (ko) * 2014-10-22 2017-03-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
KR101881874B1 (ko) * 2016-04-29 2018-07-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저선량 방사선 조사에 의한 암화 예방 방법
KR101875111B1 (ko) * 2016-04-29 2018-07-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저선량 방사선을 이용한 암화유전자 Ras-유도 악성 암화 억제
KR101779370B1 (ko) * 2016-06-29 2017-09-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선 조사 된 흉선 림프종 세포에서 발굴 된 세포고사 조절 유전자 및 그 검출방법
KR101875116B1 (ko) * 2016-10-28 2018-07-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저선량 방사선 피폭 면역반응 지표 단백질 및 이의 검출방법
CN113774125A (zh) * 2021-08-25 2021-12-10 中国辐射防护研究院 一种氨磷汀抗辐射损伤相关基因筛选与功能分析方法
CN114350817B (zh) * 2022-01-12 2023-07-07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 一种FGF22的RNA m6A修饰作为γ射线辐射标志物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05889B2 (en) 1993-08-26 1999-06-03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he Method, compositions and devices for administration of naked polynucleotides which encode antigens and immunostimulatory peptides
ES2281416T3 (es) * 2000-04-03 2007-10-01 Corixa Corporation Metodos, composiciones y sistemas para la deteccion y monitorizacion del cancer de mama.
JP2003061678A (ja) * 2001-08-29 2003-03-04 Univ Tokyo 遺伝子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感受性の判定方法
KR100541529B1 (ko) 2003-04-16 2006-01-10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내성 또는 방사선-발암 진단용 마커, 이를포함하는 방사선-내성 또는 방사선-발암 진단용 키트 또는마이크로어레이, 및 이를 이용한 검색방법
US20090208939A1 (en) 2005-02-18 2009-08-20 Idhaliz Flores Identification of Molecular Diagnostic Markers for Endometriosis in Blood Lymphocytes
JP2007093341A (ja) * 2005-09-28 2007-04-12 Natl Inst Of Radiological Sciences 生物における低線量放射線被ばくを検出する方法
CN103937876B (zh) * 2007-10-11 2016-08-17 俄亥俄州立大学研究基金会 用于诊断和治疗食管腺癌的方法和组合物
KR100957055B1 (ko) * 2008-01-22 2010-05-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트리클로로에틸렌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이용한 확인 방법
GB0922085D0 (en) * 2009-12-17 2010-02-03 Cambridge Entpr Ltd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CBI GenBank Accession No. NM_009204.1 (2000.01.04.) *
NCBI GenBank Accession No. NM_009204.1 (2000.01.04.)*
NCBI GenBank Accession No. NM_010570.1 (2000.01.25.) *
NCBI GenBank Accession No. NM_010570.1 (2000.01.25.)*
NCBI GenBank Accession No. NM_011400.1 (2002.08.03.) *
NCBI GenBank Accession No. NM_011400.1 (2002.08.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5865A (ja) 2015-06-04
JP6064039B2 (ja) 2017-01-18
CN104284987A (zh) 2015-01-14
US9708668B2 (en) 2017-07-18
US9708670B2 (en) 2017-07-18
US20170058359A1 (en) 2017-03-02
US20170051362A1 (en) 2017-02-23
US20170073773A1 (en) 2017-03-16
US9708669B2 (en) 2017-07-18
US9512489B2 (en) 2016-12-06
US9714453B2 (en) 2017-07-25
CN104284987B (zh) 2016-05-25
WO2013168844A1 (ko) 2013-11-14
US20170058358A1 (en) 2017-03-02
KR20130125917A (ko) 2013-11-20
US20150159219A1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560B1 (ko)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
US11339444B2 (en) Method for detecting Defb6 gene sensitive to low-level ionizing radiation, and gene detected by the method
CN109913543B (zh) 辐射敏感基因标记物及在x射线辐射剂量监测中的应用
US10844439B2 (en) Method for detecting lipe gene sensitive to high-level ionizing radiation
Coleman LLNL Low dose-related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2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5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2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