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342B1 - Direct intake sludge intake - Google Patents
Direct intake sludge intak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5342B1 KR101445342B1 KR1020130142882A KR20130142882A KR101445342B1 KR 101445342 B1 KR101445342 B1 KR 101445342B1 KR 1020130142882 A KR1020130142882 A KR 1020130142882A KR 20130142882 A KR20130142882 A KR 20130142882A KR 101445342 B1 KR101445342 B1 KR 1014453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scraping device
- air
- main wire
- dire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1 gener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60 vorte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조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 위를 왕복 이동하며 긁어모아진 슬러지를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하는 스크레핑 장치와, 상기 스크레핑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슬러지 제거장치는 이동중인 스크레퍼 장치에 슬러지를 모이게 함과 동시에 직접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슬러지 처리효율이 높을 분만 아니라 스크레퍼에도 거의 부하가 발생하지 않으며, 기존의 슬러지 수집기에서 발생하는 스크레퍼 부하 증가 및 체인 스프라켓의 마모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sucking type sludge removing device including a scraping device for continuously sucking and discharging scraped sludge while reciprocating on a rail provided on a bottom of a settling tank and a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scraping device , The sludge rem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sludge in the moving scraper device and directly sucks and removes the sludge, thereby not only increasing the sludge treatment efficiency but also causing almost no load on the scraper, and increasing the scraper load And the sludge can be stably treated without any problem of wear of the chain sprocke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조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 위를 왕복 이동하며 긁어모아진 슬러지를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하는 스크레핑 장치와, 상기 스크레핑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sucking type sludge remov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udge removing apparatus for a direct sucking type sludge remov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scraping device for continuously sucking and discharging raked sludge by reciprocating on a rail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a settling tank, The sludg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일반적으로 수처리설비의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조에서 정, 하수 및 폐수를 정수할때 발생하는 침전물인 슬러지를 긁어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기이다. 이러한 슬러지 수집기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체인을 이용한 스크레퍼식의 슬러지 수집기와 수중대차형의 슬러지수집기를 들 수 있다.Generally, a sludge collector of a water treatment facility scrapes and discharges sludge, which is a precipitate generated when purifying purified water, sewage and wastewater in a settling tank. Typical examples of such a sludge collector include a scraper-type sludge collector using a chain and an underwater-type sludge collector.
그러나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체인을 이용한 스크레퍼식의 슬러지 수집기는 연속 운전시에 고부하로 인하여 스크레퍼 부하가 증가하고 체인 스프라켓의 마모가 발생하고 정비에 문제점이 있으며, 수중대차형은 슬러지의 수집량이 적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craper type sludge collector using such a chain has a problem that the scraper load is increased due to high load during continuous operation, the chain sprocket is worn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and the collection of sludge in the underwater type is small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러지 수집기의 스크레퍼에 부하를 최소로 함과 동시에 슬러지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udge removing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a load on a scraper of a sludge collector and increasing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slud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침전조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 위를 왕복 이동하며 슬러지를 일정한 이동가능한 공간에 긁어모아 이를 연속적으로 흡입 배출하는 스크레핑 장치와 스크레핑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udge purging device for scraping a sludge into a movable space which is reciprocated on a rail provided on a bottom of a settling tank and continuously sucking and discharging the sludge,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핑 장치는 힌지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개폐 가능한 복수개의 수직 개폐판과, 수직 개폐판에 의해 긁어 모아진 슬러지의 분산을 방지하는 상부 덮개와 측면에는 복수개의 칸막이를 설치하고 일정 규격의 구멍을 뚫어 서로 슬러지가 움직이도록 하였으며, 모아진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에어 리프트와, 상기 복수개의 에어 리프트에 에어를 동일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에어 분배기와,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부 및 레일 위를 이동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for removing direct slu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ap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opening / closing plates supported by a hinge and vertically openable and closable, and a sludge removing / A plurality of air lifts for sucking collected sludge, and a plurality of air lifts for supplying air to the plurality of air lifts at the same pressure, A distributor, a sludge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sludge to the outside, and a wheel for moving on the rail.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개폐판은 스크레핑 장치가 전진시에는 구동부의 주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써 하강하여 닫히며, 스크레핑 장치가 후진시에는 구동부의 주 와이어가 반대로 당겨짐으로써 위로 올려져 후진시에 슬러지층의 유동 및 교란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그 하단부에는 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irect suction type sludg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craping device is advanced, the main wire of the driving part is pulled down to close and when the scraping device is moved backward, The main wire of the sludge layer is pulled upward to prevent flow and disturbance of the sludge layer at the time of backward movement, and is further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reof.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배출부는 에어 리프트에 연결되는 이동식 호스 배관, 이동식 호스 배관에 연결되는 고정식 배관 및 이동식 배관의 흔들림 및 처짐을 방지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슬러지의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udg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movable hose pipe connected to the air lift, a fixed pipe connected to the movable hose pipe, and a guide for preventing swaying and sagging of the movable pipe, in the apparatus for removing direct slu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sludge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메인 와이어에 의해 스크레핑 장치를 왕복 이동시키는 감속기와, 감속기와 연결되며 메인 와이어를 권취하여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는 드럼과, 감속기의 운전을 조정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리미트 스위치의 하부에는 스크레핑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회전하는 봉이 설치되어 상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센서가 배치되며 하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구동모터를 제어하는데 이 센서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센서는 항상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irect suction type sludg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speed reducer for reciprocating the scraping device by the main wire, a drum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and for winding up the main wire to advance or backward And a limit switch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speed reducer. A rotary rod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scrap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imit switch, and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wire. A sensor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drive motor is controlled by a spring,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is alway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리미트 스위치는 왕복구간의 양측면에 각각 2개조씩 설치하여 한쪽이 감지를 못할시에는 다른 한쪽이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The limit switche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und trip section in such a manner that two sets of limit switches are provided so that when one side can not detect, the other side can detect the other.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및 바퀴는 부식방지를 위하여 STS 재질로 제작된 이탈 방지용 육각형 레일 및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irect suction type sludg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s and wheels are hexagonal rails and wheel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which are made of STS material to prevent corros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는, 이동중인 스크레퍼 장치에 슬러지를 모이게 함과 동시에 직접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슬러지 처리효율이 높을 분만 아니라 스크레퍼에도 거의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for removing direct aspiration slu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ollects sludge in a moving scraper device and directly sucks and removes the sludge, thereby not only increasing the sludge treatment efficiency but also causing almost no load on the scrapers hav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는, 기존의 슬러지 수집기에서 발생하는 스크레퍼 부하 증가 및 체인 스프라켓의 마모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direct suction type sludg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ludge can be stably treated without increasing the scraper load and wear of the chain sprocket, which are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sludge collector.
또한 하부의 레일은 최소 3개소에 설치하여 스크레핑 장치가 레일을 이탈하지 않게 한다.Also, the lower rail should be installed in at least three places so that the scraper does not leave the rail.
일반적으로 슬러지는 유입수가 들어오는 입구쪽에서 많이 침전되며 유출구쪽으로 갈수록 슬러지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므로 본 장치는 스크레핑장치를 유출구쪽에서 이동하면서 슬러지를 제거하는데 초기 이동시에는 슬러지가 거의 없으므로 스크레핑장치에 슬러지를 모아서 이동한후에 일정시간이 지난후부터 에어리프트를 가동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므로 효율이 매우 높다.In general, the sludge is precipitated from the inlet side of the influent, and the amount of sludge decreases remarkably as it goes toward the outlet. Therefore, this device removes the sludge while moving the scraping device from the outlet side. After the sludge is collected and moved, the air lift is opera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remove the sludge, so that the efficiency is very high.
또한 유입구쪽으로 갈수록 슬러지가 많으므로 구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서서히 움직이면서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sludge increases toward the inlet, it is advantageous that sludge can be processed by gradually moving the speed of the driving motor.
본장치는 에어리프트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을 기본으로하나 후단의 슬러지 저장시설의 위치에 따라서는 물의 수두차에 의한 사이폰현상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제거할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This device is based on removing the sludge by using an air lift, bu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ludge storage facility at the rear end, the sludge can be removed by using the siphon phenomenon by the water head differ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사용되는 스크레핑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스크레핑 장치의 또 다른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스크레핑 장치의 또 다른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사용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의 또 다른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direct aspiration type sludg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direct aspiration type sludg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of a scraping device used in a direct aspiration type sludg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detailed view of the scrap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3;
Figure 5 is another detailed view of the scrap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3;
FIG. 6 is a view showing a limit switch used in an apparatus for removing direct slu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irect aspiration type sludg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general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이동중인 스크레퍼 장치에 슬러지를 모이게 함과 동시에 직접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슬러지 처리효율이 높을 분만 아니라 스크레퍼에도 거의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inhalation type sludge removal apparatus that collects sludge in a moving scraper device and simultaneously sucks and removes the sludge, thereby not only increasing the sludge treatment efficiency but also causing almost no load on the scrap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2는 그 측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사용되는 스크레핑 장치의 상세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direct slu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thereof, and FIGS. 3 to 5 show details of a scraping apparatus used in the apparatus for removing direct sludg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는, 크게 침전조(100)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110) 위를 왕복 이동하며 슬러지를 긁어모아 이를 연속적으로 흡입 배출하는 스크레핑 장치(200)와 이러한 스크레핑 장치(200)를 구동하는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5, the direct suction type sludg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ughly reciprocates on a
본 발명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핑 장치(200)는 힌지(210)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개폐 가능한 수직 개폐판(220)과, 수직 개폐판(220)에 의해 긁어모아진 슬러지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덮개(230)와, 모아진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에어 리프트(240)와, 상기 복수개의 에어 리프트(24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분배기(250)와,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부(270) 및 레일(110) 위를 이동하는 바퀴(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the apparatus for removing direct slu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수직 개폐판(220)은 스크레핑 장치(200)가 전진시에는 구동부(300)의 주 와이어(W)가 당겨짐으로써 하강하여 닫히며, 스크레핑 장치(200)가 후진시에는 구동부(300)의 주 와이어(W)가 반대로 당겨짐으로써 위로 올려지게 되며, 그 하단부에는 추(221)가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opening and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0)는 메인 와이어(W)에 의해 스크레핑 장치(200)를 왕복 이동시키는 감속기(310)와, 감속기(310)와 연결되며 메인 와이어(W)를 권취하여 스크레핑 장치(200)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는 드럼(320)을 포함한다.The
상기 구동부(300)는 감속기(310)를 이용하여 메인 와이어(W)에 연결된 스크레핑 장치(200)를 일정한 속도로 전진시키면서 슬러지를 스크레핑하여 장치 내부 저장공간(S)에 슬러지를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후진시에는 감속기(310)가 역회전을 하면서 전진시에 닺혀있던 스크래핑 장치 후단의 힌지(210)가 부착된 수직 개폐판(220)을 지렛대원리로 들어 올려 후진하는 동안 슬러지층을 그대로 통과하면서 슬러지가 침전 및 와류현상에 의한 상승등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The
스크래핑 장치(200)의 후단부에 설치된 힌지(210)가 부착된 수직 개폐판(220)은 장치가 후진할 때 메인 와이어(W)가 구동부(300)에 의하여 일정공간을 당기는 힘으로 움직이는데 이때 메인 와이어(W)에 연결된 수직 개폐판(220)이 같이 움직여 판을 들어올려주어 후진이 끝날 때까지 이동한다. 스크레핑 장치(200)가 전진시에는 반대로 구동부(300)가 정회전하면서 와이어(W)를 당기는데 이때는 수직 개폐판(220)도 같이 움직여 하강시켜 닫힘으로써 슬러지를 내부에 모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 개폐판(220)에 설치된 추(221)는 중력에 의해 원할하게 닫히게 하는 보조역할을 한다. When the apparatus is moved backward, the main wire W moves by a force pulling a certain space by the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는, 스크래핑 장치(200)가 전진을 하면서 슬러지 저장공간(S)에 슬러지가 점차적으로 모이면 외부의 에어 인입구(261)에서 배관(260)을 통하여 공급된 에어를 에어 분배기(250)에서 일정한 량과 압력으로 각각의 에어 리프트(240)에 공급하여 에어리프트 방식으로 슬러지를 침전조(100)에서 제거한다. The sludge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ludge gradually accumulates in the sludge storage space S while the
에어 리프트(240)에 의해 흡입된 슬러지는 에어와 함께 이동식 호스배관(271)을 통과하여 고정된 배관(272)으로 흘러서 슬러지 토출구(273)를 통하여 농축조로 배출된다. 이때 이동식 호스배관(271)은 호스지지 장치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고 일정한 공간을 왕복 하므로 마모되지 않고 이동하면서 슬러지를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호스배관의 가이드가 호스(271)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같이 이동하여 호스의 유동이나 처짐 등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로 설계 제작된 무빙 가이드(Moving Guide, 274)를 호스(271)의 곡선부분에 설치하여 호스의 이동과 같이 일정한 간격과 속도을 유지하여 호스(271)를 잡아주고 이동를 원활하게 한다. 슬러지를 배출시에는 고정 배관(272)의 최종끝부분에 에어만 공중에 분산에 되게 설계 제작된 에어벤트를 별도로 설치하여 슬러지만 배출조로 이동시키고 에어는 공중에 분산시킨다. 슬러지 배출배관의 출구에는 역류방지 체크밸브(290)를 설치하여 흡입 완료후에 발생되는 슬러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ludge sucked by the
본 발명에 따른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는, 슬러지를 중앙(한곳)에서 흡입하거나 에어리프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폭에서 일정 간격으로 흡입구 및 에어리프트를 설계에 맞게 다수 설치하여 흡입하고 슬러지를 일정용량의 저장공간에 모아서 제거하는 원리로 제거 효율이 매우 높고 함수율이 낮은 특징이 있다. 또한 슬러지를 이동하면서 제거하므로 기존 장치에 비하여 스크레퍼가 받는 부하가 거의 없으며 효율적으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래핑 장치가 부하를 받지 않으므로써 구동장치 등 모든 장치의 부하율이 낮다. 특히 장방형 침전장치의 원리상 오폐수가 인입되는 부분에서는 침전 슬러지양이 매우 많으나 상등수쪽으로 갈수록 슬러지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장치는 일정구간까지 슬러지를 내부에 모으면서 제거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direct suction type sludg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and air lifts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entire width of the sludge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rather than sucking the sludge from the center (one place) or using an air lift, The removal efficiency is very high and the water content is low. In addition, since the sludge is removed while moving, the sludge can be efficiently removed because the scraper receives less load than the conventional device. Also, since the scraping device does not receive the load, the load factor of all the devices including the driving device is low. Particularly, since the amount of sedimentation sludge is very large in the portion where the wastewater is drawn by the principle of the rectangular sedimentation apparatus, the amount of sludge is remarkably decreased as it goes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sludg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sludge .
침전조(100) 하단의 양쪽 끝 부분에는 메인 와이어(W)의 위치를 고정하고 움직임를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휠(Wheel, 321, 322)을 설치함으로써 침전조(100) 바닥에 설치된 레일(110)에서 스크레퍼 장치(20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자체에 와이어 이탈 방지용 가이드를 부착하여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와이어의 재질로는 부식에 강한 스테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main wire W and make the movement smooth, wheels (321, 322)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sedimentation tank (100) (200) does not come off, and a guide for preventing wire dislocation is attached to itself to prevent it from coming off. As the material of the main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stain resistant to corrosion.
메인 와이어(W)는 감속기(310)와 연결된 드럼(320)에 의하여 스크레퍼 장치(200)를 정해진 거리를 왕복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330)에 의하여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리미트 스위치(330)는 가이드 배관(331)에 의해 안내되어 침전조(100) 외부의 상부에 설치된다. 리미트 스위치(330)의 상부(330)에는 센서(미도시)를 배치하고 센서에는 스프링(미도시)을 설치하여 항상 하부의 센서 접촉부가 수직을 유지하도록 하고 스크레핑 장치(200)가 끝부분에 도달하는 시점에 접촉부를 밀어내면 상부의 센서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센서를 작동시켜 구동모터를 정지하게 한다. 센서는 양쪽에 2개씩 총 4개소에 설치하며 정지시에는 2개의 센서중 1개만 작동하여도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고 10초 정도 대기후 전진후에는 후진신호를, 후진후에는 전진신호를 콘트롤 판넬에서 감지하여 스크레핑 장치(200)를 동작한다. The main wire W reciprocates the
메인 와이어(W)는 스크레핑 장치(200)의 양쪽에서 동일하게 체결이 되어 전후진시에 균형을 유지하며 하부바닥에 설치된 레일(110)은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을 설치하여 스크레퍼 장치(200)의 균형을 유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며, 구동부(300)가 양쪽에서 균등하게 힘을 가하므로 쏠림 현상이 없다. 또한 측면에 배관용 가이드라인이 있어 스크레퍼 장치(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침전조(100) 바닥의 레일(110) 및 상기 레일(110) 위를 이동하는 스크레핑 장치(200)의 및 바퀴(280)는 이탈 방지용 육각형 레일 및 바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wire W is equally fastened at both sides of the
한편 상부에서 발생되는 스컴은 상부에 사구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도판을 설치하여 스컴을 구심력이 발생이 되는 스컴 스키머(420, 본 발명자의 특허품임))가 끌어 당겨서 흡입에 의하여 1차 제거한후 지상의 스컴 분리기(430)에 의하여 재 분리하여 농축된 스컴만 처리한다. 응집된 폐수는 침전조 전단에서 일차적으로 침전이 되고 미침전된 슬러지는 경사판(410)을 통과하면서 완전 분리되어 슬러지는 침전이 되고 깨끗한 상등수만 배출한다. 응집된 오폐수의 인입부에는 필요시에 정류판(분배장치)을 설치하여 오폐수가 원할하고 일정한 농도로 분산이 되어 유입이 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cum generated at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an induction plate so as not to generate dust on the upper part, and the scum is firstly removed by suction by pulling the scum skimmer 420 (patented by the present inventor) The scum separator 430 separates and separates the concentrated scum. The coagulated wastewater is primarily precipitated at the shear front and the undrawn sludge is completely separated as it passes throug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is will be obvious.
100 : 침전조
110 : 레일
200 : 스크레핑 장치
210 : 힌지
220 : 수직 개폐판
230 : 상부 덮개
240 : 에어 리프트
250 : 에어 분배기
260 : 에어 배관
271 : 이동식 호스 배관
272 : 고정식 배관
273 : 슬러지 토출구
274 : 이동식 배관 무빙 가이드
280 : 바퀴
300 : 구동부
310 : 감속기
320 : 드럼
410 : 경사판
420 : 스컴 스키머
W : 메인 와이어
S : 슬러지 저장 공간100: settling tank
110: rail
200: Scraping device
210: Hinge
220: vertical opening / closing plate
230: upper cover
240: Air lift
250: Air distributor
260: Air piping
271: Portable hose piping
272: Fixed piping
273: Sludge outlet
274: Movable piping moving guide
280: Wheel
300:
310: Reducer
320: Drums
410: swash plate
420: Scum skimmer
W: Main wire
S: Sludge storage space
Claims (9)
상기 스크레핑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핑 장치는 힌지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개폐 가능한 복수개의 수직 개폐판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 개폐판에 의해 긁어모아진 슬러지의 분산을 방지하는 상부 덮개와, 모아진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에어 리프트와, 상기 복수개의 에어 리프트에 에어를 정량 및 정압으로 공급하는 에어 분배기와,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부 및 레일 위를 이동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A scraping device reciprocating on a rail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tank and scraping up the sludge by partitioning the sludge by a plurality of air lifts and continuously sucking and discharging the sludge; And
Wherein the scraping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 opening / closing plates supported by a hinge and vertically openable and closabl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opening / A plurality of air lifts for sucking collected sludge; an air distributor for supplying air to the plurality of air lifts in a fixed amount and in a constant pressure; a sludge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sludge to the outside; And wheels for moving on the rai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2882A KR101445342B1 (en) | 2013-11-22 | 2013-11-22 | Direct intake sludge intak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2882A KR101445342B1 (en) | 2013-11-22 | 2013-11-22 | Direct intake sludge intak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5342B1 true KR101445342B1 (en) | 2014-10-01 |
Family
ID=5199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288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5342B1 (en) | 2013-11-22 | 2013-11-22 | Direct intake sludge intak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534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5076B1 (en) * | 2014-12-03 | 2015-07-09 | 한국수자원공사 | Solid-liquid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
KR101653924B1 (en) * | 2015-05-12 | 2016-09-05 | 장윤근 | Underwater cart sludge collecting device of vaccum suction type |
JP2018153784A (en) * | 2017-03-21 | 2018-10-04 | Jfeプラントエンジ株式会社 |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for sludge scrap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37156A (en) * | 2003-02-04 | 2004-08-26 | Hoomaa Clean Kk | Sewage treatment unit |
KR100691340B1 (en) * | 2005-02-25 | 2007-03-14 | 주식회사성우 | Dual Differential Pressure Suction Sludge Collector in Water Treatment Plant |
KR100712009B1 (en) * | 2005-12-21 | 2007-04-27 | 한국수자원공사 | Sludge Removal System of Sedimentation Tank |
-
2013
- 2013-11-22 KR KR1020130142882A patent/KR10144534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37156A (en) * | 2003-02-04 | 2004-08-26 | Hoomaa Clean Kk | Sewage treatment unit |
KR100691340B1 (en) * | 2005-02-25 | 2007-03-14 | 주식회사성우 | Dual Differential Pressure Suction Sludge Collector in Water Treatment Plant |
KR100712009B1 (en) * | 2005-12-21 | 2007-04-27 | 한국수자원공사 | Sludge Removal System of Sedimentation Tank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5076B1 (en) * | 2014-12-03 | 2015-07-09 | 한국수자원공사 | Solid-liquid separation typ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
KR101653924B1 (en) * | 2015-05-12 | 2016-09-05 | 장윤근 | Underwater cart sludge collecting device of vaccum suction type |
JP2018153784A (en) * | 2017-03-21 | 2018-10-04 | Jfeプラントエンジ株式会社 |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for sludge scrap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327706A1 (en) | Cable-Driven Submerged Sludge Collection System | |
KR100808469B1 (en) | Vertical Sliding Sludge Collector | |
KR200483813Y1 (en) | Pulling up of settlement sand and separating apparatus | |
KR101445342B1 (en) | Direct intake sludge intake | |
KR101653924B1 (en) | Underwater cart sludge collecting device of vaccum suction type | |
KR100930635B1 (en) | Sludge Treatment System | |
KR102141076B1 (en) | Integrated treatment facility including moving water screen | |
CN205412351U (en) | Mud system of inhaling is scraped to showy formula | |
US9795901B2 (en) | Sludge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 |
KR101199266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011489B1 (en) | Sludge Removal Device of Sedimentation Tank | |
KR101816904B1 (en) | Giant swing-type sludge processing unit capable of simultaneous processing of sunken sand and float | |
JP3689162B2 (en) | Sand pumping device in sewage pond | |
KR101757911B1 (en) | Concomitant and grit constant treatment system | |
JPH0327242B2 (en) | ||
KR101170509B1 (en) | Sludge collector | |
US20130327707A1 (en) | Drive Mechanism for Sludge Collection System | |
KR102035781B1 (en) | Seesaw Type Scum Skimmer | |
KR200427920Y1 (en) | Ratchet sludge / scum removal device | |
CN105771339B (en) | Floatation type scrapes the maneuver inhaled mud system and scrape suction mud | |
CN212504300U (en) | Grit chamber for water inlet treatment | |
US20130327728A1 (en) | Process for Collecting Sediment from a Settling Tank | |
KR101452850B1 (en) | Sludge collection devices | |
KR101988251B1 (en) | Hybrid device for removing sludge | |
JP4766415B2 (en) | A mud pump that moves the mud open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