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5267B1 - 기능성 신발물품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267B1
KR101445267B1 KR1020130122624A KR20130122624A KR101445267B1 KR 101445267 B1 KR101445267 B1 KR 101445267B1 KR 1020130122624 A KR1020130122624 A KR 1020130122624A KR 20130122624 A KR20130122624 A KR 20130122624A KR 101445267 B1 KR101445267 B1 KR 10144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buffer
midsole
support
buffe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승
Original Assignee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에프알에스 filed Critical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to KR102013012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267B1/ko
Priority to PCT/KR2014/009556 priority patent/WO2015056936A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4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th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충격 흡수 및 반발탄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이 개시된다. 기능성 신발물품은 미드솔, 미드솔의 하부에 배치되는 완충칼럼, 및 완충칼럼의 내부에 정의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단이 연결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브릿지를 포함하고, 지지브릿지에 의해 완충칼럼이 직립 상태를 유지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물품{ARTICLE OF FOOTWEAR}
본 발명은 신발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충격 흡수 및 반발탄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도록 개발되었지만, 최근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신발에 대한 인식 또한 많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운동화 한 켤레로 여러 가지 운동을 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걷기(walking), 뛰기(running), 등산, 축구, 테니스, 야구, 골프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특성화된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발등 및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갑피부분(upper part), 및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부분(sole par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밑창부분을 통해서는 보행 및 주행시 충격이 신체로 전달될 수 있고, 밑창부분이 무거울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밑창부위는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할 수 있으며 가벼운 구조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잘못된 걸음걸이와 걷기에 적합하지 않은 신발을 신으면 신체 기형과 질병을 불러와 건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밑창부위는 안정적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보행 및 주행시 신체로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정적인 보행을 유도할 수 있으며, 신체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밑창부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적절한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안정적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 흡수 및 반발탄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행 및 주행시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을 인체공학적으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구조 및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시간 착용시에도 신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신발물품은 미드솔, 미드솔의 하부에 배치되는 완충칼럼, 및 완충칼럼의 내부에 정의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단이 연결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브릿지를 포함하고, 지지브릿지에 의해 완충칼럼이 직립 상태를 유지한다.
미드솔의 재질,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미드솔은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특성을 갖거나,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개의 미드솔이 적층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완충칼럼은 미드솔의 전체 부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거나, 미드솔의 일부 부위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칼럼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완충칼럼이 대략 십자 기둥 형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칼럼의 사이즈, 모양 및 이격 간격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일 예로, 완충칼럼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된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칼럼 역시 단일 완층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완충층으로 이루어진 완충칼럼에 사용될 수도 있다.
지지브릿지는 완충칼럼이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완충칼럼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바, 여기서, 완충칼럼의 직립 상태라 함은, 보행 및 주행시 발생된 충격력에 의해 완충칼럼이 변형되기 전의 직립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완충칼럼에는 완충칼럼의 내부에 정의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브릿지의 일단이 연결된다. 여기서, 기준점은 완충칼럼의 내부에서 복수개의 지지브릿지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기준점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완충칼럼의 내부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브릿지에 의해 완충칼럼에 지지되는 구조에서는 지지브릿지에 대한 완충칼럼의 비정상적인 상대 유동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완충칼럼 중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일부 완충칼럼에는 3개 미만(1개 또는 2개)의 지지브릿지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브릿지는 완충칼럼보다 상대적으로 큰 강도 및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지지브릿지의 강도 및 탄성이 일정 이상 작을 경우에는 완충칼럼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렵고, 지지브릿지의 강도 및 탄성이 일정 이상 클 경우에는 완충칼럼의 유연성이 보장되기 어렵기 때문에, 지지브릿지는 완충칼럼의 유연성 및 강성을 보장할 수 있는 강도 및 탄성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지브릿지의 타단은 인접한 다른 완충칼럼 내부의 기준점 또는 미드솔의 하부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미드솔의 하부 구조물이라 함은 미드솔의 저면에 돌출(또는 함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구조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부 구조물은 미드솔로부터 일체로 연장 또는 돌출되거나, 별도로 접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지지브릿지는 통상의 인서트 사출, 결합, 접합, 삽입 방식으로 완충칼럼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브릿지와 완충칼럼 간의 고정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개의 지지브릿지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거나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 모두 가능하다. 또한, 완충칼럼의 내부에는 내부코어가 배치될 수 있으며, 기준점은 내부코어에 정의될 수 있다.
완충칼럼에 대한 지지브릿지의 배치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브릿지가 지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 용도에 따른 충격량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지지브릿지는 미드솔의 저면 및 완충칼럼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미드솔의 저면과 완충칼럼의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에 의하면,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브릿지를 이용하여 보행 및 주행시 변형된 완충칼럼이 보다 효과적으로 초기 상태(직립 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다음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도와주는 반발탄성(추진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칼럼이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브릿지에 의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브릿지에 대한 완충칼럼의 비정상적인 상대 유동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브릿지가 공중에 띄어진 방식으로 미드솔의 저면과 완충칼럼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지지브릿지가 지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브릿지가 미드솔의 저면과 완충칼럼의 하단 사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사용 용도에 따른 충격량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조절될 수 있다. 가령, 비교적 작은 충격량이 완충칼럼에 작용할 경우에는 지지브릿지의 하부에 해당되는 완충칼럼 일부 영역만이 탄성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비교적 큰 충격량이 완충칼럼에 작용할 경우에는 완충칼럼의 모든 영역이 탄성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워킹 및 러닝시와 같이 여러 사용 조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가변될 수 있으며, 하나의 신발을 통해 사용 용도별로 최적화된 충격 흡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의 착용감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장기간 착용시에도 신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완충칼럼의 사이가 거의 빈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보장하면서 신발 솔을 보다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 더욱이, 서로 이격된 완충칼럼은 지지브릿지에 의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유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적절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으로서, 지지브릿지 및 코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으로서, 지지브릿지 및 코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은 미드솔(100), 완충칼럼(200) 및 지지브릿지(300)를 포함한다.
상기 미드솔(100)은 통상의 고무 및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발포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미드솔(100)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미드솔이 미발포체로 형성되거나 여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미드솔(100)은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특성을 갖거나,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개의 미드솔(100)이 적층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완충칼럼(cushion column)(200)은 미드솔(100)의 저면에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된다.
상기 완충칼럼(200)은 미드솔(100)의 전체 부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거나, 미드솔(100)의 일부 부위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칼럼(200)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완충칼럼(200)이 대략 십자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배치 부위(예를 들어, 전방부, 가운데 부위 및 후방부)에 따라 완충칼럼(200)이 서로 다른 사이즈 및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완충칼럼이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칼럼의 사이즈, 모양 및 이격 간격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 완층층으로 이루어진 완충칼럼(200)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완충층으로 이루어진 완충칼럼에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복수개의 완충층으로 이루어진 완충칼럼에서, 각 완충층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칼럼이 복수개의 완충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후술할 지지브릿지는 복수개의 완충층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릿지(300)는 완충칼럼(200)이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완충칼럼(200)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서, 완충칼럼(200)의 직립 상태라 함은, 보행 및 주행시 발생된 충격력에 의해 완충칼럼(200)이 변형되기 전 직립하게 배치된 초기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릿지(300)는 완충칼럼(200)보다 상대적으로 큰 강도 및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지지브릿지의 강도 및 탄성이 일정 이상 작을 경우에는 완충칼럼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렵고, 지지브릿지의 강도 및 탄성이 일정 이상 클 경우에는 완충칼럼의 유연성이 보장되기 어렵기 때문에, 지지브릿지(300)는 완충칼럼의 유연성 및 강성을 보장할 수 있는 강도 및 탄성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지지브릿지(30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 TPU)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완충칼럼(200)에는 완충칼럼(200)의 내부에 정의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단이 연결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브릿지(300)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완충칼럼(200)의 내부에 정의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3개 또는 4개의 지지브릿지(300)의 일단이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상기 기준점은 완충칼럼의 내부에서 복수개의 지지브릿지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점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완충칼럼(200)의 내부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칼럼(200)이 일단이 서로 연결된 3개 이상의 지지브릿지(30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에서는, 지지브릿지(300)에 대한 완충칼럼(200)의 비정상적인 상대 유동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완충칼럼(200) 중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일부 완충칼럼(200)에는 3개 미만(1개 또는 2개)의 지지브릿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브릿지(300)의 타단은 인접한 다른 완충칼럼 내부의 기준점 또는 미드솔(100)의 하부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미드솔(100)의 하부 구조물이라 함은 미드솔(100)의 저면에 돌출(또는 함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구조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구조물은 미드솔(100)로부터 일체로 연장 또는 돌출되거나, 별도로 접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릿지(3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완충칼럼(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브릿지(300)를 미리 배치시킨 후 지지브릿지(300)의 일단(기준점)을 감싸도록 완충칼럼(200)을 사출 성형하는 통상의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지지브릿지(300)와 완충칼럼(200)을 고정할 수 있다.
참고로, 복수개의 지지브릿지는 통상의 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하나의 단일체(single body)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서로 분리된 복수개의 지지브릿지의 단부에 서로 결합 가능한 홈 및 돌기와 같은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지지브릿지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완충칼럼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수용홈의 내부에 지지브릿지를 삽입함으로써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별도의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지지브릿지를 완충칼럼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릿지(300)는 통상의 로드, 띠, 튜브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브릿지(300)의 형태 및 모양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서로 다른 완충칼럼(200)을 지지하는 지지브릿지(300)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 및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서로 다른 사이즈 및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릿지(300)는 동일 평면 상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 모두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지지브릿지(300)가 미드솔(100)의 저면에 수평한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완충칼럼(200)의 내부에는 내부코어(3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기준점은 내부코어(310)에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브릿지(300)의 일단은 내부코어(310)를 기준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부코어(310)는 지지브릿지(300)보다 상대적으로 큰 두께(높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내부코어(310)는 각 완충칼럼(200)에 대한 지지브릿지(300)의 배치 및 연결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내부코어(310)는 구형,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코어(310)의 형태 및 크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칼럼(200)에 대한 지지브릿지(300)의 배치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브릿지(300)는 미드솔(100)의 저면 및 완충칼럼(20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미드솔(100)의 저면과 완충칼럼(20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브릿지(300)는 완충칼럼(200)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조는, 완충칼럼(200)의 탄성 변형을 보장하면서 완충칼럼(200)의 탄성 변형시 지지브릿지(300)가 지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상기 지지브릿지(300)가 완충칼럼(200)의 대략 중앙부 높이에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사용 용도에 따른 충격량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조절될 수 있다. 가령, 비교적 작은 충격량이 완충칼럼(200)에 작용할 경우에는 지지브릿지(300)의 하부에 해당되는 완충칼럼(200)의 일부 부위만이 탄성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비교적 큰 충격량이 완충칼럼(200)에 작용할 경우에는 완충칼럼(200)의 모든 부위가 탄성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칼럼(20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된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완충칼럼(20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된 단면적을 갖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완충칼럼(200')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된 단면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완충칼럼(200')의 초기 변형이 보다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미드솔 200 : 완충칼럼
300 : 지지브릿지 310 : 내부코어

Claims (10)

  1. 미드솔;
    일단은 상기 미드솔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외팔보 형태의 완충칼럼;
    상기 완충칼럼보다 상대적으로 큰 강도 및 탄성을 갖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칼럼의 내부에 정의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완충칼럼의 내부에서 일단이 공통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칼럼이 지면에 접촉될 시 상기 완충칼럼은 상기 타단에서부터 유동이 발생되되, 상기 지지브릿지에 대한 상기 완충칼럼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지지브릿지에 의해 상기 완충칼럼이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릿지의 타단은 인접한 다른 완충칼럼 내부의 기준점 또는 상기 미드솔의 하부 구조물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칼럼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점은 상기 내부코어에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릿지는 인서트 사출, 결합, 접합, 삽입 방식으로 상기 완충칼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릿지는 상기 미드솔의 저면 및 상기 완충칼럼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미드솔의 저면과 상기 완충칼럼의 하단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칼럼은 단일 완충층 또는 복수개의 완충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릿지는 서로 다른 사이즈 및 모양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릿지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거나 서로 경사지게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칼럼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된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KR1020130122624A 2013-10-15 2013-10-15 기능성 신발물품 Expired - Fee Related KR101445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624A KR101445267B1 (ko) 2013-10-15 2013-10-15 기능성 신발물품
PCT/KR2014/009556 WO2015056936A1 (ko) 2013-10-15 2014-10-13 기능성 신발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624A KR101445267B1 (ko) 2013-10-15 2013-10-15 기능성 신발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267B1 true KR101445267B1 (ko) 2014-09-30

Family

ID=5176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6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5267B1 (ko) 2013-10-15 2013-10-15 기능성 신발물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5267B1 (ko)
WO (1) WO201505693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1928A1 (en) 1990-02-09 1991-08-22 Hy Kramer Article of footwear having improved midsole
KR200444068Y1 (ko) * 2008-12-02 2009-04-10 이점순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101178266B1 (ko) 2011-08-25 2012-08-29 서우승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1928A1 (en) 1990-02-09 1991-08-22 Hy Kramer Article of footwear having improved midsole
KR200444068Y1 (ko) * 2008-12-02 2009-04-10 이점순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101178266B1 (ko) 2011-08-25 2012-08-29 서우승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6936A1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26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JP5207555B2 (ja) 衝撃吸収部材が入れ替え可能な靴底
CN101431911B (zh) 具有带有板和形成在其内的凹陷的支撑组件的鞋类物品
US9125453B2 (en) Shoe outsole having tubes
US8621767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pport structure
KR101329615B1 (ko) 기능성 신발물품
US20070294832A1 (en) Air cushion with multistage shock-absorbing assembly and fabricating method
KR101348703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265080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101625917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445267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352091B1 (ko) 고탄성을 갖는 경량 신발물품
KR101395840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477660B1 (ko) 탄성링 및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완충칼럼의 복원력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물품
KR101354529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217094B1 (ko) 충격흡수 신발
KR10128803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JP7115860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KR101429377B1 (ko) 운동화용 아웃솔
KR200489122Y1 (ko) 등산화 밑창
KR100973724B1 (ko) 신발창용 쿠션부재
KR100885066B1 (ko) 벌집형 충격흡수층이 중창에 구비된 신발
KR101636534B1 (ko) 탄성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완충칼럼의 복원력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물품
KR101762709B1 (ko) 미드솔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009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92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