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190B1 - vehicle for land canal system - Google Patents
vehicle for land cana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5190B1 KR101445190B1 KR1020130023910A KR20130023910A KR101445190B1 KR 101445190 B1 KR101445190 B1 KR 101445190B1 KR 1020130023910 A KR1020130023910 A KR 1020130023910A KR 20130023910 A KR20130023910 A KR 20130023910A KR 101445190 B1 KR101445190 B1 KR 1014451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hip
- support
- support member
- body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b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 운하 시스템에서 운송하는 선박 하면의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되더라도 선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중에 발생하는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선박과 선박에 적재된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에 차륜 및 차축이 구비되는 대차 프레임과, 상기 대차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는 대차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지지스프링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ship even when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hip is var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a ship and a cargo loaded on the ship from being damag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gie frame comprising a bogie frame having a wheel and an axl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upport portion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gie frame, A first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pring, and a second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 운하 시스템에서 운송하는 선박 하면의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되더라도 선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중에 발생하는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선박과 선박에 적재된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ship even when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hip is var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a ship and a cargo loaded on the ship from being damaged.
운하란 내륙에 선박의 항행이나 농지의 관개, 배수 또는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수로(水路)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교통기관의 일부분으로 보고 있다.A canal is an artificially created waterway for the purpose of irrigation, drainage, or water supply in the interior of a ship, or as part of a transportation system.
이러한 운하의 대부분은 육지를 굴착하여 전체를 만들거나, 매립(埋立)을 할 때 남겨둔 수로, 하천에 손질을 하여 건설하기도 하는데, 운하는 기능적으로는 수운용 운하와 관개용 운하로 대별되고, 또 구조적으로는 수에즈 운하와 같은 수평운하(水平運河)와 파나마 운하와 같은 유문운하(有門運河)로 나뉜다.Most of these canals are constructed by excavating the land to make the whole, or by constructing the waterways and streams that are left when the land is buried. The canals are functionally divided into water service canals and irrigation canals. Structurally, it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canal such as the Suez Canal and a pontoon canal such as the Panama Canal.
이러한 운하 중 선박의 항행을 위한 운하는 내륙만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바다와 내륙을 연결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바다의 선박을 운하로 이동시키는 특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517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육상과 해수면 이하까지 깔려있는 선대(SLIP-WAY)(10)위에 상가용 레일이 있으며 그 위로 움직이는 선박 이동용 활차(TROLLEY)(30)와 선박(40)을 해수면 이하에서 이동용 활차 (TROLLEY)(30) 위로 올리고 그리고 특수용폰툰장치(PONTOON SYSTEM)(60)로 이동시키는 윈치(WINCH)(50)가 있으며, 상기 특수용 폰툰장치(PONTOON SYSTEM)(60) 밑에는 특수용 폰툰장치 지지대(61)와 1차 유압용 램(HYDRAULICRAM)(62)과 2차 유압용 램(HYDRAULIC RAM)(62-1)을 이용하여 상기 특수용 폰툰장치(PONTOON SYSTEM)(60)를 수평 및 경사로 만들어 운하 및 바다의 선대 (SLIP-WAY)(10)와 연결하여 선박(40)을 운하나 바다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수용 폰툰장치(PONTOON SYSTEM)(60)와 추가 연결되는 특수용 폰툰장치(PONTOON SYSTEM)(60) 위로 선박(40)을 이동시킬 때 선박 이동용 활차 터널(TROLLEY TUNNEL)(31) 사이로 윈치(WINCH)(50)를 통과시켜 부딪히지 않도록 만든 선박 이동용 활차 (TROLLEY)(30)를 사용하는 구성에 특징이 있다.In this case, a special structure for moving the ship of the sea to the canal becomes necessary, and according to this demand, the canal for the navigation of the canal And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7517 as shown in FIG. 2 has been developed.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there is a rail for commercial use on the SLIP-WAY 10 which is laid down to the land and sea level A winch (WINCH) for moving the
그리고,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517호에 선박(4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활차(30)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활차(30)는 다수개가 선박(40)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선박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A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447517 describes a construction of a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517호에 기재된 활차(30)의 구성은 선박(4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므로, 각각의 활차(30)를 선박(40)의 하부에 위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선박(40)을 지지하기 위하여 단순히 활차(30)의 상부에 지지부만을 구비하여 선박(40)을 지지하게 되므로, 선박(40)의 바닥면은 각 부위별로 곡률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선박(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struction of the
또한, 활차(30)의 전부에 윈치(50)의 와이어로프를 연결하게 함으로써, 활차(30)의 진행방향에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휠(51)이나 윈치(50)가 위치하므로 이를 활차(30)가 지나가기 위해서는 별도의 선박이동용 활차 터널(31)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활차(30)의 연결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을 지지하기 위한 차량에서 하부에 차륜이 설치되는 대차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지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를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로 형성하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힌지결합함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는 선박 하면의 곡선에 따라 제2지지부재가 절곡되도록 하여 하면의 곡선이 다를 다양한 선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for supporting a ship,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re hinged to each other by the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so that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bent along the curv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hip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nd to provide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that can stably support the onshore canal system.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차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하부에 지지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운행 중에 발생하는 외부의 충격을 감쇄시켜 주어 선박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지지부의 상부에 에어 스프링을 더 구비함으로써 지지부를 형성하는 제2지지부재와 선박의 하면이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여 제2지지부재와의 마찰에 의해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다양한 도장 및 선체가 손상되는 것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보다 안정적을 감쇄할 수 있는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ing structure for a vehicle, which is provided with a support spring at a lower portion of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bogie frame, thereby attenuating an external impact generated during operation and stably moving the vessel, It is possible to securely protect the various coatings and the hull which ar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hip by the friction between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so that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hip do not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nd to provide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capable of attenuating an external impact more stab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하부에 차륜 및 차축이 구비되는 대차 프레임과, 상기 대차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ogie frame having a wheel and an axl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upport portion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gie frame.
여기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양측 하면에는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고정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ire fixing holes for fixing the wir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한편, 상기 지지부는 차체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와, 상기 스프링 시트에 설치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지지스프링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pring sea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frame, a support spring provided on the spring seat, a first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pring, And a second support member.
이때, 상기 제1지지부재는 제1지지판과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제1힌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제2지지판과 그 하부에 형성되는 제2힌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힌지부는 힌지핀을 사용하여 제1,2힌지부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late and a first hinge portion form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the second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plate and a second hinge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parts are hinge-coupled using the hinge pin.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부에는 에어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n air spring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한편, 상기 대차 프레임의 측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connection groov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gie frame.
또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전,후면에는 연결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nnector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gie frame.
그리고, 상기 제2지지판은 차체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support plate is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fram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을 지지하기 위한 차량에서 하부에 차륜이 설치되는 대차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지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를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로 형성하고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힌지결합함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는 선박 하면의 곡선에 따라 제2지지부재가 절곡되도록 하여 하면의 곡선이 다를 다양한 선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on an upper portion of a car frame on which a wheel is installed, the support portion being formed of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By hinging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bent along the curv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hip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thereby stably supporting various ships having different curved lines .
그리고, 본 발명은 대차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하부에 지지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운행 중에 발생하는 외부의 충격을 감쇄시켜 주어 선박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지지부의 상부에 에어 스프링을 더 구비함으로써 지지부를 형성하는 제2지지부재와 선박의 하면이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여 제2지지부재와의 마찰에 의해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다양한 도장 및 선체가 손상되는 것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보다 안정적을 감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spring at a lower portion of a support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bogie frame, thereby attenuating an external impact generated during operation, thereby stably moving the ship, It is possible to safely protect the various coatings and hull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hip by the friction between the second support member form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by preven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hip from contacting directly,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attenuate the impact of the impact.
도 1은 종래의 바다의 선박을 운하로 이동시키는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바다의 선박을 운하로 이동시키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바다의 선박을 운하로 이동시키는 장치의 대차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차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대차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지지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축상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측부에 동력차가 연결되는 상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apparatus for moving a ship of a sea to a canal.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pparatus for moving a vessel of a sea to a canal.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conventional marine vessel for moving a marine vessel to a canal.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frame of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uck frame of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support portion of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of an axial portion of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in which a power car is connected to a side portion of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차체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대차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지지부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축상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측부에 동력차가 연결되는 상태도이다.
FIG. 4 is a conceptual view of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frame of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gie frame of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support portion of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tate in which a power car is connected to a side portion of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선박이 수로를 이용하여 운항하는 운하를 대신하여 레일이 구비된 선로를 통하여 선박을 이동시킬 수 있는 육상 운하 시스템에 사용되는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우선 육상 운하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다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선박이 진입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진입부(500)와 상기 진입부(500) 및 진입부(500)에 연이어 형성되는 메인선로(100)와 선박(500)을 적재하여 상기 메인선로(100)를 이동하는 차량(400)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used in an onshore canal system in which a ship can be moved through a rail equipped with a rail instead of a canal operated by a waterway. 4, an
여기서, 상기 메인선로(100)는 상기 진입부(500)에 형성되는 진입선로(110)와 상기 진입선로(110)에서 연장형성되는 주행선로(1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진입선로(110)는 진입부(500)의 형상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게 된다.The
그래서, 진입부(500)의 일부분까지 바닷물이 들어오게 되어, 선박이 용이하게 진입하게 되며, 상기 진입선로(110)에 위치하는 차량(400)의 상부에 선박이 안착되어 차량(400)을 통하여 선박이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seawater enters into a part of the
그리고, 상기 진입부(500)에는 모터(522)를 포함하는 견인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진입선로(110)에서 차량(400)을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주행선로(110)의 측부에는 동력차(300)가 주행하는 제1보조선로(미도시)를 구비하여, 동력차(300)를 차량(400)의 측부에 연결하여 차량(400)을 이동시키게 된다.A traction device (not shown) including a
그래서, 선박을 메인선로(100)를 따라 이동시켜 메인선로(10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하역기지(700)에 화물을 하역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ship can be moved along the
이때, 상기 진입부(500)에는 관제부(800)가 위치하게 되어 견인장치 및 동력차(300)를 제어하여 원거리에서 차량(400)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차륜(440) 및 차축(442)이 구비되는 대차 프레임(418)과 상기 대차 프레임(418)의 상부에 구비되는 차체 프레임(410)과 상기 차체 프레임(41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선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420)로 이루어진다.5 to 10, the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상기 대차 프레임(418)의 하부 양측에는 차륜(440)이 설치되는 차축(442)의 단부가 결합되는 축상(450)이 결합되게 되고, 상기 축상(450)의 내측에는 베어링(452)이 구비되어, 상기 차축(442)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An
이때, 상기 대차 프레임(418)과 축상(450)의 결합은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between the
한편, 상기 차체 프레임(410)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홈(416)이 형성되어 각각의 지지부(420)가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설치홈(416)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421)와 상기 스프링 시트(421)에 설치되는 지지스프링(422)과 상기 지지스프링(42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424)와 상기 제1지지부재(424)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42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 시트(421)의 상면에는 하부 고정돌부(421a)가 형성되고, 제1지지부(424)의 하면에는 상부 고정돌부(424c)가 형성되어 지지스프링(422)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At this time, a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424)는 제1지지판(424a)과 상기 제1지지판(424a)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힌지부(42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재(426)는 제2지지판(426a)과 상기 제2지지판(426a)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힌지부(426b)로 이루어져, 힌지핀(429)를 사용하여 제1,2지지부(424b,426b)를 힌지결합으로 결합되게 된다.The
그래서, 상기 지지스프링(422)은 차량(400)가 주행 중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어 선박이나 선박에 적재된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2지지부재(424,426)는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차량(400)의 상부에 적재되는 선박의 하면의 형태에 따라 힌지핀(429)를 기준으로 제2지지부재(426)가 적절한 각도로 위치되게 되어 선박의 하면의 곡면과 동일하게 되므로 선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특히, 상기 제2지지부재(426)는 차체 프레임(4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도록 제2지지판((426b)이 설치되어 선박이 차량(400)에 적재시 좌우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이때, 상기 스프링 시트(421)의 중심부에는 상부로 고정돌부(421a)가 돌출 형성되어 지지스프링(422)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At this time, a
한편, 다수의 제2지지부재(426)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에어 스프링(430)이 더 구비되어, 선박의 하면이 직접 제2지지부재(426)의 상면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선박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장 및 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주행 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보다 완전하게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An
즉, 선박의 표면에는 선박의 내부로 바닷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 역할을 하는 도장뿐만 아니라, 염분이 많은 바닷물에 의해 표면을 이루는 철재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장을 하게 되는데, 차량(4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426)는 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2지지부재(426)의 상면과 선박의 하면이 접한 상태로 주행할 경우,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하여 제2지지부재(426)와 선박의 하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에 의하여 선박의 표면에 형성된 도장 및 선체를 손상시키게 된다.That is, on the surface of the ship, a coating for preventing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ship is applied, as well as a coating for preventing the corrosion of the steel material forming the surface by seawater having high salinity.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제2지지부재(426)의 상면에 에어 스프링(430)을 구비함으로써, 제2지지부재(426)의 상면과 선박의 하면이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여 차량(400)이 주행중에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제2지지부재(426)의 상면과 선박의 하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방지하여 선박 표면의 도장이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 차체 프레임(410)의 양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연결홈(414)가 형성되어 인접한 차량(400)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렇게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바(310)를 사용하여 인접한 차량(400)을 연결하게 된다.
즉, 각 차량(400)에 형성되는 연결홈(414)에 막대 형상의 연결바(310)의 양단부를 삽입 고정하여 인접한 차량(400)을 연결하게 된다.That is, both ends of the rod-shaped connecting
물론, 메인선로(100)의 측부에 구비되는 제1보조선로를 주행하는 동력차(300) 역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310)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동력차의 동력으로 차량(400)을 이동시키게 된다.Of course, the
이때, 상기 연결바(310)는 동력차(300)의 측부에서 인출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이렇게 동력차(300)를 이용하여 차량(400)을 이동시키는 구간은 메인선로(100)의 주행선로(120) 구간에서만 이용하게 되고, 진입선로(110) 구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차량(400)을 이동시키게 된다.The section for moving the
이때, 상기 차체 프레임(410)의 양측 하부에는 와이어고정구(4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와이어고정구(412)는 클램프로 이루어져 견인장치(520)를 구성하는 와이어(524)를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차량(400)이 진입선로(110)를 이동할 때에는 와이어(522)를 고정하여 견인장치(520)를 통하여 이동하게 되며, 주행선로(120)를 이동할 경우에는 와이어고정구(412)를 벌려 와이어(524)를 분리하게 된다.At this time,
한편, 측부에 인접한 차량(40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4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홈(414)에 연결바(310)를 결합하여 연결하게 되고, 전후로 인접한 차량(400)을 연결할 경우에는 차체 프레임(410)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연결기(419)를 사용하여 연결하게 된다.In order to connect the
이때, 상기 차체 프레임(410)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연결기(419)의 일측은 개방되게 형성되어, 전후 인접한 차량(400)이 개방된 부분으로 결합 고정되게 되어, 선박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연결하는 차량(400)의 갯수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선박을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대차 프레임(418)의 상부에 하나의 차체 프레임(410)이 설치될 수도 있고, 차체 프레임(410)을 좌우로 길게 형성하여 하부에 다수의 대차 프레임(418)을 설치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on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 운하 시스템에서 운송하는 선박 하면의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되더라도 선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중에 발생하는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선박과 선박에 적재된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ship even when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hip is var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or an onshore canal system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a ship and a cargo loaded on the ship from being damaged.
100 : 메인선로 110 : 진입선로
120 : 주행선로 300 : 동력차
310 : 연결바 400 : 대차
410 : 차체 프레임 412 : 와이어고정구
414 : 연결홈 416 : 설치홈
418 : 대차 프레임 419 : 연결기
420 : 지지부 421 : 스프링 시트
422 : 지지스프링
424 : 제1지지부재 424a : 제1지지판
424b : 제1힌지부 426 : 제2지지부재
426a : 제2지지판 426b : 제2힌지부
429 : 힌지핀 430 : 에어 스프링
440 : 차륜 442 : 차축
450 : 축상 452 : 베어링
500 : 진입부 522 : 모터
524 : 와이어 700 : 하역기지
800 : 관제부100: Main line 110: Entry line
120: Bypass line 300: Power train
310: Connection bar 400: Truck
410: Body frame 412: Wire clamp
414: connection groove 416: installation groove
418: Balance frame 419: Connector
420: support portion 421: spring seat
422: Support spring
424:
424b: first hinge portion 426: second support member
426a:
429: Hinge pin 430: Air spring
440: wheel 442: axle
450: Axial 452: Bearing
500: entry portion 522: motor
524: wire 700: unloading station
800: Control unit
Claims (8)
상기 대차 프레임(418)의 상부에 구비되는 차체 프레임(410)과
상기 차체 프레임(41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부(4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체 프레임(410)의 측면에는 연결홈(414)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홈(414)에 연결바(310)를 삽입하여 동력차 또는 인접한 차량과 연결하며,
상기 차체 프레임(410)의 양측 하면에는 견인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와이어(524)를 고정하는 와이어고정구(4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420)는 차체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421)와, 상기 스프링 시트(421)에 설치되는 지지스프링(422)과, 상기 지지스프링(42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424)와, 상기 제1지지부재(424)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42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부재(424)는 제1지지판(424a)과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제1힌지부(42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재(426)는 제2지지판(426a)과 그 하부에 형성되는 제2힌지부(426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힌지부(424b,426b)는 힌지핀(429)을 사용하여 제1,2힌지부(424b,426b)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지지부재(426)의 상부에는 에어 스프링(430)이 구비되되, 상기 에어 스프링은 인접한 다수의 제2지지부재(426)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410)의 전,후면에는 연결기(41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
A bogie frame 418 having a wheel and an axl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body frame 41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gie frame 418,
And a support portion 42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rame 410 at regular intervals,
A connection groove 414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body frame 410. The connection bar 3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414 to connect to a power train or an adjacent vehicle,
Wire fixing holes 412 for fixing the wires 524 moving by a traction devic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410,
The support portion 420 includes a spring seat 421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frame, a support spring 422 mounted on the spring seat 421, Member 424 and a second support member 426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424,
The first support member 424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424a and a first hinge portion 424b form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424a,
The second support member 426 includes a second support plate 426a and a second hinge portion 426b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parts 424b and 426b are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parts 424b and 426b using a hinge pin 429,
An air spring 43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426. The air spring 430 is formed to connect upper surfaces of a plurality of adjacent second support members 426,
And a connector (419)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frame (4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910A KR101445190B1 (en) | 2013-03-06 | 2013-03-06 | vehicle for land canal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910A KR101445190B1 (en) | 2013-03-06 | 2013-03-06 | vehicle for land canal system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11276A Division KR101487884B1 (en) | 2014-08-26 | 2014-08-26 | vehicle for land canal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9660A KR20140109660A (en) | 2014-09-16 |
KR101445190B1 true KR101445190B1 (en) | 2014-09-29 |
Family
ID=5175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3910A Active KR101445190B1 (en) | 2013-03-06 | 2013-03-06 | vehicle for land canal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519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91556A (en) * | 2018-07-19 | 2018-11-27 | 芜湖籁余新能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ooring stability is lauched Mobile support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8870A (en) * | 2006-07-18 | 2006-08-07 | 이상철 | Bogie |
-
2013
- 2013-03-06 KR KR1020130023910A patent/KR10144519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8870A (en) * | 2006-07-18 | 2006-08-07 | 이상철 | Bogi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9660A (en) | 2014-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6180B1 (en) | guide system for rail type canal | |
JP5778300B2 (en) | Power supply | |
CN110877666A (en) | Self-propelled underwater tunnel immersed tube carrying and mounting integrated ship and construction process | |
CN103545759B (en) | Marine cable laying ship back twist frame device | |
KR100466881B1 (en) | A cargo-handling apparatus for operation at both side of ship | |
KR101445190B1 (en) | vehicle for land canal system | |
KR101487884B1 (en) | vehicle for land canal system | |
JPH0986485A (en) | Manufacturing and repair work methods for large structures as well as barges used to implement these methods. | |
RU2683210C2 (en) | Civilian tracked vehicle | |
CN207389494U (en) | A kind of underwater transfer building berth system of large ship | |
KR101426067B1 (en) | land canal system | |
KR101400800B1 (en) | Enterance apparatus for land canal system | |
US20040161984A1 (en) | Subsurface buoy and methods of installing, tying and dynamically stabilizing the same | |
NL2016759B1 (en) |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 |
RU139463U1 (en) | HULL SHIP | |
CN203094389U (en) | Rear-section combined arm of hydraulic folding conveying arm of sand transport self-discharging ship | |
JP2017114266A (en) | Floating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floating facility maintenance method and floating facility | |
CN111706714A (en) | Installation method of vertical pipe protection frame | |
KR20220137987A (en) | Spread mooring vessel with riser moonpool | |
JP3457785B2 (en) | Marine food and engine parts handling equipment | |
JP3236481U (en) | Vessels for transporting vehicles, etc. | |
JP2020019440A (en) | Floating body device | |
CN113525627B (en) | Launching method of large ships | |
KR20060096761A (en) | Shipbuilding Construction Method on Sloped Fleet by Bogie Loading of Large Mounting Blocks | |
RU2114024C1 (en) | Cargo-shi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4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4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