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361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4361B1 KR101444361B1 KR1020080109051A KR20080109051A KR101444361B1 KR 101444361 B1 KR101444361 B1 KR 101444361B1 KR 1020080109051 A KR1020080109051 A KR 1020080109051A KR 20080109051 A KR20080109051 A KR 20080109051A KR 101444361 B1 KR101444361 B1 KR 1014443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discharge port
- air
- inlet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DTMRKGRREZAYAP-UHFFFAOYSA-N 1,2,3,4-tetrachloro-5-(2,3,4,5-tetrachloro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l)C(Cl)=CC(C=2C(=C(Cl)C(Cl)=C(Cl)C=2)Cl)=C1Cl DTMRKGRREZAYA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구 보다 크게 형성된 흡입구 패널과; 상기 흡입구 패널이 상기 본체의 하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로 무빙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덮고, 상기 흡입구 패널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와 이격된 위치로 무빙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흡입구 패널을 무빙시키는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 보다 크게 형성된 토출구 패널과; 상기 토출구 패널이 상기 본체의 상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로 무빙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덮고, 상기 토출구 패널이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와 이격된 위치로 무빙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토출구 패널을 무빙시키는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를 포함하여, 운전 정지시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간결해 보이면서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air inle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port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 inlet panel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ir inlet; The intake panel is mov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air intake port and the intake panel moves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 inlet panel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inlet panel to open the inlet panel; A discharge port panel formed larger than the air discharge port; The discharge port panel is mov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cover the air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port panel is moved from a top portion of the main body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discharge port panel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discharge port panel to open the discharge port panel, so that it can be kept clean at the time of stopping the operation.
공기조화기, 본체, 공기 흡입구, 흡입구 패널,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 Air conditioner, main body, air inlet, inlet panel, inlet panel, moving apparatus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흡입구를 여닫는 흡입구 패널이 공기 흡입구 주변에서 무빙되어 공기 흡입구를 덮고, 공기 흡입구의 주변으로 이격되게 무빙되어 공기 흡입구를 개방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air intake panel for opening and closing an air intake port is moved around the air intake port to cover the air intake port and is moved away from the air intake port to open the air intake por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 separable type and an integral type in which a room is cooled or cleaned by using a refrigerating cycle of a refrigerant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the user .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 송풍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 송풍기와 압축기 등을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 송풍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 송풍기와 압축기 등이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한 것이다.The separate type and the integral type are the same in function but the indoor type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air blower are installed in the indoor type indoor unit, the outdoor heat exchanger, the outdoor air blower and the compressor ar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connected by the refrigerant pipe, An indoor heat exchanger, an indoor air blowe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 outdoor blower, a compressor,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side a single case.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조화 기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데, 최근에는 고급화나 이물질의 침투 방지를 위해 부품수가 증대되더라도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의 각각에 그릴이 아닌 판상의 패널을 설치하여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를 여닫는 추세이다.The air conditioner has an air inlet for sucking indoor air and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ventilat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In recent years, even though the number of parts is increased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high quality or foreign matter, It is a tendency to open and close the air intake port and the air outlet port by installing a plate panel rather than a grill in each of the air outlet ports.
공개 특허공보 10-2005-0078882에는 공기 흡입구에 흡입구 패널이 회전되게 배치되어 공기 흡입구를 개폐하고, 공기 토출구에 토출구 패널이 회전되게 배치되어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고, 흡입구 패널과 토출구 패널은 본체에 설치된 모터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본체에서 회전식으로 회전된다. 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78882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air inlet panel is rotatably disposed in an air intake port to open and close an air intake port and a discharge port panel is rotatably disposed in an air discharge port to open and close an air discharge port, The discharge port panel is rotatably rotated in the main body by connecting a rotation shaft to a mot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패널과 토출구 패널이 회전식으로 개폐 동작되어, 흡입구 패널 및 토출구 패널의 닫힘시 공기 흡입구와 흡입구 패널의 사이에 틈이 존재하고 공기 토출구와 토출구 패널 사이에 틈이 존재하게 되므로,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틈에 의해 외관이 고급화되지 못하고, 틈에 이물질이 끼일 경우 청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inlet panel and the outlet panel are rotationally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inlet panel when the inlet panel and the outlet panel are closed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air outlet and the outlet panel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the external appearance is not improved due to the gap, and when the foreign matter is caught in the gap, the cleanliness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 정지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and keeping clean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시 공기조화기의 좌우 폭을 슬림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reduce the lateral width of the air conditioner during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하여 공조시킬 수 있고, 공조 공기의 풍향을 보다 넓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quickly inhaling and air-conditioning indoor air and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air-conditioning air more widel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실내를 공조시키는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구 보다 크게 형성된 흡입구 패널과; 상기 흡입구 패널이 상기 본체의 하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로 무빙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덮고, 상기 흡입구 패널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와 이격된 위치로 무빙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흡입구 패널을 무빙시키는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air inle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port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 inlet panel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ir inlet; The intake panel is mov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air intake port and the intake panel moves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n inlet panel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inlet panel to open the inlet panel.
상기 본체는 상면에 상면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승강되게 배치되고 전면에 전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더 포함한다.The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ing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front surface air outle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And an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discharge port unit.
상기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는 상기 흡입구 패널에 회전되게 연결된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를 회전시키는 링크 회전기구와, 상기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의 회전시 상기 흡입구 패널이 상기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와 상대 회전되면서 상기 흡입 패널과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상기 흡입구 패널의 무빙을 가이드하는 흡입구 패널 무빙 가이드를 포함한다.The suction port panel moving mechanism includes a suction panel connection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panel, a link rotation mechanism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rotate the suction panel connection link, And an inlet panel moving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inlet panel so that the inlet panel moves relative to the inlet panel and is spaced apart or closely contacted with the suction panel.
상기 흡입구 패널 무빙 가이드는 상기 링크 회전기구와 상기 흡입구 패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링크 회전기구와 상기 흡입구 패널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The inlet panel moving guide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on one of the link rotating mechanism and the inlet panel and a guide rail formed on the other of the link rotating mechanism and the inlet panel to guide the protrusion.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본체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진다.The guide rails are convexly rounded toward the main body.
상기 흡입구 패널은 상기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가 회전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덮거나 개방하는 흡입구 개폐부재와, 상기 흡입구 개폐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장식부재를 포함한다.The inlet panel includes a suction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that rotatably connects the inlet panel connecting link to cover or open the air inlet, and a decorative membe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let opening and closing member.
상기 공기 토출구 보다 크게 형성된 토출구 패널과; 상기 흡입구 패널의 무빙시 상기 토출구 패널이 상기 흡입구 패널과 동일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공기 토출구를 덮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토출구 패널을 무빙시키는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를 더 포함하는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를 더 포함한다.A discharge port panel formed larger than the air discharge port; And a discharge port panel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discharge port panel to cover or open the air discharge port while the discharge port panel is position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suction port panel when the suction port panel is moved.
상기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는 상기 토출구 패널에 회전되게 연결된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를 회전시키는 링크 회전기구와, 상기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의 회전시 상기 토출구 패널이 상기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와 상대 회전되면서 상기 토출 패널과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상기 토출구 패널의 무빙을 가이드하는 토출구 패널 무빙 가이드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port panel moving mechanism includes a discharge port panel connection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panel, a link rotation mechanism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rotate the discharge port panel connection link, And a discharge port panel moving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 port pane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or close to the discharge panel while being relatively rotated with the discharge port panel connection link.
상기 토출구 패널 무빙 가이드는 상기 본체와 상기 토출구 패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본체와 상기 토출구 패널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에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The discharge port panel moving guide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on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discharge port panel and a guide rail formed on the other of the main body and the discharge port panel and guided to the protrusion.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본체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진다.The guide rails are convexly rounded toward the main body.
상기 토출구 패널은 상기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가 회전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덮거나 개방하는 토출구 개폐부재와, 상기 토출구 개폐부재의 외면에 배치된 장식부재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port panel includes a discharge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connected to rotate the discharge port panel connecting link to cover or open the air discharge port, and a decorative membe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상기 토출구 패널은 상기 토출구 개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베인과; 상기 베인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토출구 개폐부재에 설치된 베인 구동기구를 포함한다.Wherein the discharge port panel comprises: a vane rotatably disposed on the discharge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And a vane drive mechanism provided on the discharge port opening / closing member to rotate the van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부 좌,우 양측 각각에 공기 흡입구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 좌,우 양측 각각에 공기 토출구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공기 흡입구 보다 크게 형성된 좌,우 흡입구 패널과; 상기 좌,우 흡입구 패널을 상기 공기 흡입구의 옆 후방 위치에서 상기 공기 흡입구를 덮는 위치로 무빙시키고 상기 공기 흡입구를 덮는 위치에서 상기 공기 흡입구의 옆 후방 위치로 무빙시키는 좌,우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와; 상기 공기 토출구 보다 크게 형성된 좌,우 토출구 패널과; 상기 토출구 패널을 상기 공기 토출구의 옆 후방 위치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를 덮는 위치로 무빙시키고 상기 공기 토출구를 덮는 위치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의 옆 후방 위치로 무빙시키는 좌,우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를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ir intake openings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a lower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side air outlets extending vertically; A left and right inlet panel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ir inlet; A left and a right inlet panel moving mechanism moving the left and right inlet panel from a side rear position of the air inlet to a position covering the air inlet and moving to a side rear position of the air inlet from a position covering the air inlet; A left and right discharge port panel formed larger than the air discharge port; And a left and right discharge port panel moving mechanism moving the discharge port panel from a side rearward posi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to a position covering the air discharge port and moving the discharge port panel to a side rear posi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at a position covering the air discharge port.
상기 본체의 상부에 승강되게 배치되고 전면에 전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더 포함한다. A discharge port unit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front air discharge port form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n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discharge port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패널을 닫았을 때 공기 흡입구 및 그 주변이 흡입구 패널에 덮혀지면서 가려져서, 공기 흡입구와 흡입구 패널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운전 정지시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간결해 보이면서 고급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losed when the air inlet panel and its vicinity are covered with the air inlet panel when the air inlet panel is closed so that no gap is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port and the air inlet panel, And can be upgraded to look compact as a w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패널이 본체와 이격되어 공기 흡입구를 개방하므로, 실내 공기가 본체와 흡입구 패널 사이 전방 뿐만 아니라 본체와 흡입구 패널 사이 후방을 통해 흡입되므로, 실내 공기가 공기 흡입구로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intake panel from the main body and opens the air intake port, so that room air is sucked not only forwardly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panel, but also through the rear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panel,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inhaled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 패널이 공기 토출구 및 그 주변을 덮어서 가리거나 개방할 때 흡입구 패널과 동일면에 위치되므로, 토출구 패널과 흡입구 패널이 일체적으로 일체감을 주면서 외관이 간결해보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air inlet panel when the air outlet panel covers or covers the air outlet and its vicinity, the appearance of the air outlet panel and the air inlet panel can be integrated and the appearance can be simplified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의 개방시 토출구 패널이 본체와 이격되면서 공기 토출구의 옆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므로, 토출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보다 다양하고 넓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left / right air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can be more variously and broadly controlled since the discharge port panel is moved to the side rear 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hen the air discharge port is ope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패널과 토출구 패널이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의 옆 후방으로 위치 이동식으로 무빙되므로, 흡입구 패널과 토출구 패널이 회전식으로 동작되는 경우보다 공기조화기의 좌우 폭을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air conditioner in a lateral direction rearward of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so that the lateral width of the air conditioner is made smaller than when the air inlet panel and the air outlet panel are rotated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space utilization is hig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 유닛이 본체의 상측으로 무빙되 어 공조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하므로, 공조 공기를 보다 멀리 토출할 수 있고, 실내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토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can be discharged farther, and the room can be evenly discharged as a whole, since the discharge port unit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the air- conditioning ai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을 개방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FIG.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를 공조시키는 본체(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4)(6)가 형성되고,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8)(10)가 형성된다.1 to 7,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본체(2)는 좌,우 양측 하부에 공기 흡입구(4)(6)가 각각 형성되고, 좌,우 양측 상부에 공기 토출구(8)(10)가 각각 형성되며,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흡입패널 어셈블리(30)(40)와, 토출패널 어셈블리(50)를 포함한다.The
베이스(12)는 본체(2)의 저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닛(20)과 흡입패널 어셈블리(30)(40)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후방부에 캐비닛(20)이 올려져 설치되고, 전방부에 흡입패널 어셈블리(30)(40)가 올려져 설치된다.The
캐비닛(20)은 본체(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판부(22)와 좌판부(24)와 우판부(26)로 이루어지고,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The
흡입패널 어셈블리(30)(40)는 좌측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0)와, 우측 공기 흡입구(6)가 형성된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0)로 이루어진다.The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0)는 캐비닛(20)의 좌판부(24)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된다.The left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0)는 좌측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된 좌측 흡입패널(31)과, 좌측 흡입패널(31)의 우측에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좌측 이너 패널(33)과, 좌측 이너 패널(33)의 개구부에 배치된 좌측 필터(34)와, 좌측 흡입패널(32)과 좌측 이너 패널(33)의 사이 공간에 승강되게 배치되어 좌측 필터(34)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좌측 청소 유닛(35)을 포함한다.The left
좌측 흡입패널(31)은 좌판부와 전판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판부에 좌측 공기 흡입구(4)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The
좌측 이너 패널(33)은 좌측 필터(34)가 장착되는 좌측 필터 프레임으로서, 좌측 흡입패널(31)을 향하는 면이 개구면으로 이루어지고, 개구면의 맞은편에 좌측 필터(34)가 배치되며, 상면과 하면과 후면이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left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0)는 좌측 공기 흡입구(4) 보다 크게 형성되어 좌 측 공기 흡입구(4)와 그 주변을 함께 덮거나 좌측 공기 흡입구(4)와 그 주변을 개방하는 좌측 흡입구 패널(36)과, 좌측 흡입구 패널(36)을 무빙시키는 좌측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38)를 더 포함한다.The left
좌측 흡입구 패널(36)은 좌측 공기 흡입구(4)와 그 주변을 함께 덮도록, 그 높이가 좌측 공기 흡입구(4)의 높이 보다 높고, 전후 방향의 폭이 좌측 공기 흡입구(4)의 전후 방향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The
좌측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38)는 좌측 흡입구 패널(36)이 본체(2)의 하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2)의 하부로 무빙되어 좌측 공기 흡입구(4)를 덮고, 좌측 흡입구 패널(36)이 본체(2)의 하부에서 본체(2)의 하부와 이격된 위치로 무빙되어 좌측 공기 흡입구(4)를 개방하도록 좌측 흡입구 패널(36)을 무빙시키는 것으로서, 좌측 흡입패널(31)과 좌측 이너 패널(33)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The left inlet
즉, 좌측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38)는 좌측 흡입구 패널(36)을 좌측 공기 흡입구(4)의 옆 후방 위치에서 좌측 공기 흡입구(4)를 덮는 위치로 무빙시키고 좌측 공기 흡입구(4)를 덮는 위치에서 좌측 공기 흡입구(4)의 옆 후방 위치로 무빙시킨다.That is, the left inlet
좌측 흡입구 패널(36)은 좌측 공기 흡입구(4)를 덮는 위치가 좌측 공기 흡입구 밀폐 위치이고, 좌측 공기 흡입구(4)의 좌측 후방 위치가 좌측 공기 흡입구 개방 위치가 된다.The left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0)는 캐비닛(20)의 우판부(26)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우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된다.The right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0)는 우측 공기 흡입구(6)가 형성된 우측 흡입패널(41)과, 우측 흡입패널(41)의 좌측에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우측 이너 패널(43)과, 우측 이너 패널(43)의 개구부에 배치된 우측 필터(44)와, 우측 흡입패널(41)과 우측 이너 패널(43)의 사이 공간에 승강되게 배치되어 우측 필터(44)의 이물질을 청소하는 우측 청소 유닛(45)을 포함한다.The right
우측 흡입패널(41)은 우판부와 전판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판부에 우측 공기 흡입구(6)가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우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The
우측 이너 패널(43)은 우측 필터(44)가 장착되는 우측 필터 프레임으로서, 우측 흡입패널(41)을 향하는 면이 개구면으로 이루어지고, 개구면의 맞은편에 우측 필터(44)가 배치되며, 상면과 하면과 후면이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right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0)는 우측 공기 흡입구(6) 보다 크게 형성되어 우측 공기 흡입구(6)와 그 주변을 함께 덮거나 우측 공기 흡입구(6)를 개방하는 우측 흡입구 패널(46)과, 우측 흡입구 패널(46)을 무빙시키는 우측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48)를 더 포함한다. The right
우측 흡입구 패널(46)은 우측 공기 흡입구(6)와 그 주변을 함께 덮도록, 그 높이가 우측 공기 흡입구(6)의 높이 보다 높고, 전후 방향의 폭이 우측 공기 흡입구(6)의 전후 방향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The
우측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48)는 우측 흡입구 패널(46)이 본체(2)의 하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2)의 하부로 무빙되어 우측 공기 흡입구(6)를 덮고, 우측 흡 입구 패널(46)이 본체(2)의 하부에서 본체(2)의 하부와 이격된 위치로 무빙되어 우측 공기 흡입구(6)를 개방하도록 우측 흡입구 패널(46)을 무빙시키는 것으로서, 우측 흡입패널(41)과 우측 이너 패널(43)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The right suction
즉, 우측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48)는 우측 흡입구 패널(46)을 우측 공기 흡입구(6)의 옆 후방 위치에서 우측 공기 흡입구(6)를 덮는 위치로 무빙시키고 우측 공기 흡입구(6)를 덮는 위치에서 우측 공기 흡입구(6)의 옆 후방 위치로 무빙시킨다.That is, the right inlet
우측 흡입구 패널(46)은 우측 공기 흡입구(6)를 덮는 위치가 우측 공기 흡입구 밀폐 위치이고, 우측 공기 흡입구(6)의 우측 후방 위치가 우측 공기 흡입구 개방 위치가 된다. The position of the right
토출패널 어셈블리(50)는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구(8)가 형성되고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구(10)가 형성된 토출 패널(51)을 포함한다.The
토출 패널(51)은 캐비닛(2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와 우측판부(54)를 갖는 전면 내측 패널(55)을 포함한다.The
전면 내측 패널(55)은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와 우측판부(5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한다.The front
전면 내측 패널(55)은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의 사이에 좌측 공간(S1)을 형성하는 좌측 공간 형성부(56)가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 공간 형성부(56)의 수직부(57)에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통 과하는 좌측 토출 개구부(58)가 형성된다.The front
전면 내측 패널(55)은 전판부(52)와 우측판부(54)의 사이에 우측 공간(S2)을 형성하는 우측 공간 형성부(66)가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 공간 형성부(66)의 수직부(67)에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통과하는 우측 토출 개구부(68)가 형성된다.The front
토출 패널(51)은 전면 내측 패널(55) 전방에 배치된 전면 커버(72)를 포함한다.The
전면 커버(72)는 전면 내측 패널(55)의 전방을 차폐하도록 설치되되, 전체적으로 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측의 일부(73)가 좌측 공간(S1)의 전방을 차폐하고, 우측의 일부(74)가 우측 공간(S2) 전방을 차폐한다.The
전면 커버(60)는 좌측 토출 개구부(58)와 우측 토출 개구부(68)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 방향으로 직진되지 않고, 좌측 전방의 경사 방향과 좌측 방향을 향해 토출되게 유도하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이다.The front cover 60 is a sort of air guide that guid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즉, 토출 패널 어셈블리(50)는 좌측 공기 토출구(8)가 좌측 토출 개구부(58)와 좌측 공간(S1)으로 이루어져 본체(2)의 내부에서 좌측 토출 개구부(58)로 유동된 공기가 좌측 공간(S1)을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고, 우측 공기 토출구(10)가 우측 토출 개구부(68)와 우측 공간(S2)으로 이루어져 본체(2)의 내부에서 우측 토출 개구부(68)로 유동된 공기가 우측 공간(S2)을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된다.That is, the
토출패널 어셈블리(50)는 좌측 공기 토출구(8) 보다 크게 형성되어 좌측 공기 토출구(8)와 그 주변을 함께 덮거나 좌측 공기 토출구(8)를 개방하는 좌측 토출 구 패널(76)과, 좌측 토출구 패널(76)을 무빙시키는 좌측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77)를 포함한다.The
좌측 토출구 패널(76)은 좌측 공기 토출구(8)와 그 주변을 함께 덮도록, 그 높이가 좌측 공기 토출구(8)의 높이 보다 높고, 전후 방향의 폭이 좌측 공기 토출구(8)의 전후 방향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The left
좌측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77)는 좌측 토출구 패널(76)이 본체(2)의 상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2)의 상부로 무빙되어 좌측 공기 토출구(8)를 덮고, 좌측 토출구 패널(76)이 본체(2)의 상부에서 본체(2)의 상부와 이격된 위치로 무빙되어 좌측 공기 토출구(8)를 개방하도록 좌측 토출구 패널(76)을 무빙시키는 것으로서, 토출패널(51)의 좌측에 설치된다.The left discharge port
좌측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77)는 좌측 토출구 패널(76)을 좌측 공기 토출구(8)의 옆 후방 위치에서 좌측 공기 토출구(8)를 덮는 위치로 무빙시키고 좌측 공기 토출구(8)를 덮는 위치에서 좌측 공기 토출구(8)의 옆 후방 위치로 무빙시킨다.The left outlet
좌측 토출구 패널(76)은 좌측 공기 토출구(8)를 덮는 위치가 좌측 공기 토출구 밀폐 위치이고, 좌측 공기 흡입구(8)의 좌측 후방 위치가 좌측 공기 토출구 개방 위치가 된다.The left
토출패널 어셈블리(50)는 우측 공기 토출구(10) 보다 크게 형성되어 우측 공기 토출구(10)와 그 주변을 함께 덮거나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개방하는 우측 토출구 패널(78)과, 우측 토출구 패널(78)을 무빙시키는 우측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79)를 포함한다.The
우측 토출구 패널(78)은 우측 공기 토출구(10)와 그 주변을 함께 덮도록, 그 높이가 우측 공기 토출구(10)의 높이 보다 높고, 전후 방향의 폭이 우측 공기 토출구(10)의 전후 방향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The right
우측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79)는 우측 토출구 패널(78)이 본체(2)의 상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2)의 상부로 무빙되어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덮고, 우측 토출구 패널(78)이 본체(2)의 상부에서 본체(2)의 상부와 이격된 위치로 무빙되어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개방하도록 우측 토출구 패널(78)을 무빙시키는 것으로서, 토출패널(51)의 우측에 설치된다.The right outlet
우측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79)는 우측 토출구 패널(78)을 우측 공기 토출구(10)의 옆 후방 위치에서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덮는 위치로 무빙시키고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덮는 위치에서 우측 공기 토출구(10)의 옆 후방 위치로 무빙시킨다.The right outlet
우측 토출구 패널(78)은 우측 공기 토출구(10)의 덮는 위치가 우측 공기 토출구 밀폐 위치이고, 우측 공기 흡입구(10)의 우측 후방 위치가 좌측 공기 토출구 개방 위치가 된다. The position of the right
토출패널 어셈블리(50)는 좌측 토출구 패널(76)에 회전되게 설치된 좌측 베인(81)과, 좌측 베인(81)을 회전시키도록 좌측 토출구 패널(76)에 설치된 좌측 베인 구동기구(82)와, 우측 토출구 패널(78)에 회전되게 설치된 우측 베인(83)과, 우측 베인(83)을 회전시키도록 우측 토출구 패널(78)에 설치된 우측 베인 구동기구(84)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0)와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0)가 좌,우 대칭 구조이고, 토출패널 어셈블리(50)가 좌,우 대칭 구조이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 흡입구 패널(36)과 우측 흡입구 패널(46)을 흡입구 패널(36)(46)로 칭하여 설명하고, 좌측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38)와 우측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48)를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38)(48)로 칭하여 설명하고, 좌측 토출구 패널(76)과 우측 토출구 패널(78)을 토출구 패널(76)(78)로 칭하여 설명하고, 좌측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77)와 우측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79)를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77)(79)로 칭하여 설명하고, 좌측 베인(81)과 우측 베인(83)을 베인(81)(83)으로 칭하여 설명하고, 좌측 베인 구동기구(82)와 우측 베인 구동기구(84)를 베인 구동기구(82)(84)로 칭하여 설명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ft
본체(2)의 전방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90)이 배치된다.In front of the
전면 패널(90)은 본체(2)의 전면 전체를 여닫도록 좌,우 중 일측으로 회동되게 연결된다. The
전면 패널(90)은 베이스(12) 및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0)와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0)와 토출패널 어셈블리(5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0)와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0)의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베이스(12) 및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0)와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0)와 토출패널 어셈블리(40) 중 적어도 하나에 좌,우 중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이하, 전면 패널(90)은 베이스(12) 및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0)와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0)와 토출패널 어셈블리(5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패널 어셈블리(50)의 상단과 베이스(12)의 전면부 사이를 여닫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전면 패널(9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미관을 형성하고 본체(2)를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부재(91)와,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 부재(92)와, 외측 부재(91)를 내측 부재(92)에 고정시키는 홀더(9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외측 부재(91)는 투명한 투명부재와, 투명부재 배면에 형성되고 색상 및 장식미를 갖는 필름이나 시트 등의 장식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색상이나 문양 등을 갖고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내측 부재(92)는 하부가 베이스(12)와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40)와,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50) 중 하나에 힌지로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부가 토출 패널 어셈블리(50)에 힌지로 회전되게 연결된다.The lower part of the
홀더(93)를 내측 부재(92)에 후크 등으로 걸이수단에 의해 장착된 브래킷(94)과, 브래킷(94)이 전면에 부착되고 외측부재(91)가 부착되는 양면 테잎(95)으로 이루어진다.The
브래킷(94)은 전면 패널(90)의 강도 보강을 위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외측부재(91)와 내측 부재(92) 사이에 복수개 배치된다.The
홀더(93)는 외측부재(91)와 내측 부재(92) 사이 좌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 좌측 브래킷과, 외측부재(91)와 내측 부재(92) 사이 우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 우측 브래킷으로 이루어진다.The
본체(2)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공기 토출구(96)가 형성된 별도의 토출구 유닛(97)이 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본체(2)의 위로 상승되고, 본체(2)의 위에서 본체(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1 to 5, a separate
본체(2)는 토출구 유닛(97)이 승강 안내되는 상면 개구부(98)를 갖는 승강 가이드(99)를 더 포함한다.The
토출구 유닛(97)은 승강 가이드(99)에 승강 안내되면서 승강 가이드(99)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전면 공기 토출구(96)가 개방/노출되거나 승강 가이드(99)의 내부로 하강되어 승강 가이드(99)의 상면 개구부(98) 즉, 본체(2)의 상면을 덮으면서 전면 공기 토출구(96)가 밀폐/은닉된다. The
여기서, 승강 가이드(99)는 캐비닛(20)과 토출패널 어셈블리(50)의 사이 공간 중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승강 가이드(99)에는 승강 가이드(99) 중 캐비닛(20)과 토출패널 어셈블리(50)의 사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가이드부(100)가 형성된다.The
돌출 가이드부(100)는 토출구 유닛(97)의 안정적인 승강 안내를 위해 토출패널 어셈블리(50) 및 캐비닛(20) 보다 높은 위치에서도 토출구 유닛(97)이 안내되게 하는 부분으로서, 승강 가이드(99)의 전판부 상단에서 돌출된 전방 돌출부와, 승강 가이드(99)의 후판부 상단에서 돌출된 후방 돌출부를 포함한다.The
승강 가이드(99)는 토출구 유닛(97)의 상승시 토출구 유닛(97)이 상측 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승되고, 토출구 유닛(97)의 하강시 토출구 유닛(97)이 하측 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강되게 안내한다.The elevating
승강 가이드(99)는 전판부와 후판부가 수직하게 형성되지 않고, 전방으로 경사진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즉, 토출구 유닛(97)은 승강 가이드(99)를 따라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승강되고, 그 상승시 전면 공기 토출구(96)의 위치는 토출구 유닛(97)이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된 경우 보다 전방에 위치되며, 토출구 유닛(97)이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된 경우 보다 공조 공기를 더 멀리 보낼수 있고, 공조화기는 상기와 같은 토출구 유닛(97)의 사선 방향 승강에 의해 최대 토출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를 조작하고 공기조화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2)를 더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디스플레이(102)는 전면 패널(90)이 간결해 보이고, 공기조화기 조작에 미숙한 어린이 등이 공기조화기를 조작하지 않도록 본체(2)의 상측에는 설치된다.The
디스플레이(102)는 토출구 유닛(97)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출 패널(51)의 상측 중 돌출 가이드부(100)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전방에서 돌출 가이드부(100)가 보이지 않도록 돌출 가이드부(100)를 가리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본체(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되 승강 가이드(99)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 기(110)와, 본체(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전방 혹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시키는 송풍기(120)와, 송풍기(1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송풍기(120)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130)과, 좌측 청소 유닛(35) 및 우측 청소 유닛(45)에 연결되어 좌측 필터와 우측 필터에서 청소된 이물질을 처리하는 이물질 처리 장치(14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송풍기(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팬모터(122)와, 팬모터(122)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124)과, 송풍팬(124) 및 팬모터(122)를 둘러싸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127)과, 팬 하우징(127)의 개구부에 배치된 오리피스(128)를 포함한다.5 and 6, the
오리피스(128)에는 안전망(129)이 일체로 형성된다.A
정화유닛(13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131)(132)(133)가 전후 방향으로 겹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4 to 6, a plurality of the
복수개 정화유닛(131)(132)(133)은 그 각각이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 전기 집진부와 헤파 필터와 각종 탈취 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purifying
이물질 처리 장치(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청소 유닛(35)과 연통되는 좌측 호스(141)와, 우측 청소 유닛(45)과 연통되는 우측 호스(142)와, 좌측 호스(141)와 우측 호스(142)가 연결된 이물질 분리기(143)와, 이물질 분리기(143)와 연결되어 이물질 분리기(143) 및 호스(141)(142)와 좌측 청소 유닛(35) 및 우측 청소 유닛(45)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유닛(144)과, 이물질 분 리기(143)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이물질 수거통(145)과, 좌측 청소 유닛(35) 및 우측 청소 유닛(45)과 흡입력 발생유닛(144)을 제어하는 베이스 제어부(146)를 포함한다.5, the foreign matter processing apparatus 140 includes a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상부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상부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인체 감지 센서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FIG. 9 is an upper vertical 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10; FIG.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유닛(97)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99)에 승강 안내되는 토출구 바디(150)와, 토출구 바디(150)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 공기를 확산시키는 디퓨져(160)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센서(170)와, 토출구 유닛(97)에 설치된 모터나 센서 등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를 포함한다.8 to 10, the
토출구 바디(150)는 저면에서부터 전면으로 이어지는 토출 통로(151)와, 인체 감지센서(170) 및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152)이 구획부(153)에 의해 구획된다.The
구획부(153)에는 후술하는 수직토출베인 모터(168)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공(154)이 형성된다.The
토출구 바디(150)는 구획부(153) 중 일부가 토출 통로(151)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인체 감지센서 설치부(155)가 형성된다.The
인체 감지센서 설치부(155)는 전면에 적외선 등의 광 투과를 위한 개구부(155a)가 형성된다.The human body detection
토출구 바디(150)는 전장실(152)을 덮는 탑 커버(157)를 더 포함한다.The
디퓨져(160)는 토출 통로(151)에 설치된 디퓨져 바디(161)와, 디퓨져 바디(161)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된 토출 베인(162)(163)을 포함한다.The
디퓨져 바디(161)는 하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격자부(164)가 형성된다.The
디퓨져 바디(161)는 상부에 인체 감지센서 설치부(157)를 회피하는 회피부(165)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The
회피부(165)는 전면에 적외선 등의 광 투과를 위한 개구부(165a)가 형성된다.The
토출 베인(162)(163)은 디퓨져 바디(161)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게 배치된 수평 토출베인(162)과, 디퓨져 바디(162)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되게 배치된 수직 토출베인(163)을 포함한다.The discharge vanes 162 and 163 are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수직 토출베인(163)은 복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중 어느 하나가 구동 수직 토출베인이고, 나머지가 종동 수직 토출베인으로 구성되고, 구동 수직 토출베인과 종동 수직 토출베인은 연동 부재(166)로 연결된다.The
토출구 유닛(97)은 수평 토출베인(162)을 회전시키는 수평 토출베인 회전기구와, 수직 토출베인(163)을 회전시키는 수직 토출베인 회전기구를 포함한다.The
수평토출베인 회전기구는 회전축이 수평하게 배치되게 디퓨져 바디(161)의 좌측판과 우측판 중 하나에 설치되고, 회전축이 수평 토출베인(162)의 수평축에 연결된 수평토출베인 모터(167)로 이루어진다.The horizontal discharge vane rotating mechanism includes a horizontal
수직토출베인 회전기구(168)는 회전축이 수직하게 배치되게 토출구 바디(150)의 전장실에 설치되고 회전축이 회전축이 수직 토출베인(163) 중 구동 수직 토출베인에 연결된 수직토출베인 모터(168)로 이루어진다.The vertical discharge
디퓨져 바디(161)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어느 하나에 수평 토출베인(162)의 일측 수평축(162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축 지지홀(161a)이 형성되고, 좌측판(165)과 우측판(166) 중 다른 하나에 수평 토출베인(162)의 타측 수평축(162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축 지지홀(161b)이 형성된다.A
디퓨져 바디(161)는 상부에 복수개 수직 토출베인(163)의 상부 수직축(163a)을 지지하는 수직축 지지공(161c)이 형성되고, 격자부(164)에 복수개 수직 토출베인(163)의 하부 수직축(163b)을 지지하는 수직축 지지공(161d)이 형성된다.A
인체 감지센서(17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감지센서 설치부(157)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 바디(171)와, 고정 바디(171)에 회전되게 배치된 회전 바디(172)와, 회전 바디(172)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173)(174)와, 회전 바디(172)를 회전시키는 회전 바디 회전기구(175)와, 인체 감지센서(170)의 인체 감지를 가시화하는 조명부(176)를 포함한다.11, the human
고정 바디(171)는 회전 바디(172)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면서 회전 바디(172)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곡선 형상의 레일(177)이 형성되고, 지지공(178)이 형성된다.The fixed
회전 바디 회전기구(175)는 인체 감지센서 설치부(157)에 설치된 인체감지 모터(179)와, 인체감지 모터(179)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180)을 포함한다. The rotating
조명부(176)는 회전 바디(172)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 바디(172)에 설치된 엘이디 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The
조명부(176)는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와, 엘이디가 설치된 피시비로 이루어진다.The
적외선 센서(173)(174)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 최대화되도록 복수개가 설치 각도가 상이하게 설치된다.The plurality of
회전 바디(171)는 복수개 적외선 센서(173)(174)의 감지 각이 상이하도록 적외선 센서(173)(174)가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 설치면(181)(182)의 각도가 상이하게 형성된다.The
회전 바디(171)는 조명부(176)인 엘이디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조명부 설치부(183)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The
회전 바디(171)는 구동기어(180)에 치합되는 종동기어(184)가 반원 형상으로 일체 형성된다.The
회전 바디(172)는 레일(177)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 돌기(185)와, 지지공(178)에 삽입되어 지지공(17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 돌기(186)를 포함하고, 안내 돌기(185)와 지지 돌기(186)는 종동기어(184)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다.The
토출구 유닛(79)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감지센서(170)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187)를 더 포함한다.The
보호 커버(187)는 인체 감지센서 설치부(155)의 개구부(155a)를 덮도록 배치되고, 적외선이 투과됨과 아울러 조명부(176)의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에이치디피이(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는 적외선 센서(173)(174)와, 조명부(176)와 인체감지 모터(179)와, 수평토출베인 모터(167)와, 수직토출베인 모터(168)와 후술하는 승강용 모터(202)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장실(152)에 설치된다.The discharge port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박스체(191)와, 박스체(191)의 개방면을 덮는 커버(192)와, 박스체(191)의 내부에 배치된 피시비 인슐레이터(193)와, 피시비 인슐레이터(193)에 설치되고 전장부품이 배치된 피시비(194)를 포함한다.10, the discharge port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는 박스체(191)와 커버(192)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피시비 인슐레이터(193)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다.In the discharge port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 유닛(79)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200)와, 승강기구(200)에 의한 토출구 유닛(79)의 승강을 돕는 안내수단(21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8 to 10,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levating
승강기구(200)는 토출구 바디(150)에 설치된 모터 마운터(201)와, 모터 마운터(201)에 설치된 승강용 모터(202)와, 승강용 모터(202)에 설치된 구동기어(203)와, 승강 가이드(99)에 설치된 종동기어(204)로 이루어진다.The
승강용 모터(202)는 회전축이 수평하게 배치되게 설치된다.The lifting and lowering
구동기어(203)은 승강용 모터(202)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다.The
종동기어(204)는 승강 가이드(99)에 대략 상하로 길게 배치된 랙으로 이루어진다.The driven
승강기구(200)는 종동기어(204)가 승강 가이드(99)의 후판부에 설치되고, 모터 마운터(201)는 구동기어(203)가 종동기어(204)에 치합되는 위치에 설치된다.The driven
안내수단(210)은 승강 가이드(99)의 좌,우 측판부에 각각 형성된 좌,우 가이드부(211)에 설치된 좌,우 고정 레일(212)과, 좌,우 고정 레일(212)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토출구 바디(150)의 좌,우 측판부에 각각 형성된 좌,우 가이드부(213)에 설치된 좌,우 이동 레일(214)을 포함한다.The guide means 210 includes left and right fixing
안내수단(210)은 승강 가이드(99)의 전판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부(215)와, 가이드 홈부(215)를 따라 안내되도록 토출구 바디(150)의 전방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16)를 포함한다.The guiding means 210 includes a guiding
돌출부(216)는 가이드 홈부(215)를 따라 안내되는 리브로 이루어진다.Th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흡입 패널 어셈블리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흡입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개방시 상부 구동기구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밀폐시 상부 구동기구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개방시 하부 구동기구 및 구동모 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밀폐시 하부 구동기구 및 구동모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FIG. 12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of a suction pane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 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an upper driving mechanism for closing an air inle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plan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illustrating a lower driving mechanism and a driving motor for closing the air inle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lan view of the lower driving mechanism and the driving motor when the air- FIG.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38)(48)는 흡입구 패널(36)(46)에 회전되게 연결된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330)와, 본체(2)에 설치되어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330)를 회전시키는 링크 회전기구(340)(350)(360)(370)와,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의 회전시 흡입구 패널(36)(46)이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330)와 상대 회전되면서 흡입 패널(31)(41)과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흡입구 패널(36)(46)의 무빙을 가이드하는 흡입구 패널 무빙 가이드(380)(390)를 포함한다.The inlet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330)는 상하 안정적인 무빙을 위해 복수개 설치되고, 흡입구 패널(36)(46)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 링크(320)와, 흡입구 패널(36)(46)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 링크(330)로 이루어진다.The suction port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330)인 상부 링크(320)와 하부 링크(330) 각각은 흡입 패널(31)(41)을 관통하는 링크부(322)(332)와, 링크부(322)(332)의 일단에 형성되고 링크 회전기구(340)(350)(360)(370)에 치합된 기어부(324)(334)와, 흡입구 패널(36)(4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326)(336)를 포함한다.The
링크 회전기구(340)(350)(360)(370)는 상부 링크(3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부 링크(320)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상부 구동기구(340)와, 하부 링크(3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하부 링크(330)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하부 구동기구(350)와, 상부 구동기구(340)와 하부 구동기구(350) 중 하나를 회전 동작시키는 링크 회전모터(360)와, 상부 구동기구(340)와 하부 구동기구(350)가 연동되 게 연결하는 수직 샤프트(370)를 포함한다.The
상부 구동기구(340)는 흡입패널(31)(41)과 이너 패널(33)(43) 중 하나의 상부에 장착되는 바, 이너 패널(33)(43)의 상판부 상측에 위치되고 이너 패널(33)(43)의 상판부에 체결부재(341)로 체결된다.The
하부 구동기구(350)는 흡입패널(31)(41)과 이너 패널(33)(43) 중 하나의 하부에 장착되는 바, 이너 패널(33)(43)의 하판부 하측에 위치되고 이너 패널(33)(43)의 하판부에 체결부재(351)로 체결된다.The
상부 구동기구(340)와 하부 구동기구(350)는 흡입 패널(31)(41)을 향하는 면에 링크 관통부(342)(352)가 개구 형성된 기어 박스(343)(353)와,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의 기어부(324)(334)와 치합되고 기어 박스(343)(353)에 회전되게 설치된 구동기어(344)(354)를 포함한다.The
기어 박스(343)(353)는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330)의 기어부(324)(334)와 구동기어(344)(354)를 보호함과 아울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부 박스(345)(355)와 하부 박스(346)(356)의 결합체로 이루어진다. The
상부 박스(345)(355)에는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330)의 기어부(324)(334)에 형성된 상부 지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지지축 지지부(345a)(355a)가 홀 혹은 보스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하부 박스(346)(356)는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330)의 기어부(324)(334)에 형성된 하부 지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지지축 지지부(346a)(356a)가 홀 혹은 보스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구동기어(344)(354)는 수직 샤프트(370)가 연결되는 샤프트 연결부(347)(357)가 형성된다.The driving gears 344 and 354 are formed with
링크 회전모터(360)는 상부 구동기구(340)의 기어 박스(343) 상측와, 하부 구동기구(350)의 기어 박스(343) 하측 중 일측에 설치된다.The
수직 샤프트(370)는 상부 구동기구(340) 구동기어(344)와 하부 구동기어(350)의 구동기어(354)를 연결하거나, 상부 링크(320)의 기어부(324)와 하부 링크(330)의 기어부(334)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링크 회전모터(360)의 회전축 연장선상에 위치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부가 상부 구동기구(340) 구동기어(344)와 연결되고, 하부가 하부 구동기어(350)의 구동기어(354)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수직 샤프트(370)는 청소 유닛(35)(45)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도록 흡입패널(31)(41)와 이너 패널(33)(43)의 사이 공간 이외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너 패널(33)(43) 후방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수직 샤프트(370)는 상하 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그 회전시 흔들릴수 있고, 수직 샤프트(370)는 흡입패널(31)(41)와 이너 패널(33)(43) 중 일측에 설치된 샤프트 서포터(37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샤프트 서포터(372)는 이너 패널(33)(43)의 후판부에 배치되고 이너 패널(33)(43)의 후판부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양면 테잎 등의 접착부재로 부착된 판체부(374)와, 판체부(374)에서 수직 샤프트(370)를 향해 돌출되어 수직 샤프트(370)가 지지하는 후크(376)를 포함한다.The
후크(376)는 판체부(374)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A plurality of
한편, 링크 회전기구(340)(350)(360)(370)는 링크 회전모터(360)가 하부 구동기구(350)의 기어 박스(353) 하부에 설치될 경우, 하부 구동 기구(350)의 기어 박스(353) 중 하부 박스(356)에 링크 회전모터(360)의 회전축(361)이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공(356b)이 형성되고, 하부 구동 기구(350)의 기어 박스(353) 중 상부 박스(355)에 수직 샤프트(37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샤프트 관통공(355b)이 형성되고, 상부 구동 기구(340)의 기어 박스(343) 중 하부 박스(346)에 수직 샤프트(37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샤프트 관통공(346c)이 형성되고, 상부 구동 기구(350)의 기어 박스(343) 중 상부 박스(345)에 수직 샤프트(37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부(345b)가 형성된다. When the
링크 회전기구(340)(350)(360)(370)는 링크 회전모터(360)가 상부 구동기구(340)의 기어 박스(343) 상부에 설치될 경우, 상부 구동기구(340)의 기어 박스(343) 중 상부 박스(345)에 링크 회전모터(360)의 회전축(361)이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 구동기구(340)의 기어 박스(343) 중 하부 박스(346)에 수직 샤프트(37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샤프트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부 구동기구(350)의 기어 박스(353) 중 상부 박스(355)에 수직 샤프트(37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샤프트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 구동기구(350)의 기어 박스(353) 중 하부 박스(356)에 수직 샤프트(37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부가 형성된다.When the
흡입구 패널 무빙 가이드(380)(390)는 링크 회전기구(340)(350)(360)(370)와 흡입구 패널(36)(46)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382)(392)와, 링크 회전기구(340)(350)(360)(370)와 흡입구 패널(36)(46)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돌기(382)(392)에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384)(394)을 포함한다.The inlet
돌기(382)(392)는 상부 구동기구(340)의 기어 박스(343)의 내부와 하부 구동기구의 기어 박스(353) 내부 각각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바, 상부 구동기구(340)의 기어 박스(343)의 내부에 형성된 상부 돌기(382)와, 하부 구동기구의 기어 박스(353) 내부에 형성된 하부 돌기(392)를 포함한다.The
가이드 레일(384)(394)은 흡입구 패널(36)(46)의 후술하는 상부 안내부(407)와 하부 안내부(408) 각각에 곡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 상부 안내부(407)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 레일(384)과, 하부 안내부(408)에 형성된 하부 가이드 레일(394)을 포함한다.The guide rails 384 and 394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each of the
가이드 레일(384)(394)은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330)를 흡입 패널(31)(32)의 옆으로 돌출되게 회전시켰을 때 돌기(382)(392)를 따라 안내되면서 흡입구 패널(36)(46) 중 링크 연결부(405)(406) 이외가 링크 연결부(405)(406)와 함께 전체적으로 옆 후방으로 밀리게 하고,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330)를 흡입 패널(31)(32)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회전시켰을 때 돌기(382)(392)를 따라 안내되면서 흡입구 패널(36)(46) 중 링크 연결부(405)(406) 이외가 링크 연결부(405)(406)와 함께 전체적으로 옆 전방으로 당겨지게 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대략 앞을 향하고 타단이 대략 옆을 향하며 일단과 타단 사이가 본체(2)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guide rails 384 and 394 are guided along the
여기서, 좌측 흡입구 패널(36)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84)(394)은 일단이 대략 전방을 향하고 타단이 좌측을 향하게 형성되고, 우측 흡입구 패널(46)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84)(394)은 일단이 대략 전방을 향하고 타단이 우측을 향하게 형성된다.The guide rails 384 and 394 formed on the
한편, 흡입구 패널(36)(46)은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38)(48)에 연결되어 공기 흡입구(4)(6)를 덮거나 개방하는 흡입구 개폐부재(402)와, 흡입구 개폐부재(402)의 외면에 배치된 장식부재(404)를 포함한다.The
흡입구 개폐부재(402)는 본체(2)를 향하는 면에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38)(48) 특히 흡입구 패널 연결링크(320)(330)가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405)(406)가 형성되고,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38)(48)에 안내되는 안내부(407)(408)가 형성된다.The inlet opening and closing
링크 연결부(405)(406)는 흡입구 개폐부재(402)의 상부에 상부 링크(320)가 연결되게 형성된 상부 링크 연결부(405)와, 흡입구 개폐부재(402)의 하부에 하부 링크(330)가 연결되게 형성된 하부 링크 연결부(406)로 이루어진다.The
안내부(407)(408)는 흡입구 패널 연결 링크(320)(330) 및 링크 연결부(405)(406)를 차폐하도록 링크 연결부(405)(406)의 전방에 형성된다. The
안내부(407)(408)는 흡입구 개폐부재(402)의 상부에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38)(48)에 안내되게 형성된 상부 안내부(407)와, 흡입구 개폐부재(402)의 하부에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38)(48)에 안내되게 형성된 하부 안내부(408)를 포함한다.The guiding
한편, 흡입 패널(31)(41)은 공기 흡입구(4)(6)의 상부에 상부 링크(320)와 상부 안내부(407)가 함께 관통되는 상부 관통부(410)가 공기 흡입구(4)(6)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4)(6)의 하부에 하부 링크(330)와 하부 안내부(408)가 함께 관통되는 하부 관통부(412)가 공기 흡입구(4)(6)와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상부 관통부(410)는 상부 링크(320)와 상부 안내부(407) 중 적어도 하나가 상부 관통부(410)에 접촉되면서 안내되도록 상부 링크(320)와 상부 안내부(407) 중 높이가 높은 것 보다 조금 큰 높이를 갖는다.The upper penetrating
하부 관통부(412)는 하부 링크(330)와 하부 안내부(408) 중 적어도 하나가 하부 관통부(412)에 접촉되면서 안내되도록 하부 링크(330)와 하부 안내부(408) 중 높이가 높은 것 보다 조금 큰 높이를 갖는다. The
한편, 흡입 패널 어셈블리는, 청소 유닛(35)(45)이 접속되게 흡입 패널(31)(41)과 이너 패널(33)(43)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흡입 덕트(420)와, 흡입 덕트(420)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호스(141)(142)가 연결되는 호스 커넥터(430)를 더 포함한다.The suction panel assembly includes a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토출구 개방시 상부 링크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토출구 밀폐시 상부 링크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따 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토출구 개방시 하부 링크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토출구 밀폐시 하부 링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FIG. 18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panel assembly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panel assembly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plan view showing an upper link when the air outle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rmetically sealed, FIG. 22 is a plan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plan view of the lower link when the air outle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rmetically sealed. FIG. 23 is a top plan view of the lower link when the air outlet of the air conditioner is opened.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77)(79)는 토출구 패널(76)(78)에 회전되게 연결된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520)(530)와, 본체(2)에 설치되어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520)(530)를 회전시키는 링크 회전기구(560)(570)와,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520)(530)의 회전시 토출구 패널(76)(78)이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520)(530)와 상대 회전되면서 토출 패널(51)과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토출구 패널(76)(78)의 무빙을 가이드하는 토출구 패널 무빙 가이드(580)(590)를 포함한다.The outlet port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520)(530)는 상하 안정적인 무빙을 위해 복수개 설치되고, 토출구 패널(76)(78)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 링크(520)와 토출구 패널(76)(78)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 링크(530)로 이루어진다.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520)(530)인 상부 링크(520)와 하부 링크(530) 각각은 토출 패널(51)을 관통하는 링크부(522)(532)와, 링크부(522)(532)의 일단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직 샤프트(570)가 연결되는 샤프트 연결부(524)(534)와, 토출구 패널(76)(7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324)(334)를 포함한다.Each of the
상부 링크(520)는 공간 형성부(56)(66)의 상판부 하측에 배치되고, 하부 링크(530)는 공간 형성부(56)(66)의 하판부 상측에 배치된다.The
링크 회전기구(560)(570)는 상부 링크(520)와 하부 링크(530) 중 하나를 회전 동작시키는 링크 회전모터(560)와, 상부 링크(520)와 하부 링크(530)가 연동되 게 연결하는 수직 샤프트(570)를 포함한다.The
링크 회전모터(560)는 공간 형성부(56)(66)의 상판부 상측과 공간 형성부(56)(66)의 하판부 하측 중 일측에 설치된다.The
링크 회전모터(560)는 공간 형성부(56)(66)의 상판부 상측과 공간 형성부(56)(66)의 하판부 하측에 설치될 경우, 모터 커버(562)가 링크 회전모터(560)를 덮도록 설치된다.When the
수직 샤프트(570)는 상부가 상부 링크(520)의 샤프트 연결부(524)에 연결되고 하부가 하부 링크(530)의 샤프트 연결부(534)에 연결된다. The
수직 샤프트(370)는 공간 형성부(56)(66)의 공간(S1)(S2)에 배치된다. The
링크 회전기구(360)(370)는 링크 회전모터(360)가 공간 형성부(56)(66)의 상판부 상측에 설치된 경우, 공간 형성부(56)(66)의 상판부에 링크 회전모터(560)의 회전축(561)과 상부 링크(520)의 샤프트 연결부(524)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는 관통공(59a)이 형성되고, 공간 형성부(56)(66)의 하판부에 수직 샤프트(37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59b)가 형성된다. The
반대로, 링크 회전기구(360)(370)는 링크 회전모터(360)가 공간 형성부(56)(66)의 하판부 하측에 설치된 경우, 공간 형성부(56)(66)의 하판부에 링크 회전모터(560)의 회전축(561)과 하부 링크(530)의 샤프트 연결부(534)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공간 형성부(56)(66)의 상판부에 수직 샤프트(37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토출구 패널 무빙 가이드(580)(590)는 본체(2)와 토출구 패널(76)(78) 중 어 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582)(592)와, 본체(2)와 토출구 패널(76)(78)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돌기(582)(592)에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84)(594)을 포함한다. The outlet port
돌기(582)(592)는 공간 형성부(56)(66) 상판부 하면에 하향 돌출된 상부 돌기(582)와, 공간 형성부(56)(66) 하판부 상면에 하향 돌출된 하부 돌기(584)를 포함한다. The
가이드 레일(584)(594)은 토출구 패널(76)(78)의 후술하는 상부 안내부(607)와 하부 안내부(608) 각각에 곡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 상부 안내부(607)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 레일(584)과, 하부 안내부(608)에 형성된 하부 가이드 레일(594)을 포함한다.The guide rails 584 and 594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each of the
가이드 레일(584)(594)은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520)(530)를 토출패널(51)의 옆으로 돌출되게 회전시켰을 때 돌기(582)(592)를 따라 안내되면서 흡입구 패널(76)(78) 중 링크 연결부(605)(606) 이외가 링크 연결부(605)(606)와 함께 전체적으로 옆 후방으로 밀리게 하고,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520)(530)를 흡입 패널(51)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회전시켰을 때 돌기(582)(592)를 따라 안내되면서 흡입구 패널(76)(78) 중 링크 연결부(605)(606) 이외가 링크 연결부(605)(606)와 함께 전체적으로 옆 전방으로 당겨지게 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대략 앞을 향하고 타단이 대략 옆을 향하며 일단과 타단 사이가 본체(2)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guide rails 584 and 594 are guided along the
여기서, 좌측 토출구 패널(76)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584)(594)은 일단이 대략 전방을 향하고 타단이 좌측을 향하게 형성되고, 우측 토출구 패널(78)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584)(594)은 일단이 대략 전방을 향하고 타단이 우측을 향하게 형성된다.The guide rails 584 and 594 formed on the left
토출구 패널(76)(78)은 토출구 패널 연결 링크(520)(530)가 회전되게 연결되어 공기 토출구(8)(10)를 덮거나 개방하는 토출구 개폐부재(602)와, 상기 토출구 개폐부재(602)의 외면에 배치된 장식부재(604)를 포함한다.The
토출구 개폐부재(602)는 본체(2)를 향하는 면에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77)(79) 특히 토출구 패널 연결링크(520)(5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605)(606)와, 가이드 레일(584)(594)이 형성되는 안내부(607)(608)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port opening and closing
링크 연결부(605)(606)는 토출구 개폐부재(602)의 상부에 상부 링크(520)가 연결되게 형성된 상부 링크 연결부(605)와, 토출구 개폐부재(602)의 하부에 하부 링크(530)가 연결되게 형성된 하부 링크 연결부(606)로 이루어진다.The
안내부(607)(608)는 토출구 개폐부재(60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안내부(607)와, 토출구 개폐부재(602)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안내부(608)를 포함한다. The
상부 링크 연결부(605)는 토출구 개폐부재(602)의 상부에서 본체(2)를 향해 돌출된 상판부(609)와, 상판부(609)에서 상향 돌출된 링크 연결부(610)를 포함한다. The upper
상부 안내부(607)는 상부 링크 연결부(605)의 상판부(609) 상측에 설치되되 상부 링크(520) 및 링크 연결부(610)를 차폐하도록 링크 연결부(610) 전방에 위치 되게 설치된다.The
상부 안내부(607)는 전면과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판부(611)에 상부 가이드 레일(584)이 형성된다.The
상부 링크 연결부(605)에는 상부 링크(520) 및 상부 안내부(605)를 차폐하는 상부 차폐부(612)가 상판부(609) 선단에 상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An
하부 링크 연결부(606)는 토출구 개폐부재(602)의 하부에서 본체(2)를 향해 돌출된 하판부(613)와, 하판부(613)에서 하향 돌출된 링크 연결부(614)를 포함한다. The lower
하부 안내부(607)는 하부 링크 연결부(606)의 하판부(613) 하측에 설치되되 하부 링크(530) 및 링크 연결부(614)를 차폐하도록 링크 연결부(614)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된다.The
하부 안내부(607)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판부(615)에 하부 가이드 레일(594)이 형성된다.The
하부 링크 연결부(606)에는 하부 링크(530) 및 하부 안내부(607)를 차폐하는 하부 차폐부(616)가 상판부(615) 선단에 상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The lower
베인(81)(83)은 토출구 개폐부재(60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The
베인(81)(83)은 상부 링크 연결부(605)와 상부 링크 연결부(606) 사이에 회전되게 배치된다. The
베인 구동기구(82)(84)는 베인(81)(83)을 회전시키도록 토출구 개폐부재(602)에 설치된다.The
베인 구동기구(82)(84)는 베인(81)(83)을 직접 회전시키도록 상부 안내부(607)와 하부 안내부(608) 중 하나에 설치된 베인 회전용 모터로 이루어진다.The
상부 안내부(607)와 하부 안내부(608) 중 어느 하나의 안내부는 베인 구동기구(82)(84)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하, 하부 안내부(608)가 베인 구동기구(82)(84)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One of the guide portions of the
즉, 상부 링크 연결부(605)는 베인(81)(83)의 상부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605a)가 형성된다.That is, the upper
하부 링크 연결부(606)는 베인(81)(83)의 하부 회전축과 베인 회전용 모터의 회전축 중 둘 중 하나가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부(606a)가 형성된다. The lower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2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102)의 조작과 복수개 적외선 센서(173)(174)의 감지 결과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700)를 더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컨트롤 박스(700)는 본체(2)에 설치된 모터 등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팬모터(122)와, 흡입패널 어셈블리(30)(40)의 링크 회전모터(360)와, 토출패널 어셈블리(50)의 링크 회전모터(560)와, 베인 회전용 모터(82)(84)를 제어한다.The
컨트롤 박스(700)는 베이스 제어부(146) 및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와 연결된다. The
여기서, 베이스 제어부(146)는 청소 유닛(35)(45)과, 흡입력 발생 유닛(144)을 제어한다.Here, the
그리고,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는 조명부(176)와 인체감지 모터(179)와, 수평토출베인 모터(167)와, 수직토출베인 모터(168)와 승강용 모터(202)를 제어한다.The discharge port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 등이 디스플레이(102)를 통해 운전 명령을 입력하면, 컨트롤 박스(700)는 상기와 같은 운전시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로 운전 명령을 송출하고,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는 승강용 모터(202)를 상승모드로 구동시키고, 수평토출베인 모터(167)와, 수직토출베인 모터(168)와 인체감지 모터(179)를 구동시키며, 조명부(176)를 온시킨다.First, when a user or the like inputs an operation command through the
승강용 모터(202)의 상승모드시, 구동기어(203)가 회전되면서 종동기어(204)를 따라 상승되고, 승강용 모터(202)와 모터 마운터(201)와 상승되며, 토출구 유닛(97)은 승강 가이드(99)의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경사지게 상승되고, 전면 공기 토출구(96)는 외부로 노출된다.The lifting
인체감지 모터(168)의 구동시, 구동기어(180)가 회전되면서 종동 기어(184)를 회전시키고, 회전 바디(172)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며, 복수개의 적외선 센서(173)(174)는 실내를 스캐닝하면서 인체를 감지한다.When the human
조명부(176)의 온시, 조명부(176)는 광을 조사하여 인체 감지 동작 중임을 외부로 표시하면서 가시화한다.When the illuminating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02)의 조작에 따라 토출모드를 결정하여 수평토출베인 모터(167)와, 수직토출베인 모터(168)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고, 인체감지 센서(170)에서 감지한 인체의 위치로 공조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수평토출베인 모터(167)와, 수직토출베인 모터(168)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charge port
수평토출베인 모터(167)의 구동시, 수평토출베인(162)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면서 공조 공기의 상하 풍향을 결정하고, 수직 토출베인 모터(168)의 구동시, 복수개의 수직토출베인(163)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되면서 공조 공기의 좌우 풍향을 결정한다.When the vertical
또한,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는 수평토출베인(162)과 수직토출베인(163)이 왕복 회전되게 수평토출베인 모터(167)와, 수직토출베인 모터(168)을 정,역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수평토출베인(162)과 수직토출베인(163)이 인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회전된 후 고정되게 수평토출베인 모터(167)와, 수직토출베인 모터(168)를 구동 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discharge port
그리고, 컨트롤 박스(700)는 상기와 같은 토출구 유닛(97)의 상승과 함께 흡입패널 어셈블리(30)(40)의 링크 회전모터(360)와, 토출패널 어셈블리(50)의 링크 회전모터(560)를 개방모드로 구동시키고, 베인 회전용 모터(82)(84)를 구동시킨다.The
흡입패널 어셈블리(30)(40)의 링크 회전모터(360) 개방모드 구동시, 상부 구동기구(340)의 구동기어(344)와 하부 구동기구(350)의 구동기어(354) 중 링크 회전모터(360)의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기어(354)는 회전되고, 수직 샤프트(370)는 회전 되며, 수직 샤프트(370)를 통해 링크 회전모터(360)의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기어와 연결된 타 구동기어는 함께 회전된다.The
상부 구동기구(340)의 구동기어(344)와 하부 구동기구(350)의 구동기어(354)의 회전시, 상부 링크(320)와 하부 링크(330)는 회전되고, 흡입구 패널(36)(46)은 상부가 상부 링크(320)에 의해 본체(2)의 하부 옆 후방으로 회전되고 하부가 하부 링크(330)에 의해 본체(2)의 하부 옆 후방으로 회전된다.The
즉, 흡입구 패널(36)(46)은 상부와 하부 모두에 링크 연결부(405)(406)를 공기 흡입구(4)(6)의 옆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되고, 이때, 가이드 레일(384)(394)은 돌기(382)(392)를 따라 안내되면서 흡입구 패널(36)(46) 중 링크 연결부(405)(406) 이외가 링크 연결부(405)(406)와 함께 전체적으로 공기 흡입구(4)(6)의 옆 후방으로 회전되게 하며, 흡입구 패널(36)(46)은 공기 흡입구(4)(6)의 옆 후방으로 전체가 안정적으로 회전되고, 이때 공기 흡입구(4)(6)는 개방된다.That is, the
토출패널 어셈블리(50)의 링크 회전모터(560) 개방모드 구동시, 상부 링크(520)와 하부 링크(530) 중 링크 회전모터(560)의 회전축이 연결된 링크는 회전되고, 수직 샤프트(570)는 회전되며, 수직 샤프트(570)를 통해 링크 회전모터(560)의 회전축이 연결된 링크와 연결된 타 링크는 함께 회전된다.The link between the
상기와 같은 상부 링크(520)와 하부 링크(530)의 회전시 토출구 패널(76)(78)은 상부가 상부 링크(520)에 의해 본체(2)의 상부 옆 후방으로 회전되고 하부가 하부 링크(530)에 의해 본체(2)의 상부 옆 후방으로 회전된다.When the
즉, 토출구 패널(76)(78)은 상부와 하부 모두에 링크 연결부(605)(606)를 공 기 토출구(8)(10)의 옆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되고, 이때, 가이드 레일(584)(594)은 돌기(582)(592)를 따라 안내되면서 토출구 패널(76)(78) 중 링크 연결부(605)(606) 이외가 링크 연결부(605)(606)와 함께 전체적으로 공기 토출구(8)(10)의 옆 후방으로 회전되게 하며, 토출구 패널(76)(78)은 공기 토출구(8)(10)의 옆 후방으로 전체가 안정적으로 회전되고, 이때 공기 토출구(8)(10)는 개방된다.That is, the
베인 회전용 모터(82)(84)의 구동시 베인(81)(83)은 공기 토출구(8)(10)와 토출구 패널(76)(78) 사이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된다.The
한편, 컨트롤 박스(700)는 상기와 같이, 본체(2)의 공기 흡입구(4)(6) 및 공기 토출구(8)(10)와 토출구 유닛(97)의 전면 공기 토출구(96) 모두의 개방시, 팬모터(122)를 구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팬모터(122)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좌,우 공기 흡입구(4)(6)를 통해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되고, 본체(2)의 내부에서 필터(34)(44), 정화유닛(130)에 의해 정화되고, 열교환기(110)와 열교환되어 공조된다. When the
상기와 같이 공조된 공기는 일부가 본체(2)의 좌,우 공기 토출구(8)(10)를 통해 본체(2)의 상부 좌,우 양측으로 토출되되, 베인(81)(83)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 안내되고, 나머지가 토출구 유닛(97)의 전면 공기 토출구(96)를 통해 토출구 유닛(97)의 전방으로 토출되되, 수평토출베인(162)와 복수개의 수직토출베인(163)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 안내된다.A part of the air thus conditioned is discharg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토출구 유닛(97)의 공조 공기 토출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후 토출구 유닛(97)의 토출 통로(151)로 송풍된 공기는 토출 통로(151)를 통과하면서 유동 방향이 전방으로 바뀌고, 토출구 유닛(97)의 전면 공기 토출구(96)를 통해 본체(2)의 상측 전방으로 토출되고, 이때 그 상하 풍향 및 좌우 풍향이 수평토출베인(162)과 수직토출베인(163)에 의해 가변된다.Air discharged into the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도중에 디스플레이(102)를 통해 공기조화기가 정지되면, 컨트롤 박스(700)는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로 정지 명령을 송출하고, 토출구 유닛 제어부(190)는 승강용 모터(202)를 하강모드로 구동시키고, 인체감지 센서(170)의 인체감지 모터(168)를 정지시키며, 조명부(176)를 오프시키고, 수평토출베인 모터(167)와, 수직토출베인 모터(168)를 정지시킨다.Meanwhi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through the
승강용 모터(202)의 하강모드시, 구동기어(203)가 역회전되면서 종동기어(204)를 따라 하강되고, 승강용 모터(202)와 모터 마운터(201)와 하강되며, 토출구 유닛(97)은 승강 가이드(99)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경사지게 하강되고, 전면 공기 토출구(96)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은닉된다.During the lowering mode of the lifting
그리고, 컨트롤 박스(700)는 팬모터(122)를 정지시키고, 상기와 같은 토출구 유닛(97)의 하강과 함께 흡입패널 어셈블리(30)(40)의 링크 회전모터(360)와, 토출패널 어셈블리(50)의 링크 회전모터(560)를 밀폐모드로 구동시키고, 베인 회전용 모터(82)(84)를 정지시킨다.The
흡입패널 어셈블리(30)(40)의 링크 회전모터(360) 밀폐모드 구동시, 상부 구동기구(340)의 구동기어(344)와 하부 구동기구(350)의 구동기어(354) 중 링크 회전 모터(360)의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기어(354)는 역회전되고, 수직 샤프트(370)는 역회전되며, 수직 샤프트(370)를 통해 링크 회전모터(360)의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기어와 연결된 타 구동기어는 함께 역회전된다.The
상부 구동기구(340)의 구동기어(344)와 하부 구동기구(350)의 구동기어(354)의 역회전시, 상부 링크(320)와 하부 링크(330)는 역회전되고, 흡입구 패널(36)(46)은 상부가 상부 링크(320)에 의해 본체(2)의 하부로 회전되고 하부가 하부 링크(330)에 의해 본체(2)의 하부로 회전된다.When the
즉, 흡입구 패널(36)(46)은 상부와 하부 모두에 링크 연결부(405)(406)를 공기 흡입구(4)(6)의 옆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되고, 이때, 가이드 레일(384)(394)은 돌기(382)(392)를 따라 안내되면서 흡입구 패널(36)(46) 중 링크 연결부(405)(406) 이외가 링크 연결부(405)(406)와 함께 전체적으로 공기 흡입구(4)(6)의 옆으로 회전되게 하며, 흡입구 패널(36)(46)은 공기 흡입구(4)(6)의 옆으로 전체가 안정적으로 회전되고, 이때 공기 흡입구(4)(6)는 흡입구 패널(36)(46)에 덮혀진다.That is, the
토출패널 어셈블리(50)의 링크 회전모터(560) 밀폐모드 구동시, 상부 링크(520)와 하부 링크(530) 중 링크 회전모터(560)의 회전축이 연결된 링크는 역회전되고, 수직 샤프트(570)는 역회전되며, 수직 샤프트(570)를 통해 링크 회전모터(560)의 회전축이 연결된 링크와 연결된 타 링크는 함께 역회전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은 상부 링크(520)와 하부 링크(530)의 회전시 토출구 패널(76)(78)은 상부가 상부 링크(520)에 의해 본체(2)의 상부로 회전되고 하부가 하 부 링크(530)에 의해 본체(2)의 상부로 회전된다.When the
즉, 토출구 패널(76)(78)은 상부와 하부 모두에 링크 연결부(605)(606)를 공기 토출구(8)(10)의 옆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되고, 이때, 가이드 레일(584)(594)은 돌기(582)(592)를 따라 안내되면서 토출구 패널(76)(78) 중 링크 연결부(605)(606) 이외가 링크 연결부(605)(606)와 함께 전체적으로 공기 토출구(8)(10)의 옆으로 회전되게 하며, 토출구 패널(76)(78)은 공기 토출구(8)(10)의 옆으로 전체가 안정적으로 회전되고, 이때 공기 토출구(8)(10)는 토출구 패널(76)(78)에 덮혀진다.That is, the
베인 회전용 모터(82)(84)의 정지시 베인(81)(83)은 공기 토출구(8)(10)와 토출구 패널(76)(78) 사이를 막게 회전되고, 그 상태로 전면 패널(51)의 좌,우측 공간(S1)(S2)으로 삽입되어 수용된다.The stop vanes 81 and 83 of the vane turning-on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사시도,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을 개방하였을 때의 사시도,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
도 7은 도 2에 도시된 B-B선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상부 종단면도,8 is an upper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상부 종단면도,9 is an upper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still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의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port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인체 감지 센서의 확대 분해 사시도,11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1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흡입 패널 어셈블리의 확대 분해 사시도,12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panel assembly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흡입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도,13 is a side view of a suction panel assembly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개방시 상부 구동기구가 도시된 평면도,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n upper drive mechanism when the air inlet is opened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밀폐시 상부 구 동기구가 도시된 평면도,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an upper driving mechanism for closing an air inle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개방시 하부 구동기구 및 구동모터가 도시된 평면도,16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driving mechanism and a driving motor when an air inlet is opened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흡입구 밀폐시 하부 구동기구 및 구동모터가 도시된 평면도,17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driving mechanism and a driving motor when the air inlet is closed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확대 분해 사시도,18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panel assembly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종단면도,1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panel assembly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토출구 개방시 상부 링크가 도시된 평면도,FIG. 20 is a plan view showing an upper link when an air outlet is opened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토출구 밀폐시 상부 링크가 도시된 평면도,FIG. 21 is a plan view showing an upper link when the air outlet is closed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토출구 개방시 하부 링크가 도시된 평면도,22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link when the air outlet is opened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공기 토출구 밀폐시 하부 링크가 도시된 평면도,23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link when the air outlet is closed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2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2: 본체 4,6: 공기 흡입구 2:
8,10: 공기 토출구 12: 베이스8, 10: air outlet 12: base
20: 캐비닛 30: 좌측 흡입패널 어셈블리20: cabinet 30: left suction panel assembly
31: 좌측 흡입패널 33: 좌측 이너패널31: Left suction panel 33: Left inner panel
34: 좌측 필터 36: 좌측 흡입구 패널34: Left filter 36: Left inlet panel
38: 좌측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 40: 우측 흡입패널 어셈블리38: Left inlet panel moving device 40: Right suction panel assembly
41: 우측 흡입패널 43: 우측 이너패널 41: right suction panel 43: right inner panel
44: 우측 필터 46: 우측 흡입구 패널44: Right filter 46: Right inlet panel
48: 우측 흡입구 패널 무빙기구 50: 토출패널 어셈블리48: Right inlet panel moving device 50: Discharge panel assembly
51: 토출패널 76: 좌측 토출구 패널51: Discharge panel 76: Left discharge port panel
77: 좌측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 78: 우측 토출구 패널77: Left discharge port panel moving device 78: Right discharge port panel
79: 우측 토출구 패널 무빙기구 81,83: 베인79: Right discharge port
82,84: 베인 구동기구 87: 토출구 유닛82, 84: Vane drive mechanism 87:
98: 상면 개구부 200: 승강기구98: upper surface opening part 200:
320,330: 흡입구 패널 연결링크 320,330: inlet panel connection link
380,390: 흡입구 패널 무빙 가이드 382,392: 돌기380,390: inlet panel moving guide 382,392: projection
384,394: 가이드 레일 402: 흡입구 개폐부재384, 394: guide rail 402: inlet opening / closing member
404: 장식부재 520,530: 토출구 패널 연결링크404:
580,590: 토출구 패널 무빙 가이드 582,592: 돌기580,590: Outlet port panel moving guide 582,592:
584,594: 가이드 레일 602: 토출구 개폐부재 584,594: Guide rail 602: Outlet opening / closing member
604: 장식부재604: decorative member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9051A KR101444361B1 (en) | 2008-11-04 | 2008-11-04 | Air conditioner |
CN 200910005602 CN101737859B (en) | 2008-11-04 | 2009-01-20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9051A KR101444361B1 (en) | 2008-11-04 | 2008-11-04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9984A KR20100049984A (en) | 2010-05-13 |
KR101444361B1 true KR101444361B1 (en) | 2014-09-24 |
Family
ID=4227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90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4361B1 (en) | 2008-11-04 | 2008-11-04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436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8354B1 (en) * | 2011-10-21 | 2013-10-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CN102788411B (en) * | 2012-04-12 | 2014-10-29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with lifting device |
KR101989990B1 (en) | 2012-12-18 | 2019-06-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102527655B1 (en) | 2017-11-28 | 2023-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102599568B1 (en) * | 2021-01-22 | 2023-11-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
KR20240058560A (en) * | 2022-10-26 | 2024-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9909B1 (en) * | 1995-12-14 | 1999-05-01 | 김광호 | Air conditioner |
KR20020019819A (en) * | 2000-09-07 | 2002-03-13 | 구자홍 | Three way belching air conditioner |
JP2006207858A (en) | 2005-01-25 | 2006-08-10 | Toshiba Kyaria Kk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KR20070022846A (en) * | 2007-02-09 | 2007-0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
2008
- 2008-11-04 KR KR1020080109051A patent/KR10144436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9909B1 (en) * | 1995-12-14 | 1999-05-01 | 김광호 | Air conditioner |
KR20020019819A (en) * | 2000-09-07 | 2002-03-13 | 구자홍 | Three way belching air conditioner |
JP2006207858A (en) | 2005-01-25 | 2006-08-10 | Toshiba Kyaria Kk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KR20070022846A (en) * | 2007-02-09 | 2007-0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9984A (en) | 2010-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7531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CN1936439B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101403004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444361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507163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20060075945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90043234A (en) | Air conditioner | |
KR100902930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450562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936496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00050312A (en) | Air conditioner | |
KR101450561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450565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466292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450564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00086831A (en) | Air conditioner | |
KR101582240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20060077398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909243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554657B1 (en) | air conditioner | |
KR20100055929A (en) | Air conditioner | |
KR20100055928A (en) | Air conditioner | |
JP2012042181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130043986A (en) | Standing type air conditioner | |
KR100964367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