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4166B1 - 케이블 탈피기 - Google Patents

케이블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166B1
KR101444166B1 KR1020140013997A KR20140013997A KR101444166B1 KR 101444166 B1 KR101444166 B1 KR 101444166B1 KR 1020140013997 A KR1020140013997 A KR 1020140013997A KR 20140013997 A KR20140013997 A KR 20140013997A KR 101444166 B1 KR101444166 B1 KR 101444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ut
block
coupled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열
최인철
Original Assignee
한원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원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원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1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5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insulation stripp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6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and longitudinal 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케이블 탈피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탈피기는, 전방에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탈피기 본체; 상기 삽입공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절단하도록 마련되는 외피 절단부; 상기 외피 절단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외피 절단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외피가 절단된 후 절단된 외피를 상기 케이블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피 절단부를 상기 탈피기 본체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외피 분리부; 상기 외피 절단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절단하는 탈피작업시 상기 케이블의 탈피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탈피길이 조절부; 및 상기 외피 절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외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외피 절단부의 작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외피절단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시 용도에 따라 탈피 구간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도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케이블 탈피기{cable stripper}
본 발명은 케이블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시 용도에 따라 탈피 구간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도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도체와 이 도체의 외부를 절연성 외피로 감싼 통신선이나 전력선을 말한다.
이러한 케이블은 목적하는 지점에 커넥터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도록 접속되어 통신선이나 전력선을 구성하는데 현대사회에서는 케이블과 같은 전력도구가 없으면 생활이 되지 않을 만큼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은 커넥터와 연결되기 위하여 절연부를 형성하는 외피의 탈피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외피의 탈피작업은 통상 인력을 통한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기존의 수작업을 통한 케이블의 절연부의 탈피작업은 숙련된 작업자가 칼, 가위, 펜치, 니퍼 등과 같은 탈피공구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외피를 절개한 후 절개된 외피를 개별적으로 탈피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케이블은 대량의 물량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외피를 탈피하는 과정을 인력에 의존하게 되면, 과도한 인건비 지출이 발생되고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탈피공구의 사용에 따라 작업자의 부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해 케이블 내부 도체가 꼬이거나 절단되는 등의 높은 불량률이 발생됨은 물론 절연부의 탈피 구간의 길이가 불균일하여 양질의 케이블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시 대량의 물량 처리가 가능하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 탈피기가 개시되었다.
즉,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8140호(등록일자: 2010년 03월 11일)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벌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작동되는 칼날에 의해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케이블의 절연 피복을 탈피하는 구조로 케이블의 절연 피복의 탈피작업시 대량의 물량 처리가 가능하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다양한 굵기를 갖는 절연 피복의 탈피시 칼날의 작동을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함으로써 도선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5803호(공개일자: 2013년 10월 22일)는 하우징에 칼날부 및 회전 조작체를 설치하여 케이블의 보호 피복을 횡방향 혹은 종방향으로 탈피하는 형태로써, 전선 케이블의 보호 피복에 대한 탈피시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나, 보호 피복의 탈피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고 다양한 두께를 갖는 외피만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여 실용성과 효율 면에서 부적합한 면이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의 외피 탈피시 용도에 따라 탈피 구간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두께를 갖는 외피만을 정확하게 절단하여 작업현장에서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케이블 탈피기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8140호(등록일자: 2010년 03월 11일)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5803호(공개일자: 2013년 10월 22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시 용도에 따라 탈피 구간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두께를 갖는 외피만을 정확하게 절단한 후 탈피하여 도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전방에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탈피기 본체; 상기 삽입공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절단하도록 마련되는 외피 절단부; 상기 외피 절단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외피 절단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외피가 절단된 후 절단된 외피를 상기 케이블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피 절단부를 상기 탈피기 본체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외피 분리부; 상기 외피 절단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절단하는 탈피작업시 상기 케이블의 탈피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탈피길이 조절부; 및 상기 외피 절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외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외피 절단부의 작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외피절단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수직작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 수직작동부; 상기 제1 수직작동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하부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반구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받침블록; 및 상기 제1 수직작동부에 결합되되 제1 수직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상부영역을 눌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상기 안착홈과 대칭되는 반구형상의 누름홈이 형성되는 누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 절단부는, 상기 탈피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피 분리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탈피기 본체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수직작동되도록 마련되는 제2 수직작동부; 상기 삽입공과 상기 케이블 고정부를 경유하여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의 하부영역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단부에 브이(V)자 형상의 하부칼날이 형성되는 하부블록; 및 상기 제2 수직작동부에 결합되되 제2 수직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며 상기 하부칼날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외피의 상부영역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상기 하부칼날과 대칭되는 역브이(∧)자 형상의 상부칼날이 형성되는 상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 분리부는,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수평작동되도록 마련되는 수평작동부; 및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탈피기 본체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작동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피길이 조절부는, 상기 케이블의 삽입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탈피기 본체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부영역에 상기 케이블의 진입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조절부 본체; 상기 케이블의 탈피작업시 작업자가 탈피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진입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 상기 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외피 절단부를 경유하여 상기 진입공간으로 진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조절부 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 본체는, 하부영역에 상기 진입공간과 격벽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안내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격벽에는 상기 진입공간의 폭보다 작을 폭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블록 고정부는, 상기 안내슬릿을 통과하도록 상기 이동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진입공간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안내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절단 설정부는, 상기 상부블록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며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 직립 상태로 결합되며 전면에 눈금부가 형성되는 눈금블록; 상기 고정블록의 결합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눈금부의 각 눈금에 일치될 수 있는 설정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수직작동부의 작동시 상기 외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상부블록의 하강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강제한블록; 및 상기 하강제한블록을 상기 결합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에 조임과 풀림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조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탈피하고자 하는 케이블의 탈피 구간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탈피기 본체에 마련되는 탈피길이 설정부와 외피의 두께에 따라 외피 절단부에 마련된 상부블록의 하강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외피절단 설정부를 갖는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함으로써, 케이블의 탈피시 용도에 따라 탈피 구간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두께를 갖는 외피만을 정확하게 절단한 후 탈피하여 도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기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기의 케이블 고정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기의 외피 절단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기의 외피 분리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외피 분리부에 의해 케이블로부터 절단된 외피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기의 A-A선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기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기의 케이블 고정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기의 외피 절단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기의 외피 분리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외피 분리부에 의해 케이블로부터 절단된 외피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케이블 탈피기의 A-A선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케이블(1)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13)이 관통 형성되는 탈피기 본체(10)와, 탈피기 본체(10)의 삽입공(13)을 통해 삽입된 케이블(1)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고정부(20)와, 케이블 고정부(20)에 의해 고정된 케이블(1)의 외피(3)를 절단하도록 마련되는 외피 절단부(30)와, 외피 절단부(30)의 작동에 의한 외피(3)의 절단 후 절단된 외피(3)를 케이블(1)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외피 분리부(40)와, 케이블(1)의 외피(3)를 절단하는 탈피작업시 케이블(1)의 탈피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탈피길이 조절부(50)와, 그리고 절단될 외피(3)의 두께에 따라 외피 절단부(30)의 작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외피절단 설정부(60)를 포함한다.
탈피기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탈피기를 구성하는 케이블 고정부(20), 외피 절단부(30), 외피 분리부(40) 및 탈피길이 조절부(50)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탈피기 본체(10)는 케이블 탈피기의 메인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수직보드(12)와 이 수직보드(12)의 후면에 결합되는 수평보드(14)로 구성된다. 즉, 탈피기 본체(10)는 수직보드(12)와 수평보드(14)의 상호 결합을 통해 측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니은(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탈피기 본체(10)의 전면, 다시 말해 수직보드(12)의 전면에는 케이블(1)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13)이 관통 형성된다. 즉, 삽입공(13)은 케이블(1)의 탈피시 탈피하고자 하는 케이블(1)을 탈피기 본체(1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탈피기 본체(10)는 수직보드(12)의 전면에 형성된 삽입공(13)을 통해서만 탈피하고자 하는 케이블(1)을 삽입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수직보드(12)는 케이블(1) 탈피시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부(20), 외피 절단부(30), 외피 분리부(40) 등의 구성과 작업자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보호커버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케이블 고정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3)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탈피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삽입공(13)을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1)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제1 수직작동부(22)와, 제1 수직작동부(22)의 일측에 배치되어 케이블(1)의 하부영역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받침블록(24)과, 그리고 제1 수직작동부(22)의 작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되어 케이블(1)의 상부영역을 눌러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누름블록(26)을 포함한다.
제1 수직작동부(2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수직작동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제1 수직작동부(22)는 공지된 에어실린더로 마련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제1 수직작동부(2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실린더로 마련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수직작동부(22)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받침블록(24)은 탈피기 본체(10)의 삽입공(13)을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1)의 하부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받침블록(24)은 제1 수직작동부(22)와 인접하도록 탈피기 본체(10)에 결합된다.
받침블록(24)의 상단부에는 표면으로부터 반구형상으로 함몰되는 안착홈(25)이 형성된다. 즉, 안착홈(25)은 케이블(1)의 하부영역이 손상되지 않고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누름블록(26)은 탈피기 본체(10)의 삽입공(13)을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1)의 상부영역을 눌러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누름블록(26)은 제1 수직작동부(22)에 결합되며 이에 제1 수직작동부(22)의 작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되게 된다.
누름블록(26)의 하단부에는 받침블록(24)에 형성된 안착홈(25)과 대칭되는 반구형상의 누름홈(27)이 형성된다. 즉, 누름홈(27)은 케이블(1)의 상부영역을 손상시키지 않고 눌러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누름블록(26)은 제1 수직작동부(22)의 작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받침블록(24)에 안착된 케이블(1)을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이에 삽입공(13)을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1)은 외피(3)의 탈피시 유동이 방지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외피 절단부(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부(2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탈피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케이블 고정부(20)에 의해 고정된 케이블(1)의 외피(3)를 절단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탈피기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32)와, 슬라이더(32)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 수직작동부(34)와, 제2 수직작동부(34)의 일측에 배치되어 케이블(1)의 외피(3)의 하부영역을 절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부블록(36)과, 그리고 제2 수직작동부(34)의 작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되어 케이블(1)의 외피(3)의 상부영역을 절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상부블록(38)을 포함한다.
슬라이더(32)는 탈피기 본체(10)의 수평보드(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슬라이더(32)에는 제2 수직작동부(34), 하부블록(36) 및 상부블록(38)이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더(32)는 후술하는 외피 분리부(40)의 작동에 따라 탈피기 본체(1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슬라이더(32)의 작동에 대해서는 외피 분리부(40)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수직작동부(3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수직작동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제2 수직작동부(34)는 공지된 에어실린더로 마련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제2 수직작동부(3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실린더로 마련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제2 수직작동부(34)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하부블록(36)은 케이블(1)의 외피(3)의 하부영역을 절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하부블록(36)은 제2 수직작동부(34)와 인접하도록 슬라이더(32)에 결합된다.
하부블록(36)의 상단부에는 브이(V)자 형상의 하부칼날(37)이 형성된다. 즉, 하부칼날(37)은 케이블(1)의 외피(3)의 하부영역을 절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상부블록(38)은 케이블(1)의 외피(3)의 상부영역을 절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부블록(38)은 제2 수직작동부(34)에 결합되며 이에 제2 수직작동부(34)의 작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되게 된다.
상부블록(38)의 하단부에는 하부블록(36)에 형성된 하부칼날(37)과 대칭되는 역브이(∧)자 형상의 상부칼날(39)이 형성된다. 즉, 상부칼날(39)은 케이블(1)의 외피(3)의 상부영역을 절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부블록(38)은 제2 수직작동부(34)의 작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하강되는 과정에 의해 케이블(1)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하부블록(36)에 형성된 하부칼날(37)에 의해 케이블(1)의 외피(3)의 하부영역이 절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칼날(39)로 케이블(1)의 외피(3)의 상부영역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외피 분리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 절단부(30)의 작동에 따라 케이블(1)의 외피(3)가 절단된 후 절단된 외피(3)를 케이블(1)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수평작동부(42)와, 그리고 외피 절단부(30)에 마련된 슬라이더(32)에 결합되어 수평작동부(42)와 연결되는 연결부(44)를 포함한다.
수평작동부(4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수평작동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수평작동부(42)는 탈피기 본체(10)에 결합되며 공지된 에어실린더로 마련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수평작동부(4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실린더로 마련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수평작동부(42)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연결부(44)는 수평작동부(42)와 외피 절단부(30)에 마련된 슬라이더(32)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44)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더(32)에 결합되며 수평작동부(42)의 선단부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외피 분리부(40)는, 수평작동부(42)의 작동에 따라 외피 절단부(30)에 마련된 슬라이더(32)를 탈피기 본체(1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시키게 된다. 이에 외피 절단부(30)에 의해 절단된 외피(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탈피길이 조절부(50)는,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 절단부(3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탈피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케이블(1)의 외피(3)를 절단하는 탈피작업시 케이블(1)의 탈피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메인프레임을 형성하는 조절부 본체(52)와, 조절부 본체(5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54)과, 그리고 이동블록(54)을 조절부 본체(52)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블록 고정부(56)를 포함한다.
조절부 본체(52)는 케이블(1)의 삽입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탈피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때, 조절부 본체(52)는 횡방향을 기준하여 대체로 에이치(H)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마련된다.
조절부 본체(52)는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53)을 사이에 두고 상부영역에 케이블(1)의 진입공간(52A)이 형성되며 하부영역에 안내공간(52B)이 형성된다. 격벽(53)에는 진입공간(52A)의 폭보다 작을 폭을 갖도록 조절부 본체(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슬릿(53A)이 형성된다.
즉, 격벽(53)은 진입공간(52A)과 안내공간(52B)을 구획하는 구성이고, 진입공간(52A)은 케이블(1)의 탈피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케이블(1)이 진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며, 안내공간(52B)은 이동블록 고정부(56)에 마련된 안내블록(59)이 안내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고, 안내슬릿(53A)은 이동블록 고정부(56)에 마련된 고정부재(58)가 안내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동블록(54)은 케이블의 탈피작업시 작업자가 탈피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부 본체(52)에 형성된 진입공간(5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탈피기 본체(10)의 삽입공(13)을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1)의 선단부는 케이블 고정부(20), 외피 절단부(30)를 경우하여 조절부 본체(52)에 형성된 진입공간(52A)으로 진입된 후 이동블록(54)의 전면에 접촉되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케이블(1)의 탈피시 조절부 본체(5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록(54)에 의해 탈피 구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동블록 고정부(56)는 이동블록(54)을 조절부 본체(52)에 고정 또는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이동블록(54)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58)와, 그리고 조절부 본체(52)의 안내공간에 배치되어 고정부재(58)와 나사 결합되는 안내블록(59)을 포함한다.
고정부재(58)는 안내슬릿(53A)을 통과하도록 이동블록(54)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고정부재(58)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머리부와 이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나사로 형성되어 이동블록(54)에 나사 결합된다.
안내블록(59)은 고정부재(58)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안내블록(59)은 고정부재(58)의 조임과 풀림 작동에 따라 이동블록(54)을 조절부 본체(52)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도록 격벽(53)에 밀착되거나 또는 밀착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블록 고정부(56)는 고정부재(58)와 안내블록(59)에 의해 조절부 본체(52)에 이동블록(54)을 고정하거나 혹은 고정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외피절단 설정부(6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의 탈피시 외피(3)의 두께에 따라 외피 절단부(30)의 작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외피 절단부(30)에 마련된 상부블록(38)에 결합되는 고정블록(62)과, 고정블록(62)에 직립 상태로 결합되는 눈금블록(64)과, 고정블록(62)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외피 절단부(30)의 작동시 상부블록(38)의 하강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강제한블록(66)과, 그리고 하강제한블록(66)을 고정블록(62)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임레버(68)를 포함한다.
고정블록(62)은 외피 절단부(30)에 마련된 상부블록(38)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구성이다.
고정블록(62)의 일측에는 하강제한블록(66)을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부(63)가 마련된다. 즉, 결합부(63)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63A)과, 결합공(63A)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개슬릿(63B)으로 형성된다.
결합공(63A)은 하강제한블록(66)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절개슬릿(63B)은 결합공(63A)에 결합된 하강제한블록(66)의 이동 및 고정을 위해 조임레버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절개슬릿은 조임레버의 조임과 풀림조작에 따라 좁아지거나 벌어지며 이에 따라 결합공(63A)에 하강제한블록(66)을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눈금블록(64)은 고정블록(62)의 상면에 직립 상태로 결합되며 전면에 눈금부(58)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눈금블록(64)은 전면에 형성된 눈금부(65)를 통해 고정블록(62) 상에서 하강제한블록(66)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강제한블록(66)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며 고정블록(62)의 결합부(63)에 형성된 결합공(63A)에 삽입 결합되는 구성이다.
하강제한블록(66)의 상단부에는 눈금부(65)의 각 눈금에 일치될 수 있는 설정돌기(67)가 형성된다. 즉, 설정돌기(67)는 작업자가 외피(3)의 두께에 눈금부의 각 눈금에 일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하강제한블록(66)은 외피 절단부(30)에 마련된 상부블록(38)의 하강시 그 하단부가 제2 수직작동부(34)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부블록(38)의 하강범위를 제한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두께의 외피(3)를 갖는 케이블(1)의 탈피시 외피(3)만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체(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조임레버(68)는 하강제한블록(66)을 결합부(63)의 결합공(63A)에 고정하거나 이동 가능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조임레버(68)는 결합부(63)의 절개슬릿(63B)에 나사 결합되며 이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임 및 풀림시 절개슬릿(63B)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게 됨으로써 하강제한블록(66)의 고정 및 이동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탈피기 본체(10)의 삽입공(13)으로 탈피하고자 하는 케이블(1)을 삽입시킨다. 이때, 케이블(1)은 케이블 고정부(20) 및 외피 전달부(30)를 경유하여 탈피길이 조절부(50)의 조절부 본체(52)에 형성된 진입공간(52A)으로 진입되어 그 선단부가 이동블록(54)과 접촉되면 삽입이 정지되게 된다. 즉, 작업자는 조절부 본체(52)의 진입공간(52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54)의 이동 및 고정을 통해 탈피하고자 하는 케이블(1)의 탈피 구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케이블(1)의 탈피 구간의 길이가 설정되면, 케이블 고정부(20)에 마련된 제1 수직작동부(22)에 공압을 공급한다. 그러면, 제1 수직작동부(22)의 작동에 따라 누름블록(26)이 하강되어 받침블록(24)의 상단부에 안착된 케이블(1)을 눌러 고정하게 된다.
탈피기 본체(10)의 삽입공(13)으로 삽입된 케이블(1)이 케이블 고정부(20)에 고정되면, 외피 절단부(30)에 마련된 제2 수직작동부(34)에 공압을 공급한다. 그러면, 제2 수직작동부(34)의 작동에 따라 상부블록(38)이 하강되어 하부블록(36)의 상단부에 안착된 케이블(1)의 외피(3)를 절단하게 된다. 즉, 케이블(1)은 상부블록(38)과 하부블록(36)에 각각 마련된 상부칼날(39)과 하부칼날(37)에 의해 외피(3)의 상,하부영역이 절단되는 것이다.
상기한 외피 절단부(30)에 의한 외피(3)의 절단과정에서 외피절단 설정부(60)를 통해 외피(3)의 두께에 따라 상부블록(38)의 하강범위를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외피(3)를 갖는 케이블(1)의 탈피시 외피(3)만을 정확하게 절단하여 도체(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외피 절단부(30)에 의해 케이블(1)의 외피(3)가 절단되면, 외피 분리부(40)에 마련된 수평작동부(42)에 공압을 공급한다. 그러면 수평작동부(42)의 작동에 따라 외피 절단부(30)에 마련된 슬라이더(32)가 탈피기 본체(10)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며 이에 외피 절단부(30)에 의해 절단된 외피(3)는 케이블(1)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외피 절단부(30)에 의해 절단된 외피(3)가 외피 분리부(40)에 의해 케이블(1)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되면, 케이블(1)을 탈피기 본체(10)의 외부로 꺼낸 후 수작업에 의해 케이블(1)로부터 절단된 외피(3)를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케이블(1)의 탈피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케이블 탈피기는 탈피하고자 하는 케이블(1)의 탈피 구간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탈피기 본체(10)에 마련되는 탈피길이 조절부(50)와 외피(3)의 두께에 따라 외피 절단부(30)에 마련된 상부블록(38)의 하강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외피절단 설정부(60)에 의하여, 케이블(1)을 탈피시 용도에 따라 탈피 구간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두께를 갖는 외피(3)만을 정확하게 절단한 후 탈피하여 도체(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탈피기 본체 13: 삽입공
20: 케이블 고정부 22: 제1 수직작동부
24: 받침블록 26: 누름블록
30: 외피 절단부 32: 슬라이더
34: 제2 수직작동부 36: 하부블록
38: 상부블록 40: 외피 분리부
42: 수평작동부 44: 연결부
50: 탈피길이 조절부 52: 조절부 본체
54: 이동블록 56: 이동블록 고정부
58: 고정부재 59: 안내블록
60: 외피절단 설정부 62: 고정블록
64: 눈금블록 66: 하강제한블록
68: 조임레버

Claims (7)

  1. 전방에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탈피기 본체;
    상기 삽입공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절단하도록 마련되는 외피 절단부;
    상기 외피 절단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외피 절단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외피가 절단된 후 절단된 외피를 상기 케이블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피 절단부를 상기 탈피기 본체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외피 분리부;
    상기 외피 절단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절단하는 탈피작업시 상기 케이블의 탈피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탈피길이 조절부; 및
    상기 외피 절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외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외피 절단부의 작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외피절단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수직작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 수직작동부;
    상기 제1 수직작동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하부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반구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받침블록; 및
    상기 제1 수직작동부에 결합되되 제1 수직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상부영역을 눌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상기 안착홈과 대칭되는 반구형상의 누름홈이 형성되는 누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절단부는,
    상기 탈피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피 분리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탈피기 본체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수직작동되도록 마련되는 제2 수직작동부;
    상기 삽입공과 상기 케이블 고정부를 경유하여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의 하부영역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단부에 브이(V)자 형상의 하부칼날이 형성되는 하부블록; 및
    상기 제2 수직작동부에 결합되되 제2 수직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며 상기 하부칼날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의 외피의 상부영역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상기 하부칼날과 대칭되는 역브이(∧)자 형상의 상부칼날이 형성되는 상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분리부는,
    상기 탈피기 본체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수평작동되도록 마련되는 수평작동부; 및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탈피기 본체에 대해 상대 선형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작동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길이 조절부는,
    상기 케이블의 삽입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탈피기 본체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부영역에 상기 케이블의 진입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조절부 본체;
    상기 케이블의 탈피작업시 작업자가 탈피 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진입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삽입공, 상기 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외피 절단부를 경유하여 상기 진입공간으로 진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조절부 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 본체는,
    하부영역에 상기 진입공간과 격벽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안내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격벽에는 상기 진입공간의 폭보다 작을 폭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블록 고정부는,
    상기 안내슬릿을 통과하도록 상기 이동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진입공간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안내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절단 설정부는,
    상기 상부블록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며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 직립 상태로 결합되며 전면에 눈금부가 형성되는 눈금블록;
    상기 고정블록의 결합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눈금부의 각 눈금에 일치될 수 있는 설정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수직작동부의 작동시 상기 외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상부블록의 하강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강제한블록; 및
    상기 하강제한블록을 상기 결합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에 조임과 풀림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조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탈피기.
KR1020140013997A 2014-02-07 2014-02-07 케이블 탈피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44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997A KR101444166B1 (ko) 2014-02-07 2014-02-07 케이블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997A KR101444166B1 (ko) 2014-02-07 2014-02-07 케이블 탈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166B1 true KR101444166B1 (ko) 2014-09-26

Family

ID=5176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9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4166B1 (ko) 2014-02-07 2014-02-07 케이블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16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6052A (zh) * 2016-12-30 2017-06-20 安徽万博电缆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去除废旧电缆上护套的装置
CN108899815A (zh) * 2018-09-05 2018-11-27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唐山供电公司 一种高压线路电缆剥皮工具及其使用方法
CN114583622A (zh) * 2022-03-04 2022-06-03 东莞市锐升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线裁剪剥线设备
CN115189293A (zh) * 2022-06-21 2022-10-14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武强县供电分公司 一种供电施工用电缆线端头外皮剥离装置
CN116315962A (zh) * 2023-05-24 2023-06-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宁津县供电公司 一种电缆施工用自动剥线对接装置
CN116826620A (zh) * 2023-08-18 2023-09-29 保定德润斯电力线缆器材有限公司 一种防损伤的电缆切割剥皮装置
CN118676806A (zh) * 2024-08-23 2024-09-20 济南友丰电子有限公司 一种汽车线束剥皮装置
CN119764878A (zh) * 2025-03-05 2025-04-04 深圳市嘉友锦磁科技有限公司 一种防松脱机电设备电连接器
KR102824783B1 (ko) * 2024-09-28 2025-06-24 한동수 케이블 탈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21A (ja) * 1993-06-23 1995-01-17 Hitachi Sci Syst:Kk 電線被覆剥離装置
JPH0785616B2 (ja) * 1988-12-22 1995-09-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芯電気ケーブル導線の剥離と終端処理の為の装置
KR200403515Y1 (ko) * 2005-09-21 2005-12-09 성지산업 주식회사 전선 탈피기
KR20090010453U (ko) * 2008-04-10 2009-10-14 김지환 전동식 전선피복 탈피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5616B2 (ja) * 1988-12-22 1995-09-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芯電気ケーブル導線の剥離と終端処理の為の装置
JPH0715821A (ja) * 1993-06-23 1995-01-17 Hitachi Sci Syst:Kk 電線被覆剥離装置
KR200403515Y1 (ko) * 2005-09-21 2005-12-09 성지산업 주식회사 전선 탈피기
KR20090010453U (ko) * 2008-04-10 2009-10-14 김지환 전동식 전선피복 탈피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6052A (zh) * 2016-12-30 2017-06-20 安徽万博电缆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去除废旧电缆上护套的装置
CN108899815A (zh) * 2018-09-05 2018-11-27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唐山供电公司 一种高压线路电缆剥皮工具及其使用方法
CN108899815B (zh) * 2018-09-05 2023-11-07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唐山供电公司 一种高压线路电缆剥皮工具及其使用方法
CN114583622A (zh) * 2022-03-04 2022-06-03 东莞市锐升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线裁剪剥线设备
CN115189293A (zh) * 2022-06-21 2022-10-14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武强县供电分公司 一种供电施工用电缆线端头外皮剥离装置
CN116315962A (zh) * 2023-05-24 2023-06-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宁津县供电公司 一种电缆施工用自动剥线对接装置
CN116315962B (zh) * 2023-05-24 2023-08-15 国网山东省电力公司宁津县供电公司 一种电缆施工用自动剥线对接装置
CN116826620A (zh) * 2023-08-18 2023-09-29 保定德润斯电力线缆器材有限公司 一种防损伤的电缆切割剥皮装置
CN116826620B (zh) * 2023-08-18 2024-01-05 保定德润斯电力线缆器材有限公司 一种防损伤的电缆切割剥皮装置
CN118676806A (zh) * 2024-08-23 2024-09-20 济南友丰电子有限公司 一种汽车线束剥皮装置
KR102824783B1 (ko) * 2024-09-28 2025-06-24 한동수 케이블 탈피장치
CN119764878A (zh) * 2025-03-05 2025-04-04 深圳市嘉友锦磁科技有限公司 一种防松脱机电设备电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166B1 (ko) 케이블 탈피기
KR101533804B1 (ko)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US2722145A (en) Apparatus for stripping insulation from insulated wire
US5062192A (en) Cable stripping tool
US20140345061A1 (en) High voltage cable preparation tool
US5009006A (en) Cable stripping tool
CN213134856U (zh) 一种线材自动裁切剥皮装置
US2616172A (en) Slitter for cable coverings
EP2777112A2 (en) Electric wir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ic wire
CN105591321A (zh) 线缆脱皮装置
CN2411608Y (zh) 直立式电线剥皮机
US2608891A (en) Cable holder with guide slots
CN206225909U (zh) 电缆定位剥皮钳
KR101608617B1 (ko) 지중선 전동 피박기
US6289573B1 (en) Apparatus for making up a cable
US20160181773A1 (en) Stripping tool for round cables with thin insulation
US4627314A (en) Stripping device, particularly for conductors with tough insulation
CN201215745Y (zh) 通信电缆用新型剥缆装置
CN202888596U (zh) 一种线缆剥皮切断装置
CN214704127U (zh) 一种开剥通信光缆的装置
GB2147462A (en) Process and tool for baring cables
US20070261250A1 (en) Combination wire stamper, stripper and labeler
KR200303369Y1 (ko) 다중 케이블의 피복관 탈피장치
KR20180089002A (ko) 광케이블 탈피기
KR20180078774A (ko) 고전압와이어 개별차폐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