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058B1 - Double bladed surgical stapling device - Google Patents
Double bladed surgical stapl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4058B1 KR101444058B1 KR1020140090940A KR20140090940A KR101444058B1 KR 101444058 B1 KR101444058 B1 KR 101444058B1 KR 1020140090940 A KR1020140090940 A KR 1020140090940A KR 20140090940 A KR20140090940 A KR 20140090940A KR 101444058 B1 KR101444058 B1 KR 1014440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ple
- jaw
- pair
- lower jaw
- surg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17/07207—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the staples being applied sequential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71—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cartrid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2017/07214—Stapler heads
- A61B2017/07285—Stapler heads characterised by its cutt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1B2017/2929—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with a head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 수술에서 수술부위를 스테이플링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하부죠우에 형성된 수용부에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에 다수의 스테이플이 내장되며,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내장된 다수의 스테이플이 상향으로 출현해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 몸체의 후단에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스테이플 카트리지 몸체를 따라 전진하면서 상부죠우와, 하부죠우 사이에 위치되는 생체조직을 절단함과 동시에 채취하는 한 쌍을 이루는 커터를 포함하여, 수술 중 지정부위를 스테이플링하고, 스테이플링이 실시되는 부위의 절단 및 생체조직 일부를 바로 채취해, 채취된 생체조직으로 암세포나 다른 이상 세포의 유무 판별하는 급속동결절편검사를 수술 중에 이행할 수 있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staple apparatus for stapling a surgical site in a surgical op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staples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taple cartridge body, the staple cartridge having a plurality of built-in staples upward to staple the living tissue, and a plurality of staple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a rear end of the staple cartridge body, And a pair of cutters for cutting and collecting the living tissu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while moving along the cartridge body so as to staple the designated area during the operation, Cutting and part of the living tissue is taken immediately, and the collected living tissue is used as a cancer cell or ano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gical staple device having a double blade capable of performing a rapid freezing incision tes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phase cell exists during surgery.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과 수술에서 수술부위를 스테이플링 함과 동시에, 스테이플링하는 수술부위를 절단함과 동시에, 조직검사에 필요한 생체조직샘플을 채취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복부 및 흉부 장기 수술에 사용되는 의료용 외과 스테이플은 장기의 절제 및 문합에 많이 사용되는 의료용 기구이다. 이 기구의 장점은 절제와 동시에 장기의 문합을 할 수 있는 장치로 수술시간의 단축뿐 아니라, 수술 부위의 정확한 봉합을 이룰 수 있다. 의료용 스테이플은 개흉 또는 개복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open 용 스테이플과 흉강경, 복강경에 사용되는 endo용 스테이플러가 있다.Medical surgical staples used in abdominal and thoracic long-term surgery are medical instruments that are widely used for ablation and anastomosis of organs. The advantage of this device is the device that can perform anastomotic anastomosis at the same time as the ablation, not only shortening the operation time, but also the accurate suture of the surgical site can be achieved. Medical staples include open staples used in open or open conditions, and endo staples used in thoracoscopic and laparoscopic procedures.
근래에 작은 절개로 수술 후 회복 시간 및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내시경 수술인 복강경 수술 및 로봇 수술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Laparoscopic surgery and robotic surgery, which are endoscopic surgery that can reduce recovery time and complications after surgery with a small incision, have been actively used recently.
내시경 수술인 복강경, 흉강경 수술 및 로봇 수술은 환자의 복부에 작은 구멍을 다수개 뚫고 이 구멍을 통해 복강 또는 흉강의 내부를 관찰하면서 수술하는 방식으로서 일반 외과 수술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Endoscopic laparoscopic, thoracoscopic, and robotic surgery is widely used in general surgical operations such as surgery through a large number of small holes in the abdomen of a patient and observing the interior of the abdominal cavity or thoracic cavity through the hole.
이러한 개복 수술과 개흉 수술 및 복강경, 흉강경 수술은 복강 또는 흉강의 장기에서 수술부위를 봉합하기 위하여 체내로 삽입되는 봉합기구가 이용되는데, 상기한 봉합기구로 의료용 스테이플을 이용해 수술부위를 봉합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가 활용된다.Such laparotomy and open thoracotomy and laparoscopic and thoracoscopic surgery are performed by a suture device inserted into the body to suture the surgical site in organs of the abdominal cavity or thoracic cavity. A stapler device is utilized.
상기한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조직 절제 및 봉합을 위한 장치로서 외과용 봉합사를 사용할 때보다 회복이 빠르고 흉터가 적은 장점으로 인해 현대 외과 수술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으며, 특히 암 수술에 있어 암 조직을 절제하고 절제 부위를 봉합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surgical staple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a device for tissue resection and suture , which is widely used in modern surgery due to its quick recovery and less scar than surgical suture . In particular, It is widely used for suturing ablation sites.
상기한 이유로 근래에는 다양한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중 몇가지를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1226542호(2013.01.21)에서는 수술용 도구로서, 발사 운동을 생성하도록 작동 가능한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로부터의 발사 운동에 응답하는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핸들부에 커플링되고 채널 슬롯을 포함하는 세장형 채널, 상기 세장형 채널에 의해 수용되고 스테이플을 지지하는 드라이버를 상향 캠밍을 위해 정렬된 근위측으로 위치 설정된 웨지(wedge) 부재를 구비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 상기 세장형 채널에 피벗식으로 커플링되고 앤빌 채널을 포함하는 앤빌, 상기 세장형 채널과 상기 앤빌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수용된 원위측 배치 절삭 에지, 상기 앤빌 채널에 결합 가능한 상부 부재, 상기 채널 슬롯과 결합하는 하부 부재 및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의 상기 웨지 부재를 원위측으로 병진함으로써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작동하도록 작동 가능한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스테이플 형성을 위한 간격을 그 사이에 제공하도록 길이방향 발사 이동 동안에 상기 세장형 채널과 상기 앤빌 양자에 형상 끼워 맞춤으로 결합하는 발사 디바이스, 상기 세장형 채널에 근위측으로 커플링된 관절화 조인트 및 상기 핸들부로부터 상기 관절화 조인트를 통해 발사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발사 디바이스에 근위측으로 부착된 얇은 발사 스트립을 포함하는 수술용 도구를 제공하였다.For the above reasons, a variety of surgical staple apparatuses have been provided in recent years. Some of them ar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226542 (Jan. 21, 2013) as a surgical tool, including a handle portion operable to generate a firing motion, Wherein the executer comprises a elongated channel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and including a channel slot, a driver accommodated by the elongate channel and supporting a staple for upward camming A staple cartridge having a wedge member positioned in an aligned proximal side, an anvil pivotally coupled to the elongate channel and including an anvil channel, an elongated channel received longitudinally between the elongate channel and the anvil, A bottom cutting edge, a top member engageable with the anvil channel, a bottom member engaging the channel slot, And an intermediate member operable to actuate the staple cartridge by translating the wedge member of the staple cartridge to a distal side, wherein during an elongated firing movement to provide a gap therebetween for staple formation, the elongated channel and the anvil- A firing device coupled proximally to the elongated channel and a thin firing attached proximal to the firing device for transferring firing motion from the handle portion through the articulating joint, A surgical tool including a strip was provided.
또한 등록특허 제10-1369235호(2014.02.25)에서는 수술용 절단-체결기구를 위한 일회용 스테이플 카트리지에 있어서, 다수의 스테이플을 내부에서 작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일회용 카트리지 본체로서, 상기 스테이플들은 상기 수술용 절단-체결기구의 축방향 이동가능한 구동부에 의해 상기 일회용 카트리지 본체로부터 순서대로 발사되도록 배향되어 있고, 사용 중에는 상기 수술용 절단-체결기구의 긴 채널 내에 제거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 후에는 상기 긴 채널로부터 제거되는 치수로 구성된 상기 일회용 카트리지 본체; 상기 일회용 카트리지 본체가 상기 긴 채널 내에 정착되어 있을 때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일회용 카트리지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일회용 앤빌로서, 상기 폐쇄위치에서는 상기 일회용 앤빌의 바닥면 이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상단면에 인접하게 있으며, 상기 개방위치에서는 상기 일회용 앤빌의 바닥면이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상단면에서부터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일회용 앤빌과 상기 카트리지 본체 사이에 조직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일회용 앤빌은 상기 일회용 카트리지 본체가 상기 긴 채널 내에 정착되어 있을 때 상기 수술용 절단-체결기구상의 이동가능한 상단 앤빌판과 유지식으로 끼워지고 해제되도록 구성된 이격된 스티프너 레일들(stiffener rails)을 구비하고, 상기 일회용 카트리지 본체가 상기 긴 채널에서 제거될 때 상기 일회용 앤빌은 상기 일회용 카트리지 본체와 함께 남아있고 상기 이동가능한 상단 앤빌판은 상기 수술용 절단-체결기구와 함께 남아있는 상기 일회용 앤빌; 및 상기 카트리지 본체 내에 지지된 상기 스테이플들에 대하여 조직을 배향하기 위해 상기 일회용 앤빌의 바닥면과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상단면 사이에 삽입된 조직에 접촉시키기 위한 상기 일회용 앤빌상의 적어도 하나의 조직 스톱을 포함하는 일회용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제공하였다.The disposable staple cartridge for a surgical cutting-fastening mechanism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10-1369235 (Feb. 25, 2014), which is a disposable cartridge body operatively supporting a plurality of staples therein, Fastening mechanism is arranged to be fired in order from the disposable cartridge body by an axially displaceable drive of the cutting-fastening mechanism and is removably supported in the long channel of the surgical cutting-fastening mechanism during use, Said disposable cartridge body comprising a dimension to be removed; A disposable anvil connected to the disposable cartridge body movably between a closed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when the disposable cartridge body is fixed within the elongated channel,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osable anvil is at the top of the cartridge body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osable anvil is spac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artridge body at the open position so that tissue can be inserted between the disposable anvil and the cartridge body, Wherein the disposable cartridge body comprises spaced stiffener rails configured to engage and disengage from the movable upper anvil plate on the surgical cutting-fastening mechanism when the disposable cartridge body is in the long channel,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long channel The disposable anvil that remain with the fastening mechanism - when removing the disposable anvil top anvil plate can move the remains with the disposable cartridge body is cut for the operation; And at least one tissue stop on the disposable anvil for contacting tissue inserted between a bottom surface of the disposable anvil and a top surface of the cartridge body for orienting tissue relative to the staples supported in the cartridge body Disposable staple cartridge.
하지만 종래의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조직을 절제한 후 절제 마진(resection margin)에 암세포가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검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urgical staple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not accurately check whether the cancer cells remain in the resection margin after the tissue is resected.
기본적인 암수술의 원칙은 수술 후 암세포가 환자의 몸에 남아있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며, 수술 후 암세포가 육안으로도 조직에 남아 있는 경우를 R2, 현미경상으로 암세포가 잘라졌으나 암세포가 조직에 남아 있는 경우를 R1, 암세포가 없이 깨끗이 절제된 경우를 R0 절제(resection)라 하여 관리하고 있다. The basic principle of cancer surgery is that cancer cells should not remain in the patient's body after surgery. If cancer cells remain in the tissues after the operation, the cancer cells are cut off by microscopic examination, but cancer cells remain in the tissues. R1, a case where the cancer cells are cleanly resected without any cancer, is referred to as R0 resection.
한편 수술 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R2 절제의 경우 다시 조직을 절제함으로써 암세포를 제거하여 R0 절제를 확보할 수 있으나,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R1 절제의 경우 암세포가 조직에 남아 있는지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 동결절편 조직검사(Frozen section biopsy)를 수술 중 시행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R2 resection that can be confirmed by the naked eye during the operation, the cancer resection can be obtained by removing the cancer cell by resection of the tissue again. However, in the case of the R1 resection which can not be confirmed by the naked eye, Frozen section biopsy should be performed during the operation.
즉, 조직을 절제한 후 남게 되는 장기의 끝부분을 다시 절제하여 동결절편 조직검사를 시행하여야 하며, 수술 중 암 주위를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로 절제했다면 정확한 절제마진에 대한 동결절편 조직검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남아있는 조직에서 절제마진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In this study, we used a stapled surgical stapling device to perform a freeze-cut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abdomen, which was performed with a surgical stapling device. For the remaining tissue, ablation margin examination should be performed.
그러나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하나의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플러는 정확한 절제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절제되어 나온 조직에서 스테이플을 제거한 후 절제마진을 확보하여 동결절편 검사를 시행하나 병리학적 검사상 스테이플에 의해 조직이 손상되어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며, 정확한 부위의 절제마진이라 할 수 없다. However, the surgical stapler with a single blade used to date does not allow accurate margin for removal. After removal of the staples from the excised tissue, a freezing margin is secured to perform a frozen section. However, The tissue is damaged and the accurate examination can not be performed, and it can not be said that the margin of ablation is correct.
그러므로 종래의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동결절편검사에서 정확성이 떨어지며 이는 절단을 통하여 암세포로 오염된 영역과 오염되지 않은 영역으로 나뉠 때, 오염되지 않은 영역의 암세포 존재 유무가 시술 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대두 되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surgical staple apparatus is inferior in accuracy in frozen section examination, and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the presence of cancer cells in the uncontaminated area is confirmed after the procedure when the cancer is divided into the contaminated region and the uncontaminated region through cutting There was a problem of being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생체조직을 클램핑하는 죠우에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따라 한 쌍을 이루는 커터를 진출시켜,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함과 동시에, 절단 및 조직의 일부를 채취를 바로 채취해, 채취된 생체조직으로 암세포나 다른 이상 세포의 유무 판별하는 급속동결절편검사를 수술 중에 이행할 수 있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를 제공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ple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a jaw that clamps a biotissue, Provided is a surgical staple device having a double blade capable of performing a rapid freezing section tes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cancer cells or other abnormal cells are present with the collected biopsy tissue immediately after cutting and taking a part of the tissue immediately.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하부죠우에 형성된 수용부에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에 다수의 스테이플이 내장되며,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내장된 다수의 스테이플이 상향으로 출현해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 몸체의 후단에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스테이플 카트리지 몸체를 따라 전진하면서 상부죠우와, 하부죠우 사이에 위치되는 생체조직을 절단함과 동시에 채취하는 한 쌍을 이루는 커터를 포함한다.A surgical staple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aples are built in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lower jaw operated by a user operation i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A staple cartridge for stapling a living tissue with a plurality of built-in staples upward as the user operates the staple cartridge, and a staple cartridg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rear end of the staple cartridge body, And a pair of cutters for cutting and collecting the living tissue located between the jaws.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는 상기 하부죠우의 수용부 내부공간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카트리지몸체와,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중심에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커터안내장공과, 상기 커터안내장공을 기준으로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좌,우측편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하고, 각각 스테이플을 내장하는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과,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들의 내부에 스테이플을 받치도록 내장되고,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을 따라 승강하는 가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ple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tridge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n inner space of a receiving portion of the lower jaw, a cutter guide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cartridge body, A plurality of staple-embedded hole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tridg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asis of a guide slot, the staple-embedded holes each having a built-in staple; And may include a press block that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staple-embedded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는 상기 커터안내장공을 따라 형성되고, 한 쌍의 커버에 의해 절단된 생체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수용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 the staple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issue receiving groove formed along the cutter guide slot and receiving the biotissue cut by the pair of covers.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커터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커터 단면형상이 '└┘'형으로 형성하거나, 단면형상이 '∪'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cut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cutters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air of cutters is '└┘' or the cross-sectional shape thereof is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상부죠우에서 후방으로 상부손잡이를 연장 형성한 상부몸체와, 하부죠우에서 후방으로 가이드슬롯을 연장 형성한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죠우와 상부손잡이 사이의 좌,우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한 결합돌기와,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죠우와 가이드슬롯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서로 체결하도록 하는 체결부와, 상기 하부몸체의 체결부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전방에 구비된 탄성체로 탄성반발력을 제공해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죠우를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죠우로 근접시키는 하부손잡이와, 상기 가이드슬롯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에 후단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으로 진출하여,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들 내부에 수용된 가압블록을 상향으로 밀어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에서 스테이플을 상승시키면서 상향으로 압박하는 한 쌍의 웨지슬레드바와, 상기 한 쌍의 웨지슬레드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블록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커터를 전방으로 진출시키는 푸쉬바와,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반발력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방지턱을 제공해 상기 웨지슬레드바 및 푸쉬바의 진출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슬롯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블록의 이동을 조작하는 슬라이드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urgical stap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ody formed by extending an upper handle from an upper jaw to a rear side, a lower body extending from a lower jaw to a guide slot rearwardly, and an upper jaw and an upper knob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lower jaw and the guide slot of the lower body to receive 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upper body and fast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o each other, A lower knob hing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to provide an elastic repulsive force with an elastic body provided at the front to bring the lower jaw of the lower body closer to the upper jaw of the upper body, The rear end is fixed to the moving guide block, and as the guide block moves forward, it advances forward A pair of wedge sled bars which push upwardly the pushing blocks received in the plurality of staple built-in holes to upwardly push the staples upward in the staple-containing holes, and a pair of wedge sled bars which are arranged between the pair of wedge sled bars, A push bar for pushing the cutter forward as the guide block moves forward, a pivot bar rotatably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in the fastening portion, and being pivoted rearward by a repulsive force of the torsion spring, A stopper for preventing advancement of the wedge sled bar and the push bar, and a slide knob connected to the guide block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guide slot to manipulate the movement of the guide bloc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몸체의 전방측에서 하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파지되는 지지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손잡이의 전방측에 힌지결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위치되어, 상기 손가락들의 조작에 의해 힌지를 축으로 작동하는 조작손잡이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본체의 조작손잡이와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조작손잡이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스트로크바와, 상기 스트로크바를 내장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트로크바를 중심으로 360°회전하는 회전헤드와, 상기 회전헤드의 전단에 상기 스트로크바를 내장한 상태로 결합되는 연장샤프트와, 후단이 상기 연장샤프트의 전단과 결합되고, 전단에는 상부죠우(jaw)와 하부죠우(jaw) 각각의 일측단이 피벗부에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피벗부의 후방에서 관통하는 푸쉬바를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연장샤프트에서 출현하는 스트로크바와 연동(진출)하여, 상기 상부죠우 또는 하부죠우 중 어느 한 죠우가 힌지를 축으로 회동시켜 상기 상부죠우와 하부죠우 사이에 위치하는 생체조직을 클램핑하는 스테이플링샤프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surgical stap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pport handle formed down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body and held on the palm of the user, hi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handle, A main body having an operation knob for operating the hinge by an operation of the fingers;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knob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knob of the main body, A rotary head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so as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stroke bar being built therein and rotated 360 degrees around the stroke bar by a user's operation; An extension shaft coupled with the stroke bar embedded therein,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extension shaft Wherein one end of each of an upper jaw and a lower jaw is hingedly coupled to a pivot portion at a front end and a push bar penetrating from the rear of the pivot portion is operated by a user, And a stapling shaft for interlocking (advancing) the stroke bar so that any one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to clamp the biotissu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 surgical staple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생체조직을 클램핑하는 죠우에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따라 한 쌍을 이루는 커터를 진출시켜,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함과 동시에 생체조직 일부를 절단 및 바로 채취해, 채취된 생체조직으로 암세포나 다른 이상 세포의 유무 판별하는 급속동결절편검사를 수술 중에 이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irst, a staple cartridge is detachably attached to a jaw for clamping biotissue, a pair of cutters are advanced along a staple cartridge to staple the biotissue, and a part of the biotissue is cut and immediately collected, It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the rapid freezing section test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cancer cells or other abnormal cells in the biopsy during surgery.
둘째, 수술 중에 수술부위의 조직손상이 없는 정확한 절제마진을 획득해 이를 급속동결절편검사를 실시하도록 하여, 암 수술의 원칙인 R0 절제(암세포가 없이 깨끗이 절제된 경우)의 정확성을 수술 중에도 알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Second, the accurate margin of resection without tissue damage at the surgical site was obtained and the rapid freezing section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accuracy of R0 resection (the case where it was cleanly resected without cancer cells), which is the principle of cancer surgery.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관통공이 개방되어 웨지슬레드바 및 푸쉬바가 진출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본체 및 회전헤드 내부에 스트로크바의 구성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링샤프트의 구성 상태를 보인 분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상부죠우 및 하부죠우의 회동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 카트리지에 구비된 한 쌍의 커터가 실시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 카트리지에 구비된 커터의 실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 카트리지에 구비된 수용편 및 조직이탈편의 실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urgical staple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rough hole of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a wedge sled bar and a push bar advanc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surgical staple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roke bar in a main body and a rotary head of a surgical sta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apling sha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otating state of the upper jaws and the lower jaws of the surgical stapl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ple cart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cutters provided in the staple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utter provided in the staple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eceiving piece and the tissue-leaving piece provided in the staple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can be ma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외과 수술에서 수술부위(수술 부위)를 스테이플링함과 동시에,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따라 한 쌍을 이루는 커터를 진출시켜, 스테이플링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절단 및 조직검사에 필요한 생체조직샘플을 채취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stapling method for stapling a surgical site (surgical site) in a surgical operation, advancing a pair of cutters along a staple cartridge, cutting a stapling site, and collecting a biopsy sam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staple apparatus having a blade, and its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일 실시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부몸체(10), 하부몸체(20), 하부손잡이(30), 스테이플 카트리지(500)로 구성한다.1 and 2, a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몸체(10)의 전방에는 상부죠우(11)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죠우(11)에서 후방으로 상부손잡이(12)를 연장 형성해 상기 상부몸체(10)의후방을 이룬다.The
이때 상기 상부죠우(11)의 저면에는 스테이플 카트리지(500)에 탑재된 다수의 스테이플(1)들과 각각 대응하여, 다수의 스테이플(1) 각각의 끝단을 절곡하는 절곡홈(도시하지 않음)을 일률적으로 형성한다.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부몸체(20)의 전방에는 하부죠우(21)가 위치되고, 하부죠우(21)에서 후방으로 가이드슬롯(22)을 연장 형성해 상기 하부몸체(20)의 후방을 이룬다.The
이때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죠우(21)에는 스테이플 카트리지(500)가 수용되는 수용부(23)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슬롯(22)의 내부에는 가이드슬롯(22)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24)을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가이드블록(24)에는 슬라이드손잡이(25)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손잡이(25)를 이용해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블록(24)을 상기 가이드슬롯(22) 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조작한다.A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록(24)의 전단에는 한 쌍의 웨지슬레드바(26) 및 푸쉬바(27)가 고정되는데, 상기 한 쌍의 웨지슬레드바(26)는 상기 가이드블록(24)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으로 진출하여,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500)의 카트리지몸체(501)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편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502)들의 내부에 수용된 가압블록(503)을 상향으로 밀어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에서 스테이플(1)을 상승시키면서 상향으로 압박한다.A pair of wedge sled
또한 상기 푸쉬바(27)는 상기 한 쌍의 웨지슬레드바(2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24)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커터를 전방으로 진출시킨다.The
더불어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죠우(11)와 상부손잡이(12) 사이의 좌,우측면에는 결합돌기(14)를 각각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죠우(21)와 가이드슬롯(22) 사이에는 체결부(28)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28)가 상기 상부몸체(10)의 결합돌기(14)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가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A
상기 체결부(28)의 내부에는 스토퍼(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40)는 토션스프링(41)이 구비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체결부(28)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웨지슬레드바(26) 및 푸쉬바(27)가 관통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웨지슬레드바(26) 및 푸쉬바(27)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28)의 내부에 구비된다.A
따라서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토션스프링(41)의 반발력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관통공이 경사지게 되어, 관통공의 일측이 방지턱으로 제공해 상기 웨지슬레드바(26) 및 푸쉬바(27)의 진출을 단속한다.The
이때 상기 스토퍼(40)의 방지턱 해제는 상기 스토퍼(40)의 전단에 누름편(42)을 돌출 형성하여, 스테이플 카트리지(500)가 상기 하부죠우(21)의 수용부(23)에 수용될 시,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500)의 후단이 상기 스토퍼(40)의 전단에 누름편(42)을 누르게 됨에 따라 관통공의 상태가 개방되어, 상기 웨지슬레드바(26) 및 푸쉬바(27)의 진출이 가능하다.At this time, when the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20)의 체결부(28) 하부에는 하부손잡이(30)가 힌지 결합되는데, 전방에 구비된 탄성체로 탄성반발력을 제공해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죠우(21)를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죠우(11)로 근접시켜 생체조직을 사이에 두고 클램핑되도록 한다.A
상기 하부몸체(20)의 가이드슬롯(22) 후단에는 하향으로 걸고리(29)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죠우(21)를 상부죠우(11)로 근접시킬 시, 상기 하부손잡이(30)의 일측에 걸려 상기 죠우(11,21)들의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A
그리고 상기한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 장착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500)는 일회용으로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500)의 중심에 커터 및 샘플채취부를 구비하여, 스테이플링할 시 생체조직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조직샘플을 채취한다.The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 카트리지(500)는 절단 및 조직샘플을 채취 기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한 하부죠우(21)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것으로, 상기한 스테이플 카트리지(5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죠우(21)의 수용부(23) 내부공간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카트리지몸체(501)를 구성하고,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에는 '└┘'형의 스테이플(1)이 내장되는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502)을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한다. The
상기 하부죠우(21)의 수용부(23) 내부공간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카트리지몸체(501)를 구성하고,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커터안내장공(504)을 형성하는데, 상기 커터안내장공(504)의 후방에는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할 시, 진출하는 푸쉬바(27)에 의해 밀려 상기 커터안내장공(504)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출하면서 생체조직을 절단하는 단일커터(513)를 구비한다.The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에는 '└┘'형의 스테이플(1)이 내장되는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502)을 형성하는데, 상기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502)들은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커터안내장공(504)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한다. The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들의 내부에는 스테이플(1)을 받치면서,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을 따라 상승하는 가압블록(503)을 내장한다.Inside the staple-containing
이때 상기 가압블록(503)은 하부를 통해 상기 웨지슬레드바(26)가 근접하면, 상면이 사선으로 형성된 상기 웨지슬레드바(26)의 상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에 내장된 스테이플(1)들을 순차적으로 외부로 출현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플(1)들을 더 가압해, 상기 스테이플(1)의 끝단이 상기 상부죠우(11)와 하부죠우(21) 사이에 위치하는 생체조직을 관통한 후 상기 상부죠우(11)의 절곡홈(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절곡되어,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또한 상기 웨지슬레드바(26)가 진출할 시, 상기 푸쉬바(27) 역시 함께 진출하여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커터안내장공(504)을 따라 단일커터(513)를 전방으로 진출시켜, 상기 상부죠우(11)와 하부죠우(21) 사이에 위치하는 생체조직을 절단한다.When the
더불어 스테이플 카트리지(500)의 다른 구성 예인 생체조직을 채취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500)를 살펴보면, 상기 하부죠우(21)의 수용부(23) 내부공간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카트리지몸체(501)를 구성하고,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에는 '└┘'형의 스테이플(1)이 내장되는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502)을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한다. The
그리고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들의 내부에는 스테이플(1)을 받치면서,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을 따라 상승하는 가압블록(503)을 내장한다.Inside the staple-containing
이때 상기 가압블록(503)은 하부를 통해 상기 웨지슬레드바(26)가 근접하면, 상면이 사선으로 형성된 상기 웨지슬레드바(26)의 상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에 내장된 스테이플(1)들을 순차적으로 외부로 출현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플(1)들을 더 가압해, 상기 스테이플(1)의 끝단이 상기 상부죠우(11)와 하부죠우(21) 사이에 위치하는 생체조직을 관통한 후 상기 상부죠우(11)의 절곡홈(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절곡되어,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또한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에는 샘플채취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샘플채취부는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500)의 카트리지몸체(501) 후단에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카트리지몸체(501)를 따라 전방으로 진출하면서 생체조직을 절단하는 한 쌍의 커터(511)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커터(511)들이 진출하는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커터(511)에 의해 절단된 생체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수용홈(512)을 형성한다.The
이때 상기 커터(511)는 한 쌍으로 지정 간격을 두거나, 상기 조직수용홈(512)의 좌,우측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 쌍의 커터(511)가 시간의 오차 없이 같이 연동을 위해 한 쌍의 커터(511)의 하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상기 한 쌍의 커터(511)는 그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커터(511)의 단면 형상이 '└┘'형으로 형성하거나, '∪'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부를 서로 연결하여도 무방하다.The pair of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터(511)를 뒤따라 전방으로 진출하여 상기 한 쌍의 커터(511)에 의해 절단된 생체조직이 상기 조직수용홈(512)으로 밀어 넣는 수용편(514)을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pair of
상기 수용편(514)은 상기 한 쌍의 커터(511)의 후방 한 쌍의 커터(51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 쌍의 커터(511)가 전방으로 진출할 시, 상기 한 쌍의 커터(511)를 뒤따라 전방으로 진출하여야 한다.The receiving
또한 상기 조직수용홈(512)의 내부에는 전단이 상기 조직수용홈(512)의 전단과 서로 부분연결되고, 부분연결된 지점을 축으로 회전하는 'ㄴ'형태인 조직이탈편(515)을 구비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조직수용홈(512)에서 노출된 일측편을 조작하여, 부분연결된 지점을 축으로 상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조직수용홈(512)에서 생체조직을 이탈시키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의 다른 실시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본체(100), 회전헤드(200), 연장샤프트(300), 스테이플링샤프트(400), 스테이플 카트리지(500)로 구성한다.The surgical stapl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몸체의 전방측에서 하향으로 지지손잡이(110)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에 파지되고, 상기 지지손잡이(110)의 전방측에는 조작손잡이(120)를 힌지 결합한다.3 to 6, the
이때 상기 조작손잡이(120)에는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위치되는 파지공(121)을 형성하여 상기 파지공(121)에 사용자의 손가락들을 위치한 후, 손가락들의 펴다, 오므리는 조작으로 상기 조작손잡이(120)를 힌지를 축으로 회동 작동한다.At this time, the manipulation handle 120 is formed with a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스트로크바(130)를 내장하는데, 상기 스트로크바(130)는 상기 본체(100)의 조작손잡이(120)와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조작손잡이(120)의 조작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스트로크바(13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 수평이동한다.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트로크바(130)는 상기 조작손잡이(120)와 래칫의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조작손잡이(1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트로크바(130)는 전방으로 이동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때 상기 스트로크바(130)의 후단은 당김손잡이(131)와 연결되는데, 상기 당김손잡이(131)를 사용자가 후방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스트로크바(130)가 후방으로 이동한다.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당김손잡이(131)는 상기 본체(100)의 좌,우측면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장공(101)을 따라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장공(101)을 통해 상기 스트로크바(130)의 후단과 연결한다.The pull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트로크바(130)는 당김손잡이(131)를 후방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조작손잡이(120)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한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단에는 회전헤드(200)를 구비하는데, 상기 회전헤드(200)는 상기 스트로크바(130)를 내장한 상태로,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서 상기 스트로크바(130)를 중심으로 360°회전하도록 결합한다.A
이때 상기 회전헤드(20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파지홈(201)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파지홈(201)을 이용해 사용자의 손으로 조작하여 상기 회전헤드(200)를 상기 스트로크바(130)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A plurality of
더불어 상기 회전헤드(200)의 일측면에는 각조절손잡이(210)를 구비하여 추후에 설명할 스테이플링샤프트(400)에 구비되는 상부죠우(410)와 하부죠우(42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회전헤드(200)의 전단에는 연장샤프트(300)를 구비하는데, 상기 연장샤프트(300)는 관체로 상기 연장샤프트(300) 역시, 상기 스트로크바(130)를 내장한 상태로 상기 회전헤드(200)의 전단에 결합한다.An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스트로크바(130)의 길이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와 회전헤드(200)의 길이, 연장샤프트(300)의 길이를 합한 총 길이보다 길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트로크바(130)가 전진 이동하면 상기 연장샤프트(300)의 전단에서 출현하는 길이가 길어지면서 전방으로 가압력을 제공한다.The length of the
그리고 상기 연장샤프트(300) 전단에는 스테이플링샤프트(400)를 결합하여, 상기 연장샤프트(300) 내에서 상기 스트로크바(130)가 전진 출연(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가압력으로 생체조직의 클램핑, 스테이플링 및 절단 생체조직 채취 기능을 수행한다.A stapling
상기 스테이플링샤프트(4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스테이플링샤프트(400)의 전방에는 상부죠우(upper-jaw: 410)와, 하부죠우(lower-jaw: 420)를 구비하는데, 상기 상부죠우(upper-jaw: 410) 및 하부죠우(lower-jaw: 420) 각각의 후단이 피벗부(430) 전단에 서로 힌지 결합하여, 상부죠우(410) 및 하부죠우(420) 중 어느 한 죠우는 고정된 생태를 유지하고, 대향진 다른 죠우는 힌지를 축으로 회동되어 상부죠우(410)와, 하부죠우(420) 사이에 위치하는 생체조직을 클랭핑(폐쇄 상태)하도록 한다.The stapling
이때 상기 상부죠우(410) 및 하부죠우(420) 중 회동하는 죠우에는 다수의 스테이플(1)이 탑재된 스테이플 카트리지(500)가 장착되는 수용부(421)를 형성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죠우에는 스테이플 카트리지(500)에 탑재된 다수의 스테이플(1)들과 각각 대응하여, 다수의 스테이플(1) 각각을 끝단을 절곡하는 절곡홈(411)을 일률적으로 형성한다.At this time, in the jaw rotating among the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다수의 스테이플(1) 각각을 절곡하는 절곡홈(411)을 일률적으로 형성한 죠우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부죠우(410)로 칭하고, 스테이플 카트리지(500)가 장착되는 수용부(421)를 형성한 죠우를 힌지를 축으로 회동되는 하부죠우(420)로 칭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jaw having a uniformly formed bending
그리고 상기 상부죠우(410) 및 하부죠우(420)가 고정되는 피벗부(430)의 중심에는 푸쉬바(440)가 관통하여 전방으로 진출하는데, 상기 푸쉬바(440)는 탄성을 갖도록 복수의 얇은 판을 서로 접합 구성하고, 후단에는 상기 스트로크바(130)의 전단과 체결되는 체결부(441)를 형성해, 상기 체결부(441)를 통해 상기 스트로크바(130)의 전단과 체결되어, 상기 스트로크바(130)가 전방으로 이동할 시 발생하는 그 가압력을 인계받아 상기 푸쉬바(440)가 전방으로 진출한다.The
이때 상기 상부죠우(410)의 중심에는 상기 푸쉬바(440)의 상부를 안내하는 안내홈(412)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죠우(420)의 중심에는 상기 푸쉬바(440)의 하부를 안내하는 안내장공(422)을 형성한다.At this time, a
그리고 상기 푸쉬바(440)의 전단 하부에는 회동작동편(442)을 구비하는데, 상기 회동작동편(442)은 상기 하부죠우(420)의 외면에 면접하도록 상기 푸쉬바(440)의 전단 하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상기 푸쉬바(440)가 전방으로 진출할 시, 상기 하부죠우(420)의 길이방향의 면을 따라 전진하여 상기 하부죠우(420)가 상향으로 회동하도록 회동력을 제공해, 상기 상부죠우(410)와 하부죠우(420) 사이에 위치되는 생체조직을 클램핑(폐쇄 상태)할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상기 회동작동편(442)이 상기 하부죠우(420)의 후방에 위치하면 상기 상부죠우(410)와 하부죠우(420)가 힌지를 축으로 이격되어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회동작동편(442)가 전방으로 진출하면 상기 하부죠우(420)가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죠우(410)와 근접한 상태인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The
또한 상기 피벗부(430)의 후방 상기 푸쉬바(440)의 길이를 따라 상,하로 분할되는 내부하우징(450)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하우징(450)이 상기 푸쉬바(440)를 내장한 상태로 서로 결합하고, 상기 푸쉬바(440)는 상기 내부하우징(450) 내부에서 수평이동한다.The
그리고 상기 내부하우징(450)의 후단은 내부와 연통하도록 관통홀(451)을 형성해, 상기 스트로크바(130)의 전단이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451)을 통해 내부하우징(450) 내로 삽입된 상기 스트로크바(130)의 전단은 상기 푸쉬바(440)의 후단에 형성된 체결부(441)와 체결한다.The rear end of the
또한 상기 피벗부(430)의 일측에는 각조절바(431)가 연결되어, 상기 피벗부(43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죠우(410) 및 하부죠우(420)를 좌,우로 피벗되도록 한다.The
이때 상기 각조절바(431)는 상기 내부하우징(450)의 측면을 따라 상기 내부하우징(450)의 후단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각조절손잡이(21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조절바(431)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상기 상부죠우(410) 및 하부죠우(420)가 원상태로 복귀할 시에는 상기 푸쉬바(440)의 탄성력으로 복귀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피벗부(430)의 후방에는 상기 내부하우징(450) 및 각조절바(431)를 내부에 내장하여 보호하는 관체케이스(460)를 구비하는데, 상기 관체케이스(460)를 결합할 시, 상기 피벗부(430)의 피벗 축을 이루는 힌지돌기를 상기 피벗부(430)의 후방 상,하부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힌지돌기에 연장링크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내부하우징(450)의 표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한 후 관체케이스(460)를 결합하여, 피벗 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더불어 상기 스테이플링샤프트(400)의 상기 하부죠우(420) 수용부(421)에 장착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500)는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스테이플(1)을 내장하여, 내장된 스테이플(1)로 상기 상부죠우(410)와 하부죠우(420)에 위치되는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 한다.The
이때 스테이플링의 기능은 상기 푸쉬바(440)의 전단에 구비되는 웨지슬레드(443)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웨지슬레드(443)는 상부가 경사진 면으로 상어지느러미 형상으로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stapling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상기한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에 따른 스테이플 카트리지(500)는 일회용으로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500)의 중심에 커터 및 샘플채취부를 구비하여, 스테이플링할 시 생체조직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조직샘플을 채취한다.The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플 카트리지(500)는 절단 및 조직샘플을 채취 기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한 하부죠우(420)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것으로, 상기한 스테이플 카트리지(5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죠우(420)의 수용부(421) 내부공간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카트리지몸체(501)를 구성하고,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에는 '└┘'형의 스테이플(1)이 내장되는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502)을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한다. The
상기 하부죠우(420)의 수용부(23) 내부공간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카트리지몸체(501)를 구성하고,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커터안내장공(504)을 형성하는데, 상기 커터안내장공(504)의 후방에는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할 시, 진출하는 푸쉬바(440)에 의해 밀려 상기 커터안내장공(504)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출하면서 생체조직을 절단하는 단일커터(513)를 구비한다.The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에는 '└┘'형의 스테이플(1)이 내장되는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502)을 형성하는데, 상기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502)들은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커터안내장공(504)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한다. The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들의 내부에는 스테이플(1)을 받치면서,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을 따라 상승하는 가압블록(503)을 내장한다.Inside the staple-containing
이때 상기 가압블록(503)은 하부를 통해 상기 웨지슬레드(443)가 근접하면, 상면이 사선으로 형성된 상기 웨지슬레드(443)의 상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에 내장된 스테이플(1)들을 순차적으로 외부로 출현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플(1)들을 더 가압해, 상기 스테이플(1)의 끝단이 상기 상부죠우(410)와 하부죠우(420) 사이에 위치하는 생체조직을 관통한 후 상기 상부죠우(410)의 절곡홈에 의해 절곡되어,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또한 상기 웨지슬레드(443)가 진출할 시, 상기 푸쉬바(440) 역시 함께 진출하여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커터안내장공(504)을 따라 단일커터(513)를 전방으로 진출시켜, 상기 상부죠우(410)와 하부죠우(420) 사이에 위치하는 생체조직을 절단한다.When the
더불어 생체조직을 채취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500)를 살펴보면, 상기 하부죠우(420)의 수용부(421) 내부공간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카트리지몸체(501)를 구성하고,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에는 '└┘'형의 스테이플(1)이 내장되는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502)을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한다. The
그리고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들의 내부에는 스테이플(1)을 받치면서,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을 따라 상승하는 가압블록(503)을 내장한다.Inside the staple-containing
이때 상기 가압블록(503)은 하부를 통해 상기 웨지슬레드(443)가 근접하면, 상면이 사선으로 형성된 상기 웨지슬레드(443)의 상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502)에 내장된 스테이플(1)들을 순차적으로 외부로 출현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플(1)들을 더 가압해, 상기 스테이플(1)의 끝단이 상기 상부죠우(410)와 하부죠우(420) 사이에 위치하는 생체조직을 관통한 후 상기 상부죠우(410)의 절곡홈에 의해 절곡되어,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또한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에는 샘플채취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샘플채취부는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500)의 카트리지몸체(501) 후단에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카트리지몸체(501)를 따라 전방으로 진출하면서 생체조직을 절단하는 한 쌍의 커터(511)를 구비하고, 상기 커터(511)들이 진출하는 상기 카트리지몸체(501)의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커터(511)에 의해 절단된 생체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수용홈(512)을 형성한다.The
이때 상기 한 쌍의 커터(511)는 한 쌍으로 지정 간격을 두거나, 상기 조직수용홈(512)의 좌,우측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 쌍의 커터(511)가 시간의 오차 없이 같이 연동을 위해 한 쌍의 커터(511)의 하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이러한 상기 한 쌍의 커터(511)는 그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커터(511)의 단면 형상이 '└┘'형으로 형성하거나, '∪'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pair of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터(511)를 뒤따라 전방으로 진출하여 상기 한 쌍의 커터(511)에 의해 절단된 생체조직이 상기 조직수용홈(512)으로 밀어 넣는 수용편(514)을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pair of
상기 수용편(514)은 상기 한 쌍의 커터(511)의 후방 한 쌍의 커터(51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 쌍의 커터(511)가 전방으로 진출할 시, 상기 한 쌍의 커터(511)를 뒤따라 전방으로 진출하여야 한다.The receiving
또한 상기 조직수용홈(512)의 내부에는 전단이 상기 조직수용홈(512)의 전단과 서로 부분연결되고, 부분연결된 지점을 축으로 회전하는 'ㄴ'형태인 조직이탈편(515)을 구비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조직수용홈(512)에서 노출된 일측편을 조작하여, 부분연결된 지점을 축으로 상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조직수용홈(512)에서 생체조직을 이탈시키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생체조직을 클램핑하는 죠우에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따라 한 쌍을 이루는 커터를 진출시켜, 선택적으로 절단 및 조직샘플 채취 기능에 맞는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함과 동시에 절단 및 조직의 일부를 바로 채취해, 채취된 생체조직으로 암세포나 다른 이상 세포의 유무 판별하는 급속동결절편검사를 수술 중에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지라 할 수 있다.Therefore, the surgical staple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taple cartridg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jaw for clamping the biotissue, the pair of cutters are advanced along the staple cartridge to selectively cut and collect tissue samples A staple cartridge suitable for the function is stapled to staple the living tissue, and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tissue and the cut can be immediately taken out, and a rapid freezing section test for discrimin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ncer cells or other abnormal cells can be performed during th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say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it.
또한 단일커터를 구비한 카트리지몸체(절단 기능) 및 한 쌍의 커터를 구비한 카트리지몸체(조직샘플 채취)의 색상을 달리하여, 스테이플 카트리지를 하부죠우에 장착하기 전, 스테이플 카트리지의 기능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스테이플 카트리지 장착에 따른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cartridge body (cutting function) having a single cutter and the cartridge body (tissue sample collecting) having a pair of cutters are different in color, so that the function of the staple cartridge is visually observed before the staple cartridge is mounted on the lower jaw It is possible to prevent errors due to the staple cartridge mounting so that the staple cartridge can be identifi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상부몸체 11: 상부죠우
12: 상부손잡이 14: 결합돌기
20: 하부몸체 21: 하부죠우
22: 가이드슬롯 23: 수용부
24: 가이드블록 25: 슬라이드손잡이
26: 한 쌍의 웨지슬레드바 27: 푸쉬바
30: 하부손잡이 40: 스토퍼
41: 토션스프링 42:누름편
100: 본체 101: 가이드장공
110: 지지손잡이 120: 조작손잡이
121: 파지공 130: 스트로크바
131: 당김손잡이 200: 회전헤드
201: 파지홈 210: 각조절손잡이
300: 연장샤프트 400: 스테이플링샤프트
410: 상부죠우(upper jaw) 411: 절곡홈
412: 안내홈 420: 하부죠우(lower jaw)
421: 수용부 422: 안내장공
430: 피벗부 431: 각조절바
440: 푸쉬바 441: 체결부
442: 회동작동편 443: 웨지슬레드
450: 내부하우징 451: 관통홀
460: 관체케이스 500: 스테이플 카트리지
501: 카트리지몸체 502: 스테이플 내장공
503: 가압블록 511: 한 쌍의 커터
512: 조직수용홈 513: 단일 커터10: upper body 11: upper jaw
12: upper handle 14: engaging projection
20: Lower body 21: Lower jaw
22: guide slot 23: accommodating portion
24: guide block 25: slide knob
26: a pair of wedge sled bars 27: push bars
30: Lower handle 40: Stopper
41: Torsion spring 42:
100: main body 101: guide slot
110: support handle 120: operation handle
121: grip hole 130: stroke bar
131: pull handle 200: rotating head
201: holding groove 210: angle adjusting handle
300: Extension shaft 400: Stapling shaft
410: Upper jaw 411: Bending groove
412: guide groove 420: lower jaw
421: receiving portion 422: guide slot
430: pivot portion 431: angle adjustment bar
440: push bar 441: fastening part
442: rotation operation piece 443: wedge sled
450: inner housing 451: through hole
460: tubular case 500: staple cartridge
501: Cartridge body 502: Staple built-in ball
503: press block 511: a pair of cutters
512: tissue receiving groove 513: single cutter
Claims (8)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하부죠우에 형성된 수용부에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편에 다수의 스테이플이 내장되며,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내장된 다수의 스테이플이 상향으로 출현해 생체조직을 스테이플링하는 스테이플 카트리지;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 몸체의 후단에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스테이플 카트리지 몸체를 따라 전진하면서 상부죠우와, 하부죠우 사이에 위치되는 생체조직을 절단함과 동시에 채취하는 한 쌍을 이루는 커터를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A surgical staple device for stapling a surgical site after an upper jaw and a lower jaw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with a surgical site being interposed by a user's operation,
A large number of staples are built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lower jaw operated by the user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lengthwise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back and forth, A staple cartridge for stapling living tissue;
A double blade including a pair of cutter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rear end of the staple cartridge body so as to cut and collect the living tissu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while moving along the staple cartridge body, And a stapler.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는
상기 하부죠우의 수용부 내부공간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카트리지몸체와;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중심에 전,후방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커터안내장공과;
상기 커터안내장공을 기준으로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좌,우측편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하고, 각각 스테이플을 내장하는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과;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들의 내부에 스테이플을 받치도록 내장되고,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을 따라 승강하는 가압블록을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ple cartridge
A cartridge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internal spac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lower jaw;
A cutter guid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artridg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 plurality of staple-embedded hole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tridg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utter guide slot and each having a built-in staple;
And a pressing block which is built in the staple-containing holes to support the staples and lifts and retreats along the staple-containing holes.
상기 스테이플 카트리지는
상기 커터안내장공을 따라 형성되고, 한 쌍의 커버에 의해 절단된 생체조직을 수용하는 조직수용홈;을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taple cartridge
And a tissue receiving groove formed along the cutter guide slot to receive the biotissue cut by the pair of covers.
상기 한 쌍의 커터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커터 단면형상이 '└┘'형으로 형성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cutt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air of cutters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
상기 한 쌍의 커터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커터 단면형상이 '∪'형으로 형성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cutt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cutters to form a U shape.
상기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상부죠우에서 후방으로 상부손잡이를 연장 형성한 상부몸체와;
하부죠우에서 후방으로 가이드슬롯을 연장 형성한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죠우와 상부손잡이 사이의 좌,우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한 결합돌기와;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죠우와 가이드슬롯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결합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서로 체결하도록 하는 체결부와;
상기 하부몸체의 체결부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전방에 구비된 탄성체로 탄성반발력을 제공해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죠우를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죠우로 근접시키는 하부손잡이와;
상기 가이드슬롯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에 후단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으로 진출하여, 다수의 스테이플 내장공들 내부에 수용된 가압블록을 상향으로 밀어 상기 스테이플 내장공에서 스테이플을 상승시키면서 상향으로 압박하는 한 쌍의 웨지슬레드바와;
상기 한 쌍의 웨지슬레드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블록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커터를 전방으로 진출시키는 푸쉬바와;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반발력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방지턱을 제공해 상기 웨지슬레드바 및 푸쉬바의 진출을 방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가이드슬롯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블록의 이동을 조작하는 슬라이드손잡이;를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rgical staple apparatus
An upper body extending rearward from the upper jaw to the upper knob;
A lower body extending from the lower jaw to a rear side of the guide slot;
An engag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left and right sides between the upper jaw and the upper knob of the upper body;
A fasten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lower jaw of the lower body and the guide slot to receive 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upper body and fast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ogether;
A lower knob hing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to provide a resilient repulsive force to an elastic body provided at a front side to bring the lower jaw of the lower body closer to the upper jaw of the upper body;
The rear end is fixed to a guide block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guide slot, and the guide block advances forward as the guide block moves forward, pushing the press block received in the plurality of staple- A pair of wedged sled bars pushing upward while increasing staples;
A push bar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wedge sled bars to advance the cutter forward as the guide block moves forward;
A stopper provided rotatably in a state where a torsion spring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part and rotated backward by a repulsive force of the torsion spring to prevent the advance of the wedge sled bar and the push bar; And
And a slide knob connected to a guide block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guide slot to manipulate the movement of the guide block.
상기 하부몸체의 가이드슬롯 후단에 하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죠우를 상부죠우로 근접시킬 시, 상기 하부손잡이의 일측에 걸려 상기 죠우들의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고리를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a hook which is formed at a rear end of a guide slot of the lower body and is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lower knob when the lower jaw is brought close to the upper jaw so as to maintain the state of proximity of the jaws, Staple device.
상기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는
몸체의 전방측에서 하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파지되는 지지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손잡이의 전방측에 힌지결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위치되어, 상기 손가락들의 조작에 의해 힌지를 축으로 작동하는 조작손잡이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본체의 조작손잡이와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조작손잡이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스트로크바와;
상기 스트로크바를 내장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트로크바를 중심으로 360°회전하는 회전헤드와;
상기 회전헤드의 전단에 상기 스트로크바를 내장한 상태로 결합되는 연장샤프트; 및
후단이 상기 연장샤프트의 전단과 결합되고, 전단에는 상부죠우(jaw)와 하부죠우(jaw) 각각의 일측단이 피벗부에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피벗부의 후방에서 관통하는 푸쉬바를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연장샤프트에서 출현하는 스트로크바와 연동(진출)하여, 상기 상부죠우 또는 하부죠우 중 어느 한 죠우가 힌지를 축으로 회동시켜 상기 상부죠우와 하부죠우 사이에 위치하는 생체조직을 클램핑하는 스테이플링샤프트;를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외과용 스테이플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rgical staple apparatus
A support handle formed to be down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body and held on the palm of the user, hinged to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handle, the user's fingers being positioned, A main body having an operation handle to be operated;
A stroke bar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handle of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move forward or backward as the operation handle is operated by a user;
A rotary head coupled to rotate in a for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with the stroke bar incorporated therein and rotated 360 degrees around the stroke bar by a user's operation;
An extension shaft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rotary head with the stroke bar incorporated therein; And
A rear end is coupled with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shaft, and one end of each of an upper jaw and a lower jaw is hinged to the pivot part at the front end, and a push bar penetrating from the rear of the pivot part is operated by a user A stapling shaft for clamping a biotissu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by rotating one jaw of the upper jaw or the lower jaw along an axis of the hitch, The staple staple device having a dual blad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0940A KR101444058B1 (en) | 2014-07-18 | 2014-07-18 | Double bladed surgical stapling device |
PCT/KR2014/010116 WO2016010198A1 (en) | 2014-07-18 | 2014-10-27 | Double bladed surgical stapl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0940A KR101444058B1 (en) | 2014-07-18 | 2014-07-18 | Double bladed surgical stapl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4058B1 true KR101444058B1 (en) | 2014-09-23 |
Family
ID=5176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0940A Active KR101444058B1 (en) | 2014-07-18 | 2014-07-18 | Double bladed surgical stapling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4058B1 (en) |
WO (1) | WO2016010198A1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25626A1 (en) * | 2015-08-12 | 2017-02-16 | Charité - Universitätsmedizin Berlin | Device for separating tissue parts |
KR101788243B1 (en) | 2015-12-08 | 2017-10-24 | 주식회사 메디튤립 | Surgical linear stapler |
CN107647892A (en) * | 2017-10-27 | 2018-02-02 | 历延军 | A kind of extendible curved cutter stapler |
WO2019209467A1 (en) * | 2018-04-23 | 2019-10-31 | Covidien Lp | Staple cartridge assembly for use in a surgical robotic system |
CN111643137A (en) * | 2020-07-02 | 2020-09-11 | 上海博洽医疗器械有限公司 | Nail bin mounting hook of endoscope cutting anastomat |
CN112089460A (en) * | 2019-06-17 | 2020-12-18 | 上海博洽医疗器械有限公司 | Inclined wedge of endoscope cutting anastomat |
CN112107358A (en) * | 2020-10-08 | 2020-12-22 | 江苏双羊医疗器械有限公司 | Cross nail holding screwdriver |
CN113274082A (en) * | 2021-06-02 | 2021-08-20 | 江苏盛纳凯尔医用科技有限公司 | Anorectal anastomat for hemorrhoid excision |
CN114469223A (en) * | 2022-03-22 | 2022-05-13 | 山东大学齐鲁医院 | An anastomotic device for deep tissue closure |
CN115770078A (en) * | 2021-09-06 | 2023-03-10 | 江苏风和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 Cartridge assembly and surgical instrument |
KR20230137592A (en) * | 2022-03-22 | 2023-10-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cutting specimen |
KR20230169397A (en) * | 2021-04-23 | 2023-12-15 |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 End tool for surgical instrument |
KR102662085B1 (en) | 2023-10-20 | 2024-04-30 | (주)지온케어 | Antimicrobial coating skin staple |
KR102682810B1 (en) | 2024-05-23 | 2024-07-05 | 이만용 | Cutter sharpening apparatus for surgical stapler |
CN119138952A (en) * | 2024-09-26 | 2024-12-17 | 苏州勤灏精密机械有限公司 | Staple cartridge assembly in endoscopic stapler with independent limiting trac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84755B (en) * | 2018-07-10 | 2024-03-22 | 新希望六和股份有限公司 | Carcass sampling forceps for quarantine of livestock and poultry |
CN109171886B (en) * | 2018-10-19 | 2023-10-31 | 朱少金 | Clamp type vascular suture device for endoscope |
CN111643138A (en) * | 2020-07-02 | 2020-09-11 | 上海博洽医疗器械有限公司 | Executive component of endoscope cutting anastomat |
CN114869409B (en) * | 2022-05-09 | 2024-07-16 | 青岛智兴医疗器械有限公司 | Angle-adjustable surgical forceps for spinal endoscop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75115A1 (en) | 2005-10-04 | 2007-04-05 | Tyco Healthcare Group Lp | Staple drive assembly |
US20100320252A1 (en) | 2009-06-19 | 2010-12-23 | Tyco Healthcare Group Lp | Flexible surgical stapler with motor in the head |
US20110210157A1 (en) | 2007-09-06 | 2011-09-01 | Cardica, Inc. | Surgical Method for Stapling Tissue |
US20120168487A1 (en) | 2005-08-15 | 2012-07-05 | Tyco Healthcare Group Lp | Surgical Stapling Instruments including a Cartridge Having Multiple Staples Sizes |
-
2014
- 2014-07-18 KR KR1020140090940A patent/KR101444058B1/en active Active
- 2014-10-27 WO PCT/KR2014/010116 patent/WO201601019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68487A1 (en) | 2005-08-15 | 2012-07-05 | Tyco Healthcare Group Lp | Surgical Stapling Instruments including a Cartridge Having Multiple Staples Sizes |
US20070075115A1 (en) | 2005-10-04 | 2007-04-05 | Tyco Healthcare Group Lp | Staple drive assembly |
US20110210157A1 (en) | 2007-09-06 | 2011-09-01 | Cardica, Inc. | Surgical Method for Stapling Tissue |
US20100320252A1 (en) | 2009-06-19 | 2010-12-23 | Tyco Healthcare Group Lp | Flexible surgical stapler with motor in the head |
Cited B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13512B2 (en) | 2015-08-12 | 2021-05-25 | Charité —Universitätsmedizin Berlin | Device for separating tissue parts |
JP2018527073A (en) * | 2015-08-12 | 2018-09-20 | シャリテ−ウニヴェルジテーツメディツィン・ベルリンCharite−Universitaetsmedizin Berlin | Device for separating tissue parts |
EP3334351B1 (en) * | 2015-08-12 | 2024-10-02 | Charité - Universitätsmedizin Berlin | Device for separating tissue parts |
WO2017025626A1 (en) * | 2015-08-12 | 2017-02-16 | Charité - Universitätsmedizin Berlin | Device for separating tissue parts |
KR101788243B1 (en) | 2015-12-08 | 2017-10-24 | 주식회사 메디튤립 | Surgical linear stapler |
CN107647892A (en) * | 2017-10-27 | 2018-02-02 | 历延军 | A kind of extendible curved cutter stapler |
WO2019209467A1 (en) * | 2018-04-23 | 2019-10-31 | Covidien Lp | Staple cartridge assembly for use in a surgical robotic system |
US11382620B2 (en) | 2018-04-23 | 2022-07-12 | Covidien Lp | Staple cartridge assembly for use in a surgical robotic system |
CN112089460A (en) * | 2019-06-17 | 2020-12-18 | 上海博洽医疗器械有限公司 | Inclined wedge of endoscope cutting anastomat |
CN111643137A (en) * | 2020-07-02 | 2020-09-11 | 上海博洽医疗器械有限公司 | Nail bin mounting hook of endoscope cutting anastomat |
CN112107358A (en) * | 2020-10-08 | 2020-12-22 | 江苏双羊医疗器械有限公司 | Cross nail holding screwdriver |
KR102800672B1 (en) | 2021-04-23 | 2025-04-30 |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 End tool for surgical instrument |
KR20230169397A (en) * | 2021-04-23 | 2023-12-15 |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 End tool for surgical instrument |
CN113274082A (en) * | 2021-06-02 | 2021-08-20 | 江苏盛纳凯尔医用科技有限公司 | Anorectal anastomat for hemorrhoid excision |
CN115770078A (en) * | 2021-09-06 | 2023-03-10 | 江苏风和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 Cartridge assembly and surgical instrument |
CN114469223A (en) * | 2022-03-22 | 2022-05-13 | 山东大学齐鲁医院 | An anastomotic device for deep tissue closure |
KR102688674B1 (en) * | 2022-03-22 | 2024-07-2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cutting specimen |
KR20240116445A (en) * | 2022-03-22 | 2024-07-2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cutting specimen |
KR102747094B1 (en) * | 2022-03-22 | 2024-12-2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cutting specimen |
KR20230137592A (en) * | 2022-03-22 | 2023-10-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cutting specimen |
KR102662085B1 (en) | 2023-10-20 | 2024-04-30 | (주)지온케어 | Antimicrobial coating skin staple |
KR102682810B1 (en) | 2024-05-23 | 2024-07-05 | 이만용 | Cutter sharpening apparatus for surgical stapler |
CN119138952A (en) * | 2024-09-26 | 2024-12-17 | 苏州勤灏精密机械有限公司 | Staple cartridge assembly in endoscopic stapler with independent limiting tra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10198A1 (en) | 2016-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4058B1 (en) | Double bladed surgical stapling device | |
JP6948437B2 (en) | Surgical stapler with extendable jaws | |
US9861358B2 (en) | One handed stapler | |
US10034668B2 (en) | Circular knife blade for linear staplers | |
US8186558B2 (en) | Locking mechanism for use with loading units | |
US10285693B2 (en) | Surgical stapler with locking translatable pin | |
US7682367B2 (en) | Surgical stapling apparatus | |
EP2664284B1 (en) | Surgical stapling apparatus with curved cartridge and anvil assemblies | |
US20120080473A1 (en) | Tissue Stop for Surgical Instrument | |
US20100072257A1 (en) | Tissue Stop for Surgical Instrument | |
CN104434243B (en) | End effector, surgical operating instrument and purse-string forceps | |
JP2008512155A (en) |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 |
WO2020206612A1 (en) | Surgical stapling device with pivotable knife blade | |
CN111616762B (en) | Surgical stapling device with independently movable jaws | |
CN104434242B (en) | End effector, surgical operating instrument and purse-string forceps | |
US11439392B2 (en) | Surgical stapling device and fastener for pathological exam | |
CN114711858A (en) | Surgical stapling device with parallel jaw clos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7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