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150B1 - Automatic cap - Google Patents
Automatic c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3150B1 KR101443150B1 KR1020130058554A KR20130058554A KR101443150B1 KR 101443150 B1 KR101443150 B1 KR 101443150B1 KR 1020130058554 A KR1020130058554 A KR 1020130058554A KR 20130058554 A KR20130058554 A KR 20130058554A KR 101443150 B1 KR101443150 B1 KR 1014431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valve body
- weight
- liquid container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65D51/10—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opening automatically when container is tilted for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캡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캡은 액체 용기와 결합되며 천정부에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바닥부에 상기 액체 용기의 입구와 통하고 내주면에 밸브시트가 구비되는 유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멍의 내측면에는 밸내부에는 상기 배출구멍 및 상기 유입구멍과 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중 상기 배출구멍의 둘레부와 힌지 결합되는 개폐 도어와,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중량추와,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 밑면과 결합하고 하방으로 뻗어 상기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와, 하단이 상기 중량추의 상면과 결합하고 상방으로 뻗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밸브시트 위에 안착되면 상기 유입구멍을 폐쇄하고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떨어져 상승하면 상기 유입구멍을 개방하는 밸브체 및 하단이 상기 밸브체와 결합하고 상단이 상기 개폐 도어의 하면과 결합하는 푸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액체 용기를 바로 세우면 상기 중량추가 자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하강하고 상기 중량추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밸브체를 아래로 당겨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와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유입구멍이 폐쇄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와 연결된 푸시 부재가 상기 개폐 도어를 아래로 당겨 상기 개폐 도어가 상기 배출구멍을 폐쇄하도록 하고, 액체 용기를 거꾸로 세우면 상기 중량추가 자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하강하고 상기 중량추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밸브체를 아래로 밀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와 떨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유입구멍이 개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와 연결된 푸시 부재가 상기 개폐 도어를 아래로 밀어 상기 개폐 도어가 하방으로 힌지 운동하여 개방됨으로써 상기 배출구멍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ap, wherein an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iquid container and has an exhaust hole formed in a ceiling portion, an inlet hole communicating with an inlet of the liquid container at a bottom portion thereof, A body portion form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flow hole and having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and the inflow hole, an opening / closing door hinged to a peripheral portion of the discharge hole in the body portion, A guide member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and extending upward, When the valve seat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is seated on the valve seat, the inlet hole is closed, And a push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valve body and whose upper end is engaged with a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When the liquid container is directly set up, And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weight is pulled downward to bring the valve body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seat so that the inlet hole is closed, and at the same time, the push member connected to the valve body opens the opening / When the liquid container is turned upside down, the connecting member, which is lowered along the guide member and connected to the weight, pushes the valve body downward by pulling down the opening / closing door so as to close the discharge hole. The valve body is separated from the valve seat so that the inflow hole is opened And that at the same time the valve body and the push member connected to the opening to push the door down by being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hinged movement downward is configured to open the discharge ho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따로 액체 용기의 마개나 뚜껑을 열고 닫을 필요가 없이 액체 용기를 거꾸로 세우기만 하면 액체 용기의 내용물이 자동으로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캡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ap,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cap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contents of a liquid container only by inverting a liquid container without opening and closing a cap or a lid of the liquid container will be.
기존의 튜브 용기는 마개를 돌려 열거나 뚜껑을 열고 짜는 수동식 튜브 용기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사용할 때마다 일일이 마개나 뚜껑을 손으로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Conventional tube containers are made of manual tube containers which are opened by turning the caps or opening and closing the caps, so that the user has to open and close the caps or lids by hand every time the user uses them.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기존의 수동 용기들은 뚜껑이나 마개를 열어두는 경우가 많고, 특히 음식을 조리할 때나 머리를 감을 때 등의 경우에는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해서 음식점이나 미용실, 목욕탕 등 액체 용기를 많이 사용하는 업소에서는 아예 마개나 뚜겅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사용하는데, 이 경우 내용물의 변색 및 변질 우려가 있고 비위생적이며 내용물이 용기 입구에 묻은 상태에서 굳어서 구멍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여 위생적, 경제적, 미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Because of this inconvenience, the conventional manual containers often have a lid or a cap opened. Especially, when the food is cooked or when the user's hair is closed, it is very inconvenient to use, so a liquid container such as a restaurant, a hair salon, In this case, it is used in the condition that the cap or the lid is opened.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of discoloration and alteration of the contents. It is unsanitary and the contents are stuck in the state of being stuck in the container inlet, There were many problems.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액체 용기의 마개나 뚜껑을 열고 닫을 필요가 없이 액체 용기를 거꾸로 세우기만 하면 액체 용기의 내용물이 자동으로 밖으로 배출되고 다시 똑바로 세우면 액체 용기의 캡이 자동으로 폐쇄되는 자동 캡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quid container which does not need to open and close a cap or a lid of the liquid contain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cap in which a cap of a liquid container is automatically closed.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캡은 액체 용기와 결합되며 천정부에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바닥부에 상기 액체 용기의 입구와 통하고 내주면에 밸브시트가 구비되는 유입구멍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멍 및 상기 유입구멍과 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중 상기 배출구멍의 둘레부와 힌지 결합되는 개폐 도어와,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중량추와,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 밑면과 결합하고 하방으로 뻗어 상기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와, 하단이 상기 중량추의 상면과 결합하고 상방으로 뻗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밸브시트 위에 안착되면 상기 유입구멍을 폐쇄하고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떨어지면 상기 유입구멍을 개방하는 밸브체 및 하단이 상기 밸브체와 결합하고 상단이 상기 개폐 도어의 하면과 결합하는 푸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액체 용기를 바로 세우면 상기 중량추가 자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하강하고 상기 중량추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밸브체를 아래로 당겨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와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유입구멍이 폐쇄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와 연결된 푸시 부재가 상기 개폐 도어를 아래로 당겨 상기 개폐 도어가 상기 배출구멍을 폐쇄하고, 액체 용기를 거꾸로 세우면 상기 중량추가 자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중량추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밸브체를 상기 개폐도어가 있는 쪽으로 밀어내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와 떨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유입구멍이 개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와 연결된 푸시 부재가 상기 개폐 도어를 밀어서 힌지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구멍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liquid container and has an exhaust hole formed in a ceiling portion, a bottom portion communicating with an inlet of the liquid container, A body portion through which the discharge hole and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hole are formed; an opening / closing door hinged to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body portion; A guide member that is engaged with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s an upper end extending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 connecting member whose lower end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and extends upward, When the valve seat is seated on the valve seat, the inlet hole is closed and when the valve seat is released from the valve seat, the inlet hole is opened And a push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valve body and whose lower end is engag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body and whose upper end is engag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When the liquid container is set uprightly, The pushing member connected to the valve body pulls dow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pulling the valve body downward by bringing the valve body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seat, The discharge hole is closed, and when the liquid container is placed upside down, the weight member moves along the guide member toward the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weight member pushes the valve body toward the opening / closing door And the valve body is separated from the valve seat, And a pushing member connected to the valve body pushe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open the discharge hole by hinging.
또한, 상기 개폐 도어는 한 쌍이 양문 여닫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푸시 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푸시 부재가 각각의 상기 개폐 도어와 일대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one pair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is formed as a door opener type, the pair of push member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push members is connected to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one to one.
또한, 상기 밸브체 중 밸브시트와 맞닿을 수 있는 측면부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밸브체의 측면부 중 상기 밸브 시트와 맞닿을 수 있는 부분보다 위쪽에 있는 부분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valve body which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valve seat becomes narr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valve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valve seat is wide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
또한, 상기 푸시부재는 구부러질 수 있는 소재로 된 상하 방향으로 뻗은 봉 형태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ush member is a bar-shaped member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nding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밸브체의 재료는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valve body is preferably silicon.
또한, 상기 중량추의 재료는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material is aluminum.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캡에 의하면 따로 마개를 돌리거나 뚜껑을 열 필요 없이 액체 용기를 거꾸로 세우기만 하면 액체 용기의 내용물이 자동적으로 밖으로 나오고 바로 세우면 자동으로 캡이 닫혀져서 마개나 뚜껑을 일일이 열고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수고를 없앰으로서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물의 장기간 공기 노출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iquid container is automatically lifted out and the liquid container is turned upside down without turning the stopper or opening the lid, the cap is automatically closed, It is possible to use it more easily and efficiently, thereby preventing the side effects of long-term air exposure of the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캡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캡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및 도 4b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n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4B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캡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캡은 몸체부(100), 개폐도어(200), 중량추(300), 가이드부재(400), 연결부재(500), 밸브체(600), 푸시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몸체부(100)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의 두 부분이 상하로 접착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0)는 내부 공간이 빈 원통형의 부재로서, 하부몸체(120)의 가장자리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길게 결합홈이 형성되며 결합홈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액체 용기의 나사산이 형성된 주둥이 부분을 몸체부(100)의 결합홈에 끼워넣고 회전시키면 몸체부(100)가 액체 용기와 결합된다.The
몸체부(100)의 천정면에는 배출구멍(111)이 형성되고 몸체부(100)의 바닥면의 중심에는 원형의 유입구멍(121)이 형성된다. 유입구멍(121)의 내주면은 유입구멍(121)이 위에서 아래로 가면서 좁아지는 거꾸로 선 원뿔대 형태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밸브시트(122)이다.A
개폐도어(200)는 한 쌍이 양문형 여닫이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각각의 개폐도어(200)가 몸체부(100) 중 배출구멍(111)의 좌우 양 가장자리 부근 각각에 힌지 결합된다. 개폐도어(200)의 일측단에는 힌지(210)의 축 부분이 개폐도어(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몸체(110)의 천정부의 밑면에는 힌지(210)의 축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지지부가 상부몸체(1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가이드부재(400)는 하부몸체(12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몸체부(100)의 바닥부의 밑면과 결합하고 몸체부(100)의 밑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뻗는 가느다란 봉 형태의 부재이다. 가이드부재(400)는 유입구멍(121)을 가운데 놓고 네 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The
본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와 개폐도어(200) 및 가이드부재(400)는 ABS 수지를 재료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중량추(300)는 원기둥 형태의 금속 재질의 부재로서 가이드부재(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구멍(310)이 형성되고, 가이드부재(400)가 가이드구멍(310)을 관통하고 있다.The
연결부재(500)는 중량추(300)의 상면 중심부와 결합하여 중량추(300)의 결합부위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가느다란 원형 봉 형태의 부재와 상단부의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머리부로 이루어진다. 중량추(300)와 연결부재(500)는 알루미늄을 재료로 하며 일체로 형성된다.The connecting
밸브체(600)는 유입구멍(121)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연결부재(500)의 직경이 큰 상단부가 밸브체(600)의 저면 중심부를 통해 삽입되고 밸브체(600)가 연결부재(50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하면서 연결부재(500)와 고정 결합된다.The
밸브체(600)는 측면부의 하단부는 밸브시트(122)와 꼭 맞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지고, 밸브체(600)의 나머지 부분은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상방으로 가면서 좁아져서 원뿔 형태를 이룬다.The lower portion of the
푸시부재(700)는 밸브체(600)와 개폐도어(200)를 연결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가느다란 탄성 소재의 부재로서 좌우 한 쌍이 구비된다. 밸브체(600)의 좌측면과 결합된 푸시부재(700)는 하단부는 밸브체(600)의 상단 꼭지점의 좌측으로 약간 떨어진 부분과 결합하고 상단부는 좌측에 위치하는 개폐도어(200)와 결합하며, 밸브체(600)의 우측면과 결합된 푸시부재(700)는 하단부는 밸브체(600)의 상단 꼭지점의 우측으로 약간 떨어진 부분과 결합하고 상단부는 우측에 위치하는 개폐도어(200)와 결합한다.The
밸브체(600)와 푸시부재(700)는 실리콘을 재료로 하며 일체로 형성된다.The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캡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캡이 구비된 액체 용기가 똑바로 서 있는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4A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liquid container with the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nding upright.
액체 용기가 똑바로 서 있는 상태에서 금속 재질의 중량추(300)는 자중에 의해 중량추(300)의 밑면이 가이드부재(400)의 하단과 높이가 같도록 가장 아래까지 이동한 상태로 있게 되며, 중량추(300)와 연결부재(5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밸브체(600)는 연결부재(500)가 밸브체(600)를 아래로 잡아당기고 있어서 밸브체(600)의 하단부가 밸브시트(122)에 꽉 끼워져서 빈틈없이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유입구멍(121)은 완전히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state where the liquid container is standing upright, the weight of the
밸브체(600)와 일체로 결합된 푸시부재(700)의 상단은 개폐도어(200)와 접착 결합되어 있어서 한 쌍의 푸시부재(700) 각각이 한 쌍의 개폐도어(200) 각각의 밑면을 아래로 잡아당겨서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도어(200)가 배출구멍(111)을 틀어막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액체 용기를 똑바로 세워놓으면 배출구멍(111)과 유입구멍(121) 모두가 폐쇄되어 이중 밀폐의 효과가 있어서 외부 공기가 액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완전 차단된다.The upper end of the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캡이 구비된 액체 용기가 똑바로 서 있는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FIG. 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quid container with the automatic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nding upright.
액체 용기가 거꾸로 세워지면 중량추(300)는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재(400)의 안내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여 중량추(300)가 하부몸체(120)에 닿을 때까지 이동하여 멈추고 중량추(300)와 일체로 결합된 연결부재(500)가 뒤집어지면서 밸브체(600)를 아래로 밀어내어 유입구멍(121)을 막고 있던 밸브체(600)가 유입구멍(121)의 아래쪽으로 떨어져서 위치하게 되며, 이로써 유입구멍(121)이 개방된다.When the liquid container is turned upside down, the
또한, 밸브체(600)와 일체로 결합된 푸시부재(700)의 한쪽 말단은 개폐도어(200)와 접착 결합되어 있어서 한 쌍의 푸시부재(700) 각각이 한 쌍의 개폐도어(200) 각각의 밑면을 자동 캡의 바깥쪽 방향을 향해 밀어내어서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개폐도어(200)가 힌지 운동을 하여 양쪽으로 활짝 열려서 배출구멍(111)이 개방된다. 이때 푸시부재(700)는 실리콘 고무 재질이어서 개폐도어(200)의 회전 운동에 맞추어 휘어진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액체 용기를 거꾸로 하기만 하면 배출구멍(111)과 유입구멍(121) 모두가 개방되어 별도의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액체 용기의 캡이 개방되어 편리하고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다.One end of the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몸체부 110: 상부몸체
111: 배출구멍 120: 하부몸체
121: 유입구멍 122: 밸브시트
200: 개폐도어 210: 힌지
300: 중량추 310: 가이드구멍
400: 가이드부재 500: 연결부재
600: 밸브체 700: 푸시부재100: body part 110: upper body
111: exhaust hole 120: lower body
121: inlet hole 122: valve seat
200: opening / closing door 210: hinge
300: weight increment 310: guide hole
400: guide member 500: connecting member
600: valve body 700: push member
Claims (6)
상기 몸체부 중 상기 배출구멍의 둘레부와 힌지 결합되는 개폐 도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중량추;
상단이 상기 몸체부의 바닥부 밑면과 결합하고 하방으로 뻗어 상기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
하단이 상기 중량추의 상면과 결합하고 상방으로 뻗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밸브시트 위에 안착되면 상기 유입구멍을 폐쇄하고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떨어지면 상기 유입구멍을 개방하는 밸브체; 및
하단이 상기 밸브체와 결합하고 상단이 상기 개폐 도어의 하면과 결합하는 푸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액체 용기를 바로 세우면 상기 중량추가 자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하강하고 상기 중량추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밸브체를 아래로 당겨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와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유입구멍이 폐쇄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와 연결된 푸시 부재가 상기 개폐 도어를 아래로 당겨 상기 개폐 도어가 상기 배출구멍을 폐쇄하고,
액체 용기를 거꾸로 세우면 상기 중량추가 자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중량추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밸브체를 상기 개폐도어가 있는 쪽으로 밀어내어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와 떨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유입구멍이 개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와 연결된 푸시 부재가 상기 개폐 도어를 밀어서 힌지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출구멍을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캡.The liquid container is coupled to the liquid container. The liquid container has an exhaust hole formed in the ceiling, a bottom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of the liquid container, and an inlet hole having a valve seat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body portion to be formed;
An opening / closing door hinged to a periphery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body portion;
A weight weight having a guide hole penetratingl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guide member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n upper end extending downward and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lower end join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weight and extending upward;
A valve body engaged with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closing the inlet hole when the valve seat is seated on the valve seat and opening the inlet hole when the valve seat is released from the valve seat; And
And a push member that has a lower end engaged with the valve body and an upper end engaged with a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When the liquid container is immediately set up, the weight member is lowered along the guide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weight member pulls the valve member downward to bring the valve membe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seat, thereby closing the inlet hole And a pushing member connected to the valve body pull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down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closes the opening,
When the liquid container is placed upside down, the weight member moves along the guide member toward the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weight member pushes the valve member toward the opening / closing door, And the pushing member connected to the valve body pushe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o open the discharge hole by hing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상기 개폐 도어는 한 쌍이 양문 여닫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푸시 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푸시 부재가 각각의 상기 개폐 도어와 일대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캡.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pushing members are provided in a pair, and each of the pushing members is coupled to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in a one-to-one manner.
상기 밸브체 중 밸브시트와 맞닿을 수 있는 측면부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밸브체의 측면부 중 상기 밸브 시트와 맞닿을 수 있는 부분보다 위쪽에 있는 부분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캡.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valve body which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valve seat is narro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valve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valve seat is wide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Features automatic cap.
상기 푸시부재는 구부러질 수 있는 소재로 된 상하 방향으로 뻗은 봉 형태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캡.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ush member is a rod-like member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bent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밸브체의 재료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캡.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terial of the valve body is silicon.
상기 중량추의 재료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캡.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weight material is aluminum.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8554A KR101443150B1 (en) | 2013-05-23 | 2013-05-23 | Automatic cap |
PCT/KR2014/004600 WO2014189313A1 (en) | 2013-05-23 | 2014-05-23 | Automatic c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8554A KR101443150B1 (en) | 2013-05-23 | 2013-05-23 | Automatic ca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3150B1 true KR101443150B1 (en) | 2014-09-26 |
Family
ID=5176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8554A Active KR101443150B1 (en) | 2013-05-23 | 2013-05-23 | Automatic cap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3150B1 (en) |
WO (1) | WO2014189313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2803B1 (en) * | 2016-11-02 | 2017-09-28 |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 Container having an automatically openable lid |
KR101780222B1 (en) * | 2016-11-02 | 2017-09-20 |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 Container having an automatically openable li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6126A (en) * | 1996-11-22 | 1997-02-19 | 신진철 | Receptacle with a retractable lid |
KR19980068663U (en) * | 1998-09-04 | 1998-12-05 | 손진영 | Automatic casement lid |
KR101064158B1 (en) | 2011-04-12 | 2011-09-16 | 정현석 | Spill prevention device |
KR101239769B1 (en) | 2011-03-11 | 2013-03-11 | 여태수 | Auto cap |
-
2013
- 2013-05-23 KR KR1020130058554A patent/KR101443150B1/en active Active
-
2014
- 2014-05-23 WO PCT/KR2014/004600 patent/WO201418931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6126A (en) * | 1996-11-22 | 1997-02-19 | 신진철 | Receptacle with a retractable lid |
KR19980068663U (en) * | 1998-09-04 | 1998-12-05 | 손진영 | Automatic casement lid |
KR101239769B1 (en) | 2011-03-11 | 2013-03-11 | 여태수 | Auto cap |
KR101064158B1 (en) | 2011-04-12 | 2011-09-16 | 정현석 | Spill preven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89313A1 (en) | 2014-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50186B2 (en) |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self opening hinged lid | |
US10214330B2 (en) | Fluid container with axis straw | |
EP3083430B1 (en) | Sealing mechanism for beverage container | |
JP5501380B2 (en) | Beverage container closure and beverage container with closure | |
US5607073A (en) | Valve | |
US20180162608A1 (en) | Liquid container having single cap | |
EP3009053B1 (en) |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 |
KR102184934B1 (en) | Portable tumbler | |
US20220289438A1 (en) | Lid for a container | |
KR101707604B1 (en) | Lipstick instrument | |
US3383001A (en) | Hot cup | |
KR101443150B1 (en) | Automatic cap | |
KR101651929B1 (en) | Bottle cap | |
US20110186573A1 (en) | Cap for a container | |
KR101875498B1 (en) | Tumbler cap | |
KR101476382B1 (en) | oil cap | |
KR101311949B1 (en) | Beverage container with straw | |
JP4458337B2 (en) | Beverage container | |
KR200391215Y1 (en) | a lid for a drink vessel | |
CN202514875U (en) | Travel mug | |
KR101295211B1 (en) | No touch cap | |
KR200311197Y1 (en) | Airtight receptacle | |
CA2692059A1 (en) | Cap for a container | |
KR200460290Y1 (en) | Cap for food vessel | |
KR20220074178A (en) | Bottle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