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186B1 - A door damp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door damp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2186B1 KR101442186B1 KR1020140061183A KR20140061183A KR101442186B1 KR 101442186 B1 KR101442186 B1 KR 101442186B1 KR 1020140061183 A KR1020140061183 A KR 1020140061183A KR 20140061183 A KR20140061183 A KR 20140061183A KR 101442186 B1 KR101442186 B1 KR 1014421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valve
- piston
- protrusion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6—Pist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8—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나 옷장 등과 같은 가구에 설치되어 도어를 완충시키는 장치로서,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면서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도어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챔버(110)를 갖는 실린더(100)와, 상기 유체챔버(110)에 수용되고 밀폐부재(250)와 체적보정수단(260)를 관통하여 왕복이동하고 스프링(210)에 의해 리턴하는 피스톤(200)과, 상기 피스톤(200)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실린더(100)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는 밸브(300)를 포함하는 도어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300)의 일측 중앙부에는 상기 피스톤(200)이 삽입고정되는 피스톤고정홈(310)이 형성되고, 밸브(300)의 타측 중앙부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된 돌출부(320)가 형성되며, 그 돌출부(320)의 외주면에는 일측은 상기 스프링(210)이 걸려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밸브(300)와의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여 오링삽입홈(332)을 형성하도록 지지돌기(33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밸브(30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유체경로(342)를 형성하도록 유체안내돌기(340)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300)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유체챔버(110)에 수용된 유체가 밸브(300)를 사이에 두고 이동되도록 유체이동홀(350)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삽입홈(332)에는 일측면이 상기 유체이동홀(350)을 폐쇄하고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유체차단링(400)이 설치되며, 도어의 닫힘동작으로 상기 피스톤(20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유체챔버(110)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유체차단링(400)을 강제적으로 벌려 상기 유체이동홀(350)을 개방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hock absorber which is installed in a furniture such as a sink or a wardrobe to buffer the door and can realize a stable operation while being manufactured in a simple structur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er 100 having a fluid chamber 110 for receiving a fluid and reciprocating through the fluid chamber 110 and passing through the closure member 250 and the volume correction means 260 A door shock absorber comprising a piston (200) returned by a spring (210), and a valve (300) mounted on one end of the piston (200) and reciprocating within the cylinder (100) A piston fixing groove 310 in which the piston 200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at one central portion of the valve 300 and a protrusion 320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t the other central portion of the valve 300, The support protrusions 33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n O-ring insertion groove 332 by providing a space between the valve 300 and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210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 The valve 300 is provided at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 fluid guide protrusion 340 is formed so as to form a path 342 and the valve 300 is inserted into the fluid chamber 110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that fluid contained in the fluid chamber 110 is fluid A fluid shutoff ring 400 is installed in the O-ring insertion groove 332 so that one side thereof closes the fluid transfer hole 35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100 And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piston 200 due to the door closing operation, fluid contained in the fluid chamber 110 is forced to open the fluid blocking ring 400 to open the fluid moving hole 350 .
Description
본 발명은 싱크대나 옷장 등과 같은 가구에 설치되어 도어를 완충시키는 장치로서,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면서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도어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가구용 도어힌지는 싱크대나 옷장 등과 같은 가구의 내벽에 장착되어 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이 도어힌지에는 도어의 닫힘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하중을 흡수하여 소음을 최소화하고 도어의 수명을 연장하는 수단으로 완충장치(댐퍼)가 장착되어 있다.Generally, a furniture door hinge is mounted on an inner wall of a furniture such as a sink or a wardrobe and is used as a door opening / closing means. The door hinge absorbs an external load generated by the door closing process to minimize noise, A damper is mounted as a means for extending the damper.
따라서, 상기 도어의 개폐경로에 완충수단을 갖는 완충장치(댐퍼)를 장착함으로써 도어의 닫힘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소음이 최소화되어 조용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닫힘에 따른 각종 안정성을 확보하여 가구 벽면이나 도어의 수명이 연장된다.Therefore, by mounting a shock absorber (damper) having buffer means in the opening / closing path of the door, the impact noise generated in the closing process of the door is minimized, so that a quiet indoor atmosphere can be produced and various stability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furniture wall and the door.
완충장치의 예로서, 특허등록 제760518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40)의 돌출돌기(50)에 한 쌍의 체크밸브(60)와 보조밸브(70)를 장착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닫힘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하중을 흡수하여 완충하는 기술로서, 피스톤(20)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체크밸브(60)나 상기 보조밸브(70)가 상기 돌출돌기(50)를 따라 이동하므로, 실린더(10) 내의 오일이 오일홈(51)이나 오일경로(47)나 틈새(41)를 통해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도어가 완충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As an example of a shock absorber, Patent Registration No. 760518 is published. 1, a pair of
그런데, 이러한 완충장치(1)는 상기 도어의 닫힘과정에서 피스톤에 강한 외부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실린더 내의 오일이 상기 돌출돌기(50)의 오일홈(51)과 상기 밸브(40)의 둘레면에 형성된 요철홈을 통과하므로, 상기 도어의 완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shock absorber 1, when a strong external load is applied to the piston in the closing process of the door, the oil in the cylinder flows into the oil groove 51 of the projecting projection 50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완충장치(1)는 상기 피스톤(20)에 외부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밸브(40)의 이동공간을 제외한 상기 체크밸브(60)가 위치하는 한정된 구간에서만 상기 오일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므로, 상기 도어의 하중을 원활하게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피스톤에 가해지는 하중이 해제되어 상기 피스톤(20)이 리턴하는 경우, 상기 체크밸브(60)의 중량이 무거워 리턴 공정이 지연되기 때문에 상기 실린더에 수용되는 스프링(30)의 탄성력을 크게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piston is released and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원가를 대폭 절감시키도록 하고, 피스톤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함은 물론, 안정적이고 정확한 유체 흐름을 통해 완충작용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어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ressor having a simple structure to greatly reduce cost, minimize noise generated during a piston inlet / And to provide a door shock absorber capable of precisely performing buffering action through accurate fluid flow.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챔버(110)를 갖는 실린더(100)와, 상기 유체챔버(110)에 수용되고 밀폐부재(250)와 체적보정수단(260)를 관통하여 왕복이동하고 스프링(210)에 의해 리턴하는 피스톤(200)과, 상기 피스톤(200)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실린더(100)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는 밸브(300)를 포함하는 도어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300)의 일측 중앙부에는 상기 피스톤(200)이 삽입고정되는 피스톤고정홈(310)이 형성되고, 밸브(300)의 타측 중앙부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된 돌출부(320)가 형성되며, 그 돌출부(320)의 외주면에는 일측은 상기 스프링(210)이 걸려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밸브(300)와의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여 오링삽입홈(332)을 형성하도록 지지돌기(33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밸브(30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유체경로(342)를 형성하도록 유체안내돌기(340)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300)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유체챔버(110)에 수용된 유체가 밸브(300)를 사이에 두고 이동되도록 유체이동홀(350)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삽입홈(332)에는 일측면이 상기 유체이동홀(350)을 폐쇄하고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유체차단링(400)이 설치되며, 도어의 닫힘동작으로 상기 피스톤(20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유체챔버(110)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유체차단링(400)을 강제적으로 벌려 상기 유체이동홀(350)을 개방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uid supply apparatus including a
상기 유체이동홀(350)은 일부분이 상기 피스톤고정홈(310)의 가장자리 일부에 연결되어 피스톤고정홈(3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오링삽입홈(332)이 형성된 돌출부(320)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320)와 유체차단링(400)의 사이에 가압공간(323)을 형성하도록 공간형성돌기(3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상기 지지돌기(330)가 형성되지 않은 돌출부(320)의 외주면에는 유체를 상기 가압공간(323)으로 유도하도록 그 돌출부(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유도홈(325)이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상기 밸브(300)의 외주면은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면서 상기 유체차단링(400)의 외주면으로 유체를 안내하도록 유체차단링(400)이 설치된 부분으로 갈수록 확관되게 경사면(301)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200)이 리턴되는 경우, 유체가 상기 유체차단링(400)을 강제적으로 오므려 상기 실린더(100)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그 틈새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체적보정수단(260)은, 상기 피스톤(200)에 관통되고 상기 밸브(300)의 일측과 마주보게 패킹(263)이 마련된 이동블록(262)과, 상기 밀폐부재(250)에 지지된 채 상기 이동블록(262)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이동블록(262)을 상기 밸브(300)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26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olume correcting means 260 includes a moving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어 완충장치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 절감은 물론 안정적인 동작으로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door shock absorb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tructure is simple,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by stable operation.
도 1은 종래의 도어 완충장치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완충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밸브를 반대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완충장치의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완충장치에서 피스톤에 하중이 가해져 실린더 내부로 인입되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완충장치에서 피스톤에 하중이 해제되어 리턴되는 상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oor shock absorber,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of Fig. 2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FIG. 4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tate in which a load is applied to the piston of the door cush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ad is released from a piston and returned to the piston in the door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oor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완충장치는 도어의 닫힘과정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흡수하여 그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장치로서, 크게 실린더(100), 피스톤(200), 체적보정수단(260), 밸브(300), 유체차단링(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to 7, a door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a load generated in a closing process of a door and buffers the impact. The door shock absorber includes a
상기 실린더(100)는 도어 완충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단면이 원형이나 사각형 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린더(100)는 일단부가 밀폐되어 있고, 타단부는 개방되어 밀폐부재(250)로 폐쇄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공간에는 오일이나 공기와 같은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챔버(110)가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피스톤(200)은 일측은 상기 실린더(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타측은 실린더(100)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타측 단부에는 도어의 내측면 일부분에 접촉되게 캡(미도시)이 결합되어 진다.The
상기 피스톤(200)은 도어의 닫힘에 따른 하중발생시에 상기 실린더(100)의 내부에서 왕복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밀폐부재(250)와 체적보정수단(260)을 관통하여 유체챔버(110) 내에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고, 하중해제시 유압챔버(110) 내에 실린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스프링(210)에 의해 리턴되도록 마련된다.The
상기 스프링(210)은 탄성력을 정확하게 전달하여 피스톤(200)과 연결된 밸브(300)가 안정적으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장구스프링을 사용한다.The
상기 체적보정수단(260)은 피스톤(200)이 실린더(100) 내에서 왕복이동하는 경우에 피스톤(200)의 체적에 따라 유체의 수용공간을 보정해주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200)에 관통된 채로 그 피스톤에서 이동되면서 유체의 수용공간을 보정해주게 된다.The volume correcting means 260 is provided to correct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luid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이러한 체적보정수단(260)은 상기 밸브(300)의 일측과 마주보게 패킹(263)이 마련된 이동블록(262)과, 상기 밀폐부재(250)에 지지된 채 상기 이동블록(262)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이동블록(262)을 상기 밸브(300)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2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olume correcting means 260 includes a moving
상기 이동블록(262)이 상기 탄성스프링(264)에 의해 탄성되게 구비됨에 따라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에는 그 인입된 체적만큼 이동블록(262)이 후퇴하게 되며, 이때 탄성스프링(264)은 그만큼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As the
이 상태에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인출되어 지면 그 인출된 체적만큼 이동블록(262)이 탄성스프링(264)의 탄성력으로 전진이동하여 유체 이동공간을 균일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piston is drawn out from the cylinder, the moving
종래에는 이러한 체적보정수단과 유사한 구성으로 스폰지로 이루어진 완충수단을 구비하였으나, 스폰지의 경우 유체가 그 사이의 구멍에 충진되면서 장기간 사용시 원활한 수축과 이완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수축된 상태에서 이완동작하는 경우 그 이완동작속도가 느려 유체의 복귀속도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The sponge is filled with a fluid in a gap therebetween,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smooth contraction and relaxation are not achieved when using the spong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in the shrunk state The relaxation operation speed is slowed and the return speed of the fluid is slowed down.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탄성스프링(264)에 의한 탄성력으로 이동블록(262)을 밀어내게 됨으로써 동작상에 신뢰성이 있고, 탄성스프링(264)에 의한 탄성력으로 유체의 복귀속도를 상승시켜 피스톤의 인출이 보다 단 시간내에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안내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ing
그리고, 본 발명에서 피스톤(200)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실린더(100)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면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상기 밸브(300)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위해, 상기 밸브(300)의 일측 중앙부에는 상기 피스톤(200)이 삽입고정되도록 일정 깊이로 피스톤고정홈(310)이 형성되어 있고, 밸브(300)의 타측 중앙부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된 돌출부(320)가 형성되어 있다.A
상기 피스톤(200)은 피스톤고정홈(3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그 피스톤고정홈(310)에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 돌출부(320)는 스프링(210)을 지지하고 유체차단링(400)을 설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돌출되면 된다.The
상기 스프링(210)을 지지하면서 유체차단링(400)의 설치를 위해 상기 돌출부(320)의 외주면에는 지지돌기(330)가 설치된다.A
상기 지지돌기(330)는 일측에 상기 스프링(210)이 걸려 지지되는 것이고, 타측은 상기 밸브(300)와의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여 오링삽입홈(332)을 형성하도록 밸브(300)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The other end of the
이때, 상기 지지돌기(330)는 그 사이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에서는 스프링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90°간격으로 4개를 형성하였다.At this time, the
상기 밸브(30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유체경로(342)를 형성하도록 유체안내돌기(3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300)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체챔버(110)에 수용된 유체가 밸브(300)를 사이에 두고 이동되도록 유체이동홀(350)이 구비된다.A
상기 유체경로(342)는 피스톤(200)이 리턴되는 경우에 유체챔버(110)의 밸브(300)의 일측과 마주보는 제1유체공간(111)에 수용된 유체가 밸브(300)의 타측과 마주보는 제2유체공간(112)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이고, 상기 유체이동홀(350)은 피스톤(200)에 하중이 가해져 실린더(100)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에 제2유체공간(112)에 수용된 유체가 제1유체공간(111)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이다.The
이때, 상기 유체경로(342)를 통한 유체의 이동과 상기 유체이동홀(350)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유체차단링(400)이 설치된다.At this time, a
상기 유체차단링(400)은 상기 오링삽입홈(332)에 삽입되는 것으로, 일측면이 상기 유체이동홀(350)을 폐쇄하게 되고,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The
따라서, 도어의 닫힘동작으로 상기 피스톤(20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유체챔버(110)의 제2유체공간(112)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유체차단링(400)을 강제적으로 벌려 상기 유체이동홀(350)을 개방한 후 그 유체이동홀(350)을 경유하여 상기 제1유체공간(111)으로 이동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여기서, 상기 유체차단링(400)이 원활히 벌려지게 하기 위해, 상기 오링삽입홈(332)이 형성된 돌출부(320)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320)와 유체차단링(400)의 사이에 가압공간(323)을 형성하도록 공간형성돌기(322)가 돌출되어 진다.In order to smoothly open the
따라서, 상기 가압공간(323)으로 유체가 이동되어져 유체차단링(400)의 내주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유체차단링(400)이 쉽게 벌려져 유체이동홀(350)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luid is moved to the pressurizing
또한, 상기 지지돌기(330)가 형성되지 않은 돌출부(320)의 외주면에는 유체유도홈(325)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유도홈(325)은 돌출부(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어져 상기 가압공간(323)과 연결되게 형성됨으로써 유체를 상기 가압공간(323)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피스톤(20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유체가 상기 가압공간(323)으로 원활히 이동된 후 상기 유체차단링(400)을 보다 용이하게 벌려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이와는 반대로, 피스톤(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해제되어 실린더(100) 내부에서 피스톤(200)이 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체챔버(110)의 제1유체공간(111)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유체차단링(40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강제적으로 오므려지게 하여 실린더(100)와의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켜 그 틈새를 통해 상기 제2유체공간(112)으로 이동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여기서, 상기 밸브(300)의 외주면은 상기 제1유체공간(111)의 유체가 유체차단링(400)의 외주면을 원활히 오므려지게 할 수 있도록 유체차단링(400)이 설치된 부분으로 갈수록 확관되게 경사면(301)으로 형성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경사면(301)의 형성으로 인해, 유체의 속도가 증가됨은 물론, 유체가 유체차단링(400)의 측면이 아닌 실린더(100)의 내주면에 접하는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안내하게 되어 유체차단링(400)이 용이하게 오므려질 수 있게 한 것이다.As the
한편, 상기 유체이동홀(350)은 피스톤고정홈(310)과 연통되게 형성하지 않아도 상관없으나, 유체이동홀(350)의 일부분을 피스톤고정홈(310)의 가장자리 일부와 연결되게 하여 피스톤고정홈(310)과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art of the
그 이유는 피스톤(200)을 피스톤고정홈(310)에 삽입고정하는 경우 피스톤고정홈(310) 내부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피스톤(200)이 끝까지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즉 피스톤고정홈(310)의 내부공기가 원활히 빠져나가도록 하여 피스톤(200)이 피스톤고정홈(310)의 내부 끝까지 정확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whe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피스톤(200)에 의해 밸브(300)가 이동하면서 스프링(210)이 압축되고, 그와 함께 제2유체공간(112)에 수용된 유체가 유체차단링(400)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벌린 후 유체이동홀(350)을 개방하여 그 유체이동홀(350)을 통해 제1유체공간(111)로 이동한다.6,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이때, 유체는 유체이동홀(350)만을 통해 제2유체공간(112)에서 제1유체공간(111)으로 일정량씩 천천히 이동함에 따라 피스톤(200)은 서서히 실린더(10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고, 그와 함께 도어를 완충시키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s the fluid slowly moves from the
이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0)에 가해지는 하중이 해제되는 경우, 압축된 스프링(210)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300)가 이동하면서 피스톤(200)이 리턴되어 진다.7,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그와 함께 제1유체공간(111)에 수용된 유체가 유체차단링(40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유체차단링(400)이 오므려지게 한 후 실린더(100)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그 틈새를 통해 제2유체공간(112)으로 이동한다.The fluid contained in the
이때, 유체는 밸브(300)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유체경로(342)를 통해 제1유체공간(111)에서 제2유체공간(112)으로 이동함에 따라 피스톤(200)은 빠른 속도로 실린더(100) 외부로 인출되어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s the fluid moves from the
특히, 스프링(210)의 탄성 복원력에 더해져 탄성스프링(264)의 탄성력에 의해 유체가 이동되어져 피스톤(200)의 리턴작업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짐은 물론, 단 시간내에 리턴되는 것이다.
Particularly, in addition to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100: 실린더 110: 유체챔버
111: 제1유체공간 112: 제2유체공간
200: 피스톤 210: 스프링
250: 밀폐부재 260: 체적보정수단
262: 이동블록 263: 패킹
264: 탄성스프링 300: 밸브
301: 경사면 310: 피스톤고정홈
320: 돌출부 322: 공간형성돌기
323: 가압공간 325: 유체유도홈
330: 지지돌기 332: 오링삽입홈
340: 유체안내돌기 342: 유체경로
350: 유체이동홀 400: 유체차단링100: cylinder 110: fluid chamber
111: first fluid space 112: second fluid space
200: piston 210: spring
250: sealing member 260: volume correction means
262: Moving Block 263: Packing
264: elastic spring 300: valve
301: slope surface 310: piston fixing groove
320: protrusion 322: space forming projection
323: Pressurizing space 325: Fluid guide groove
330: Support protrusion 332: O-ring insertion groove
340: fluid guide projection 342: fluid guide
350: fluid transfer hole 400: fluid blocking ring
Claims (6)
상기 밸브(300)의 일측 중앙부에는 상기 피스톤(200)이 삽입고정되는 피스톤고정홈(310)이 형성되고, 밸브(300)의 타측 중앙부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된 돌출부(320)가 형성되며, 그 돌출부(320)의 외주면에는 일측은 상기 스프링(210)이 걸려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밸브(300)와의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여 오링삽입홈(332)을 형성하도록 지지돌기(33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밸브(30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그 사이에 유체경로(342)를 형성하도록 유체안내돌기(340)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300)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유체챔버(110)에 수용된 유체가 밸브(300)를 사이에 두고 이동되도록 유체이동홀(350)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삽입홈(332)에는 일측면이 상기 유체이동홀(350)을 폐쇄하고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유체차단링(400)이 설치되며,
도어의 닫힘동작으로 상기 피스톤(20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유체챔버(110)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유체차단링(400)을 강제적으로 벌려 상기 유체이동홀(350)을 개방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완충장치.
A cylinder 100 having a fluid chamber 110 for receiving a fluid and reciprocating through the fluid chamber 110 and passing through the closure member 250 and the volume correction means 260, A door shock absorber comprising a returning piston (200) and a valve (300) mounted on one end of the piston (200) and reciprocating within the cylinder (100)
A piston fixing groove 310 in which the piston 200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at a center of one side of the valve 300 and a protrusion 320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t the other central portion of the valve 300, The spring 210 is hooked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320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space between the valve 300 and the support protrusion 330 so as to form the O- A fluid guide protrusion 34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300 so as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 a fluid path 342 therebetween. The valve 300 penetrates the valve 300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fluid transfer hole 350 is formed so that fluid contained in the chamber 110 is moved through the valve 300,
A fluid blocking ring 400 is installed in the O-ring insertion groove 332 so that one side thereof closes the fluid transfer hole 35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closely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100,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piston 200 due to a door closing operation, fluid contained in the fluid chamber 110 is forcibly opened to open the fluid transfer hole 350 to move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housing;
상기 유체이동홀(350)은 일부분이 상기 피스톤고정홈(310)의 가장자리 일부에 연결되어 피스톤고정홈(3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완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rt of the fluid transfer hole (350) is connected to a part of an edge of the piston fixing groove (310) to communicate with the piston fixing groove (310).
상기 오링삽입홈(332)이 형성된 돌출부(320)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320)와 유체차단링(400)의 사이에 가압공간(323)을 형성하도록 공간형성돌기(3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완충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pace forming protrusion 32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protrusion 320 where the O-ring insertion groove 332 is formed to form a pressurizing space 323 between the protrusion 320 and the fluid blocking ring 400 .
상기 지지돌기(330)가 형성되지 않은 돌출부(320)의 외주면에는 유체를 상기 가압공간(323)으로 유도하도록 그 돌출부(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유도홈(325)이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완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fluid guiding groove 325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320 so as to guide the fluid to the pressurizing space 323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320 where the supporting protrusion 330 is not formed .
상기 밸브(300)의 외주면은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면서 상기 유체차단링(400)의 외주면으로 유체를 안내하도록 유체차단링(400)이 설치된 부분으로 갈수록 확관되게 경사면(301)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200)이 리턴되는 경우, 유체가 상기 유체차단링(400)을 강제적으로 오므려 상기 실린더(100)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그 틈새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완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30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301 so as to be extended toward a portion where the fluid blocking ring 400 is installed to guide the flui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id blocking ring 400 while increasing the velocity of the fluid ,
Wherein when the piston (200) is returned, the fluid forcibly slips the fluid shutoff ring (400) to form a gap with the cylinder (100) and moves through the gap.
상기 체적보정수단(260)은, 상기 피스톤(200)에 관통되고 상기 밸브(300)의 일측과 마주보게 패킹(263)이 마련된 이동블록(262)과, 상기 밀폐부재(250)에 지지된 채 상기 이동블록(262)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이동블록(262)을 상기 밸브(300)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26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완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olume correcting means 260 includes a moving block 262 penetrating the piston 200 and provided with a packing 263 facing one side of the valve 300 and a moving block 262 supported by the closing member 250 And an elastic spring (264)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block (262) and pushing the moving block (262) toward the valve (3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1183A KR101442186B1 (en) | 2014-05-21 | 2014-05-21 | A door damp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1183A KR101442186B1 (en) | 2014-05-21 | 2014-05-21 | A door damp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2186B1 true KR101442186B1 (en) | 2014-09-24 |
Family
ID=5176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1183A Active KR101442186B1 (en) | 2014-05-21 | 2014-05-21 | A door damp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218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720B1 (en) * | 2016-01-08 | 2017-03-22 |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 A hinge damper and a hinge apparatus using viscoelastic fluid |
KR101718721B1 (en) * | 2016-01-08 | 2017-03-22 |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 A hinge damper and a hinge apparatus having gap between piston and inside housing |
KR101849716B1 (en) | 2016-01-08 | 2018-04-18 |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 A hinge damper and a hinge apparatus having variable cam track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1891A (en) * | 2004-12-02 | 2006-06-08 |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Closed shock absorbers on furniture doors |
JP2007510868A (en) | 2003-11-05 | 2007-04-26 | ハーン・マーケティング・エスディエヌ・ビーエイチディ | Fluid damper |
JP2009531631A (en) | 2006-03-31 | 2009-09-03 | アイティーダブリュ インダストリアル コンポーネンツ ソチエタ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テ コン ウニコ ソチオ | Deceleration stop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a stop surface of a movable member, in particular for furniture doors or drawers |
KR20090010015U (en) * | 2008-03-29 | 2009-10-05 | 구형서 | Pneumatic Door Damper |
-
2014
- 2014-05-21 KR KR1020140061183A patent/KR1014421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10868A (en) | 2003-11-05 | 2007-04-26 | ハーン・マーケティング・エスディエヌ・ビーエイチディ | Fluid damper |
KR20060061891A (en) * | 2004-12-02 | 2006-06-08 |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Closed shock absorbers on furniture doors |
JP2009531631A (en) | 2006-03-31 | 2009-09-03 | アイティーダブリュ インダストリアル コンポーネンツ ソチエタ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テ コン ウニコ ソチオ | Deceleration stop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a stop surface of a movable member, in particular for furniture doors or drawers |
KR20090010015U (en) * | 2008-03-29 | 2009-10-05 | 구형서 | Pneumatic Door Damp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720B1 (en) * | 2016-01-08 | 2017-03-22 |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 A hinge damper and a hinge apparatus using viscoelastic fluid |
KR101718721B1 (en) * | 2016-01-08 | 2017-03-22 |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 A hinge damper and a hinge apparatus having gap between piston and inside housing |
KR101849716B1 (en) | 2016-01-08 | 2018-04-18 |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 A hinge damper and a hinge apparatus having variable cam track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94157B2 (en) | Variable shock-absorbing damper for furniture hinge, with built-in pressure control means | |
JP4287505B1 (en) | Closed shock absorber for furniture door | |
EP1703166B1 (en) | Damping device for pieces of furniture | |
US9163693B2 (en) | Adjustable damping valve for a vibration damper | |
JP4648390B2 (en) | Furniture door closing shock absorber | |
US20170089417A1 (en) | Damper Assembly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
KR101442186B1 (en) | A door damping apparatus | |
JP2011511894A (en) |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device with two entraining elements | |
US20150322705A1 (en) | Door closer provided with unit for adding door-closing force | |
EP3688262A1 (en) | Improvements in movement control devices | |
CN201635560U (en) | Damping device for furniture sliding door | |
RU2013120480A (en) | GAS SPRAY AND GAS SHOCK ABSORBER ASSEMBLY AND METHOD FOR THEIR ASSEMBLY | |
CN107165967B (en) | buffer device | |
US6536327B2 (en) | Double acting cylinder with integral end position volume chambers | |
CN209875830U (en) | Furniture bumpers and furniture accessories | |
KR20170046282A (en) | Door damping device using a permanent magnet | |
US20200128960A1 (en) | Furniture damper | |
US9290978B2 (en) | Gate closer | |
CN104364553B (en) | Improvement in amortisseur | |
KR101795856B1 (en) | Buffer for hinge of furnitures | |
KR101783546B1 (en) | Air damper for windows | |
JP4071729B2 (en) | Buffer closing device for joinery | |
KR101781534B1 (en) | Hinge | |
JP2004162755A (en) | Air damper | |
KR200315801Y1 (en) | A shock-absorbing cylinder and a shock-absorbing door structure using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