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2103B1 -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 Google Patents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103B1
KR101442103B1 KR1020130109429A KR20130109429A KR101442103B1 KR 101442103 B1 KR101442103 B1 KR 101442103B1 KR 1020130109429 A KR1020130109429 A KR 1020130109429A KR 20130109429 A KR20130109429 A KR 20130109429A KR 101442103 B1 KR101442103 B1 KR 101442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pad
fixing
mouse pad
detach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우
Original Assignee
황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우 filed Critical 황성우
Priority to KR102013010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0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 패드를 평면 이외에 경사지거나 수직 상태에 놓인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마우스 패드가 경사지거나 수직 상태에 놓여 있어도 마우스를 마우스 패드 상에 전후좌우 이동 및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자세나 마우스의 위치에 상관없이 마우스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마우스 패드와; 상기 마우스 패드 상에 마우스를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마우스 고정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한 쌍의 신축고정끈A,B를 상기 신축고정끈A,B의 양단이 마우스 패드에 고정되고 서로 전후로 평행하게 마우스 패드 상에 구비하여 마우스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신축고정끈A,B에 마우스를 연결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The detachable pad adhesive mouse}
본 발명은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 패드를 평면 이외에 경사지거나 수직 상태에 놓인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마우스 패드가 경사지거나 수직 상태에 놓여 있어도 마우스를 마우스 패드 상에 전후좌우 이동 및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자세나 마우스의 위치에 상관없이 마우스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책상 위의 패드 상에서 움직여 조작하고, 컴퓨터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유선의 길이만큼 제한된 이동거리를 가져 마우스의 사용 범위가 책상에만 국한될 수 밖에 없고, 정해진 위치의 반복적인 마우스 조작 및 사용으로 어깨 및 팔 등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컴퓨터 본체와 무선으로 연결된 마우스가 개발되었고, 마우스를 좁은 공간의 책상에서 벗어나 신체 상에서 움직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일체형 마우스 패드'(등록실용신안 제461100호, 2012.06.27.공고)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신체 일체형 마우스 패드는, 주머니 형태의 마우스 패드 본체와, 상기 마우스 패드 본체를 신체에 고정시키는 결합끈과, 상기 결합끈의 양측단을 착탈식으로 결합시키는 연결구로 구성된다.
상기 마우스 패드 본체는 내부에 마우스를 보관할 수 있는 마우스 수용공간홈이 형성되고, 마우스가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면이 일정크기의 평탄면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구는 버클 또는 벨크로와 같은 수단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먼저 결합끈을 무릎 상측의 허벅지부를 감싼 후 연결구로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마우스 패드 본체가 신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머니형의 마우스 본체의 마우스 수용공간홈 안에 마우스를 수용시켜 보관하고, 마우스의 사용시 주머니형의 마우스 패드 본체로부터 마우스를 꺼내어 마우스 패드 본체의 상부면에서 움직여 조작 및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체 일체형 마우스 패드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마우스 수용공간홈 안에 마우스를 수용 및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할 때마다 마우스를 마우스 수용공간홈 안에서 꺼내 마우스 패드 본체 위에서 사용하는 것을 반복하므로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마우스가 마우스 패드 본체 위에서 떨어져 이탈되지 않게 항상 마우스를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하므로 이역시 마우스 사용을 위한 마우스 패드의 위치나 사용자 자세의 제한성을 가질 수 밖에 없고, 반복적인 마우스 조작에 의해 손목 및 어깨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우스 패드를 평면 이외에 경사지거나 수직 상태에 놓인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마우스 패드가 경사지거나 수직 상태에 놓여 있어도 마우스를 마우스 패드 상에 전후좌우 이동 및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자세나 마우스의 위치에 상관없이 마우스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의 한 형태는, 마우스 패드와; 상기 마우스를 마우스 패드 상에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마우스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한 쌍의 신축고정끈A,B를 상기 신축고정끈A,B의 양단이 마우스 패드에 고정되고 서로 전후로 평행하게 마우스 패드 상에 구비하여 마우스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신축고정끈A,B에 마우스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 연결수단은 상기 마우스를 상부몸체와 하부덮개로 분리 형성하여 상기 하부덮개의 일측이 상부몸체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게 한 것과; 상기 힌지축의 타측부 하부덮개를 상부몸체에 후크로 결합되게 한 것과;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 측에 각각 하부측으로 개방된 끈삽입홈A와 끈삽입홈B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 연결수단은, 상기 마우스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는 마우스 접착면A,B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마우스 접착면A,B의 하부에, 상기 마우스 패드의 신축고정끈A,B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연결고리A,B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마우스 지지부재A,B와, 상기 한 쌍의 마우스 지지부재A,B의 사이를 연결하는 조임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상기 마우스 패드의 상면에 구비되는 포켓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켓은 후방측으로 개방되고 상부 중간에 휠 관통홀을 가지며, 포켓 내부의 상측에 마우스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고정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상부와 후방측이 개방되고 마우스 패드 상에 고정되는 포켓과, 자석으로 이루어진 마우스 패드와, 마우스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철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마우스 패드 상의 수개소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롤러와, 마우스의 전후면에 구비되는 고리와, 상기 마우스의 고리와 상기 복수개의 롤러 사이를 연결하는 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마우스 패드 상의 수개소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태엽과, 마우스의 전후면에 구비되는 고리와, 상기 마우스의 고리와 상기 복수개의 태엽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마우스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태엽과, 상기 복수개의 태엽에 대응되게 마우스 패드 상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태엽으로부터 각각 인출된 와이어를 마우스 패드 상의 고정고리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 패드를 상대면에 탈부착되게 하는 착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마우스 패드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만으로 상대면에 탈부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착탈수단을 암.수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하여 상기 암.수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마우스 패드를 양단부에 각각 암.수 벨크로 테이프를 갖는 신축밴드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상기 마우스 패드를 쿠션 재질로 형성하거나 상면에 상향으로 볼록진 곡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탈수단에 의해 마우스 패드를 평면 이외에 경사지거나 수직 상태에 놓인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마우스 패드가 경사지거나 수직 상태에 놓여 있어도 마우스 고정수단에 의해서 마우스를 마우스 패드 상에 전후좌우 이동 및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자세나 마우스의 위치에 상관없이 마우스를 보다 자유롭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마우스의 사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책상에서 마우스를 반복적으로 사용 및 조작함에 따른 신체적인 피로와 손목 및 어깨의 통증 유발을 예방할 수 있고, 하나의 컴퓨터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마우스 조작 및 사용이 가능해 보다 효율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마우스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후크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는 평면도.
도 10b는 롤러의 확대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1a는 평면도.
도 11b는 태엽의 확대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는 평면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태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마우스 패드(1)를 착탈수단에 의해 책상 뿐만 아니라 섬유 조직을 갖는 사용자의 옷 등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마우스 고정수단에 의해서 마우스 패드(1)가 경사지거나 수직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에도 마우스(30)를 마우스 패드(1) 상에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는 것으로서, 이를 각 실시예 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탈수단을 암.수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하고, 마우스 패드(1)와 별도로 양단부에 각각 벨크로 테이프A(2a) 및 벨크로 테이프B(2b)를 갖는 신축밴드(2)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암.수 벨크로 테이프는 마우스 패드(1)의 저면부에 숫 벨크로 테이프, 즉 벨크로 테이프C(4a)가 부착되고, 신축패드(2) 상에는 암 벨크로 테이프, 즉 벨크로 테이프D(4b)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신축밴드(2)는 사용자의 허리 등과 같은 신체 부위에 착용된다.
상기 착탈수단은 암.수 벨크로 테이프 및 신축밴드를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마우스 패드(1)의 저면부에만 상대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부재,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은 숫 벨크로 테이프, 즉 벨크로 테이프C(4a)를 부착하여 섬유 조직을 갖는 사용자의 옷 등에 직접 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반데르발스 힘을 이용해 벨크로 테이프보다 큰 부착력을 갖는 고정부재의 사용도 가능하나, 여기에 국한됨이 없이 마우스 패드(1)를 독립적으로 섬유 조직을 갖는 상대면에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3)은 한 쌍의 신축고정끈A,B(3a)(3b)을 마우스 패드(1)의 상면 전.후방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구비하되, 양단이 마우스 패드(1)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한 쌍의 신축고정끈A,B(3a)(3b)에 마우스(30)를 마우스 연결수단에 의해 마우스 패드(1) 상에서 전후좌우 이동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마우스 연결수단은 마우스(30)의 전후방측에 한 쌍의 끈삽입홈A,B(33a)(33b)을 형성하여 상기 마우스(30)의 끈삽입홈A,B(33a)(33b)에 마우스 패드(1)의 끈삽입홈A,B(33a)(33b)가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마우스(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31)와 하부덮개(32)로 분리 형성되어 상기 하부덮개(32)가 힌지축(32a)에 의해 상부몸체(31)의 하부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31)의 저면부 전후방측에 끈삽입홈A,B(33a)(33b)을 형성한 것이며, 상기 상부몸체(31)와 하부덮개(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32a)의 타측단부 상부몸체(31)와 하부덮개(32)에 형성된 후크홀(34a)과 후크돌기(34b)의 결합에 의해서 하부덮개(32)를 상부몸체(31)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31)의 끈삽입홈A,B(33a)(33b)에 신축고정끈A,B(3a)(3b)와 구름접촉을 하는 수평방향의 롤러(미도시됨)가 각각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롤러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신축고정끈A,B(3a)(3b)와 상부몸체(31)의 끈삽입홈A,B(33a)(33b)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마우스 조작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마우스(30)에 형성된 끈삽입홈A,B(33a)(33b)를 양단이 마우스 패드(1)에 고정된 신축고정끈A,B(2a)(2b)가 관통하여 상기 신축고정끈A,B(2a)(2b) 상에 마우스(30)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 및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마우스 패드(1)를 착탈수단의 고정부재, 예컨대 마우스 패드(1)의 저면부에 구비된 벨크로 테이프C(4a)를 이용해 평면이 아닌 사용자의 옷 등과 같은 기타 경사지거나 수직의 상태에 놓인 장소에 부착하여도 마우스(30)가 마우스 패드(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마우스(30)를 평면을 이루는 책상 이외에 경사지거나 수직을 이루는 사용자의 신체 등에서 보다 자유롭게 마우스 패드(1) 상에서 전후좌우로 이동시켜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마우스 패드(1)의 상면에 후방측으로 입구(35b)가 형성된 포켓(35)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35)의 내부에 마우스(30)를 장착시켜 포켓(35) 외부에서 마우스(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고, 이를 위해 상기 포켓(35)을 움직임이 자유로운 망이나 천으로 형성하며, 상기 포켓(35)은 내측 상부에 마우스(30)를 끼워 고정할 수는 고정밴드(36)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밴드(36)에 장착된 마우스(30)의 휠(35a)이 포켓(3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휠 관통홀(35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3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30)의 저면 중앙부에 내장된 광센서를 간섭하지 않도록 전방이나 후방 또는 전후방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마우스(30)의 광센서와 마우스 패드(1)의 반사면의 사이가 멀어져 발생하는 마우스의 작동불능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마우스 패드(1)를 쿠션 재질로 형성하거나 상기 마우스 패드(1)의 상면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곡면부(37a)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포켓(35) 내부의 고정밴드(36)에 마우스(30)의 휠(35a)이 포켓(35)의 휠 관통홀(35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마우스(30)를 끼워 고정한 후, 포켓(35)의 외부에서 마우스(30)를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어 포켓(35)의 내부에 일일이 손을 넣고 빼지 않고서도 마우스(30)를 보다 간편하게 조작 및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마우스 고정수단(3)으로써 자력을 이용한 것에 있고, 마우스 패드(1) 상에 부착된 마우스(30)가 외부의 접촉 등에 의해 마우스 패드(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마우스 패드(1) 상에 후방측으로 개방된 포켓(35)을 구비한 것에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우스 패드(1)를 자석(38)으로 형성하고, 마우스(30)의 저면부에 철판(39)을 구비하여 철판(39)이 자석(38)으로 된 마우스 패드(1)에 부착됨으로써 마우스(30)를 마우스 패드(1) 상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마우스 일체형 패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a는 마감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신축고정끈A,B(3a)(3b)에 마우스(30)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 즉 마우스 연결수단으로써 한 쌍의 마우스 지지부재A,B(40)(40a)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마우스 지지부재A,B(40)(40a)의 사이를 조임나사(43)로 연결한 것에 있고, 이러한 마우스 연결수단은 기존의 마우스(30) 구조를 변형하지 않고서도 마우스(30)를 마우스 패드(1) 상의 신축고정끈A,B(3a)(3b)에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마우스 연결수단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마우스 지지부재A(40)는 마우스(30)의 버튼과 상.하 이음부 사이의 공간을 따라 밀착되는 마우스 압착면A(41)을 가지며, 상기 마우스 압착면A(41)의 하부측에는 신축고정끈A(3a)가 끼워져 연결되는 연결고리A(4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마우스 지지부재B(40a)는 마우스 지지부재A(40)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우스 압착면B(41a)가 마우스 지지부재A(40)의 마우스 압착면A(41)에 대향되게 구비되고, 상기 마우스 압착면B(41a)의 하부측에 신축고정끈B(3b)가 끼워져 연결되는 연결고리B(42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 지지부재A(40)와 마우스 지지부재B(40a)의 사이는 조임나사(43)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조임나사(43)의 조임력에 의해 마우스(30)의 전후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마우스 지지부재A(40)와 마우스 지지부재B(40a)의 양측에는 조임나사(43)가 삽입 관통하는 돌출편A(40b) 및 돌출편B(40c)가 일체로 형성되고, 조임나사(43)의 단부측에 너트가 체결된다.
한편, 상기 마우스 지지부재A,B(40)(40a)의 연결고리A,B(42)(42a)에 신축고정끈A,B(3a)(3b)와 구름접촉을 하는 롤러(미도시됨)가 각각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롤러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신축고정끈A,B(3a)(3b)와 마우스 지지부재A,B(40)(40a)의 연결고리A,B(42)(42a)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마우스 조작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는 평면도이고, 도 10b는 롤러의 확대 단면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마우스 고정수단(3)으로써 마우스(30)를 끈(311a)으로 마우스 패드(1) 상에 고정하되, 마우스 패드(1) 상에서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마우스 패드(1) 상에 고정한 것에 있고, 이를 위해 마우스 패드(1)의 상면 수개소에 복수개의 롤러(311)를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끈(311a)이 롤러(311)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롤러(311)는 마우스 패드(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회전축(311b)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축(311b)은 회전축(311b)의 단부측에 턱을 형성한 고정부(311c)에 의해 마우스 패드(1)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마우스 패드(1)에 고정된다. 또한, 마우스 패드(1)에 고정된 회전축(311b)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구조로써 상기 마우스 패드(1)의 쿠션부(11) 하부에 경도성 재질의 받침부(12)를 접합시킨 것이며, 마우스(30)의 전.후방측에 고리(33)를 형성하여 끈(311a)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마우스(30)를 마우스 패드(1) 상에서 이동시킬 때, 끈(311a)이 복수개의 롤러(311)와 연동하여 끈(311a)의 인장 스트레스를 분산시킴으로써 힘의 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끈의 내구성 향상과 함께 마우스 조작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1a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태엽의 확대 단면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마우스 고정수단(3)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롤러(311) 대신에 복수개의 태엽(312)을 사용한 것에 있고, 상기 각각의 태엽(312)으로부터 와이어(312a)를 인출하여 마우스(30)의 전후방측 연결고리(33)에 연결 및 고정한 것이다.
상기 태엽(312)은 롤러(311)와 마찬가지로 마우스 패드(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지지축(312b)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축(312b)은 지지축(312b)의 단부측에 턱을 형성한 고정부(312c)에 의해 마우스 패드(1)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마우스 패드(1)에 고정된 것으로서, 끈(311a) 대신에 철선으로 이루어진 태엽(312)의 와이어(312a)를 사용함에 따라 끈(311a)보다 가늘면서 내구성이 우수해 오래 사용할 수 있고, 내열성을 가짐으로써 열에 의한 환경 조건에 보다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마우스 고정수단(3)으로써 마우스(30)에 복수개의 태엽(312)을 내장하고, 상기 각각의 태엽(312)으로부터 와이어(312)를 인출하여 상기 각각의 태엽(312)에 대응되게 마우스 패드(1) 상에 설치된 고정고리(11a)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도 12에서는 마우스(30)의 내부에 3개의 태엽(312)이 간격을 두고 내장되고, 상기 각각의 태엽(312)으로부터 3방향으로 와이어(312)를 인출하여 마우스 패드(1)의 고정고리(11a)에 연결하였으나, 여기에 국한됨이 없이 태엽(312)의 개수나 방향의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b"로 기재된 마크는, 오른손 잡이를 기준으로 마우스를 조작할 때, 마우스 조작의 중심이 되는 새끼손가락 뒤쪽 살 부분이 닿는 위치를 표시한 것이며, 이때, 상기 3개의 태엽(312) 중에 3개의 태엽(312)은 마우스(30)의 왼쪽 전후로 간격을 두고 상기 마우스(30)의 내부에 장착되고, 나머지 한 개의 태엽(312)은 마우스(30)의 오른쪽에 내장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태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태엽(312)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30)의 상부몸체(31) 내측 상부에 설치되거나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30)의 상부몸체(31)와 하부덮개(32)의 사이 중간 받침대(34)를 마련하여 상기 중간 받침대(34) 상에 설치될 수 있고, 도 13c에 도시된 바와 하부덮개(32)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이 마우스 고정수단으로써 마우스의 내부에 태엽을 내장한 구성은 태엽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깔끔하고 마우스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고, 사용자의 힘에 맞게 태엽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열에 의한 환경 조건에 보다 적합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착탈수단에 의해 마우스 패드를 평면 이외에 경사지거나 수직 상태에 놓인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마우스 패드가 경사지거나 수직 상태에 놓여 있어도 마우스 고정수단에 의해서 마우스를 마우스 패드 상에 전후좌우 이동 및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자세나 마우스의 위치에 상관없이 마우스를 보다 자유롭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마우스의 사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책상에서 마우스를 반복적으로 사용 및 조작함에 따른 신체적인 피로와 손목 및 어깨의 통증 유발을 예방할 수 있고, 하나의 컴퓨터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마우스 조작 및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상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마우스 패드 1a: 마감천
2: 신축밴드 2a,2b: 벨크로 테이프A,B
3: 마우스 고정수단 3a,3b: 신축고정끈A,B
30: 마우스 31: 상부몸체
32: 하부덮개 32a: 힌지축
33a,33b: 끈삽입홈A,B 34a: 후크홀
34b: 후크돌기 35: 포켓
35a: 휠 관통홀 35b: 입구
36: 고정밴드 37a: 곡면부
38: 자석 39: 철판
40,40a: 마우스 지지부재A,B 40b,40c: 돌출편A,B
41,41a: 마우스 압착면A,B 42,42a: 연결고리A,B
43: 조임나사 311: 롤러
311a: 끈 311b: 회전축
311c: 고정부 312: 태엽
312a: 와이어 312b: 지지축
312c: 고정단부

Claims (13)

  1. 삭제
  2. 마우스 패드와, 상기 마우스 패드 상에 마우스를 조작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마우스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한 쌍의 신축고정끈A,B를 상기 신축고정끈A,B의 양단이 마우스 패드에 고정되고 서로 전후로 평행하게 마우스 패드 상에 구비하여 마우스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신축고정끈A,B에 마우스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연결수단은,
    상기 마우스를 상부몸체와 하부덮개로 분리 형성하여 상기 하부덮개의 일측이 상부몸체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게 한 것과;
    상기 힌지축의 타측부 하부덮개를 상부몸체에 후크로 결합되게 한 것;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 측에 각각 하부측으로 개방된 끈삽입홈A와 끈삽입홈B를 형성한 것;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연결수단은,
    상기 마우스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는 마우스 접착면A,B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마우스 접착면A,B의 하부에, 상기 마우스 패드의 신축고정끈A,B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연결고리A,B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마우스 지지부재A,B와, 상기 한 쌍의 마우스 지지부재A,B의 사이를 연결하는 조임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상기 마우스 패드의 상면에 구비되는 포켓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켓은 후방측으로 개방되고 상부 중간에 휠 관통홀을 가지며, 포켓 내부의 상측에 마우스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고정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상부와 후방측이 개방되고 마우스 패드 상에 고정되는 포켓과, 자석으로 이루어진 마우스 패드와, 마우스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철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마우스 패드 상의 수개소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롤러와, 마우스의 전후면에 구비되는 고리와, 상기 마우스의 고리와 상기 복수개의 롤러 사이를 연결하는 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마우스 패드 상의 수개소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태엽과, 마우스의 전후면에 구비되는 고리와, 상기 마우스의 고리와 상기 복수개의 태엽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고정수단은,
    마우스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태엽과, 상기 복수개의 태엽에 대응되게 마우스 패드 상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고리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태엽으로부터 각각 인출된 와이어를 마우스 패드 상의 고정고리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패드를 상대면에 탈부착되게 하는 착탈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마우스 패드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만으로 상대면에 탈부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을 암.수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하여 상기 암.수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마우스 패드를 양단부에 각각 암.수 벨크로 테이프를 갖는 신축밴드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패드를 쿠션 재질로 형성하거나 상면에 상향으로 볼록진 곡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KR1020130109429A 2013-09-12 2013-09-12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Expired - Fee Related KR101442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29A KR101442103B1 (ko) 2013-09-12 2013-09-12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429A KR101442103B1 (ko) 2013-09-12 2013-09-12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103B1 true KR101442103B1 (ko) 2014-09-23

Family

ID=5176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4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2103B1 (ko) 2013-09-12 2013-09-12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1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1330A (en) * 2014-10-17 2016-04-20 Innde ltd Mouse mats
CN108255322A (zh) * 2018-01-10 2018-07-06 康立侠 一种新式的便于携带一体式鼠标套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066A (ja) * 1999-02-03 2000-08-11 Yokogawa Electric Corp 操作盤
KR20070109746A (ko) * 2006-05-11 2007-11-15 김태형 노트북 컴퓨터용 방수케이스
KR20100130291A (ko) * 2009-06-03 2010-12-13 박노진 누워서 작업하는 노트북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066A (ja) * 1999-02-03 2000-08-11 Yokogawa Electric Corp 操作盤
KR20070109746A (ko) * 2006-05-11 2007-11-15 김태형 노트북 컴퓨터용 방수케이스
KR20100130291A (ko) * 2009-06-03 2010-12-13 박노진 누워서 작업하는 노트북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1330A (en) * 2014-10-17 2016-04-20 Innde ltd Mouse mats
CN108255322A (zh) * 2018-01-10 2018-07-06 康立侠 一种新式的便于携带一体式鼠标套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9615B (zh) 附接配件的裝置殼蓋
CN102176888B (zh) 可调整的虚拟现实系统
CN107076349B (zh) 用于用户界面装置的缓冲垫类型支撑结构及支撑方法
US20160215926A1 (en) Tablet computer holder and stand
US20100044259A1 (en) Bag for a portable computer
KR101587714B1 (ko)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US20150205327A1 (en) Bag computer display panel mounts, telecommunications, wearable adaptations and accessories
JP2012533398A (ja) スライディング装置、おんぶ帯、リュックサック、かばん及び腰巻式リュックサック
KR101442103B1 (ko) 마우스 일체형 착탈식 패드
CN204408437U (zh) 适于单手操作的手机保护装置及用于该保护装置的指扣
CN201146843Y (zh) 可调节内径和长度的手、袖套
EP188654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tecting sensitive components by textile and product including said arrangement
KR20120006327U (ko) 들거나 멜 수 있는 손가방
KR101823664B1 (ko) 골프 백
KR20170002606U (ko) 자석이 구비된 장갑
KR20130109637A (ko) 방한 장갑
JPH0813211A (ja) 医療用及び老人用衣服
CN204671146U (zh) 具有装饰功能的指套式运动心率及血氧测量装置
KR101521796B1 (ko)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
US20100264176A1 (en) Remote control locator
CN203859772U (zh) 一种带有键盘的翻合式手机保护套
CN204671145U (zh) 具有便捷充电功能的指套式运动心率及血氧测量装置
CN220236473U (zh) 一种枕头套和枕头
CN222089713U (zh) 一种夹持组件及可穿戴式的音箱
CN216364412U (zh) 一种轻便型脚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