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1110B1 - 골프 스윙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110B1
KR101441110B1 KR1020130012034A KR20130012034A KR101441110B1 KR 101441110 B1 KR101441110 B1 KR 101441110B1 KR 1020130012034 A KR1020130012034 A KR 1020130012034A KR 20130012034 A KR20130012034 A KR 20130012034A KR 101441110 B1 KR101441110 B1 KR 101441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ving plate
guide
support body
sw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141A (ko
Inventor
황대인
김규향
Original Assignee
황대인
김규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인, 김규향 filed Critical 황대인
Priority to KR1020130012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1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1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퍼팅 및 스윙연습, 그리고 스윙 궤적에 따른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자세연습 등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면서도 구성의 간소화와 설치의 간편성은 물론이고 및 사용 중 고장의 염려가 없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방과 후방 및 좌우측에 결합되는 제1 내지 제4지지체에 의해 수평상태로 지지되며, 제1지지체와 직각방향으로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제1지지체에 설치되는 발판과; 상기 가이드구멍에 내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하측으로 형성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장치{golf swing practice device}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체를 타격하는 방법으로 퍼팅 및 스윙연습, 그리고 스윙 궤적에 따른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자세연습 등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면서도 구성의 간소화와 설치의 간편성은 물론이고 및 사용 중 고장의 염려가 없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골프 연습은 크게 퍼팅 및 스윙연습, 그리고 스윙 궤적에 따른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자세연습 등으로 나누어지며, 이러한 각각의 연습동작은 별도의 전용 연습기를 사용하여 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로 인하여 연습자는 그러한 전용 연습기를 모두 구입하여 연습을 행하거나, 또는 연습기가 구비된 연습구장을 찾아 연습을 행하여야 하므로 골프 연습을 행하는데 상당한 번거로움과 비용부담 등이 가중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스윙동작이나 퍼팅동작 시에 발생하는 신체의 좌우 쏠림이나 두부가 돌아가는 헤드업 등과 같은 부정확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연습 교정기는 아직까지 부재하여 연습자가 코치 등의 조언을 받아 자세를 장시간동안 교정하여야하고, 그로 인한 자세교정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골프 스윙 마스타 머시인을 출원하여 등록(KR 100602229 B1 2006.07.10.)한 바 있다.
상기한 선행 특허의 경우 골프 연습자가 일정한 스윙궤적을 유지할 수 있는 스윙궤적연습과, 가상골프공 및 기존 골프공자동공급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한 스윙연습과 퍼팅연습 등을 행할 수 있으며, 연습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 사용할 수 있어 장비의 호환성이 우수하고, 좁은 장소에서도 혼자서 올바른 자세교정과 더불어 골프연습을 병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스윙동작 시에 신체가 좌우 및 (특히 둔부가)후방으로 밀리는 것, 또는 두부가 헤드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자세교정 효과가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가장비로서 외형이 크고 개인이 소장하여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등의 불합리한 점으로 인해 현실화 되지 못하였다.
KR 100602229 B1 2006.07.10.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탄성체를 타격하는 방법으로 퍼팅 및 스윙연습, 그리고 스윙 궤적에 따른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자세연습 등을 동시에 행할 수 있으면서도 구성의 간소화와 설치의 간편성은 물론이고 및 사용 중 고장의 염려가 없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방과 후방 및 좌우측에 결합되는 제1 내지 제4지지체에 의해 수평상태로 지지되며, 제1지지체와 직각방향으로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제1지지체에 설치되는 발판과; 상기 가이드구멍에 내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하측으로 형성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골프클럽의 헤드가 가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제1지지체와 발판의 결합은 제1지지체의 상측으로 톱니형상의 조절홈을 형성하고, 발판에는 제1지지체에 형성되어 있는 조절홈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발판의 전후프레임에 톱니형의 조절홈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게 하였다.
상기 제3지지체와 이동판에는 제1표시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제1표시수단은 제3지지체의 상부에 마킹된 중심선과, 이동판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형성한 센터표시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제4지지체와 이동판에는 제2표시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제2표시수단은 이동판의 후방으로 설치한 삼각돌기 모양의 가변표시블록과, 제4지지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변표시블록이 내입되는 삼각 형성의 홈이 형성된 고정표시블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제4지지체에 백스윙 안내수단을 더 설치하되; 상기 백스윙 안내수단은 제4지지체의 말미에 설치된 브래킷에 회동축을 설치하고, 회동축에는 수평상태로 가이드봉을 설치하여 회동축과 함께 회동될 수 있게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봉의 단부에는 백스윙 가이드를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였다.
또한 상기 제3지지체의 전방에는 완충부재를 결합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사용할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어드레스에서 백스윙을 할 때 헤드가 백스윙 가이드를 타격하게 구성되어 올바른 백스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임팩트의 정확도에 따라 이동판이 전진 이동할 때 정지 상태 또는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골프클럽(golf Club)의 진행방향을 정확히 인지하여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 제작이 가능하고, 사용 중 고장의 염려가 없다.
연습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 사용할 수 있어 장비의 호환성이 우수하고, 좁은 장소에서도 혼자서 올바른 자세교정과 더불어 골프연습을 병행할 수 있다.
스윙동작 시에 신체가 좌우 및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한 타격시 탄성체를 포함하는 이동판이 밀려 이동하므로 파워를 키울 수 있고, 그로 인해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코자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정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코자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 도 4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 및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 및 좌우측에 결합되는 제1 내지 제4지지체(2)(3)(4)(5)에 의해 베이스판(6)을 수평상태로 지지되게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지지체(2)(3)(4)(5)의 일단을 베이스판(6)에 볼트(7)로 고정하며, 타단에는 지면에 접하는 받침구(8)를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한다. 받침구(8)의 바람직한 결합 예로는 제1 내지 제4지지체(2)(3)(4)(5)에 각각 나사공(9)을 형성하고, 이들 나사공(9)에 고무재질로 구성된 받침구(8)에 인서트 되어 있는 볼트(8a)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구성토록 한다.
상기 베이스판(6)에는 제1지지체(2)와 직각방향(제3,4지지체(4)(5)의 연결선상)으로 가이드구멍(6a)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판(6)의 상측으로는 이동판(10)이 배치되며, 이동판(10)의 하측으로는 가이드구멍(6a)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0a)가 마련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이드돌기(10a)가 베이스판(6)의 저면에 조립되는 볼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판(10)의 상측으로는 골프클럽의 헤드에 가격되는 탄성체(11)가 배치되며, 탄성체(11)는 이동판(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구(10b)에 걸림 상태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체(11)를 버려지는 타이어를 이용하였으며, 기타 다양한 구성의 탄성체(11)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1지지체(2)에는 발판(12)이 결합되며, 발판(12)의 상부에는 논슬립부재(13)가 결합되어 있다.
제1지지체(2)와 발판(12)의 결합은 제1지지체(2)의 상측으로 톱니형상의 조절홈(2a)을 형성하고, 발판(12)에는 제1지지체(2)에 형성되어 있는 조절홈(2a)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발판(12)의 전후프레임에 톱니형의 조절홈(12a)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은 제1지지체(2)와 발판(12)의 결합은 발판(12)을 이동판(10) 쪽으로 가깝게 또는 이동판(10)에서 멀게 이동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연습자의 체형에 따라 이동판(10)을 간단하게 이동 설치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지지체(4)의 전방에는 완충부재(4a)를 결합하여 골프 스윙 연습장치(1)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타격되더라도 충격이 벽면 등으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4지지체(4)(5)와 이동판(10)에는, 이동판(10)의 이동 상태를 연습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1,2표시수단(14)(15)을 설치한다.
상기 제3지지체와 이동판(10)에 마련되는 제1표시수단(14)은 제3지지체(4)의 상부에 마킹된 중심선(14a)과, 이동판(10)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형성한 센터표시돌기(14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4지지체(5)와 이동판(10)에 설치되는 제2표시수단(15)은 이동판(10)의 후방으로 설치한 삼각돌기 모양의 가변표시블록(15a)과, 제4지지체(5)의 상부에는 상기 가변표시블록(15a)이 내입되는 삼각 형성의 홈이 형성된 고정표시블록(15b)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제1,2표시수단(14)(15)을 설치하는 경우 골프 스윙 연습을 행할 때 임팩트 순간 연습자의 자세에 따라 탄성체(11)에 전달되는 힘이 달라지게 된다. 즉, 올바른 임팩트인 경우 도 3의 위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10)이 틀어짐 없이 제4지지체(5)에서 제3지지체(4) 쪽으로 밀려 이동되지만, 잘못된 임팩트인 경우 도 3의 아래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1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틀어지게 되므로 이를 확인하고 연습자의 잘못된 동작을 수정 보완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백스윙을 안내할 수 있는 백스윙 안내수단(16)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백스윙 안내수단(16)은 제4지지체(5)에 설치되며, 연습자가 어드레스 상태에서 백스윙을 할 때 골프클럽의 헤드에 가격될 수 있게 구성한다.
백스윙 안내수단(16)의 바람직한 예로는 제4지지체(5)의 말미에 설치된 브래킷(16a)에 회동축(16b)을 설치하고, 회동축(16b)에는 수평상태로 가이드봉(16c)을 설치하여 회동축(16b)과 함께 회동될 수 있게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봉(16c)의 단부에는 백스윙 가이드(16d)를 핀(16e)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가이드봉(16c)는 제4지지체(5)와 동일선상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습자의 체형, 습관 등에 따라 회동축(16b)를 기준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골프 스윙 연습장치(1)는 주로 연습자가 티샷 또는 어프로치샷 등의 연습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작용 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1)를 사용코자 할 시에는 먼저 제1 내지 제4지지체에 마련되어 있는 받침구(8)를 이용하여 베이스판(6)이 수평상태로 되도록 설치한 후 베이스판(6)에 형성된 가이드구멍(6a)에 가이드돌기(10a)가 삽입되도록 이동판(10)을 안치한다.
이 상태에서 이동판(10)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구(10b)를 이용하여 폐타이어 등의 탄성체(11)를 고정하고, 연습자의 체형에 부합하도록 제1지지체(2)에 결합되는 발판(12)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골프 스윙 연습을 행하고자 할 시에는 발판(12) 위에 연습자가 올라선 상태에서 우드나 아이언과 같은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티샷 또는 어프로치샷 등을 연습하면 된다.
연습을 위해서는 먼저 백스윙 안내수단(16)의 백스윙 가이드(16d)를 세우고, 아울러 이동판(10)을 제4지지체(5) 쪽으로 이동시켜 이동판(10)의 후방의 가변표시블록(15a)이 제4지지체(5)의 상부의 고정표시블록(15b)에 내입되게 한 상태에서 티샷 또는 어프로치샷 연습을 행한다.
이때 골프클럽의 헤드 궤적에 따라 세워져 있는 백스윙 가이드(16d)가 백스윙 상태에서 헤드에 가격되어 넘어지고, 다운스윙 후 임팩트 순간 이동판(10)에 안치되어 있는 탄성체(11)를 골프클럽의 헤드로 강하게 가격하게 된다.
이때 다운스윙 및 임팩트의 자세가 올바르게 유지된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판(10)은 제4지지체(5) 쪽에서 제3지지체(4) 쪽으로 회전 없이 이동이 이루어지 된다. 그러나 다운스윙 및 임팩트의 자세가 올바르지 못한 경우 탄성체(11)와 함께 이동판(10)은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4지지체(5) 쪽에서 제3지지체(4) 쪽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잘못된 스윙은 필드에서 타구의 방향이 달라지는 원인이므로 본 발명을 통해서 이동판(10)의 직선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서 스윙동작 시에 신체가 좌우 및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올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으며, 강한 임팩트 동작을 구현할 수 있어 타구의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탄성체(11)를 가격하여 탄성체(11)가 전진한 상태에서는 다음 연습을 위해 탄성체(11)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표시수단(15)을 구성하는 가변표시블록(15a)이 고정표시블록(15b)에 내입되면서 정위치로 이동판(10)이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골프 스윙 연습장치 2:제1지지체
2a:조절홈 3:제2지지체
4:제3지지체 5:제4지지체
6:베이스판 6a:가이드구멍
7:볼트 8:받침구
8a:볼트 9:나사공
10:이동판 10a:가이드돌기
10b:고정구 11:탄성체
12:발판 12a:조절홈
13:논슬립부재 14:제1표시수단
14a:중심선 14b:센터표시돌기
15:제2표시수단 15a:가변표시블록
15b:고정표시블록 16:백스윙 안내수단
16a:브래킷 16b:회동축
16c:가이드봉 16d:백스윙 가이드
16e:핀

Claims (6)

  1. 전방과 후방 및 좌우측에 결합되는 제1 내지 제4지지체(2)(3)(4)(5)에 의해 수평상태로 지지되며, 제1지지체(2)와 직각방향으로 가이드구멍(6a)이 형성된 베이스판(6)과;
    상기 제1지지체(2)에 설치되는 발판(12)과;
    상기 가이드구멍(6a)에 내입되는 가이드돌기(10a)가 하측으로 형성된 이동판(10)과;
    상기 이동판(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골프클럽의 헤드가 가격되는 탄성체(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2)와 발판(12)의 결합은 제1지지체(2)의 상측으로 톱니형상의 조절홈(2a)을 형성하고, 발판(12)에는 제1지지체(2)에 형성되어 있는 조절홈(2a)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발판(12)의 전후프레임에 톱니형의 조절홈(12a)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체와 이동판(10)에는 제1표시수단(14)을 설치하되;
    상기 제1표시수단(14)은 제3지지체(4)의 상부에 마킹된 중심선(14a)과, 이동판(10)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형성한 센터표시돌기(14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지지체(5)와 이동판(10)에는 제2표시수단(15)을 설치하되;
    상기 제2표시수단(15)은 이동판(10)의 후방으로 설치한 삼각돌기 모양의 가변표시블록(15a)과, 제4지지체(5)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변표시블록(15a)이 내입되는 삼각 형성의 홈이 형성된 고정표시블록(15b)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지지체(5)에 백스윙 안내수단(16)을 더 설치하되;
    상기 백스윙 안내수단(16)은 제4지지체(5)의 말미에 설치된 브래킷(16a)에 회동축(16b)을 설치하고, 회동축(16b)에는 수평상태로 가이드봉(16c)을 설치하여 회동축(16b)과 함께 회동될 수 있게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봉(16c)의 단부에는 백스윙 가이드(16d)를 핀(16e)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체(4)의 전방에는 완충부재(4a)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0130012034A 2013-02-01 2013-02-01 골프 스윙 연습장치 Active KR101441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034A KR101441110B1 (ko) 2013-02-01 2013-02-01 골프 스윙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034A KR101441110B1 (ko) 2013-02-01 2013-02-01 골프 스윙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141A KR20140099141A (ko) 2014-08-11
KR101441110B1 true KR101441110B1 (ko) 2014-09-23

Family

ID=5174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034A Active KR101441110B1 (ko) 2013-02-01 2013-02-01 골프 스윙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159B1 (ko) * 2022-06-29 2022-11-30 최형진 퍼팅그린 각도가변형 퍼팅연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6997A (en) 1993-09-13 1995-02-07 Smith; George C. Portable golf practice apparatus
JP2563871Y2 (ja) * 1993-03-29 1998-02-25 安雄 饗場 ゴルフ用スイング練習機
US6106406A (en) 1995-06-20 2000-08-22 Jouan; Dominique Golf practice device
KR200376175Y1 (ko) 2004-11-23 2005-03-08 임인숙 골프샷 연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871Y2 (ja) * 1993-03-29 1998-02-25 安雄 饗場 ゴルフ用スイング練習機
US5386997A (en) 1993-09-13 1995-02-07 Smith; George C. Portable golf practice apparatus
US6106406A (en) 1995-06-20 2000-08-22 Jouan; Dominique Golf practice device
KR200376175Y1 (ko) 2004-11-23 2005-03-08 임인숙 골프샷 연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159B1 (ko) * 2022-06-29 2022-11-30 최형진 퍼팅그린 각도가변형 퍼팅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141A (ko) 201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853B2 (en)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298094B1 (en) Golf training apparatus for training short game and putting game techniques
CA2750667A1 (en) Golf plane training devices
KR20100137011A (ko) 골프 퍼팅 훈련 장치
US8109837B1 (en) Laser putting device
US7591734B2 (en) Golf swing aid
JPH09299533A (ja) ゴルフ練習器
AU2014209998A1 (en) Tennis teaching aids
JP5739942B2 (ja) スイング補助装置
KR101441110B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US20110237343A1 (en) Golf Training Apparatus
US20120244955A1 (en) Adjustable pendulum golf putting trainer
KR101720671B1 (ko) 골프스윙 보조기구
KR101057433B1 (ko) 골프스윙 교정기
KR101693719B1 (ko) 골프스윙 연습기
KR100874141B1 (ko) 코킹연습용 골프스윙연습기.
US5879164A (en) Golf swing trainer with angle guide
KR100602229B1 (ko) 골프 스윙 마스타 머시인
KR200259041Y1 (ko)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KR101131192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160011085A (ko) 발광식 골프스윙 연습기
JP4423059B2 (ja) ゴルフスウィングの練習器
KR20160099228A (ko)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200469762Y1 (ko) 쇼트게임을 연습하고 게임장치를 퍼팅하기 위한 골프연습장치
JP3188636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