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614B1 - A cooking pot cover with pot pressure control and for blocking the outside air inlet valve - Google Patents
A cooking pot cover with pot pressure control and for blocking the outside air inlet val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0614B1 KR101440614B1 KR1020140031783A KR20140031783A KR101440614B1 KR 101440614 B1 KR101440614 B1 KR 101440614B1 KR 1020140031783 A KR1020140031783 A KR 1020140031783A KR 20140031783 A KR20140031783 A KR 20140031783A KR 101440614 B1 KR101440614 B1 KR 1014406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handle
- vacuum
- hole
- l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를 위한 냄비에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냄비를 개폐토록 하는 뚜껑에 형성되는 손잡이의 내부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조리 이후의 냄비본체 내부의 진공유도가 가능한 밸브를 일체로 구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를 간단한 조립구조로 제조가 가능토록 하여 세척이 용이하면서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뚜껑의 관통홀의 상측에 배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면서 뚜껑의 관통홀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통기유로를 갖는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통기유로상에 배치되는 패킹과 패킹의 상측에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통기유로를 개폐토록 하는 밸브체와 상기 하부체와 밸브체를 수용토록 하는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중공부와 밸브체의 축의 상단만이 노출토록 하는 증기가 토출가능한 개구홀를 갖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pot for cooking, in particular, a valv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pressure inside a handle formed on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a pot and capable of vacuum induction inside the pot body after cooking .
In addition, the valve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 assembling structure so that the valve can be easily cleaned and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y the foreign substance, thereby enabling hygienic use.
A lower body which is disposed below the through hole of the lid and is coupled to the handle and is disposed above the air flow path of the lower body, And a handle having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lower body and the valve body are housed, a hollow portion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n opening hole through which steam discharging only the upper end of the shaft of the valve body is discharged, will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를 위한 냄비에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냄비를 개폐토록 하는 뚜껑에 형성되는 손잡이의 내부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조리 이후의 냄비본체 내부의 진공유도가 가능한 밸브를 일체로 구현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pot for cooking, in particular, to integrally embody a valve capable of evacuating the inside of a pot body after cooking as well as maintaining a certain pressure inside a handle formed on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t .
또한 상기 밸브를 간단한 조립구조로 구현함으로서 조립이 용이토록 하여 세척이 용이하면서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가능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valve is constructed in a simple assembling structure, the assembly is easy to clean and easy to be cleaned,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caught and sanitarily usable.
현재 조리용 냄비를 개폐하는 뚜껑을 열고 닫기 위하여는 뚜껑에 손잡이(노브형태를 포함함)가 장착되어야 하고, 또한 조리시 가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증기를 토출토록 하기 위하여는 증기토출밸브가 구비되어지는데 이러한 증기 토출을 위한 밸브를 손잡이와 별도로 뚜껑에 구비할 경우에 외관을 해치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에 증기를 토출할 수 있는 밸브를 일체로 제공하였던 것이다.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pot, a knob (including a knob shape) must be mounted on the lid and a steam discharge valve is provided for discharging the steam generated by heating during cook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valve for discharging the steam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andle, the valve is integrally provided to discharge the steam to the handle.
이러한 수단의 일례로 손잡이의 하부에서 내공간을 형성하여 손잡이의 하단으로 증기를 토출토록 하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서 형성되는 내공간을 상부로 관통하여 관통된 내공간에 밸브를 장착하여 증기를 상측으로 토출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In an example of such means, an inner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to allow the steam to be discharg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or a valve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spac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
그러나 손잡이의 하단으로 증기를 토출하는 것은 단지 넘침방지를 위하여 증기를 토출하는 것에 불과하다라는 것이고, 또한 일정압력을 유지토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하부에서 형성되는 내공간을 상부로 관통하여 관통된 내공간에 밸브를 장착하여 일정압력 이상에서 밸브가 상승되면서 증기를 토출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However,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the inner spac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is passed through and the inner space And the valve is raised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to discharge the steam.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증기토출은 조리가 완료된 이후에 진공을 유도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조리된 음식물이 장시간 보관될 경우에 맛의 변질은 물론 부폐되어진다라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this type of steam discharging does not induce vacuum after the cooking is completed, so that when the cooked food is stored for a long time, the taste is deteriorated as well as being deteriorated.
따라서 최근에는 손잡이의 하부에서 형성되는 내공간을 상부로 관통하여 관통된 내공간에 장착되는 밸브를 탄성재질로 사용하여 가열시 탄성재질의 저중량에 의하여 증기를 쉽게 토출토록 하고, 조리완료이후에는 냄비본체의 내부에 공기가 없기 때문에 외부공기의 진입을 차단토록 하면서 긴밀한 밀착을 유도함으로서 냄비본체의 내부에 진공유도가 가능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Therefore, recently, a valve mounted in an inner space penetrating through an inner spac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a handle is used as an elastic material to allow steam to be easily discharged by a low weight of an elastic material during heating, Since there is no air inside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introduce vacuum into the inside of the pot body by inducing close contact while blocking the entry of outside air.
그러나 이를 위하여 탄성재질의 밸브를 상하로 관통되어진 손잡이 내에서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에는 통기홀을 갖는 걸림테와 진공유도시 기밀유지를 위하여 받침테를 구비하고, 탄성재질의 밸브는 이러한 걸림테에 걸림되어지기 위한 날개테와 받침테에 받침되어지기 위한 흡착테를 일정길이의 축을 사용하여 이격되게 구비하게 되고, 축의 중앙으로는 상단이 막힌 상태의 중공부로 구현토록 하고, 상기 축의 외벽으로는 증기를 토출토록 하기 위한 토출공을 구비하여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가 중공부로 유입되어지면 밸브가 상승하면서 축의 외벽으로 형성된 토출공이 노출되면서 증기를 외부로 토출하게 되는 것이고, 토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밸브가 하강하면서 흡착테가 받침테의 상면에 놓이게 되면서 진공유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However,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prevent the disengagement of the elastic valve in the upper and lower grips, a handle is provided with a vent hole for the handle and a support frame for the vacuum guidance when the vacuum is guided. A wing frame for being hooked to the hooking frame and a suction frame for receiving the wing frame to be hooked on the receiving fram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using a shaf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hollow portion in which the upper end is closed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The stea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the discharge hole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shaft is exposed while the valve is lifted when the steam generated in the cooking is introduced into the hollow portion. As the valve is lowered, the adsorption fram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Will.
그러나 이러한 밸브구조의 단점은 중공부로 증기와 함께 양념등이 상승한 상태에서 축의 외벽에 형성된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될 경우에 굴곡진 부분에 의하여 이물질이 끼이게 됨으로서 비 위생적이라는 것이고, 이러한 이물질에 의하여 받침테에 이물질이 적층될 경우에는 흡착테가 받침테에서 밀착력이 떨어져(공간이 생김) 실질적으로 진공유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라는 것이다.However, a disadvantage of such a valve structure is that it is not hygienic because the foreign matter is caught by the curved portion wh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shaft in a state where the spice or the like with the steam is raised to the hollow portion. In the case of stack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frame, the adsorption frame may not be able to induce vacuum substantially because the adhesion force is reduced at the support frame (space is formed).
또한 이러한 구조의 밸브는 인체에 무해하고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콘을 사용함으로 재질의 특성상 저중량으로 인하여 일정압력유지가 어렵다는 것이고, 일정한 압력유지를 위하여는 밸브의 상승폭을 제한토록 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에 상승된 압력에 의하여 밸브의 변형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의 살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에는 가압하여 조립하게 될 경우에 조립에 어려움이 존재한다라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valve having such a structure is made of a silicone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due to the low weigh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The valve may be deformed due to pressure, and if the wall thickness of the valve is increased to prevent the valve from being deformed, there is a difficulty in assembling when the valve is assembled by pressuriz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하여 형태 변형이 없고 일정중량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제 등의 중량체를 사용하여 조리시 냄비본체 내부의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조리완료후 즉시 진공유도가 가능한 밸브가 뚜껑의 손잡이에 장착토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eight such as plastic or metal having no shape deformation due to an external force and has a constant weight, so that a valve capable of maintaining vacuum at the time of cooking as well as maintaining a certain pressure inside the pot body at the time of cooking, To be installed.
또한 이러한 장착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토록 함으로서 위생적이면서도 제조의 용이성과 세척의 용이성은 물론 진공해제도 용이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hygienic, easy to manufacture, easy to clean, and also for vacuum release by simply implementing such a mounting structure.
이를 위하여 뚜껑의 관통홀의 상측에 배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면서 뚜껑의 관통홀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통기유로를 갖는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통기유로상에 배치되는 패킹과 패킹의 상측에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통기유로를 개폐토록 하는 밸브체와 상기 하부체와 밸브체를 수용토록 하는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중공부와 밸브체의 축의 상단만이 노출토록 하는 증기가 토출가능한 개구홀를 갖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A lower body which is disposed below the through hole of the lid and is coupled to the handle and is disposed above the air flow path of the lower body, And a handle having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lower body and the valve body are housed, a hollow portion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n opening hole through which steam discharging only the upper end of the shaft of the valve body is discharged, will be.
또한 상기 손잡이의 중공부에는 하부체의 상측으로 상부체를 구비하여 밸브체의 작동을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Further, the hollow portion of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n upper body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valve body can be smoothly performed.
또한 증기토출을 위하여 개구홀의 외부로 필요에 따라 복수의 토출공이 천공되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drill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hole for vapor discharge as necessary.
또한 진공해제를 위하여 노출된 밸브체의 상단을 조작할 경우에 상기 개구홀과 복수의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되어지는 증기가 손가락 등에 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날개를 구비한 노브를 별도로 포함토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end of the valve body exposed for vacuum release is manipulated, 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hole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may include a knob having a blocking blade to prevent burning of finger or the like .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와 진공유도가 가능한 밸브가 장착되어져 뚜껑의 세척이 용이함은 물론 깔끔한 뚜껑의 외관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밸브가 손잡이에 조립되는 구조가 간단하여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진공해제시 뜨거운 증기의 토출시에도 손가락 등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valv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pressure and inducing vacuum on the handle, thereby facilitating the cleaning of the lid and providing a clean appearance of the lid. Also, the structure in which the valve is assembled to the handle is simpl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burns of fingers and the like even in the release of hot steam at the time of releasing the vacuum.
도 1은 본 발명의 밸브가 손잡이의 중공부에 장착된 일 실시 예의 조립과정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1A는 도1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밸브가 손잡이의 중공부에 장착된 또 다른 일 실시 예의 조립과정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2A는 도 2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밸브를 상부체를 사용하여 하부체와 손잡이에 조립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밸브체의 축의 상단에 차단날개가 구비된 노브가 결합된 일 실시 예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리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증기토출시 밸브체의 작동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외관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n assembling process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valve is mounted on a hollow portion of a handle is separated; FIG.
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Figure 1,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valve is mounted on a hollow portion of a handle, in an assembled state.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Figure 2;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o a lower body and a handle using an upper body.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knob having a blocking blad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haft of the valv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parated state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the vapor discharge valv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뚜껑(100)의 관통홀(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와 결합되면서 뚜껑(100)의 관통홀(110)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통기유로(21)를 갖는 하부체(20)와 상기 하부체(20)의 통기유로(21)상에 배치되는 패킹(30)과 상기 패킹(30)의 상측에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통기유로(21)를 개폐토록 하는 밸브체(40)와 상기 하부체(20)와 패킹(30)을 포함하여 밸브체(40)를 수용토록 하는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중공부(11)와 밸브체(40)의 축(41)의 상단만이 노출토록 하는 증기가 토출가능한 개구홀(12)또는 필요시 그 외주연으로 천공되는 토출공(13)을 갖는 손잡이(1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1 and 1A,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상기 뚜껑(100)의 관통홀(110)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통기유로(21)를 갖는 하부체(20)는 뚜껑(100)의 관통홀(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손잡이(10)와 결합될 경우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하부체(20)의 하단에는 뚜껑(100)의 하측에 걸림되도록 걸림테(22)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테(22)상에는 뚜껑(100)과의 실링을 위한 실링요소(23)가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하부체(20)와 손잡이(10)는 분해조립을 위하여 조임수단을 사용하는 것이고, 이러한 조임수단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The
또한 하부체(20)의 통기유로(21)가 형성된 하단으로는 이물질의 끼임방지와 세척의 용이성을 위하여 하부체(20)의 하방 즉 뚜껑(100)의 관통홀(110) 측으로 개구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The bottom of the
한편 상기 밸브체(40)가 통기유로(21)의 개폐시 진공을 유도하기 위하여 통기유로(21)의 상측으로는 패킹(30)이 배치된 상태에서 밸브체(40)의 덮개판(42)이 패킹(30)의 상측에 배치되면서 냄비본체(200) 내부에서의 진공유도시 통기유로(21)를 긴밀하게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duce vacuum when the
이때 패킹(30)은 증기토출시와 진공유도시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빨려들어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이 개구되어져 통기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지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packing (30) is designed to be openable at the center to prevent sucking while preventing the flow of steam to the earth and the shared city,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acking (30) is fixed in various ways.
본 발명에서는 패킹(30)을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유로(21)의 내벽(21a)과 끼임되어지는 슬리브(31)를 형성하고, 증기를 토출시 함유되는 이물질에 의하여도 밸브체(40)의 덮개판(42)과의 긴밀한 밀착을 유도하기 위하여 슬리브(31)의 직상부로 돌기테두리(32)를 형성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체와 상부체의 사이에 패킹이 끼임고정토록 함으로서 고정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packing may be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o provide a fixing means.
또한 가능하면 패킹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하여 하부체(20)의 통기유로(21)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안착면(23)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패킹의 상면(33)이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하고, 이러한 안착면(23)에 의하여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부체를 사용함으로서 유동이 방지되게 패킹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면서도 일정압력의 유지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또한 도 2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0)의 중공부(11)에는 하부체(20)의 상측으로 상부체(50)를 구비하여 밸브체(40)의 작동을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2 and 2A, the
이를 위하여 상부체(50)를 하부체(20)의 상측에 위치토록 한 후 하부체(20)를 손잡이(10)와 조임에 의하여 조립토록 하면 상부체(50)가 손잡이(10)의 상단에 걸림토록 되면서 하부체(20)와 밀착되면서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되어지는 것이다.The
따라서 하부체(20)와 상부체(50)를 금속으로 사용할 경우 또는 금속의 특성과 동일한 또 다른 재질로 사용할 경우에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지는 손잡이(10)와 구분되면서 위생적인 부분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세척의 용이성 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이때 상부체(50)를 사용할 경우에 가능하면 손잡이(10)의 상단을 개구토록 하면서 개구된 개구부(14)의 단턱테두리(15)에 상부체(50)가 걸림토록 한 상태에서 상부체(50)에 밸브체(40)의 축(41)이 노출되어지는 개구홀(51)을 구비토록 하고, 개구홀(51)의 외주연으로 토출공(52)을 구비토록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if the
도1 및 도 2는 상기 증기토출을 위하여 개구홀(51)의 외부로 필요에 따라 복수의 토출공(52)을 구비할 경우에 손잡이(10)의 상단에 개구홀(12)과 토출공(13)을 구비토록 하거나 또는 상기와 같이 상부체(50)에 구비토록 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1 and 2 show an example in which when a plurality of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는 통기유로(21)를 통하여 밸브체(40)의 덮개판(42)을 밀어올리면서 토출하게 되는 것이고, 일정압력하에서는 덮개판(42)의 상측에 형성된 단턱테(43)가 개구홀(12,51)을 막아주게 되면서 동시에 토출공(13,52)의 이격간격을 좁게 함으로 냄비본체(200)의 내부에서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조리가 종료하면 즉시 밸브체(40)가 하강하면서 패킹(30)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통기유로(21)를 통하여 냄비본체(200)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냄비본체(200)에는 진공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steam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is discharged while pushing up the
이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시 진공해제를 위하여 노출된 밸브체(40)의 상단을 조작할 경우에 상기 개구홀(12,51)과 복수의 토출공(13,52)을 통하여 토출되어지는 증기가 고온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증기압이 존재하게 됨으로 순간적으로 토출되는 증기로 인하여 손가락 등에 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날개(61)를 구비한 노브(60)를 장착함으로서 노브(60)를 조작할 경우에 토출되는 증기는 차단날개(61)로 인하여 외측으로 퍼져나가게 됨으로 화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4 and 5, when the upper end of the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날개(61)를 하측으로 만곡되어 형성함으로서 증기의 상승을 완벽하게 차단토록 하는 것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60)를 밸브체(40)의 축(41)에 장착할 경우에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41)의 상단에는 걸림홈(44)을 구비하고 노브(60)에는 걸림홈(44)에 맞물리는 걸림돌부(62)를 구비함으로서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7, the blocking
10: 손잡이 11: 중공부
12: 개구홀 13: 토출공
14: 개구부 15: 단턱테두리
20: 하부체 21: 통기유로
22: 걸림테 23: 안착면
30: 패킹 31: 슬리브
32: 돌기테두리 33: 상면
40: 밸브체 41: 축
42: 덮개판 43: 단턱테
44: 걸림홈
50: 상부체 51: 개구홀
52: 토출공
60: 노브 61: 차단날개
62: 걸림돌부
100: 뚜껑
200: 냄비본체 210: 관통홀
200: 냄비뚜껑10: handle 11: hollow
12: aperture hole 13: discharge hole
14: opening 15:
20: Lower body 21:
22: latching frame 23: seat face
30: packing 31: sleeve
32: projection rim 33: upper surface
40: valve body 41: shaft
42: Cover plate 43:
44:
50: upper body 51: opening hole
52: Discharge ball
60: knob 61: blocking blade
62:
100: lid
200: pot body 210: through hole
200: pot lid
Claims (10)
상기 손잡이(10)와 결합되면서 뚜껑(100)의 관통홀(110)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통기유로(21)를 갖는 하부체(20)와
상기 하부체(20)의 통기유로(21)상에 배치되는 패킹(30)과
상기 패킹(30)의 상측에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통기유로(21)를 개폐토록 하는 밸브체(40)와
상기 하부체(20)와 패킹(30)을 포함하여 밸브체(40)를 수용토록 하는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중공부(11)와 밸브체(40)의 축(41)의 상단만이 노출토록 하는 증기가 토출가능한 개구홀(12)이 형성되는 손잡이(10)로 이루어지는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A handle 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110 of the lid 100,
A lower body 20 having a ventilation passage 21 and being disposed below the through hole 110 of the lid 100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handle 10;
A packing 30 disposed on the ventilation flow path 21 of the lower body 20;
A valve body 40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cking 3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ventilation passage 21,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shaft 41 of the valve body 40 and the hollow portion 11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cluding the lower body 20 and the packing 30 to receive the valve body 40 are exposed And a handle (10) on which an opening hole (12) capable of discharging steam is formed is provided with a valve, in which a vacuum is induced as well as a constant pressure is maintained.
상기 하부체(20)의 통기유로(21)가 형성된 하단으로는 이물질의 끼임방지와 세척의 용이성을 위하여 하부체(20)의 하방 즉 뚜껑(100)의 관통홀(110) 측으로 개구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20 is op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ody 20, that is,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110 of the lid 100,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foreign matter from being caught in the lower body 20, It is a cooking pot lid with built-in valve that keeps constant pressure in the handle and vacuum induction.
상기 패킹(30)을 통기유로(21)의 내벽(21a)과 끼임되어지는 슬리브(31)를 형성하는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cking (30) is provided with a valve for holding a constant pressure and inducing a vacuum in a handle for forming a sleeve (31) to be inserted into an inner wall (21a) of the ventilation flow path (21).
상기 패킹에는 밸브체(40)의 덮개판(42)과의 밀착을 유도하기 위하여 슬리브(31)의 직상부로 돌기테두리(32)를 형성한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The method of claim 3,
The packing is provided with a handle having a protruding rim 32 formed directly above the sleeve 31 to induce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plate 42 of the valve body 40, Built-in cooking pot lid.
상기 손잡이(10)의 중공부(11)에는 하부체(20)의 상측으로 상부체(50)를 구비하여 밸브체(40)의 작동을 도모하는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llow body 11 of the handle 10 is provided with an upper body 50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20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pressure on the handle for operating the valve body 40, A pot with a built-in cooking pot.
상기 하부체(20)와 상부체(50)를 금속으로 사용하여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지는 손잡이(10)와 구분되면서 위생적인 부분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세척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body 20 and the upper body 50 can be separated from the handle 10 formed of plastic and can be used for hygienic parts. Cooking pot lid with built-in valve to maintain vacuum as well as vacuum.
상기 상부체(50)를 사용할 경우 손잡이(10)의 상단을 개구토록 하면서 개구된 개구부(14)의 단턱테두리(15)에 상부체(50)가 걸림토록 한 상태에서 상부체(50)에 밸브체(40)의 축(41)이 노출되어지는 개구홀(51)을 구비토록 하고, 개구홀(51)의 외주연으로 토출공(52)을 구비토록 하는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n the upper body 50 is used, the upper body 50 is attached to the upper body 5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50 is engaged with the rim 15 of the opening 14, A predetermined pressure is maintained in the handle for allowing the shaft hole 41 of the body 40 to be exposed and the discharge hole 52 to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opening hole 51, Cooking pot lid with built-in valve.
상기 노출된 밸브체(40)의 상단 축에 차단날개(61)를 구비한 노브(60)를 장착하여 상기 차단날개가 개구홀(12,51)과 복수의 토출공(13,52)을 상측에서 차단하여 토출되는 증기가 외측으로 퍼져나가게 하는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knob 60 having a blocking blade 61 is mounted on an upper end shaft of the exposed valve body 40 so that the blocking blades can open the opening holes 12 and 51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3 and 52 In which the steam is discharged outwardly, and a valve for inducing vacuum is built in.
상기 차단날개(61)를 하측으로 만곡되어 형성함으로서 증기의 상승을 완벽하게 차단토록 하는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oking pot lid having a valve in which a vacuum is induced as well as a constant pressure is maintained in a handle for completely blocking the rise of the steam by forming the blocking blade (61) downward.
상기 노브(60)를 밸브체(40)의 축(41)에 장착할 경우 축(41)의 상단에는 걸림홈(44)을 구비하고 노브(60)에는 걸림홈(44)에 맞물리는 걸림돌부(62)를 구비하여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하게 되는 손잡이에 일정압력유지는 물론 진공이 유도되는 밸브가 내장된 조리용 냄비뚜껑.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knob 60 is mounted on the shaft 41 of the valve body 40, a locking groove 44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41, and a locking protrusion 45 engaging with the locking groove 44 is formed in the knob 60. [ (62) to prevent any dislodgement, and a valve is provided in which a vacuum is induced as well as a constant pressure is held in the handl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1783A KR101440614B1 (en) | 2014-03-18 | 2014-03-18 | A cooking pot cover with pot pressure control and for blocking the outside air inlet valve |
CN201410333800.5A CN104739253B (en) | 2014-03-18 | 2014-07-14 | With the cooking pot lid for maintaining level pressure, the vacuum valve of holding vacuum st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1783A KR101440614B1 (en) | 2014-03-18 | 2014-03-18 | A cooking pot cover with pot pressure control and for blocking the outside air inlet valv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0614B1 true KR101440614B1 (en) | 2014-09-18 |
Family
ID=5176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1783A Active KR101440614B1 (en) | 2014-03-18 | 2014-03-18 | A cooking pot cover with pot pressure control and for blocking the outside air inlet valv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0614B1 (en) |
CN (1) | CN104739253B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8168B1 (en) * | 2014-11-03 | 2015-11-11 | 주식회사 해피콜 | lid for vacuum pot |
KR101773710B1 (en) | 2016-05-24 | 2017-08-31 | (주)우진에스지 | Handle for a cooking vessel lid having a steam pressure regulation |
KR101993190B1 (en) | 2018-05-05 | 2019-06-27 | 구정오 | Fastening structure for a stainless steel rim and vacum li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33554B (en) * | 2017-02-16 | 2020-06-30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Steam valve cover assembly, steam valve and cooking utensil |
CN110613329B (en) * | 2018-06-20 | 2021-04-09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Lid subassembly and tame electric installation |
CN112043155B (en) * | 2019-06-06 | 2022-03-25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Cooking utensi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0110U (en) * | 2008-06-26 | 2010-01-06 | 서월식 | Vacuum food container lid to prevent food overflow |
KR100988212B1 (en) | 2010-06-22 | 2010-10-18 | (주)홍산경금속 | The check valve for cooking pan which has a vacuum function |
KR101325785B1 (en) | 2013-08-08 | 2013-11-20 | 주식회사 로이첸 | A sealed pot with the cover using inner pressure chang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1079295Y (en) * | 2007-09-20 | 2008-07-02 | 浙江爱仕达电器股份有限公司 | Pot cover |
CN201391608Y (en) * | 2009-04-24 | 2010-01-27 | 艾美特电器(深圳)有限公司 | Pressure container safety exhaust valve |
WO2013151264A1 (en) * | 2012-04-05 | 2013-10-10 | 주식회사 해피콜 | Lid for vacuum cooking pot and cooking pot using same |
CN202874977U (en) * | 2012-09-26 | 2013-04-17 |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 Pressure cooker with exhaust structure |
CN202932768U (en) * | 2012-12-13 | 2013-05-15 | 吴喜海 | Pot cover with ventilation device |
-
2014
- 2014-03-18 KR KR1020140031783A patent/KR101440614B1/en active Active
- 2014-07-14 CN CN201410333800.5A patent/CN104739253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0110U (en) * | 2008-06-26 | 2010-01-06 | 서월식 | Vacuum food container lid to prevent food overflow |
KR100988212B1 (en) | 2010-06-22 | 2010-10-18 | (주)홍산경금속 | The check valve for cooking pan which has a vacuum function |
KR101325785B1 (en) | 2013-08-08 | 2013-11-20 | 주식회사 로이첸 | A sealed pot with the cover using inner pressure chang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8168B1 (en) * | 2014-11-03 | 2015-11-11 | 주식회사 해피콜 | lid for vacuum pot |
KR101773710B1 (en) | 2016-05-24 | 2017-08-31 | (주)우진에스지 | Handle for a cooking vessel lid having a steam pressure regulation |
KR101993190B1 (en) | 2018-05-05 | 2019-06-27 | 구정오 | Fastening structure for a stainless steel rim and vacum li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739253A (en) | 2015-07-01 |
CN104739253B (en) | 2017-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0614B1 (en) | A cooking pot cover with pot pressure control and for blocking the outside air inlet valve | |
KR101506497B1 (en) | A cooking pot with pot pressure control and for blocking the outside air inlet valve | |
KR101358350B1 (en) | Microwave pressure cooker | |
EP2956035B1 (en) | Pressure cooker | |
KR101325785B1 (en) | A sealed pot with the cover using inner pressure change | |
US20080223222A1 (en) | Baking or Heating Pot Provided With Adjustable Device For Inner Vapours Breathing | |
KR101499112B1 (en) | Removable type Cover Handle for Cookware | |
KR101618846B1 (en) | Electric cooker | |
KR101494069B1 (en) | Detachable type cooking device for a discharged smoke | |
KR101489691B1 (en) | Cooking dual pan | |
JP2016083052A (en) | Cooking pot mounted with valve capable of maintaining constant pressure and vacuum induction of pot using one valve | |
KR101409033B1 (en) | A lid for cool pot having overflow preventing function | |
KR101462838B1 (en) | A cooker lid having the vacuum function | |
KR101556744B1 (en) | cooking pot with pot pressure control and for blocking the outside air inlet valve | |
KR101447278B1 (en) | cooking pot with pot pressure control and for blocking the outside air inlet valve | |
CN204133241U (en) | Pot cover and the electric cooker with it | |
JP2016083051A (en) | Cooking pot enabling vacuum induction using pressure valve of weight body for maintaining constant pressure | |
KR20120039421A (en) | Airtight device of low vacuum cooker | |
KR101401485B1 (en) | a sealed pot with check valve | |
KR20180026167A (en) | Thermal cover assembly for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 |
KR20140108893A (en) | Gas discharging device for cooking receptacle | |
KR101304964B1 (en) | Stream discharge apparatus of kitchen utensil lid | |
JP2016073349A (en) | Vacuum release device of vacuum-inducted cooking pot | |
KR200474014Y1 (en) | Double faced frying pan | |
KR20170116294A (en) | Steam c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3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60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