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792B1 -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9792B1 KR101439792B1 KR1020130140934A KR20130140934A KR101439792B1 KR 101439792 B1 KR101439792 B1 KR 101439792B1 KR 1020130140934 A KR1020130140934 A KR 1020130140934A KR 20130140934 A KR20130140934 A KR 20130140934A KR 101439792 B1 KR101439792 B1 KR 1014397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sugar
- composition
- syrup
- fructo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8—Schizonepet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4—Amomum, e.g. round cardam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의 복용에 의한 연령별 체중백분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의 복용에 의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백분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의 복용에 의한 연령별 체중백분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의 복용에 의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백분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이다.
약재명 | 복용량(g)/일/15Kg |
산사 | 4.67 |
백출 | 3.73 |
진피 | 2.80 |
맥아 | 2.80 |
사인 | 1.87 |
생강 | 1.40 |
대조 | 1.40 |
녹용 | 0.47 |
결정 과당(Crystalline fructose) | 12.00 |
측정 몸무게(Kg) | 참고 몸무게(Kg) |
7.6 ~ 10.5 | 9 |
10.6 ~ 13.5 | 12 |
13.6 ~ 16.5 | 15 |
16.6 ~ 19.5 | 18 |
19.6 ~ 22.5 | 21 |
22.6 ~ 25.5 | 24 |
구성요소 | 투약량(g)/일/15Kg |
당밀(Molasses) | 2.40 |
구연산(Citric Acid) | 0.16 |
시트르산나트륨(Trisodium Citrate) | 0.04 |
허브 향료(Herb Flavor) | 0.36 |
결정 과당(Crystalline Fructose) | 12.0 + 1.8* |
항목 | 치료 기간 | 관찰 기간 | ||||||
1달 | 2달 | 1달 | 2달 |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
먹는 시간(min)(%) | -1.9±12 | -5.1±12 | -6.2±11 | -3.9±10.8 | -6.7±13 | -4.6±12 | -6.1±13.3 | -1.9±12 |
식이문제 | -0.5±1.3 | -0.4±1.4 | -0.9±2.0 | -0.4±1.2 | -1.1±1.9 | -0.7±1.5 | -1.0±1.7 | -0.6±1.5 |
먹으려고 하는 횟수 | -0.4±1.8 | -0.2±1.1 | -0.9±1.5 | -0.5±1.4 | -1.2±1.6 | -0.4±1.4 | -1.2±1.6 | -0.4±1.7 |
식욕 | 0.3±1.2 | 0.6±1.1 | 0.4±1.3 | 0.4±1.2 | 0.7±1.3 | 0.7±1.2 | 0.6±1.1 | 0.4±1.2 |
항목 | 치료 기간 | 관찰 기간 | ||||||
1달 | 2달 | 1달 | 2달 |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
에너지(kcal/일) | 131 ±390 | 23 ±204 | 116 ±307 | 91 ±300 | 87 ±326 | 59 ±235 | 137 ±380 | 6 ±296 |
탄수화물 (% 에너지) |
0.6 ±6.3 | 1.2 ±6.9 | 0.4 ±5.8 | 1.2 ±7.0 | 0.9 ±5.8 | 2.3 ±6.2 | 1.9 ±6.4 | 0.9 ±7.3 |
내원 초기 대비 곡물군 섭취 증가량(%) | 0.2 ±0.6 | 0.2 ±3.3 | 0.3 ±0.6 | 0.3 ±0.5 | 0.2 ±0.6 | 0.2 ±0.5 | 0.1 ±1.4 | 0.0 ±1.4 |
내원 초기 대비 야채군 섭취 증가량(%) | 0.3 ±1.4 | -0.1 ±2 | 0.5 ±1.2 | 0.1 ±1.9 | 0.4 ±1.3 | 0.2 ±0.6 | 1.0 ±1.9 | 0.3 ±2.4 |
항목 | 치료 기간 | 관찰 기간 | ||||||
1달 | 2달 | 1달 | 2달 |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
연령별신장 백분위(%) | -1.4±4.5 | -1.3±8.8 | -0.8±5.7 | -0.4±5.5 | -0.1±6.0 | -0.6±6.1 | -0.9±5.5 | -0.3±6.9 |
연령별체중 백분위(%) | 1.3±3.5 | 1.1±5.4 | 2.2±3.8 | 1.1±4.7 | 2.1±7.5 | 0.4±5.5 | 1.8±4.1 | 0.2±5.6 |
BMI(%) | 1.4±5.2 | 0.2±4.3 | 2.2±5.6 | 1.2±4.6 | 1.1±5.3 | 1.1±6.5 | 2.1±5.1 | 1.5±8.0 |
약재명 | 복용량(g)/일/15Kg |
유백피 | 5.60 |
산사 | 4.67 |
백출 | 3.73 |
수세미 | 3.73 |
박하 | 3.73 |
황개 | 2.80 |
진피 | 2.80 |
맥아 | 2.80 |
사인 | 1.87 |
황기 | 1.87 |
생강 | 1.40 |
대조 | 1.40 |
녹용 | 0.47 |
결정 과당(Crystalline fructose) | 12.00 |
구성요소 | 투약량(g)/일/15Kg |
당밀(Molasses) | 2.40 |
구연산(Citric Acid) | 0.16 |
시트르산나트륨(Trisodium Citrate) | 0.04 |
허브 향료(Herb Flavor) | 0.36 |
결정 과당(Crystalline Fructose) | 12.0+ 13.0* |
항목 | 치료 기간 | 관찰 기간 | ||||||
1달 | 2달 | 1달 | 2달 |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
먹는 시간(min)(%) | -5.5±10.6 | -4.1±9.1 | -6.5±13.9 | -3.6±13.1 | -6.0±12.8 | -5.5±11.7 | -6.2±14.2 | -3.6±13.8 |
식이문제(Eating problem) | -0.3±1.3 | -0.2±1.3 | -0.6±1.5 | 0.0±1.5 | -0.8±1.6 | -0.6±1.8 | -0.9±1.7 | -0.4±1.5 |
먹으려고 하는 횟수(Frequency of trying to eat) | -0.5±1.5 | -0.1±1.7 | -0.6±1.2 | 0.0±1.9 | -0.8±1.3 | -0.3±2.0 | -1.0±1.5 | 0.2±2.0 |
식욕(Appetite) | 0.2±1.0 | -0.1±1.4 | 0.5±1.2 | 0.0±1.5 | 0.4±1.0 | 0.3±1.3 | 0.6±1.3 | 0.4±1.4 |
항목 | 치료 기간 | 관찰 기간 | ||||||
1달 | 2달 | 1달 | 2달 |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대조군 | |
연령별체중 백분위(%) | 1.5±5.3 | 1.2±5.5 | 2.5±5.7 | 0.8±6.3 | 1.6±6.9 | 1.1±6.5 | 2.5±6.5 | 1.8±6.5 |
BMI(%) | 2.7±5.2 | 0.8±4.6 | 5.0±7.9 | 1.2±6.8 | 2.9±7.3 | 1.9±7.0 | 3.7±8.4 | 2.8±9.8 |
Claims (21)
- 산사, 백출, 진피, 맥아, 사인, 생강, 대조, 및 녹용을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산사 22 내지 26 중량%, 백출 17 내지 21 중량%, 진피 12 내지 16 중량%, 맥아 12 내지 16 중량%, 사인 7 내지 11 중량%, 생강 5 내지 9 중량%, 대조 5 내지 9 중량%, 및 녹용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당은 결정과당 또는 액상과당인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타우마틴, 소마틴, 모넬린, 글리시리진, 꿀, 메이플 시럽, 아가베 시럽,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감미료는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사는 산사 나무의 열매인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백피 13 내지 17 중량%, 산사 10 내지 15 중량%, 백출 8 내지 12 중량%, 수세미 8 내지 12 중량%, 박하 8 내지 12 중량%, 형개 5 내지 10 중량%, 진피 5 내지 10 중량%, 맥아 5 내지 10 중량%, 사인 3 내지 7 중량%, 황기 3 내지 7 중량%, 생강 1 내지 5 중량%, 대조 1 내지 5 중량%, 및 녹용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결정과당 및 액상과당을 포함하는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타우마틴, 소마틴, 모넬린, 글리시리진, 꿀, 메이플 시럽, 아가베 시럽,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천연 감미료;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하는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 산사 22 내지 26 중량%, 백출 17 내지 21 중량%, 진피 12 내지 16 중량%, 맥아 12 내지 16 중량%, 사인 7 내지 11 중량%, 생강 5 내지 9 중량%, 대조 5 내지 9 중량%, 및 녹용 1 내지 5 중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을 부직포에 담지하여 물을 수용하는 전탕기에 넣어 탕전하여 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약재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에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추가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을 감압농축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 제 10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단계 이후에, 상기 약재 추출물을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당은 결정과당 또는 액상과당인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타우마틴, 소마틴, 모넬린, 글리시리진, 꿀, 메이플 시럽, 아가베 시럽,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 감미료는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을 감압농축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약재 추출물을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 유백피 13 내지 17 중량%, 산사 10 내지 15 중량%, 백출 8 내지 12 중량%, 수세미 8 내지 12 중량%, 박하 8 내지 12 중량%, 형개 5 내지 10 중량%, 진피 5 내지 10 중량%, 맥아 5 내지 10 중량%, 사인 3 내지 7 중량%, 황기 3 내지 7 중량%, 생강 1 내지 5 중량%, 대조 1 내지 5 중량%, 및 녹용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을 부직포에 담지하여 물을 수용하는 전탕기에 넣어 탕전하여 약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약재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에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추가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에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연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타우마틴, 소마틴, 모넬린, 글리시리진, 꿀, 메이플 시럽, 아가베 시럽, 및 코코넛 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합성 감미료는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을 감압농축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약재 추출물을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및 제 14 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0934A KR101439792B1 (ko) | 2013-11-19 | 2013-11-19 |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CN201410664771.0A CN104645288A (zh) | 2013-11-19 | 2014-11-19 | 命名为sec-22和sec-33的中药组合物 |
US14/547,353 US9808499B2 (en) | 2013-11-19 | 2014-11-19 |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s marked as SEC 22 and SEC 33 for improving children's underweight, low growth and depressed respiratory orga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0934A KR101439792B1 (ko) | 2013-11-19 | 2013-11-19 |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9792B1 true KR101439792B1 (ko) | 2014-09-15 |
Family
ID=5175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0934A Active KR101439792B1 (ko) | 2013-11-19 | 2013-11-19 |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808499B2 (ko) |
KR (1) | KR101439792B1 (ko) |
CN (1) | CN104645288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8210B1 (ko) | 2016-07-15 | 2018-09-12 | 인그리디언코리아 유한회사 | 저당함량 감미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KR20230024775A (ko) * | 2021-08-12 | 2023-02-21 | (주)옵티마케어 | 소화개선 효과를 갖는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98804B2 (en) * | 2002-04-12 | 2007-04-03 | Helixir Co., Ltd. | Crude 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astrointestinal dyskinetic diseases |
EP1604647B1 (en) * | 2004-05-12 | 2008-05-07 | Chisso Corporatio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olyorganosiloxane-containing epsilon-polylysine polymer, and polyhydric alcohol, and production thereof |
CN100400033C (zh) * | 2005-05-23 | 2008-07-09 | 湘潭大学 | 香砂养胃咀嚼片的制备方法 |
CN1709484A (zh) * | 2005-06-24 | 2005-12-21 | 王衡新 | 益气健脾和胃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
JP3830960B1 (ja) * | 2005-08-12 | 2006-10-11 | 建仁 河乃 | 育毛物質 |
CN100404067C (zh) * | 2006-08-25 | 2008-07-23 | 陈朝东 | 治疗儿童肺系疾病的中药制剂 |
KR101483440B1 (ko) * | 2008-05-02 | 2015-01-19 | (주)아모레퍼시픽 |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
CN102100880A (zh) * | 2009-12-17 | 2011-06-22 | 天津市中宝制药有限公司 | 一种治疗小儿流涎的中药组合物 |
EP2544700B1 (en) * | 2010-03-08 | 2016-11-16 | Opmop Ltd. | Herb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nxiety and related conditions |
CN102872435A (zh) * | 2012-09-25 | 2013-01-16 | 王雪娟 | 一种治疗小儿厌食的中药组合物 |
-
2013
- 2013-11-19 KR KR1020130140934A patent/KR101439792B1/ko active Active
-
2014
- 2014-11-19 US US14/547,353 patent/US9808499B2/en active Active
- 2014-11-19 CN CN201410664771.0A patent/CN104645288A/zh active Pending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33권 제2호 (2012. 6) pp.180-187 1226-9174 *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8210B1 (ko) | 2016-07-15 | 2018-09-12 | 인그리디언코리아 유한회사 | 저당함량 감미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KR20230024775A (ko) * | 2021-08-12 | 2023-02-21 | (주)옵티마케어 | 소화개선 효과를 갖는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718479B1 (ko) * | 2021-08-12 | 2024-10-17 | 주식회사 라이프스타일프로젝트 | 소화개선 효과를 갖는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645288A (zh) | 2015-05-27 |
US9808499B2 (en) | 2017-11-07 |
US20150140115A1 (en) | 2015-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00391B (zh) | 解酒與預防宿醉的組合物及包含組合物的飲料 | |
KR101738912B1 (ko) |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조성물 | |
CN102224891B (zh) | 一种糖醇蜂蜜苹果酱及其制备方法 | |
CN106260409B (zh) | 一种护肝醒酒软糖及其制备工艺 | |
US10111451B2 (en) | Food, beverag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astern prickly pea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 |
KR20150040392A (ko) |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 |
KR101789424B1 (ko) | 구기자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JP6463504B2 (ja) | 発毛促進、脱毛緩和及び改善、血糖調節、胃腸障害の症状緩和及び改善用健康補助食品 | |
CN105851740A (zh) | 一种健胃消食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 |
JP2013203683A (ja) | Ii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 |
JP2008266223A (ja) | 冷え性改善用組成物 | |
KR101439792B1 (ko) |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
CN105326933A (zh) | 一种治疗失眠的中药浸提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08813501A (zh) |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 |
KR101910013B1 (ko) |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CN102948746A (zh) | 一种清火助消化奶伴及其制备方法 | |
JP4669077B1 (ja) | アスパラガス擬葉を有効成分とする自律神経調整剤 | |
KR102238009B1 (ko) | 노니가 함유된 홍삼 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3925172A (zh) | 一种适用于儿童的大鲵肽营养组合物 | |
CN107950946B (zh) | 一种即食甘草休闲食品及其制备方法 | |
KR20180056199A (ko) | 모링가추출물을 함유한 다이어트용 껌의 제조방법 | |
JP2020137496A (ja) | 桑の葉加工物を含有する組成物 | |
KR102275824B1 (ko) | 당뇨 예방 및 개선용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108685101A (zh) | 林蛙肽菊粉 | |
CN108967757A (zh) | 一种红枣生姜浓浆生产工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