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958B1 -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8958B1 KR101438958B1 KR1020120149916A KR20120149916A KR101438958B1 KR 101438958 B1 KR101438958 B1 KR 101438958B1 KR 1020120149916 A KR1020120149916 A KR 1020120149916A KR 20120149916 A KR20120149916 A KR 20120149916A KR 101438958 B1 KR101438958 B1 KR 1014389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cell
- cell stack
- frequency
- current
- imped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79—Failure or abnormal function of fuel cell stack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492—Humidity; Ambient humidity; Water content
- H01M8/04529—Humidity; Ambient humidity; Water content of the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34—Other electric variables, e.g. resistance or impedance
- H01M8/04649—Other electric variables, e.g. resistance or impedance of fuel cell st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교류 전류의 발생에 사용되는 교류 전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교류 전류 발생기에서 발생시킨 교류 전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10: 교류 전류 발생부
120: 연료전지 스택
Claims (9)
-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제1 주파수 전류 및 제2 주파수 전류가 합성된 형태의 합성 주파수 전류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주파수 전류를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인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파수 전류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고조파 왜곡률(THD: Total Harmonic Distortion)을 산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주파수 전류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임피던스를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출력 전압을 특정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 및 특정 주파수부터 상기 특정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하이 패스 필터 각각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스택 전압을 하이 패스 필터에 통과시켜 기본파 주파수부터 고조파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택 전압을 밴드 패스 필터에 통과시켜 특정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 패스 필터에 의해 추출된 기본파 주파수 대비 고조파 주파수의 비율에 따라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파 주파수 대비 고조파 주파수의 비율이 특정 비율 이상이면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밴드 패스 필터에 의해 추출된 특정 주파수에 대한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습윤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에 대한 임피던스가 특정 임피던스 이상이면 상기 연료전지 스택 전해질의 막이 마른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에 대한 임피던스가 특정 임피던스 이하이면 상기 연료전지 스택 전해질의 막이 습한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9916A KR101438958B1 (ko) | 2012-12-20 | 2012-12-20 |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DE102013114359.8A DE102013114359B4 (de) | 2012-12-20 | 2013-12-18 |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injizierten stroms eines brennstoffzellenstapels |
US14/135,211 US9385383B2 (en) | 2012-12-20 | 2013-12-19 | Method for generating injected current of fuel cell st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9916A KR101438958B1 (ko) | 2012-12-20 | 2012-12-20 |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0895A KR20140080895A (ko) | 2014-07-01 |
KR101438958B1 true KR101438958B1 (ko) | 2014-09-15 |
Family
ID=5087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9916A Active KR101438958B1 (ko) | 2012-12-20 | 2012-12-20 |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385383B2 (ko) |
KR (1) | KR101438958B1 (ko) |
DE (1) | DE102013114359B4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4217087A1 (de) * | 2014-08-27 | 2016-03-03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Innenwiderstands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
KR101592760B1 (ko) | 2014-08-29 | 2016-02-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CN113219003B (zh) * | 2021-07-08 | 2021-09-24 | 苏州中车氢能动力技术有限公司 | 电堆膜含水量的测量方法、装置及测量终端 |
CN115548393A (zh) * | 2022-10-21 | 2022-12-30 | 上海氢晨新能源科技有限公司 | 燃料电池性能恢复方法、装置和系统 |
AT527608A1 (de) * | 2024-02-16 | 2025-02-15 | Avl List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essern einer Qualität einer Analysemethode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96707A1 (en) * | 2004-10-06 | 2007-08-23 | Masahiro Komachiya | Fuel cell system and diagnosis system for the fuel cell system |
KR20100121354A (ko) * | 2009-05-08 | 2010-11-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연료 전지의 열화를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1090705B1 (ko) * | 2010-11-25 | 2011-12-08 |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 진단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709977T2 (de) | 1996-05-02 | 2002-06-06 | Kubota Corp., Osaka |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an einen Motor |
KR100395516B1 (ko) | 1998-11-19 | 2003-12-18 |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 비선형등가회로모형을이용한축전장치의특성인자수치화방법및장치 |
AT500968B8 (de) | 2004-10-07 | 2007-02-15 | Avl List Gmbh |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s betriebszustandes eines brennstoffzellenstapels |
JP4821962B2 (ja) | 2005-06-30 | 2011-11-2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燃料電池システム |
-
2012
- 2012-12-20 KR KR1020120149916A patent/KR101438958B1/ko active Active
-
2013
- 2013-12-18 DE DE102013114359.8A patent/DE102013114359B4/de active Active
- 2013-12-19 US US14/135,211 patent/US938538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96707A1 (en) * | 2004-10-06 | 2007-08-23 | Masahiro Komachiya | Fuel cell system and diagnosis system for the fuel cell system |
KR20100121354A (ko) * | 2009-05-08 | 2010-11-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연료 전지의 열화를 진단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1090705B1 (ko) * | 2010-11-25 | 2011-12-08 |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 진단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385383B2 (en) | 2016-07-05 |
KR20140080895A (ko) | 2014-07-01 |
DE102013114359A1 (de) | 2014-06-26 |
DE102013114359B4 (de) | 2024-08-08 |
US20140176143A1 (en) | 2014-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0705B1 (ko) |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 진단 방법 | |
US2014018841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impedance for diagnosis of fuel cell stack | |
KR101592760B1 (ko) |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438958B1 (ko) |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 |
KR101418179B1 (ko) | 셀 전압 및 임피던스 검출을 통한 연료전지 스택 진단 방법 및 장치 | |
KR101511824B1 (ko) | 연료전지 스택 고장 진단 방법 | |
KR101362740B1 (ko) | 연료전지 스택 고장 진단 방법 | |
KR101418180B1 (ko) | 연료전지 스택 고장 진단 방법 | |
KR101438956B1 (ko) |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KR101418175B1 (ko) | 스택 전류 측정에 기반한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448766B1 (ko) | 연료전지 스택의 진단 시스템 | |
KR101428299B1 (ko) | 연료전지 스택 진단 장치 및 그것의 셀 전압 및 임피던스 검출 방법 | |
KR101418178B1 (ko) | 연료전지 스택의 주입 전류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KR101593761B1 (ko) | 연료전지 스택 고장 진단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KR101308254B1 (ko) | 연료 전지 스택의 상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438959B1 (ko) | 절연 회로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428297B1 (ko) | 연료전지 스택의 조기 진단 방법 및 장치 | |
KR101394118B1 (ko) | 연료전지 스택 전압 측정용 필터 선택 방법 | |
KR101418177B1 (ko) | 위상차 보상 회로를 구비한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그것의 위상차 보상 방법 | |
KR101418176B1 (ko) | 다중 주파수의 전류 흡입 방식을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20150076268A (ko) | 연료전지 스택 고장 진단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KR20150072588A (ko) | 연료전지 스택 고장 진단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KR20150072586A (ko) | 연료전지 스택용 주입 전류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