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8644B1 -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 Google Patents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644B1
KR101438644B1 KR1020130114078A KR20130114078A KR101438644B1 KR 101438644 B1 KR101438644 B1 KR 101438644B1 KR 1020130114078 A KR1020130114078 A KR 1020130114078A KR 20130114078 A KR20130114078 A KR 20130114078A KR 101438644 B1 KR101438644 B1 KR 101438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storage
storage tank
pipe
water
toi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태
Original Assignee
정호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호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6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에 사용되는 물을 절수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기에 사용되는 물의 절약이 용이한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는, 종래의 1회 변기 사용시 1회 정화조로 배출되던 방식의 변기에 비해 물의 사용량을 약 1/10이하로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는, 적은 양의 물로 용변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면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Water Saving Type Electronic Toilet Stool Having Intermediate Reservoir}
본 발명은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에 사용되는 물을 절수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의 물소비량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 중 하나가 용변을 처리할 때 사용되는 변기의 물이다. 특히,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좌변기의 경우 변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1회 사용때 마다 10 리터에서 15리터의 물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람이 하루에 사용할 수 있는 변기의 사용 횟수가 대변은 1회 또는 2회, 소변은 5회에서 10회 정도이다.
이와 같이, 과다한 물의 사용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물을 낭비하게 된다. 특히 양변기는 대변과 소변을 각각 처리하므로 많은 물을 사용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기에 사용되는 물의 절약이 용이한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용변이 임시로 저장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변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변기 본체; 사용자의 배출 명령을 수신하는 조작 버튼; 상기 조작 버튼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용변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고압의 물을 개폐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밸브를 통과한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물분사 유닛; 상기 배출구의 용변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플렉서블하게 연결되는 배출 유닛; 및 상기 배출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하측에 매립되어 상기 배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용변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용변을 저장하는 중간저장탱크와, 상기 변기 본체의 복수회의 사용에 의해 상기 중간저장탱크 내에 모아진 용변이 가득 차면 자중에 의해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회전하면서 용변을 한번에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저장탱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회전하여 그 중간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용변을 배출할 때 그 용변을 건물의 정화조로 통하는 배관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저장탱크와 상기 배관을 연결하는 중간배출관을 구비하는 중간저장 유닛;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는, 종래의 1회 변기 사용시 1회 정화조로 배출되던 방식의 변기에 비해 물의 사용량을 약 1/10이하로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는, 적은 양의 물로 용변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면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100)는 변기 본체(110)와 조작 버튼(120)과 제어부(130)와 물분사 유닛(140)과 배출 유닛(150)과 중간저장 유닛(160)과 물공급 유닛(170)과 제1레버(181)와 제2레버(182) 및 악취제거 유닛(190)을 포함한다.
변기 본체(110)는 수용부(111)와 배출구(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용부(111)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사용자의 용변과 물을 임시로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배출구(112)는 수용부(1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용변과 물을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조작 버튼(120)은 변기 본체(11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작동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조작 버튼(120)의 신호를 수신하여 물분사 유닛(140)과, 배출 유닛(150) 및 중간저장 유닛(160)의 작동을 제어한다.
물분사 유닛(140)은 급수밸브(141)와 분사노즐(142) 및 가압펌프(143)를 포함한다. 가압펌프(143)는 급수밸브(141)를 통해 분사노즐(142)로 물을 공급한다.
제어부(130)는 가압펌프(143)를 제어하고 급수밸브(141)를 개폐하여 고압의 물 공급을 제어한다. 분사 노즐(142)은 수용부(111)에 설치되며 수용부(111)의 경사진 방향으로 물을 분사한다. 급수밸브(141)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 등의 급수관(10)에 연결되고, 가압펌프(143)에 의해 압력이 높아진 물을 전달받는다.
배출 유닛(150)은 배출구(112)의 용변을 배출하도록 배출구(112)에 설치된다. 배출 유닛(150)은 연결관(151)과 연결관 작동수단(152)을 구비한다.
연결관(151)은 변기 본체(110)와 중간저장 유닛(160)을 연결한다. 연결관(151)은 제1파이프(1511)와 제1주름관(1512)과 탄성재질의 기밀부재(1513)와 제2파이프(1514) 및 제2주름관(1515)을 포함한다.
제1파이프(1511)는 배출구(112)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파이프(1511)는 고무와 같이 탄성의 소재로 형성된 파이프의 형상이다. 제1파이프(1511)의 재질은 고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이 있는 다양한 소재가 가능하다.
기밀부재(1513)는 제1파이프(1511)와 배출구(112) 사이에 설치된다. 기밀부재(1513)는 배출구(112)에 대한 제1파이프(151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출구(112)와 제1파이프(1511)를 연결한다. 기밀부재(1513)는 제1파이프(1511)와 배출구(112)의 사이를 기밀하여 용변과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주름관(1512)의 일단은 제1파이프(15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파이프(1514)에 연결된다. 제1주름관(1512)은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제1파이프(1511)와 제2파이프(1514) 사이를 기밀한다. 즉, 제1주름관(1512)은 제1파이프(1511)가 배출구(112)에 대해 각도 조절되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제1파이프(1511)와 제2파이프(1514)의 연결을 유지한다. 제2파이프(1514)는 제1주름관(1512)에 연결된다.
제2주름관(1515)의 일단은 제2파이프(1514)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중간저장탱크(161)의 유입구(1611)에 연결된다. 제2주름관(1515)은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제2파이프(1514)와 유입구(1611) 사이를 기밀한다. 즉, 제2주름관(15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저장탱크(161)가 회전되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제2파이프(1514)와 유입구(1611)의 연결을 유지한다.
연결관 작동수단(152)은 래크 기어(1521)와 피니언 기어(1522) 및 구동모터(1523)를 구비한다. 래크 기어(1521)는 제1파이프(1511)에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1522)는 래크 기어(1521)와 맞물리도록 변기 본체(110)에 설치된다. 구동모터(1523)는 피니언 기어(1522)에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1522)를 회전시킨다. 피니언 기어(1522)가 회전하면 래크 기어(1521)는 승강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관 작동수단(152)은 제1파이프(1511)를 배출구(112)에 대해 움직인다.
중간저장 유닛(160)은 중간저장탱크(161)와 회전축(162)과 중간배출관(163)과 복귀부재(164)와 무게추(165)와 배기파이프(166) 및 배기펌프(167)를 포함한다.
중간저장탱크(161)는 변기 본체(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회전축(162)은 중간저장탱크(161)의 하부에 설치되어 중간저장탱크(16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중간저장탱크(161)에는 배출 유닛(150)의 제2주름관(1515)과 연결되는 유입구(1611)가 형성된다. 중간저장탱크(161)는 유입구(1611)를 통해 배출 유닛(150)의 연결관(151)으로부터 용변과 물을 전달 받는다. 중간배출관(163)은 중간저장탱크(161)와 건물의 배관(20)을 연결한다. 건물의 배관(20)은 외부의 정화조로 연결된다. 중간배출관(163)은 자바라 형태와 같은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중간저장탱크(161)와 건물의 배관(20) 사이를 기밀한다. 즉, 중간저장탱크(161)가 회전하면서 움직이더라도 중간배출관(163)은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중간저장탱크(161)와 배관(20)의 연결을 유지한다.
중간저장탱크(161) 내에 용변이 모아져 가득 차게 되면 중간저장탱크(161)와 그 내부에 저장된 용변 및 물의 무게에 의해 중간저장탱크(161)는 회전하여 한쪽으로 기울어진다.
복귀부재(164)는 중간저장탱크(161)와 지면을 연결한다. 중간저장탱크(161)가 회전하여 용변을 중간배출관(163)을 통해 모두 배출하면 복귀부재(164)는 중간저장탱크(161)를 잡아 당겨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킨다. 즉, 복귀부재(164)는 중간저장탱크(16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복귀부재(164)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무게추(165)는 중간저장탱크(161)에 설치되어 중간저장탱크(161)의 용변이 가득 차기 전까지 중간저장탱크(161)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즉, 무게추(165)는 용변을 배출하기 위해 중간저장탱크(16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중간저장탱크(161)를 회전시키도록 중간저장탱크(161)에 하중을 전달한다.
배기파이프(166)는 중간배출관(163)에 연결되어 중간저장탱크(161)의 상부와 통하도록 설치된다. 배기펌프(167)는 배기파이프(166)에 연결되어 중간저장탱크(161) 및 중간배출관(163) 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물공급 유닛(170)은 공급관(171)과 조절밸브(172) 및 물공급 탱크(173)를 포함한다. 물공급 탱크(173)는 조절밸브(172)를 통해 공급관(171)에 물을 공급한다.
제어부(130)는 물공급 탱크(173)를 제어하고 조절밸브(172)를 개폐하여 물 공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물공급 유닛(170)은 수용부(111)에 일정량의 물이 항상 고여 있도록 수용부(111)의 내부에 물을 공급한다. 물공급 탱크(173)는 수동에 의해서도 수용부(11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그 내부가 변기의 수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물공급 탱크(173)는 배수레버(183)와 배수마개(184)를 구비한다. 배수레버(183)는 후술하는 제2레버(182)에 연결된다. 배수마개(184)는 배수레버(183)에 연결된다.
제1레버(181)는 변기 본체(110)에 설치되며 연결관 작동수단(152)의 래크 기어(1521)와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레버(181)를 하부로 밀거나 상부로 당김으로써 래크 기어(1521)를 상하 이동시킨다. 제1레버(181)는 정전과 같이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어 조작 버튼(120)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래크 기어(1521)를 수동으로 조작한다.
제2레버(182)는 변기 본체(110)에 설치되며 배수레버(183)와 연결된다. 제2레버(182)는 배수마개(184)를 개폐한다. 즉, 제2레버(182)가 배수마개(184)를 개방할 경우 물공급 탱크(173) 내의 물은 공급관(171)을 통해 수용부(111)의 내부로 공급된다. 제2레버(182)는 정전과 같이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어 조작 버튼(120)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수동 조작에 의해 수용부(11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악취제거 유닛(190)은 흡입관(191)과 배기팬(192)을 포함한다. 흡입관(191)은 변기 본체(110)의 수용부(111)와 연통되도록 수용부(111)에 설치된다. 배기팬(192)은 흡입관(191)을 통하여 수용부(11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관(191)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악취제거 유닛(190)은, 사용자가 조작 버튼(120)을 조작하여 용변 중이거나 또는 용변을 마친 후 수용부(111)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수용부 내부의 용변이 배출 유닛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수용부(111) 내부에 임시 저장된 용변을 배출하기 위해 조작 버튼(120)을 누른다. 제어부(130)는 조작 버튼(120)의 배출 명령 신호를 전달받아 연결관 작동수단(152)의 구동모터(152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모터(1523)는 피니언 기어(1522)를 회전시키며 피니언 기어(1522)와 맞물린 래크 기어(1521)는 하강한다. 이때, 래크 기어(1521)가 하강하면서 래크 기어(1521)와 연결된 제1파이프(1511)는 배출구(112)에 대해 하부로 각도 조절된다.
제1파이프(1511)가 배출구(112)에 대해 하부로 각도 조절되면 제1주름관(1512)의 길이는 짧아진다. 이때, 수용부(111) 내의 용변과 물은 제1파이프(1511)와 제2파이프(1514)를 통해 중간저장탱크(161)로 배출된다.
제어부(130)는, 수용부 내의 용변과 물을 배출시 물분사 유닛(140)을 통해 수용부(111)의 경사진 방향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도록 급수밸브(141)를 개방한다.
분사노즐(142)은 수용부(111)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는 용변을 향해 물을 분사한다. 분사노즐(142)은, 용변의 배출과 함께 수용부(111)의 경사진 면을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다. 물분사 유닛(140)은 대략 0.5리터에서 1리터의 물을 이용하여 수용부(111)의 내부로 물을 분사한다. 즉, 용변의 배출과 함께 수용부(111)의 경사진 면을 세척할 수 있을 정도의 물을 분사한다.
제어부(130)는 물분사 유닛(140)과 배출 유닛(150)에 의해 용변이 중간저장탱크(161)로 배출되면 제1파이프(1511)가 배출구(112)에 대해 상부로 각도 조절 되도록 연결관 작동수단(152)을 작동시킨다. 즉, 제어부(130)는 수용부(111) 내의 용변이 모두 중간저장탱크(161)로 배출되면 구동모터(152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어부(130)는 연결관 작동수단(152)을 상술한 방향과 역방향으로 동작시켜 제1파이프(1511)를 배출구(112)에 대해 원래의 방향으로 복귀시킨다. 제1파이프(1511)가 배출구(112)에 대해 원래의 방향으로 복귀되면 제1주름관(1512)의 길이는 다시 길어진다. 이때 제어부(130)의 신호에 의해 물공급 유닛(170)은 수용부(111) 내의 수위를 유지하도록 조절밸브(172)를 개방하여 수용부(111)에 물을 공급한다. 조절밸브(172)가 개방되면 조절밸브(172)와 연결된 공급관(171)은 수용부(111)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이때 대략 1.5리터에서 2리터 정도의 물이 고여있도록 조절밸브(172)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한다. 즉, 수용부(111)의 내부에 물을 공급함에 따라 다음 용변을 배출시 1.5리터에서 2리터 정도의 물과 함께 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111)에 임시 저장된 용변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물은 2리터에서 2.5리터 정도로 사용되어 물의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간저장탱크(161)에 저장되는 용변은 배출 유닛(150)에 의해 밀폐되어 악취가 역류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배출 유닛(150)은 트랩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관 작동수단(152)에 의해 제1파이프(1511)가 하부로 각도 조절되면 배출구(112)는 개방된다. 따라서 수용부(111) 내의 용변과 물은 원활하게 배출된다. 반대로 연결관 작동수단(152)에 의해 제1파이프(1511)가 상부로 각도 조절되면 제1파이프(1511)에 물이 채워지면서 배출구(112)는 폐쇄된다. 따라서 중간저장탱크(161)의 냄새가 배출구(11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중간저장탱크(161)에 설치된 배기파이프(166)와 배기펌프(167)를 통해 중간저장탱크(161) 내의 악취를 배기하여 더욱 악취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다음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중간저장탱크(161)의 내부 공간에서 만수된 용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중간저장탱크(161)는 변기 본체(110)의 복수회의 사용에 의해 내부의 용변이 모아져 가득 차게 되면 중간저장탱크(161)는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중간배출관(163)은 중간저장탱크(161)에서 배출되는 용변을 배관(20)으로 전달한다. 중간저장탱크(161)는 회전축(162)에 의해 회전되어 용변을 배출시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를 경사지게 형성한다.
중간저장탱크(161) 내의 용변이 배관(20)으로 모두 배출되면 중간저장탱크(161)는 복귀부재(164)에 의해 원래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무게추(165)는 중간저장탱크(161) 내의 용변이 가득 차기 전까지 중간저장탱크(161)가 회전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중을 돕는다.
이와 같이, 변기 본체(110)의 하측에 중간저장탱크(161)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즉,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기 위해 매번 용변과 물을 배출하여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변기 본체(110)에서 5~10회 배출한 용변과 물을 중간저장탱크(161)가 가득 채워질 때까지 모아 한번에 정화조로 배출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기존 변기가 사용하던 것에 비해 물의 사용량을 대폭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정전과 같이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어 조작 버튼(120)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제1레버(181)와, 제2레버(182)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1레버(181)를 하부로 밀면 제1레버(181)와 연결된 래크 기어(1521)가 하부로 움직인다. 래크 기어(1521)에 연결된 제1파이프(1511)가 배출구(112)에 대해 하부로 회전된다. 이때 제1파이프(1511) 내에 고여있던 물이 배출되면서 배출구(112)는 개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용부(111)에 저장된 용변은 배출구(112)를 통해 제1파이프(1511)와 제2파이프(1514)를 거쳐 중간저장탱크(161)로 배출된다. 용변과 물이 모두 배출된 후 제1레버(181)를 상부로 당기면 제1레버(181)에 연결된 래크 기어(1521)는 상부로 움직인다. 래크 기어(1521)에 연결된 제1파이프(1511)는 배출구(112)에 대해 상부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1레버(181)는 정전과 같이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어 조작 버튼(120)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수동 조작에 의해 용변과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제1레버(181)에 의해 후 제1파이프(1511)가 상승하면 제2레버(182)를 누름 작동한다. 제2레버(182)를 누르면 제2레버(182)와 연결된 배수레버(183)가 배수마개(184)를 들어 올려 물공급 탱크(173) 내에 저장된 물은 공급관(171)을 통해 수용부(111)에 공급된다. 제1파이프(1511)는 수용부(111)에 공급된 물에 의해 가득 차게 되고 배출구(112)는 폐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2레버(182)는 정전과 같이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어 조작 버튼(120)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수동 조작에 의해 수용부(111) 내부로 물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배출 유닛(150)의 연결관(151)은 제2파이프(1514)와 제2주름관(1515)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주름관(1515)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제2파이프를 탄성의 파이프로 형성하여 중간저장탱크의 유입구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관 작동수단(152)은 래크 기어와 피니언 기어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연결관의 일단을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액튜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물분사 유닛(140)은 가압펌프(143)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압펌프(143)를 구비하지 않고 건물로 공급되는 물의 자체 수압을 이용하여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 유닛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물공급 유닛(170)을 구비하지 않고 물분사 유닛에 의해서만 수용부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본 발명의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로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200)는, 중간저장 유닛(260)은 슬라이드 부재(267)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부재(267)에는 회전축(262)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262)에 지지되는 중간저장탱크(261)는 회전축(262)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267)는 중간저장탱크(261)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그에 따라 중간저장탱크(261)가 용변을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중간저장탱크(261)는 슬라이드 부재(267)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중간배출관(163)에 대한 중간저장탱크(261)의 상대 위치가 자연스럽게 조정된다.
10: 급수관 20: 배관
100, 200: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110: 변기 본체 111: 수용부
112: 배출구 120: 조작 버튼
130: 제어부 140: 물분사 유닛
141: 급수밸브 142: 분사노즐
143: 가압펌프 150: 배출 유닛
151: 연결관 1511: 제1파이프
1512: 제1주름관 1513: 기밀부재
1514: 제2파이프 1515: 제2주름관
152: 연결관 작동수단 1521: 래크 기어
1522: 피니언 기어 1523: 구동모터
160, 260: 중간저장 유닛 161: 중간저장탱크
162, 262: 회전축 163: 중간배출관
164: 복귀부재 165: 무게추
166: 배기파이프 167: 배기펌프
170: 물공급 유닛 171: 공급관
172: 조절밸브 173: 물공급 탱크
181: 제1레버 182: 제2레버
183: 배수레버 184: 배수마개
190: 악취제거 유닛 191: 흡입관
192: 배기팬 267: 슬라이드 부재

Claims (10)

  1.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용변이 임시로 저장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용변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변기 본체;
    사용자의 배출 명령을 수신하는 조작 버튼;
    상기 조작 버튼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용변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고압의 물을 개폐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밸브를 통과한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물분사 유닛;
    상기 배출구의 용변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플렉서블하게 연결되는 배출 유닛; 및
    상기 배출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변기 본체의 하측에 매립되어 상기 배출 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용변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용변을 저장하는 중간저장탱크와, 상기 변기 본체의 복수회의 사용에 의해 상기 중간저장탱크 내에 모아진 용변이 가득 차면 자중에 의해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회전하면서 용변을 한번에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저장탱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회전하여 그 중간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용변을 배출할 때 그 용변을 건물의 정화조로 통하는 배관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저장탱크와 상기 배관을 연결하는 중간배출관을 구비하는 중간저장 유닛;을 포함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은,
    일단은 상기 변기 본체의 배출구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간저장탱크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각도를 상기 변기 본체의 배출구에 대해 조절하는 연결관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의 연결관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파이프와, 일단은 상기 제1파이프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간저장탱크의 유입구에 연결되며 길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1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작동수단은, 상기 제1파이프에 설치되어 상하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래크 기어와, 상기 래크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래크 기어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배출구와 제1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 작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1파이프가 상기 배출구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구와 제1파이프를 연결하고 상기 배출구와 상기 제1파이프 사이를 기밀하는 탄성재질의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저장 유닛은,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회전하여 내부에 저장된 용변을 배출한 후 원래 위치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중간저장탱크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복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저장 유닛은,
    상기 중간저장탱크의 용변이 가득 차기 전까지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회전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기 중간저장탱크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저장 유닛의 중간저장탱크는,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회전하여 상기 배관으로 배출되는 용변이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상기 배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배출관은,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회전할 때에도 상기 중간저장탱크와 상기 건물의 배관을 외부와 기밀하면서 연결할 수 있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저장 유닛의 회전축은, 그 회전축이 설치되는 지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KR1020130114078A 2013-09-25 2013-09-25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Active KR101438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078A KR101438644B1 (ko) 2013-09-25 2013-09-25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078A KR101438644B1 (ko) 2013-09-25 2013-09-25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644B1 true KR101438644B1 (ko) 2014-10-30

Family

ID=5199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078A Active KR101438644B1 (ko) 2013-09-25 2013-09-25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232B1 (ko) * 2018-06-04 2019-07-15 김응진 양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960B1 (ko) 2004-02-16 2006-04-27 최흥문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100923770B1 (ko) 2008-10-17 2009-10-27 (주)에이치앤지 양변기의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90117035A (ko)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케이원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KR101371586B1 (ko) 2013-11-19 2014-03-24 정호기업 주식회사 중간 저장 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960B1 (ko) 2004-02-16 2006-04-27 최흥문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20090117035A (ko)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케이원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KR100923770B1 (ko) 2008-10-17 2009-10-27 (주)에이치앤지 양변기의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1371586B1 (ko) 2013-11-19 2014-03-24 정호기업 주식회사 중간 저장 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232B1 (ko) * 2018-06-04 2019-07-15 김응진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8243B1 (en) Air pressure activated toilet flushing system
JP2012528959A5 (ko)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371586B1 (ko) 중간 저장 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양변기
WO2009002062A2 (en) Toilet stool having supporting water tank for preventing overflowing
US20090320200A1 (en) Kinetic Trapway
US7331069B2 (en) Water-saving flush toilet
KR101438644B1 (ko)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CN102670118B (zh) 一种马桶
EP4582642A1 (en) Suction-type toilet
CN109577437B (zh) 一种多用途如厕系统
JP3238052U (ja) 一体型水栓金具アセンブリ
CN217679471U (zh) 一种发泡马桶
KR200480074Y1 (ko) 양변기용 세정액 자동 배출장치
CN213572225U (zh) 一种用于卫生间的排污装置
CN108894297B (zh) 一种折叠式马桶
KR101478111B1 (ko) 전자식 양변기
JP7062978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装置
KR101098291B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KR200482587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CN113818528B (zh) 一种发泡马桶和发泡方法
CN213431807U (zh) 一种消化科用呕吐物清理装置
CN113529885B (zh) 一种泡沫发生装置和水箱
CN201438939U (zh) 具有清洗装置的按摩浴缸
CN108505601B (zh) 一种防溅水蹲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