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271B1 -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8271B1 KR101438271B1 KR1020120088080A KR20120088080A KR101438271B1 KR 101438271 B1 KR101438271 B1 KR 101438271B1 KR 1020120088080 A KR1020120088080 A KR 1020120088080A KR 20120088080 A KR20120088080 A KR 20120088080A KR 101438271 B1 KR101438271 B1 KR 1014382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onant
- input
- character
- drag
- vow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따라 입력된 문자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초성 자음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종성 자음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모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의 문자 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120 : 문자 인식부 122 : 자음 인식부
124 : 모음 인식부 126 : 문자 조합부
Claims (14)
- 화면에 필기인식만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필기형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자음 자소와 모음 자소를 포함하는 모든 자소가 문자 필기 순서에 따라 상기 화면에 서로 겹치면서 순차적으로 일정 형상의 드래그 또는 드래그와 점(·)의 형태로 입력되는 입력 수단; 및
드래그 및 상기 점(·)의 개수에 따라 상기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자음 인식부, 수직 드래그, 수평 드래그 및 상기 수직 또는 수평 드래그와 상기 점(·)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상기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 모음 인식부, 및 인식된 상기 자음 자소 및 상기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조합부,를 포함하는 문자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음인식부에서는,
드레그가 입력되면 입력된 드레그에 해당하는 자음자소를 인식하고,
자음자소 인식후에 점(·)이 입력되면 상기 인식된 자음자소를 드레그와 점(·)의 결합에 해당하는 자음자소로 변경하여 인식하며,
상기 화면 전체에 자음자소의 입력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화면 전체에 모음자소의 입력도 가능하며,
상기 자음자소와 모음자소는 아래의 표에서의 입력예로 입력시에 상기 입력예에 대응하는 자음자소 및 모음자소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화면에 필기인식만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필기형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사용자의 필기에 의한 자음자소가 일정 형상의 드래그 또는 드래그와 점(·)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 자소 입력단계;
자음 자소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자음 자소에 대응하는 드래그 또는 드래그와 점(·)의 위치에 따라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화면에 상기 자음자소와 겹치도록 사용자의 필기에 의한 모음자소가 일정 형상의 드래그 또는 드래그와 점(·)에 의해 입력되는 모음 자소 입력단계;
모음 자소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모음 자소에 대응하는 수직 드래그, 수평 드래그, 상기 점(·)의 입력 위치 및 상기 점(·)의 입력 개수에 따라 모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자음 자소 및 모음 자소를 개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음자소를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드레그가 입력되면 입력된 드레그에 해당하는 자음자소를 인식하고,
자음자소 인식후에 점(·)이 입력되면 상기 인식된 자음자소를 드레그와 점(·)의 결합에 해당하는 자음자소로 변경하여 인식하며,
상기 화면 전체에 자음자소의 입력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화면 전체에 모음자소의 입력도 가능하며,
상기 자음자소와 모음자소는 아래의 표에서의 입력예로 입력시에 상기 입력예에 대응하는 자음자소 및 모음자소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형 문자 입력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하는 단계는 자음+모음, 자음+모음+단자음, 자음+모음+겹자음 중 어느 하나로 문자를 조합하는,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자음 자소가 동시 입력, 반복 입력 또는 연속 입력되는 경우 쌍자음 또는 겹자음으로 인식하는, 필기형 문자 입력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8080A KR101438271B1 (ko) | 2012-08-11 | 2012-08-11 |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PCT/KR2013/007184 WO2014027798A1 (ko) | 2012-08-11 | 2013-08-09 |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8080A KR101438271B1 (ko) | 2012-08-11 | 2012-08-11 |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0693A KR20140020693A (ko) | 2014-02-19 |
KR101438271B1 true KR101438271B1 (ko) | 2014-09-04 |
Family
ID=5026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80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8271B1 (ko) | 2012-08-11 | 2012-08-11 |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8271B1 (ko) |
WO (1) | WO201402779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0377B1 (ko) * | 2016-08-12 | 2017-03-08 | 주식회사 온매칭 | 멀티터치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1348A (ko) * | 2008-06-13 | 2008-07-02 | 조근우 | 숫자키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막자판) |
KR20090053495A (ko) * | 2007-11-23 | 2009-05-27 | 주식회사 디오텍 |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5610A (ko) * | 2007-09-06 | 2009-03-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처리 방법 및 한글 입력장치 |
KR20100039650A (ko) * | 2008-10-08 | 2010-04-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 |
-
2012
- 2012-08-11 KR KR1020120088080A patent/KR10143827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8-09 WO PCT/KR2013/007184 patent/WO201402779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3495A (ko) * | 2007-11-23 | 2009-05-27 | 주식회사 디오텍 |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KR20080061348A (ko) * | 2008-06-13 | 2008-07-02 | 조근우 | 숫자키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막자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0693A (ko) | 2014-02-19 |
WO2014027798A1 (ko) | 2014-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95050B2 (ja) | 文字認識装置及び方法 | |
US20130033447A1 (en) | Writt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 |
US20160202903A1 (en) | Human-Computer Interface for Graph Navigation | |
CN104808807A (zh) | 用于汉字拼音输入的方法和装置 | |
JP2017509080A (ja) |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 |
KR100651396B1 (ko) |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 |
KR101632750B1 (ko) |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 방법 | |
US797979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syllables of a phonetic script into a computer | |
KR101485679B1 (ko) |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KR101438271B1 (ko) |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101653906B1 (ko) |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서 스와이프를 이용한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 |
KR20100027195A (ko) |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 |
KR101249329B1 (ko) |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KR102065532B1 (ko) | 한글 입력용 안구인식 키보드 | |
KR100356037B1 (ko) |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방법 | |
KR20150131662A (ko) | 문자입력시 문자 조합 조건 확장 | |
CN104156170A (zh) | 基于触摸屏固定路径韵母的汉语拼音输入方法及其系统 | |
KR20190066161A (ko) |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 |
KR101569626B1 (ko)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 |
KR20090053495A (ko) |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
KR100620489B1 (ko) | 한손 한글 키패드 | |
KR101550141B1 (ko) |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한글문자 입력방법 | |
KR200330513Y1 (ko) | 한손 한글 키패드 | |
KR20240145935A (ko) | 문자입력시 문자 조합 조건 확장 | |
KR101127689B1 (ko) | 문자표시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9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7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