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하며,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와,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상기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상기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합하여 원래의 상기 데이터패킷을 생성하는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장치(100)는,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하며,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 분할되지 아니한 부분데이터를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패킷 분할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관리장치(400)로부터 결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500) 및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6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데이터 서비스의 업링크 과정에서는 단말장치(100)가 본 발명의 송신장치에 해당되고 데이터 서비스의 다운링크 과정에서는 관리장치(400)가 본 발명의 송신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하는 구성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관리장치(400)에서 세션 분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각각과 연결되기 때문에 관리장치(400) 입장에서는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단말장치(100)의 링크라는 것을 인지하고 하나의 단말장치(100) 즉 하나의 주체로 관리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관리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한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함에 있어서 Layer3에서 투명성을 보장하고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가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는 타인에 의해 데이터패킷을 복사/가로챔으로써 어떤 서비스인지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인터넷 망을 거치는 WiFi 네트워크의 경우, 이러한 상황에 취약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해 한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함에 있어서,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복사/가로챔에 의해 타인이 서비스를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서비스를 은닉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될 것이다.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4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책관리장치(600)는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결정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이기종 네트워크는 예컨대,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다양한 접속 네트워크가 해당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업링크 과정을 고려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통신부(130)와,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제어부(110)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하는 패킷분할제어부(120)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 분할되지 아니한 부분데이터를 상기 멀티통신부(130)에 제공하고, 패킷 분할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상기 멀티통신부(130)에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125)를 포함한다.
멀티통신부(130)는, 각기 상이한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2개의 네트워크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멀티통신부(130)는, 제1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통신부(135) 및 제2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통신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통신부(135)는 제1네트워크를 통한 제1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로서,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다.
제2통신부(137)는, 제2네트워크를 통한 제2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로서, 예를 들면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다.
데이터분할제어부(110)는,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분할제어부(110)는, 내부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105)으로부터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을 요청 받을 수 있으며, 이에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분할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 받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데이터분할제어부(110)는, 내부의 어플리케이션(105)으로부터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을 요청 받으면, 해당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데이터분할제어부(11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데이터분할제어부(110)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및 실시간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분할제어부(110)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전술과 같이 보유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분할제어부(110)는, 전술과 같이 분할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특정 송신장치 즉 자신이 속한 송신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술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소스주소정보로서 헤더에 삽입할 수 있다.
패킷분할제어부(120)는,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패킷분할제어부(120)는,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종류 및 상기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대상 장치가 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보안 적용이 요구되는 기 정의된 특정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여러 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때문에 WiFi와 같이 보안성이 취약한 특정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타인에 의한 데이터 복사/가로챔이 용이하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이에 부응하여, 패킷분할제어부(120)에서는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특히 보안이 요구되는 전자거래 관련 데이터 서비스(예 : 인터넷 뱅킹, 카드 결제 서비스, 보안 등급의 이용자 로그인 등)에 따른 데이터인 경우를 보안적용상황으로 기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패킷분할제어부(120)에서는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대상 장치 즉 외부장치(500)가 국가기관 서버(예 : 국회, 국세청 등) 등과 같이 특히 보안이 요구되는 장치인 경우를 보안적용상황으로 기 정의할 수 있다.
이에, 패킷분할제어부(120)는, 전술과 같은 특정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패킷 분할을 수행하지 않고,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는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
더 나아가, 패킷분할제어부(120)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네트워크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각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정의된 보안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전술과 같이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할 수 있다.
즉, 패킷분할제어부(120)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네트워크가 보안기준에 부합하는 3G 및 LTE 로 선택된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패킷 분할을 수행하지 않고, 선택된 각 네트워크 중 보안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WiFi 가 선택된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하게 될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
이에 데이터패킷을 분할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패킷분할제어부(120)는, 패킷 분할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종류 및 이용되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상태를 반영하여 기 설정되는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특정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패킷분할제어부(120)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장치에서, 비교적 보안이 취약하기 때문에 패킷 분할을 적용하고자 기 설정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종류정보와, 이용되는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상태를 반영하여 기 설정되는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특정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분할정책은, 특정 관리장치(400) 및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결정하는 특정 정책관리장치(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패킷분할정책은,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의 연동을 통해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하고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패킷분할정책은,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결정하는 특정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하고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여 정책관리장치(600)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한 패킷분할제어부(120)는,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분할정책의 패킷 분할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종류(예 : WiFi)에 해당되는 부분데이터를 인지한다.
그리고, 패킷분할제어부(120)는, 패킷분할정책의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패킷 전송을 위한 제1패킷 분배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패킷 전송을 위한 제2패킷 분배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패킷 분배율을 기반으로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인지한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분할하여, 각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정하게 된다.
데이터제공부(125)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 분할되지 아니한 부분데이터를 멀티통신부(130)에 제공하고, 패킷 분할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멀티통신부(130)에 제공한다.
즉, 데이터제공부(125)는,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분할제어부(120)에 의해 패킷 분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어느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3G)로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135)로 제공한다.
이에 제1통신부(135)를 통해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는 해당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공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이 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또한, 데이터제공부(125)는,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분할제어부(120)에 의해 패킷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3G)로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135)로 제공하고,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로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137)로 제공한다.
이에, 제1통신부(135)를 통해 전송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은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공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또한, 제2통신부(137)를 통해 전송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은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제공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처럼, 단말장치(100)는, 하나의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1차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보안이 취약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특정 부분데이터에 대하여 각 부분데이터패킷을 강제 분할하는 2차 분할을 수행한 후 각 부분데이터패킷은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보안이 취약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다운링크 과정을 고려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는, 패킷결합부(140)와 데이터결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결합부(140)는, 멀티통신부(1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패킷 각각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패킷식별정보 및 패킷순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해당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패킷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운링크 과정에서는 관리장치(400)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패킷에서 강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이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달되고 강제 분할된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멀티통신부(1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수신될 수 있다.
이에 패킷결합부(140)는, 멀티통신부(1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 각각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에 근거하여 자신에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특정 송신장치 즉 자신이 속한 송신장치(100)로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었음이 확인되는 부분데이터패킷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패킷결합부(140)는, 인지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패킷식별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패킷식별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으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패킷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패킷결합부(140)는, 인지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패킷순서정보를 토대로 순서에 따라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이처럼 생성된 데이터패킷들을 조합하여 원래의 부분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데이터결합부(150)는, 멀티통신부(1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부분데이터 및 패킷결합부(140)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포함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데이터순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부분데이터 각각을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운링크 과정에서는 관리장치(400)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되어 패킷 분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가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멀티통신부(1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부분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데이터결합부(150)는, 멀티통신부(1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부분데이터 및 패킷결합부(140)에서 생성/복원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포함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에 근거하여, 자신에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부분데이터를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특정 송신장치 즉 자신이 속한 송신장치(100)로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었음이 확인되는 부분데이터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결합부(150)는, 인지된 부분데이터들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순서정보(예 : 시퀀스넘버)에 따라 부분데이터 각각을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복원할 수 있고, 복원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105)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구성을 다운링크 과정을 고려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통신부(430)와,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제어부(410)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하는 패킷분할제어부(420)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 분할되지 아니한 부분데이터를 상기 멀티통신부에 제공하고, 패킷 분할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상기 멀티통신부(430)에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통신부(430)는, 전술의 단말장치(100)에서의 멀티통신부(430)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데이터분할제어부(410)는,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분할제어부(410)는,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을 요청 받을 수 있으며, 이에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분할제어부(4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해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 예컨대,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단말장치의 장치식별정보(예 : IMSI)를 기준으로 매핑된 제1네트워크 및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및 WiFi IP), 별도의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 등의 접속정보와,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 분배를 위한 네트워크 선택 정책 예컨대, 트래픽 구분을 위한 Source IP, Source Port, Destination IP, Destination Port, Protocol(UDP, TCP 등) 정보,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 등을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데이터분할제어부(410)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을 요청 받으면, 해당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데이터분할제어부(410)는,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데이터분할제어부(410)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및 실시간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분할제어부(410)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전술과 같이 보유한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인지되는 해당 단말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분할제어부(410)는, 전술과 같이 분할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특정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술의 단말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소스주소정보로서 헤더에 삽입할 수 있다.
패킷분할제어부(420)는, 데이터분할제어부(4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패킷분할제어부(420)는,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종류 및 상기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대상 장치가 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보안 적용이 요구되는 기 정의된 특정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패킷분할제어부(420)에서는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특히 보안이 요구되는 전자거래 관련 데이터 서비스(예 : 인터넷 뱅킹, 카드 결제 서비스, 보안 등급의 이용자 로그인 등)에 따른 데이터인 경우를 보안적용상황으로 기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패킷분할제어부(420)에서는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대상 장치 즉 외부장치(500)가 국가기관 서버(예 : 국회, 국세청 등) 등과 같이 특히 보안이 요구되는 장치인 경우를 보안적용상황으로 기 정의할 수 있다.
이에, 패킷분할제어부(420)는, 전술과 같은 특정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4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패킷 분할을 수행하지 않고,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는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4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
더 나아가, 패킷분할제어부(420)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네트워크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각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정의된 보안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전술과 같이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할 수 있다.
즉, 패킷분할제어부(420)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네트워크가 보안기준에 부합하는 3G 및 LTE 로 선택된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패킷 분할을 수행하지 않고, 선택된 각 네트워크 중 보안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WiFi 가 선택된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4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하게 될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
이에 데이터패킷을 분할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패킷분할제어부(420)는, 패킷 분할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종류 및 이용되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상태를 반영하여 기 설정되는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특정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패킷분할제어부(420)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장치에서, 비교적 보안이 취약하기 때문에 패킷 분할을 적용하고자 기 설정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종류정보와, 이용되는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상태를 반영하여 기 설정되는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특정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분할정책은,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결정하는 특정 정책관리장치(600)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한 패킷분할제어부(420)는, 데이터분할제어부(4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분할정책의 패킷 분할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종류(예 : WiFi)에 해당되는 부분데이터를 인지한다.
그리고, 패킷분할제어부(420)는, 패킷분할정책의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패킷 전송을 위한 제1패킷 분배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패킷 전송을 위한 제2패킷 분배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패킷 분배율을 기반으로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인지한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분할하여, 각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정하게 된다.
데이터제공부(425)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 분할되지 아니한 부분데이터를 멀티통신부(430)에 제공하고, 패킷 분할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멀티통신부(430)에 제공한다.
즉, 데이터제공부(425)는, 데이터분할제어부(410)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분할제어부(420)에 의해 패킷 분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3G)로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135)로 제공한다.
이에 제1통신부(135)를 통해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는 해당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공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이 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
또한, 데이터제공부(425)는, 데이터분할제어부(410)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분할제어부(420)에 의해 패킷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3G)로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135)로 제공하고,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로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137)로 제공한다.
이에, 제1통신부(135)를 통해 전송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은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공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 또한, 제2통신부(137)를 통해 전송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은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제공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처럼, 관리장치(400)는, 하나의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1차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보안이 취약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특정 부분데이터에 대하여 각 부분데이터패킷을 강제 분할하는 2차 분할을 수행한 후 각 부분데이터패킷은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보안이 취약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의 구성을 업링크 과정을 고려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패킷결합부(440)와 데이터결합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결합부(440)는, 멀티통신부(4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패킷 각각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패킷식별정보 및 패킷순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해당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패킷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업링크 과정에서는 단말장치(100)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패킷에서 강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이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달되고 강제 분할된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멀티통신부(4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수신될 수 있다.
이에 패킷결합부(440)는, 멀티통신부(4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하나의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인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패킷결합부(440)는,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특정 타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제공된 부분데이터패킷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패킷결합부(440)는, 인지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패킷식별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패킷식별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으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패킷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패킷결합부(440)는, 인지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패킷순서정보를 토대로 순서에 따라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이처럼 생성된 데이터패킷들을 조합하여 원래의 부분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데이터결합부(450)는, 멀티통신부(4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부분데이터 및 패킷결합부(440)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포함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데이터순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부분데이터 각각을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한다.
업링크 과정에서는 단말장치(100)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되어 패킷 분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가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멀티통신부(4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부분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데이터결합부(450)는, 멀티통신부(430)를 통해 하나의 특정 데이터에서 분할된 부분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부분데이터 및 패킷결합부(440)에서 생성/복원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포함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에 근거하여, 특정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부분데이터를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제공되는 부분데이터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결합부(450)는, 인지된 부분데이터들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순서정보(예 : 시퀀스넘버)에 따라 부분데이터 각각을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복원할 수 있고, 복원된 데이터를 해당 외부장치(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함에 있어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보안이 취약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특정 부분데이터에 대하여 각 부분데이터패킷을 강제 분할하는 2차 분할을 수행한 후 각 부분데이터패킷은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복사/가로챔에 의해 타인이 서비스를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은닉하여 보안이 취약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서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는,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다(S10,S15).
이에 앞서,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한 자신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를 할당 받고, WiFi 네트워크에 대한 자신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를 할당 받을 것이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수행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기존의 접속정보 할당 방식에 따라 자신의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기존의 접속정보 할당 방식에 따라 자신의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이후,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 서비스 등록 절차를 위해,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할 수 있는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를 획득하고, 제2네트워크 즉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할 수 있는 WiFi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를 획득한다.
이때, 단말장치(100)에서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 및 WiFi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를 획득/인지하는 것은 다양한 절차를 통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관리장치(4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가 완료된 경우,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 서비스 등록 절차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획득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 및 WiFi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게 된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획득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3G IP)를 토대로 제1네트워크 즉 3G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Binding Update)를 송신함으로써 단말장치(100) 자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부가정보 예컨대, 장치식별정보(예 : IMSI), 제1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3G IP), 금번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올려 보내는 네트워크 종류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타입정보(예 : 3G),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를 확인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Binding Update Ack)를 단말장치(100)로 회신함으로써, 3G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등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획득된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예 : 관리장치 WiFi IP)를 토대로 제2네트워크 즉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Binding Update)를 송신함으로써 단말장치(100) 자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부가정보 예컨대, 장치식별정보(예 : IMSI), 제2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WiFi IP), 금번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올려 보내는 네트워크 종류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타입정보(예 : WiFi),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를 확인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바인딩 업데이트 응답 메시지(Binding Update Ack)를 단말장치(100)로 회신함으로써,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등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 받아 보유하며, 이에 대하여 관리장치(400)가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은 3G 네트워크 또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등록 절차에서 관리장치(400)로부터 할당되는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수신하여 보유할 수 있다(S20).
단말장치(10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S30).
즉 단말장치(100)는, 데이터패킷을 분할하기 위한 특정 패킷분할정책을 보유하고 이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패킷분할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패킷 분배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패킷 분배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패킷 분배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에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키고,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킨다.
이 후,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S40).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S45).
이처럼 단말장치(100)에서 강제로 하나의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은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로 전달되고 분할된 제2부분데이터패킷은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로 전달된다.
관리장치(4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하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합하여 원해의 데이터패킷을 생성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S50).
즉, 관리장치(4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패킷들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동일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 인지하여 하나의 단말장치(100)에서 전송된 부분데이터패킷들을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패킷식별정보 및 패킷순서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하나의 데이터패킷에 대응하여 해당 순서에 따라 조합/결합하여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된 데이터패킷들을 조합하여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패킷을 통해 인지되는 최종 수신처에 해당되는 외부장치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장치(500)로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전송한다(S60).
이처럼 단말장치(100)에서 하나의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은 이기종 네트워크(3G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관리장치(400)에 의해 결합되어 원래의 데이터패킷을 복원되고 이들 데이터패킷을 포함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로 복원되고,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로서 최종 수신처인 외부장치(500)로 전달된다.
다음, 다운링크 과정을 설명하면,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전송 요청되는 데이터에 대하여(S70), 송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S80).
즉 관리장치(400)는, 데이터패킷을 분할하기 위한 특정 패킷분할정책을 보유하고 이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리장치(400)는, 패킷분할정책에 포함된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패킷 분배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패킷 분배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패킷 분배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에 최종 수신처가 되는 단말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키고,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단말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시킨다.
이 후,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송신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S90). 그리고 관리장치(400)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송신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S95).
이처럼 관리장치(400)에서 강제로 하나의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은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달되고 분할된 제2부분데이터패킷은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달된다.
단말장치(1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하고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하며,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토대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합하여 원해의 데이터패킷을 생성함으로써, 관리장치(400)에서 전송하고자 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S100).
즉, 단말장치(100)는 수신되는 여러 부분데이터패킷들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자신에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 인지하고, 이들을 해당 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패킷식별정보 및 패킷순서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하나의 데이터패킷에 대응하여 해당 순서에 따라 조합/결합하여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생성하고, 이처럼 생성된 데이터패킷들을 조합하여 원래의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처럼 관리장치(100)에서 하나의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은 이기종 네트워크(3G 및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에 의해 결합되어 원래의 데이터패킷으로 복원되고 이들 데이터패킷을 포함하는 전송대상 데이터로 복원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전술과 같이 송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 또는 관리장치(400)에서 각 데이터패킷 별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강제 분할하여 각기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 전송하기 때문에, 특정 네트워크를 거치는 부분데이터패킷이 타인에 복사/가로챔 되더라도 이를 통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를 타인이 확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송신장치로서 동작하는 단말장치(10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업링크 과정을 토대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내부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105)으로부터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을 요청 받을 수 있으며(S210), 이에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삽입한다(S22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해 별도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할당 받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내부의 어플리케이션(105)으로부터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을 요청 받으면, 해당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선택 정책 및 실시간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전술과 같이 보유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분할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특정 송신장치 즉 자신이 속한 송신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술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소스주소정보로서 헤더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S23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종류 및 상기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대상 장치가 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보안 적용이 요구되는 기 정의된 특정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는 경우(S225),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특히 보안이 요구되는 전자거래 관련 데이터 서비스(예 : 인터넷 뱅킹, 카드 결제 서비스, 보안 등급의 이용자 로그인 등)에 따른 데이터인 경우를 보안적용상황으로 기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대상 장치 즉 외부장치(500)가 국가기관 서버(예 : 국회, 국세청 등) 등과 같이 특히 보안이 요구되는 장치인 경우를 보안적용상황으로 기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은 특정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S220단계에서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패킷 분할을 수행하지 않고, 부분데이터 각각을 해당 네트워크(예 : 3G, WiFi)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S245).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은 특정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는 경우 S220단계에서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S230).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네트워크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각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정의된 보안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전술과 같이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네트워크가 보안기준에 부합하는 3G 및 LTE 로 선택된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패킷 분할을 수행하지 않고, 선택된 각 네트워크 중 보안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WiFi 가 선택된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하게 될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패킷 분할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종류 및 이용되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상태를 반영하여 기 설정되는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특정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장치에서, 비교적 보안이 취약하기 때문에 패킷 분할을 적용하고자 기 설정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종류정보와, 이용되는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상태를 반영하여 기 설정되는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특정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분할정책은, 특정 관리장치(400) 및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결정하는 특정 정책관리장치(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패킷분할정책은,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의 연동을 통해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하고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패킷분할정책은,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결정하는 특정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하고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여 정책관리장치(600)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S220단계에서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분할정책의 패킷 분할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종류(예 : WiFi)에 해당되는 부분데이터를 인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패킷분할정책의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패킷 전송을 위한 제1패킷 분배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패킷 전송을 위한 제2패킷 분배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패킷 분배율을 기반으로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인지한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분할하여, 각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 분할되지 아니한 부분데이터를 멀티통신부(130)에 제공하고, 패킷 분할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멀티통신부(130)에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 분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3G)로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135)로 제공한다(S240). 이에 제1통신부(135)를 통해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는 해당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공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이 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3G)로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135)로 제공하고,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로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137)로 제공한다(S250). 이에, 제1통신부(135)를 통해 전송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은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공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또한, 제2통신부(137)를 통해 전송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은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제공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1차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보안이 취약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특정 부분데이터에 대하여 각 부분데이터패킷을 강제 분할하는 2차 분할을 수행한 후 각 부분데이터패킷은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보안이 취약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게 된다.
한편 수신장치로서 동작하는 단말장치(10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의 다운링크 과정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관리장치(400)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패킷에서 강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이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달되고 강제 분할된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수신될 수 있다(S260).
이와 더불어 다운링크 과정에서는 관리장치(400)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되어 패킷 분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가 특정 네트워크(예 : 3G)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하나의 특정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부분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S27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S260),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 각각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패킷식별정보 및 패킷순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해당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패킷을 생성한다(S280).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 각각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에 근거하여 자신에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특정 송신장치 즉 자신이 속한 송신장치(100)로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었음이 확인되는 부분데이터패킷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인지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패킷식별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패킷식별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으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패킷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인지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패킷순서정보를 토대로 순서에 따라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이처럼 생성된 데이터패킷들을 조합하여 원래의 부분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S270단계에서 수신된 부분데이터 및 S280단계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포함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데이터순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부분데이터 각각을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한다(S290).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된 부분데이터 및 S280단계에서 생성/복원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포함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에 근거하여, 자신에 할당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부분데이터를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특정 송신장치 즉 자신이 속한 송신장치(100)로 제공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었음이 확인되는 부분데이터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인지된 부분데이터들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순서정보(예 : 시퀀스넘버)에 따라 부분데이터 각각을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복원할 수 있고, 복원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105)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수신장치로서 동작하는 관리장치(40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업링크 과정을 토대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패킷에서 강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이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달되고 강제 분할된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WiFi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수신될 수 있다(S300).
이와 더불어 업링크 과정에서는 단말장치(100)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되어 패킷 분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가 3G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수신장치로서의 관리장치(4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하나의 특정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부분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S31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S300), 수신된 상기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패킷 각각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패킷식별정보 및 패킷순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해당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패킷을 생성한다(S320).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이 수신되면,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하나의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인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토대로 특정 타 송신장치 즉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에 따른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되어 제공된 부분데이터패킷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인지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패킷식별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패킷식별정보를 갖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하나의 특정 데이터패킷으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패킷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인지된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에 포함된 패킷순서정보를 토대로 순서에 따라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이처럼 생성된 데이터패킷들을 조합하여 원래의 부분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S310단계에서 수신된 부분데이터 및 S320단계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포함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 및 데이터순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부분데이터 각각을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생성한다(S330).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신된 부분데이터 및 S320단계에서 생성/복원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포함하는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에 근거하여, 특정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갖는 부분데이터를 추출하여 인지한다. 이는, 특정 단말장치(100)로부터 하나의 데이터에서 분할되는 제공되는 부분데이터들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인지된 부분데이터들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순서정보(예 : 시퀀스넘버)에 따라 부분데이터 각각을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복원할 수 있고, 복원된 데이터를 해당 외부장치(500)로 전달할 수 있다(S340).
한편, 송신장치로서 동작하는 관리장치(400)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다운링크 과정을 토대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을 요청 받을 수 있으며(S350), 이에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특정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삽입한다(S36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위해 전술과 같은 각 가입자 별로 서비스 등록된 장치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포함하는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대상이 되는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을 요청 받으면, 해당 특정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 선택 정책 또는 실시간 네트워크 상태 감지에 따라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 선택 정책 및 실시간 변경되는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데이터 분할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3G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WiFi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WiFi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WiFi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WiFi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WiFi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전술과 같이 보유한 가입자 별 테이블정보에 근거하여 인지되는 해당 단말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분할한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특정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전술의 단말장치(100)의 네트워크 접속정보(예 : 가상 IP)를 소스주소정보로서 헤더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S37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종류 및 상기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대상 장치가 되는 특정 외부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보안 적용이 요구되는 기 정의된 특정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는 경우(S365),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특히 보안이 요구되는 전자거래 관련 데이터 서비스(예 : 인터넷 뱅킹, 카드 결제 서비스, 보안 등급의 이용자 로그인 등)에 따른 데이터인 경우를 보안적용상황으로 기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대상 장치 즉 외부장치(500)가 국가기관 서버(예 : 국회, 국세청 등) 등과 같이 특히 보안이 요구되는 장치인 경우를 보안적용상황으로 기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은 특정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S360단계에서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패킷 분할을 수행하지 않고, 부분데이터 각각을 해당 네트워크(예 : 3G, WiFi)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S385).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은 특정 보안적용상황에 해당되는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4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S370).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네트워크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각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정의된 보안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전술과 같이 특정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각 네트워크가 보안기준에 부합하는 3G 및 LTE 로 선택된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패킷 분할을 수행하지 않고, 선택된 각 네트워크 중 보안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WiFi 가 선택된 경우 데이터분할제어부(1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WiFi 네트워크로 전송하게 될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으로 분할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패킷 분할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종류 및 이용되는 2 이상의 네트워크 상태를 반영하여 기 설정되는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특정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 장치에서, 비교적 보안이 취약하기 때문에 패킷 분할을 적용하고자 기 설정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종류정보와, 이용되는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상태를 반영하여 기 설정되는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특정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분할정책은, 2 이상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결정하는 특정 정책관리장치(600)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패킷분할정책을 기 보유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분할제어부(410)에 의해 분할되는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분할정책의 패킷 분할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종류(예 : WiFi)에 해당되는 부분데이터를 인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패킷분할정책의 네트워크 별 패킷 분배율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패킷 전송을 위한 제1패킷 분배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패킷 전송을 위한 제2패킷 분배율을 확인하고, 확인된 패킷 분배율을 기반으로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인지한 해당 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패킷을 분할하여, 각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 분할되지 아니한 부분데이터를 멀티통신부(430)에 제공하고, 패킷 분할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 및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패킷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멀티통신부(430)에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 분할되지 않은 부분데이터를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3G)로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135)로 제공한다(S380). 이에 제1통신부(135)를 통해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는 해당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공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이 부분데이터를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패킷분할제어부(420)에 의해 패킷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3G)로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135)로 제공하고,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Fi, LTE, WiBro 등) 중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로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137)로 제공한다(S390).
이에, 제1통신부(135)를 통해 전송되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은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제공되고 이에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제1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 또한, 제2통신부(137)를 통해 전송되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은 WiFi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제공되고 이에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제2부분데이터패킷을 수신장치로서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 세션에 대하여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링크 전송을 구현함에 있어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보안이 취약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특정 부분데이터에 대하여 각 부분데이터패킷을 강제 분할하는 2차 분할을 수행한 후 각 부분데이터패킷은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복사/가로챔에 의해 타인이 서비스를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은닉하여 보안이 취약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에 대해서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