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6939B1 - 이어마이크폰 - Google Patents

이어마이크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939B1
KR101436939B1 KR1020130053476A KR20130053476A KR101436939B1 KR 101436939 B1 KR101436939 B1 KR 101436939B1 KR 1020130053476 A KR1020130053476 A KR 1020130053476A KR 20130053476 A KR20130053476 A KR 20130053476A KR 101436939 B1 KR101436939 B1 KR 101436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unit
holder
microphone body
ear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욱
Original Assignee
정연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욱 filed Critical 정연욱
Priority to KR1020130053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939B1/ko
Priority to PCT/KR2014/004243 priority patent/WO201418567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9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마이크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이어폰 유닛 및 마이크 유닛을 포함하여 음성을 송수신하는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유닛은, 마이크 본체부; 상기 마이크 본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송화부;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송화부를 작동시키는 송화버튼부; 및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 본체부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어마이크폰에 따르면, 이어마이크폰의 음성 송신용 마이크 유닛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홀더부를 구성함으로써, 마이크 유닛을 반복적으로 해제하고 체결하는 수고를 덜고, 해제 및 체결을 위해 시선을 빼앗기는 것을 예방하여 업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 유닛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함으로써, 업무 수행 중 마이크 유닛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과정이 자연스럽고, 송신 중에도 필요 시 신속하게 손을 활용할 수 있어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마이크폰{EAR-MICROPHONE}
본 발명은 이어마이크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어마이크폰의 음성 송신용 마이크 유닛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는 이어마이크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 중에 통화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가 대중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는 극소화, 경량화가 이루어지면서 일반적으로 허리에 차거나 목에 걸고 다니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휴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를 신체의 일부에 고정시키고, 이어마이크폰을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음성의 송수신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이어마이크폰은 귀에 꼽을 수 있는 소형 스피커, 마이크, 연결단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소형 스피커는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그리고 연결단자는 소형 스피커 및 마이크와 각각 유선으로 연결되어 무선통신 단말기의 커넥터에 삽입된다. 이러한 종래 방식의 이어마이크폰은 사용자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음향이 수신되면 연결단자를 통하여 음향신호가 소형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송신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는 정면에 클립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셔츠 소매나 옷깃 등에 체결하여 착용하며, 필요 시 손으로 클립을 해제하여 마이크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 이처럼 종래의 이어마이크폰은 클립을 이용하여 마이크의 고정시 사용자의 소매나 옷깃에 체결하기 때문에, 마이크를 이용하여 송신하기 위해서는 체결되어 있던 클립을 눌러 빼서 마이크를 옮겨 쥐고 송신을 해야 한다. 그리고, 송신이 끝나면 다시 클립을 이용하여 신체에 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경우, 경호 등 기타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들은 송신을 할 때마다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고, 클립을 분리하고 결합하는데 시선을 빼앗기게 되어 업무의 집중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반복적인 해제와 체결을 피하기 위해서 업무 중 마이크를 계속 손에 쥐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도 있으나, 이 또한 마이크를 쥐고 있는 손의 활용능력이 떨어져 필요할 때 신속한 손의 사용을 방해하여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어마이크폰의 음성 송신용 마이크 유닛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홀더부를 구성함으로써, 마이크 유닛을 반복적으로 해제하고 체결하는 수고를 덜고, 해제 및 체결을 위해 시선을 빼앗기는 것을 예방하여 업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 유닛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함으로써, 업무 수행 중 마이크 유닛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과정이 자연스럽고, 송신 중에도 필요 시 신속하게 손을 활용할 수 있어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이어폰 유닛 및 마이크 유닛을 포함하여 음성을 송수신하는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유닛은,
마이크 본체부;
상기 마이크 본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송화부;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송화부를 작동시키는 송화버튼부; 및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 본체부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는,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과 사이에 상기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홀더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는,
상기 송화버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는,
상기 송화버튼부를 덮는 부분에 버튼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 구멍을 통해 상기 송화버튼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의 종단부는 탈부착수단에 의해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과 상기 홀더부의 종단부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암,수 벨크로를 포함하되,
상기 암,수 벨크로의 벨크로 결합에 의해 상기 홀더부의 종단부가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과 상기 홀더부의 종단부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암,수 똑딱이를 포함하되,
상기 암,수 똑딱이의 똑딱이 결합에 의해 상기 홀더부의 종단부가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과 상기 홀더부의 종단부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자석의 자성 인력에 의해 상기 홀더부의 종단부가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고리를 상기 홀더부의 종단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한 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홀더부(240)의 종단부(243)가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는,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만곡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을 넣어 상기 마이크 본체부를 상기 손가락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을 넣어 상기 마이크 본체부를 상기 손가락에 체결하는 홀더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어마이크폰은,
상기 마이크 본체부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 본체부를 사용자의 옷이나 소매에 체결하는 클립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어마이크폰에 따르면, 이어마이크폰의 음성 송신용 마이크 유닛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홀더부를 구성함으로써, 마이크 유닛을 반복적으로 해제하고 체결하는 수고를 덜고, 해제 및 체결을 위해 시선을 빼앗기는 것을 예방하여 업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 유닛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함으로써, 업무 수행 중 마이크 유닛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과정이 자연스럽고, 송신 중에도 필요 시 신속하게 손을 활용할 수 있어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에서 홀더부를 마이크 본체부에 벨크로를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에서 홀더부를 마이크 본체부에 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에서 홀더부를 마이크 본체부에 체결고리를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에서 홀더부를 마이크 본체부에 똑딱이를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하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하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10)은, 이어폰 유닛(100), 마이크 유닛(200) 및 연결단자(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어폰 유닛(100)은 휴대폰 등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소형 스피커로서, 이어마이크폰(10)의 음성 수신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이어폰 유닛(100)은 사용자의 귀에 꼽아 착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마이크 유닛(200)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소형 마이크로서, 이어마이크폰(10)의 음성 송신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마이크 유닛(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연결단자(300)는 이어폰 유닛(100) 및 마이크 유닛(200)과 각각 유선으로 연결되어 무선통신 단말기의 커넥터(미도시)에 삽입되는 연결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10)의 마이크 유닛(200)은, 마이크 본체부(210), 송화부(220), 송화버튼부(230), 홀더부(240) 및 클립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 본체부(210)는 내부에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전자회로가 구비된다. 마이크 본체부(210)의 내부 전자회로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 본체부(210)를 사각면체 형상으로 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기둥체, 원형구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화부(220)는 마이크 본체부(2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켜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형 마이크가 마이크 본체부(2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송화버튼부(230)는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 예컨대 마이크 본체부(210)의 전면 중앙 약간 아래쪽에 설치되어 송화부(22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송화버튼부(230)를 손가락으로 누르는 경우 송화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단말기에 전달된다.
홀더부(240)는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 예컨대 송화버튼부(230)가 설치되는 마이크 본체부(2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마이크 본체부(210)를 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홀더부(240)는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 상단에서 일체로 길게 연장되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과 사이에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240a)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판형의 홀더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부(240)는 송화버튼부(23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부(240)가 송화버튼부(230)를 덮는 구조인 경우, 홀더부(240)는 송화버튼부(230)를 덮는 부분에 버튼 구멍(241)이 형성되어 버튼 구멍(241)을 통해 송화버튼부(230)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비록 홀더부(240)가 송화버튼부(230)를 덮고 있더라도 사용자는 홀더부(240) 안에 손가락을 넣지 않더라도 송화버튼부(230)를 누를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더부(240)는 굽힘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홀더띠 형태의 홀더부(240)가 손가락을 밀착되게 감싸도록 굽힘 변형시킴으로써 마이크 본체부(210)를 손가락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240)의 종단부(243)는 탈부착수단(260)에 의해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탈부착수단(260)은 벨크로(261), 자석(263), 체결고리(265), 똑딱이(26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수단(26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클립부(250)는 마이크 본체부(210)의 타측면, 예컨대 마이크 본체부(210)의 배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옷이나 소매에 마이크 본체부(210)를 체결 및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 본체부(210)에 두 개의 클립(251, 252)을 한 쌍으로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클립을 한 개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에서 홀더부를 마이크 본체부에 벨크로를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수단(260)으로 벨크로(261)를 이용하여 홀더부(240)를 마이크 본체부(210)에 탈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과 홀더부(240)의 종단부(243)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암,수 벨크로(261)를 구비하여, 암,수 벨크로(261)의 벨크로 결합을 통해 홀더부(240)의 종단부(243)를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탈부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에서 홀더부를 마이크 본체부에 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수단(260)으로 자석(263)을 이용하여 홀더부(240)를 마이크 본체부(210)에 탈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과 홀더부(240)의 종단부(243)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상이한 극성을 가지는 자석(263)을 각각 구비하여, 자석(263)의 자성 인력을 통해 홀더부(240)의 종단부(243)를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탈부착할 수 있다. 혹은,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 및 홀더부(240)의 종단부(243) 중 어느 하나에만 자석(263)이 구비되고,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 및 홀더부(240)의 종단부(243) 중 다른 하나를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에서 홀더부를 마이크 본체부에 체결고리를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수단(260)으로 체결고리(265)를 이용하여 홀더부(240)를 마이크 본체부(210)에 탈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고리(265)를 설치하여, 체결고리(265)를 홀더부(240)의 종단부(243)에 형성된 체결홀(245)에 삽입한 후 회전시킴으로써 홀더부(240)의 종단부(243)를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탈부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에서 홀더부를 마이크 본체부에 똑딱이를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수단(260)으로 똑딱이(267)를 이용하여 홀더부(240)를 마이크 본체부(210)에 탈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과 홀더부(240)의 종단부(243)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암,수 똑딱이(267)를 구비하여, 암,수 똑딱이(267)의 똑딱이 결합을 통해 홀더부(240)의 종단부(243)를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10)은, 휴대폰 등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단자(300)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음향이 수신되면 연결단자(300)를 통하여 음향신호가 이어폰 유닛(100)을 통해 사용자의 귀로 출력되고, 마이크 유닛(2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 유닛(200)은 클립부(2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옷이나 소매 등에 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클립부(250)을 통해 체결 외에도 마이크 유닛(200)에 마련된 홀더부(240)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하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10)의 마이크 유닛(200)은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과 사이에 손가락(1)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홀더띠 형태의 홀더부(240)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홀더부(240)가 이루는 공간(240a)에 손가락(1)을 넣어 마이크 본체부(210)를 손가락(1)에 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송화버튼부(230)를 손가락(1)으로 누르기도 용이하다. 또한, 유연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홀더띠 형태의 홀더부(240)를 손가락(1)에 밀착되게 굽힘 변형시킴으로써 마이크 본체부(210)를 손가락(1)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마이크 유닛(200)을 손바닥에 소지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더 이상 클립부(250)를 이용하여 마이크 유닛(200)을 사용자의 옷이나 소매 등에 착탈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경호 등 기타 업무를 수행시 홀더띠 형태의 홀더부(240)가 손가락(1)을 감싸서 마이크 유닛(200)을 손바닥 면에 항상 위치시킴으로써 업무수행 중 불필요한 추가 동작 없이 필요할 때 즉시 송신을 할 수 있으며, 송신 후 마이크 유닛(200)을 체결하기 위해 시선을 빼앗기는 것을 예방하여 업무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업무 수행 중 마이크 유닛(2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과정이 자연스럽고, 마이크 유닛(200)을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송신 중에도 필요 시 신속하게 손(3)을 활용할 수 있어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201)은, 마이크 본체부(210), 송화부(220), 송화버튼부(230), 홀더부(240) 및 클립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 본체부(210), 송화부(220), 송화버튼부(230) 및 클립부(250)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홀더부(2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홀더부(240)는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만곡 형성되고, 손가락(1)을 넣어 마이크 본체부(210)를 손가락(1)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240b)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240)는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만곡부를 형성하고 만곡부에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1)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체결구(240b)를 형성하여 구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부(240)는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구(240b)를 형성하여 손가락(1)을 수평 체결구(240b)에 좌우방향으로 넣어 마이크 본체부(210)를 손가락(1)에 체결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홀더부(240)는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구를 형성하여 손가락을 수직 체결구에 상하방향으로 넣어 마이크 본체부(210)를 손가락(1)에 체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체결하여 착용하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마이크 유닛(201)은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만곡되게 형성되는 홀더부(240)에 체결구(240b)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홀더부(240)의 체결구(240b)에 손가락(1)을 넣어 마이크 본체부(210)를 손가락(1)에 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송화버튼부(230)를 손가락(1)으로 누르기도 용이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
100: 이어폰 유닛 200, 201: 마이크 유닛
210: 마이크 본체부 220: 송화부
230: 송화버튼부 240: 홀더부
250: 클리부 260: 탈부착수단
261: 벨크로 263: 자석
265: 체결고리 267: 똑딱이
300: 연결단자

Claims (12)

  1. 무선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며, 이어폰 유닛(100) 및 마이크 유닛(200)을 포함하여 음성을 송수신하는 이어마이크폰(10)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유닛(200)은,
    마이크 본체부(210);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송화부(220);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송화부(220)를 작동시키는 송화버튼부(230); 및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를 사용자의 손가락(1)에 고정시키는 홀더부(240)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부(240)는,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과 사이에 상기 손가락(1)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240a)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홀더띠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홀더부(240)는, 상기 송화버튼부(230)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홀더부(240)는,
    상기 송화버튼부(230)를 덮는 부분에 버튼 구멍(241)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 구멍(241)을 통해 상기 송화버튼부(230)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1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240)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240)의 종단부(243)는 탈부착수단(260)에 의해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260)은,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과 상기 홀더부(240)의 종단부(243)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암,수 벨크로(261)를 포함하되,
    상기 암,수 벨크로(261)의 벨크로 결합에 의해 상기 홀더부(240)의 종단부(243)가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10).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260)은,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과 상기 홀더부(240)의 종단부(243)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자석(263)을 포함하되,
    상기 자석(263)의 자성 인력에 의해 상기 홀더부(240)의 종단부(243)가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10).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260)은,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고리(265)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고리(265)를 상기 홀더부(240)의 종단부(243)에 형성된 체결홀(245)에 삽입한 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홀더부(240)의 종단부(243)가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10).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260)은,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과 상기 홀더부(240)의 종단부(243)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암,수 똑딱이(267)를 포함하되,
    상기 암,수 똑딱이(267)의 똑딱이 결합에 의해 상기 홀더부(240)의 종단부(243)가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1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240)는,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일측면에 만곡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1)을 넣어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를 상기 손가락(1)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240b)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10).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폰(10)은,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 본체부(210)를 사용자의 옷이나 소매에 체결하는 클립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10).
KR1020130053476A 2013-05-11 2013-05-11 이어마이크폰 Expired - Fee Related KR101436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476A KR101436939B1 (ko) 2013-05-11 2013-05-11 이어마이크폰
PCT/KR2014/004243 WO2014185678A1 (ko) 2013-05-11 2014-05-12 이어마이크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476A KR101436939B1 (ko) 2013-05-11 2013-05-11 이어마이크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939B1 true KR101436939B1 (ko) 2014-09-02

Family

ID=5175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4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6939B1 (ko) 2013-05-11 2013-05-11 이어마이크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6939B1 (ko)
WO (1) WO20141856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963A1 (en) * 2015-11-13 2017-05-18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Cord management and clip system for wireless audio recei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463Y1 (ko) 2000-01-24 2000-08-16 김원구 걸이형 클립 겸용 이어마이크폰
KR200271576Y1 (ko) * 2001-12-08 2002-04-12 이성식 무전기의 핸드 마이크용 착탈식 클립 구조
KR200335701Y1 (ko) * 2003-09-09 2003-12-11 박창수 반지형 마이크
KR200464283Y1 (ko) * 2012-09-19 2012-12-21 최민석 휴대폰 케이스용 손가락 거치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463Y1 (ko) 2000-01-24 2000-08-16 김원구 걸이형 클립 겸용 이어마이크폰
KR200271576Y1 (ko) * 2001-12-08 2002-04-12 이성식 무전기의 핸드 마이크용 착탈식 클립 구조
KR200335701Y1 (ko) * 2003-09-09 2003-12-11 박창수 반지형 마이크
KR200464283Y1 (ko) * 2012-09-19 2012-12-21 최민석 휴대폰 케이스용 손가락 거치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963A1 (en) * 2015-11-13 2017-05-18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Cord management and clip system for wireless audio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5678A1 (ko)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02037A (zh) Sports musicom头戴送受话器
US20080196210A1 (en) Bluetooth earphone and lanyard structure thereof
RU2008117393A (ru) Шейный ремень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H0879349A (ja) 携帯可能な手放し型コードレス電話
WO2005096599A1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US20140220893A1 (en) Bluetooth receiving device with decorative function
KR101436939B1 (ko) 이어마이크폰
EP2367364A1 (en) Wireless audio headset with an ear-piece
US20080305840A1 (en) Clip for wireless devices
CN101095369A (zh) 带有耳机功能的腕表
EP2785073A1 (en) Bluetooth listening device with decorative function
KR101910101B1 (ko)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0233047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20020024908A (ko) 마이크/이어폰 겸용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WO2015196383A1 (zh) 一种终端设备
US20240415245A1 (en) Fixture for electronic device
JP2020024569A (ja) リストバンド
KR200262794Y1 (ko) 유선 이어폰 고정 장치
JP3098360U (ja) 携帯電話用ハンズフリーストラップ
JP2002177040A (ja) 携帯物品用ストラップの取付具、携帯物品用ストラップ並びに携帯電話
JP2002360331A (ja) 携帯電話機用ストラップ
KR200427409Y1 (ko)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KR200245027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세트
KR200388424Y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기기의 목걸이
KR200363213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