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6645B1 -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645B1
KR101436645B1 KR1020087021446A KR20087021446A KR101436645B1 KR 101436645 B1 KR101436645 B1 KR 101436645B1 KR 1020087021446 A KR1020087021446 A KR 1020087021446A KR 20087021446 A KR20087021446 A KR 20087021446A KR 101436645 B1 KR101436645 B1 KR 101436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ea extract
polymer catechins
catechins
synthetic adsorb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217A (ko
Inventor
에이조 마루야마
유키테루 스기야마
겐이치 시카타
게이지 시바타
히데아키 우에오카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5635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442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029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428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309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242891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64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23F3/205Using flocculating or adsorbing ag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이 높고, 카페인 함량이 낮고, 정미나 색조가 개선된 차 추출물의 제조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 합성 흡착제에 유기 용매 수용액 또는 염기성 수용액을 접촉시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용출시키고, 이어서 용출액을 유기 용매 수용액 중에서 활성탄과 접촉시키는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ODUCING PURIFIED TEA EXTRACT}
본 발명은 차 추출물의 정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테킨의 효과로는 α-아밀라아제 활성 저해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생리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대량의 카테킨을 섭취하기 위하여, 음료에 카테킨을 고농도로 배합하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이 방법의 하나로서, 녹차 추출물의 농축물 등의 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카테킨을 음료에 용해 상태에서 첨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카테킨을 고농도로 배합하는 대상이 되는 음료의 종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차계 음료, 탄산 음료 등의 비(非)차계 음료 등에 카테킨을 첨가하는 경우 등, 카페인 및 녹차 유래의 쓰고 떫은 맛의 잔존이나 착색이 음료의 상품 가치를 크게 저해하는 것을 알고 있었다.
차 추출물로부터, 카페인 등 협잡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흡착법 (특허 문헌 2 ∼ 4), 추출법 (특허 문헌 5 ∼ 6)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차 추출물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함유율을 높일 경우, 유기 용매의 사용이 필요하지만, 공업적 측면에서 볼 경우, 회수율이 낮다는 과제가 있었다.
차 추출물의 색조를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차 추출액에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존재 하에 활성탄을 작용시켜, 착색 성분 등을 활성탄에 흡착시키고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항균 탈취제 (특허 문헌 7) 가 알려져 있지만, 음료용의 카테킨 제제에 사용하기는 곤란했다.
카테킨 중에서,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비(非)갈레이트체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녹차 추출물의 풍미가 개선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8 참조). 또, 특허 문헌 9 에 보이는, 갈레이트체 카테킨에 탄나아제 처리하고, 일부 또는 전부를 갈산으로 함으로써, 카테킨류와 갈산의 혼합물을 얻는 방법에 의하면, 쓴맛의 원인이 되는 갈레이트체 카테킨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탄나아제 처리를 함으로써 비갈레이트체 비율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효소 (탄나아제) 의 잔류나 갈레이트체의 가수 분해에 의한 갈산의 생성에 의해, 얻어진 차 추출물의 풍미는 충분하지 않았다.
갈레이트체 비율이 높은 차 추출물의 효율적인 제조 기술은 알려져 있지만 (특허 문헌 10 참조), 비갈레이트체 비율이 높은 것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또, 차 추출액을 합성 흡착제로 처리하고, 미흡착부를 채취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지만 (특허 문헌 11 참조), 차 풍미 등이 남고, 또한 쓴맛이 강하기 때문에 음료 등의 용도로는 불충분했다.
또, 녹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를 충전한 칼럼에 통액하여 흡착시키고, 2 종의 농도가 상이한 에탄올 수용액으로 탈착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지만 (특허 문헌 12 참조), 이것은 처리 전후에서의 카테킨 조성을 유지하면서 카페인이나 불순물을 제거 정제하는 기술로서, 비갈레이트체 비율에서 유래하는 풍미 개선 효과는 작았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33928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53910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09178호
특허 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35911호
특허 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89447호
특허 문헌 6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219384호
특허 문헌 7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99887호
특허 문헌 8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21105호
특허 문헌 9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22719호
특허 문헌 10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6645호
특허 문헌 1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70871호
특허 문헌 1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8580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키고, 이어서 합성 흡착제에 염기성 수용액 또는 유기 용매 수용액을 접촉시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용출시키고, 이어서 용출액을 유기 용매 수용액 중에서 활성탄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법 (1) 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키고, 이어서 합성 흡착제에 염기성 수용액 또는 유기 용매 수용액을 접촉시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용출시키고, 용출액의 pH 를 7 이하로 조정하고, 농축하며, 이어서 석출 현탁물을 고액 분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법 (2) 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에, 합성 흡착제에 세정액을 접촉시키고, 다음으로 합성 흡착제인 유기 용매 수용액 또는 염기성 수용액을 접촉시켜서, 비중합체 카테킨류로서 비갈레이트체 비율이 55 ∼ 100% 이고,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0.15 이하인 차 추출물을 분획하는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3) 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 추출물을 가수 분해하고, 이어서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에, 합성 흡착제에 염기성 수용액 또는 유기 용매 수용액을 접촉시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용출시키는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4) 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25 ∼ 95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레이트체 비율이 0 ∼ 70 중량%, 갈산과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1 이고, 카페인과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15 인 정제 차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25 ∼ 95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레이트체 비율이 0 ∼ 70 중량%, 갈산과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1, 카페인과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2,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농도가 1 중량% 인 수용액으로 했을 때의 450㎚ 에서의 색조가 0 ∼ 0.8 인 정제 차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가 45 ∼ 90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레이트체 비율이 0.001 ∼ 47 중량%, 갈산량/비중합체 카테킨류 (중량비) 가 0.3 이하인 정제 차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1) ∼ (4) 의 제조법으로부터 얻어진 정제 차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 ∼ (4) 의 제조법으로부터 얻어진 정제 차 추출물을 배합한 용기 들이 차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이 높고, 카페인 함량이 낮고, 정미 (呈味) 나 색조가 양호한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이 정제 차 추출물에 의해 안정성이 좋은 음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에, 유기 용매 수용액 또는 염기성 수용액으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선택적으로 용출시킴으로써,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고수율로 회수할 수 있고, 카페인 함량을 저감시켜, 정미나 색조를 개선시킨 정제물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에 의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이 높고, 카페인 함량이 낮고, 정미나 색조가 개선된 정제 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정제 차 추출물에 의해 안정성이 좋은 음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중합체 카테킨류란, 카테킨, 갈로카테킨, 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의 비에피체 카테킨 및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의 에피체 카테킨을 아우른 총칭이다.
본 발명에서 비중합체 카테킨비갈레이트체란, 카테킨, 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을 아우른 총칭이다.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비갈레이트체 비율이란, 상기 비중합체 카테킨 비갈레이트체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총량에 대한 중량 비율이다.
본 발명에서 비중합체 카테킨갈로체란, 갈로카테킨, 갈로카테킨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을 아우른 총칭이다.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로체율이란, 상기 비중합체 카테킨갈로체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총량에 대한 중량 비율이다.
본 발명에서 비중합체 카테킨에피체란,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을 아우른 총칭이다.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에피체율이란, 상기 비중합체 카테킨에피체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총량에 대한 중량 비율이다.
본 발명에서 비중합체 카테킨갈레이트체란, 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카테킨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을 아우른 총칭이다.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레이트체 비율이란, 상기 비중합체 카테킨갈레이트체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총량에 대한 중량 비율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차 추출물로는, 차잎으로부터 얻어진 추출액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카페인 함유 식물 유래, 예를 들어 커피 등의 카페인 함유 추출물과 차 추출액의 혼합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차잎으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Camellia 속, 예를 들어 C. sinensis, C. assamica 및 야부키타종 또는 그의 잡종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차잎으로부터 제차 (製茶) 된 차잎을 들 수 있다. 제차된 차잎에는, 전차(煎茶), 번차(番茶), 옥로(玉露), 첨차(甛茶), 부초차 등의 녹차류, 우롱차로 대표되는 반(半)발효차, 홍차로 대표되는 발효차가 있다. 또,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 접촉 처리를 실시한 차잎을 사용해도 된다.
차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교반 추출, 드립 추출 등 종래의 방법에 의해 실시한다. 또 추출시의 물에 미리 아스코르브산나트륨 등의 유기산 또는 유기산염류를 첨가해도 된다. 또 자비(煮沸) 탈기나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환기하여 용존 산소를 제거하면서, 이른바 비산화적 분위기 하에서 추출하는 방법도 병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액은, 그대로 건조, 농축해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차 추출물의 형태로는, 액체, 슬러리, 반고체, 고체 상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차 추출물에는, 차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을 사용하는 대신에, 차 추출물의 농축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희석하여 사용해도, 차잎으로부터의 추출액과 차 추출물의 농축물을 병용해도 된다.
여기서, 차 추출물의 농축물이란, 차잎으로부터 열수 또는 유기 용매 수용액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21938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05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609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06279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조제한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차 추출물로서 시판되는 도쿄 후드 테크노 (주) 제조 「폴리페논」, 이토엔 (주) 제조 「테아후란」, 타이요 화학 (주) 제 「산페논」등의 조(粗)카테킨 제제를 고체의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정제 처리에 사용하는 차 추출물은, 쓴맛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가수 분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가수 분해 처리에 의해,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레이트체 비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 중에서, 제조법 (4) 의 경우에는 당해 가수 분해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수 분해에 의한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갈레이트체의 농도 감소는, 정미 개선인 면에서 5 중량% 이상, 더욱 7 중량% 이상, 특히 1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가수 분해의 방법은, 효소류에 의한 처리, 산 처리, 알칼리 처리 등에 의해 실시된다. 효소류로는, 탄나아제 활성을 갖는 효소, 균체 또는 배양액, 산으로는, 염산, 황산, 인산, 알칼리로는 가성 소다 등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반응 제어면에서 효소류에서의 가수 분해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나아제 활성을 갖는 것이란, 타닌을 분해하는 활성을 갖는 것을 의미하고, 본 활성을 가지면 임의의 효소, 균체, 배양액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나아제 활성을 갖는 효소로서 시판품으로는, 펙티나아제 PL 아마노 (아마노 엔자임 (주) 제조), 헤미셀룰라아제 아마노 90 (아마노 엔자임 (주) 제조), 탄나아제 KTFH (키코망 (주)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나아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스페르길루스속, 페니실리움속, 리조프스속 탄나아제 생산균을 배양하여 얻어지는 탄나아제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아스페르길루스오리제 유래의 것이 바람직하다.
탄나아제 활성을 갖는 균체란, 탄나아제 활성을 갖는 효소를 산생할 수 있는 균체로서 누룩곰팡이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스페르길루스속, 페니실리움속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 아스페르길루스오리제가 바람직하다.
탄나아제 활성을 갖는 배양액이란, 아스페르길루스속, 페니실리움속, 리조프스속의 탄나아제 생산원을 배양하여 얻어지는 배양액이다. 바람직하게는, 타닌산을 유일한 탄소원으로서 배양하여 얻어지는 배양액을 들 수 있고, 정제품이거나 미정제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풍미 열화의 억제 및 생산성면에서 가수 분해를 최대한 단시간에 종료할 때는, 효소 또는 배양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탄나아제 활성을 갖는 효소 또는 배양액은, 500 ∼ 100,000U/g 의 효소 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U/g 이하이면 공업적으로 한정된 시간 내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효소가 필요하고, 100,000U/g 이상이면 효소 반응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반응계를 제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여기서 1 Unit 은 30℃ 의 수중에 있어서 타닌산에 함유되는 에스테르 결합을 1 마이크로몰 가수 분해하는 효소량을 나타낸다.
탄나아제 활성을 갖는 효소 및 배양액에 의한 처리를 실시할 때의 비중합체 카테킨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 2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10 중량%,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 이다. 0.1 중량% 미만에서는 이 후의 합성 흡착제에 대한 흡착시에 흡착량이 저하되고, 22 중량% 를 초과하면, 가수 분해 처리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생산성 및 차 추출물의 맛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정미를 개선한 비중합체 카테킨갈레이트체 비율을 얻기 위해, 차 추출물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에 대해 효소 또는 배양액을 0.01 ∼ 10 중량% 의 범위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소 실활의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가수 분해 처리를 공업적으로 최적한 효소 반응 시간인 2 시간 이내에 종료시키기 위해서는, 효소 또는 배양액 농도가 0.01 ∼ 7 중량%, 더욱 0.03 ∼ 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녹차 추출물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에 대하여 탄나아제 활성을 갖는 효소 또는 배양액을 바람직하게는 1 ∼ 300Unit/g - 비중합체 카테킨,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200Unit/g - 비중합체 카테킨,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150Unit/g - 비중합체 카테킨이 되도록 첨가한다.
효소 또는 배양액에 의한 처리의 온도는, 최적한 효소 활성이 얻어지는 0 ∼ 70℃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50℃이다.
효소 또는 배양액에서의 가수 분해 반응을 종료시키는 데는, 효소 활성을 실활시킬 필요가 있다. 효소 실활은 가열함으로써 달성된다. 효소 실활 온도는 70 ∼ 100℃ 가 바람직하고, 70℃ 미만에서는 효소를 단시간에 충분히 실활시키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가수 분해 반응이 진행되고, 비중합체 카테킨갈레이트체 비율의 범위 내에서 효소 반응을 정지할 수 없다. 또, 실활 온도에 도달하고 나서의 유지 시간이 10 초 정도 이하이면 효소 활성을 충분히 실활시키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효소 반응이 진행되고, 또 20 분 이상의 유지 시간에서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에피머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효소 반응의 실활 방법은, 배치식 혹은 플레이트형 열교환기와 같은 연속식으로서 가열을 실시하는 것으로 정지할 수 있다. 또, 탄나아제 처리의 실활 종료 후, 원심 분리 등의 조작에 의해 차 추출물을 청정화할 수 있다.
균체로서 예를 들어 누룩곰팡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중합체 카테킨의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0.1 ∼ 2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15 중량% 인 차 추출물에 누룩곰팡이를 넣어 가수 분해 처리를 실시한다. 누룩곰팡이는 그 종류 등에 의해 대폭 상이하지만, 차 추출물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5 중량% ∼ 10 중량% 의 범위 내, 특히 1.0 중량% ∼ 5 중량% 의 범위 내에서 첨가된다. 온도 조건으로는, 45℃ ∼ 70℃, 더욱 50 ∼ 60℃ 가 바람직하다. 발효 시간은 통상적으로 12 시간 ∼ 20 일간, 더욱 1 일 ∼ 10 일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룩곰팡이의 효소 활성의 실활은, 효소 또는 배양액에서의 가수 분해 반응을 종료시킬 때와 동일하다.
합성 흡착제로는, 일반적으로 불용성의 삼차원 가교 구조 폴리머로서 이온 교환기와 같은 관능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이온 교환능이 1meq/g 미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합성 흡착제의 모체가 스티렌계, 메타크릴계, 아크릴계, 폴리비닐계가 바람직하고, 특히 스티렌계가 카테킨과 카페인의 분리성면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합성 흡착제로는, 그 모체가 스티렌계, 예를 들어 앰버라이트 XAD4, XAD16HP, XAD1180, XAD2000, (공급원 : 미국 롬앤하스사), 다이야 이온 HP20, HP21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세파비즈 SP850, SP825, SP700, SP70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VPOC1062 (Bayer 사 제조) : 브롬 원자를 핵 치환하여 흡착력을 강하게 한 수식 스티렌계, 예를 들어 세파비즈 SP205, SP206, SP207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 메타크릴계, 예를 들어 다이야 이온 HP1MG, HP2MG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 페놀계, 예를 들어 앰버라이트 XAD761 (롬앤하스사 제조) ; 아크릴계, 예를 들어 앰버라이트 XAD7HP (롬앤하스사 제조) ; 폴리비닐계, 예를 들어 TOYOPEARL, HW-40C (토소 (주) 제조) ; 덱스트란계, 예를 들어 SEPHADEX, LH-20 (파루마시아 (주)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수단으로는, 차 추출물 및 그 수용액 에 합성 흡착제를 첨가, 교반, 흡착 후, 여과 조작에 의해 합성 흡착제를 회수하는 배치 방법 또는 합성 흡착제를 충전한 칼럼을 사용하여 연속 처리에 의해 흡착 처리하는 칼럼 방법이 채용되지만, 생산성면에서 칼럼에 의한 연속 처리 방법이 바람직하다.
합성 흡착제가 충전된 칼럼은, 미리 SV (공간 속도) = 0.5 ∼ 10 [h-1], 합성 흡착제에 대한 통액 배수로서 2 ∼ 10 [v/v] 의 통액 조건에서 95vol% 에탄올 수용액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고, 합성 흡착제의 원료 모노머나 원료 모노머 중의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후 SV = 0.5 ∼ 10 [h-1], 합성 흡착제에 대한 통액 배수로서 1 ∼ 60 [v/v] 의 통액 조건에 의해 수세하고, 에탄올을 제거하여 합성 흡착제의 함유액을 수계로 치환하는 방법에 의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흡착능이 향상된다.
칼럼에 차 추출물을 통액할 때의 조건으로는,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경우에 차 추출물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 2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10 중량%,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 가 합성 흡착제에 대한 흡착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를 충전한 칼럼에 통액하는 조건으로는, SV (공간 속도) = 0.5 ∼ 10 [h-1] 의 통액 속도로, 합성 흡착제에 대한 통액 배수로서 0.5 ∼ 20 [v/v] 로 통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h-1] 이상의 통액 속도로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흡착이 불충분하거나 20 [v/v] 이상의 통액량이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흡착이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차 추출액을 흡착 후, 합성 흡착제는, 물 또는 유기 용매 수용액으로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중에서, 제조법 (3) 의 경우에는, 당해 세정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합성 흡착제의 세정에 사용하는 수용액으로는, 카테킨의 회수율면에서 pH 7 이하의 물이 바람직하고, 유기 용매와의 혼합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로는,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등을 들 수 있고, 식품에 대한 사용의 관점에서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함유하는 유기 용매의 농도는 0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5 중량% 가 카테킨의 회수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이 세정 공정에 있어서는, SV (공간 속도) = 0.5 ∼ 10 [h-1] 의 통액 속도로, 합성 흡착제에 대한 통액 배수로서 1 ∼ 10 [v/v] 로, 합성 흡착제에 부착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V = 0.5 ∼ 5 [h-1] 의 통액 속도로, 통액 배수로서 1 ∼ 5 [v/v] 로 세정하는 것이 협잡물의 제거 효과 및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용출액으로서 유기 용매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a) 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용출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는, 수용성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고,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등을 들 수 있고, 식품에 대한 사용의 관점에서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 용매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수율이 큰 점, 및 불순물량이 적어지는 등의 점에서, 수용액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 용매 농도로는, 1 ∼ 80 중량% 수용액, 더욱 4 ∼ 60 중량% 수용액, 특히 10 ∼ 40 중량% 수용액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V (공간 속도) = 0.5 ∼ 5 [h-1] 의 통액 속도로, 합성 흡착제에 대한 통액 배수로서 1 ∼ 15 [v/v] 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V = 1 ∼ 3 [h-1] 의 통액 속도로, 통액 배수로서 2 ∼ 10 [v/v] 로 용출하는 것이 생산성 및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면에서 바람직하다.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용출에 사용하는 용출액으로서 유기 용매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정의 간략화 및 정제 비용면에서 바람직하다.
용출액으로서 염기성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b),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용출에 사용하는 염기성 수용액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등의 알칼리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칼륨계의 알칼리성 수용액,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탄산나트륨 수용액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알칼리성 수용액의 pH 는 7 ∼ 14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비중합체 카테킨류 회수율면에서 9 ∼ 13.8, 특히 10 ∼ 13.5 가 바람직하다. pH 7 ∼ 14 의 나트륨계 수용액으로는, 4% 이하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N-탄산나트륨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수용액과 유기 용매는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유기 용매의 농도로는, 카페인과 카테킨의 분리성면에서 0 ∼ 90 중량%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 ∼ 5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 ∼ 20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용출 공정에 있어서는, 용출에 사용하는 염기성 수용액으로서 서로 pH 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염기성 수용액을 사용하고, 이들 염기성 수용액을 pH 가 낮은 순서로 합성 흡착제에 접촉시킬 수 있다. 각각의 pH 구분에서 상이한 비중합체 카테킨류나 다른 성분을 탈착할 수 있다.
SV (공간 속도) = 2 ∼ 10 [h-1] 의 통액 속도로, 합성 흡착제에 대한 통액 배수로서 1 ∼ 30 [v/v] 으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V = 3 ∼ 7 [h-1] 의 통액 속도로, 통액 배수로서 3 ∼ 15 [v/v] 로 용출하는 것이 생산성 및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면에서 바람직하다.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용출에 사용하는 용출액으로서 염기성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제 차 추출물의 색조, 활성탄 처리에서의 회수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염기성 수용액으로 용출한 경우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용출액은, 염기성이며,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용출액의 pH 를 7 이하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를 1 ∼ 6,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4 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산에 의한 중화, 전기 투석 에 의한 알칼리 금속 이온의 제거, 또는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알칼리 금속 이온의 제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온 교환 수지로는 특히 H 형의 카티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스의 간편성으로부터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pH 조정이 바람직하다. 카티온 교환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앰버라이트 200CT, IR120B, IR124, IR118, 다이야 이온 SK1B, SK1BH, SK102, PK208, PK21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염기성 수용액으로 용출한 경우에는, 중화 후의 용출액을 농축하고 석출된 협잡물을 고액 분리 제거하는 것이 정미 및 제품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농축은 감압 증류, 박막 증류, 막 농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농축 배율로는, 정미 및 석출한 협잡물의 분리성면에서 2 ∼ 500 배, 더욱 2 ∼ 250 배, 특히 2 ∼ 125 배가 바람직하다. 농축 후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농도는, 정미 및 석출한 협잡물의 분리성면에서 0.1 ∼ 60 중량%, 더욱 0.2 ∼ 30 중량%, 특히 0.5 ∼ 15 중량% 가 바람직하다. 고액 분리의 구체적인 조작으로는, 여과 및/또는 원심 분리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추출물 수용액을 고액 분리하여 얻어지는 수용성 부분인 차 추출물 수용액의 탁도는, 0.1 ∼ 100NTU,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70NTU,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0NTU 이고, 음료의 정미 및 안정성면에서 바람직하다. 탁도는 2100P 형 (하쿠사 제조) 로 측정하고, 여기서 얻어진 값 [단위 : NTU] 으로, 분리 청등성의 지표로 할 수 있다.
고액 분리의 방법은 식품 공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액 분리를 막 여과로 실시하는 경우의 막 여과 조건으로는, 온도가 5 ∼ 70℃, 더욱 10 ∼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 구멍 직경은, 소정의 탁도가 된다는 점에서, 0.1 ∼ 10㎛ 가 바람직하고, 더욱 0.1 ∼ 5㎛, 특히 0.1 ∼ 2㎛ 인 것이 여과에 필요로 하는 시간 및 탁한 성분의 분리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막 구멍 직경의 측정 방법은, 수은 압입법, 버블 포인트 시험, 세균 여과법 등을 사용한 일반적인 측정 방법을 들 수 있지만, 버블 포인트 시험에서 구한 수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 여과에서 사용하는 막의 재질은, 고분자막, 세라믹막, 스테인리스막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 원심 분리기는 분리판형, 원통형, 데칸터형 등의 일반적인 기기가 바람직하다. 원심 분리 조건으로는, 온도가 5 ∼ 70℃, 더욱 10 ∼ 4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회전수와 시간은 소정의 탁도가 되도록 조정된 조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분리판형의 경우, 3000 ∼ 10000r/min, 더욱 5000 ∼ 10000r/min, 특히 6000 ∼ 10000r/min 로, 0.2 ∼ 30 분, 더욱 0.2 ∼ 20 분, 특히 0.2 ∼ 15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출액 (상기 (a) 및 (b) 의 모두를 함유한다) 은, 유기 용매 수용액 중에서 활성탄과 접촉시키는 것이, 차 추출물의 색조를 개선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활성탄의 원료로는, 야자 껍대기, 목질, 석탄을 들 수 있는데, 목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탄의 부활 (賦活) 방법으로는, 수증기 부활법, 가스 부활법, 약품 부활법을 들 수 있는데, 약품 부활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ZN-50, Y-10S, GS-1, GS-B (아지노모토 파인 테크노 제조), 쿠라레콜 GLC, 쿠라레콜 PK-D, 쿠라레콜 PW-D, 쿠라레콜 GW, 쿠라레콜 GA, 쿠라레콜 GA-D, 쿠라레콜 RP-15 (쿠라레 케미컬 (주) 제조), 시라사기 AW50, 시라사기 A, 시라사기 P, 시라사기 KL, 시라사기 M, 시라사기 C, 카르보라핀, WH2C (일본 엔바이로 케미컬즈 제조), GM130A, CW130A, CW130AR, CW350AR, GL130A, SG, SGA, SGP (후타무라 화학 제조), 야자콜, MAS 인, 매봉인, 매봉 F 인 (타이헤이 화학 산업 제조), CPG, CAL, S80A (미츠비시 화학 카르곤 제조)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제품의 색조를 개선하는 점, 활성탄의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점, 회수율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활성탄으로서는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세공경은 0.5 ∼ 10㎚ (나노미터), 더욱, 1.0 ∼ 9.0㎚ (나노미터), 특히 2.0 ∼ 8.0㎚ (나노미터) 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공 용적은 0.01 ∼ 2.5㎖/g, 더욱 0.1 ∼ 2.0㎖/g, 특히 0.5 ∼ 1.7㎖/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비표면적은 800 ∼ 2 000㎡/g, 더욱 900 ∼ 1600㎡/g, 특히 1000 ∼ 1500㎡/g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다. 또한, 이들 물성값은 질소 흡착법에 기초하는 값이다.
활성탄은 용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100 질량부에 대해 1 ∼ 200 질량부, 더욱 5 ∼ 100 질량부, 특히 10 ∼ 80 질량부 첨가하는 것이, 정제 효과, 회수율을 향상시키는 점, 여과 공정에 있어서의 케이크 저항이 작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활성탄과 접촉시킬 때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는, 수용성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여,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식품에 대한 사용의 관점에서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 용매는 얻어지는 제품의 색조가 양호하다,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수율이 크고 불순물량이 적은 등의 점에서 수용액으로서 사용할 필요가 있고, 유기 용매 농도로는 1 ∼ 80 중량% 수용액, 더욱 2 ∼ 70 중량% 수용액, 특히 5 ∼ 50 중량% 수용액, 더욱 특히 7 ∼ 40 중량% 수용액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탄과 접촉시킬 때, 유기 용매 수용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농도는 정제 효과, 회수율을 향상하는 점에서, 0.5 ∼ 20 중량%, 더욱 1 ∼ 15 중량%, 특히 2 ∼ 8 중량% 가 바람직하다.
활성탄과 접촉시킬 때, 합성 흡착제로부터의 용출액은, 물이나 유기 용매 수용액의 첨가, 감압 농축, 막 농축, 탈용매 등에 의해, 용매 농도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탄과 접촉시키는 수단으로는, 용출액에 활성탄을 첨가, 교반하여 흡착 후, 여과 조작에 의해 활성탄을 회수하는 교반조 방법 또는 활성탄을 충전한 칼럼을 사용하여 연속 처리에 의해 접촉시키는 칼럼 방법이 채용되지만, 생산성면에서 칼럼 방법에 의한 연속 처리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정제 차 추출물은, 그 고형분 중에,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25 ∼ 95 중량% 함유하지만, 40 ∼ 95 중량%, 더욱 50 ∼ 90 중량%, 특히 60 ∼ 85 중량% 함유하는 것이 음료에 대한 배합상 바람직하다. 또, 고형 분 중에,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45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 8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85 중량%,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 83 중량% 함유하는 것이 정미인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정제 차 추출물 중의 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및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갈레이트체의 전체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에서의 비율 (갈레이트체 비율) 은 0 ∼ 70 중량%, 더욱 1 ∼ 60 중량%, 특히 2 ∼ 40 더욱 특히 10 ∼ 35 중량% 인 것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생리 효과의 유효성, 쓴맛 저감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갈레이트체의 전체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에서의 비율 (갈레이트체 비율) 은, 0.001 ∼ 47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43 중량%,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4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35 중량% 인 것이 쓴맛 억제,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정제 차 추출물 중의 카페인 농도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에 대해,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중량비) = 0 ∼ 0.2, 더욱 0 ∼ 0.15, 특히 0 ∼ 0.1, 더욱 0 ∼ 0.05, 더욱 특히 0 ∼ 0.035 인 것이 정미 개선인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카페인 농도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에 대해,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중량비) 가 0.2 이하, 더욱 0.15 이하, 특히 0.1 이하, 더욱 특히 0.05 이하이며, 0 이상, 더욱, 0.0001 이상, 특히, 0.001 이상인 것이 정미 개선인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정제 차 추출물 중의 갈산과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 (중량비) 은 0 ∼ 0.1, 더욱 0 ∼ 0.07, 특히 0 ∼ 0.05 인 것이 정미 개선, 색조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갈산과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 (중량비) 은 0.3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 이하이며, 0이상, 바람직하게는, 0.0001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이상인 것이 정미인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정제 추출물의 색조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농도가 1 중량% 인 수용액으로 했을 때의 450㎚ 에서의 색조 (/cm) 가 0 ∼ 0.8, 더욱 0.01 ∼ 0.75, 특히 0.1 ∼ 0.6, 더욱 특히 0.2 ∼ 0.5 인 것이 음료에 배합했을 때의 색조의 점, 정제 비용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의, 합성 흡착제로부터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용출하는 공정에 있어서, 용출 조작을 컨트롤하는 것에 의해서도,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높고, 카페인 함량이 저감된 정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제조법 (3)).
본 발명의 정제 차 추출물을 얻기 위한 합성 흡착제로부터 용출 분획시키는 조건으로는, 분획된 차 추출물 중의 비갈레이트체 비율은 55 ∼ 100 중량%, 더욱 60 ∼ 99 중량%, 특히 65 ∼ 98 중량%, 더욱 특히 65 ∼ 90 중량% 이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생리 효과의 유효성, 쓴맛 저감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합성 흡착제로부터 용출 분획시키는 조건으로는, 분획된 차 추출물 중의 카페인 농도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에 대해,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 (질량비) = 0.15 이하, 더욱 0 ∼ 0.1, 더욱 0 ∼ 0.08, 더욱 0 ∼ 0.05, 더욱 특히 0 ∼ 0. 035 이면, 정미 개선의 점, 생리 효과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 흡착제로부터 용출 분획시키는 조건으로는, 분획된 차 추출물 중의 갈산과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 (갈산/비중합체 카테킨류) (질량비) 은 0.1 이하, 더욱 0 ∼ 0.07, 특히 0 ∼ 0.05, 더욱 특히 0 ∼ 0.02 이면, 풍미 개선인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합성 흡착제로부터 용출 분획시키는 조건으로는, 분획된 차 추출물의 색조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농도가 1 중량% 인 수용액으로 했을 때의 450㎚ 에서의 색조 (/cm) 가 3 이하, 더욱 0.01 ∼ 2, 특히 0.1 ∼ 1, 더욱 특히 0.2 ∼ 0.5 인 것이 음료에 배합했을 때의 색조의 점, 정제 비용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합성 흡착제로부터 용출 분획시키는 조건으로는, 분획된 차 추출물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성분의 비율은, 흡착 전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성분의 비율을 1 로 하여 비갈레이트체가 1.2 ∼ 10, 갈로체가 1.0 ∼ 1.3, 에피체가 0.8 ∼ 1.0 이면, 정제 차 추출물의 풍미 개선, 생리 효과 및 비용 저감면에서 바람직하다.
합성 흡착제로부터 용출 분획시키는 조건으로는, 분획한 추출물 중의 비갈레이트체 비율은, 흡착 전의 차 추출물의 비갈레이트체 비율을 1 로 하여, 1.3 ∼ 5, 더욱 1.4 ∼ 4, 특히 1.45 ∼ 3, 더욱 특히 1.5 ∼ 2 가 바람직하다. 합성 흡착제로부터 용출 분획시키는 조건으로는, 분획된 차 추출물 중의 갈로체율은, 흡착 전의 추출물의 갈로체율을 1 로 하여 1.01 ∼ 1.28, 더욱 1.02 ∼ 1.26, 특히 1.04 ∼ 1.24, 더욱 특히 1.06 ∼ 1.22 가 바람직하다. 합성 흡착제로부터 용출 분획시키는 조건으로는, 분획된 차 추출물 중의 에피체율은, 흡착 전의 차 추출물의 에피체율을 1 로 하여, 0.82 ∼ 1.0, 더욱 0.86 ∼ 0.99, 특히 0.90 ∼ 0.99, 더욱 특히 0.94 ∼ 0.98 이 바람직하다.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 합성 흡착제에 세정액을 접촉시키고, 다음으로 합성 흡착제에 용출액을 접촉시켜, 분획물 중에 합성 흡착제에 흡착한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10 ∼ 60% 를 분획시킨다.
합성 흡착제에 흡착한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에서, 분획물 중에 용출시키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양 (이것을 비중합체 카테킨류 회수율 [%] 이라고 부른다) 은 용출액의 종류나 농도, 접촉 감량 등의 용출 조건으로 제어할 수 있다. 비중합체 카테킨류 회수율은 10 ∼ 60% 이다. 카테킨의 회수율을 높고, 카페인 함량을 낮고, 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갈레이트체 비율을 높고, 풍미를 개선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 ∼ 55%,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45% 이다.
용출액은 카페인 함량을 낮게, 또한, 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갈레이트체 비율을 높게 하는 점, 풍미를 개선하는 점, 또, 분획물 중에 용출시키는 중합체 카테킨류의 양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한 점에서, 유기 용매 수용액 또는 염기성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 수용액 또는 염기성 수용액으로 용출시키면, 비갈레이트체가 갈레이트체보다 먼저 용출된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정제 차 추출물은 그대로 음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감압 농축, 박막 농축 등의 방법에 의해 용매를 제거해도 된다. 또 정제 차 추출물의 제품 형태로서 분체가 바람직한 경우에는, 분무 건조나 동결 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 분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 차 추출물을 사용한 용기에 담긴 음료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를 0.05 ∼ 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6 ∼ 0.5 중량%, 더욱 0.08 ∼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92 ∼ 0.4 중량%,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0.11 ∼ 0.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2 ∼ 0.3 중량% 로 조정하면, 잡맛이 없고 양호한 풍미의 용기에 담긴 음료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용기에 담긴 음료 중의 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및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총칭 갈레이트체의 전체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에서의 비율이 0 ∼ 70 중량%, 더욱 1 ∼ 60 중량%, 특히 2 ∼ 40 중량%, 더욱 특히 10 ∼ 35 중량% 쪽이, 정미,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생리 효과의 유효성상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음료 중의 갈산 함유량은, 쓴맛, 신맛의 저감 효과, 또한 풍미 및 색조의 보존 안정성면에서 10㎎/100㎖ 미만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음료는 차계 음료 및 비차계 음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비차계 음료로는, 구체적으로는, 감미료 및 후루츠 플레이버를 함유한 산성 음료, 및 스포츠 음료 또는 아이소토닉 음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음료에 사용되는 감미료로는 인공 감미료류, 탄수화물류, 글리세롤류 (예를 들어 글리세린) 가 사용된다.
후르츠 플레이버에는 과즙 및 향료가 함유된다. 일반적인 과즙을 후르츠 쥬스, 향료를 플레이버라고 부르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들을 함유하는 천연 또는 합성 향료나 과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음료를 스포츠 드링크 또는 아이소토닉 음료로 하는 경우에는, 나트륨 이온 및/또는 칼륨 이온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 음료는 산미료(酸味料)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산미료로는,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식용산을 들 수 있다. 산미료는 본 발명 음료의 pH 를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음료는 쓰고 떫은 맛 억제제를 배합하면 음용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쓰고 떫은 맛 억제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바람직하다.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는, α-, β-, γ-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분기 α-, β-, γ-사이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할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음료 중에 0.005 ∼ 0.5 중량%, 더욱 0.01 ∼ 0.3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음료에는, 산화 방지제, 각종 에스테르류, 무기 염류, 색소류, 유화제, 보존료, 조미료, 감미료, 산미료, 검, 유화제, 오일, 비타민, 아미노산, 야채 엑기스류, 꿀 엑기스류, pH 조정제, 품질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단독, 혹은 병용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음료의 pH 는 25℃ 에서 2 ∼ 7, 바람직하게는 2 ∼ 6.5 로 하는 것이 정미 및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안정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음료에 있어서도, 카테킨의 생리 효과를 얻기 위한 하루당의 필요 섭취량을 확보하는 의미로부터도, 본 발명의 용기에 담긴 음료 1 병 (350 ∼ 500㎖) 당 300㎎ 이상, 바람직하게는 4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의 배합량인 것이 좋다.
또 상기의 용기에 담긴 음료는 예를 들어, 금속 캔과 같이 용기에 충전 후, 가열 살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식품 위생법에 정해진 살균 조건으로 제조된다. PET 보틀, 종이 용기와 같이 리토르트 살균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미리 상기와 동등한 살균 조건, 예를 들어 플레이트식 열 교환기 등으로 고온 단시간 살균 후, 일정한 온도까지 냉각하여 용기에 충전하는 등의 방법이 채용된다. 또 무균 하에서, 충전된 용기에 다른 성분을 배합하여 충전해도 된다.
(1) 카테킨류 , 카페인 및 갈산의 측정
시료 용액을 필터 (0.45㎛) 에서 여과하고, 시마즈 제작소 제조,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형식 SCL-10AVP) 를 사용하여, 옥타데실기 도입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용 팩칼럼 L-칼럼 TM ODS (4.6㎜φ×250㎜ : 재단법인 화학 물질 평가 연구 기구 제조) 를 장착하고, 칼럼 온도 35℃ 에서 경사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동상 A 액은 아세트산을 0.1mol/L 함유한 증류 수용액, B 액은 아세트산을 0.1mol/L 함유한 아세토니트릴 용액으로 하고, 시료 주입량은 20μL, UV 검출기 파장은 280㎚ 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2) 차 추출물 정제물의 맛의 평가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정제 차 추출물을 비중합체 카테킨류 함유율이 0.175% [w/v] 가 되도록 탈이온수로 희석하고, 그 40㎖ 를 50㎖ 의 내압제 유리 용기에 넣었다. 그곳에 아스코르브산 Na 를 0.1 중량% 첨가하고, 5% 중탄산 Na 수용액으로 pH 를 6.4 로 조정하고, 질소 치환하여, 오토클레이브에서 121℃, 10 분간 가열 감균하였다. 그 후, 평가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선미(先味)과 후미에 대해 쓴맛 평가를 실시하였다. 쓴맛 평가는 황산퀴닌법으로 실시하였다.
(3) 황산퀴닌법 (등가 농도 시험법) 에 의한 쓴맛 평가
황산퀴닌 2수화물을 표에 기재된 쓴맛 강도에 대응한 농도로 조정하였다. 평가 샘플을 시음한 후, 표준 쓴맛 용액의 어느 샘플과 쓴맛의 강도가 동등한가를 판단하였다. 평가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쓴맛 강도의 확인하였다. (참고 문헌 : 신판 관능 검사 핸드북 일과기연 관능 검사 위원회 p448-449, Perception & Psychophysics, 5, 1696, 347-351)
Figure 112008062298346-pct00001
(4) 색조의 측정
HITACHI 의 분광 광도계 (형식 U-2001형) 를 사용하여, 유리 셀에 샘플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농도가 1 중량% 의 수용액이 되도록 이온 교환수로 희석하여 측정하였다. 분석시의 분광 광도계의 측정 파장은 450㎚ 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1
녹차잎 (케냐산, 대엽종) 3㎏ 에 88℃ 의 열수 45㎏ 을 첨가하고, 60 분간 교반 배치 추출한 후, 100 메시 철망으로 예비 여과 후, 추출액 중의 미세 분말을 제거하기 위해 원심 분리 조작하여, 「녹차 추출액」37.2㎏ (pH 5.4) 을 얻었다 (녹차 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 0.89 중량%, 녹차 추출액의 갈레이트체 비율 = 52.3 중량%, 카페인 0.17 중량%). 이 녹차 추출액을 온도 15℃ 로 유지하고, 탄나아제 (키코망 (주) 제조 탄나아제 KTFH, 500U/g) 를 녹차 추출액에 대해 430 ppm 이 되는 농도로 첨가하고, 55 분간 유지하여, 갈레이트체 비율이 30.5 중량% 가 된 시점에서, 90℃ 로 용액을 가열하고, 2 분간 유지하여 효소를 실활시켜, 반응을 멈추었다 (pH 5.1). 이어서 70℃, 6.7kpa 의 조건 하에서, 감압 농축으로 Brix 농도 20% 까지 농축 처리하고, 추가로 분무 건조하여 분말상의 「탄나아제 처리한 녹차 추출물」 0.9㎏ 을 얻었다. 얻어진 녹차 추출물은 비중합체 카테킨류 함유량 27.8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갈레이트체 비율 30.3 중량%, 카페인 함유량 6.74 중량%, 갈산 3.58 중량% 이었다. 「탄나아제 처리한 녹차 추출물」285g 을 탈이온수 8550g 에 25℃ 에서 30 분간 교반 용해하였다 (탄나아제 처리액).
이어서, 스테인리스 칼럼 1 (내경 110㎜×높이 230㎜, 용적 2185㎖) 에 합성 흡착제 SP-70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을 2209㎖ 충전하였다. 스테인리스 칼럼 2 (내경 38㎜×높이 770㎜, 877.4 용적㎖) 에 이온 교환 수지 SK1BH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를 852㎖ 충전하였다. 미리 양 칼럼 모두 SV = 5 (h-1) 로 95 (v/v) 에탄올을 4 배 용적량 (대 충전 수지) 통액 후, 물을 10 배 용적량 (대 충전 수지) 통액하여 세정하였다. 그 후, 얻어진 탄나아제 처리액 8835g (4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을 SV = 1 (h-1) 으로 칼럼 1 에 통액하여 투과액은 폐기하였다. 이어서 SV = 2 (h-1) 로 2209㎖ (1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의 물로 세정하였다. 수세 후, 0.1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pH 12.4) 을 SV = 5 (h-1) 로 13256㎖ 통액하였다 (6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용출액은 연속해서 칼럼 2 에 통액하고, 탈이온을 실시하여,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 13080g (pH 3.3) 을 얻었다. 이 추출물 중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0.38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28.6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 중량%, 갈산량 0.002 중량% 이었다. 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69.0 중량% 이었다. 또한 40℃, 2.6kPa 조건에서 감압 농축하여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6% (탁도 208NTU) 까지 농축하였다. 이어서 0.8㎛ 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막 (ADVANTEC : CO80AO90C) 을 통과시켜, 현탁물과 고액 분리하여 「수지 처리품 1」 (탁도 1.5NTU) 을 얻었다. 이어서, 스테인리스 칼럼 3 (내경 22㎜×높이 145㎜, 용적 55.1㎖) 에 입상 활성탄 태합 SGP (후타무라 화학 (주) 제조) 를 6.5g 충전하였다. 「수지처리품 1」 을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4% 로 또한 에탄올 농도 20 중량% 가 되도록 조제하고, 그 267g 을 SV = 2 (h-1) 로 칼럼 3 에 통액하였다 (활성탄의 양은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양에 대해 0.6). 계속해서 0.2㎛ 멤브레인 필터에 의해 여과하였다. 마지막에 이온 교환수 50g 을 첨가하여, 40℃, 2.7kPa 의 조건에서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고, 그 후, 수분량을 조정하여 「활성탄 처리품 1」 (2.1NTU) 을 얻었다. 이 추출물 중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13.7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23.5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 중량%, 갈산량 0.054 중량% 이었다.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79.6 중량% 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수지 처리품 1』.
실시예 2
스테인리스 칼럼 4 (내경 110㎜×높이 230㎜, 용적 2185㎖) 에 합성 흡착제 SP-70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을 2048㎖ 충전하였다. 미리 칼럼은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탄나아제 처리액 8191g (4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을 SV = 1 (h-1) 로 칼럼 4 에 통액하여 투과액은 폐기하였다. 이어서 SV = 2 (h-1) 로 2048㎖ (1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의 물로 세정하였다. 수세 후, 20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SV = 2 (h-1) 로 12287㎖ (6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를 통액하여,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 12090g (pH 2.1) 을 얻었다. 이 추출물 중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0.51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27.4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075 중량%, 갈산량 0.002 중량% 이었다. 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62.5 중량% 이었다. 또한 감압 농축으로, 40℃, 2.7kPa 로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고, 그 후, 수분량을 조정하여 「수지 처리품 2」 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활성탄과 접촉 처리 (활성탄의 양은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양에 대해 0.6) 하여 「활성탄 처리품 2」 (1.7NTU) 를 얻었다. 이 추출물 중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15.0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20.9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264 중량%, 갈산량 0.057 중량% 이었다.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72.8 중량% 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2 에 있어서의 『수지 처리품 2』.
실시예 1 과 비교예 1, 실시예 2 와 비교예 2 를 비교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2298346-pct00002
표 2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 유기 용매 수용액 또는 염기성 수용액으로 용출하고, 이어서 유기 용매 수용액 중에서 활성탄 처리함으로써, 카페인이 저감되고, 후미의 쓴맛이 저감되어, 색조가 향상된 정제 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추출물은 차계 음료뿐만이 아니라, 비차계 음료로서도 유용하다.
실시예 3 ∼ 6
실시예 1 에 준하는 조작으로, 가수 분해 처리 없음 및 갈레이트체 비율을 약 3.5% 가 될 때까지 가수 분해 처리하고, 활성탄 접촉시의 유기 용매 수용액 농도를 20 중량% 및 60 중량% 로 했을 경우의 조작을 실시하였다 (활성탄의 양은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양에 대해 0.6).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2298346-pct00003
표 3 으로부터, 활성탄 접촉시의 유기 용매 수용액 농도가 20 중량% 와 60 중량% 의 경우를 비교하면, 색조의 점에 있어서, 20 중량% 쪽이 바람직하다. 회수율면에서는, 60 중량% 쪽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7 ∼ 9, 비교예 3 ∼ 4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에 준하는 조작으로, 활성탄 접촉시의 유기 용매 수용액 농도를 0 중량%, 7.5 중량% 및 20 중량% 로 하고, 활성탄과의 접촉 조작은 교반조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활성탄의 양은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양에 대해 0.6).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2298346-pct00004
표 4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활성탄 접촉시의 유기 용매 수용액 농도를 0 중량% 로 한 경우 (물을 용매로 한 경우) 에 비하여, 활성탄 접촉시의 유기 용매 수용액 농도를 7.5 중량% 및 20 중량% 로 한 경우 쪽이, 색조가 양호하고, 회수율이 양호하다.
실시예 10
실시예 1 의 『활성탄 처리품 1』 을 사용하여 표 5 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음료를 조제하였다. 식품 위생법에 근거하는 살균 처리 및 핫 팩 충전을 실시하여 용기에 담긴 음료로 하였다.
제조한 용기에 담긴 음료를 37℃ 에서 30 일간 보존한 후, 평가하였다. 외관, 정미의 안정성은 좋았다.
Figure 112008062298346-pct00005
실시예 11
조(粗)카테킨 제제 (미츠이 농림 (주) 제조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 32.0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갈레이트체 비율 = 52.2 중량%, 카페인 = 5.88 중량%) 150g 을, 탈이온수 4500g 에 25℃ 에서 30 분간 교반 용해하여 녹차 추출물 용해액 (pH 5.3) 을 얻었다. 이어서, 스테인리스 칼럼 1 (내경 60㎜×높이 360㎜, 용적 1017.4㎖) 에 충전한 합성 흡착제 SP-70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861㎖ 를, 미리 SV = 5 (h-1) 로 95 (v/v) 에탄올 3444㎖ 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SV = 5 (h-1) 로 8610㎖ 의 물로 세정하였다. 스테인리스 칼럼 2 (내경 38㎜×높이 340㎜, 용적 385.4㎖) 에 충전한 이온 교환 수지 SK1BH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350.6㎖ 를, 미리 SV = 5 (h-1) 로 95 (v/v) 에탄올 1402.4㎖ 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SV = 5 (h-1) 로 3506㎖ 의 물로 세정하였다. 그 후, 녹차 추출물 용해액 3435g (4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을 SV = 1 (h-1) 로 스테인리스 칼럼 1 에 통액하여 투과액은 폐기하였다. 이어서 SV = 2 (h-1) 로 861㎖ (1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의 물로 세정하였다. 수세 후, 0.1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pH 12.5) 을 SV = 5 (h-1) 로 12900㎖ 통액하여 (15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비중합체 카테킨류 용출액을 얻었다. 용출액은 연속해서 스테인리스 칼럼 2 에 통액하고, 탈이온을 실시하여,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 12860g (pH 3.5) 을 얻었다. 이 조성물 중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0.24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차 추출물 용해액으로부터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은 92.4%,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52.9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 중량% 이었다. 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69.2 중량% 이었다. 또한 감압 농축으로 40℃, 2.6kPa로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6% (탁도 322NTU) 까지 농축 처리하여 「농축 녹차 추출물 1」 을 얻었다. 이어서 25℃ 에서 15 분간 원심 분리 (8000r/min) 하고, 현탁물과 고액 분리하여 「정제 녹차 추출물 1」 (탁도 39.5NTU) 을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 에서 얻어진 『농축 녹차 추출물 1』 을 0.8㎛ 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막 (ADVANTEC : CO80A090C) 을 통과시켜 현탁물의 분리를 실시하여 『정제 녹차 추출물 2』 (탁도 1.8NTU) 을 얻었다.
실시예 13
녹차잎 (케냐산, 대엽종) 3㎏ 에 88℃ 의 열수 45㎏ 을 첨가하여, 60 분간 교반 배치 추출한 후, 100 메시 철망으로 예비 여과 후, 추출액 중의 미세 분말을 제거하기 위해 원심 분리 조작하여, 「녹차 추출액」37.2㎏ (pH 5.4) 을 얻었다. (녹차 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 0.89 중량%, 녹차 추출액의 갈레이트체 비율 = 52.3 중량%, 카페인 0.17 중량%)
이 녹차 추출액을 온도 15℃ 로 유지하고, 탄나아제 (키코망 (주) 제조 탄나아제 KTFH, 500U/g) 을 녹차 추출액에 대해 430ppm 이 되는 농도로 첨가하고, 55 분간 유지하여, 갈레이트체 비율 30.5 중량% 이 된 시점에서, 90℃ 로 용액을 가열하여 2 분간 유지하고 효소를 실활시켜 반응을 멈추었다 (pH 5.1). 이어서 70℃, 6.7 kpa 조건에서 Brix 농도 20% 까지 농축 처리하고, 추가로 분무 건조하여 분말상의 「탄나아제 처리한 녹차 추출물」0.9㎏ 을 얻었다. 얻어진 녹차 추출물은 비중합체 카테킨류 함유량 27.8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갈레이트체 비율 30.3 중량%, 카페인 함유량 6.74 중량% 이었다. 「탄나아제 처리한 녹차 추출물」10g 을 탈이온수 300g 에 25℃ 에서 30 분간 교반 용해하였다 (탄나아제 처리액).
이어서, 스테인리스 칼럼 3 (내경 22㎜×높이 96㎜, 용적 36.5㎖) 에 충전한 합성 흡착제 SP-70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36.1㎖ 를 미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하고, 유리 칼럼 (내경 16㎜×높이 80㎜, 용적 16.1㎖) 에 충전한 이온 교환 수지 SK1BH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14.7㎖ 를 미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하였다. 그 후, 얻어진 탄나아제 처리액 144.4g (4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을 SV = 1 (h-1) 로 스테인리스 칼럼 3 에 통액하여 투과액은 폐기하였다. 이어서 SV = 2 (h-1) 로 36.1㎖ (1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의 물로 세정하였다. 수세 후, 0.1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pH 12.4) 을 SV = 5 (h-1) 로 561.8㎖ 통액하였다 (15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용출액은 연속해서 유리 칼럼에 통액하고, 탈이온을 실시하여,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 552g (pH 2.7) 을 얻었다. 이 추출물 중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0.21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탄나아제 처리액으로부터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은 90.3%,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32.5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 중량% 이었다. 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64.7 중량% 이었다. 추가로 감압 농축에서 40℃, 2.6kPa 로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6% (탁도 618NTU) 까지 농축 처리하여 「농축 녹차 추출물 2」 를 얻었다. 이어서 0.8㎛ 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막 (ADVANTEC : CO80AO90C) 을 통과시켜, 현탁물과 고액 분리하여 『정제 녹차 추출물 3』 (탁도 1.5NTU) 을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11 에 있어서의 제탁 전의 『농축 녹차 추출물 1』.
비교예 6
이온 교환 수지의 양을 1/4 의 양으로 하여, 염기성 탈착액의 pH 조정 후의 값이 9.1 인 것 이외에는 비교예 5 와 동 방법으로 『농축 녹차 추출물 3』 을 얻었다.
Figure 112008062298346-pct00006
실시예 14
실시예 12 의 『』「정제 녹차 추출물 2」 를 사용하여 표 7 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음료를 조제하였다. 식품 위생법에 기초하는 살균 처리 및 핫 팩 충전을 실시하여 용기에 담긴 음료로 하였다.
제조한 용기에 담긴 음료를 37℃ 에서 30 일간 보존한 후, 평가하였다. 외관, 정미의 안정성은 좋았다.
Figure 112008062298346-pct00007
실시예 11 ∼ 13 에서는 처리 전후에 있어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이 높고, 카페인 농도가 저감되고, 또한 정미 및 안정성의 개선된 정제 녹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4 에서는, 외관, 정미의 안정성이 좋은 음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비교예 5 에서는 쓴맛과 색조가 열등하고, 비교예 6 에서는 쓴맛, 잡맛이 남는다.
(탄나아제 활성의 측정법)
시약 A : pH 5.5 시트르산 완충 용액 50㎜ol : 증류수 800㎖ 에 시트르산 10.5g 을 용해하고, 1N 의 NaOH 용액으로 pH 5.5 로 조정하고, 1000㎖ 에 희석한다.
시약 B : 0.35 중량% 기질 수용액 (타닌산) : 50㎖ 시트르산 완충 용액 (시약 A) 에 타닌산 175㎎ 을 용해한다.
시약 C : 90vol% 에탄올 용액.
측정 방법
1. 시험관에 기질 용액 (시약 B) 을 1.0㎖ 채취하여, 30℃ 에서 5 분간 유지한다.
2. 시료 용액 0.25㎖ 첨가하여, 15 분간 30℃ 에서 배양한다. 블랭크 용액은, 시료 용액 대신에 시트르산 완충 용액 (시약 A) 을 첨가한다.
3. 효소 반응을 정지시키기 위해 시료 용액과 블랭크 용액에 5.0㎖ 의 에탄올 용액 (시약 C) 을 첨가한다.
4. 310㎚ 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시료 : As, 블랭크 : Ao].
다음의 계산식에 의해 활성을 계산한다.
체적당의 활성 (U/㎖) = (As-Ao)×20.3×1.0(㎖)×1.04×df/(0.71×0.25(㎖)×15(min)) = ΔA×7.93×df
질량당의 활성 (U/g) = (U/㎖)×1/C
20.3 : 기질 용액 (시약 B) 의 1.0㎖ 중에 함유되는 타닌산의 ㎛ol.
0.71 : 분석 조건 하에서의 20.3㎛ol 의 타닌산이 완전하게 가수 분해한 후의 흡광도의 변화량, 1.04 : 환산 계수, df : 희석 계수, C : 샘플 (g/㎖) 중의 탄나아제 농도.
(살균 후의 풍미 평가)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차 추출물을 카테킨 함유율이 0.175% [w/v] 가 되도록 탈이온수로 희석하고, 그 40㎖ 를 50㎖ 의 내압제 유리 용기에 넣었다. 그곳에 아스코르브산 Na 를 0.1 중량% 첨가하고, 5% 중탄산 Na 수용액으로 pH 를 6.4 로 조정하여, 질소 치환을 실시하고, 오토클레이브에서 121℃, 10 분간 가열 멸균하였다. 그 후, 평가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녹차 유래의 이미 (異味)·이취가 느껴지지 않는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5
녹차잎 (중국 윈난성, 대엽종) 1.8㎏ 에 90℃ 의 열수 27㎏ 을 첨가하여, 30 분간 교반 배치 추출한 후, 100 메시 철망으로 예비 여과하고, 원심 분리 조작 후, 2 호 여과지에 의한 여과를 실시하여 「녹차 추출액」20.4㎏ (pH 5.3) 을 얻었다. (녹차 추출액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 0.96 중량%, 녹차 추출액의 갈레이트체 비율 = 69.5 중량%, 카페인 = 0.24 중량%, 갈산 = 0.01 중량%)
이 녹차 추출액을 온도 25℃ 로 설정하고, 탄나아제 (키코망 (주) 제조 탄나아제 KTFH, 500U/g) 을 녹차 추출액에 대해 300ppm 가 되는 농도로 첨가하여, 85 분간 유지하고, 갈레이트체 비율 52.4 중량% 이 된 시점에서, 90℃ 로 용액을 가열하고, 2 분간 유지하여 효소를 실활시켜 반응을 멈추었다 (pH 4.8, 탄나아제 처리액 (1)).
이어서, 스테인리스 칼럼 1 (내경 110㎜×높이 230㎜, 용적 2185㎖) 에 충전한 합성 흡착제 SP-70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2048㎖ 를, 미리 SV = 5 (h-1) 로 95 (v/v) 에탄올 8192㎖ 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SV = 5 (h-1) 로 20480㎖ 의 물로 세정하였다. 스테인리스 칼럼 2 (내경 38㎜×높이 770㎜, 용적 873㎖) 에 충전한 이온 교환 수지 SK1BH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852㎖ 를 미리 SV = 5 (h-1) 로 95 (v/v) 에탄올 3408㎖ 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SV = 5 (h-1) 로 8520㎖ 의 물로 세정하였다. 그 후, 탄나아제 처리액 (1) 8192g (4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을 SV = 1 (h-1) 로 칼럼 1 에 통액하여 투과액은 폐기하였다. 이어서 SV = 2 (h-1) 로 2048㎖ (1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의 물로 세정하였다. 수세 후, 0.1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pH 12.5) 을 SV = 5 (h-1) 로 30720㎖ 통액 하여 (15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카테킨 용출액을 얻었다. 용출액은 연속해서 스테인리스 칼럼 2 에 통액하고, 탈이온을 실시하여,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 28222g (pH 3.0) 을 얻었다. 이 조성물 중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0.24 중량% 가 함유되어 있어 탄나아제 처리액 (1) 으로부터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은 92.9%,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55.3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 중량%, 갈산량 0.001 중량% 이었다. 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62.4 중량% 이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5 와 동일하게 탄나아제 처리하고, 합성 흡착제에 대한 통액 및 용출은 실시하지 않았다.
비교예 8
탄나아제 처리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 와 완전히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1) 녹차잎 (케냐산, 대엽종) 3㎏ 에 88℃ 의 열수 45㎏ 을 첨가하여, 60 분간 교반 배치 추출한 후, 100 메시 철망으로 예비 여과 후, 추출액 중의 미세 분말을 제거하기 위해 원심 분리 조작하여, 「녹차 추출액」37.2㎏ (pH 5.4) 을 얻었다. (녹차 추출액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 0.89 중량%, 녹차 추출액의 갈레이트체 비율 = 52.3 중량%, 카페인 0.17 중량%)
이 녹차 추출액을 온도 15℃ 로 유지하고, 탄나아제 (키코망 (주) 제조 탄나아제 KTFH, 500U/g) 를 녹차 추출액에 대해 430 ppm 가 되는 농도로 첨가하여, 55 분간 유지하고, 갈레이트체 비율 30.5 중량% 가 된 시점에서, 90℃ 로 용액을 가열하고, 2 분간 유지하여 효소를 실활시켜, 반응을 멈추었다 (pH 5.1). 이어서 감압 농축으로 70℃, 6.7kpa 로 Brix 농도 20% 까지 농축 처리하고, 추가로 분무 건조하여 분말상의 「탄나아제 처리한 녹차 추출물」 0.9㎏ 을 얻었다. 얻어진 녹차 추출물은 비중합체 카테킨류 함유량 27.8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갈레이트체 비율 30.3 중량%, 카페인 함유량 6.74 중량%, 갈산 3.58 중량% 이었다. 「탄나아제 처리한 녹차 추출물」10g 을, 탈이온수 300g 에 25℃ 에서 30 분간 교반 용해하였다 (탄나아제 처리액 (2)).
이어서, 스테인리스 칼럼 3 (내경 22㎜×높이 96㎜, 용적 36.5㎖) 에 충전한 합성 흡착제 SP-70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36.1㎖ 를 미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하고, 유리 칼럼 (내경 16㎜×높이 80㎜, 용적 16.l㎖) 에 충전한 이온 교환 수지 SK1BH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14.7㎖ 를 미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하였다. 그 후, 얻어진 탄나아제 처리액 (2) 144.4g (4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을 SV = 1 (h-1) 로 칼럼 1 에 통액하여 투과액은 폐기하였다. 이어서 SV = 2 (h-1) 로 36.1㎖ (1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의 물로 세정하였다. 수세 후, 0.1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pH 12.4) 을 SV = 5 (h-1) 로 561.8㎖ 통액하였다 (15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용출액은 연속해서 유리 칼럼에 통액하고, 탈이온을 실시하여,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 552g (pH 2.7) 을 얻었다. 이 추출물 중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0.21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탄나아제 처리액 (2) 으로부터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은 90.3%,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32.5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 중량%, 갈산 0.002 중량% 이었다. 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64.7 중량% 이었다.
실시예 17
조카테킨 제제 (미츠이 농림 (주) 제조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 32.0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갈레이트체 비율 = 52.0 중량%, 카페인 = 5.51중량%, 갈산 = 0.17 중량%) 10g 을, 탈이온수 300g 에 25℃ 에서 30 분간 교반 용해하여 차 추출물 용해액 (pH 5.3) 을 얻었다. 이어서, 탄나아제 (키코망 (주) 제조 탄나아제 KTFH, 500U/g) 을 차 추출물 용해액에 대해 500 ppm 이 되는 농도로 첨가하고, 15℃, 120 분간 유지하여, 갈레이트체 비율 4 중량% 가 된 시점에서, 90℃ 로 용액을 가열하고, 2 분간 유지하여 효소를 실활시켜 반응을 멈추었다 (pH 4.2, 탄나아제 처리액 (3)).
원료가 상기 탄나아제 처리액 이외에는, 실시예 16 과 동일한 칼럼 및 조작 조건에서 정제를 실시하여,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 534.2g (pH 3.7) 을 얻었다. 이 추출물 중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0.18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탄나아제 처리액 (3) 으로부터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은 91.3%,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6.0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 중량%, 갈산량 0.004 중량% 이었다. 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57.6 중량% 이었다.
실시예 18
스테인리스 칼럼 4 (내경 60㎜×높이 360㎜, 용적 1017㎖) 에 충전한 합성 흡착제 SP-207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1004㎖ 를 미리 SV = 5 (h-1) 로 95 (v/v) 에탄올 4016㎖ 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SV = 5 (h-1) 로 10040㎖ 의 물로 세정하였다. 스테인리스 칼럼 5 (내경 38㎜×높이 1200㎜, 1360 용적㎖) 에 충전한 이온 교환 수지 SK1BH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1338㎖ 를, 미리 SV = 5 (h-1) 로 95 (v/v) 에탄올 5352㎖ 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SV = 5 (h-1) 로 13380㎖ 의 물로 세정하였다. 실시예 15 의 탄나아제 처리액 4016g (4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을 SV = 1 (h-1) 로 스테인리스 칼럼 4 에 통액하여 투과액은 폐기하였다. 이어서 SV = 2 (h-1) 로 1004㎖ (1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의 물로 세정하였다. 수세 후, 1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pH 14.0) 을 SV = 5 (h-1) 로 5020㎖ 통액하였다 (5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용출액은 연속해서 스테인리스 칼럼 5 에 통액하고 탈이온을 실시하여,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 4975.5g (pH 4.1) 을 얻었다. 이 추출물 중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0.63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탄나아제 처리액 (1) 으로부터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은 88.2%,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58.3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 중량%, 갈산량 0.001 중량% 이었다. 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59.3 중량% 이었다.
실시예 19
실시예 16 의 이온 교환 수지 SK1BH 의 충전량을 3.6㎖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은 비중합체 카테킨 0.17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탄나아제 처리액 (2) 으로부터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은 78.2%,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35.8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 중량%, 갈산량 0.001 중량% 이었다. 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43.3 중량% 이었다.
비교예 9
스테인리스 칼럼 4 (내경 60㎜×높이 360㎜, 용적 1017㎖) 에 충전한 합성 흡착제 SP-70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860㎖ 를 미리 SV = 5 (h-1) 로 95 (v/v) 에탄올 3440㎖ 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SV = 5 (h-1) 로 8600㎖ 의 물로 세정하였다. 실시예 15 의 탄나아제 처리액 3440g (4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를 SV = 1 (h-1) 로 스테인리스 칼럼 4 에 통액하여 투과액은 폐기하였다.
이어서 SV = 2 (h-1) 로 860㎖ (1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의 물로 세정하였다. 수세 후, 20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SV = 2 (h-1) 로 5160㎖ 통액하였다 (6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40℃, 2.7kPa 로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고, 그 후, 수분량을 조정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비중합체 카테킨 0.50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탄나아제 처리액 (1) 으로부터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은 84.4%,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45.9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1 중량%, 갈산량 0.008 중량% 이었다. 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60.8 중량% 이었다.
비교예 10
산성 백토 (미즈카에이스 #600, 미즈사와 화학 공업 (주) 제조) 100g 을 상온, 350r/min 교반 조건 하의 92.4 중량% 에탄올 수용액 800g 중에 분산시켜, 약 10 분간 교반한 후, (실시예 16) 에서 얻어진 탄나아제 처리한 녹차 추출물 200g 을 투입하여, 실온인 채로 약 3 시간의 교반을 계속하였다 (pH 4.0). 그 후, 생성되어 있는 침전 및 산성 백토를 2 호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액을 활성 탄 (쿠라레콜 GLC, 쿠라레 케미칼 (주) 제조) 30g 과 접촉시키고, 계속해서 0.2㎛ 멤브레인 필터에 의해 여과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온 교환수 200g 을 첨가하여, 40℃, 2.7kPa 에서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고, 그 후, 수분량을 조정하여 「정제 녹차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은 비중합체 카테킨 20.2 중량% 가 함유되어 있고, 실시예 16 의 탄나아제 처리한 녹차 추출물로부터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은 60.5%, 비중합체 카테킨류 조성물의 갈레이트체 비율은 29.3 중량% 이었다. 또, 카페인 0.73 중량%, 갈산량 2.56 중량% 이었다. 차 추출물의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56.6 중량% 이었다.
실시예 15 ∼ 19, 비교예 7 ∼ 10 기재된 차 추출물을 식품 위생법에 근거하는 살균 처리를 하여, 풍미 및 쓴맛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 19 에서는 처리 전후에 있어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회수율이 높고, 비중합체 카테킨갈레이트율이 감소하고, 갈산을 대부분 함유하지 않고, 카페인 농도가 저감된 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0 에서는, 외관, 정미의 안정성이 좋은 음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비교예 7 에서는 신맛와 잡맛이, 비교예 8 에서는 쓴맛이 남는다. 비교예 9 에서는 카페인 함량이 많고, 비교예 10 에서는 신맛이 남는다.
Figure 112013081438518-pct00011
실시예 20
실시예 17 의 정제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여 표 9 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음료를 조제하였다. 식품 위생법에 근거하는 살균 처리 및 핫 백 충전을 실시하여 용기에 담긴 음료로 하였다.
제조한 용기에 담긴 음료를 37℃ 에서 30 일간 보존한 후, 평가하였다. 외관, 정미의 안정성은 좋았다.
Figure 112008062298346-pct00009
실시예 21
조카테킨 제제 (미츠이 농림 (주) 제조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 32.0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 비갈레이트체 비율 = 47.8 중량%, 카페인 = 5.88 중량%) 150g 을, 탈이온수 4500g 에 25℃ 에서 30 분간 교반 용해하여 차 추출물 (pH 5.3) 을 얻었다. 이어서, 스테인리스 칼럼 1 (내경 60㎜×높이 360㎜, 용적 1017.4㎖) 에 충전한 합성 흡착제 SP-207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861㎖ 를 미리 SV = 5 (h-1) 로 95 (v/v) 에탄올 3444㎖ 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SV = 5 (h-1) 로 8610㎖ 의 물로 세정하였다. 스테인리스 칼럼 2 (내경 38㎜×높이 340㎜, 용적 385.4㎖) 에 충전한 이온 교환 수지 SK1BH (미츠비시 화학 (주) 제조) 350.6㎖ 를 미리 SV = 5 (h-1) 로 95 (v/v) 에탄올 1402.4㎖ 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SV = 5 (h-1) 로 3506㎖ 의 물로 세정하였다. 그 후, 차 추출물 3435g (4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을 SV = 1 (h-1) 로 스테인리스 칼럼 1 에 통액하여 투과액은 폐기하였다. 이어서 SV = 2 (h-1) 로 861㎖ (1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의 물로 세정하였다. 수세 후, 용출액으로서 0.01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pH 11.5) 을 SV = 5 (h-1) 로 12900㎖ (15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통액하여, 분획물을 얻었다. 분획물은 연속해서 스테인리스 칼럼 2 에 통액하고, 탈이온을 실시하여, 정제 차 추출물 12860g (pH 3.5) 을 얻었다. 정제 차 추출물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는 흡착시킨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100 으로 했을 때의 31.0% 이었다.
실시예 22
용출액으로서 20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SV = 2 (h-1) 로 860㎖ (1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통액하고, 분획물을 탈이온을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정제 차 추출물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는 흡착시킨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100 으로 했을 때의 41.0% 이었다.
비교예 11
용출액으로서 0.1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pH 12.5) 을 SV = 5 (h-1) 로 12900㎖ (15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통액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정제 차 추출물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는 흡착시킨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100 으로 했을 때의 92.4% 이었다.
비교예 12
용출액으로서 20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SV = 2 (h-1) 로 5170㎖ (6 배 용적 대 합성 흡착제) 통액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정제 차 추출물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는 흡착시킨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100 으로 했을 때의 85.0% 이었다.
실시예 21, 22, 비교예 11, 12 의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2298346-pct00010
표 10 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에, 합성 흡착제에 세정액을 접촉시키고, 다음으로 합성 흡착제에 용출액을 접촉시켜, 분획 조건으로서 합성 흡착제에 흡착한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10 ∼ 60% 를 분획함으로써, 카페인 함량이 낮고, 비중합체 카테킨류 비갈레이트체 비율이 높고, 차 풍미와 쓴맛이 저감되어 풍미가 개선된 정제 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추출물은 차계 음료뿐만이 아니라, 비차계 음료로서도 유용하다.

Claims (18)

  1.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키고, 이어서 합성 흡착제에 염기성 수용액 또는 유기 용매 수용액을 접촉시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용출시키고, 이어서 용출액을 유기 용매 수용액 중에서 활성탄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법으로서, 얻어지는 정제 차 추출물이, 고형분에 대해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25 ∼ 90 중량% 함유하고,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15 인 제조법.
  2. 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키고, 이어서 합성 흡착제에 염기성 수용액 또는 유기 용매 수용액을 접촉시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용출시키고, 용출액의 pH 를 7 이하로 조정하고, 농축하며, 이어서 석출 현탁물을 고액 분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법으로서, 얻어지는 정제 차 추출물이, 고형분에 대해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25 ∼ 90 중량% 함유하고,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15 인 제조법.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차 추출물이 가수 분해 처리된 것인 제조법.
  5. 차 추출물을 가수 분해하고, 이어서 합성 흡착제에 흡착시킨 후에, 합성 흡착제에 염기성 수용액을 접촉시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용출시키는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법.
  6.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흡착 공정 종료 후, 용출 전에, 합성 흡착제를 세정하는 제조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에탄올인 제조법.
  8.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합성 흡착제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또는 스티렌계 수지인 제조법.
  9. 제 4 항에 있어서,
    가수 분해 처리가 탄나아제 활성을 갖는 효소, 균체 또는 배양액에 의한 처리인 제조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얻어지는 정제 차 추출물이, 고형분에 대해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25 ∼ 90 중량% 함유하는 것인 제조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얻어지는 정제 차 추출물이, 고형분에 대해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25 ∼ 90 중량% 함유하고,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15 인 제조법.
  12.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얻어지는 정제 차 추출물이 고형분에 대해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25 ∼ 90 중량%,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15,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레이트체 비율이 0 ∼ 70 중량%, 갈산/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1 인 제조법.
  13.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25 ∼ 95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레이트체 비율이 0 ∼ 70 중량%, 갈산/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1 이고,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15 인 정제 차 추출물.
  14.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25 ∼ 95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레이트체 비율이 0 ∼ 70 중량%, 갈산/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1, 카페인/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비율이 0 ∼ 0.2,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농도가 1 중량% 인 수용액으로 했을 때의 450㎚ 에서의 색조가 0 ∼ 0.8 인 정제 차 추출물.
  15. 고형분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가 45 ∼ 90 중량%, 비중합체 카테킨류 중의 갈레이트체 비율이 0.001 ∼ 47 중량%, 갈산량/비중합체 카테킨류 (중량비) 가 0.3 이하인 정제 차 추출물.
  16.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기재된 제조법에 의해 얻어진 정제 차 추출물.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제 추출물을 배합한 용기 들이 차 음료.
  18. 제 5 항에 있어서,
    가수 분해 처리가 탄나아제 활성을 갖는 효소, 균체 또는 배양액에 의한 처리인 제조법.
KR1020087021446A 2006-03-02 2007-03-01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36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6350A JP4244230B2 (ja) 2006-03-02 2006-03-02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JPJP-P-2006-00056350 2006-03-02
JPJP-P-2006-00102942 2006-04-04
JP2006102942A JP4242877B2 (ja) 2006-04-04 2006-04-04 緑茶抽出物の製造法
JP2006234992 2006-08-31
JPJP-P-2006-00234992 2006-08-31
JPJP-P-2006-00330934 2006-12-07
JP2006330934A JP4242891B2 (ja) 2006-12-07 2006-12-07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PCT/JP2007/000156 WO2007099715A1 (ja) 2006-03-02 2007-03-01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217A KR20080106217A (ko) 2008-12-04
KR101436645B1 true KR101436645B1 (ko) 2014-09-01

Family

ID=3845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4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6645B1 (ko) 2006-03-02 2007-03-01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08023B2 (ko)
EP (1) EP1989943B1 (ko)
KR (1) KR101436645B1 (ko)
TW (1) TWI388286B (ko)
WO (1) WO20070997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305255A1 (en) * 2006-10-03 2008-04-10 Wyeth Lyophiliz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JP5517412B2 (ja) * 2007-05-24 2014-06-11 花王株式会社 精製緑茶抽出物
EP2189065A4 (en) * 2007-09-05 2014-08-20 Kao Corp PROCESS FOR PRODUCING PURIFIED TEA EXTRACT
JP5228229B2 (ja) * 2008-09-03 2013-07-03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低カフェイン茶類抽出物の製造方法
WO2010058593A1 (ja) * 2008-11-21 2010-05-27 花王株式会社 精製緑茶抽出物
CN102361562B (zh) 2009-03-23 2014-04-02 花王株式会社 多酚组合物
JP5336340B2 (ja) * 2009-12-09 2013-11-06 花王株式会社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AU2011344650B2 (en) * 2010-12-16 2014-05-01 Ekaterra Research and Development UK Limited Tea-based beverage
WO2015022123A1 (en) * 2013-08-15 2015-02-19 Unilever N.V. A process for producing a liquid concentrate tea product
US20150072062A1 (en) * 2013-10-31 2015-03-12 Amazing Sour Sop Inc. Soursop leaf drink and method of making same
EP3549449A4 (en) 2016-11-29 2020-06-24 Kao Corporation BEVERAGE COMPOSITION
WO2021182492A1 (ja) * 2020-03-11 2021-09-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精製サラシア属植物抽出物および精製サラシア属植物抽出物の製造方法
CN115228134A (zh) * 2022-09-05 2022-10-25 青海大学 一种从茶叶中提取咖啡因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9641A (ja) 2001-09-28 2003-06-17 Kao Corp 容器詰飲料
JP2004321105A (ja) * 2003-04-25 2004-11-18 Kao Corp タンナーゼ処理した緑茶抽出物
JP2005058208A (ja) * 2003-07-30 2005-03-10 Kao Corp 容器詰飲料
JP2005075349A (ja) 2003-09-02 2005-03-24 Wen-Wei Su 車両用方向指示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1264A (en) * 1975-09-05 1977-09-27 Thomas J. Lipton, Inc. Cold water extractable tea leaf and process
JPS59219384A (ja) 1983-05-30 1984-12-10 Mitsui Norin Kk 天然抗酸化剤の製造方法
JPS6013780A (ja) * 1983-07-05 1985-01-24 Mitsui Norin Kk 茶カテキン類の製造方法
JP2740185B2 (ja) 1988-05-16 1998-04-15 愛媛県青果農業協同組合連合会 ウーロン茶の抽出方法
JP3018013B2 (ja) 1989-10-19 2000-03-13 三井農林株式会社 α―アミラーゼ活性阻害剤
US5318986A (en) * 1989-10-19 1994-06-07 Mitsui Norin Co., Ltd. Method of inhibiting the activity of α-amylase
JPH0420589A (ja) 1990-05-16 1992-01-24 Mitsui Norin Kk 茶ポリフェノールの製造方法
JPH05153910A (ja) 1991-10-01 1993-06-22 Jacobs Suchard Ag 液体、特に生コーヒー水抽出物を脱カフェイン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JP3115691B2 (ja) 1992-03-17 2000-12-11 三井農林株式会社 低カフェイン含量茶ポリフェノールの製造法
JPH05306279A (ja) 1992-04-07 1993-11-19 Shokuhin Sangyo High Separeeshiyon Syst Gijutsu Kenkyu Kumiai 茶カテキン類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3281733B2 (ja) 1994-10-11 2002-05-13 三井農林株式会社 低カフェイン茶ポリフェノールの製造法
EP0777972B1 (fr) * 1995-12-07 2003-05-14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réparation d'un extrait de thé
US5925389A (en) * 1996-02-05 1999-07-20 Lipton Extraction process of tea with enzymes
EP1767097A3 (en) * 1999-08-16 2007-04-04 DSMIP Assets B.V. Green tea extracts
JP2001299887A (ja) 2000-04-24 2001-10-30 Toyo Seito Kk 抗菌脱臭剤、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3592681B2 (ja) * 2001-05-16 2004-11-24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JP2002335911A (ja) 2001-05-21 2002-11-26 Japan Organo Co Ltd ポリフェノール類の濃縮・精製方法
WO2004037022A1 (ja) * 2002-10-28 2004-05-06 Kao Corporation カフェイン含有カテキン類組成物の脱カフェイン方法
JP3662561B2 (ja) 2002-10-28 2005-06-22 花王株式会社 カテキン製剤の精製方法
JP4225814B2 (ja) 2002-11-29 2009-02-18 花王株式会社 カフェイン含有カテキン類組成物の脱カフェイン方法
JP4336192B2 (ja) 2003-12-12 2009-09-30 長谷川香料株式会社 カテキン類の製造方法
JP4773696B2 (ja) 2004-06-25 2011-09-14 花王株式会社 非重合体カテキン類組成物の製造方法
JP4702824B2 (ja) 2004-07-22 2011-06-15 三井農林株式会社 茶ポリフェノー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9641A (ja) 2001-09-28 2003-06-17 Kao Corp 容器詰飲料
JP2004321105A (ja) * 2003-04-25 2004-11-18 Kao Corp タンナーゼ処理した緑茶抽出物
JP2005058208A (ja) * 2003-07-30 2005-03-10 Kao Corp 容器詰飲料
JP2005075349A (ja) 2003-09-02 2005-03-24 Wen-Wei Su 車両用方向指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9943B1 (en) 2011-06-01
US20090041921A1 (en) 2009-02-12
EP1989943A4 (en) 2009-12-30
TW200744465A (en) 2007-12-16
WO2007099715A1 (ja) 2007-09-07
TWI388286B (zh) 2013-03-11
KR20080106217A (ko) 2008-12-04
EP1989943A1 (en) 2008-11-12
US9808023B2 (en)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645B1 (ko) 정제 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414410B1 (ko) 차 추출물
KR101505696B1 (ko) 정제 녹차 추출물
KR101414409B1 (ko) 용기에 담은 차 음료
JP4244230B2 (ja)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JP4242908B2 (ja)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JP4927137B2 (ja) 茶抽出物
JP5162594B2 (ja)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EP2510797B1 (en) Method for producing purified tea extract
JP4242877B2 (ja) 緑茶抽出物の製造法
JP2009060823A (ja) 精製緑茶抽出物の製造方法
JP4242891B2 (ja)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JP4866815B2 (ja) 精製緑茶抽出物の製造法
JP5307649B2 (ja) 精製茶抽出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6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40528

Appeal identifier: 2014101002149

Request date: 2014041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4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9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4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13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