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6319B1 -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319B1
KR101436319B1 KR1020070109709A KR20070109709A KR101436319B1 KR 101436319 B1 KR101436319 B1 KR 101436319B1 KR 1020070109709 A KR1020070109709 A KR 1020070109709A KR 20070109709 A KR20070109709 A KR 20070109709A KR 101436319 B1 KR101436319 B1 KR 10143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ribbon
printing
ink
remaining
p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905A (ko
Inventor
배성철
박성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3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31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2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width
    • B41J11/003Paper-size detection, i.e. automatic detection of the length and/or width of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6Alarms, indicators, or feed-disabling devices responsible to material breakage or exhaus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04Ink-ribbon guides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인쇄 사이즈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인쇄 사이즈가 잉크리본과의 관계에서, 각 컬러 구간의 전체 면적에 대응되는 풀 사이즈인지 또는 각 컬러 구간의 적어도 2 분할된 면적에 대응되는 분할 사이즈인지 판단하는 단계, 분할 사이즈로 판단되면,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을 조회하여 잉크 잔량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잉크 잔량이 확인되면, 잔여위치로 잉크리본을 되돌리는 단계, 잔여잉크를 활용하여 재생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잉크리본의 사용내역을 최신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분 사용으로 남는 잉크 잔여분을 신규 인쇄에 재활용하는 재생 인쇄 모드를 지원하는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잉크리본의 사용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Description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Photo printer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잉크리본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분 사용으로 남는 잉크 잔여분을 신규 인쇄에 재활용하는 재생 인쇄 모드를 지원하는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및 카메라 내장형 모바일 기기들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의 인쇄 출력과 관련된 제반 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그 일 예로서, 염료승화(dye sublimation transfer) 방식을 적용하여,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인쇄용지상으로 출력하는 포토 프린터(photo printer)가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 염료승화방식 프린터는 다수의 발열소자가 병설되어 있는 프린터 헤드와, 프린터 헤드의 발열작용을 받아서 자신이 수용하고 있던 R,G,B 색상의 염료를 인쇄용지상으로 전사하는 잉크리본을 구비하며, 입력된 이미지 신호에 따라 프린터 헤드의 발열소자를 선택적으로 on/off 작동시킴으로써 해당 이미지를 인쇄용지상으로 복제한다.
한편, 인쇄용지상의 출력 이미지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 공될 수 있으며, 프린터에 로딩된 잉크리본의 규격을 그 상한으로 한다. 예를 들어, 잉크리본이 4x6 판 규격일 때, 4x3 판 인쇄에서는 잉크리본의 절반만이 소모되고, 나머지 절반에는 잔여 잉크가 그대로 잔류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잔여 잉크를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강구되지 못하여 잉크리본과 함께 그대로 폐기됨으로써, 잉크리본의 사용 효율이 떨어지고, 프린터의 유지관리 비용에 재정적인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리본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분 사용으로 남는 잉크 잔여분을 신규 인쇄에 재활용하는 재생 인쇄 모드를 지원하는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일반 인쇄 또는 재생 인쇄에 관한 모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재생 인쇄 모드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되면,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을 조회하여 잔여 잉크로 출력 가능한 인쇄 규격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취득된 인쇄 규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옵션 선택을 안내하는 단계;
선택된 인쇄 규격을 제공하는 잉크 잔여 위치로 잉크리본을 되돌리는 단계;
잔여 잉크를 활용하여 재생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잉크리본의 사용내역을 최신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의 조회는, 매 페이지 분에 대한 사용내역을 저장해둔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의 조회는, 잉크리본을 전체적으로 되감기(rewinding) 하는 한편으로, 잉크리본 자체에 기입된 이력마크를 스캔하면서 잔량 정보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력마크는 매 페이지 분의 인쇄종료위치에 기입되고, 해당 페이지 분에 대한 부호화된 사용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취득된 인쇄 규격에 대한 정보의 표시는 잔여 잉크로 출력 가능한 인쇄 매수도 함께 표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은, 상기 잉크 잔여 위치로 잉크리본을 되돌리는 단계 이전에, 잉크리본의 현 위치를 원 사용위치에 관한 정보로서 기억해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리본의 사용내역을 최신정보로 갱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억해둔 원 사용위치로 잉크리본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인쇄 사이즈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인쇄 사이즈가 잉크리본과의 관계에서, 각 컬러 구간의 전체 면적에 대응되는 풀 사이즈인지 또는 각 컬러 구간의 적어도 2 분할된 면적에 대응되는 분할 사이즈인지 판단하는 단계;
분할 사이즈로 판단되면,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을 조회하여 잔여 잉크 잔량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잉크 잔량이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재생 인쇄를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재생 인쇄의 선택에 따라 잔여위치로 잉크리본을 되돌리는 단계;
잔여잉크를 활용하여 재생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잉크리본의 사용내역을 최신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의 조회는, 매 페이지 분에 대한 사용내역을 저장해둔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의 조회는, 잉크리본을 전체적으로 되감기(rewinding) 하는 한편으로, 잉크리본 자체에 기입된 이력마크를 스캔함으로써 잔량 정보를 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력마크는 매 페이지 분의 인쇄종료위치에 기입되고, 해당 페이지 분에 대한 부호화된 사용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포토 프린터는,
잉크리본의 매 페이지 분에 대한 사용내역이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잉크리본의 사용내역을 조회하여 잔여 잉크로 출력 가능한 인쇄 규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잉크리본을 감기(winding)/되감기(rewinding) 하면서 잉크리본의 인쇄위치를 결정하는 제어/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어/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쇄대상 이미지를 용지상으로 출력하는 인쇄부;를 포함한다.
삭제
다른 한편으로, 상기 잉크리본에는 매 페이지 분에 대한 사용내역이 부호화된 이력마크로 기입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분 사용으로 남는 잉크 잔여분을 신규 인쇄에 재활용하는 재생 인쇄 모드를 지원하는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잉크리본의 사용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포토 프린터에 장착되는 잉크리본(110)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컬러를 제공하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영역이 구분마크(K2)를 사이에 개재하고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으로 구성되는 컬러 영역(Y,M,C)은 다수의 발열소자가 어레이를 이루어 병설된 프린트 헤드(미도시)의 선택적인 발열작용을 받아 국부적으로 가열된 잉크성분이 인쇄용지상으로 전이되면서 칼라 이미지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3 원색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풀-칼라(full-color)를 표현할 수 있으며, 색상 간의 조합에 관하여서는 프린트 헤드(미도시)로 진입한 인쇄용지(미도시)를 왕복 이송하면서, 인쇄용지와 순차적으로 겹쳐지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영역에 대해 프린트 헤드를 압착시켜 가열함으로써, 각 색상별 이미지가 중첩적으로 인쇄용지상에 전이되어 칼라 이미지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컬러 영역(Y,M,C)으로부터 구분마크(K2)로 분리된 위치에는 인쇄용지상으로 전사된 칼라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미지 위에 코팅층을 제공하는 오버코트 영역(O)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버코트 영역(O)은 컬러 이미지가 전사된 인쇄용지의 전면에 걸쳐 코팅층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프린트 헤드의 발열작용으로 오버코트 영역(O)으로부터 박리된 코팅 박막이 인쇄용지상에 부착되면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잉크리본(110)은 컬러 영역(Y,M,C)과 오버코트 영역(O)으로 구성되는 1 페이지 분(P)이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되며, 매 1 페이지 분(P)의 시작 위치에는 시작마크(K1)가 형성되어 인쇄시작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잉크리본(110)은 낱장으로 분리되지 않고 연속적인 형태로 롤러에 권취되어 롤(roll)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작마크(K1) 및 구분마크(K2)는 잉크리본(110)의 기저를 제공하는 투명 베이스 필름(미도시) 상에 차광 특성이 우수한 블랙 스트립(black strip)을 부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시작마크(K1)와 구분마크(K2)를 각각 2-줄 스트립과 1-줄 스트립으로 형성하여, 서로에 대한 구분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오버코트(O)의 각 영역은 일정한 폭x길이 규격, 예를 들어, 4x6 판으로 규격화되며, 동일한 규격(4x6 판)을 갖는 이미지를 인쇄 가능한 최대 상한으로 한다. 잉크리본(110)을 공간적으로 2 분할 또는 4 분할하여 사용할 경우에, 4x6 판 이미지에 대한 1 페이지 인쇄분량은 4x3 판 이미지에 대해서는 2 페이지 인쇄분량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2x3 판 이미지에 대해서 는 4 페이지 인쇄분량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면, 잉크리본(110)의 길이방향으로 첫 번째와 세 번째 페이지 분(①,③)은 4x6 판 인쇄로 잉크 전량이 소모된 상태이며, 두 번째 페이지 분(②)은 각 영역별로 1구역(I)/2구역(II)으로 절반씩 분할되어 1구역(I)에 대해서는 4x3 판 인쇄로 잉크가 소진되었고, 2구역(II)은 아직 사용되지 않은 잉크 잔여분이 남아 있는 상태로서, 또 다른 4x3 판 인쇄가 요청되었을 때, 인쇄가능한 영역으로 재생된다. 그리고, 네 번째 페이지 분(④)은 인쇄 이전 상태로 전량 잉크가 남아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포토 프린터의 기본적인 인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인쇄 동작에 관여하는 인쇄부(100)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잉크리본(110)은 그 양단이 권취되어 있는 공급 롤러(121) 및 회수 롤러(122)의 연동에 의해 감기(winding) 또는 되감기(rewinding) 된다. 그리고, 잉크리본(110)의 길이를 따라 적정 위치에는 잉크리본(110)의 주행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128)들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 헤드(15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롤러들(128)은 잉크리본(110)을 인쇄용지(Pa) 측으로 강제하여 상호 긴밀한 접촉을 유도함으로써 잉크리본(110)의 컬러 염료가 인쇄용지(Pa) 측으로 용이하게 전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 롤러(121) 및 회수 롤러(122)는 스텝모터(180)와 동력 연결되어 구동되며, 감기 또는 되감기 동작에 따라 일 편이 구동 측으로, 다른 편은 종동 측으로 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린트 헤드(150)에는 다수의 발열소자(151)들이 일정한 어레이를 이루어 병렬적으로 배열되고, 입력된 이미지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열소자(151)들 을 가동함으로써 기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기록 동작시 프린트 헤드(150)는 플래튼 롤러(125) 측으로 밀착되어 그 사이의 잉크리본(110)과 인쇄용지(Pa)가 서로 대면 접촉을 이루고, 프린트 헤드(150)의 발열작용을 받은 잉크리본(110)으로부터 인쇄용지(Pa)상으로 컬러 염료가 전이되면서 소정의 컬러 이미지가 형성된다.
상기 프린트 헤드(150)에 인접하여서는 주행중인 잉크리본(110) 상에서 시작마크(K1)와 구분마크(K2)를 감지하여 인쇄시작위치를 결정하는 위치탐지센서(131,132)가 마련되는데, 상기 위치탐지센서(131,132)로는 예를 들어, 포토 인터럽터 (photo interrupte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탐지센서(131,132)는 시작마크(K1)를 감지하여 매 페이지 분의 시작위치를 결정하는 한편, 구분마크(K2)를 감지하여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오버코트(O) 영역의 시작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탐지센서(131,132)는 잉크리본(110)의 일 편에 배치된 발광소자(131)와 반대 편에 배치된 수광소자(132)의 쌍이 마주보게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131)에서 나온 광의 차단에 반응하여 수광소자(132)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시작마크(K1)와 구분마크(K2)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탐지센서(131,132)와 함께 카운터(133)의 상호 동작으로, 잉크리본(110) 상의 특정 위치를 기억하였다가, 임의 위치로부터 기억된 위치를 추적하여 신속하게 잉크리본(110)을 감기/되감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잉크리본(110)의 진행경로 상에 설치된 위치탐지센서(131,132)는 각 페이지 분의 시작마크(K1)를 포착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카운터(133)는 감지신호를 계수하여 얻어진 계수 값을 각 페이지 분에 대한 고유한 ID로 부여하면, 잉크리본(110)의 특정 위치를 표지하고 임의 위치로부터 탐색하는데에 주소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인쇄용지(Pa)는 인쇄용지(Pa)를 사이에 끼우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한 쌍의 급지 롤러(126)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왕복 이송된다. 예를 들어, 옐로우(Y)에 관한 인쇄가 종료되면, 인쇄용지(Pa)의 시작부분을 프린터 헤드(150)의 인쇄위치로 다시 되돌리도록 인쇄용지(Pa)를 반송시키고 마젠타(M)에 관한 인쇄를 개시하며, 재차 동일한 왕복 과정으로, 시안(C) 및 오버코트(O)에 관한 인쇄를 마치게 된다. 그 후, 인쇄용지(Pa)는 배지 경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데, 배지 경로 상에 설치된 커터(170)에 의해 가장자리의 인쇄마진영역이 제거된 후, 외부로 배지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관한 포토 프린터의 기능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포토 프린터는 인쇄작업을 위한 제반 정보 및 각종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LCD 패널(210)과, 인쇄대상이 되는 이미지를 전송받기 위한 통신환경을 설정하고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230), 외부로부터 입력된 인쇄대상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40), 데이터 저장부(240)에 저장된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인쇄부(100), 그리고, 이상의 각부들을 제어하기 위해 CPU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신호처리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신호처리부로 전달하는 키 조작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230)는 USB 접속부(231)를 통하여 유선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 모바일 기기, PC 등으로부터의 이미지 전송과, 제어명령의 송수신을 매개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직접 휴대하고 있는 이동 착탈식 메 모리(CF,MS,SD CARD)에 대해 전용의 삽입구(232,233,234)를 제공함으로써, 이들로부터 인쇄대상이 되는 이미지 전송을 중계할 수 있다. 외부에서 입력된 이미지들은 포토 프린터에 내장된 데이터 저장부(240)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230)는 인쇄명령에 따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사진 이미지들을 인쇄부(100)로 전달하여 인쇄작업이 수행되게 한다.
상기 키 조작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정의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신호처리부(250)에 전달하며, 프린터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버튼, LCD 패널에 표시된 메뉴 화면상에서 활성화된 커서를 이동하여 사용자의 옵션 선택을 안내하는 방향 이동 키, 인쇄 작업을 중지시키는 인쇄 중지 키, 인쇄조건의 설정에 관한 설정 모드 전환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부(100)는 도 2에 결부하여 그 구성의 개요가 설명된 구성들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프린터 헤드(150)와, 잉크리본(110)의 감기/되감기 동작을 수행하는 공급 롤러(121)-회수 롤러(122), 잉크리본(110)의 위치 탐지 기능을 수행하는 위치탐지센서(131,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린터는 매 페이지에 대한 인쇄 종료시마다 잉크리본(110)의 사용 내역을 갱신/축적시킴으로써, 잉크리본(110)의 분할 사용에 의한 잉크 잔여분의 존재와, 나아가 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260)를 더 포함한다. 도 4에는 데이터 베이스(260)에 기록된 잉크리본(110)의 사용 내역에 관련된 데이터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페이지 NO"는 각 사용 내역이 기입된 해당 페이지 분에 대해 부여된 고유한 식별번호를 나타내는 항목이고, "사용 여부"는 잉크리 본(110)의 사용 정도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도 4에 도시된 잉크리본의 사용 내역을 도 1에 도시된 잉크리본(110)의 상태와 결부시키면, 첫 번째 페이지 분(①)과 세 번째 페이지 분(③)에 대해 기록된 하이-하이 데이터(HH)는 4x6 판 인쇄로 잉크 전량이 사용되었으며 잉크의 잔량이 없음을 나타낸다. 또한, 두 번째 페이지 분(②)에 대해 기록된 하이-로우 데이터(HL)는 1구역(I)에 대해 4x3 판 인쇄가 진행되었으며, 2구역(II)에는 분할 인쇄로 인해 잉크 잔여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네 번째와 다섯 번째 페이지 분(④,⑤)에 대해 기록된 로우-로우 데이터(LL)는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아 잉크 전량이 남아있음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 5는 4x6 판 규격의 잉크리본을 4 분할하여 2x3 판 인쇄를 수행하였을 때, 잉크의 잔량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4 분할된 1구역(I)은 잉크가 소진된 상태이고, 나머지 2~4 구역(II,III,IV)에는 잉크가 남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는 4 분할 사용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260)에 기록되는 잉크리본(110)의 사용 내역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페이지 분(①)에 기록된 "HHHH" 데이터는 4 분할된 1구역 내지 4구역(I,II,III,IV)에 대해 모두 인쇄가 완료되어 잔여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두 번째 페이지 분(②)에 기록된 "HHHL" 데이터는 1구역 내지 3 구역(I,II,III)은 인쇄가 완료된 상태이고, 4구역(IV)에는 잔여 잉크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세 번째 페이지 분(③)과 네 번째 페이지 분(④)에 기록된 "HHLL" 과 "HLLL" 은 각각 3,4구역(III,IV)과, 2,3,4구역(II,III,IV)에 잔여 잉크의 존재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페이지 분(⑤)에 기록된 "LLLL"은 아직 인쇄가 진행되지 않아서 전 구 역(I,II,III,IV,V)에 잔여 잉크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도 7은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로서, 주로 제어/신호처리부(250)에 의해 실행되는 일련의 처리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작동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초기화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10). 그리고, "일반 인쇄 모드"와 "재생 인쇄 모드"에 관한 선택지를 표시하고(S11),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판독한다(S12). 이것은 통상 재생 인쇄 모드에서는 적어도 잉크리본(110)의 잔여 위치까지 잉크리본(110)을 되감는데 추가시간이 소요되므로, 신속한 인쇄를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일반 인쇄 모드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되면,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인쇄 규격에 관한 정규화된 사이즈를 나열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게 된다(S13). 예를 들어, 잉크리본(110)의 Y,M,C 영역이 4x6 판으로 제작되었을 때, 인쇄 가능한 최대 4x6 판 인쇄, 또는 리본(110)의 2 분할 사용으로 4x3 판 인쇄가 가능하며, 제어/신호처리부(250)는 4x6 판 또는 4x3 판 인쇄의 선택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옵션 선택을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4x6 판 인쇄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되면(S14), 잉크리본(110)을 현 사용위치로부터 그대로 진행시키면서 통상적인 인쇄 절차를 수행한다(S15). 이때에는 도 1에 도시된 세 번째 페이지 분(③)의 예시처럼, 인쇄 종료시에 잔여 잉크가 남지 않게 되며, 이러한 사용 내역에 관한 최신정보로서 예를 들어, 하이-하이 데이터("HH")를 데이터 베이스(260) 내에 축적하게 된다(S16). 또 다른 처리 흐름으로, S14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4x3 판 인쇄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되면, 잉크리본(110)을 현 사용위치 로부터 그대로 진행시키면서 인쇄작업을 처리하게 된다(S17). 이때, 도 1에 도시된 두 번째 페이지 분(②)의 예시처럼, 잉크리본(110)의 1구역(I)만을 할애하여 인쇄를 진행하며, 2구역(II)에는 사용되지 않은 여분의 잉크가 잔존하게 되고, 추후 재생 인쇄에 대비하여 해당 페이지 분에 대한 사용 내역을 데이터 베이스(260) 내에 축적한다(S18). 예를 들어, 재생 인쇄가 가능한 여분의 잉크가 존재한다는 취지로, 하이-로우 데이터("HL")를 위치정보와 함께 데이터 베이스(260)에 기록한다.
한편, S12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재생 인쇄 모드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되면, S19 이하의 절차에 따라 잔여 잉크를 재활용하는 재생 인쇄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제어/신호처리부(250)는 리본(110)의 과거 사용 내역을 기록하여 둔 데이터 베이스(260)를 검색하여, 분할 사용으로 인한 잔여 잉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로부터, 재생 인쇄와 관련된 세부적인 사항으로 인쇄 가능 규격과 인쇄 가능 매수를 확인하게 된다(S19). 예를 들어, 상기 제어/신호처리부(250)는 데이터 베이스(260)에 기록된 하이-로우 데이터("HL")를 탐지함으로써 4x3 판 인쇄분량의 잔여 잉크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하이-로우 데이터("HL")를 계수하여 재생 인쇄로 출력 가능한 인쇄 매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처리부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 "HHHL","HHLL","HLLL"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2x3 판 인쇄분량의 잔여 잉크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함과 동시에, 인쇄 가능 매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해둔 잉크리본(110)의 사용 내역을 신뢰할 수 없는 조건에서, 예를 들어, 잉크리본(110)이 탈착되어 새로운 잉크리본으로 교체되었 을 경우라면, 상기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잉크리본을 맨 처음 위치까지 되감기를 수행하면서 잉크리본(110)을 스캔하여 잉크의 잔여 여부를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잉크리본(110)에 기입된 이력마크를 탐지하여 잔여 잉크의 존재여부로부터 재생 인쇄와 관련된 세부적인 정보, 즉, 인쇄 가능 규격(ex, 4x3 판 규격, 2x3 판 규격) 및 인쇄 가능 매수의 확인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잉크리본(110)의 과거 사용 내역으로부터 잔여 잉크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S20), 리본 상에 잔여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재생 인쇄가 불가능하다는 취지로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S21). 이때,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에러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과 함께 일반 인쇄 모드로 전환되어 현 잉크리본(110)의 위치로부터 통상적인 인쇄를 진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잔여 잉크를 재활용하여 재생 인쇄가 가능한 경우라면, 재생 인쇄와 관련된 세부적인 사항으로 인쇄 가능 규격(ex. 4x3 판 인쇄, 2x3 판 인쇄)과 인쇄 가능 매수에 관한 사전 정보를 표시해주고 사용자의 옵션 선택을 안내한다(S22). 예를 들어, 4x3 판 인쇄 : 1 매 / 2x3 판 인쇄 : 3 매 등의 텍스트 형식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대안으로, 텍스트 형식의 표시를 대신하여 또는 이와 함께, 인쇄 가능한 규격을 박스 형상의 그래픽으로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에게 각 인쇄 규격에 따른 구체화된 형상 정보를 전달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4x3 판 재생 인쇄가 가능할 때, 4x6 판 풀 사이즈의 테두리 안에 2 분할된 4x3 판 박스 형상을 함께 표시해줌으로써, 전체적인 사이즈에 관한 대강을 가늠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옵션 선 택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지로 표시된 4x3 판 인쇄 또는 2x3 판 인쇄 중 사용자의 택일에 따른 입력 신호가 4x3 판 인쇄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되면(S23),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선택된 규격을 인쇄 조건에 반영하고 후술하는 절차에 따라 재생 인쇄를 수행하게 된다. 본격적인 재생 인쇄를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제어/신호처리부(250)는 리본(110)의 현재 위치를 원 사용위치로 저장하는데(S24), 저장된 위치 정보는 최종적으로 재생 인쇄를 마친 후, 원 사용위치로 복귀하는데 참조된다. 예를 들어, 원 사용위치에 관한 정보는 감기(winding)/되감기(rewinding)되는 리본(110)의 주행 경로 상에서 시작마크(K1)를 포착한 위치탐지센서(131,132)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감지 신호를 계수하는 카운터(133)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까지 계수된 카운터 값을 원 사용위치에 관한 정보로 저장하여 두고, 리본(110) 진행에 따라 시작마크(K1)를 감지할 때마다 카운터 값을 가감 연산하면, 임의 위치에서 초기에 저장된 값을 참조하여 원 사용위치로 복귀가 가능하다.
다음에,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260)에 기록된 리본의 사용 내역을 조회하여 잉크의 잔여 위치를 파악하고(S25), 파악된 잉크의 잔여 위치로 리본을 되감기 한다(S26). 즉, 제어/신호처리부(250)는 매 페이지 분의 인쇄가 종료될 때마다 데이터 베이스(260) 내에 리본(110)의 사용 내역과 함께, 해당 페이지 분의 ID로서 시작마크(K1)를 감지한 카운터 값을 기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잉크 잔여 위치에 해당되는 카운터 값을 참조하여, 해당 위치로의 되감기가 가능하다.
한편, 잉크리본(110)이 탈착되어 새로운 잉크리본으로 교체되거나, 또는 재장착되었을 경우라면, 상기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카운터 값을 초기화시키고, 초기화된 값을 현 사용위치로 저장한 후에, 맨 처음 위치까지 되감기를 수행하면서 잉크리본(110)을 스캔하여 잉크의 잔여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잉크리본(110)에 기입된 이력마크를 탐지하여 잔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데,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시작마크(K1)에 근거하여 잉크 잔여 위치로 리본을 되돌리게 되면, 시작마크(K1)와 인접한 어느 1 페이지 분의 시작부분이 인쇄위치(프린터 헤드(150)의 장착위치)에 놓이게 될 것이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처음 절반을 차지하는 1구역(I)은 과거 분할 사용으로 잉크가 남아있지 않으므로, 미 사용된 절반에 해당하는 2구역(II)의 시작부분으로 인쇄위치를 맞추기 위해 리본(110)을 앞으로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이런 이유로, 리본(110)의 되감기 동작 이후에는 미 사용위치까지 리본의 감기 동작이 뒤따른다(S27). 이때, 페이지 시작으로부터 미 사용된 위치(2구역 시작부분)까지의 이동량에 관한 제어는 리본 구동용 스텝모터(180)의 구동펄스를 계수하여 둔 것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구동펄스에 관한 수량정보는 과거 분할 사용시에 그 사용 내력으로 데이터 베이스(260)에 함께 기록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잉크리본(110)을 1구역/2구역(I/II)으로 절반씩 분할하여 사용하는 것이라면, 2구역(II)까지의 펄스 수를 미리 시스템에 저장하여 두고, 이를 참조할 수 있다.
이렇게 리본(110)의 미 사용위치로 감기 동작을 수행한 후(S20), 입력된 이 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터 헤드(150)를 구동하는 것으로, 인쇄 작업을 개시한다(S28). 재생 인쇄가 종료된 시점에서 잉크리본(110)의 사용 내역을 최신정보로 갱신하게 된다(S29). 즉, 데이터 베이스(260)의 이력 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페이지 분에 대해서는 더 이상 잔여 잉크가 남아 있지 않다는 취지로, 당초 하이-로우 데이터("HL")를 하이-하이 데이터("HH")로 변경한다. 잉크리본(110)의 사용 내력을 데이터 베이스(260)에 기록하는 한편으로, 잉크리본(110) 자체에 기록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며, 특히, 잉크리본(110)이 교환, 재장착되는 때에는 잉크리본(110) 자체에 기입된 사용 내력을 참고로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잉크리본(110)의 사용 내역을 최신정보로 갱신한 다음에, 잉크리본의 위치를 재생 인쇄 이전 원 사용위치로 복귀시킨다(S30). 이것은 차후 새로운 인쇄에 대비하여, 잉크리본(11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며,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초기에 저장된 원 사용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잉크리본(110)의 감기 동작을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작동 전원이 인가되면(P10)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초기화를 거쳐 대기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P11).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사진 출력을 위한 제반 절차를 수행하는데, 먼저 인쇄면적에 관한 정규화된 사이즈를 나열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게 된다(P12). 예를 들어, 잉크리본의 Y,M,C 영역이 4x6 판으로 제작되었을 때, 인쇄 가능한 최대 4x6 판 인쇄, 또는 리본의 2 분할 사용으로 4x3 판 인쇄가 가능하며, 제어/신호처리부(250)는 4x6 판 또는 4x3 판 인쇄의 선택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옵션 선택을 안내할 수 있다.
키 조작부(22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이 4x3 판 인쇄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되면(P13), 제어/신호처리부(250)는 리본(110)의 과거 사용 내역을 기록한 데이터 베이스(260)를 검색하여 분할 사용으로 인한 잔량 잉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게 된다(P14). 예를 들어, 상기 제어/신호처리부(250)는 데이터 베이스(260)에 기록된 하이-로우 데이터("HL")를 탐지함으로써 4x3 판 인쇄분량의 잔여 잉크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되면(P15). 사용자에게 "재생 인쇄 모드"로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게 된다(P16). 이것은 사전정보로서 재생 인쇄 모드가 가능함을 알리는 한편으로, 통상 "재생 인쇄 모드"에서는 적어도 잉크리본(110)의 잔여 위치까지 잉크리본(110)을 되감는데 추가시간이 소요되므로, 신속한 인쇄를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키 조작부(220)로부터 재생 모드의 승인에 관한 신호 입력이 감지되면, 재생 인쇄 모드가 개시된다. 먼저, 제어/신호처리부(250)는 본격적인 재생 인쇄를 수행하기 전에 리본(110)의 현재 위치를 원 사용위치로 저장하는데(P17), 저장된 위치 정보는 최종적으로 재생 인쇄를 마친 후, 원 사용위치로 복귀하는데 참조된다. 예를 들어, 원 사용위치에 관한 정보는 감기(winding)/되감기(rewinding)되는 리본(110)의 주행 경로 상에서 시작마크(K1)를 포착한 위치탐지센서(131,132)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감지 신호를 계수하는 카운터(133)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260)의 기 록을 조회하여 잉크의 잔여 위치를 파악하고(P18), 파악된 잉크의 잔여 위치로 리본을 되감기 한다(P19). 즉, 제어/신호처리부(250)는 매 페이지 분의 인쇄가 종료될 때마다 데이터 베이스(260) 내에 리본(110)의 사용 내역과 함께, 해당 페이지 분의 ID로서 시작마크(K1)를 감지한 카운터 값을 기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잉크 잔여 위치에 해당되는 카운터 값을 참조하여, 해당 위치로의 되감기가 가능하다.
한편, 시작마크(K1)에 근거하여 잉크 잔여 위치로 리본을 되돌리게 되면, 시작마크(K1)와 인접한 어느 1 페이지 분의 시작부분이 인쇄위치(프린터 헤드(150)의 장착위치)에 놓이게 될 것인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처음 절반을 차지하는 1구역(I)은 과거 분할 사용으로 잉크가 남아있지 않으므로, 미 사용된 절반에 해당하는 2구역(II)의 시작부분으로 인쇄위치를 맞추기 위해 리본의 감기 동작이 뒤따른다(P20). 리본(110)의 미 사용위치로 감기 동작을 수행한 후(P20), 입력된 이미지 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터 헤드(150)를 구동하는 것으로, 인쇄 작업을 개시한다(P21). 재생 인쇄가 종료된 시점에서 잉크리본(110)의 사용 내역을 최신정보로 갱신하게 된다(P22). 즉, 데이터 베이스(260)의 이력 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페이지 분에 대해서는 더 이상 잔여 잉크가 남아 있지 않다는 취지로, 당초 하이-로우 데이터("HL")를 하이-하이 데이터("HH")로 변경한다.
잉크리본(110)의 사용 내역을 최신정보로 갱신한 다음에, 잉크리본의 위치를 재생 인쇄 이전 원 사용위치로 복귀시킨다(P23). 이것은 차후 새로운 인쇄에 대비하여, 잉크리본(11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며, 제어/신호처리부(250)는 초기에 저장된 원 사용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잉크리본(110)의 감기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P15 단계에서 잉크리본에 잔량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어, 재생 인쇄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P16 단계에서 사용자가 재생 인쇄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P24 단계에 따라 일반 인쇄 모드를 수행하여, 잉크리본(110)을 현 사용위치로부터 그대로 진행시키면서 인쇄작업을 처리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두 번째 페이지 분(②)의 예시처럼, 잉크리본(110)의 1구역(I)만을 할애하여 인쇄를 진행하며, 2구역(II)에는 사용되지 않은 여분의 잉크가 잔존하게 되고, 추후 재생 인쇄에 대비하여 해당 페이지 분에 대한 사용 내역을 데이터 베이스(260) 내에 축적한다(P25). 예를 들어, 재생 인쇄가 가능한 여분의 잉크가 존재한다는 취지로, 하이-로우 데이터("HL")를 위치정보와 함께 데이터 베이스(260)에 기록한다.
또 다른 처리 흐름으로, P13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4x6 판 인쇄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되면, P26 단계에 따라 잉크리본(110)을 현 사용위치로부터 그대로 진행시키면서 통상적인 인쇄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에는 도 1에 도시된 세 번째 페이지 분(③)의 예시처럼, 인쇄 종료시에 잔여 잉크가 남지 않게 되며, 이러한 사용 내역에 관한 최신정보로서 예를 들어, 하이-하이 데이터("HH")를 데이터 베이스(260) 내에 축적하게 된다.
한편, 잉크리본(110)의 사용 내역을 기록하여 두었다가 재생 인쇄시 참조자료로 활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데이터 베이스(260)의 기록에 부가적으로 또는 데이터 베이스(260)를 대신하여, 잉크리본(110) 자체에 사용 내역을 기록하는 것이 고 려된다. 이는 특히, 잉크리본(110)이 탈착되어 교환 또는 재장착되는 때에는 잉크리본(110)의 현 위치와 데이터 베이스(260)의 기록 간의 미스-매치(mis-match)가 발생됨으로써, 잉크리본(110) 자체에 기입된 사용 내역을 참고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9는 사용내역을 기록한 잉크리본(110)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첫 번째 및 세 번째 페이지 분(①,③)은 4x6 판 인쇄로 전 영역에 걸쳐 잉크가 소진되었고, 두 번째 페이지 분(②)은 1구역(I)/2구역(II)으로 2 분할된 것으로, 1구역(I)은 4x3 판 인쇄로 잉크가 소진되었고, 2구역(II)은 잔여 잉크가 남아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네 번째 페이지 분(④)은 1구역(I)/2구역(II)으로 2 분할된 것으로, 1구역(I)/2구역(II) 모두 4x3 판 인쇄로 잉크가 모두 소진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다섯 번째 페이지 분(⑤)은 전체적으로 잉크가 남아 있는 미 인쇄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각 페이지 분의 인쇄종료위치에는 해당 페이지의 사용내역을 기록한 이력마크(미도시)가 기입되어 있는데, 각 페이지 분의 인쇄가 종료되는 절취선(C`)과, 다음 페이지 분의 인쇄가 시작되는 절취선(C`) 사이의 인쇄마진영역(h1,h2,h3,h4) 내에 기입되어 있다.
도 10에는 상기 인쇄마진영역(h1,h2,h3,h4)에 대한 확대 도면들이 각기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각 페이지 분의 인쇄종료위치에는 해당 페이지의 사용내역을 기록한 이력마크(K31,K32,K33)가 기입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절취선 마크(C`) 사이의 인쇄마진영역(h1,h2,h3,h4) 내에 기입되어 있으며, 그 다음 페이지 분의 시작을 알리는 시작마크(K1)에 앞서서 서로 겹치지 않게 기입되어 있다. 상기 이력마크(K31,K32,K33)는 크게, 풀 사이즈(4x6)로 잉크가 전량 사용된 것을 나타내고자 인위적 마크를 가하지 않은 바탕 표시(h1,h3 참조)와, 1구역/2구역의 분할 사용으로 잔여 잉크가 남아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1줄 표시(h2 참조)와, 재생 사용으로 1구역/2구역을 모두 사용하여 잔여 잉크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2줄 표시(h4 참조)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용지(Pa)상에 나타나는 인쇄 패턴(K31`,K32`,K33`)과 그에 대응하여 잉크리본(110) 상에 표시되는 각종의 이력마크들(K31,K32,K33)을 보여준다. 이력마크(K31,K32,K33)의 기입 동작과 관련하여, 도 11과 같이 1줄 또는 2줄의 인쇄 패턴(K32`,K33`)을 용지(Pa)상에 인쇄하는 것에 수반하여, 도 12와 같이, 대응되는 잉크리본(110) 상에는 잉크가 소진된 음각의 스트립이 형성될 것인데, 이것이 바로 이력마크(K32,K33)가 된다. 또한, 도 11과 같이 용지(Pa)상 어떠한 인쇄도 가하지 않았다면(K31`참조), 대응되는 잉크리본(110) 상에는 잉크 전량이 남게 되는데, 이것 자체로 이력마크(K31)의 기능을 하게 된다.
입력된 이미지 신호와 무관하게 용지(Pa)상에 인쇄되는 인쇄 패턴(K31`,K32`,K33`)은 절취선을 벗어난 가장자리(인쇄마진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배지 과정에서 이미지 영역으로부터 컷팅되어 제거되며, 사용자 효용에 제공되지 않는다. 이력마크(K31,K32,K33)에 동반하여 필연적으로 형성되는 인쇄 패턴(K31`,K32`,K33`)은 별도의 효용은 없는 것으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P22 단계에서 재생 인쇄까지 마쳤다는 취지로서 잉크리본 상에, 예를 들어, 2줄 표시의 이력마크를 기입할 수 있다.
인쇄시마다 기입되는 이력마크(K31,K32,K33)는 추후의 재생 인쇄 모드에서, 제어/신호처리부(250)가 잉크리본(110)을 전체적으로 되감기하면서 잉크 잔여 위치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발광-수광소자로 구성된 위치탐지센서(131,132)가 상기 이력마크(K31,K32,K33)로서, 예를 들어, 1줄 표시를 포착함으로써, 잉크 잔여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포토 프린터에 장착되는 잉크리본의 일 유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포토 프린터의 기본적인 인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인쇄 동작에 관여하는 인쇄부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포토 프린터의 기능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에 관한 데이터 구조의 일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잉크리본의 4-분할 사용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에 관한 데이터 구조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사용내역에 관한 정보를 잉크리본 상에 기록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잉크리본 상에 기록한 각종의 이력마크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12는 잉크리본의 이력마크의 기입과 관련하여, 인쇄용지상의 인쇄 패턴과 대응되는 이력마크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쇄부 110 : 잉크리본
121 : 공급 롤러 122 : 회수 롤러
125 : 플래튼 롤러 126 : 급지 롤러
128 : 가이드 롤러 131,132 : 위치탐지센서
133 : 카운터 150 : 프린트 헤드
151 : 발열소자 170 : 커터
180 : 스텝 모터 210 : LCD 패널
220 : 키 조작부 230 : 통신 제어부
240 : 데이터 저장부 250 : 제어/신호처리부
260 : 데이터 베이스 K1 : 시작마크
K2 : 구분마크 K31,32,33 : 이력마크

Claims (13)

  1. 사용자로부터 일반 인쇄 또는 재생 인쇄에 관한 모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재생 인쇄 모드에 대한 선택으로 판단되면,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을 조회하여 잔여 잉크로 출력 가능한 인쇄 규격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취득된 인쇄 규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옵션 선택을 안내하는 단계;
    선택된 인쇄 규격을 제공하는 잉크 잔여 위치로 잉크리본을 되돌리는 단계;
    잔여 잉크를 활용하여 재생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잉크리본의 사용내역을 최신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의 조회는, 매 페이지 분에 대한 사용내역을 저장해둔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의 조회는, 상기 잉크리본을 전체적으로 되감기(rewinding) 하는 한편으로, 잉크리본 자체에 기입된 이력마크를 스캔하면서 잔량 정보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마크는 매 페이지 분의 인쇄종료위치에 기입되고, 해당 페이지 분에 대한 부호화된 사용정보를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규격에 대한 정보의 표시는, 상기 잔여 잉크로 출력 가능한 인쇄 매수도 함께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잔여 위치로 잉크리본을 되돌리는 단계 이전에, 잉크리본의 현 위치를 원 사용위치에 관한 정보로서 기억해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리본의 사용내역을 최신정보로 갱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억해둔 원 사용위치로 잉크리본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7. 사용자로부터 인쇄 사이즈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인쇄 사이즈가 잉크리본과의 관계에서, 각 컬러 구간의 전체 면적에 대응되는 풀 사이즈인지 또는 각 컬러 구간의 적어도 2 분할된 면적에 대응되는 분할 사이즈인지 판단하는 단계;
    분할 사이즈로 판단되면,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을 조회하여 잔여 잉크 잔량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잉크 잔량이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재생 인쇄를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재생 인쇄의 선택에 따라 잔여위치로 잉크리본을 되돌리는 단계;
    잔여잉크를 활용하여 재생 인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잉크리본의 사용내역을 최신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의 조회는, 매 페이지 분에 대한 사용내역을 저장해둔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리본의 과거 사용내역의 조회는, 상기 잉크리본을 전체적으로 되감기(rewinding) 하는 한편으로, 잉크리본 자체에 기입된 이력마크를 스캔하면서 잔량 정보를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마크는 매 페이지 분의 인쇄종료위치에 기입되고, 해당 페이지 분에 대한 부호화된 사용정보를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의 제어방법.
  11. 잉크리본의 매 페이지 분에 대한 사용내역이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잉크리본의 사용내역을 조회하여 잔여 잉크로 출력 가능한 인쇄 규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잉크리본을 감기(winding)/되감기(rewinding) 하면서 잉크리본의 인쇄위치를 결정하는 제어/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어/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쇄대상 이미지를 용지상으로 출력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리본에는 매 페이지 분에 대한 사용내역이 부호화된 이력마크로 기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KR1020070109709A 2007-10-30 2007-10-3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3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709A KR101436319B1 (ko) 2007-10-30 2007-10-3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709A KR101436319B1 (ko) 2007-10-30 2007-10-3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905A KR20090043905A (ko) 2009-05-07
KR101436319B1 true KR101436319B1 (ko) 2014-09-01

Family

ID=4085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70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6319B1 (ko) 2007-10-30 2007-10-30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484A (ko) 2022-09-16 2024-03-25 디에스글로벌 (주) 인화에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포토 프린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7207A (ko) * 1993-12-31 1995-07-20 김광호 A4/a5/a6용지 겸용 승화형 프린터장치 및 그의 프린팅 방법
KR19990007340A (ko) * 1997-06-25 1999-01-25 이데이 노부유끼 프린터 장치 및 인쇄 방법
KR0162206B1 (ko) * 1994-06-24 1999-03-30 김광호 프린터의 잉크리본 상태검출장치
KR20060120377A (ko) * 2005-05-19 2006-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에서 재생리본을 이용한 미리보기 인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7207A (ko) * 1993-12-31 1995-07-20 김광호 A4/a5/a6용지 겸용 승화형 프린터장치 및 그의 프린팅 방법
KR0162206B1 (ko) * 1994-06-24 1999-03-30 김광호 프린터의 잉크리본 상태검출장치
KR19990007340A (ko) * 1997-06-25 1999-01-25 이데이 노부유끼 프린터 장치 및 인쇄 방법
KR20060120377A (ko) * 2005-05-19 2006-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에서 재생리본을 이용한 미리보기 인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484A (ko) 2022-09-16 2024-03-25 디에스글로벌 (주) 인화에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포토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905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841B2 (en) Re-transfer print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CN102189779B (zh) 双面打印方法和设备
CN102211473B (zh) 打印控制设备和方法
CN101668640B (zh) 热打印机及其控制方法
JP2008529863A (ja) ドナー材料を使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2616019A (zh) 打印控制设备和打印控制方法
US20080012928A1 (en) Producing standard format and wide-format prints with efficient donor material use
KR101436319B1 (ko) 포토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JP2009502576A (ja) ドナー材料の効率的使用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843830B2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ト制御方法
US634894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JP5339887B2 (ja)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201442B1 (en) Ink sheet type-printing apparatus
JP5665403B2 (ja) プリンタ、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51271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361061A (ja) 印刷装置
CN1951701A (zh) 避免跳跃的墨带以及包含它的热转印型成像装置
EP032511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multicolored images
US7265771B2 (en) Printer capable of detecting status of unutilized ribbon
JP2009241315A (ja) インクリボンおよびプリンタ
US7252443B2 (en) Printer capable of detecting status of unutilized ribbon
JP4043317B2 (ja) マルチプリントシステム
TWI253400B (en) Printer capable of detecting status of unused ribbon
JPH1148542A (ja) 印刷装置
JP2007069508A (ja) インクシート及びインクシートカセット並びに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