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089B1 -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6089B1 KR101436089B1 KR20130011240A KR20130011240A KR101436089B1 KR 101436089 B1 KR101436089 B1 KR 101436089B1 KR 20130011240 A KR20130011240 A KR 20130011240A KR 20130011240 A KR20130011240 A KR 20130011240A KR 101436089 B1 KR101436089 B1 KR 1014360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polyaniline
- polymer
- conductive polymer
- ac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6—Wholly aromatic polyamines
- C08G73/0266—Polyanilines or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8—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anilines, polyphenyl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PPC 함량에 따른 ES/PPC 혼합물의 FTIR 스펙트럼 중 CO 피크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위: 30%, 중간: 20%, 아래: 0%).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PPC 함량에 따른 ES/PPC 혼합물의 FTIR 스펙트럼 중 OCO 피크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위: 30%, 중간: 20%, 아래: 0%).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PPC의 DSC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PPC 함량에 따른 ES/PPC 혼합물의 DSC 곡선의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다(3점 곡선: 30%, 2점 곡선: 20%, 실선: 0%).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PPC의 TGA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X-선 회절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UV-vis ES/PPC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UV-vis PANi 공중합체/PPC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UV-vis ES/PPC의 PPC 분자량별 흡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PPC 분자량별 DSC 곡선(실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8)
- 전도성 고분자 및 고분자 응집방지제 (Polymer Deaggregating Agent; PDA)를 혼합하여 분자 복합체(molecular composite)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응집 방지제는 폴리알킬렌카르보네이트 고분자; 또는, 폴리알킬렌카르보네이트 고분자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알킬렌카르보네이트 고분자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의 공중합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응집방지제는 희생결합제(sacrificial binder)로서 이용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s),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paraphenylenevinylenes), 폴리아닐린(polyanilines), 폴리아진(polyazines), 폴리티오펜(polythiophenes),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poly-p-phenylene sulfides), 폴리푸란(polyfuranes), 폴리피롤(polypyrroles), 폴리셀레노펜(polyselenophene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s),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을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닐린은 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알콕시알킬기, 티오알킬기, 시아노기, 할로겐기, 알콕시아릴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기, 옥시아릴기, 아릴옥시기, 알킬아릴기, 아릴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로 치환되어 개질된 폴리아닐린을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닐린은 고분자 주쇄에, o-톨루이딘, m-톨루이딘, 2-페녹시아닐린, 3-페녹시아닐린, o-에틸아닐린, m-에틸아닐린, o-에톡시아닐린, m-부틸아닐린, m-헥실아닐린, m-옥틸아닐린, 2,3-디메틸아닐린, 2,5-디메틸아닐린, 2,5-디메톡시아닐린, o-시아노아닐린, 2,5-디클로로아닐린, 2-브로모아닐린 또는 5-클로로-2-메톡시아닐린을 포함하는, o- 또는 m-치환 아닐린과; 4-페녹시아닐린, 2-아미노디페닐에테르,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1,3-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2,6-디클로로나프탈렌, 4-메틸카테콜, 히드록시퀴논, 또는 페놀기가 포함된 공중합체 폴리아닐린을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도핑되거나 탈도핑된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응집방지제는 극성고분자 폴리락티드, 폴리비닐알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에텔렌옥시드, 폴리비닐피롤리디논, 셀룰로즈유도체, 열가소성 전분, 리그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추가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전도성 고분자 및 고분자 응집방지제의 분자 복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응집 방지제는 폴리알킬렌카르보네이트 고분자; 또는, 폴리알킬렌카르보네이트 고분자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알킬렌카르보네이트 고분자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의 공중합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 삭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응집방지제에 대한 전도성 고분자의 중량비는 1:100 내지 100:1인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s),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paraphenylenevinylenes), 폴리아닐린(polyanilines), 폴리아진(polyazines), 폴리티오펜(polythiophenes),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poly-p-phenylene sulfides), 폴리푸란(polyfuranes), 폴리피롤(polypyrroles), 폴리셀레노펜(polyselenophene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s),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인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닐린은 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알콕시알킬기, 티오알킬기, 시아노기, 할로겐기, 알콕시아릴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기, 옥시아릴기, 아릴옥시기, 알킬아릴기, 아릴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로 치환되어 개질된폴리아닐린을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닐린은 고분자 주쇄에, o-톨루이딘, m-톨루이딘, 2-페녹시아닐린, 3-페녹시아닐린, o-에틸아닐린, m-에틸아닐린, o-에톡시아닐린, m-부틸아닐린, m-헥실아닐린, m-옥틸아닐린, 2,3-디메틸아닐린, 2,5-디메틸아닐린, 2,5-디메톡시아닐린, o-시아노아닐린, 2,5-디클로로아닐린, 2-브로모아닐린 또는 5-클로로-2-메톡시아닐린을 포함하는, o-, 또는 m-치환 아닐린과; 4-페녹시아닐린, 2-아미노디페닐에테르,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1,3-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2,6-디클로로나프탈렌, 4-메틸카테콜, 히드록시퀴논, 또는 페놀기가 포함된 폴리아닐린을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도핑되거나 탈도핑된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응집방지제는 극성고분자 폴리락티드, 폴리비닐알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에텔렌옥시드, 폴리비닐피롤리디논, 셀룰로즈유도체, 열가소성 전분, 리그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추가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3/000831 WO2013115596A1 (ko) | 2012-02-01 | 2013-02-01 | 전도성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US14/449,612 US9443639B2 (en) | 2012-02-01 | 2014-08-01 | Conductive polymer blend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0516 | 2012-02-01 | ||
KR20120010516 | 2012-02-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9207A KR20130089207A (ko) | 2013-08-09 |
KR101436089B1 true KR101436089B1 (ko) | 2014-08-29 |
Family
ID=4921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11240A Active KR101436089B1 (ko) | 2012-02-01 | 2013-01-31 |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443639B2 (ko) |
KR (1) | KR1014360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2812B1 (ko) * | 2014-06-11 | 2016-01-07 | (주)제이캠 | 치수안정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
US10074453B2 (en) * | 2014-08-21 | 2018-09-11 |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 P-toluenesulfonate doped polypyrrole/carbon composite electrode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JP2017018910A (ja) * | 2015-07-13 | 2017-01-26 | CO2M‐Tech株式会社 | 複合膜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80036047A (ko) * | 2016-09-30 | 2018-04-09 | 주식회사 엘파니 | 전도성 유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충진재 |
CN106432560B (zh) * | 2016-10-21 | 2018-10-12 | 河北工业大学 | 一种用于Alpha-烯烃聚合的固体催化剂 |
CN110462119B (zh) * | 2017-03-24 | 2022-03-11 | 东丽株式会社 | 吸放湿性优异的聚酰胺纤维 |
CN113401961B (zh) * | 2021-05-20 | 2023-06-23 | 陈鹏 | 一种可光谱调控的水处理用黑色素材料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2774A (ko) * | 1997-12-04 | 2001-04-25 | 에따 프랑세 르프레장떼 빠르 르 델레게 제네랄 뿌르 라르망 | 왕복식 동기 모터 |
KR20060079402A (ko) * | 2004-12-31 | 2006-07-06 |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 전도성 폴리비닐카르바졸 나노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080018674A (ko) * | 2006-08-25 | 2008-02-28 |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대전방지 코팅막제조 방법 및 그 코팅막 |
US20090032774A1 (en) * | 2007-08-03 | 2009-02-05 | Marie Angelopoulos | Deaggregat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32631A (en) | 1991-06-12 | 1993-08-03 | Uniax Corporation | Processible forms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aniline |
JPH0826231B2 (ja) | 1991-08-16 | 1996-03-13 |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 導電性ポリマー材料及びその使用 |
US5804100A (en) * | 1995-01-09 | 1998-09-0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eaggregat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
US6087472A (en) * | 1995-01-09 | 2000-07-1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s of fabrication of deaggregat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
US6005070A (en) * | 1995-05-30 | 1999-12-2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s of fabrication of deaggregat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
US6099756A (en) * | 1996-07-25 | 2000-08-0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Vibrational methods of deaggrega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
US6153725A (en) * | 1996-07-25 | 2000-11-2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ontrol of polymerization kinetics and rate of polymer precipitation as a means of controlling the aggregation and morphology in conductive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
US5990249A (en) * | 1997-01-16 | 1999-11-2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s of fabrication of deaggregat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
US6203727B1 (en) | 1997-10-15 | 2001-03-20 | The Dow Chemical Company | Electronically-conductive polymers |
US6806349B2 (en) * | 1999-01-12 | 2004-10-1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s of fabrication of deaggregat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
US8198396B2 (en) * | 1999-07-02 | 2012-06-1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s of fabricating plasticized, antiplasticized and crystalline conducting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
KR100426344B1 (ko) * | 2001-03-21 | 2004-04-06 | 이석현 | 용해성 자발배열 물질 및 그 물질을 포함하는 전도성고분자 조성물 |
US7316791B2 (en) | 2003-12-30 | 2008-01-08 |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Polyimide based substrate comprising doped polyaniline |
US20050269555A1 (en) * | 2004-05-11 | 2005-12-08 | Suck-Hyun Lee | Conductive polymers having highly enhanced solubility in organic solv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ynthesizing process thereof |
KR100899683B1 (ko) * | 2008-08-13 | 2009-05-27 | 주식회사 엘파니 | 전도성 폴리아닐린 및 그 합성방법 |
KR101365014B1 (ko) * | 2011-04-25 | 2014-02-20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유기술폰산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도판트, 및 상기 도판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
JP5523633B2 (ja) * | 2011-07-19 | 2014-06-1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直接酸化型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直接酸化型燃料電池 |
-
2013
- 2013-01-31 KR KR20130011240A patent/KR101436089B1/ko active Active
-
2014
- 2014-08-01 US US14/449,612 patent/US944363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2774A (ko) * | 1997-12-04 | 2001-04-25 | 에따 프랑세 르프레장떼 빠르 르 델레게 제네랄 뿌르 라르망 | 왕복식 동기 모터 |
KR20060079402A (ko) * | 2004-12-31 | 2006-07-06 |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 전도성 폴리비닐카르바졸 나노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080018674A (ko) * | 2006-08-25 | 2008-02-28 |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대전방지 코팅막제조 방법 및 그 코팅막 |
US20090032774A1 (en) * | 2007-08-03 | 2009-02-05 | Marie Angelopoulos | Deaggregate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s and precursors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076416A1 (en) | 2015-03-19 |
KR20130089207A (ko) | 2013-08-09 |
US9443639B2 (en) | 2016-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6089B1 (ko) | 전도성 고분자 블랜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Palaniappan et al. | Polyaniline materials by emulsion polymerization pathway | |
JP5139088B2 (ja) | 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 | |
Paul et al. | Melt/solution processable conducting polyaniline with novel sulfonic acid dopants and its thermoplastic blends | |
EP2014718B2 (en) | Conductive composition, and their production method | |
KR101138295B1 (ko) | 고유 전도성 중합체의 분산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870914B1 (ko) |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 |
JP5190424B2 (ja) | 伝導性ポリアニリン及びその合成方法 | |
KR20170120940A (ko) |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전극 활물질 | |
US9378860B2 (en) | Polyvinyl copolymer, dopant having the same, and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having the dopant | |
Paul et al. | Melt/solution processable conducting polyaniline: Elastomeric blends with EVA | |
WO2013115596A1 (ko) | 전도성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20120851A (ko) | 유기술폰산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도판트, 및 상기 도판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 |
Zhang et al. | Electrically conductive, melt‐processed ternary blends of polyaniline/dodecylbenzene sulfonic acid, ethylene/vinyl acetate, and low‐density polyethylene | |
Ezzati et al. | Polyaniline nano-/micromaterials–based blends and composites | |
KR100475413B1 (ko) | 유기용제 가용형 폴리아닐린, 그 제조방법 및 그의 응용 | |
KR100547285B1 (ko) | 접착성이 우수한 전도성 폴리아닐린 혼합액의 제조방법 및이 혼합액을 포함하는 전도성 코팅 용액 | |
Perrin et al. | Polyaniline-based thermoplastic blends | |
KR20160055678A (ko) |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제조 방법 | |
Zhang et al. | Morphology and thermal properties of conductive polyaniline/polyamide composite films | |
Sreejith |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rocessable conductive polyaniline blends | |
JP2008239924A (ja) | 導電性ポリマー組成物 | |
KR100559046B1 (ko) | 폴리아닐린과 시아노레진의 블렌드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 |
KR20140096707A (ko) | 우수한 내수성, 내화학성, 및 내후성을 갖는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158264B1 (ko) | 용매에 대한 용해도 및 분산성이 우수한 전도성 폴리아닐린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