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5807B1 -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807B1
KR101435807B1 KR1020070114953A KR20070114953A KR101435807B1 KR 101435807 B1 KR101435807 B1 KR 101435807B1 KR 1020070114953 A KR1020070114953 A KR 1020070114953A KR 20070114953 A KR20070114953 A KR 20070114953A KR 101435807 B1 KR101435807 B1 KR 101435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mark
erroneously detected
detected
marks
reference mark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9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48872A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807B1/en
Publication of KR2009004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8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80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72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on record carriers stor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11B7/00781Auxiliary information, e.g. index marks, address marks, pre-pits, gra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8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de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이미지를 재생할 때에, 데이터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data image when reproducing a data image from a recording medium.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은 데이터 페이지내의 기준마크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준마크의 위치가 오검출되었으면,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 보정에 사용할 정상 기준마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인접한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correcting a data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position of a reference mark in a data page is normally detected; Selecting a normal reference mark to be used for positional correc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f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selected adjacent reference mark.

기록매체, 데이터 이미지, 보정 Recording medium, data image, correction

Description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과 기록매체 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재생 장치{Method for Compensating Data Image,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a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기록매체 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이미지를 재생할 때에, 데이터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data image when reproducing a data image from a recording medium.

최근 기술의 발달로 고용량, 고밀도의 기록매체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매체로의 예로,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가 있다. 또한, 획기적으로 기록용량을 증대시킨 차세대 기록매체인 BD(Blu-ray Disc) 혹은 홀로그래피(Holography)를 이용한 기록매체 등이 있다. 특히, 홀로그래피(Holography)를 이용한 기록매체의 경우, 광의 회절 및 간섭 특성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볼륨에 데이터를 중첩하여 기록할 수 있어서 그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데이터를 재생함에 있어서, 광축정렬 혹은 광학적 부품간의 오차로 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혹은 이미지 자체의 복잡성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Due to recent developments in technology, high capacity and high density recording media have emerged. Examples of such a recording medium include a CD (Compact Disc) and a DVD (Digital Versatile Disc). In addition, there is a BD (Blu-ray Disc) which is a next generation recording medium which dramatically increases the recording capacity or a recording medium using holography.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recording medium using holography, data can be superimposed on the volume of the recording medium by using the diffraction and interference characteristics of light, and the capacity thereof can be remarkably increased. However, in reproducing data, errors due to alignment of optical axes or errors between optical components may occur. Or error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image itself.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rrecting such an error are needed.

본 발명은 홀로그램에서 데이터 재생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errors that may occur during data reproduction in a hologram.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은 데이터 페이지내의 기준마크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준마크의 위치가 오검출되었으면,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 보정에 사용할 정상 기준마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인접한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correcting a data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position of a reference mark in a data page is normally detected; Selecting a normal reference mark to be used for positional correc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f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selected adjacent reference mark.

상기 기준마크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각 검출된 기준마크의 검출된 위치를 알려진 기준마크의 위치와 비교하여 제 1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 상기 각 기준마크의 제 1 위치차를 이용하여, 인접한 기준마크들 간의 제 1 위치차의 차이인 제 2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마크를 오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s normally detected comprises the steps of: comparing a detected position of each detected reference mark with a position of a known reference mark to obtain a first position difference; Obtaining a second position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of first position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reference marks using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of each reference mark; And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if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기준마크는 정상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mark is normally detected when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상기 임계치는 미리 정해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hreshold value is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을 위해서 정상 기준마크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에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각 각 적어도 2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lection of the normal reference mark for correcting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normal reference marks adjacent to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are selected in each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은 2차원 데이터 이미지의 각 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parallel to the respective directions of the two-dimensional data image.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단일 오검출된 기준마크일 경우,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한 방향에 대해서만 선택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a singl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can be selected only in one direction.

상기 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 판별된 기준마크를 적어도 2개를 선택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tep of correcting the detected reference mark position comprises the step of selecting at least two of the normally judged reference marks and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내삽법을 사용하여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stimation of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performed using an interpolation method when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located between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s.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들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외삽법을 사용하여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estimated by using an extrapolation method when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located outside the reference marks that are normally detec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은 데이터 페이지내의 기준마크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기준마크의 위치가 오검출되었으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활용하여 각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구해진 보정값을 평균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rrecting a data image,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reference mark in a data page is normally detected; Determining a correction value in each direction by using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adjacent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f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which is erroneously detected by averaging the correction values obtai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상기 기준마크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각 검출된 기준마크의 검출된 위치를 알려진 기준마크의 위치와 비교하여 제 1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 상기 각 기준마크의 제 1 위치차를 이용하여, 인접한 기준마크들 간의 제 1 위치차의 차이인 제 2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마크를 오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s normally detected comprises the steps of: comparing a detected position of each detected reference mark with a position of a known reference mark to obtain a first position difference; Obtaining a second position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of first position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reference marks using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of each reference mark; And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if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상기 임계치는 미리 정해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hreshold value is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단일 오검출된 기준마크이면,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활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can be corrected by utilizing the reference mark normally detected in only one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a singl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

각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단계는 각 방향으로의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obtaining the correction value in each direction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which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in each direction.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외삽법 또는 내삽법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the estimation of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extrapolated or interpolated.

각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것은,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2차원 좌표에 각각에 대해서 각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rrection value in each direction is obtained by finding a correction value in each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각 방향으로의 구해진 보정값을 평균하는 것은,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2차원 좌표각각에 대해서 구해진 보정값을 평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verage of the correction values obtained in each direction is characterized by averaging the correction values obtained for each two-dimensional coordinate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은 데이터 페이지내의 기준마크의 위치를 검출하여 기준마크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기준마크의 위치가 오검출되었으면 상기 연속하여 오 검출된 기준마크의 개수에 따라서 단일 오검출 기준마크 또는 복수 오검출 기준마크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오검출 기준마크가 단일 오검출 기준마크일 경우 제 1 보정방법으로 보정하고, 상기 오검출 기준마크가 복수 오검출 기준마크일 경우 제 2 보정방법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rrecting a data image, comprising: detecting a position of a reference mark in a data page to determine whether a reference mark is normally detected; And classifying the plurality of erroneous reference marks into a single erroneous reference mark or a plurality of erroneous reference marks according to the number of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The first correction method is used when the erroneous detection reference mark is a single erroneous detection reference mark and the second correction method is used when the erroneous detection reference mark is a plurality of erroneous detection reference marks.

상기 기준마크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각 검출된 기준마크의 검출된 위치를 알려진 기준마크의 위치와 비교하여 제 1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 상기 각 기준마크의 제 1 위치차를 이용하여, 인접한 기준마크들 간의 제 1 위치차의 차이인 제 2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마크를 오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s normally detected comprises the steps of: comparing a detected position of each detected reference mark with a position of a known reference mark to obtain a first position difference; Obtaining a second position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of first position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reference marks using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of each reference mark; And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if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상기 제 1 보정방법은, 정상 검출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rrection method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at least two adjacent reference marks that are normally detected.

상기 제 2 보정방법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활용하여 각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구해진 보정값을 평균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rrection method includes: obtaining a correction value in each direction by utilizing a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adjacent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which is erroneously detected by averaging the correction values obtai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2차원 데이터 이미지의 각 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parallel to respective directions of the two-dimensional data im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재생 장치는 데이터 이미지내의 기준마크을 독출하는 광변조부; 상기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 오검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경우,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 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a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modulator for reading a reference mark in a data image; And corre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in the case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가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 오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각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해당하는 기준마크의 미리 알려진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제 1 위치차를 구하고, 인접한 기준마크들 간의 제 1 위치차의 차이인 제 2 위치차를 구하고,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마크를 오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each read reference mark with the previously know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ference mark to obtain a first position difference, A second position differenc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sition differences is obtained; and when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reference mark is determined to be erroneously detected.

상기 제어부가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정정하는 것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정상 기준마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using at least two normal reference marks.

상기 제어부가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정정하는 것은, 정상 기준마크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normal reference mark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상기 제어부가 정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적어도 2개의 정상 기준마크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us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normal reference mark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t least two normal reference marks.

상기 제어부가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정정하는 것은,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에 대해서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 by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 in the first direction and / or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And the position of the mark is correc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재생장치는 데이터 이미지내의 기준마크을 독출하는 광변조부; 상기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 오검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경우,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각 방향으로 보정값을 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lso, a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modulator for reading a reference mark in a data image;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ead reference mark is misalig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case of an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the misalignment of the reference mark in the first direction and / And a control unit for obtaining a correction value.

상기 제어부가 기준마크의 위치 오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각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해당하는 기준마크의 미리 알려진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제 1 위치차를 구하고, 인접한 기준마크들 간의 제 1 위치차의 차이인 제 2 위치차를 구하고,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마크를 오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reference mark is misaligned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each read reference mark with the know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ference mark to obtain a first position difference, A second position difference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s obtained; and when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threshold, the reference mark is determined to be erroneously detected.

상기 제어부는 오검출된 기준마크를 단일 오검출 또는 복수 오검출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trol section classifies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nto a single erroneous detection or a plurality of erroneous detection.

상기 복수 오검출은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연속하여 2개 이상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plurality of erroneous detections include two or mor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단일 오검출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a single erroneous detection, the controller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using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복수 오검출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의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a plurality of erroneously detected.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복수 오검출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의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각 방향으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값을 구하고,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평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when a plurality of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are erroneously detected, the control section obtains correction values of reference marks erroneously detected in each direction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correction values in the two directions are averaged.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각각 2 차원 데이터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respectivel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two-dimensional data image.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상방법 및 기록매체 재생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재생시의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외란에도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데이터 이미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군집오류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비하여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ata image compens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iability of data at the time of playback of the recording medium can be ensured. In addition, it can effectively prepare for various disturbanc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a cluster error that may occur in a complicated data ima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and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됨을 밝혀두고자 한다.In addition,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common terms that are widely used at present, but in some cases, there are terms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this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as a meaning of a term that is not a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디스크 특히 "홀로그래피(Holography) 기록매체"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recording medium " means any medium on which data is recorded or recordable. For example, the term " recording medium "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disk as a recording medium, particularly, a "holography recording medium"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it should be apparent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ally applicable to other recording medi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장치 및/또는 재생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1에서는, 일반적인 구성요소들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는 광원부(11), 제 1, 2 광분할부(13, 16), 광조절부(14), 광변조부(15), 메모리(17), 이미지 센서(18)와 제어부(20)를 포함한다.1 is an embodiment of a recording apparatus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e general components are omitted and only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1,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11, first and second light split units 13 and 16, a light control unit 14, an optical modulation unit 15, A memory 17, an image sensor 18, and a control unit 20.

광원부(11)는 간섭성이 매우 높은 광, 예를 들어 레이저빔과 같은 광을 발생 시키는 기체 레이저, 고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또는 반도체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광원부(11)에서 출력된 광이 분산되지 않도록 모아주는 렌즈, 한 예로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등이 출력단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11 is composed of a gas laser, a solid-state laser, a semiconductor laser, a semiconductor diode, or the like that generates highly coherent light, for example, light such as a laser beam. In addition, a lens for collecting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 so as not to be dispersed, for example, a collimator lens, may be disposed at the output end.

제 1 광분할부(13)는 광원부(11)에서 출력된 광을 받아 신호광 및 기준광으로 분할한다. 제 1 광분할부(13)는 하나 이상의 투명기판과 광을 회절시키는 하나 이상의 격자층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광의 일부를 반사하고 나머지를 통과시키는 거울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광분할부(13)를 통과한 광의 일부는 제 2 광분할부(16)로 입사하고, 일부는 광변조부(15)로 입사한다.The first light splitting unit 13 receives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 and divides the light into a signal light and a reference light. The first light splitting unit 13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grating layers for diffracting light with one or more transparent substrates or a mirror for reflecting a part of light and passing the rest. Part of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light splitting section 13 is incident on the second light splitting section 16 and part of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light modulation section 15.

광변조부(15)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제 1 광분할부(13)에서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광을 생성한다. 일 예로, 광변조부(15)는 신호 광에 흑백의 도트(dot)로 표현되는 2진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편의상 백색의 도트는 "온(On)"으로 흑색의 도트는 "오프(Off)"로 명명될 수 있다. 혹은 반대로 명명할 수도 있다.The optical modulator 15 generates signal light containing data by using the light output from the first light splitting unit 1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For example, the optical modulation unit 15 may include binary data represented by monochrome dots in the signal light. At this time, for convenience, the white dot may be referred to as " On "and the black dot may be referred to as" Off ". Alternatively, it can be named.

또한, 신호광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데이터는 사용자가 기록하고자 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한 일련의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이외에도 기록되는 데이터로는 제어정보 및 데이터의 구역을 나타내기 위한 마크등이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light may include data, in which a series of data including user data to be recorded by the user may be recorded. In addition to user data, recorded data includes control information and a mark for indicating a zone of data.

또한, 광변조부(15)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는 2차원의 이미지를 갖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편의상 "데이터 이미지"라 명명할 수 있다. 데이터 이미지는 전술한대로 온(0n)/오프(Off)의 2진 도트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광변조부(15)는 데이터 이미지의 각 픽셀을 2진 도트로 표현하기 위해서, 픽셀단위 혹은 픽셀 블록 단위로 데이터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제어부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Further, the data generated from the light modulator 15 may be data having a two-dimensional image. Such data can be conveniently referred to as a "data image ". The data image can be expressed using binary dots of on (0n) / off (Off)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xpress each pixel of the data image in binary dot, the light modulator 15 may display the data image in pixel units or pixel block units,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신호빔이 기록매체(100)에 조사되는 동시에, 기록매체에는 참조빔이 조사된다. 참조빔은 제 1 광 분할부로부터 입사된 빔이 제 2 광분할부로 입사되며, 제 2 광분할부에서 나온 빔은 광조절부(14)를 거쳐 기록매체로 입사되는 빔이다.. A signal beam is irradiated to the recording medium 100, and a reference beam is irradiated to the recording medium. The reference beam is a beam that is incident on the first light splitting part and is incident on the recording medium via the light adjusting part 14. The reference beam is a beam that is incident from the first light splitting part into the second light splitting part.

참조빔은 기준빔이라는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다. 기준빔은 기록매체(100)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신호빔과 간섭을 일으키는 빔을 의미한다. 또한, 참조빔은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때 사용되는 빔을 의미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빔과 기준빔은 같은 광원에서 나오는 것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광 조절부(14)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제 2 광의 입사각도, 방향, 파장, 위상등을 조절하여 제 2 광을 기록매체(100) 입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reference beam can be named with a reference beam. The reference beam refers to a beam that causes interference with a signal beam when data i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100. [ Further, the reference beam means a beam used when read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reference beam and the reference beam may be used as those coming from the same light source. The light control unit 14 adjusts an incident angle, a direction, a wavelength, a phase, and the like of the second ligh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reby to input the second light to the recording medium 100.

이 때, 기준빔의 위상 및 파장에 따라서 기록매체에 다른 간섭무늬가 기록된다. 따라서, 기준빔의 위상 또는 파장을 달리하여 기록매체의 동일한 영역에 반복하여 중첩적으로 기록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홀로그래피 기록매체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한 영역에 복수개의 데이터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different interference fringes are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in accordance with the phase and the wavelength of the reference beam. Therefore, the reference beam may be repeatedly and superimposedly recorded on the same area of the recording medium by changing the phase or wavelength of the reference beam. By using such a characteristic, the capacity of the holographic recording medium can be increased. That is, a plurality of data images can be recorded in one area.

혹은, 전술한 광원과 제 1 광분할부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로서 "제 1 광출력부"라 명명되는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광원과 제 2 광분할부 및 광조절부를 포함한 구성요소로서 "제 2 광출력부"라 명명되는 구성요소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component called "first light output portion"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mponent including both the light sour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light splitting portion. Further, a component called "second light output portion" as an element including the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plitting portion and the light control por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기록매체의 기록시에는 제 1 광분할부와 제 2 광분할부가 모두 사용되어야 한다. 반면, 기록매체의 재생시에는 참조빔만 사용되어도 기록매체에 기록된 이미지를 독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재생시에는 재 2 광분할부만 사용될 수도 있다. In recording the recording medium,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splitting sections should be used.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reproduction of the recording medium, even if only the reference beam is used, the image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can be rea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econd divided light portion can be used at the time of reproducing the recording medium.

재생시에는 기록시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위상 및 파장의 광을 기록매체에 조사하여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시에 사용된 광의 위상, 파장, 광조절부의 입사각도등이 기록되거나 메모리(17)에 저장되어 재생시에 사용될 수 있다.At the time of reproduction, information can be read by irradiating the recording medium with light having the same phase and wavelength as those used at the time of recording. Therefore, the phase, wavelength, incidence angle of the light control unit, etc. used in recording can be recorded or stored in the memory 17 and used at the time of reproduction.

또한, 메모리(17)는 기록장치에 따른 왜곡 특성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데이터 이미지에 삽입되는 기준패턴의 위치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저장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게 하거나, 기록/재생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 중 사용자 데이터 이외의 정보들도 저장할 수 있다. Further, the memory 17 can store distortion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record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memory may temporarily store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attern inserted in the data image, and may record the data on the recording medium. Further, the memory 17 may record the data stored on the recording mediu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r use it for recording / reproducing. In addition, the memory 17 may store data to be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and may also store information other than user data among data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이미지 센서(18)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 등과 같은 광검출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광검출소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예로, 300*200, 1000*800 등과 같은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개의 광검출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8)는 기록매체를 통과하거나, 기록매체(100)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광에 포함된 데이터 이미지를 촬영/판독한다. 한 예로,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센서는 기록매체를 통과하는 광을 수신하는 것이다. 혹은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위상 공액(phase conjugate) 신호광(데이터 이미지에 해당)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는 광수신부라는 명칭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The image sensor 18 may be composed of a light detector such as a charge-coupled device (CCD) or a CMOS. It may also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tical detectors.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tical detectors capable of providing resolutions such as 300 * 200, 1000 * 800, and the like. The image sensor 18 receives light reflected by the recording medium 100 or passes through the recording medium, and captures / reads a data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light. For example, the image sensor shown in Fig. 1 receives light passing through a recording medium. Or a phase conjugate signal light (corresponding to a data image) generated in a direction reflected from the recording medium. The image sensor may also be named as a light receiving portion.

제어부(20)는 메모리(17) 혹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여, 광변조부(15)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광변조부(15)를 제어하여,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를 흑백의 도트로 표현되는 2차원 비트맵(Bitmap)을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는 광조절부(14)를 제어하여, 제 1 광과 간섭을 일으키는 제 2 광의 세기, 입사각도, 위상, 파장등을 조절한다. 광조절부(14)를 제어하여, 기록매체(100)의 동일한 영역에 복수개의 데이터 이미지(데이터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광조절부(14)를 제어하여 기록시와 동일한 조건의 빔을 입사시켜서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이미지를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이미지 센서(18)에 의해 판독되는 데이터의 2차원 각 방향, 즉, x방향(가로), y방향(세로)의 광세기(휘도)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read the data recorded in the memory 17 or the recording medium, generate new data, and provide the new data to the light modulation unit 15.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light modulation unit 15 to generate a two-dimensional bitmap expressed by black and white dots of data read from the memory. Also,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ight control unit 14 to adjust the intensity, incident angle, phase, wavelength, etc. of the second light that interferes with the first light. It is possible to store a plurality of data images (data pages) in the same area of the recording medium 100 by controlling the light control unit 14 as described above. Also, the light control unit 14 may be controlled so that a beam having the same condition as that at the time of recording is incident to reproduce the data image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The controller 20 can also detect light intensity (luminance) in two-dimensional directions of the data read by the image sensor 18, that is, x direction (horizontal) and y direction (vertical).

또한, 제어부(20)는 데이터 이미지의 보정을 할 수가 있다. 데이터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의 한 예로, 위치 및 패턴 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기준마크를 데이터 이미지에 포함시키는 방법이 있다. 제어부(20)는 기준마크가 포함된 데이터 이미지를 재생할 때에, 기준마크의 이동량 혹은 왜곡량을 측정하여 데이터 이미지내의 이동 및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기준패턴의 위치를 오검출한 경우, 독출된 기준패턴의 위치를 보상하여 데이터 이미지 보상에 반영할 수도 있다.Also, the control unit 20 can correct the data image. As an example of a method of correcting a data image, there is a method of including a reference mark in advance of the position and pattern information in the data image. When reproducing the data image including the reference mark, the control unit 20 can measure the movement amount or the distortion amount of the reference mark to compensate the movement and distortion in the data image. When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attern is erroneously detected, the position of the read reference pattern may be compensated for and reflected in the data image compensation.

기록매체(100)로는 디스크 형태 또는 볼륨 형태의 기록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recording medium 100, a recording medium in the form of a disk or a volume can be us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에 기준마크를 삽입한 한 실시예이다. 도 2에 등간격으로 삽입된 사각형은 기준마크를 나타낸다.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이미지를 다양한 구역으로 나누어 구역별로 데이터 이미지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알고 있는 기준마크의 위치와 패턴을 이용하여, 재생시에는 기준마크의 이동량등을 측정함으로써 데이터 이미지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직접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준마크 사이에는 사용자 데이터등이 포함된다. 도 2에 도시된 기준패턴은 등간격으로 삽입되었지만, 기록/재생 장치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기준패턴의 간격이 조정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다.Fig. 2 is an embodiment in which a reference mark is inserted into a data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tangles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in Fig. 2 represent reference marks. Using the reference mark, the data image can be divided into various zones to compensate the data image by zone. In addition, the data image can be compensated by measuring the movement amount of the reference mark or the like at the time of reproduction using the position and pattern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known in advance. Further, although not shown directly in FIG. 2, user data and the like are included between reference marks. Although the reference patterns shown in Fig. 2 are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it is obvious that the intervals of the reference pattern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다만, 기준마크를 독출하여 데이터 이미지의 보상을 할 경우, 기준마크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히 독출해내는 것이 요구된다. 만일, 기준마크의 위치를 오검출하게 된다면, 데이터 이미지를 정확히 보상할 수 없게 된다. 특히, 기준마크의 위치를 오검출할 경우, 오검출한 기준마크에 해당하는 영역전반에 걸쳐서 오류가 발견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를 군집오류라 명명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reference mark is read and the data image is compensated, it is required to relatively accurately read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f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the data image can not be accurately compensated. In particular, when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an error can be found throughout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This error can be called a cluster error.

도 3은 기준마크의 위치를 오검출하여 발생한 군집오류의 한 예를 보여준다. 도 3은 흑백의 도트로 표현된 데이터 이미지를 재생한 한 예이다. 도 3의 원내부의 영역은 백색의 도트가 밀집되어 있는데, 이는 해당 영역에 해당하는 기준마크의 위치를 잘못 독출하여, 데이터 이미지를 보상함으로써 발생한 것이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 cluster error generated by erroneousl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3 is an example of reproducing a data image represented by black and white dots. The area inside the circle in FIG. 3 is a densely packed white dot, which is generated by compensating the data image by erroneously reading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corresponding to the area.

도 4는, 도 3과 같이 군집오류가 발생한 경우, 기준마크의 이동량을 도시한 한 예이다. 도 4에서 각 원은 기준마크의 데이터 이미지내에서 기준마크의 위치를 도시한다. 또한, 각 원에 부착된 직선은 기준마크의 위치 이동방향 및 이동량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은, 미리 위치정보를 알고 있는 기준마크에 대해서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FIG. 4 is an example showing the movement amount of the reference mark when a cluster error occurs as shown in FIG. Each circle in FIG. 4 show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n the data image of the reference mark. In addition, the straight line attached to each circle indicates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amount of the reference mark. Here,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amount indicate the position movement amount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reference mark read out for the reference mark which knows the position information in advance.

도 4에서는 기준패턴이 오검출된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포함된 행과 오검출된 기준패턴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포함된 행은 직사각형의 박스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는 원으로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대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경우 그 이동량 및 이동방향이 주변의 다른 기준마크와 다른 경향임을 알 수 있다.In FIG. 4, the row including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and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pattern are shown to indicate the erroneously detected region of the reference pattern. The row including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a rectangular box, and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represented by a circle. As shown in FIG. 4,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an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the amount of movement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are different from other neighboring reference marks.

XX YY ΔXΔX ΔYΔY 1One -3.4783-3.4783 3.48103.4810 0 0 00 22 -2.7536-2.7536 2.64072.6407 0.72470.7247 -0.8404-0.8404 33 -1.9192-1.9192 2.45692.4569 0.83440.8344 -0.1837-0.1837 44 1.37341.3734 -1.6174-1.6174 3.29263.2926 -4.0743-4.0743 55 0.27780.2778 1.39361.3936 -1.0956-1.0956 3.01103.0110 66 0.81650.8165 0.91370.9137 0.53870.5387 -0.4799-0.4799 77 1.75821.7582 0.26030.2603 0.94170.9417 -0.6535-0.6535 88 2.51682.5168 -0.3804-0.3804 0.7587 0.7587 -0.6407-0.6407

표 1은 도 4에 도시된 기준패턴의 이동량을 데이터로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4에서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포함된 행의 기준마크의 이동량을 데이터로 나타낸 것이다. 표 1의 일련의 번호가 포함된 왼쪽 열은 각 기준마크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의 사각형의 안의 각 기준마크에 대해 왼쪽에서부터 1,2...,8과 같은 일련 번호를 부여하였다. Table 1 shows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reference pattern shown in FIG. 4 as data. In particular, the movement amount of the reference mark of the row including the reference mark erroneously detected in FIG. 4 is represented by data. The left column with the serial number in Table 1 shows the position of each reference mark. That is, serial numbers such as 1, 2, ..., 8 are assigned to each reference mark in the square of FIG. 4 from the left.

표 1에서, X, Y는 미리 알고 있는 기준패턴의 위치와 독출된 기준패턴 위치차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예로 들고 있는 데이터 이미지의 경우, 2차원의 데이터 이미지이다. 따라서, 데이터 이미지 내에서 2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한 예로,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제 1 방향은 데이터 이미지의 가로 방향, 제 2 방향은 데이터 이미지의 세로 방향으로 할 수 있다. 편의상, 표 1에서는 편의상 X는 가로 방향의 차이, Y는 세로 방향의 차이로 둘 수 있다. 또한, 알려진 기준패턴의 위치와 독출된 기준패턴의 위치차 X 또는 Y를 "제 1 위치차"로 명명할 수 있다.In Table 1, X and Y represent the position of a previously known reference pattern and the read reference pattern position difference. In the case of the data image exempl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wo-dimensional data image. Therefore, two directions can be set in the data image.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an be set. The first direction may be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data image,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ata image. For convenience, in Table 1, X can be set as the differe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Y can be set as the vertical difference. Further, the position difference X or Y of the position of the known reference pattern and the read reference pattern may be referred to as "first position difference ".

또한, 표 1에서 ΔX는 인접한 X값들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첫번째 행의 ΔX1는 0으로 둘 수 있다. 또한, 두번째 행의 ΔX2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Also, in Table 1,? X represents the difference between adjacent X values. ΔX 1 in the first row can be set to zero. In addition, ΔX 2 in the second row can be expressed as follows.

ΔX2=X2-X1 ΔX 2 = X 2 -X 1

마찬가지 방법으로 ΔXn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the same way, ΔX n can be expressed as:

ΔXn=Xn-Xn -1 X n = X n -X n -1

또한, 마찬가지 방법으로 ΔYn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the same way, ΔY n can be expressed as follows.

ΔYn=Yn-Yn -1 ΔY n = Y n -Y n -1

또한, 편의상 인접한 제 1 위치차간의 차이인 ΔX, ΔY를 제 2 위치차라 명명할 수 있다. 특정한 기준마크의 위치가 오검출된 경우, 해당되는 기준마크의 제 2 위치차의 값이 주변의 다른 기준마크에 비해서 큰 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제 2 위치차를 이용하여 기준마크의 오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원안에 도시된 기준마크가 오검출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표 1을 참조하면 ΔX4, ΔY4의 값이 커짐을 알 수 있다. For convenience, ΔX and ΔY, which are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first position differences, can be called second position differences. When the position of a specific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the value of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of the corresponding reference mark has a larger value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other reference mark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reference mark shown in the circle is erroneously detected.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s of? X 4 and? Y 4 increase.

도 5는 오검출된 기준마크를 찾아 보정하며, 보정된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데이터 이미지내의 알고 있는 기준마크의 위치정보와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위치차를 구한다(s10). 전술하였듯이, 제 1 위치차는 미리 알고 있는 기준마크의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의 차를 의미한다. 또한, 제 1 위치차는 데이터 이미지내의 각 방향에 대해서 구할 수 있다. 한 예로, 제 1 방향, 제 2 방향에 대해서 제 1 위치차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각각 데이터 이미지내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일 수 있다. Fig. 5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locating and correcting an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and correcting the data image using the corrected reference mark. First,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is obtained using the know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mark in the data imag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ad reference mark (s1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means a difference between a position of a reference mark that is known in advance and a position of a reference mark that is read ou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n addition,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can be obtained for each direction in the data image. As an example,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can be obtained for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Further,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data image, respectively.

제 1 위치차를 구한 후, 제 2 위치차를 구한다(s20). 전술하였듯이, 제 2 위치차는 인접한 기준마크의 제 1 위치차의 차이다. 또한, 제 2 위치차가 갑자기 커지는 것은, 해당되는 기준마크가 오검출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 2 위치차의 경우에도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구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is obtained,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obtained (s2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the difference in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of the adjacent reference marks. The fact that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suddenly increases means that the corresponding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Also in the case of the second positional difference, it can be obtai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제 2 위치차를 구한뒤, 각 기준마크에 대해서 제 2 위치차를 임계치와 비교한다(s30). 만약, 각 기준마크의 제 2 위치차가 임계치보다 작다면, 해당되는 기준마크를 정상적으로 독출된 기준마크로 판단할 수 있다(s50). 만약, 기준마크의 제 2 위치차가 임계치이상이면, 해당되는 기준마크를 위치가 오검출된 기준마크로 판단할 수 있다(s40). After obtaining the second positional difference, the second positional difference is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for each reference mark (s30). If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of each reference mark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rresponding reference mark can be determined as the reference mark normally read (s50).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s of the reference mark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corresponding reference mark can be determined as the reference mark in which the position is erroneously detected (s40).

여기서 임계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 예로, 임계치는 재생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각 재생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재생장치의 출고시에 미리 정해 놓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임계치는 기록매체를 재생하면서 정하는 값일 수도 있다. 혹은 임계치는 기준마크의 이동량을 평균하거나, 기타 통계처리하여 얻은 값일 수도 있다.Here, the threshold value can be set in various ways. As an example, the threshold value may be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reproducing apparatus. It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at the time of shipment of the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producing apparatus. As another example, the threshold value may be a value that is determined while reproducing the recording medium. Alternatively, the threshold value may be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movement amount of the reference mark or by other statistical processing.

만약, 기준마크가 오검출된 기준마크로 판단되면, 해당되는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한다(s60).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한 후,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와 함께 데이터 이미지를 보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s7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mark is a reference mark that has been erroneously detected,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s corrected (s60). A method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3. Fig. Afte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t can be used to correct the data image together with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s7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검출된 기준마크를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기준마크의 위치 오검출 여부를 판단한다(s110). 기준마크의 오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전술한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경우,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s120). 한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 유형에 따른 보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2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보정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유형 분류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한 것이다.Figure 6 relates to a method for correcting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osition error of the reference mark is detected (s110).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can be referred to FIG. In the case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the type can be classified (s1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ree types can be categorized. In addition, a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type can be us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m into two types and use a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typ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type classifica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 유형으로 오검출된 기준마크를 보정하는 방법의 한 예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먼저, 제 1 오검출 유형과 나머지 제 2 오검출, 제 3 오검출 유형은 기준마크의 위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한 예로, 제 1 오검출 유형의 경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가장 자리에 있는 기준마크로 분류하고 나머지, 제 2, 3 오검출 유형의 경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가장자리가 아닌 위치에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an example of a method of correcting a reference mark erroneously detected by three types is as follows. First, the first erroneous detection type and the remaining second erroneous detection type and the third erroneous detection typ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erroneous detection type,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classified as the reference mark at the edge,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and third erroneous detection types,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located at the non- can do.

또한,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가장자리가 아닌 위치에 있는 경우(제 2, 3 오검출 유형), 단일 오검출 기준마크인지, 아니면, 복수 오검출된 기준마크인지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한 예로, 제 2 오검출 유형의 경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가장자리에 있지 않으면서 단일 오검출된 기준마크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 3 오검출 유형의 경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가장자리에 있지 않으면서, 복수 오검출된 기준마크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분류 방법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여기서, 복수 오검출은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연속하여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를 의미한다.Further, i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locat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edge (second or third erroneous detection type), a single erroneous detection reference mark or a plurality of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cond erroneous detection type,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can be classified as a singl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without being at the edge. Further, in the case of the third erroneous detection type, a plurality of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can be classified without being erroneously detected.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classification methods are possible. Here, a plurality of erroneous detection means a case where two or mor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exis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특히, 도 7(a) 내지 도 7(c)는 오검출 유형이 전술한 제 1 오검출 유형일 경우에 대한 보정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즉,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가장자리에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한 예로, 제 1 오검출 유형의 한 예로, 도 7(a)내지 도 7(c)과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9(c)에서 무늬가 없는 사각형은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의미한다. 또한, 도 7(a) 내지 도 9(c)에서 빗금이 있는 사각형은 오검출된 기준마크를 의미한다.FIG. 7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rrecting a false reference ma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Figs. 7 (a) to 7 (c) show an example of the correction method for the case where the erroneous detection type is the first erroneous detection type described above. That is, it means a case where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on the edge. As an example, an example of the first erroneous detection type is as shown in Figs. 7 (a) to 7 (c). In Figs. 7 (a) to 9 (c), a square without a pattern means a reference mark which is normally detected. In Fig. 7 (a) to Fig. 9 (c), a hatched square means a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도 7(a)에서는 오검출된 기준마크(Ⅰ)의 오른쪽에 있는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에 대한 보정값을 구할 수 있다.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할 때에, 적어도 2개의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이용할 수 있다. 한 예로,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각각 2개의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이용하였다. In Fig. 7 (a), the correction value fo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reference mark to the right of the reference mark I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can be obtained. At the time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which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at least two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s can be used. For example, two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s are used in Figs. 7 (a) to 7 (c).

도 7(a)에서 두개의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의 한 예로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먼저, 정상 기준마크(Ⅱ,Ⅲ)의 제 1 위치차를 구한다. 제 1 위치차는 전술하였듯이 미리 알고 있는 기준마크의 위치와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의 차이를 의미한다. An example of a method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a reference mark erroneously detected using two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s in FIG. 7 (a) is as follows. First,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of the normal reference marks (II, III) is obtained.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previously known and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read out as described above.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Ⅱ,Ⅲ)을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차를 구하는 방법으로 보간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가장자리에 있는 기준마크의 경우, 외삽법이 사용될 수 있다. 외삽법의 한 예로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An interpolation method can be used as a method of obtaining the position difference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 (II, III). In particular, for reference marks at the edges, extrapolation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extrapolation, the following equation can be used.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1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1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2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2

여기서, n은 오검출된 기준마크와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값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한 예로, 도 7(a)의 경우, 오검출된 기준마크(Ⅰ)를 x(1), y(1)로 둘 수 있고,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Ⅱ, Ⅲ) 각각을 x(2), y(2) 및 x(3), y(3)으로 둘 수 있다.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의 x(2), x(3)을 이용하여 ax, bx를 구할 수 있다. 마찬가 방법으로 y(2), y(3)를 이용하여 ay, by를 구할 수 있다. ax, bx ay, by 구한뒤 x(1)과 y(1)을 구할 수 있다. Here, n may indicat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and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and this value may be arbitrarily determin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7A,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 can be set as x (1), y (1), and each of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s II, , y (2), and x (3), y (3). A x , b x can be obtained by using x (2), x (3) of the reference mark which is normally detected. In the same way using y (2), y (3 ) can be determined a y, b y. a x , b x And a y , b y Then, x (1) and y (1) can be obtained.

마찬가지 방법으로 도 7(b)에서도 오검출된 기준마크(Ⅰ)의 윗쪽에 있는 정상 기준마크(Ⅱ´,Ⅲ´)을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편의상 기준마크(Ⅱ´,Ⅲ´)을 이용하여 구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x´(1)과 y´(1)으로 둘 수 있다. In the same mann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erroneously detected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s II 'and III' above the reference mark I which is also erroneously detected in FIG. 7 (b). For convenience,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obtained by using the reference marks (II ', III') can be set to x '(1) and y' (1).

또한, 도 7(c)에서도 오검출된 기준마크(Ⅰ)의 아래쪽에 있는 정상 기준마크(Ⅱ˝,Ⅲ˝)을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편의상 기준마크(Ⅱ˝,Ⅲ˝)을 이용하여 구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x˝(1)과 y˝(1)으로 둘 수 있다. Also in FIG. 7 (c), the positions of the reference marks erroneously detected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s II " and III " below the reference mark I which is erroneously detected. For convenience,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obtained by using the reference mark (II ", III") can be set to x "(1) and y" (1).

도 7(a)내지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서는 하나의 오검출된 기준마크(Ⅰ)에 대해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3세트(7(a), 7(b), 7(c))를 사용하여 각 세트에 대한 오검출된 기준마크에 대한 추정값을 구할 수 있다. 이때, 오검출된 기준마크는 각 세트에 대한 경향을 모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7(a) 내지 7(c)에서 구한 값들을 평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s. 7 (a) to 7 (c) includes three sets of reference marks 7 (a), 7 (b), and 7 (b) normally detected for on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 c) can be used to obtain an estimate for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for each set.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reflect the tendency of each set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so it is desirable to average the values obtained in 7 (a) to 7 (c).

즉,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된 위치를 (x, y)라 두면, That is, if the corrected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x, y)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3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3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4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4

으로 구할 수 있다. .

또한,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1차식을 이용하여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였으나, 2차식 이상의 고차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고차식을 이용하여 보정할 경우, 필요한 정상 기준마크의 개수가 늘어날 수 있다. 또한, 보다 고용량의 시스템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기록/재생 장치의 성능과 보정을 원하는 정도에 따라서, 원하는 보정식이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7 (a) to 7 (c), although the positions of the reference marks that are erroneously detected using the linear equation are corrected, a higher order equation of a quadratic equation or more can be used. However, when correction is made using a higher order formula, the number of normal reference marks required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a higher capacity system may be required. It is obvious that the desired correction formula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desired degree of correction.

도 8(a)는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유형이 제 2 유형에 해당될 때에 보정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단일 오검출된 기준마크이면서,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가장자리에 있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정상 기준 마크로는 오검출된 기준마크에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들을 선택할 수 있다. 한 예로, 도 8(a) 및 8(b)에서는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의 정상 기준마크를 택하였다.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언급될 수 있다. 더욱이,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데이터 이미지내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이미지내에서 기준마크가 배열된 각각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Fig. 8 (a) shows an embodiment of the correction method when the type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corresponds to the second type. In other words,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a singl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and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not at the edge. At this time, the normal reference mark can be selected from the normal reference marks adjacent to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For example, in Figs. 8 (a) and 8 (b), normal reference mark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are selecte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Further,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not limited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data image, but may refer to respective directions in which the reference marks are arranged in the data image.

도 8(a)에서 오검출된 기준마크(Ⅰ)의 위치는 인접한 가로 방향의 정상 기준마크(Ⅱ, Ⅲ)의 위치를 이용하여 보정될 수 있다. 이때, 위치는 전술한 제 1 위치차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오검출된 기준마크(Ⅰ)의 보정된 위치는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평균한 값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한 예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x(1), y(1))이라하고, 정상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x(2), y(2)), (x(3), y(3))이라 하였을 때, 도 8(a)에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된 위치는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in FIG. 8A can be corrected using the positions of the normal reference marks II and III in the adjacent transver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position may mean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corrected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 can be obtained by using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s. (2), (3), (3), and (4),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which is normally detected is referred to as (x , y (3)), the corrected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which is erroneously detected in Fig. 8 (a)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5
,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5
,

으로 둘 수 있다. .

마찬가지 방법으로 도 8(b)에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된 위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도 8(b)에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Ⅱ´, Ⅲ´)의 위치를 (x´(2), y´(2)), (x´(3), y´(3))이라 둘 때,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된 위치 (x´(1), y´(1))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In the same way, the corrected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which is erroneously detected in FIG. 8 (b), can be obtained as follows. The positions of the reference marks II 'and III' which are normally detected in FIG. 8 (b) are denoted by (x '(2), y' (2) , The corrected position (x '(1), y' (1))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can be obtained as follows.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7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8
,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7
Figure 112007080974728-pat00008
,

이 때, 도 8(a) 및 도 8(b)에서 구해진 오검출 기준마크의 보정된 위치값을 다시 평균하여 최종적인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된 위치를 구할 수 있다. 혹은, 기준마크의 편의상 8(a) 또는 8(b)에서 구한 보정값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이미지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값을 구한 뒤, 각 방향에 대한 보정값을 평균할 수도 있다. 혹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값을 구하여, 그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대로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은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데이터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방향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이미지내의 각 기준마크의 배치 방향과 관련이 있다.At this time, the corrected position values of the erroneous detection reference marks obtained in Figs. 8 (a) and 8 (b) are averaged again, and the corrected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can be obtained. Alternatively, any of the correction values obtained in 8 (a) or 8 (b) for convenience of reference marks can be used. That is, the correction value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detected erroneously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data image may be obtained, and then the correction value for each direction may be averaged. Alternatively, the correction value of the reference mark that is erroneously det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obtained and used. 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named as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Further,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not limit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data image, but are related to the placement directions of the reference marks in the data image.

도 9(a) 내지 도 9(c)는 제 3 유형으로 분류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가장자리에 있지 않으면서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연속하여 2개 이상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Figs. 9 (a) to 9 (c) show an embodiment of a correction method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classified as the third type. That is, this means that there are two or more reference marks that are not detected at the edge but are erroneously detected.

도 9(a)는 가로 방향으로 보정값을 구하는 한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가로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방법은 전술한 수학식 1을 참조할 수 있다.9 (a)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correction values are obta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ethod of obtaining the correction valu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1).

여기서, 가로 방향으로의 정상 기준마크(Ⅰ, Ⅳ)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마크의 번호는 좌측부터 순서대로 사용하였다. 즉, 기준마크 Ⅰ, Ⅱ, Ⅲ, Ⅳ의 각각의 위치 값을 (x(1), y(1)),...(x(4), y(4))로 둘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위치는 전술한 제 1 위치차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normal reference marks I and IV in the lateral direction can be used. Here, the reference marks are used in order from the left. That is, the positional values of the reference marks I, II, III and IV can be set to (x (1), y (1)), ... (x (4), y (4)). Here, the position may mean the above-described first position difference.

먼저, 정상 기준마크(Ⅰ, Ⅳ)를 이용하여 계수인 ax, bx, ay, by를 구할 수 있다. 이후,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값인 (x(2), y(2)), (x(3), y(3))을 n=2, n=3을 수학식1에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First, the coefficients a x , b x , a y , and b y can be obtained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 (I, IV). (2), y (2)) and (x (3), y (3)), which are the correction values of the reference marks, are obtained by substituting n = 2 and n = .

도 9(b)는 오검출된 기준마크인 Ⅱ에 대해서, 세로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한 실시예이다. 한 예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인 Ⅱ´ Ⅱ˝을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보정값을 구할 수 있다. 한 예로, 도 9(b)의 경우에도 수학식1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인 Ⅱ´ Ⅱ˝의 평균값을 이용할 수 있다. 오검출된 기준마크 Ⅱ에 대해서, 가로 방향의 보정값과 세로 방향의 보정값을 평균하여 최종적으로 오검출된 기준마크 Ⅱ에 대한 보정값을 구할 수 있다. Fig. 9 (b) is an example of obtaining a correction valu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mark II which is erroneously detected. As an example, a correction value can be obta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II 'II' '. For example, the equation (1) can also be used in the case of FIG. 9 (b). Or an average value of the reference mark II 'II' that is normally detected can be used. For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I, a correction value for the reference mark II which is finally erroneously detected can be obtained by averaging the correction valu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rrection value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9(c)는 오검출된 기준마크인 Ⅲ에 대해서, 세로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한 실시예이다. 한 예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인 Ⅲ´ Ⅲ˝을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보정값을 구할 수 있다. 한 예로, 도 9(b)의 경우에도 수학식1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인 Ⅲ´ Ⅲ˝의 평균값을 이용할 수 있다. 오검출된 기준마크 Ⅲ에 대해서, 가로 방향의 보정값과 세로 방향의 보정값을 평균하여 최종적으로 오검출된 기준마크 Ⅲ에 대한 보정값을 구할 수 있다.Fig. 9 (c) is an example of obtaining a correction value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e reference mark III which is erroneously detected. As an example, a correction value can be obta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using the reference mark III 'III' which is normally detected. For example, the equation (1) can also be used in the case of FIG. 9 (b). Or an average value of the reference mark III 'III' that is normally detected can be used. For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II, a correction value for the reference mark III finally detected by averaging the correction valu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rrection value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obtained.

또한, 도 9(a) 내지 도 9(c)의 실시예에서, 오검출된 기준마크를 보정함에 있어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서만, 보정치를 구할 수도 있다. 한 예로, 오검출된 기준마크 Ⅱ, Ⅲ에 대해서 세로 방향의 보정값만 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정 방향에서 구한 보정값 사용여부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In the embodiments of Figs. 9 (a) to 9 (c), in correcting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the correction value may be obtained only in either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s an example, only correction values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used for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II and III. It is obvious that various embodiments can be used as to whether or not to use the correction value obtained from a specific direction.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제 1 유형으로 분류된 오검출 기준마크의 보정값을 구하는 실시예를, 도 8(a) 및 도 8(b)에서는 제 2 유형으로 분류된 오검출 기준마크의 보정값을 구하는 실시예를, 도 9(a) 내지 도 9(c)에서는 제 3 유형으로 분류된 오검출 기준마크의 보정값을 구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7A to 7C, an example of obtaining the correction value of the false detection reference mark classified as the first type is shown in Figs. 8A and 8B, FIGS. 9A to 9C show examples of obtaining correction values of the detection reference marks. In FIGS. 9A to 9C, correction values of the error detection reference marks classified into the third type are obtained.

다만, 제 1 유형의 경우, 가장자리에 있기 때문에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의 개수가 제 2 유형 및 제 3 유형보다 더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유형의 경우, 보다많은 세트에 대해서 보정값을 구한뒤 그 값을 평균할 수 있다. 한 예로, 3개 세트의 정상 기준마크에 대한 보정값을 구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the number of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s may be less than the second type and the third type because they are at the edg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a correction value can be obtained for a larger number of sets, and the value can be averaged. As an example, a correction value for three sets of normal reference marks can be obtained.

도 10은 도 4a에 도시된 기준패턴의 이동량을 전술한 방법에 의해서 보정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의 경우 원내부에 있는 기준패턴의 이동량이 주변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도 10a에서는 주변과 비슷한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 때, 보정방법의 한 예로,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가로 방향의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구한 보정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10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amount of the reference pattern shown in FIG. 4A correc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n the case of FIG. 4A,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reference pattern inside the circl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urroundings. In FIG. 10A, it can be seen that it is similar to the surroundings. At this time, as an example of the correction metho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a) can be us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correction value to the correction value obtained by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군집오류를 본 발명에 따른 보정방법을 사용하여 보정한 도면을 나타낸다. 즉, 기준마크의 오검출로 데이터 이미지의 군집오류가 발생한 경우(도 3), 오검출된 기준마크를 찾고, 그 위치를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정정한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비교하였을 때, 군집오류가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Fig. 11 shows the correction of the cluster error shown in Fig. 3 using th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the case where a cluster error of a data image occurs due to erroneous detection of a reference mark (FIG. 3), an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found and its position is corrected using an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Compared with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cluster error has been eliminate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독출된 기준마크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s210). 여기서 독출된 기준마크의 정상여부는 독출된 기준마크 간의 제 1 위치차 및 제 2 위치차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한 예로, 제 2 위치차가 임계치를 벗어난 경우 해당되는 기준마크를 오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기준마크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되는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는 보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기준마크가 오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하는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보정한다. 이를 위해 제 1 방향으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선택할 수 있다(s220). 1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ad reference mark is normal (s210). Here, whether or not the read reference mark is normal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and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between the read reference marks. For example, when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out of the threshold value, the corresponding reference mark can be judged to be erroneously detec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mark is normally detecte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mark can be used without correction. Converse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mark is erroneously detecte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ference mark is corrected. For this, a reference mark normally detected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selected (s220).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데이터 이미지내에서 임의로 두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한 예로, 데이터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을 각각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으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선택하는 것은, 오검출된 기준마크에 가장 인접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선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한 예로, 복수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경우, 복수 오검출된 영역에서 가장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하는 정상적인 기준마크의 개수는 적어도 2개 이상 선택할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arbitrarily select two directions within the data image. For exampl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data image can be set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the reference mark normally detected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made by selecting a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closest to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which are detected as erroneous,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nearest normal reference mark in a plurality of erroneously detected areas. In addition, at least two or more normal reference marks to be selected can be selected.

오검출된 기준마크를 보정하기 위한 제 1 방향으로의 정상 기준마크를 선택한 후, 선택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s230). 보정방법으로는 외삽법 또는 내삽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외삽법에 관해서는 도 7(a) 내지 도 7(c)의 설명에서 상술하였고, 내삽법등에 관해서는 도 8(a)내지 도 9(a)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The normal reference mark in the first direction for correcting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may be selected and corrected using the selected normal reference mark (s230). The correction method may be extrapolation or interpolation. The extrapolation method is described in detail in Figs. 7 (a) to 7 (c), and the interpolation method and the like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 to 9 (a).

제 1 방향으로의 보정치를 구한 뒤,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기준마크를 선택할 수 있다(s240).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선택하는 방법은 제 1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선택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After determining the correction value in the first direction, the normal reference mark adjacent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selected (s240). The method of selecting the normal reference mark adjacent in the second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selecting the normal reference mark adjacent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제 1 방향으로 보정치를 구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 2 방향으로의 보정치를 구할 수 있다(s250). 제 1 방향으로의 보정값과 제 2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한 뒤, 각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평균할 수 있다(s260). 이는 오검출된 기준마크 주변의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의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혹은, 기록/재생 장치의 특성 혹은 제조자 혹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보정값 중 하나의 값만 사용할 수도 있다.Further, a correction value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obtained in the same way as the correction value is obtained in the first direction (s 250). The correction valu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correction value in the second direction are obtained, and then the correction values in the respective directions can be averaged (s260). This is to sufficiently utilize the information of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around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Alternatively, only one of the correction values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r the manufacturer or the user's selection.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n embodiment of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에 기준마크를 삽입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 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reference mark is inserted into a data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기준마크 오검출로 인해서 발생한 오류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n error caused by the reference mark erroneous detection.

도 4는 기준마크 오검출로 인해서 발생한 오류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4 shows an example of errors caused by the reference mark erroneous detec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5 shows an embodiment of a data i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6 shows an embodiment of a data i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7(c)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7 (a) to 7 (c) show an embodiment of a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8 (a) and 8 (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data i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9(c)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9 (a) to 9 (c) show an embodiment of a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데이터 이미지가 보정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a data image is corrected when a data i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데이터 이미지가 보정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data image is corrected when a data i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이미지 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12 shows an embodiment of a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7)

데이터 페이지내의 복수개의 기준마크들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position of a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in a data page is normally detected;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준마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오검출되면,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 보정에 사용할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선택하는 단계;Selecting an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to be used for positional correc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f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marks is erroneously det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선택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using the selected normal reference mark.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기준마크들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s is normally detected comprises: 각 검출된 기준마크의 검출된 위치를 알려진 기준마크의 위치와 비교하여 제 1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Comparing the detected position of each detected reference mark with a position of a known reference mark to obtain a first position difference; 상기 각 기준마크의 제 1 위치차를 이용하여, 인접한 기준마크들 간의 제 1 위치차의 차이인 제 2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Obtaining a second position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of first position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reference marks using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of each reference mark;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이상인 기준마크를 오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And determining that the reference mark whos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hreshold is erroneously detected.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미만인 기준마크는 정상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And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mark having the second position difference less than the threshold is normally detected.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임계치는 미리 정해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the threshold value is a predetermined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을 위해서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선택하는 것은, The selection of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for correc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may be made by,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에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들 중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각각 적어도 2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at least two of the normal reference marks adjacent to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are selec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은 2차원 데이터 이미지의 각 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parallel to respective directions of the two-dimensional data image.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단일 오검출된 기준마크일 경우,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한 방향에 대해서만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when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a singl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is selected only in on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The step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ncludes: 상기 정상 판별된 기준마크를 적어도 2개를 선택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at least two of the normally determined reference marks are selected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제 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The estimation of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may be performed,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내삽법을 사용하여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And when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located between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s, estimating the erroneous data using the interpolation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The estimation of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may be performed,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들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외삽법을 사용하여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And when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located outside of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s, extrapolating is performed. 데이터 페이지내의 복수개의 기준마크들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position of a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in a data page is normally detected;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기준마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오검출되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활용하여 각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단계;Determining a correction value in each direction by using a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adjacent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marks is erroneously det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구해진 보정값을 평균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And averaging the correction values obtai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제 11 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기준마크들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s is normally detected comprises: 각 검출된 기준마크의 검출된 위치를 알려진 기준마크의 위치와 비교하여 제 1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Comparing the detected position of each detected reference mark with a position of a known reference mark to obtain a first position difference; 상기 각 기준마크의 제 1 위치차를 이용하여, 인접한 기준마크들 간의 제 1 위치차의 차이인 제 2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Obtaining a second position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of first position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reference marks using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of each reference mark;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이상인 기준마크를 오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And determining that the reference mark whos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hreshold is erroneously detected.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임계치는 미리 정해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the threshold value is a predetermined value. 제 11 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단일 오검출된 기준마크이면,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활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n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a singl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corrected by utilizing the reference mark normally detected in only one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 RTI > 제 11 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각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단계는 각 방향으로의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the step of obtaining the correction value in each direction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by using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in each direction. 제 15 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외삽법 또는 내삽법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the estimation of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extrapolated or interpolated. 제 11 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각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것은,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2차원 좌표에 각각에 대해서 각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a correction value in each direction is obtained by obtaining a correction value in each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wo-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제 11 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각 방향으로의 구해진 보정값을 평균하는 것은,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2차원 좌표 각각에 대해서 구해진 보정값을 평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the average of the correction values obtained in each direction is obtained by averaging the correction values obtained for each of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데이터 페이지내의 복수개의 기준마크들의 위치를 검출하여 기준마크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cting a position of a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in the data pa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 is normally detected;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기준마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오검출되면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the number of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if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marks is erroneously det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하나인 경우 제 1 보정방법으로 보정하고,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복수개인 경우 제 2 보정방법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And correcting the corrected data by a first correction method when the number of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is one, and correcting the number of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by using a second correction method. 제 19 항에 있어서, 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기준마크들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arks is normally detected comprises: 각 검출된 기준마크의 검출된 위치를 알려진 기준마크의 위치와 비교하여 제 1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Comparing the detected position of each detected reference mark with a position of a known reference mark to obtain a first position difference; 상기 각 기준마크의 제 1 위치차를 이용하여, 인접한 기준마크들 간의 제 1 위치차의 차이인 제 2 위치차를 구하는 단계;Obtaining a second position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of first position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reference marks using the first position difference of each reference mark;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이상인 기준마크를 오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And determining that the reference mark whos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hreshold is erroneously detected. 제 19 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제 1 보정방법은, 정상 검출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the first correction method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using at least two adjacent reference marks that are normally detected. 제 19 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제 2 보정방법은,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활용하여 각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구하는 단계; The second correction method includes: obtaining a correction value in each direction by utilizing a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adjacent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구해진 보정값을 평균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And averaging the correction values obtain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제 19 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2차원 데이터 이미지의 각 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이미지 보정방법.Where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parallel to respective directions of the two-dimensional data image. 데이터 이미지내의 복수개의 기준마크들을 독출하는 광변조부;An optical modulator for reading a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in a data image; 상기 독출된 기준마크들의 위치 오검출 여부를 판단하고,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position error of the read reference marks is detected,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기준마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오검출된 경우,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And corrects the erroneou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mark using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when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marks is erroneously det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제 24 항에 있어서, 25.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독출된 기준마크들의 위치 오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osition error of the read reference marks is detected, 각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해당하는 기준마크의 미리 알려진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제 1 위치차를 구하고, 인접한 기준마크들 간의 제 1 위치차의 차이인 제 2 위치차를 구하고, Comparing the position of each read reference mark with previously know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ference mark to obtain a first position difference, obtaining a second position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of first position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reference marks,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이상인 기준마크를 오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And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mark whos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erroneously detected. 제 24 항에 있어서, 25.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정정하는 것은, 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using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적어도 2개 이상의 정상 기준마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Wherein at least two normal reference marks are used. 제 24 항에 있어서, 25. 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정정하는 것은,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using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상기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And estimates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us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제 27 항에 있어서,28. 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us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t least two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s. 제 27 항에 있어서,28. 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정정하는 것은, 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using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에 대해서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And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 adjacent to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데이터 이미지내의 복수개의 기준마크들을 독출하는 광변조부;An optical modulator for reading a plurality of reference marks in a data image; 상기 독출된 기준마크들의 위치 오검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기준마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오검출되면,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 검출된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각 방향으로 보정값을 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Determining whether or not a position error of the read reference marks is detected, and if at least one of the reference marks is erroneously det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using the normally detected reference mark adjacent in the first direction and / And obtaining a correction value in each direction. 제 30 항에 있어서, 31. 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준마크들의 위치 오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reference marks are misaligned, 각 독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해당하는 기준마크의 미리 알려진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제 1 위치차를 구하고, 인접한 기준마크들 간의 제 1 위치차의 차이인 제 2 위치차를 구하고, Comparing the position of each read reference mark with previously know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ference mark to obtain a first position difference, obtaining a second position difference that is a difference of first position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reference marks, 상기 제 2 위치차가 임계치 이상인 기준마크를 오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And determines that the reference mark whose second position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erroneously detected. 제 30 항에 있어서,31. 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를 단일 오검출 또는 복수 오검출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Wherein the control section classifies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nto a single erroneous detection or a plurality of erroneous detection. 제 32 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복수 오검출은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연속하여 2개 이상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Wherein the plurality of erroneous detections include two or mor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제 32 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단일 오검출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Wherein when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is a single erroneous detection, 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position using the adjacent normal reference mark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Device. 제 32 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복수 오검출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 adjacen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hen a plurality of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are erroneously detected, .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상기 오검출된 기준마크가 복수 오검출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인접한 정상 기준마크를 이용하여 각 방향으로 오검출된 기준마크의 보정값을 구하고, When the erroneously detected reference marks are a plurality of erroneous detections, the control section obtains correction values of reference marks erroneously detected in each direction using the normal reference marks adjacen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의 보정값을 평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And corrects the correction valu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3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4 or 35,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각각 2 차원 데이터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재생 장치.Where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two-dimensional data image, respectively.
KR1020070114953A 2007-11-12 2007-11-12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Expired - Fee Related KR1014358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53A KR101435807B1 (en) 2007-11-12 2007-11-12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53A KR101435807B1 (en) 2007-11-12 2007-11-12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872A KR20090048872A (en) 2009-05-15
KR101435807B1 true KR101435807B1 (en) 2014-08-29

Family

ID=4085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9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5807B1 (en) 2007-11-12 2007-11-12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80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0099A (en) 2004-12-21 2006-07-06 Eastman Kodak Co Pixel defect correction device
JP2006268907A (en) 2005-03-22 2006-10-05 Fujitsu Ltd Hologram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KR20070003112A (en) * 2005-06-30 2007-01-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Imag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holographic digital data storage system
KR100717065B1 (en) 2006-05-03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Hologra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ologram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hologram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0099A (en) 2004-12-21 2006-07-06 Eastman Kodak Co Pixel defect correction device
JP2006268907A (en) 2005-03-22 2006-10-05 Fujitsu Ltd Hologram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KR20070003112A (en) * 2005-06-30 2007-01-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Imag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holographic digital data storage system
KR100717065B1 (en) 2006-05-03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Hologra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ologram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hologram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872A (en)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6327B2 (en) Method for acquiring optimum position of reserved block in holographic storage system
KR100717065B1 (en) Hologra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ologram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hologram recording medium
US200901411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data image reproduced from holographic system
US7324249B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fixed distortion correcting function
JPH063648B2 (en)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JPH0785336B2 (en) Recorded information reader
US7626911B2 (en) Hologram reproduction apparatus and hologram reproduction method
US20100061213A1 (en) Optical holographic device and method with gain compensation
KR101435807B1 (en) Data image correcting metho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US7903527B2 (en) Recording medium using reference patter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of the same and apparatus thereof
US7746739B2 (en) Writing power determining method and optical disc apparatus
JP4837502B2 (en) Misalignment measuring method, optical device adjusting method, and misalignment measuring apparatus
US20080239425A1 (en) Hologram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Hologram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680225B2 (en)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461944B1 (en) Method for Compensating Data Image,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Recording Medium
KR101356506B1 (en)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the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KR101414606B1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US7432487B2 (en) Device for correcting output of optical pickup
US20070103753A1 (en) Alignment of Holographic Images on Detector
CN102057430B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20090129233A1 (en) Shift-insensitive storage of information in page oriented optical data storage systems
US20070291609A1 (en) Tilt error detecting device, tilt calibrat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for optical storage device
KR20090032251A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device
US20090219791A1 (en) Optical disc apparatus and tracking control method
US20090207415A1 (en) Method of reading information from a holographic data storage medium and holographic data read o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