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469B1 -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 Google Patents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5469B1 KR101435469B1 KR1020130031110A KR20130031110A KR101435469B1 KR 101435469 B1 KR101435469 B1 KR 101435469B1 KR 1020130031110 A KR1020130031110 A KR 1020130031110A KR 20130031110 A KR20130031110 A KR 20130031110A KR 101435469 B1 KR101435469 B1 KR 1014354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capacitor
- transformer
- voltage
- indu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직류-직류 컨버터가 개시된다. 본 직류-직류 컨버터는, 전원에서 접지로 직렬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 연결되는 공진부,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1차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기하는 트랜스부, 및, 트랜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한다. A DC-DC converter is disclosed. The DC-DC converter includes a resonance unit including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connected in series from a power source to ground, an inductor and a capacitor,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 transformer for transform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primary winding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into a secondary winding, and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voltage as a DC volt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스위칭 회로와 병렬 연결된 공진 회로를 사용하여 넓은 부하범위에서 사용가능한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zero-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rter that can be used in a wide load range by using a resonant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witching circuit.
최근에 전자 장치가 소형화되면서,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변환기 역시 소형화가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 변환기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고주파 스위칭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질 경우,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손실에 의해 전력 변환기의 효율이 매우 낮아지며, 발열로 인해 실제 구현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Background Art [0002] With the recent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power converters that supply power to electronic devices have also been required to be miniaturized. In order to miniaturize the power converter, high frequency switching is indispensably required. However, when the switching frequency is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power converter is extremely reduced due to the switching loss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이러한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종래에는 영전압 스위칭(Zero Voltage Switching), 영전류 스위칭(Zero Current Switching), 공진형 컨버터(Resonant Converter) 등의 소프트 스위칭(Soft Swiching) 기술을 이용하였다. In order to reduce the switching loss of such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conventionally, a soft switching technique such as zero voltage switching, zero current switching, resonant converter, or the like is used Respectively.
그러나 종래의 소프트 스위칭은 부하 조건에 따라 특성이 크게 달라져서 넓은 부하범위에서 소프트 스위칭 효과를 얻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oft switching greatly differs i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load conditions,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a soft switching effect in a wide load range.
따라서, 넓은 부하 범위에서도 소프트 스위칭 효과를 갖는 전력변환장치가 요구되었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power conversion device having a soft switching effect even in a wide load rang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 회로와 병렬 연결된 공진 회로를 사용하여 넓은 부하범위에서 사용가능한 컨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verter usable in a wide load range by using a resonant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witching circuit.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는 전원에서 접지로 직렬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 연결되는 공진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1차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기하는 트랜스부, 및, 상기 트랜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zero-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including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connected in series from a power source to ground, an inductor and a capacitor, A transformer connected to the transformer in parallel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 transformer for conver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primary winding into a secondary winding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nd outputting it as a DC voltage.
이 경우,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두 오프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의 양단 전압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양단 전압이 0 전압을 갖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both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re turned off, the resonance unit may make the both-end voltag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both-end voltage of the second switch have zero voltage.
한편,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교번적으로 스위칭 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C-DC convert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such that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re alternately switched.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하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후에 오프 상태의 제2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하면, 기설정된 제2 시간 이후에 오프 상태의 제1 스위치를 온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first switch is chang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second switch in the off state after a predetermined first time, and when the second switch changes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 It is possible to turn on the first switch in the off state afte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한편,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MOSFET일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may be MOSFETs.
이 경우, 상기 MOSFET은 출력 커패시터를 구비하며,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두 오프된 경우,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SFET has an output capacitor, and the resonance part can discharge the charged electric charge of the output capacitor when both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re off.
한편, 상기 제1 스위치는, 일 단이 상기 전원과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트랜스부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공통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및 상기 트랜스부와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transformer and the second switch.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이 경우, 상기 공진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상기 트랜스부와 공통 연결되는 인덕터, 및, 일 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 단과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제2 스위치의 타 단 및 상기 접지와 공통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sonance unit includes an inductor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transformer unit in common,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nd a first capacitor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ground.
이 경우, 상기 트랜스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및 상기 인덕터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1차 권선의 일 단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의 타 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타 단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되며, 2차 권선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된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ransformer may include a second capacitor whose one end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one end of the inductor, and one end of the primary winding, And a transform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pacitor,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winding being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secondary winding being connected to the rectification part.
한편, 상기 공진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일 단과 연결되는 인덕터, 및, 일 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 단과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상기 트랜스부와 공통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ductor has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However, it may include a first capacitor commonly connected to the transformer.
한편, 상기 공진부는, 직렬 연결된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제2 공진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과 병렬 연결된 제1 커패시터부, 및, 일 단이 상기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및 상기 트랜스부와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공진 커패시터와 공통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onance unit may include a first capacitor unit including a first resonance capacitor and a second resonance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source, and a second capacitor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resonance capacitor, And an inductor common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transformer, and the other end commonly connected to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and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이 경우, 상기 트랜스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및 상기 인덕터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1차 권선의 일 단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의 타 단이 상기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공진 커패시터와 공통 연결되며, 2차 권선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된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ransformer may include a second capacitor whose one end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nd one end of the primary winding, And a transform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pacitor,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winding being connected in common to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and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and the secondary winding being connected to the rectification portion.
한편, 상기 트랜스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및 상기 인덕터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1차 권선의 일 단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의 타 단이 상기 제2 공진 커패시터의 타 단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되며, 2차 권선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된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former may include a second capacitor whose one end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nd one end of the primary winding, And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winding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secondary winding is connected to the rectification part.
한편, 본 직류-직류 컨버터는, 직렬 연결된 제4 커패시터 및 제5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과 병렬 연결된 제2 커패시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및 상기 공진부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1차 권선의 일 단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의 타 단이 상기 제4 커패시터 및 상기 제5 커패시터와 공통 연결되며, 2차 권선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된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C-DC converter further includes a fourth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and a fifth capacitor, and a second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ower source. The transforme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A second capacitor common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one end of the resonant part; and a second capaci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A capacitor, and a transformer connected in common with the fifth capacitor and having a secondary winding connected to the rectification part.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는 새로운 방식의 영전압 스위칭 회로를 구비한 직류-직류 컨버터 회로를 이용하여 넓은 부하범위에서 영전압 스위칭을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위칭 손실을 줄여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스위칭 손실에 의해 제한되었던 고주파 스위칭이 가능하게 되므로 컨버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The zero-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nables zero voltage switching in a wide load range by using a DC-DC converter circuit having a new zero voltage switching circuit, thereby reducing switching loss Frequency switching, which is limited by the switching loss, becomes possible, and thus miniaturization of the converter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스위칭 상태에서의 전류 패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스위칭 상태에서의 전류 패스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스위칭 상태에서의 전류 패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회로도에서의 각 노드 전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zero-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of a zero-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urrent path in the first switching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 current path in a second switching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a current path in a plurality of switching stat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 diagram showing voltage of each node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2,
7 is a circuit diagram of a zero-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ircuit diagram of a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ircuit diagram of a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ircuit diagram of a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ircuit diagram of a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tempor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스위칭부(110), 공진부(120), 트랜스부(130), 정류부(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DC-
스위칭부(110)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DC 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10)는 전원에서 접지로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교번적인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일정 주파수의 펄스형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칭부(1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인 MOSFET일 수 있으며, IGBT, SiC, GaN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The
공진부(120)는 스위칭부(110)의 제1 스위칭 및/또는 제2 스위치와 병렬 연결되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모두가 오프된 경우, 제1 스위치의 양단 전압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양단 전압이 0 전압을 갖도록 한다. 공진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공진부(120)는 도 2에 도시된 형태뿐만 아니라, 도 3, 도 10, 도 11과 같은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트랜스부(130)는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1차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기한다. 트랜스부(1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트랜스부(130)는 도 2에 도시된 형태뿐만 아니라, 도 7과 같은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정류부(140)는 트랜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정류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탭 정류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브리지 정류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rectifying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교번적으로 스위칭 되도록 스위칭부(1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암 쇼트(Arm short) 방지 및 영전압 스위칭 구간 확보를 위해 일정시간 두 스위치 모두가 OFF되도록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교번적으로 스위칭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되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후에 제2 스위치를 온시키고,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되면, 기설정된 제2 시간 이후에 제1 스위치를 온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1 시간 및 제2 시간은 같을 수 있으며, 다를 수도 있다.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오픈된 상태인 경우에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양단 전압을 0 전압으로 만드는 공진부(120)를 구비하는바, 부하 조건과 무관하게 영전압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C-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영전합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an electromagnetism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위칭부(110)는 제1 스위치(111) 및 제2 스위치(112)를 포함한다. The
제1 스위치(111)는 제어부(15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111)는 앞 단이 전원(101)과 연결되며, 타 단이 공진부(120)의 일 단, 트랜스부(130) 및 제2 스위치(112)와 공통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스위치(111)는 MOSF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스위치를 MOSFET으로 구현한 예만을 도시하였으나, 구현시에는 IGBT, SiC, GAN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The
제2 스위치(112)는 제어부(15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치(112)는 일 단이 제1 스위치(111)의 타 단, 공진부(120)의 일 단, 트랜스부(130)와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이 접지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스위치는 MOSFET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스위치를 MOSFET으로 구현한 예만을 도시하였으나, 구현시에는 IGBT, SiC, GaN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The
공진부(120)는 직렬 연결된 인덕터(121) 및 제1 커패시터(122)로 구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부에 인덕터가 연결되고 하부에 제1 커패시터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상부에 제1 커패시터가 연결되고, 하부에 인덕터가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The
인덕터(121)는 일 단이 제1 스위치(111)의 타 단, 제2 스위치(112)의 일 단, 트랜스부(130)와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이 제1 커패시터(122)와 연결된다. One end of the
제1 커패시터(122)는 일 단이 인덕터(121)의 타 단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제2 스위치(112)의 타 단 및 접지와 공통 연결된다. One end of the
공진부(120)의 공진 주파수는 며, 안정된 영전압 스위칭 동작을 위해서는 공진 주파수를 스위칭 주파수보다 충분히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트랜스부(130)는 제2 커패시터(131) 및 변압기(132)로 구성된다. The
제2 커패시터(131)는 스위칭부(110)에서 생성된 펄스 전압의 직류성분을 저장하여 변압기(132)의 2차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커패시터(131)에 저장되는 평균 직류 전압은 Vi/2이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111)가 온되었을 때, 제2 커패시터(131)의 동작으로 변압기(132)의 1차 측에 Vi-VCb가 인가되고, 제2 스위치가 오프되고 제1 스위치가 온되었을 대, 변압기(132)의 1차 측에 -VCb가 인가된다. The
그리고 제2 커패시터(131)는 일 단이 제1 스위치(111)의 타 단, 제2 스위치(112)의 일 단 및 공진부(120)의 인덕터(121)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이 변압기(132)의 1차 권선에 연결된다. One terminal of the
변압기(132)는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며, 1차 측에 인가된 전압은 변압기(132)의 권선 비에 비례하여, 즉 변압기의 권선비가 N:1일 때, 1차 측에 인가된 전압의 1/N배가 2차 측 권선에 인가된다. The
그리고 변압기(132)는 1차 코일의 일 단은 제2 커패시터(131)의 타 단과 연결되고, 1차 코일의 타 단은 제2 스위치(112)의 타 단 및 접지에 공통 연결된다. 그리고 변압기(132)의 2차 코일은 정류부(140)와 연결되며, 2차 코일의 중심은 출력단의 접지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primary coil of the
정류부(140)는 제1 다이오드(141), 제2 다이오드(142), 제2 인덕터(143) 및 제3 커패시터(144)로 구성된다. The
제1 다이오드(141) 및 제2 다이오드(142)는 변압기(13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한다. The
제1 다이오드(141)는 애노드가 2차 코일의 일 단과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2 다이오드(142)의 캐소드 및 제2 인덕터(143)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된다. The anode of the
제2 다이오드(142)는 애노드가 2차 코일의 타 단과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1 다이오드(141)의 캐소드 및 제2 인덕터(143)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된다. The anode of the
제2 인덕터(143) 및 제3 커패시터(144)는 제1 다이오드(141) 및 제2 다이오드(142)에서 정류된 전압을 평활한다. The
제2 인덕터(143)는 일 단이 제1 다이오드(141)의 캐소드 및 제2 다이오드(142)의 캐소드와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제3 커패시터(144)의 일 단과 연결된다. One end of the
제3 커패시터(144)는 일 단이 인덕터(143)의 타 단과 연결되고, 타 단이 출력단의 접지와 연결된다. One end of th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정류부(140)가 센터-탭 정류기로 구성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브리지 정류기로 구현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ctifying
이상에서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의 구성 및 회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스위칭부(110)의 동작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의 에너지 전달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the circuit of the DC-
도 3은 제1 스위칭 상태에서의 전류 패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2 스위칭 상태에서의 전류 패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스위칭 상태는 제1 스위치는 온 상태이고, 제2 스위치는 오프 상태이다. 그리고 제2 스위칭 상태는 제1 스위치는 오프 상태이고, 제2 스위치는 온 상태이다. Fig. 3 is a view showing a current path in the first switching state,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current path in the second switching state. Here, in the first switching state, the first switch is on and the second switch is off. In the second switching state, the first switch is off and the second switch is on.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스위치(111) 및 제2 스위치(112) 모두가 오프 상태에서, 제1 스위치(111)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DC 전원(101), 제1 스위치(111), 제2 커패시터(131), 변압기(132)의 1차 권선을 흐르는 제1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3, when both the
그리고 변압기(132)의 1차 권선의 전류 변화에 의하여 변압기(132)의 2차 권선에 전류가 유기되어, 변압기(132)의 2차 권선, 제1 다이오드(141), 제2 인덕터(143) 및 제3 커패시터(144)를 흐르는 제2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Current is induced in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이때, 공진부(120) 내의 공진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인덕터(121)에 흐르는 전류와 제1 커패시터(122)에 흐르는 전압은 증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sonance current in the
이와 같은 제1 스위치 상태에서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변압기를 기준으로 좌측의 1차 측의 에너지가 변압기를 기준으로 우측의 2차 측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When the first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in the first switch state, the energy of the primary side on the left side is not transmitted to the secondary side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transformer on the basis of the transformer.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111) 및 제2 스위치(112) 모두가 오프 상태에서 제2 스위치(112)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제2 커패시터(131)에 저장된 에너지에 의하여, 제2 커패시터(131), 제2 스위치(112), 변압기(132)의 1차 권선을 흐르는 제3 전류 패스가 형성되고, 변압기(132)의 1차 권선의 전류 변화에 의하여 변압기(132)의 2차 권선에 전류가 유기된다. 그에 따라, 변압기(132)의 2차 권선, 제2 다이오드(142), 제2 인덕터(143) 및 제3 커패시터(144)를 흐르는 제4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 when both the
이와 같은 제2 스위치 상태에서 제2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변압기를 기준으로 좌측의 1차 측의 에너지가 변압기를 기준으로 우측의 2차 측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When the second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in the second switch state, the energy of the primary side of the left side is not transmitt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transformer on the basis of the transformer.
이상에서는 컨버터의 에너지 전달 동작에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영전압 조정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nergy transfer operation of the converter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zero volt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복수의 스위칭 상태에서의 전류 패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showing a current path in a plurality of switching states.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111)가 온 상태이고, 제2 스위치(112)가 오프 상태이면, 인덕터(121) 및 제1 커패시터(122)에는 공진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인덕터(121)의 전류와 제1 커패시터(122)의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5A, wh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스위치(111)가 오프로 전환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12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제2 스위치(112)의 출력 커패시터(Cab)에 저장된 전하가 방전되어 제2 스위치(112)의 역병렬 다이오드(Db)가 도통하게 되며, 이 순간 제2 스위치의 양단 전압은 영이 된다. 여기서 출력 커패시터(Cab)는 반도체 스위치의 기생 커패시터이다. Wh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스위치(112)가 온으로 전환되면, 제2 스위치(112)의 양단 전압이 0V이므로 스위칭 손실 없이 영전압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패시터(122)에 저장된 전압에 의하여 인덕터(121)의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고, 제2 스위치(112)를 통해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스위치(112)가 오프로 전환되면, 즉, 제1 스위치(111) 및 제2 스위치(112) 모드 오프이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121)에 흐르던 전류에 의해 제1 스위치(111)의 출력 커패시터(Coa)에 저장된 전하가 방전되어 제1 스위치(111)의 역병렬 다이오드(Da)가 도통하게 되며, 이순간 제1 스위치의 양단 전압은 영이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스위치(111)가 온으로 전환되면, 제1 스위치(111)가 양단 전압이 0V이므로, 스위칭 손실 없이 영전압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In this state, when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다른 컨버터는 종래의 영전압 스위칭 회로와 달리, 영전압 스위칭 회로가 주회로와 독립적이므로 부하 조건에 무관하게 영전압 스위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zero voltage switching circuit, the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zero voltage switching circuit independent of the main circuit, so that the zero voltage switching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load condition.
도 6은 도 2의 회로도에서의 각 노드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showing voltage of each node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2. FIG.
도 6a의 Vi는 공급되는 DC 전압이며, 도 6a를 참조하면, 일정한 DC 전압(Vi)이 공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Fig. 6A, Vi is a supplied DC voltage. Referring to Fig. 6A, it is confirmed that a constant DC voltage Vi is supplied.
도 6b의 Sa는 제1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진한 실선)이며, Sb는 제2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옅은 실선)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111) 및 제2 스위치(112)가 교번적으로 스위칭 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암 쇼트 방지 및 영전압 스위칭 구간 확보를 위하여 일정시간 두 스위치 모드가 오프되는 상태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6B, Sa is a gate signal (dark solid line) for driving the first switch, and Sb is a gate signal (light solid line) for driving the second switch. Referring to FIG. 6B, it can be seen that the
도 6c의 VDSa는 제1 스위치의 드레인-소스 전압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111)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공진부(120)의 동작에 의하여 제1 스위치(111)의 양단 전압이 0V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VDSa in Fig. 6C is the drain-source voltage of the first switch. Referring to FIG. 6C, when the
도 6d의 VDSb는 제2 스위치의 드레인-소스 전압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제2 스위치(112)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공진부(120)의 동작에 의하여 제2 스위치(112)의 양단 전압이 0V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6D is the drain-source voltage of the second switch. Referring to FIG. 6D, when the
도 6e의 I(MOS2)은 제2 스위치(112)에 흐르는 전류이고, 도 6f의 ILr은 인덕터(1121)의 전류이다.I (MOS2) in Fig. 6E is a current flowing in the
도 6e 및 도 6f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111)가 온되고 제2 스위치(112)가 오프된 경우, 인덕터(121) 및 제1 커패시터(122)에 공진 전류가 흐르게 되면, 인덕터(121)에 흐르는 전류와 제1 커패시터(122)의 전압은 증가하게 된다. 이때, 제1 스위치(111)가 오프되어, 제1 스위치(111) 및 제2 스위치(112) 모두 오프되면 인덕터(121)에 흐르는 공진 전류에 의해 제2 스위치(112)의 출력 커패시터가 방전되고 제2 스위치(112)의 다이오드가 도통 되어 제2 스위치(112)의 드레인-소스 전압이 영이 된다. 6E and 6F, when resonance current flows through the
이때, 제2 스위치를 턴-온하게 되면 영전압 스위칭이 이루어지고, 도 6c의 VDSb 파형과 도 6b의 Sb가 온되기 전에 VDsb 전압이 영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zero voltage switching is performed, and the VDsb voltage becomes zero before the VDSb waveform of FIG. 6C and Sb of FIG. 6B are turned on.
제2 스위치(112)가 온, 제1 스위치(111)가 오프 상태가 되면, 제1 커패시터(122)에 저장된 전압에 의해 인덕터(11)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며, 일정 시간 후 제2 스위치(112)를 통해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제2 스위치(112)가 오프되어, 제1 스위치(111) 및 제2 스위치(111) 모두가 오프 상태가 되면, 인덕터(12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제1 스위치(111)의 출력 커패시터가 방전이 되고, 제1 스위치(111)의 다이오드가 도통하게 되어, 제1 스위치(111)의 드레인-소스 전압이 0이 된다. 이때, 제1 스위치(111)를 온하게 되면 영전압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When the
도 6f의 I(Lr)은 인덕터(121)의 전류이다. 도 6f를 참조하면, 인덕터(121)의 전류가 제1 스위치(111) 및 제2 스위치(112)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류 방향이 천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 (Lr) in Fig. 6F is the current of the
도 6g의 VT2는 변압기의 2차 측에 인가되는 전압이다. 도 6g를 참조하면, 1차 측 에너지가 2차 측에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6h를 참조하면, 정상적으로 입력된 DC 전원을 다른 전위의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을 확인할 수 있다. VT2 in FIG. 6G is a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Referring to FIG. 6G, it is confirmed that the primary side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ide. Referring to FIG. 6H,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ormally input DC power is converted into the DC power of the other potential and outputted.
본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는 도 2와 같은 회로 구성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회로 구성들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D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as well as the circuit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Such circui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풀-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하여 정류부(140')를 구현한 경우의 실시 예이다. 7 is a circuit diagram of a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DC-DC convert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ctifier 140' is implemented using a full-bridge rectifier.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트랜스부(130') 및 정류부(140')를 제외하고 스위칭부(110) 및 공진부(120)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와 동일한바, 스위칭부(110) 및 공진부(120)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트랜스부(130)는 제2 커패시터(131) 및 변압기(132')로 구성된다. The
제2 커패시터(131)는 스위칭부(110)에서 생성된 펄스 전압의 직류성분을 저장하여 변압기(132)의 2차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2 커패시터(131)는 일 단이 제1 스위치(111)의 타 단, 제2 스위치(112)의 일 단 및 공진부(120)의 인덕터(121)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이 변압기(132)의 1차 권선에 연결된다. The
변압기(132')는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며, 1차 측에 인가된 전압을 권선비에 비례하여 2차 측에 유기한다. 구체적으로, 변압기(132)는 1차 코일의 일 단은 제2 커패시터(131)의 타 단과 연결되고, 1차 코일의 타 단은 제2 스위치(112)의 타 단 및 접지에 공통 연결된다. 그리고 변압기(132)의 2차 코일은 정류부(140)의 복수의 다이오드(145-148)에 연결된다. The transformer 132 'includes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and induces the voltage applied to the primary side to the secondary side in proportion to the turns ratio. Specifically, one end of the primary coil of the
정류부(140)는 제3 다이오드(145), 제4 다이오드(146), 제5 다이오드(147), 제6 다이오드(148), 제2 인덕터(143) 및 제3 커패시터(144)로 구성된다. The
제3 다이오드(145), 제4 다이오드(146), 제5 다이오드(147), 및 제6 다이오드(148)는 풀-브리지(full-bridge) 정류기 형태로 구성된다. The third diode 145, the
제3 다이오드(145)는 애노드가 변압기(132)의 2차 코일의 일 단 및 제4 다이오드(146)의 캐소드와 공통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6 다이오드(148)의 캐소드 및 제2 인덕터(143)와 공통 연결된다. The third diode 145 has an anode connected in common to one end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제4 다이오드(146)는 애노드가 제5 다이오드(147)의 애노드 및 제3 커패시터(144)와 공통 연결되며, 캐소드가 변압기(132)가 2차 코일의 일 단 및 제3 다이오드(145)의 애노드와 공통 연결된다. The anode of the
제5 다이오드(147)는 애노드가 제4 다이오드(146)의 애노드 및 제3 커패시터(144)와 공통 연결되며, 캐소드가 변압기(132)가 2차 코일의 타 단 및 제6 다이오드(148)의 애노드와 공통 연결된다. The
제6 다이오드(148)는 애노드가 변압기(132)의 2차 코일의 타 단 및 제5 다이오드(147)의 캐소드와 공통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3 다이오드(145)의 캐소드 및 제2 인덕터(143)와 공통 연결된다.The
제2 인덕터(143) 및 제3 커패시터(144)는 제3 다이오드(145), 제4 다이오드(146), 제5 다이오드(147) 및 제6 다이오드(148)에서 정류된 전압을 평활한다. 구체적으로, 제2 인덕터(143)는 일 단이 제3 다이오드(145)의 캐소드, 제6 다이오드(148)의 캐소드와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제3 커패시터(144)의 일 단과 연결된다. The
제3 커패시터(144)는 일 단이 인덕터(143)의 타 단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제4 다이오드(146)의 애노드 및 제5 다이오드(147)의 애노드에 공통 연결된다.
One end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공진부(120)를 제1 스위치(111)에 병렬되게 배치한 것이다. 8 is a circuit diagram of a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n the DC-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트랜스부(130') 및 정류부(140')를 제외하고 공진부(120)의 위치를 제외하고, 스위칭부(110), 트랜스부(130) 및 정류부(140)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와 동일한바, 스위칭부(110), 트랜스부(130) 및 정류부(140)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The switching DC-DC converter 10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the
공진부(120')는 직렬 연결된 인덕터(121) 및 제1 커패시터(122)로 구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부에 인덕터가 연결되고 하부에 제1 커패시터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시에는 상부에 제1 커패시터가 연결되고, 하부에 인덕터가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The resonance unit 120 'is composed of a series-connected
인덕터(121)는 일 단이 제1 스위치(111)의 일 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제1 커패시터(122)와 연결된다. One end of the
제1 커패시터(122)는 일 단이 인덕터(121)의 타 단과 연결되고, 타 단이 제1 스위치(111)의 타 단, 제2 스위치(112)의 일 단 및 트랜스부(130)의 제2 커패시터(131)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된다.
The other end of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하프 브리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9 is a circuit diagram of a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C-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제1 커패시터부(160)가 추가되고, 트랜스부(130)의 연결 형태가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와 동일한바, 스위칭부(110), 공진부(120), 정류부(140)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The switching DC-DC converter 100 ''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DC-DC converter 100 ''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제2 커패시터부(160)는 직렬 연결된 제4 커패시터(161) 및 제5 커패시터(162)를 포함하고, 전원에 병렬 연결된다. The
제4 커패시터(161)는 일 단이 전원 및 제1 스위치(111)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제5 커패시터(162)의 일 단 및 변압기(132)의 1차 측 권선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된다. The
제5 커패시터(162)는 일 단이 제4 커패시터(161)의 타 단과 변압기(132)의 1 차 측 권선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제2 스위치(112)의 타 단, 제1 커패시터(122)의 타 단에 공통 연결된다. The
트랜스부(130")는 제2 커패시터(131) 및 변압기(132)를 포함한다. The
제2 커패시터(131)는 일 단이 제1 스위치(111)의 타 단, 제2 스위치(112)의 일 단 및 공진부(120)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변압기(132)의 1차 측 권선의 일 단에 연결된다. The
변압기(132)는 1차 권선의 일 단이 제2 커패시터(131)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의 타 단이 제4 커패시터(161)의 타 단 및 제5 커패시터(162)와 공통 연결되며, 2차 권선이 정류부(140)와 연결된다.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하프 브리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0 is a circuit diagram of a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C-
제5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공진부(120")의 구성 및 트랜스부(130")의 연결 형태가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와 동일한바, 스위칭부(110), 정류부(140)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The switching DC-
공진부(120")는 인덕터(121) 및 제1 커패시터부(123, 124)로 구성된다. The
인덕터(121)는 일 단이 제1 스위치(111)의 타 단, 제2 스위치(112)의 일 단, 트랜스부(130)와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이 제6 커패시터(123)의 타 단, 제7 커패시터(124)의 일 단, 및 변압기(132)의 1차 측 권선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된다. The other end of the
제1 커패시터부(123, 124)는 직렬 연결된 제6 커패시터(123) 및 제7 커패시터(124)를 포함하고, 전원에 병렬 연결된다. The
제6 커패시터(123)는 일 단이 전원 및 제1 스위치(111)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제7 커패시터(124)의 일 단, 인덕터(121)의 타 단 및 변압기(132)의 1차 측 권선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된다. The other end of the
제7 커패시터(124)는 일 단이 제6 커패시터(123)의 타 단, 인덕터(121)의 타 단과 변압기(132)의 1 차측 권선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제2 스위치(112)에 연결된다. The
트랜스부(130")는 제2 커패시터(131) 및 변압기(132)를 포함한다. The
제2 커패시터(131)는 일 단이 제1 스위치(111)의 타 단, 제2 스위치(112)의 일 단 및 공진부(120)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변압기(132)의 1차 측 권선의 일 단에 연결된다. The
변압기(132)는 1차 권선의 일 단이 제2 커패시터(131)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의 타 단이 제4 커패시터(161)의 타 단 및 제5 커패시터(162)와 공통 연결되며, 2차 권선이 정류부(140)와 연결된다.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영전압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하프 브리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1 is a circuit diagram of a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C-
제6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직류-직류 컨버터(100"")는 공진부(120"')의 구성 이외에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100)와 동일한바, 스위칭부(110), 트랜스부(130), 정류부(140)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The switching DC-
공진부(120")는 인덕터(121) 및 제1 커패시터부(123, 124)로 구성된다. The
인덕터(121)는 일 단이 제1 스위치(111)의 타 단, 제2 스위치(112)의 일 단, 트랜스부(130)와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이 제6 커패시터(123)의 타 단 및 제7 커패시터(124)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된다. The other end of the
제1 커패시터부(123, 124)는 직렬 연결된 제6 커패시터(123) 및 제7 커패시터(124)를 포함하고, 전원에 병렬 연결된다. The
제6 커패시터(123)는 일 단이 전원 및 제1 스위치(111)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제7 커패시터(124)의 일 단 및 인덕터(121)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된다. One end of the
제7 커패시터(124)는 일 단이 제6 커패시터(123)의 타 단 및 인덕터(121)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제2 스위치(112)의 타 단 및 변압기(132)의 1차 측 권선의 타 단에 공통 연결된다.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DC-DC 컨버터 110: 스위칭부
120: 공진부 130: 트랜스부
140: 정류부100: DC-DC converter 110:
120: resonator part 130: transformer part
140: rectification part
Claims (14)
전원에서 접지로 직렬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 연결되는 공진부;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어느 하나와 병렬 연결된 1차 권선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1차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전압이 유기되는 2차 권선을 포함하는 트랜스부; 및
상기 트랜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일 단이 상기 전원과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트랜스부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공통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및 상기 트랜스부와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접지와 연결되고,
상기 공진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상기 트랜스부와 공통 연결되는 인덕터; 및
일 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 단과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제2 스위치의 타 단 및 상기 접지와 공통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컨버터.In a DC-DC converter,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serially 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ground;
A resonator including an inductor and a capacitor, the resonator be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 primary wind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any on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of the switching unit and a secondary winding whose voltage is induced by a voltage applied to the primary winding in accordance with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 trans portion; And
And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voltage as a DC voltage,
Wherein the first switch comprises: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in common with the transformer and the second switch,
Wherein the second switch comprises:
One end of the first switch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and the transform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e resonator may include:
An inductor having one end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transformer; And
And a first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in common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ground.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두 오프된 경우, 상기 제1 스위치의 양단 전압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양단 전압이 0 전압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onator may include:
DC convert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when both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re turned off, the both-end voltag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both-end voltage of the second switch have a zero voltage.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교번적으로 스위칭 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C-DC converter includ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such that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re alternately switch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하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후에 오프 상태의 제2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하면, 기설정된 제2 시간 이후에 오프 상태의 제1 스위치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first switch is chang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the second switch in the off state is turned on after a predetermined first time,
And turns on the first switch in the off state afte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when the second switch is chang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MOS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re MOSFETs.
상기 MOSFET은 출력 커패시터를 구비하며,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모두 오프된 경우,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SFET having an output capacitor,
The resonator may include:
And discharges the charged electric charge of the output capacitor when both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re turned off.
상기 트랜스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및 상기 인덕터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1차 권선의 일 단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의 타 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타 단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되며, 2차 권선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
A second capacitor having one end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one end of the inductor; And
One end of the primary winding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winding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a transformer connected to the DC-DC converter.
전원에서 접지로 직렬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 연결되는 공진부;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어느 하나와 병렬 연결된 1차 권선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1차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전압이 유기되는 2차 권선을 포함하는 트랜스부; 및
상기 트랜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일 단이 상기 전원과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트랜스부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공통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및 상기 트랜스부와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접지와 연결되고,
상기 공진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일 단과 연결되는 인덕터; 및
일 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 단과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상기 트랜스부와 공통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In a DC-DC converter,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serially 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ground;
A resonator including an inductor and a capacitor, the resonator be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 primary wind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any on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of the switching unit and a secondary winding whose voltage is induced by a voltage applied to the primary winding in accordance with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 trans portion; And
And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voltage as a DC voltage,
Wherein the first switch comprises: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in common with the transformer and the second switch,
Wherein the second switch comprises:
One end of the first switch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and the transform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e resonator may include:
An inductor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witch; And
And a first capaci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transformer portion in common.
전원에서 접지로 직렬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 연결되는 공진부;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어느 하나와 병렬 연결된 1차 권선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1차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전압이 유기되는 2차 권선을 포함하는 트랜스부; 및
상기 트랜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일 단이 상기 전원과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트랜스부 및 상기 제2 스위치와 공통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및 상기 트랜스부와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접지와 연결되고,
상기 공진부는,
직렬 연결된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제2 공진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과 병렬 연결된 제1 커패시터부; 및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및 상기 트랜스부와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공진 커패시터와 공통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In a DC-DC converter,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serially 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ground;
A resonator including an inductor and a capacitor, the resonator be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 primary wind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any on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of the switching unit and a secondary winding whose voltage is induced by a voltage applied to the primary winding in accordance with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 trans portion; And
And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voltage as a DC voltage,
Wherein the first switch comprises: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in common with the transformer and the second switch,
Wherein the second switch comprises:
One end of the first switch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and the transform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e resonator may include:
A first capacitor portion including a first resonant capacitor and a second resonant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the first capacitor portion be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supply; And
And an inductor having one end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transformer, and the other end commonly connected to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and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 DC converter.
상기 트랜스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및 상기 인덕터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1차 권선의 일 단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의 타 단이 상기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공진 커패시터와 공통 연결되며, 2차 권선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rans-
A second capacitor having one end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nd
Wherein one end of the primary winding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winding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and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and the secondary winding is connected to the transformer DC converter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트랜스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및 상기 인덕터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1차 권선의 일 단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의 타 단이 상기 제2 공진 커패시터의 타 단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타 단과 공통 연결되며, 2차 권선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rans-
A second capacitor having one end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other end of the inductor; And
One end of the primary winding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winding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a transformer connected to the rectification part.
전원에서 접지로 직렬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 연결되는 공진부;
상기 스위칭부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중 어느 하나와 병렬 연결된 1차 권선과,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1차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전압이 유기되는 2차 권선을 포함하는 트랜스부;
상기 트랜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는 정류부; 및
직렬 연결된 제4 커패시터 및 제5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과 병렬 연결된 제2 커패시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부는,
일 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타 단, 상기 제2 스위치의 일 단 및 상기 공진부의 일 단과 공통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1차 권선의 일 단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의 타 단이 상기 제4 커패시터 및 상기 제5 커패시터와 공통 연결되며, 2차 권선이 상기 정류부와 연결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In a DC-DC converter,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serially 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ground;
A resonator including an inductor and a capacitor, the resonator be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 primary wind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any on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of the switching unit and a secondary winding whose voltage is induced by a voltage applied to the primary winding in accordance with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 trans portion;
A rectifier for rectifying a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voltage as a DC voltage; And
And a second capacitor portion including a fourth capacitor and a fifth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the second capacitor portion being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source,
The trans-
A second capacitor having one end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one end of the resonant part; And
A transformer having one end of the primary wind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winding connected in common to the fourth capacitor and the fifth capacitor, and a secondary winding connected to the rectifying part; Including DC-DC convert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1110A KR101435469B1 (en) | 2013-03-22 | 2013-03-22 |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1110A KR101435469B1 (en) | 2013-03-22 | 2013-03-22 |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5469B1 true KR101435469B1 (en) | 2014-08-28 |
Family
ID=5175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11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5469B1 (en) | 2013-03-22 | 2013-03-22 |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546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36189B2 (en) | 2019-04-11 | 2022-05-17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Dual-capacitor resonant circuit for use with quasi-resonant zero-current-switching DC-DC converter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23713A (en) * | 1993-10-22 | 1995-05-12 | Minolta Co Ltd | Dc-dc converter |
JPH11187661A (en) * | 1997-12-19 | 1999-07-09 | Sanken Electric Co Ltd | Dc-to-dc converter |
JP2001359279A (en) * | 2000-06-12 | 2001-12-26 | Sony Corp | Bridge-type dc-dc converter |
US20090243388A1 (en) | 2008-04-01 | 2009-10-01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Multi-output dc/dc converter |
-
2013
- 2013-03-22 KR KR1020130031110A patent/KR10143546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23713A (en) * | 1993-10-22 | 1995-05-12 | Minolta Co Ltd | Dc-dc converter |
JPH11187661A (en) * | 1997-12-19 | 1999-07-09 | Sanken Electric Co Ltd | Dc-to-dc converter |
JP2001359279A (en) * | 2000-06-12 | 2001-12-26 | Sony Corp | Bridge-type dc-dc converter |
US20090243388A1 (en) | 2008-04-01 | 2009-10-01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Multi-output dc/dc convert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36189B2 (en) | 2019-04-11 | 2022-05-17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Dual-capacitor resonant circuit for use with quasi-resonant zero-current-switching DC-DC converters |
US11764693B2 (en) | 2019-04-11 | 2023-09-19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Dual-capacitor resonant circuit for use with quasi-resonant zero-current-switching DC-DC converte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75793B (en) | Convert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ac input voltage to a regulated dc output voltage using a z-type converter with rectified switches | |
US8040702B2 (en) | DC/DC power converting apparatus | |
JP6722353B2 (en) | DC/DC converter | |
US7405955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unit and voltage converting method | |
KR101288230B1 (en) | Battery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 |
KR102116705B1 (en) | Co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JP6241334B2 (en) | Current resonance type DCDC converter | |
US7324355B2 (en) | Dc-DC converter | |
US9362831B2 (en) | Fly-forward converter with energy recovery snubber | |
KR100681689B1 (en) | Switching power supply | |
US20080037290A1 (en) | Ac-dc converter and method for driving for ac-dc converter | |
JP2014011940A (en) | Current resonant dc-dc converter | |
US9042140B2 (en) | Bridge-less step-up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 |
JP2011050134A (en) | Resonant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 |
JP2015181329A (en) | Electric power conversion system | |
JP2012034549A (en) | Active clamp dc/dc converter | |
US9178435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 |
US20190386574A1 (en) |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 unit | |
KR20110138068A (en) |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and its driving method | |
KR101435469B1 (en) | Zero voltage switching dc-dc converter | |
KR101456654B1 (en) | A common-core power factor correction resonant converter | |
JP4635584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 |
TWI543513B (en) | Resonant converter | |
JP6245372B2 (en) |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
KR20150017433A (en) | Zero voltage switching full-bridge dc-dc conver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3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7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3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