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5370B1 -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370B1
KR101435370B1 KR1020130056509A KR20130056509A KR101435370B1 KR 101435370 B1 KR101435370 B1 KR 101435370B1 KR 1020130056509 A KR1020130056509 A KR 1020130056509A KR 20130056509 A KR20130056509 A KR 20130056509A KR 101435370 B1 KR101435370 B1 KR 10143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ipe
outside
exposed
conn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이도경
조연환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이화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이화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3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비고 벽 내측에 고정되어 급수를 전달하는 관(50)이 벽을 관통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되는 몸체(10)와, 상기 관(50) 끝단에 설치되어 배수를 위한 부속(60)과 관(50)을 연결하는 연결조인트(30)와, 벽 외측에서 상기 연결조인트(30)를 덮으면서 고정되는 커버(20)를 구비하여,
상기 관(50)이 벽을 관통하여 끝단에 연결조인트(30)가 설치되되, 연결조인트(30)의 끝단이 상기 커버(20) 밖으로 드러나 배수를 위한 부속(6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관(50)과 배수를 위한 부속(60)이 연결되는 부분이 벽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온수와 냉수를 배출하기 위한 부속과 급수를 전달하는 관이 연결되는 지점이 벽 외부로 드러남에 따라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연결지점에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쉽게 확인이 가능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가 간편한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Water supply unit}
본 발명은 수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을 연결하는 부분이 벽 외부로 돌출되어 배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에 관한 것이다.
수전구(水傳具:Water supply unit)란 옥내의 벽체 등에 설치되어 원 급수처로부터 배관을 통해 급수를 전달받으며 수도꼭지 또는 배수관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급수를 배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전구는 특허공개 제10-2010-0063411호 "스톱 기능을 가진 수전구"(2010. 6. 11.)에 개시되어 있는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나 온수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관이 몸체 일단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는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로서 수도꼭지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벽체 매립되게 설치되고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전구는 온수나 냉수를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도꼭지와 같은 부속들을 연결하는 지점이 벽 내부에 매립된 상태가 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것이었다. 따라서, 연결되는 지점에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관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수리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워 유지 보수를 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수와 냉수를 배출하기 위해 부속들을 연결하는 지점이 벽 외부로 드러나게 하여 시공이 편리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가 간편한 수전구를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온수와 냉수를 배출하기 위한 부속과 급수를 전달하는 관이 연결되는 지점이 벽 외부로 드러나게 형성된 수전구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와 냉수를 배출하기 위한 부속과 급수를 전달하는 관이 연결되는 지점이 벽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연결작업이 용이한바 시공이 편리하고 더불어 연결지점에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쉽게 확인이 가능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가 간편한 수전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수전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연결되는 지점이 벽 외부로 드러나게 형성되는 수전구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조인트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의 다른 실시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온수와 냉수를 배출하기 위해 부속들을 연결하는 지점이 벽 외부로 드러나게 하여 시공이 편리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가 간편한 수전구를 얻기 위해, 내부가 비고 벽 내측에 고정되어 급수를 전달하는 관이 벽을 관통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되는 몸체와, 상기 관 끝단에 설치되어 배수를 위한 부속과 관을 연결하는 연결조인트와, 벽 외측에서 상기 연결조인트를 덮으면서 고정되는 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관이 벽을 관통하여 끝단에 연결조인트가 설치되되, 연결조인트의 끝단이 상기 커버 밖으로 드러나 배수를 위한 부속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관과 배수를 위한 부속이 연결되는 부분이 벽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는 내부가 비어 있게 형성되어 벽 내측에 고정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를 관통하는 관(50) 끝단에 설치되어 벽 외측으로 드러나는 연결조인트(30) 및 벽 외측에서 상기 연결조인트(30)를 덮어주는 커버(2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벽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전방(벽 외측) 입구가 개방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달리 벽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에 상기 전방 입구가 맞닿아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몸체(10)는 급수를 전달하는 상기 관(50)이 관통함으로써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되며, 후방(벽 내측) 입구에는 상기 관(50)을 배관하기 위해 벽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미리 설치되는 주름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조인트(30)는 상기 관(50) 끝단에 설치된다. 별도로 마련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관(50)에 고정되어 벽 외측으로 드러나게 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커버(20) 밖으로 돌출되어 벽 외측에 설치되는 배수를 위한 부속(60), 예를 들면 수도꼭지와 같은 부속(6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내부가 비게 형성되어 상기 관(50)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를 전달하게 된다.
커버(20)는 벽 외측에서 상기 연결조인트(30)를 덮으면서 벽에 고정된다. 상기 몸체(10)와 연통 되게 설치되고, 연결조인트(30)가 관(50)에 끝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조인트(30)와 관(50)이 벽 외측으로 드러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는 관(50)이 상기 몸체(10)를 관통하여 끝단에 연결조인트(30)가 결합되고 그 상태로 상기 커버(20)에 수용되어 보호되게 된다.
상기 커버(20)에는 연결조인트(30)의 끝단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이 구멍을 통해 연결조인트(30)가 커버(20) 외부로 드러나 배수를 위한 부속(60)과 연결된다. 상기 구멍은 냉수와 온수를 같이 공급하는 경우 두 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커버(20) 좌측과 우측에 다른 관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외부 자극에 의해 연결조인트(30)가 보호될 수 있게 되고 외관을 깔끔하게 하여 줄 수 있다.
상기 커버(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조인트(3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조인트(30)는 일단이 관(50)과 결합 됨과 아울러 타단은 커버(20) 밖으로 드러나 배수를 위한 부속(60)과 연결되기 때문에 일정한 길이를 가지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조인트(30)가 커버(20) 내부에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커버(20)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벽의 두께에 따라 상기 몸체(10)와 상기 커버(20)를 연결하는 연결관(40)을 더 포함한다. 연결관(40)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벽 두께에 일치하는 연결관(40)을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를 다양한 두께의 벽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40)에서 벽 외측으로 드러나는 입구의 지름은 상기 연결조인트(3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연결조인트(30)가 상기 연결관(40) 입구에 걸려 벽 내측으로 딸려 들어가지 않게 할 수 있게 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40)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몸체(10)에서 벽 외측으로 드러나는 입구의 지름이 연결조인트(3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몸체(10)와 커버(20)가 벽에 고정되는 것은 벽과 닿는 부분에 플렌지를 형성하고 나사를 박아서 고정할 수 있는바,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이 가능하다.
이하,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몸체(10)와 연결관(40)을 벽에 고정한다. 벽에 구멍을 미리 뚫어둔 상태에서 고정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거푸집 사이에 미리 몸체(10)와 연결관(400을 고정하여 두고 타설함으로써 벽에 설치할 수 있다. 연결관(40)이 불필요한 경우 몸체(10)를 벽을 관통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설치된 몸체(10)와 연결관(40)을 통해 관(50)을 관통시켜 끝단이 벽 외측으로 드러나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관(50) 끝단에 연결조인트(30)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고정하여 준다.
연결조인트(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커버(20)를 벽 외측에 고정한다. 연결조인트(30)를 수용한 상태로 벽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연결조인트(30)의 끝단이 커버(20) 밖으로 돌출되게 하여 배수를 위해 설치되는 수도꼭지 등과 연결함으로써 설치를 마무리하게 된다.
상기에 따라 상기 관(50)과 배수를 위한 부속(60)이 연결되는 부분이 벽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커버(20)에 의해 보호되는바, 연결작업이 벽 외부에서 이루어 지게 되고 유지보수시에도 커버(20)를 제거한 후 벽 외부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된다.
10 : 몸체, 20 : 커버,
30 : 연결조인트, 40 : 연결관,
50 : 관, 60 : 부속.

Claims (4)

  1. 내부가 비고 벽 내측에 고정되어 급수를 전달하는 관(50)이 벽을 관통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되는 몸체(10)와, 상기 관(50) 끝단에 설치되어 배수를 위한 부속(60)과 관(50)을 연결하는 연결조인트(30)와, 벽 외측에서 상기 연결조인트(30)를 덮으면서 고정되는 커버(20)를 구비하여,
    상기 관(50)이 벽을 관통하여 끝단에 연결조인트(30)가 설치되되, 연결조인트(30)의 끝단이 상기 커버(20) 밖으로 드러나 배수를 위한 부속(6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관(50)과 배수를 위한 부속(60)이 연결되는 부분이 벽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벽의 두께에 따라 상기 몸체(10)와 상기 커버(20)를 연결하는 연결관(40)을 더 포함하여 다양한 두께의 벽에 설치할 수 있는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40)의 벽 외측 입구 지름은 상기 연결조인트(3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결조인트(30)가 상기 연결관(40) 입구에 걸려 벽 내측으로 딸려가지 않게 되는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연결조인트(30)보다 길게 형성되어 연결조인트(3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4. 삭제
KR1020130056509A 2013-05-20 2013-05-20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Active KR10143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509A KR101435370B1 (ko) 2013-05-20 2013-05-20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509A KR101435370B1 (ko) 2013-05-20 2013-05-20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370B1 true KR101435370B1 (ko) 2014-08-28

Family

ID=5175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509A Active KR101435370B1 (ko) 2013-05-20 2013-05-20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70B1 (ko) * 2015-04-17 2016-03-10 주식회사 삼호 다단 분배용 수전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630A (ko) * 2002-11-19 2004-05-24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778796B1 (ko) * 2007-03-06 2007-11-27 이도경 수전 연결용 배관 조립체
KR20090007440U (ko) * 2008-01-18 2009-07-22 신기만 이중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수전구 조립체
JP4603212B2 (ja) 2001-03-14 2010-12-22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水栓の配管接続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3212B2 (ja) 2001-03-14 2010-12-22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水栓の配管接続機構
KR20040043630A (ko) * 2002-11-19 2004-05-24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778796B1 (ko) * 2007-03-06 2007-11-27 이도경 수전 연결용 배관 조립체
KR20090007440U (ko) * 2008-01-18 2009-07-22 신기만 이중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수전구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70B1 (ko) * 2015-04-17 2016-03-10 주식회사 삼호 다단 분배용 수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25931A1 (en) Plumbing supply boxes
US7055863B1 (en) Containment device and method for hose bibs and the like
US20100319196A1 (en) Mounting kit and method for forming a recess in a concrete celling
KR101435370B1 (ko)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KR100778796B1 (ko) 수전 연결용 배관 조립체
KR100481811B1 (ko) 비수전함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1287503B1 (ko) 혼합수전 체결장치
KR200427623Y1 (ko) 수전구 고정대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JP3198278U (ja) プラグ付水栓継手
KR101458603B1 (ko) 배관이 용이한 양구형 수전구
CN106088255A (zh) 一种自来水龙头墙壁预埋连接盒
KR100751517B1 (ko) 동관수전박스
KR101458602B1 (ko) 배관이 용이한 수전구
KR200413538Y1 (ko) 건축마감용 수전케이스 연장틀
KR200435704Y1 (ko) 냉온수 분배관의 단부구조
KR100762918B1 (ko) 벽체 매립형 배관과 점검함의 고정 어셈블리
KR100447808B1 (ko) 매립식 오픈 수전함
KR200387090Y1 (ko) 수전이음쇠 내장형 매립 커버
KR200289216Y1 (ko) 비수전함형 수전연결시스템
KR19980025063U (ko) 거푸집 매설용 슬리브.
KR200330148Y1 (ko) 에이스 수전박스
KR200286978Y1 (ko) 매립식 오픈 수전함
KR200387063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