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4363B1 - 백색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백색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363B1
KR101434363B1 KR1020070113189A KR20070113189A KR101434363B1 KR 101434363 B1 KR101434363 B1 KR 101434363B1 KR 1020070113189 A KR1020070113189 A KR 1020070113189A KR 20070113189 A KR20070113189 A KR 20070113189A KR 101434363 B1 KR101434363 B1 KR 10143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egion
electrode
emitting portion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158A (ko
Inventor
김무겸
김상열
이성훈
송정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363B1/ko
Priority to US12/078,567 priority patent/US8274211B2/en
Publication of KR2009004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36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05B33/28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of translucent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백색 유기발광소자가 개시된다. 개시된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탑 에미션 방식으로 투광성 공통전극을 중심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이 구획된 2 중 캐비티(double cavity) 구조를 가진다. 제 1 영역에는 녹색 인광 또는 형광 발광층이 마련되며, 제 2 영역에는 청색 형광 발광층이 마련된다. 제 2 영역은 투광성 공통 전극과 반사 전극의 사이의 부분이며, 따라서 제 2 영역으로부터의 청색광은 공통전극을 지나 제 1 영역 측으로 진행한다. 적색 발광층은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녹색광과 청색광이 출광하는 영역에는 색상범위(Color Gamut)를 넓이기 위한 광학적 경로 제어층(OPCL, Optical Path Control Layer)가 마련되며, OPCL의 두께 변화에 색좌표가 크게 변하지 않으며, 따라서 양질의 백색광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백색 유기발광소자{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백색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정공의 결합에 의한 자발광(spontaneous emission) 소자인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는 우수한 색 재현성, 빠른 응답 속도, 얇은 두께, 높은 명암비, 넓은 시야각등의 우수한 특성과 더불어 저 소비전력의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OLED는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디스플레이 소자뿐 아니라 조명용 소자로도 적용가능하다.
백색 OLED는 고정세 마스크 대신 오픈 마스크를 사용하여 고해상도와 대형화에 유리하며, 박형 광원으로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또는 칼라 필터를 채용한 풀칼라 표시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백색 유기OLED는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 개의 단위 OLED를 수직으로 직렬 연결한 적층형 구조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백색 OLED의 과제는 색좌표가 (0.31, 0.31)인 백색광의 구현인데, 탑 에미션 방식의 백색 OLED는 약 100~200nm 정도의 발광 구조물의 하부에 반사층이 마련되는 구조를 가지며, 백색광은 발광 구조물의 상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백색광 이 출력되는 구조물의 상부에는 내부의 광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OPCL(Optical Path Control Layer)이 마련되는데, OPCL의 두께가 증가할 수 록 R, G, B 의 피이크(peak)가 분리가 개선되어 색상범위(color gamut)가 좋아지나 피이크가 분리되면서 피이크의 세기도 달라짐으로써 색좌표가 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OPCL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좌표의 변화가 적게 나타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색재현성이 양호한 양질의 백색 유기발광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모범적 실시예(exemplary embodiment)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투명성 제 1 전극과 반사성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사이에 마련되어 제1전극 측의 제1영역과 제 2 전극 측의 제2영역을 획정(define)하는 공통전극;
상기 제 1 영역에 마련되는 녹색 발광부; 그리고,
상기 제 2 영역에 마련되는 청색 발광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의 외측에 외부로 출력되는 광의 경로는 제어하는 OPCL(Optical Path Control Layer)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녹색 발광부는 인광 또는 형광 발광층(Phosphorescence or Fluorescence emission layer)을 포함한다. 그리고, 적색 발광층은 상기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발광 영역에 마련되는 적색 발광층은 형광 또는 인광 물질로 형성되며, 청색 발광부에 마련되는 적색 발광부는 형광 발광층을 포함한다.
상기 청색 발광부와 녹색 발광부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정공억제층, 전자억제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에서, 한 쌍의 투명성 제 1 전극(101a)과 반사성 제 2 전극(101b) 사이에 공통전극(101c)이 배치되어 제 1 영역 또는 공동(region or cavity, 102a)과 제 2 공동(102b)이 마련되어 2 중 공동(double cavity)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영역(102a)에는 녹색 발광부(103a)가, 제 2 공동(102b)에는 청색 발광부(103b)가 마련된다. 상기 녹색 발광부(103a)와 청색 발광부(103b)는 공통전극(101c)을 공유하는 형태이므로 이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기능층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층에는 통상의 정공수송/주입층(HTL/HIL), 전자수송층(ETL)등이 포함되는데, 공통전극(103c)이 캐소드로 적용되는 경우 공통전극(103c) 양측에 제 1, 제 2 전자수송층(ETL)이 마련되고, 그리고 각 발광부(103a, 103b)의 제 1, 2 전극(101a, 101b)측으로 정공수송/주입층(105a, 105b)이 마련된다. 그리고 공지된 구조에서와 같이 제 1, 제 2 전자 주입층(EIL)에 인접하여 전자 수송층(ETL, 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개의 적층으로 존재하는 정공수송층과 정공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을 편의 상 각각 하나의 적층으로 설명되었다.
상기 제 2 전극(101b)은 기판(100) 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청색 발광부(103b)에 발생한 청색광(B) 중 반사형 제 2 전극(101b)으로 진행한 광은 제 2 전극(101b)에서 반사되어 제 1 영역(12a)측으로 진행한다. 제 1 영역(102a)에서 발생한 녹색광(G) 중 공통전극(101c)으로 진행한 광은 공통전극(101c)에서 반사되어 제 2 영역(102b)로 부터의 청색광(B)과 함께 제1전극(101a)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제 2 전극(101a, 101b)의 투과도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전극(101a)의 외표면에는 광경로를 제어하는 OPCL(106)이 마련되어 있고, 따라서 제 1 전극(101a)을 투과한 광은 OPCL(106)을 경유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OPCL(106)은 2~500nm 범위의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 450 ~ 500nm 범위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OPCL(106)은 1.7 ~ 2.2 범위의 굴절율을 가지며 그 투과도는 90% 이상으로 유기 또는 무기 유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영역(102a)에 적색 발광부(107a)가 마련되어 있다. 적색 발광부(107)는 녹색 발광부(103a)와 접해 있으며, 따라서 제 1 영역(102a)에서 제 1 정공수송/주입층(105a) 및 제 1 전자수송층(104a)를 녹색 발광부(103a)와 함께 공유한다.
위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적색 발광부가 제1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102b)에 적색 발광부(107b)가 마련될 수 있다.
위의 두 실시예에서, 상기 공통 전극(101c)이 애노드 또는 캐소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은 캐소드 또는 애노드로 이용된다. 이러한 극성 변화에 따라 녹색 발광부(102a) 및 청색 발광부(103b) 양측의 전자수송층(104a, 104b) 및 정공수송/주입층(105a, 105b)의 위치도 전류흐름 방향에 상응하게 바뀌어야 할 것이다. 한편, 각 발광부로 수송된 정공 또는 전자가 바깥으로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공억제층(미도시), 전자 억제층(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위의 두 실시예에서 제 1 영역(102a)의 녹색 발광부(103a)는 유기 형광 또는 인광물질층을 포함하며, 제 2 영역(102b)의 청색 발광부(103b)는 유기 형광물질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영역(102a)에 마련되는 적색 발광부(107a)는 유기 형광 또는 인광 물질층을 포함하며, 제 2 실시예에서, 제 2 영역(102b)에 마련되는 적색 발광부(107b)는 유기 형광 물질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전자수송층, 정공수송층의 두께는 30n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녹색 발광부(103a)와 청색 발광부(103b)가 서로 다른 캐비티 즉 서로 다른 영역인 제 1 영역(102a)과 제 2 영역(102b)에 위치한다. 상기 OPCL(107)은 두께가 두꺼울 수록 R,G,B 의 색분리가 좋아지게 되는데, 이때에 녹색 발광부(103a)와 청색 발광부(103b)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청색광에 비해 녹색광의 피이크가 커짐으로 인한 색좌표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즉, 청색 발광부(103a)와 청색 발광부(103b)가 같은 같은 영역 내에 있거나 청색 발광부가 녹색광이 통과하는 영역에 위치해 있을 경우, 청색광에 비해 녹색광의 피이크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색재현성을 높이기 위하여 OPCL의 두께를 키우게 되면 색재현성을 좋아 지지만 청색광과 녹색광의 피이크의 차이에 따른 색좌표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색재현성을 높이면서 색좌표의 변화를 유지하기 위해 두꺼운 OPCL를 적용하려면 각 발광부의 전기적 특성의 조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색재현성을 높이기 위하여 OPCL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도 색좌표의 변화가 작고 따라서 별도의 전기적 특성의 조절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 3a은 청색 발광부에 대응하는 HIL(Hole Injection Layer)의 두께(Y축)와 OPCL의 두께(X축)에 따른 색좌표, 즉 Cx, Cy 값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r그리고, 도 3b는 공동이 구분되지 않은 종래 구조를 가지는 발광소자의 색좌표 변화를 보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두개의 공동부 즉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가지며, 제 1 영역에는 청색 발광부가 마련되고, 제 2 영역에는 적색 및 녹색 발광부가 마련되는 비교 샘플의 색좌표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왼쪽의 스펙트럼 칼럼(기둥)은 Cx, Cy의 값을 색도로 표현한 범례이며, x 축방향의 CPL(Capping Layer)은 OPCL을 가르킨다. Cx의 경우, OPCL의 두께가 20~500nm 까지 변할 때 HIL의 두께는 30~40nm에서 0.31을 갖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OPCL의 두께별로 Cx와 Cy 가 0.31가 되는 HIL의 두께 값을 선으로 표시를 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발광부가 제 2 영역에 마련되고 제 1 영역에 녹색 및 적색 발광부가 마련되는 경우, Cx와 Cy가 0.31일때 OPCL의 두께 변화와 HIL의 두께 변화가 거의 동일한 패턴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다. 각 도면의 Cy 에 대한 스펙트럼에 있 어서 변화 곡선 상의 점은 색좌표를 (0.31, 031)에 맞출 수 있는 두께를 표시한 것인데, 이에 따르면 OPCL의 두께에 상관없이 CIE가 잘 맞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b 및 도 3c을 통하여 단일 공동의 종래 구조 및 이중 공동의 구조를 가지지만 청색 발광부가 제1영역에 마련되는 비교 샘플의 경우, OPCL의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색좌표의 변화가 나타나고 색좌표가 맞는 부분이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3a에 나타내 보인 색좌표 측정에 사용된 샘플의 적층 구조 및 그 두께는 아래 표와같다.
적층 물질 두께 (nm)
Air 0
OPCL dielectric 40
제1전극 Ag 7
제1정공주입/수송층
HIL 22
HTL 11
적색 발광부 Red EML 8
녹색 발광부 Green EML 12
제1전자수송층 ETL 30
LiF 0.6

공통전극
Al 2
Ag 7
Al 2
LiF 0.6
ETL 30
청색 발광부 Blue EML 12
제2정공주입/수송층
HTL 11
HIL 22

제2전극
ITO 7
Ag 100
ITO 7
도 4는 480nm 두께의 OPCL을 이용했을 때의 피이크 분리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4에서, Cs+는 포톤(photon)의 s 편광을 말하며, Cp+는 p 편광을 의미하는데, 시뮬레이션 상에서 등방성(isotropic)을 가정하였으므로 Cs+ 와 Cp+ 는 같고(Cs+ = Cp+), C 는 Cs+ 와 Cp+ 의 합(C= 'Cs+' + 'Cp+') 이다. 그리고 실제 측정되는 스펙트럼은 C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꺼운 OPCL를 이용했을 때 R, G, B의 스펙트럼의 피이크가 잘 분리되었다. 이러한 양호한 색분리는 결과적으로 좋은 색상범위(color gamut)의 달성을 의미한다. 색좌표의 Cx와 Cy가 OPCL의 두께에 상관없이 잘 맞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OPCL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B와 G 피이크가 분리가 되면서 G의 세기가 커져 결국 Cy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중 공동(double cavity)을 사용함으로써 G 피이크의 상승이 억제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탑 에미션 백색 OLED 구조에서는 광학적으로 두께에 따른 색변화가 큰 구조이며, 풍부한 색감을 나타내기 위해 색상범위을 높여야 하는데, 광학 조절을 해주는 OPCL의 두께 증가는 색상범위를 증가시키나 Cy를 높이는 역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색상 범위를 높이면서도 전기적으로 최적화 된 발광부가 갖는 CIE 좌표값 (Cx, Cy)가 변하지 않도록 B와 G/R을 구획하여 이중 공동(double cavity)을 이용한다.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적층의 물질은 통상의 것이 사용되며 그 대략은 아래와 같다.
제1, 제2 전극에 사용되는 물질 중 투명성 재료로는 산화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 산화인듐아연(IZO; Indium Zinc Oxide), 산화주석(SnO2)또는 산화아연(ZnO)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 2 전극의 물질을 10nm 이하의 얇은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전극에 사용되는 반사물질로는 리튬(Li),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알루미늄-리튬(Al-Li), 칼슘(Ca), 마그네슘-인듐(Mg-In) 또는 마그네슘-은(Mg-A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공주입층 물질로서, 예를 들어, 구리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스타버스트형 아민 유도체류인 TCTA, m-MTDATA, m-MTDAPB, MoO3, 용해성이 있는 전도성 고분자인 Pani/DBSA(Polyaniline/ Dodecylbenzenesulfonic acid: 폴리아닐린/도데실벤젠술폰산)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4-styrenesulfonate):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4-스티렌술포네이트)), Pani/CSA(Polyaniline/Camphor sulfonicacid:폴리아닐린/캠퍼술폰산) 또는 PANI/PSS(Polyaniline)/Poly(4-styrenesulfonate)(폴리아닐린)/폴리 (4-스티렌술포네이트)) 등과 같은 공지된 정공주입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공주입층의 두께는 약 100Å 내지 10000Å, 바람직하게는 100Å 내지 1000Å일 수 있다. 상기 정공주입층의 두께가 100Å 미만인 경우, 정공주입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정공주입층의 두께가 10000Å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전압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정공수송층(202)을 이루는 물질은 예를 들어,
N-페닐카르바졸, 폴리비닐카르바졸 등의 카르바졸 유도체,
N,N'-비스(3-메틸페닐)-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 벤지딘(α-NPD) 등의 방향족 축합환을 가지는 통상적인 아민 유도체 등과 같은 공지된 정공수송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층의 두께는 약 50Å 내지 1000Å, 바람직하게는 100Å 내지 600Å일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층의 두께가 50Å 미만인 경우, 정공수송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정공수송층의 두께가 1000Å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 전압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자수송층을 이루는 재료는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안정하게 수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옥사졸계 화합물, 이소옥사졸계 화합물, 트리아졸계 화합물, 이소티아졸(isothiazole)계 화합물, 옥사디아졸계 화합물, 티아다아졸(thiadiazole)계 화합물, 페릴렌(perylene)계 화합물, 알루미늄 착물(예: Alq3(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tris(8-quinolinolato)-aluminium) BAlq, SAlq, Almq3, 갈륨 착물(예: Gaq'2OPiv, Gaq'2OAc, 2(Gaq'2))등과 같은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주입층 물질로는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물질이면 특별히 재료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주입층(205) 으로서는 LiF, NaCl, CsF, Li2O, BaO, BaF2, CsCO3와 BCP 혼합체 등과 같은 전자주입층 형성 재료로서 공지된 임의의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주입층의 증착조건은 사용하는 화합물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정공주입층의 형성과 거의 동일한 조건범위 중에서 선택된다.
녹색 발광부에 사용되는 인광 도펀트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녹색 도펀트로는 [Coumarin 6], Ir(PPy)3(PPy=2-phenylpyridine) 등이, 적색 도펀트로서 [4-(dicyanomethylene)-2-t-butyl-6-(1,1,7,7- tetramethyljulolidyl-9-enyl)-4H-pyran (4-(dicyanomethylene)-2-t-butyl-6-(1,1,7, 7-tetramethyljulolidyl-9-enyl)- 4H-pyran;DCJTB)], PtOEP, UDC사의 RD 61, RD15, Merck 사의 TER021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청색 발광부에 사용되는 청색 도펀트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DPAVBi, DPAVBi 유도체, 디스티릴아릴렌(DSA), 디스티릴아릴렌 유도체, 디스티릴벤젠(DSB), 디스티릴벤젠 유도체, 스피로-DPVBi 및 스피로-6P(스피로-섹시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적색 발광층에 사용되는 적색 도펀트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4-(디시아노메틸렌)-2-t-부틸-6-(1,1,7,7-테트라메틸줄롤리딜-9-에닐)-4H-피란(4-(dicyanomethylene)-2-t-butyl-6-(1,1,7,7-tetramethyljulolidyl-9-enyl)-4H-pyran;DCJTB), PtOEP, UDC사의 RD 61 등을 들 수 있다. 녹색 발광층에 사용되는 녹색 도펀트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쿠마린, Ir(PPy)3(PPy=2-phenylpyridine) 등을 들 수 있다.
적색 인광물질로는 다음물질 중의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Tris(dibenzoylmethane)phenanthroline europium(III), Bis(2-benzo[b]thiophen-2-yl-pyridine)(acetylacetonate)iridium (III), Tris(1-phenylosoquinoline)iridium(III), Bis(1-phenliso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III), Bis([1-(9,9-dimethyl-9H-fluoren-2-yl)-isoquinoline] (acetylacetonate)iridium(III), Bis[3-(9,9-dimethyl-9H-fluoren-2-yl)-isoquinoline](acetylacetonate)iridium(III), Tris[4,4'-di-tert-butyl-(2,2')-bipyridine]ruthenium(III) complex, Tris(2-phenylquinoline)iridium(III)
그리고, 적색 형광물질로는 다음 물질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4-(Dicyanomethylene)-2-tert-butyl-6-(1,1,7,7-tetramethyljulolidin-4-yl-vinyl)-4H-pyran, Tetraphenylnaphthancene, Bis(2-phenylquinoline) (acetylacetonate)iridium (III)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소자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한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에서, 전자주입층과 OPCL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좌표 Cx, Cy의 변화를 보인다.
도 3b는 단일 공동 구조의 종래 백색 유기발광소자에서, 전자주입층과 OPCL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좌표 Cx, Cy의 변화를 보인다.
도 3c는 이중 공동 구조로서 제2영역으로 부터의 광이 경유하는 제 1 영역에 청색 발광부가 마련된 비교 샘플 유기발광소자에서, 전자주입층과 OPCL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좌표 Cx, Cy의 변화를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색분리를 보이는 스팩트럼 그래프이다.

Claims (7)

  1. 투명성 제 1 전극과 반사성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사이에 마련되어 제1전극 측의 제1영역과 제 2 전극 측의 제2영역을 획정(define)하는 공통전극;
    상기 제 1 영역에 마련되는 녹색 발광부;
    상기 제 2 영역에 마련되는 청색 발광부; 그리고
    상기 제 1 전극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광의 경로를 제어하는 OPCL(Optical Path Control Layer):을 구비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발광부는 유기 인광 또는 형광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청색 발광부는 유기 형광 발광층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유기 인광 또는 유기 형광 발광층을 포함하는 적색 발광부가 더 포함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 유기 형광 발광층을 포함하는 적색 발광부가 더 구비되어있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PCL은 450 ~ 500n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백색 유기발광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공통전극은 70% 이상의 투과도를 가지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20070113189A 2007-11-07 2007-11-07 백색 유기발광소자 Expired - Fee Related KR10143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89A KR101434363B1 (ko) 2007-11-07 2007-11-07 백색 유기발광소자
US12/078,567 US8274211B2 (en) 2007-11-07 2008-04-01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89A KR101434363B1 (ko) 2007-11-07 2007-11-07 백색 유기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58A KR20090047158A (ko) 2009-05-12
KR101434363B1 true KR101434363B1 (ko) 2014-08-26

Family

ID=4058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1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4363B1 (ko) 2007-11-07 2007-11-07 백색 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74211B2 (ko)
KR (1) KR101434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91015A1 (it) * 2009-12-21 2011-06-22 Mediteknology S R L Diodo emettitore di luce organico
KR101084196B1 (ko) 2010-02-19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82447B1 (ko) 2010-06-16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5824B1 (ko) * 2010-10-22 2014-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US9853220B2 (en) 2011-09-12 2017-12-26 Nitto Denko Corporation Effici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nd fabrication of the same
WO2013090355A2 (en) 2011-12-14 2013-06-20 Nitto Denko Corporation Top-emitting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having improverd efficiency and stability
KR101918712B1 (ko) 2012-08-02 2018-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US9263681B2 (en) 2012-12-10 2016-02-16 Nitto Denko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host materials
WO2014099864A2 (en) 2012-12-17 2014-06-26 Nitto Denko Corporation Light-emitting devices comprising emissive layer
ITBA20130012A1 (it) * 2013-02-18 2014-08-19 Mediteknology Srl Dispositivo oled a cavità multipla
CN103346164B (zh) * 2013-07-13 2016-12-28 广州新视界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颜色可调的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KR102454348B1 (ko) * 2013-12-31 2022-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GB2542568B (en) * 2015-09-22 2018-05-30 Cambridge Display Tech Lt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ich emits white light
KR102490381B1 (ko) * 2015-12-24 2023-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발광 적층구조물
KR102447451B1 (ko) 2016-01-20 2022-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3671611B (zh) * 2021-09-22 2025-03-18 东莞市光志光电有限公司 一种修正色坐标的背光模组之银反射片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3135A1 (en) * 2000-03-31 2001-10-25 Duggal Anil Raj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enhanced light extraction
JP2006012793A (ja) * 2004-05-21 2006-01-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素子および前記素子を用いた発光装置
KR20070076521A (ko) * 2006-01-18 2007-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적층형 유기발광소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7618B2 (en) * 2002-08-20 2004-06-08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improved lifetime
US6875320B2 (en) * 2003-05-05 2005-04-05 Eastman Kodak Company Highly transparent top electrode for OLED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3135A1 (en) * 2000-03-31 2001-10-25 Duggal Anil Raj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enhanced light extraction
JP2006012793A (ja) * 2004-05-21 2006-01-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素子および前記素子を用いた発光装置
KR20070076521A (ko) * 2006-01-18 2007-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적층형 유기발광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74211B2 (en) 2012-09-25
US20090115319A1 (en) 2009-05-07
KR20090047158A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363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072155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07574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0611756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59632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US7982392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105810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8349632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541734B2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ayer with a metal oxide and a benzoxazole derivative
KR10095365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8552639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20070126350A1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455727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14262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080083881A (ko) 색 조절층을 구비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KR20180078641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3481231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15247B1 (ko) 전기루미네선스 디바이스
KR101462538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1434359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US20050208332A1 (en) White-light-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having the same
KR10068541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08510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721716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8071578A (ja) 有機el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1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7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