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4051B1 - The safety holder and the ladder with the safety holder - Google Patents

The safety holder and the ladder with the safety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051B1
KR101434051B1 KR1020120146035A KR20120146035A KR101434051B1 KR 101434051 B1 KR101434051 B1 KR 101434051B1 KR 1020120146035 A KR1020120146035 A KR 1020120146035A KR 20120146035 A KR20120146035 A KR 20120146035A KR 101434051 B1 KR101434051 B1 KR 10143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fastening
fix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0706A (en
Inventor
이동우
조창래
황권태
전종협
문남진
문귀원
이상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6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051B1/en
Publication of KR20140080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7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0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06C7/182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situated at the top of the ladd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환경에 따라 전면 안전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der equipped with a safety cradle and a safety cad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dder equipped with a safety caddy and a safety cradl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ront safety bar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

Description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THE SAFETY HOLDER AND THE LADDER WITH THE SAFETY HOLD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ladder and a safety ladder,

본 발명은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환경에 따라 전면 안전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der equipped with a safety cradle and a safety cad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dder equipped with a safety caddy and a safety cradl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ront safety bar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

일반적으로 사다리 또는 작업대는 높은 곳에 올라가거나 작업자가 손이 닿지 않는 곳의 작업을 위한 것으로 하고 각종 작업현장 및 기타 여러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운반과 휴대가 용이하도록 제작된다.Generally, the ladder or work platform is used for work on a high place or where the worker can not reach, and it is used in various work sites and various places, and it is made to be easy to carry and carry.

도 6은 종래 작업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6022호에는 다리; 상기 다리 상부에 설치되는 작업대; 및 변위를 통하여 바닥과 접촉하게 되는 바퀴와, 상가 바퀴와 연결되고, 상기 다리 하부에 축설되어 선회를 통하여 상기 바퀴를 변위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바퀴가 지면과 접촉한 상태를 고정하는 록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회동부재는 상기 바퀴의 지면 접촉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록커를 위한 결합부와, 상기 바퀴의 지면 비접촉상태를 위한 라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ork table. Referring to Fig. 6,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56022 discloses a bridge, A work table mounted on the legs; And a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floor by a displacement, and a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traveling wheel and including a pivoting member that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leg and displaces the wheel through the pivot, And a rocker for fixing the state of contact of the wheel with the ground, wherein the pivoting member of the moving part has a coupling part for the rocker to fix the ground contact state of the wheel and a round part for the ground contact state of the wheel Wherein the movable work table is provided with a movable table.

상기 작업대에는 난간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난간이 필요 없거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다양한 작업 상황에 맞출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The height of the railing is fixed to the worktable so that the railing is not necessary or the height can not be adjusted to various work situations where the height is to be adjust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환경에 따라 전면 안전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cradle and safety cradl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ront safety bar, To provide a ladd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승강바; 사다리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안전바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바가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고정부몸체와, 상기 체결홀과 끼움결합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승강바에 고정되는 전면 안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dder equipped with a safety cradle and a safety cradle, including: a lifting bar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a fastening part which is fixed to a side safety bar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ladder and includes a fastening body to which the lifting bar can be raised and lowered and a fastening part which is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and fastened to one side of the fastening part. government; And a front safety bar fixed to the elevating ba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체결부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몸체에 고정되는 체결부몸체와, 상기 체결부몸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체결구와 결합구를 연결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nd the safety cad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art has a fastening part body fixed at one end to the fastening body, a coupling part movably coupled in the fastening part body, And a handle for connecting the sphe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결합구와 상기 체결부몸체 외측 단부 사이에는 스프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nd the safety cad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ring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coupling caddy and the outer end of the coupling caddy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고정부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과 끼움결합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nd the safety cad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ed caddy and fitted to the coupling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스토퍼는 상기 고정부몸체에 고정되는 스토퍼몸체와; 일단부는 상기 체결구에 끼워지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안전봉과; 상기 안전봉의 외주면에 개재되어 상기 안전봉을 상기 체결홀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nd the safety cad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per body fixed to the fixed caddy body; A safety rod having one end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outside the fixed body; And a spring member inter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fety bar to press the safety bar in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복수의 체결홀은 상기 고정부의 체결구와, 상기 스토퍼의 안전봉이 동시에 체결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nd the safety cad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caddies are formed at intervals such that the fastening of the fixing caddy and the safety bar of the stopper can be simultaneously clamp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계단과, 상기 계단의 상단과 연결되는 발판과, 상기 계단 또는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발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2측면 안전바와, 상기 제1, 2측면 안전바로 이루어지는 측면 안전바와 결합하는 안전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거치대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승강바; 상기 측면 안전바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승강바가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고정부몸체와, 상기 체결홀과 끼움결합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승강바에 고정되는 전면 안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dder provided with the safety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a footres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p,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tep or the footrest, and a first and second side safety bars And a safety cradle coupled to the side safety bar, the safety cradle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safety bars, wherein the safety cradle includes: a lifting bar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side safety bar and including a fixing body to which the elevating bar can be raised and lowered and a fastening part to be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the fastening part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And a front safety bar fixed to the elevating ba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사다리의 측면 안전바는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제1, 2측면 안전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안전바는 일단부는 상기 제1측면 안전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측면 안전바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side safety bar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de safety bar of the ladder, and one end of the front safety bar is rotatable on the first side safety bar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side safety ba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전면 안전바는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ront safety bars are instal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상기 사다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wheel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or moving the lad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고정부는 상기 측면 안전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art is detachably fixed to the side safety bar.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전면 안전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nd the safety cad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control the height of the front safety bar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바가 상하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안전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작업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adder equipped with a safety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lift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up and down.
3 is a view showing a front safet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ork tab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일반적인 사다리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nd the safety cad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 general ladder.

한편, 인공위성의 조립이나 시험 작업에서 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 고가의 부품을 취급하므로 각종 상황에 맞는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상당 부분의 작업이 높은 곳에서 이루어지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작업 효율과 안전사고 예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ladder is used in assembling or testing a satellite, expensive parts are handled, so efficient work must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situations, and a lot of work is performed in a high place. Therefore, the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nd the safety cad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work efficiency and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바가 상하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안전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adder equipped with a safety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lift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up and down, FIG. And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1)는 크게 계단(20)과, 상기 계단(20)의 상단과 연결되는 발판(30)과, 상기 계단(20) 또는 발판(30)을 지지하는 지지대(40)와, 상기 발판(3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2측면 안전바(50)와, 상기 제1, 2측면 안전바(50)로 이루어지는 측면 안전바와 결합하는 안전 거치대(10)를 포함할 수 있다.1, a ladder 1 equipped with a safety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20, a foot plate 30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tep 20, A first and a second side safety bar 5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oot plate 30 and a side safety bar mad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safety bars 50; And may include a safety rest 10 that enga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1)는 지지대(40)의 하단부에 상기 사다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45)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dder 1 provided with the safety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wheel 45 for moving the ladder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edestal 40.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10)는 크게 승강바(11)와, 고정부(13)와, 전면 안전바(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crad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largely include a lifting bar 11, a fixing portion 13, and a front safety bar 16.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바(11)는 상기 사다리(1)의 전면부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전면 안전바(16)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11)는 상하로 승강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전면 안전바(1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2, the elevating bar 11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ladder 1, and serves to fix the front safety bar 16. As shown in FIG. Since the elevating bar 11 can be vertically elevated, the height of the front safety bar 16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or's selection.

상기 승강바(11)의 일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체결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10)은 상기 승강바(11)의 높이 조절을 한 후 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후술할 상기 고정부의 체결구(157) 또는 안전봉(19)이 삽입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0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elevating bar 11 at regular intervals. The fastening hole 110 serves to fix the height of the lifting bar 11, and a fastener 157 or a safety bar 19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상기 전면 안전바(16)는 상기 승강바(11)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front safety bar 16 may be fixed to the elevating bar 11 in a lateral direction.

한편 도 3과 같이, 상기 전면 안전바(16a)는 일단부는 상기 제1승강바(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승강바(1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안전바의 타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바가 불필요한 경우에 이를 탈착시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3, one end of the front safety bar 16a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elevating bar 11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elevating bar 11 . Since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ront safety bar can be detachably attached, when the safety bar is unnecessary, it is possible to detach the safety bar to increase the working efficiency.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면 안전바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front safety bars may be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3)는 사다리에 설치된 측면 안전바(50)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바(1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fixing part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ide safety bar 50 provided on a ladder and serves to fix the elevating bar 11.

상기 고정부(13)는 사다리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안전바(50)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바(11)가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고정부몸체(14)와, 상기 체결홀(110)과 끼움결합하는 체결구(157)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몸체(14)의 일측에 고정되는 체결부(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13 is fixed to a side safety bar 50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a ladder and has a fixed body 14 to which the elevating bar 11 can be elevated and lowered, And a fastening part 15 including a fastening part 157 to be fastened to one side of the fixed body 14.

상기 고정부몸체(14)는 상기 승강바(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fixed body 14 has a tubular shape that is vertically opened to allow the elevating bar 11 to be inserted therein.

상기 체결부(15)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몸체(14)에 고정되는 체결부몸체(151)와, 상기 체결부몸체(151)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153)와, 체결구(157)와 결합구(153)를 연결하는 손잡이부(15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5 includes a fastening body 15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astening body 14, a fastening part 153 movably coupled in the fastening part body 151, And a handle 155 connecting the engaging portion 157 and the engaging portion 153.

상기 체결구(157), 손잡이부(155) 및 결합구(15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The fastener 157, the handle 155, and the coupling member 153 may be integrally formed or detachably coupled.

상기 체결구(157)는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155)와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홀(110)에 삽입된다.The fastener 157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handle 155 and the other end configured as a free end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0.

상기 결합구(153)는 일단은 상기 체결부몸체(151)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부(155)와 연결된다.One end of the coupling hole 153 is movably coupled within the coupling body 15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155.

그리고 상기 결합구(153)와 상기 체결부몸체(151) 외측 단부 사이에는 스프링부재(S)가 개재되고, 상기 스프링부재(S)의 탄성으로 인해 상기 체결구(157)를 상기 체결홀(110)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A spring member S is interpos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153 and the out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body 151 and the coupling member 157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0 ) Direc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10)는 고정부몸체(1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110)과 끼움결합하는 스토퍼(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the safety crad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7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ed body 14 and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110.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10)는 상기 체결부(15)에서 1차로 상기 승강바(11)를 고정하고, 상기 스토퍼(17)에서 2차로 고정하게 된다.The safety crad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elevating bar 11 in the first coupling part 15 and secures the elevating bar 11 in the stopper 17 in the second order.

만일 상기 스토퍼(17)가 없는 경우에, 상기 체결구(157)를 상기 체결홀(110)에서 빼게 되면 상기 승강바(11)가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스토퍼(17)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승강바(11)가 바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stopper 17 is not provided and the fastener 157 is pulled out from the fastening hole 110, the elevator bar 11 may fall downward and cause a safety accident. However, 17 can be formed to prevent the elevating bar 11 from falling immediately.

상기 스토퍼(17)는 상기 고정부몸체(14)에 고정되는 스토퍼몸체(18)와, 일단부(191)는 상기 체결홀(110)에 끼워지고 타단부(193)는 상기 고정부몸체(1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안전봉(19)과, 상기 안전봉(19)의 외주면에 개재되어 상기 안전봉(19)을 상기 체결홀(110)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S)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17 has a stopper body 18 fixed to the fixed body 14. One end 191 of the stopper 17 is fitted in the coupling hole 110 and the other end 193 of the stopper body 19 is fixed to the fixed body 14 And a spring member S inter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fety bar 19 to press the safety bar 19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hole 110.

상기 승강바(11)를 상승 또는 하강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상기 체결구(157)를 체결홀(110)에서 빼고, 그 다음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안전봉(19)의 타단부(193)를 잡아당겨 승강바(11)의 높이를 조절한 후 타단부(193)를 놓아 상기 체결홀(110)에 끼우고 다시 체결구(157)를 체결홀(110)에 끼워 고정하면 된다.When the lifting bar 11 is lifted or lowered, the user first pulls the fastener 157 out of the fastening hole 110 and then holds the other end 193 of the security bar 19 protruding outward The height of the lifting bar 11 may be adjus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ifting bar 11 and then the other end portion 193 may be placed in the tightening hole 110 and the fastening hole 157 may be fixed to the fastening hole 110 again.

그리고 상기 복수의 체결홀(110)은 상기 고정부의 체결구(157)와, 상기 스토퍼(17)의 안전봉(19)의 일단부(191)가 동시에 체결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0 are formed at intervals such that the fastener 157 of the fastener and the one end 191 of the safety bar 19 of the stopper 17 can be fastened together at the same time.

상기 안전봉(19)의 일단부는 곡면을 이루고 상기 체결홀(110)의 입구 영역에 걸릴 수 있는 정도로 구성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safety rod 19 may have a curved surfac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aught in an entrance area of the fastening hole 110.

이 경우 상기 안전봉(19)은 상기 체결홀(110)에 대하여 걸림편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봉(19)의 일단부는 스프링의 탄성보다 큰 힘이 가해지면 곡면 부분으로 인해 상기 체결홀(110)을 빠져나오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안전봉의 일단부가 체결홀의 내측으로 상당히 삽입되어 타단을 잡아당기지 않으면 빠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afety bar 19 serves as a lock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hole 110. When one end of the safety bar 19 is applied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he safety bar 19 is pulled out of the coupling hole 110 due to the curved portion. In some cases, the safety ba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of the safety ba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astening hole and the other end is not pulled out.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는 체결부와 스토퍼 2중의 안전장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safety ladder equipped with the safety cradle and the safety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in safety because the ladder is composed of the locking unit and the safety device in the stopper 2.

그리고 상기 승강바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환경에 맞추어 전면 안전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elevating bar can be raised and lowered vertically, the height of the front safety ba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ork environment.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안전 거치대 11 : 승강바
110 : 체결홀 13 : 고정부
14 : 고정부몸체 140 : 안전봉 삽입홀
15 : 체결부 151 : 체결부몸체
153 : 결합구 155 : 손잡이부
157 : 체결구 16 : 전면 안전바
17 : 스토퍼 18 : 스토퍼몸체
19 : 안전봉 191 : 일단부
192 : 단턱 193 : 타단부
20 : 계단 30 : 발판
40 : 지지대 50 : 측면 안전바
S : 스프링부재
10: safety cradle 11: lift bar
110: fastening hole 13:
14: Fixing body 140: Safety bar insertion hole
15: fastening part 151: fastening part body
153: coupling part 155: handle part
157: fastener 16: front safety bar
17: stopper 18: stopper body
19: safety rod 191:
192: step 193: the other end
20: Stair 30: Scaffold
40: support 50: side safety bar
S: spring member

Claims (16)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승강바;
사다리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안전바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바가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고정부몸체와, 상기 체결홀과 끼움결합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승강바에 고정되는 전면 안전바;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몸체에 고정되는 체결부몸체와, 상기 체결부몸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체결구와 결합구를 연결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
A lift bar o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And a fastening part which is fixed to a side safety bar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ladder and includes a fastening bod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a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fastening part which is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government; And
And a front safety bar fixed to the elevating bar,
The fastening portion
Wherein the safety cradle includes a coupling body fixed at one end to the fixed body, a coupling member movably coupled within the coupling member body, and a handle connecting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와 상기 체결부몸체 외측 단부 사이에는 스프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pring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coupling hole and the outer end of the coupling part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과 끼움결합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And a stopper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ed body and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부몸체에 고정되는 스토퍼몸체와; 일단부는 상기 체결홀에 끼워지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안전봉과; 상기 안전봉의 외주면에 개재되어 상기 안전봉을 상기 체결홀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opper
A stopper body fixed to the fixed body; A safety rod having one end fitted in the coupling hole and the other end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fixed body; And a spring member inter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fety bar to press the safety bar in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홀은 상기 고정부의 체결구와, 상기 스토퍼의 안전봉이 동시에 체결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intervals such that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safety bar of the stopper can be fastened together at the same time.
계단과, 상기 계단의 상단과 연결되는 발판과, 상기 계단 또는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발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2측면 안전바와, 상기 제1, 2측면 안전바로 이루어지는 측면 안전바와 결합하는 안전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거치대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승강바; 상기 측면 안전바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승강바가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고정부몸체와, 상기 체결홀과 끼움결합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상기 승강바에 고정되는 전면 안전바;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몸체에 고정되는 체결부몸체와, 상기 체결부몸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체결구와 결합구를 연결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
A side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step or the foot plate; a first and second side safety ba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oot plate; a side safety bar for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safety bars; Incorporating a safety mount,
The safety cradle,
A lift bar o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A fixing part fixed to the side safety bar and including a fixing body to which the elevating bar can be raised and lowered and a fastening part to be fitted to the fastening hole and to be fasten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And a front safety bar fixed to the elevating bar,
The fastening portion
And a lug provided with a safety cradle, wherein the safety ladder includes a coupling body fixed to the fixed body at one end, a coupling member movably coupled in the coupling member body, and a handle connecting the coupling and coupling members.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의 측면 안전바는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제1, 2측면 안전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안전바는 일단부는 상기 제1측면 안전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측면 안전바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ide safety bar of the ladder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side safety bar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herein one end of the front safety ba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ide safety bar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side safety ba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안전바는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plurality of front safety bars are installed on the ladd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상기 사다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wheel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o as to move the ladder.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와 상기 체결부몸체 외측 단부 사이에는 스프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spring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coupling and the outer end of the fastening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과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stopper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ed body to engage with the fastening ho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부몸체에 고정되는 스토퍼몸체와; 일단부는 상기 체결홀에 끼워지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안전봉과; 상기 안전봉의 외주면에 개재되어 상기 안전봉을 상기 체결홀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opper
A stopper body fixed to the fixed body; A safety rod having one end fitted in the coupling hole and the other end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fixed body; And a spr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fety bar and the safety bar in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홀은 상기 고정부의 체결구와, 상기 스토퍼의 안전봉이 동시에 체결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intervals such that the fastener of the fastener and the safety bar of the stopper can be fastened together at the same ti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면 안전바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fixing part is detachably fixed to the side safety bar.
KR1020120146035A 2012-12-14 2012-12-14 The safety holder and the ladder with the safety holder KR1014340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035A KR101434051B1 (en) 2012-12-14 2012-12-14 The safety holder and the ladder with the safety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035A KR101434051B1 (en) 2012-12-14 2012-12-14 The safety holder and the ladder with the safety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706A KR20140080706A (en) 2014-07-01
KR101434051B1 true KR101434051B1 (en) 2014-08-27

Family

ID=5173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035A KR101434051B1 (en) 2012-12-14 2012-12-14 The safety holder and the ladder with the safety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0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67B1 (en) * 2015-03-26 2016-08-17 조규선 Folding footrest type safety lad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704Y2 (en) * 1992-12-25 1995-10-18 株式会社大和工業所 Supporting tool for temporary scaffolding
JPH0756442Y2 (en) * 1991-10-24 1995-12-25 アサヒ産業株式会社 Brace frame for temporary scaffolding
JPH11152892A (en) * 1997-11-19 1999-06-08 Hasegawa Kogyo Co Ltd Handrail locking device for folding working table
KR20120109170A (en) * 2011-03-28 2012-10-08 권택철 Scaffolding lad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442Y2 (en) * 1991-10-24 1995-12-25 アサヒ産業株式会社 Brace frame for temporary scaffolding
JPH0745704Y2 (en) * 1992-12-25 1995-10-18 株式会社大和工業所 Supporting tool for temporary scaffolding
JPH11152892A (en) * 1997-11-19 1999-06-08 Hasegawa Kogyo Co Ltd Handrail locking device for folding working table
KR20120109170A (en) * 2011-03-28 2012-10-08 권택철 Scaffolding lad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67B1 (en) * 2015-03-26 2016-08-17 조규선 Folding footrest type safety lad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706A (en)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20585A1 (en) Lift dolly for use in conjunction with stand-mounted power tools and the like
KR102241781B1 (en)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KR20190127275A (en) Smart safety scaffold for the maximize to the ease of movement and storage
KR101434051B1 (en) The safety holder and the ladder with the safety holder
KR20130002481U (en) Work safety step
EP2116669B1 (en) Aerial Lift with material support assembly
FR2885927A1 (en) ASSEMBLY COMPRISING A GUARD RAIL AND A PERCH FOR FASTENING THE GUARD ON THE TRAVERSE
KR101972308B1 (en) working platform
KR200472094Y1 (en) Ladder with auxiliary ladder
KR20130034496A (en) Clamp to prevent movement of movable workbench
KR20140006078U (en) A workbench
KR200344096Y1 (en) An extension ladder
KR101542180B1 (en) A electric pole ascent and descent scaffold
JP3180786U (en) Fall prevention device
KR200457076Y1 (en) an auxiliary utensil for the ceiling removal
CN106437479A (en) Pit ladder with safety device
KR200343100Y1 (en) Safety guide of dock master basket
KR20140000270U (en) Rolling ladder with handrail device
KR200483649Y1 (en) Supporting device for the extended vertical member
CN110857211A (en) Elevator base with telescopic wheels
CN210152324U (en) Municipal works are with pole maintenance with frame of ascending a height
KR20140000696U (en) Movement working table
KR20150001089U (en) Ladder with safety devices
CN212129856U (en) Strutting arrangement is used in building engineering construction
KR200459872Y1 (en) movable work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