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3024B1 -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024B1
KR101433024B1 KR1020120139478A KR20120139478A KR101433024B1 KR 101433024 B1 KR101433024 B1 KR 101433024B1 KR 1020120139478 A KR1020120139478 A KR 1020120139478A KR 20120139478 A KR20120139478 A KR 20120139478A KR 101433024 B1 KR101433024 B1 KR 10143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ail
window frame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655A (ko
Inventor
송명진
Original Assignee
(주)동양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윈텍 filed Critical (주)동양윈텍
Priority to KR102012013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0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0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직사각형 형태로 건물벽체에 형성된 벽체창호개구의 창호개구상부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창호프레임과 상기 벽체창호개구의 창호개구하부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하부창호프레임과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좌창문안내상부레일 및 우창문안내상부레일과 상기 하부창호프레임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좌창문안내하부레일 및 우창문안내하부레일을 구비한 창호프레임과, 상면에 요형 단면의 좌창문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좌창문틀과 상기 상부좌창문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저면에는 좌창문롤러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하부좌창문틀과 상기 상부좌창문틀과 상기 하부좌창문틀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상부좌창문틀과 상기 하부좌창문틀에 결합된 우측좌창문틀 및 좌측좌창문틀을 구비한 좌창문틀과 상기 좌창문롤러홈에 설치된 좌창문롤러와 상기 좌창문틀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좌창문틀에 설치된 좌유리창을 가지고 상기 좌창문롤러가 상기 좌창문안내하부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좌창문레일홈에 상기 좌창문안내상부레일이 진입하고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을 향해 들어올릴 때 상기 좌창문롤러가 상기 좌창문안내하부레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좌창문틀이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좌창문과, 상면에 요형 단면의 우창문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우창문틀과 상기 상부우창문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저면에는 우창문롤러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하부우창문틀과 상기 상부우창문틀과 상기 하부우창문틀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상부우창문틀과 상기 하부우창문틀에 결합된 우측우창문틀 및 좌측우창문틀을 구비한 우창문틀과 상기 우창문롤러홈에 설치된 우창문롤러와 상기 우창문틀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우창문틀에 설치된 우유리창을 가지고 상기 우창문롤러가 상기 우창문안내하부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우창문레일홈에 상기 우창문안내상부레일이 진입하고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을 향해 들어올릴 때 상기 우창문롤러가 상기 우창문안내하부레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우창문틀이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우창문을 갖는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좌창문은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내주면에서 상호 대향하고 각각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우창문은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내주면에서 상호 대향하고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창호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폭의 하단을 가지고 상기 좌창문이 좌창문개방위치에 있을 때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의 하측에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좌창문안내상부레일에 형성된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와, 상기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폭의 하단을 가지고 상기 우창문이 우창문개방위치에 있을 때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의 하측에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우창문안내상부레일에 형성된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외부에서 좌창문과 우창문에 가해지는 풍압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좌창문과 우창문이 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시스템{Window System}
본 발명은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 방식으로 작동하는 창문을 갖는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주택, 아파트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에는 자연채광, 실외 조망, 실내 공기 환기 등을 위해 창호시스템이 설치된다.
창호시스템 중에는 여닫이 방식으로 작동하는 창문을 갖는 것이외 미닫이 방식으로 작동하는 창문을 갖는 창호시스템도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5는 종래 창호시스템의 설치상태도이고, 도16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 상부좌창문틀 및 상부우창문틀 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7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8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 상부좌창문틀 및 상부우창문틀 영역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9는 도18의 A-A선 단면도이고, 도20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하부창호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1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하부창호프레임, 하부좌창문틀 및 하부우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2는 종래 창호시스템의 좌측창호프레임과 좌측좌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3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우측부창호프레임과 우측우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창호시스템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건물벽체에 형성된 벽체창호개구(201)에 설치된 창호프레임(110)과, 창호프레임(110)에 설치된 좌창문(120) 및 우창문(140)과, 창호프레임(110), 좌창문(120) 및 우창문(140)에 설치된 부속물(160)을 갖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좌"와 "우"의 구별은 실내에서 창호시스템을 바라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창호프레임(110)은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상부내주면(20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창호프레임(111)과,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하부내주면(201b)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하부창호프레임(112)과, 상부창호프레임(111)과 하부창호프레임(112)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부창호프레임(111)과 하부창호프레임(112)에 결합된 우측창호프레임(114) 및 좌측창호프레임(113)과, 상부창호프레임(111)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좌창문안내상부레일(115) 및 우창문안내상부레일(116)과, 하부창호프레임(11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좌창문안내하부레일(117) 및 우창문안내하부레일(118)을 갖고 있다.
좌창문안내상부레일(115)은 상부창호프레임(111)의 저면에서 상부창호프레임(111)의 대부분 길이구간에 걸쳐 설치된다.
좌창문안내하부레일(117)은 하부창호프레임(112)의 상면에서 하부창호프레임(112)의 대부분 길이구간에 걸쳐 설치된다.
우창문안내상부레일(116)은 상부창호프레임(111)의 저면에서 상부창호프레임(111)의 대부분 길이구간에 걸쳐 설치된다.
우창문안내하부레일(118)은 좌창문안내하부레일(117)과 나란하도록 하부창호프레임(112)의 상면에서 하부창호프레임(112)의 대부분 길이구간에 걸쳐 설치된다.
좌창문(120)은 직사각형 형태의 좌창문틀(130)과, 좌창문틀(130)에 설치된 좌창문롤러(121)와, 좌창문틀(130)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좌창문틀(130)에 설치된 좌유리창(122)을 갖고 있다.
좌창문틀(130)은 상부좌창문틀(131)과, 상부좌창문틀(131)에 나란하게 배치된 하부좌창문틀(132)과, 상부좌창문틀(131)과 하부좌창문틀(132)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부좌창문틀(131)과 하부좌창문틀(132)에 결합된 우측좌창문틀(134) 및 좌측좌창문틀(133)을 갖고 있다.
상부좌창문틀(131)은 상면(벽체창호개구의 창호개구상부내주면에 대향하는 면)에 요형(凹形)) 단면의 좌창문레일홈(131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요형단면이라는 용어는 디귿자 단면, 유(U)자 단면 등 오목한 단면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하부좌창문틀(132)은 저면에 좌창문롤러홈(1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좌창문롤러(121)는 브라켓트를 통해 좌창문롤러홈(132a)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창문(120)은 좌창문롤러(121)가 좌창문안내하부레일(117)에 안착되고, 좌창문레일홈(131a)에 좌창문안내상부레일(115)이 진입하고, 좌창문개방위치 또는 좌창문폐쇄위치에서 상부창호프레임(111)을 향해 들어올릴 때 좌창문롤러(121)가 좌창문안내하부레일(117)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부좌창문틀(131)이 상부창호프레임(11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좌창문개방위치는 우측좌창문틀(134)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우내주면(201d)에 접촉할 때 좌창문(120)이 점하는 위치가 된다. 그리고 좌창문폐쇄위치는 좌측좌창문틀(133)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좌내주면(201c)에 접촉할 때 좌창문(120)이 점하는 위치가 된다.
그리고 좌창문(120)은 좌창문안내하부레일(117)에 안착된 좌창문롤러(121)에 의해 좌창문폐쇄위치와 좌창문개방위치 사이를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게 된다.
우창문(140)은 직사각형 형태의 우창문틀(150)과, 우창문틀(150)에 설치된 우창문롤러(141)와, 우창문틀(150)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우창문틀(150)에 설치된 우유리창(142)을 갖고 있다.
우창문틀(150)은 상부우창문틀(151)과, 상부우창문틀(151)에 나란하게 배치된 하부우창문틀(152)과, 상부우창문틀(151)과 하부우창문틀(152)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부우창문틀(151)과 하부우창문틀(152)에 결합된 우측우창문틀(154) 및 좌측우창문틀(153)을 갖고 있다.
상부우창문틀(151)은 상면(벽체창호개구의 창호개구상부내주면에 대향하는 면)에 요형(凹形)) 단면의 우창문레일홈(151a)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우창문틀(152)은 저면에 좌창문롤러홈(1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우창문롤러(141)는 브라켓트를 통해 우창문롤러홈(152a)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창문(140)은 우창문롤러(141)가 우창문안내하부레일(118)에 안착되고, 우창문레일홈(151a)에 우창문안내상부레일(116)이 진입하고, 우창문개방위치 또는 우창문폐쇄위치에서 상부창호프레임(111)을 향해 들어올릴 때 우창문롤러(141)가 우창문안내하부레일(118)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부우창문틀(151)이 상부창호프레임(11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우창문개방위치는 좌측우창문틀(153)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좌내주면(201c)에 접촉할 때 우창문(140)이 점하는 위치가 된다. 이에 비해 우창문폐쇄위치는 우측우창문틀(154)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우내주면(201d)에 접촉할 때 우창문(140)이 점하는 위치가 된다.
그리고 우창문(140)은 우창문안내하부레일(118)에 안착된 우창문롤러(141)에 의해 우창문폐쇄위치와 우창문개방위치 사이를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된다.
부속물(160)로는 종래 창호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틈마개(161, Weather Strip), 개스킷(162, Gascket), 단열부재(163), 실란트(Sealan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창호시스템의 설치와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창호프레임(110)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좌창문폐쇄위치에서 좌창문(120)을 설치하거나 좌창문개방위치에서 좌창문(120)을 설치한 다음 좌창문폐쇄위치로 슬라이딩이동시킨다.
다음에 우창문폐쇄위치에서 우창문(140)을 설치하거나 우창문개방위치에서 우창문(140)을 설치한 다음 우창문폐쇄위치로 슬라이딩이동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창호시스템에 따르면, 좌창문폐쇄위치에 있는 좌창문(120) 또는 우창문폐쇄위치에 있는 우창문(140)이 풍압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좌창문롤러(121)가 좌창문안내하부레일(117)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우창문롤러(141)가 우창문안내하부레일(118)로부터 이탈할 때 좌창문(120)과 우창문(140)이 기울어지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풍압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좌창문(120)과 우창문(140)이 창호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좌창문과 우창문에 가해지는 풍압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좌창문과 우창문이 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창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직사각형 형태로 건물벽체에 형성된 벽체창호개구의 창호개구상부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창호프레임과 상기 벽체창호개구의 창호개구하부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하부창호프레임과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좌창문안내상부레일 및 우창문안내상부레일과 상기 하부창호프레임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좌창문안내하부레일 및 우창문안내하부레일을 구비한 창호프레임과, 상면에 요형 단면의 좌창문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좌창문틀과 상기 상부좌창문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저면에는 좌창문롤러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하부좌창문틀과 상기 상부좌창문틀과 상기 하부좌창문틀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상부좌창문틀과 상기 하부좌창문틀에 결합된 우측좌창문틀 및 좌측좌창문틀을 구비한 좌창문틀과 상기 좌창문롤러홈에 설치된 좌창문롤러와 상기 좌창문틀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좌창문틀에 설치된 좌유리창을 가지고 상기 좌창문롤러가 상기 좌창문안내하부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좌창문레일홈에 상기 좌창문안내상부레일이 진입하고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을 향해 들어올릴 때 상기 좌창문롤러가 상기 좌창문안내하부레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좌창문틀이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좌창문과, 상면에 요형 단면의 우창문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우창문틀과 상기 상부우창문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저면에는 우창문롤러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하부우창문틀과 상기 상부우창문틀과 상기 하부우창문틀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상부우창문틀과 상기 하부우창문틀에 결합된 우측우창문틀 및 좌측우창문틀을 구비한 우창문틀과 상기 우창문롤러홈에 설치된 우창문롤러와 상기 우창문틀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우창문틀에 설치된 우유리창을 가지고 상기 우창문롤러가 상기 우창문안내하부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우창문레일홈에 상기 우창문안내상부레일이 진입하고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을 향해 들어올릴 때 상기 우창문롤러가 상기 우창문안내하부레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우창문틀이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우창문을 갖는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좌창문은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내주면에서 상호 대향하고 각각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우창문은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내주면에서 상호 대향하고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창호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폭의 하단을 가지고 상기 좌창문이 좌창문개방위치에 있을 때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의 하측에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좌창문안내상부레일에 형성된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와, 상기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폭의 하단을 가지고 상기 우창문이 우창문개방위치에 있을 때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의 하측에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우창문안내상부레일에 형성된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좌창문과 우창문이 기울어 지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는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좌창문안내상부레일과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는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우창문안내상부레일과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좌창문과 우창문이 기울어 지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좌창문은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내주면 상기 좌창문이탈방지리브의 하측영역에서 상기 좌창문이탈방지리브에 각각 나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창문은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내주면 상기 우창문이탈방지리브의 하측영역에서 상기 우창문이탈방지리브에 각각 나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좌창문롤러가 좌창문안내하부레일로부터 이탈할 때 좌창문의 기울어짐이 제한되도록 상호 작용하는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와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를 좌창문과 창호프레임에 형성하고 우창문롤러가 우창문안내하부레일로부터 이탈할 때 우창문의 기울어짐이 제한되도록 상호 작용하는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와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를 우창문과 창호프레임에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좌창문과 우창문에 가해지는 풍압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좌창문과 우창문이 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설치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 상부좌창문틀 및 상부우창문틀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좌창문의 요부 결합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 상부좌창문틀 및 상부우창문틀 영역의 결합사시도,
도6은 도5의 A-A선 단면도,
도7은 도5의 B-B선 단면도,
도8은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하부창호프레임, 하부좌창문틀 및 하부우창문틀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하부창호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하부창호프레임, 하부좌창문틀 및 하부우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좌측창호프레임과 좌측좌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우측부창호프레임과 우측우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3과 도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설치와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종래 창호시스템의 설치상태도,
도16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 상부좌창문틀 및 상부우창문틀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17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18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 상부좌창문틀 및 상부우창문틀 영역의 결합사시도,
도19는 도18의 A-A선 단면도,
도20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하부창호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21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하부창호프레임, 하부좌창문틀 및 하부우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2는 종래 창호시스템의 좌측창호프레임과 좌측좌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3은 종래 창호시스템의 우측부창호프레임과 우측우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설치상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 상부좌창문틀 및 상부우창문틀 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좌창문의 요부 결합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상부창호프레임, 상부좌창문틀 및 상부우창문틀 영역의 결합사시도이고, 도6은 도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7은 도5의 B-B선 단면도이고, 도8은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하부창호프레임, 하부좌창문틀 및 하부우창문틀 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하부창호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하부창호프레임, 하부좌창문틀 및 하부우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좌측창호프레임과 좌측좌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우측부창호프레임과 우측우창문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건물벽체에 형성된 벽체창호개구(201)에 설치된 창호프레임(10)과, 창호프레임(10)에 설치된 좌창문(20) 및 우창문(40)과, 창호프레임(10), 좌창문(20) 및 우창문(40)에 설치된 부속물(60)을 갖고 있다.
창호프레임(10)은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상부내주면(20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창호프레임(11)과,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하부내주면(201b)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하부창호프레임(12)과, 상부창호프레임(11)과 하부창호프레임(12)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부창호프레임(11)과 하부창호프레임(12)에 결합된 우측창호프레임(14) 및 좌측창호프레임(13)과, 상부창호프레임(11)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좌창문안내상부레일(15) 및 우창문안내상부레일(16)과, 하부창호프레임(1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좌창문안내하부레일(17) 및 우창문안내하부레일(18)과, 좌창문안내상부레일(15)에 형성된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19a)와, 우창문안내상부레일(16)에 형성된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19b)를 갖고 있다.
좌창문안내상부레일(15)은 상부창호프레임(11)의 저면에서 상부창호프레임(11)의 대부분 길이구간에 걸쳐 설치된다.
좌창문안내하부레일(17)은 하부창호프레임(12)의 상면에서 하부창호프레임(12)의 대부분 길이구간에 걸쳐 설치된다.
우창문안내상부레일(16)은 상부창호프레임(11)의 저면에서 상부창호프레임(11)의 대부분 길이구간에 걸쳐 설치된다.
우창문안내하부레일(18)은 좌창문안내하부레일(17)과 나란하도록 하부창호프레임(12)의 상면에서 하부창호프레임(12)의 대부분 길이구간에 걸쳐 설치된다.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19a)는 후술하는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23)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폭의 하단을 가지고 좌창문(20)이 좌창문개방위치에 있을 때 하단이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23)의 하측에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좌창문개방위치는 후술하는 우측좌창문틀(34)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우내주면(201d)에 접촉할 때 좌창문(20)이 점하는 위치가 된다. 그리고 좌창문폐쇄위치는 후술하는 좌측좌창문틀(33)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좌내주면(201c)에 접촉할 때 좌창문(20)이 점하는 위치가 된다.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19b)는 후술하는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43)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폭의 하단을 가지고 우창문(40)이 우창문개방위치에 있을 때 하단이 후술하는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43)의 하측에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우창문개방위치는 후술하는 좌측우창문틀(53)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좌내주면(201c)에 접촉할 때 우창문(40)이 점하는 위치가 된다. 이에 비해 우창문폐쇄위치는 후술하는 우측우창문틀(54)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우내주면(201d)에 접촉할 때 우창문(40)이 점하는 위치가 된다.
창호프레임(10)에는 방충망프레임(202)이 설치되어 있다.
좌창문(20)은 직사각형 형태의 좌창문틀(30)과, 좌창문틀(30)에 설치된 좌창문롤러(21)와, 좌창문틀(30)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좌창문틀(30)에 설치된 좌유리창(22)과, 좌창문틀(30)에 형성된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23) 및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24)를 갖고 있다.
좌창문틀(30)은 상부좌창문틀(31)과, 상부좌창문틀(31)에 나란하게 배치된 하부좌창문틀(32)과, 상부좌창문틀(31)과 하부좌창문틀(32)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부좌창문틀(31)과 하부좌창문틀(32)에 결합된 우측좌창문틀(34) 및 좌측좌창문틀(33)을 갖고 있다.
상부좌창문틀(31)은 상면(벽체창호개구의 창호개구상부내주면에 대향하는 면)에 요형(凹形)) 단면의 좌창문레일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요형단면이라는 용어는 디귿자 단면, 유(U)자 단면 등 오목한 단면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하부좌창문틀(32)은 저면에 좌창문롤러홈(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좌창문롤러(21)는 브라켓트를 통해 좌창문롤러홈(32a)에 설치된다.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23)는 좌창문레일홈(31a)의 내주면(31b)에서 상호 대향하고 각각 좌창문레일홈(3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23)는 좌창문레일홈(31a)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가 좌창문안내상부레일(15)과 좌창문레일홈(31a)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24)는 좌창문레일홈(31a)의 내주면 좌창문이탈방지리브(23)의 하측영역에서 좌창문이탈방지리브(23)에 각각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창문(20)은 좌창문롤러(21)가 좌창문안내하부레일(17)에 안착되고, 좌창문레일홈(31a)에 좌창문안내상부레일(15)이 진입하고, 좌창문개방위치에서 상부창호프레임(11)을 향해 들어올릴 때 좌창문롤러(21)가 좌창문안내하부레일(17)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부좌창문틀(31)이 상부창호프레임(1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좌창문(20)은 좌창문안내하부레일(17)에 안착된 좌창문롤러(21)에 의해 좌창문폐쇄위치와 좌창문개방위치 사이를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게 된다.
우창문(40)은 직사각형 형태의 우창문틀(50)과, 우창문틀(50)에 설치된 우창문롤러(41)와, 우창문틀(50)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우창문틀(50)에 설치된 우유리창(42)과, 우창문틀(50)에 형성된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43) 및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44)를 갖고 있다.
우창문틀(50)은 상부우창문틀(51)과, 상부우창문틀(51)에 나란하게 배치된 하부우창문틀(52)과, 상부우창문틀(51)과 하부우창문틀(52)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부우창문틀(51)과 하부우창문틀(52)에 결합된 우측우창문틀(54) 및 좌측우창문틀(53)을 갖고 있다.
상부우창문틀(51)은 상면(벽체창호개구의 창호개구상부내주면에 대향하는 면)에 요형(凹形)) 단면의 우창문레일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우창문틀(52)은 저면에 우창문롤러홈(5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우창문롤러(41)는 브라켓트를 통해 우창문롤러홈(52a)에 설치된다.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43)는 우창문레일홈(51a)의 내주면(51b)에서 상호 대향하고 각각 우창문레일홈(5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43)는 우창문레일홈(51a)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가 우창문안내상부레일(16)과 우창문레일홈(51a)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44)는 우창문레일홈(51a)의 내주면 우창문이탈방지리브(43)의 하측영역에서 우창문이탈방지리브(43)에 각각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창문(40)은 우창문롤러(41)가 우창문안내하부레일(18)에 안착되고, 우창문레일홈(51a)에 우창문안내상부레일(16)이 진입하고, 우창문개방위치에서 상부창호프레임(11)을 향해 들어올릴 때 우창문롤러(41)가 우창문안내하부레일(18)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부우창문틀(51)이 상부창호프레임(1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우창문(40)은 우창문안내하부레일(18)에 안착된 우창문롤러(41)에 의해 우창문폐쇄위치와 우창문개방위치 사이를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된다.
부속물(60)로는 종래 창호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틈마개(61, Weather Strip), 개스킷(62, Gascket), 단열부재(63), 실란트(Sealan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설치와 동작을 도13과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창호프레임(10)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좌창문개방위치에서 좌창문(20)을 설치한 다음 좌창문폐쇄위치로 슬라이딩이동시킨다(도13 참조).
다음에 우창문개방위치에서 좌창문(20)을 설치한 다음 우창문폐쇄위치로 슬라이딩이동시킨다(도14 참조).
좌창문폐쇄위치에 있는 좌창문(20)이 풍압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좌창문롤러(21)가 좌창문안내하부레일(17)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좌창문이탈방지리브(23)와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19a)의 상호 작용과 좌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24)와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19a)의 상호 작용에 의해 좌창문(20)의 기울어짐이 제한된다.
좌창문이탈방지리브(23)와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19a)의 상호 작용에 의해 좌창문(20)의 기울어짐이 제한되면 좌창문폐쇄위치에 있는 좌창문(20)에 가해진 풍압 등의 외부충격이 소멸할 때 좌창문롤러(21)가 다시 좌창문안내하부레일(17)에 안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좌창문(20)이 창호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우창문폐쇄위치에 있는 우창문(40)이 풍압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우창문롤러(41)가 우창문안내하부레일(18)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우창문이탈방지리브(43)와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19b)의 상호 작용과 우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44)와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19b)의 상호 작용에 의해 우창문(40)의 기울어짐이 제한된다.
우창문이탈방지리브(43)와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19b)의 상호 작용에 의해 우창문(40)의 기울어짐이 제한되면 우창문폐쇄위치에 있는 좌창문(20)에 가해진 풍압 등의 외부충격이 소멸할 때 우창문롤러(41)가 다시 우창문안내하부레일(18)에 안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우창문(40)이 창호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우측좌창문틀(34)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우내주면(201d)에 접촉할 때 좌창문(20)이 점하는 위치를 좌창문개방위치라고 하고 좌측우창문틀(53)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좌내주면(201c)에 접촉할 때 우창문(40)이 점하는 위치를 좌창문개방위치라고 하고 있으나, 좌측좌창문틀(33)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좌내주면(201c)에 접촉할 때 좌창문(20)이 점하는 위치를 좌창문개방위치라고 하고 우측우창문틀(54)이 벽체창호개구(201)의 창호개구우내주면(201d)에 접촉할 때 우창문(40)이 점하는 위치를 우창문개방위치로 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19a)를 상부좌창문틀(31)보다 약간 작은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하고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19b)를 상부우창문틀(51)보다 약간 작은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하고 있으나, 더 짧은 길이구간을 갖도록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19a)와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19b)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좌창문이탈방지리브, 좌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 우창문이탈방지리브 및 우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도 길이구간을 줄일 수 있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창문롤러(21)가 좌창문안내하부레일(17)로부터 이탈할 때 좌창문(20)의 기울어짐이 제한되도록 상호 작용하는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23)와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19a)를 좌창문(20)과 창호프레임(10)에 형성하고 우창문롤러(41)가 우창문안내하부레일(18)로부터 이탈할 때 우창문(40)의 기울어짐이 제한되도록 상호 작용하는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43)와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19b)를 우창문(40)과 창호프레임(10)에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좌창문과 우창문에 가해지는 풍압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좌창문과 우창문이 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좌창문레일홈(31a)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가 좌창문안내상부레일(15)과 좌창문레일홈(31a)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보다 작아지도록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23)를 형성하고 우창문레일홈(51a)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가 우창문안내상부레일(16)과 우창문레일홈(51a)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보다 작아지도록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43)를 형성함으로써, 좌창문(20)과 우창문(40)이 기울어 지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24)를 좌창문(20)에 형성하고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44)를 우창문(40)에 형성함으로써, 좌창문(20)과 우창문(40)이 기울어 지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10, 110 : 창호프레임 11, 111 : 상부창호프레임
12, 112 : 하부창호프레임 19a :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
19b :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 20, 120 : 좌창문
21, 121 : 좌창문롤러 22, 122 : 좌유리창
23 : 좌창문이탈방지리브 24 : 좌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
30, 130 : 좌창문틀 31, 131 : 상부좌창문틀
32, 132 : 하부좌창문틀 33, 133 : 좌측좌창문틀
34, 134 : 우측좌창문틀 40, 140 : 우창문
41, 141 : 우창문롤러 42, 142 : 우유리창
43 : 우창문이탈방지리브 44 : 우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
50, 150 : 우창문틀 51, 151 : 상부우창문틀
52, 152 : 하부우창문틀 53, 153 : 우측우창문틀
54, 154 : 좌측우창문틀 60, 160 : 부속물

Claims (3)

  1. 직사각형 형태로 건물벽체에 형성된 벽체창호개구의 창호개구상부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창호프레임과 상기 벽체창호개구의 창호개구하부내주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하부창호프레임과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좌창문안내상부레일 및 우창문안내상부레일과 상기 하부창호프레임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좌창문안내하부레일 및 우창문안내하부레일을 구비한 창호프레임과, 상면에 요형 단면의 좌창문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좌창문틀과 상기 상부좌창문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저면에는 좌창문롤러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하부좌창문틀과 상기 상부좌창문틀과 상기 하부좌창문틀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상부좌창문틀과 상기 하부좌창문틀에 결합된 우측좌창문틀 및 좌측좌창문틀을 구비한 좌창문틀과 상기 좌창문롤러홈에 설치된 좌창문롤러와 상기 좌창문틀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좌창문틀에 설치된 좌유리창을 가지고 상기 좌창문롤러가 상기 좌창문안내하부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좌창문레일홈에 상기 좌창문안내상부레일이 진입하고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을 향해 들어올릴 때 상기 좌창문롤러가 상기 좌창문안내하부레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좌창문틀이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좌창문과, 상면에 요형 단면의 우창문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우창문틀과 상기 상부우창문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저면에는 우창문롤러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하부우창문틀과 상기 상부우창문틀과 상기 하부우창문틀과 협조하여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상부우창문틀과 상기 하부우창문틀에 결합된 우측우창문틀 및 좌측우창문틀을 구비한 우창문틀과 상기 우창문롤러홈에 설치된 우창문롤러와 상기 우창문틀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우창문틀에 설치된 우유리창을 가지고 상기 우창문롤러가 상기 우창문안내하부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우창문레일홈에 상기 우창문안내상부레일이 진입하고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을 향해 들어올릴 때 상기 우창문롤러가 상기 우창문안내하부레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우창문틀이 상기 상부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우창문을 갖는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좌창문은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내주면에서 상호 대향하고 각각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우창문은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내주면에서 상호 대향하고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창호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폭의 하단을 가지고 상기 좌창문이 좌창문개방위치에 있을 때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의 하측에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좌창문안내상부레일에 형성된 좌창문이탈방지스토퍼와, 상기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큰 폭의 하단을 가지고 상기 우창문이 우창문개방위치에 있을 때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의 하측에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우창문안내상부레일에 형성된 우창문이탈방지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리브는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좌창문안내상부레일과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리브는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우창문안내상부레일과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내주면과의 이격거리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창문은 상기 좌창문레일홈의 내주면 상기 좌창문이탈방지리브의 하측영역에서 상기 좌창문이탈방지리브에 각각 나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좌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창문은 상기 우창문레일홈의 내주면 상기 우창문이탈방지리브의 하측영역에서 상기 우창문이탈방지리브에 각각 나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우창문이탈방지보조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KR1020120139478A 2012-12-04 2012-12-04 창호시스템 Active KR10143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78A KR101433024B1 (ko) 2012-12-04 2012-12-04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78A KR101433024B1 (ko) 2012-12-04 2012-12-04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655A KR20140071655A (ko) 2014-06-12
KR101433024B1 true KR101433024B1 (ko) 2014-08-27

Family

ID=5112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478A Active KR101433024B1 (ko) 2012-12-04 2012-12-04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0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546B1 (ko) 2020-11-11 2021-09-08 주식회사알파큐 가로 분할 창호 시스템
KR102299547B1 (ko) 2020-11-11 2021-09-08 주식회사알파큐 직각 체결구조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317B1 (ko) * 2014-07-03 2016-04-28 곽재문 3중 단열구조 미서기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87U (ko) * 1998-07-23 1998-11-25 이상식 건축물의 창틀 및 창문틀 구조
KR19990018390U (ko) * 1997-11-11 1999-06-05 이재협 창틀 유동방지구
KR101133264B1 (ko) 2009-10-30 2012-04-06 김정민 이탈방지용 샷시문
KR101146289B1 (ko) 2011-04-28 2012-05-17 이금로 창문 이탈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390U (ko) * 1997-11-11 1999-06-05 이재협 창틀 유동방지구
KR19980065087U (ko) * 1998-07-23 1998-11-25 이상식 건축물의 창틀 및 창문틀 구조
KR101133264B1 (ko) 2009-10-30 2012-04-06 김정민 이탈방지용 샷시문
KR101146289B1 (ko) 2011-04-28 2012-05-17 이금로 창문 이탈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546B1 (ko) 2020-11-11 2021-09-08 주식회사알파큐 가로 분할 창호 시스템
KR102299547B1 (ko) 2020-11-11 2021-09-08 주식회사알파큐 직각 체결구조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655A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8338B1 (en) Door apparatus for an automatic door or semi-automatic door
US20120005975A1 (en) Easy-to-construct window apparatus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US9316045B2 (en) Window and door system having easily changeable structure
JPH08226288A (ja) 片引き戸の防水構造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KR20140090436A (ko) 유리난간대가 구비된 창호
KR101433024B1 (ko) 창호시스템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1584618B1 (ko) 이탈방지 스톱퍼부를 갖는 미닫이 창문
KR101459682B1 (ko)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102206070B1 (ko) 방충창 이탈방지용 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133264B1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JP2009221809A (ja) 外部開口用サッシの水密構造
US20030024167A1 (en) Central control for windows
KR101975524B1 (ko) 풍압 유도홀을 구비하는 미서기창
JP7012537B2 (ja) 二重サッシ
KR101467244B1 (ko)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KR20190016185A (ko) 레일 은폐형 창호
JP7111486B2 (ja) 建具
KR20220063487A (ko) 창호
KR101967866B1 (ko) 밀폐 일자형 창호
KR20190068783A (ko) 기밀커버
JP6981845B2 (ja) 戸先框用遮光部材及び窓装置
JP2780944B2 (ja) 引き違い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