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3004B1 -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004B1
KR101433004B1 KR1020140019095A KR20140019095A KR101433004B1 KR 101433004 B1 KR101433004 B1 KR 101433004B1 KR 1020140019095 A KR1020140019095 A KR 1020140019095A KR 20140019095 A KR20140019095 A KR 20140019095A KR 101433004 B1 KR101433004 B1 KR 101433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bus bar
bracket
bar
insul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Priority to KR102014001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0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05K7/20918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isolated from air flow, e.g. hollow heat sinks, wind tunnels or f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스바의 상면에 히트 싱크를 형성하여 부스바의 외주길이(대기접촉면)를 넓힘으로써 방열 효율을 증대시키고, 히트 싱크 부스바를 인슐레이터와 함체 고정 브라켓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함체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연결 브라켓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히트 싱크 부스바를 간단하게 조립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HEAT SINK BUSBAR AND SWITCHGEAR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부스바의 상면에 히트 싱크를 형성하여 방열 효율을 증대시키고, 히트 싱크 부스바를 함체 내에 고정하고, 히트 싱크 부스바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반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공장, 빌딩, 병원, 아파트 단지 및 각종 산업시설 등에 한전으로부터 공급된 특별 고압의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각종 설비 및 장비의 정격에 맞는 낮은 전압 및 정격용량으로 변환시켜 전기 시설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 제어 및 감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배전반은 한전으로부터 공급된 22.9㎸, 24㎸, 25.8㎸ 등의 특고압이 인가되는 특고압반과, 전력을 변압하는 변압기반(Transformer;전력용 변압기)과,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MCC반(MOTOR CONTROL CENTER), 분전반, 일체형 배전반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배전반에는 단자와 단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하여 부스바(busbar)가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스바의 경우 높은 전기전도성이 필요하고, 차단기와 같은 특수 개폐기에 사용되는 부스바의 경우 스프링이나 다른 장치에 의해 접점이 이루어지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부스바 및 차단기 개폐용 부스바의 재질은 전기전도도가 좋은 구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기 판넬부에서 각 장치로 전기를 공급해주는 연결부인 부스바는 상기와 같이 대부분이 구리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나, 구리 소재의 특성상 무게가 무겁고, 다른 소재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재료비의 상승을 야기하여 수배전반 부품의 가격상승을 초래하고 중전기기나 그 이상의 용량 기기에 있어서 고 중량의 무게로 제품의 내구성에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로 가격이 저렴한 소재인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구리소재에 비하여 낮은 전기전도도로 인하여 구리보다 2배 이상의 부피를 가져야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전기 통전시 열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 환경에 따라서 냉각기를 설치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통전시 발생 가능한 아크에 의해서 용융점이 낮은 알루미늄 소재의 용융이 발생할 여지가 높기 때문에 중전기기나 그 이상의 용량 기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접점이 발생하는 부분에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높고 용융점이 높은 구리소재를 위치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 소재와 구리소재를 접합해 주는 방법은 대표적인 예로 국내 특허공개공보 10-2006-003505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클래드법을 들 수가 있다.
그런데 구리와 알루미늄을 클래드 할때 접합 하고자 하는 소재의 표면에 불순물이 존재하여 접합면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클래드 전 표면처리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가압에 의한 방법이기 때문에 클래드 전과후의 치수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국부적인 접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국내특허등록 10-1200568호, 10-1055657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국내특허등록 10-1200568호, 10-1055657호는 알루미늄 또는 동재질의 부스바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복사열 전달량을 증가시켜 부스바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스바는 장시간 열에 노출된 도료가 부스바의 표면에서 박리되거나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공개공보 10-2006-0035057호 국내특허등록 10-1200568호 국내특허등록 10-10556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스바의 상면에 히트 싱크를 형성하여 방열 효율을 증대시키고, 히트 싱크 부스바를 함체 내에 고정하고, 히트 싱크 부스바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부스바에 있어서, 직사각형태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그 단면 형상이 요철 모양인 히트 싱크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히트 싱크는 동일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되, 폭과 피치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는 볼트 또는 너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태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면에서 수직으로 상기 레일홈을 관통하는 볼트홀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는 직선 또는 L자 형태로 압출 성형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는 동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수배전반에 있어서, 함체와; 상기 함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직사각형태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그 단면 형상이 요철 모양인 히트 싱크가 일체로 성형되며, RSNT상으로 구비되는 히트 싱크 부스바와; 각 상의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인슐레이터; 및 각 상의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연장하여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은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상면에 결합되는 부스바용 절연 커버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은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저면에 볼트 결합되어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함체에 구비된 단자에 연결하도록 T형 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히트 싱크는 동일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되, 폭과 피치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는 볼트 또는 너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태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면에서 수직으로 상기 레일홈을 관통하는 볼트홀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는 직선 또는 L자 형태로 압출 성형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는 동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인슐레이터는 절연 재질로 각 상의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가 안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에 볼트 고정되는 하부 인슐레이터와; 절연 재질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저면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히트 싱크와 치합되는 형태의 제 1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볼트 고정시키는 고정 인슐레이터; 및 절연 재질로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에 볼트 고정되는 상부 인슐레이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다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연결시 이들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저면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히트 싱크와 치합되는 형태의 제 2요홈이 형성되는 제 1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제 1연결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질 및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상부에 설치되어 볼트에 의해 2개의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와 상기 제 1연결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제 2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연결 플레이트 상부에서 핀 결합되는 브라켓용 절연 커버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브라켓용 절연 커버는 2개의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 단부를 커버하도록 2개의 측면에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다른 2개의 측면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히트 싱크와 치합되도록 제 3요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따르면, 부스바의 상면에 히트 싱크를 형성하여 부스바의 외주길이(대기접촉면)을 넓힘으로써 방열 효율을 증대시키고, 히트 싱크 부스바를 인슐레이터와 함체 고정 브라켓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함체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연결 브라켓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히트 싱크 부스바를 간단하게 조립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중 히트 싱크 부스바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중 인슐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결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중 연결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중 T형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일반적인 구리/알루미늄 부스바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의 온도 특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30)는 직사각형태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그 단면 형상이 요철 모양인 히트 싱크(31)가 일체로 성형된다. 여기에서, 히트 싱크(31)는 물결 모양으로 동일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되, 폭과 피치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고, 볼트 또는 너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태의 레일홈(33)이 형성되며, 상면에서 수직으로 레일홈(33)을 관통하는 볼트홀(35)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히트 싱크 부스바(30)는 직선 또는 L자 형태로 압출 성형되고, 동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히트 싱크 부스바(30)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용량이 높은 경우 히트 싱크가 상면과 저면에 위치하도록 두 개가 상호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중 히트 싱크 부스바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중 인슐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결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중 연결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중 T형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1)은, 함체(10)와, 고정 브라켓(20)과, 히트 싱크 부스바(30)와, 인슐레이터(40)와, 연결 브라켓(50)과, 부스바용 절연 커버(60) 및 T형 브라켓(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함체(10)는 통상의 구조로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20)은 함체(10)에 히트 싱크 부스바(30)를 고정한다.
또한, 히트 싱크 부스바(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히트 싱크 부스바(30)는 RSNT상으로 각각 구비된다. 한편, 히트 싱크 부스바(30)에는 상면에 부스바용 절연 커버(60)가 결합된다. 이때, 부스바용 절연 커버(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되, 양단에 히트 싱크 부스바(30)에 결합되도록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면에 히트 싱크(31)와 동일한 요철이 형성되어 이와 면접된다.
또, 인슐레이터(4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재질로 각 상의 히트 싱크 부스바(30)가 안착되도록 단턱(41a)이 형성되고, 고정 브라켓(20)에 볼트 고정되는 하부 인슐레이터(41)와, 절연 재질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저면에 히트 싱크 부스바(30)의 히트 싱크(31)와 치합되는 형태의 제 1요홈(43a)이 형성되고, 하부 인슐레이터(41)에 히트 싱크 부스바(30)를 볼트 고정시키는 고정 인슐레이터(43)와, 절연 재질로 하부 인슐레이터(41)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인슐레이터(41)에 볼트 고정되는 상부 인슐레이터(45)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 인슐레이터(41)에는 고정 인슐레이터(43)과 고정 브라켓(20)를 용이하게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인서트(41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결 브라켓(5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 부스바(30)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다른 히트 싱크 부스바(30)를 연결시 이들 사이에 설치되도록 히트 싱크 부스바(30)와 동일 재질인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저면에 히트 싱크 부스바(30)의 히트 싱크(31)와 치합되는 형태의 제 2요홈(51a)이 형성되는 제 1연결 플레이트(51)과, 제 1연결 플레이트(51)과 동일한 재질 및 형태로 형성되어 히트 싱크 부스바(30)의 상부에 설치되어 볼트에 의해 2개의 히트 싱크 부스바(30)와 제 1연결 플레이트(51)를 고정시키는 제 2연결 플레이트(53)와, 제 2연결 플레이트(53) 상부에서 핀 결합되는 브라켓용 절연 커버(55)로 이루어진다. 이때, 브라켓용 절연 커버(55)는 2개의 히트 싱크 부스바(30) 단부를 커버하도록 2개의 측면에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다른 2개의 측면 하단에 히트 싱크 부스바(30)의 히트 싱크(31)와 치합되도록 제 3요홈(55a)이 형성된다.
한편, T형 브라켓(7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 부스바(30)의 저면에 삽입된 후 볼트 결합되어 케이블(C)을 연결하거나 함체(10)에 구비된 단자(11)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T형 브라켓(70)은 상면에 히트 싱크 부스바(30)의 레일홈(33)에 삽입되도록 상면에 돌기(71)가 돌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조립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함체(10)에 고정 브라켓(20)을 설치하고, 고정 브라켓(20)에 인슐레이터(40)중 하부 인슐레이터(41)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크기에 맞게 절단되고, 볼트홀(35)이 형성된 히트 싱크 부스바(30)를 하부 인슐레이터(41)에 설치하고, 고정 인슐레이터(43)와 볼트를 이용하여 히트 싱크 부스바(30)를 하부 인슐레이터(41)에 고정시킨 다음, 상부 인슐레이터(45)를 하부 인슐레이터(41)에 볼트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함체(10) 내에서 수직 방향 수평 방향으로 상호 조립되는 히트 싱크 부스바(30)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 부위에 연결 브라켓(50)을 설치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케이블(C)을 연결이 필요한 경우 해당 위치에 위치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30)의 저면에 T형 브라켓(70)을 삽입하여 볼트로 고정시킨 다음, T형 브라켓(70)에 케이블(C) 단자를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킨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함체(10)에 구비된 단자(11)와 연결이 필요한 경우 해당 위치에 위치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30)의 저면에 T형 브라켓(70)을 삽입하고, T형 브라켓(70)과 함체(10)에 구비된 단자(11)를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킨다.
계속해서 조립이 완료되면, 부스바용 절연 커버(60)를 히트 싱크 부스바(30)에 결합시켜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의 방열 효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내지 도 15는 일반적인 구리/알루미늄 부스바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의 온도 특성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온도 분포를 예측한 결과 아래와 같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결과값은 전산유체해석(CFD)을 수행하였고, 프로그램은 솔리드웍스 플로우 시뮬레이션(SolidWorks Flow Simulation 2014(EFD-Flo))을 이용하였다.
시뮬레이션 조건은 자연대류이고, 압력은 1기압 101300N/㎡, 해석 방식( Analysis Type)은 외부 유동(External), 주위 온도 25 ℃, 중력(Gravity), 9.8m/s, 플로우 타입 난류(Turbulent flow)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부스바를 구리와 알루미늄(A6063-O) 재질로 형성하고, 부스바를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2000A의 전류를 인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구리 부스바의 경우 최고 온도가 76.6℃이고, 델타-T가 51.6℃인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구리 부스바에 히트 싱크를 형성한 경우 최고 온도가 60.0℃이고, 델타-T가 35℃로서 약 16.6℃가 하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알루미늄 부스바의 경우 최고 온도가 90.1℃이고, 델타-T가 65.1℃인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부스바에 히트 싱크를 형성한 경우 최고 온도가 68.8℃이고, 델타-T가43.7℃로서 약 21.4℃가 하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부스바는 기존의 동과 알루미늄 재질의 바 형태의 부스바에 비해 그 방열 효율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함체 20 : 고정 브라켓
30 : 히트 싱크 부스바 40 : 인슐레이터
50 : 연결 브라켓 60 : 부스바용 절연 커버
70 : T형 브라켓

Claims (15)

  1. 부스바에 있어서,
    직사각형태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그 단면 형상이 요철 형태인 히트 싱크가 일체로 성형되며, 볼트 또는 너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태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면에서 수직으로 상기 레일홈을 관통하는 볼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동일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되, 폭과 피치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는,
    직선 또는 L자 형태로 압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는,
    동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
  6. 수배전반에 있어서,
    함체와;
    상기 함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직사각형태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그 단면 형상이 요철 형태인 히트 싱크가 일체로 성형되며, RSNT상으로 구비되는 히트 싱크 부스바와;
    각 상의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인슐레이터; 및
    각 상의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연장하여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은,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상면에 결합되는 부스바용 절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은,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저면에 볼트 결합되어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함체에 구비된 단자에 연결하도록 T형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동일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되, 폭과 피치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는,
    볼트 또는 너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태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면에서 수직으로 상기 레일홈을 관통하는 볼트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는,
    직선 또는 L자 형태로 압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는,
    동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절연 재질로 각 상의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가 안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에 볼트 고정되는 하부 인슐레이터와;
    절연 재질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저면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히트 싱크와 치합되는 형태의 제 1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를 볼트 고정시키는 고정 인슐레이터; 및
    절연 재질로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에 볼트 고정되는 상부 인슐레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다른 히트 싱크 부스바를 연결시 이들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저면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히트 싱크와 치합되는 형태의 제 2요홈이 형성되는 제 1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제 1연결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질 및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상부에 설치되어 볼트에 의해 2개의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와 상기 제 1연결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제 2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연결 플레이트 상부에서 핀 결합되는 브라켓용 절연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용 절연 커버는,
    2개의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 단부를 커버하도록 2개의 측면에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다른 2개의 측면에 상기 히트 싱크 부스바의 히트 싱크와 치합되도록 제 3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부스바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20140019095A 2014-02-19 2014-02-19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Active KR101433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095A KR101433004B1 (ko) 2014-02-19 2014-02-19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095A KR101433004B1 (ko) 2014-02-19 2014-02-19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004B1 true KR101433004B1 (ko) 2014-08-27

Family

ID=5175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095A Active KR101433004B1 (ko) 2014-02-19 2014-02-19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798A (ko) * 2022-08-03 2024-02-14 한국전력공사 지상 변압기용 단자장치
KR102808313B1 (ko) 2024-07-10 2025-05-20 주식회사 히트솔 배선차단기용 방열 부스바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963B1 (ko) * 2009-03-18 2009-10-15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과열 방지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용 부스바
US8437118B2 (en) * 2009-07-27 2013-05-07 Abb Research Ltd Power switchgear
KR20140055602A (ko) * 2012-10-31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선형의 요철구조를 갖는 부스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963B1 (ko) * 2009-03-18 2009-10-15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과열 방지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용 부스바
US8437118B2 (en) * 2009-07-27 2013-05-07 Abb Research Ltd Power switchgear
KR20140055602A (ko) * 2012-10-31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유선형의 요철구조를 갖는 부스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798A (ko) * 2022-08-03 2024-02-14 한국전력공사 지상 변압기용 단자장치
KR102753949B1 (ko) * 2022-08-03 2025-01-21 한국전력공사 지상 변압기용 단자장치
KR102808313B1 (ko) 2024-07-10 2025-05-20 주식회사 히트솔 배선차단기용 방열 부스바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7684B2 (en) Panelboard having a parallel feeder bars distribution
US8339773B2 (en) Device for connecting an electric line to a circuit breaker
KR20100031077A (ko) 전기 버스웨이 플랜지 단부 스터브
CN102458089A (zh) 用于电气装置的传热设备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WO2017006587A1 (ja) 端子接続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備えるサーバ用電源システム
KR101433004B1 (ko) 히트 싱크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CN202353009U (zh) 支撑杆、负载承载结构、电分配模块和分配开关板
KR101204449B1 (ko) 조립식 분전반
KR100998721B1 (ko)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JP2017118672A (ja) 電気接続箱
KR102173310B1 (ko) 원터치 결합형 버스바 키트
CN102971925B (zh) 用于开关设备的连接器元件和相关组件以及该开关设备
WO2017130118A1 (en) Encased busbar system with an improved heat dissipation
KR102010870B1 (ko) 교차배열 버스바 연결용 버스바어셈블리
JP6452402B2 (ja) 蓄電装置
CN101335138B (zh) 具有两个受控相位的开关设备
CN211531646U (zh) 一种铁路用散热效果好的直流电子开关
JP2016139534A (ja) 蓄電装置
CN111602305B (zh) 用于电气柜的导电母线
JP5145870B2 (ja) 分電盤の内器ユニット
CN1281278A (zh) 用于配电设备,特别是气体绝缘的中压配电设备的容器
CN205104825U (zh) 气体绝缘提升柜及其气体绝缘母联柜
KR100931842B1 (ko) 배전반
KR101926618B1 (ko) 노출방지형 부스바가 구비된 옥외용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