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775B1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2775B1 KR101432775B1 KR1020080088088A KR20080088088A KR101432775B1 KR 101432775 B1 KR101432775 B1 KR 101432775B1 KR 1020080088088 A KR1020080088088 A KR 1020080088088A KR 20080088088 A KR20080088088 A KR 20080088088A KR 101432775 B1 KR101432775 B1 KR 1014327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sidual
- arbitrary pixel
- arbitrary
- inver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8000013139 quant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08000037170 Delayed Emergence from Anesthes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19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30091051 Are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bits, e.g. of the compressed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7)
-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영상의 현재 매크로블록의 각 서브블록에서 미리 지정된 위치의 화소(이하, '임의 화소')를 추출하여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임의 화소 추출부;상기 임의 화소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예측부;상기 임의 화소 블록과 상기 예측 임의 화소 블록을 감산하여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감산부;상기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변환하는 제 1 변환부;상기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양자화하는 제 1 양자화부;상기 양자화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역 양자화하는 제 1 역 양자화부;상기 역 양자화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역 변환하는 제 1 역 변환부;상기 예측 임의 화소 블록과 상기 역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가산하여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가산부;상기 현재 매크로블록의 인접 화소들 및 상기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의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이용하여 상기 각 서브블록의 나머지 화소를 예측하여 예측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예측부;상기 현재 매크로블록에서 상기 예측 매크로블록을 감산하여 잔차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감산부;상기 역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의 각 역 변환된 임의 잔차 화소를 상기 잔차 매크로블록의 각 위치에 결합하는 임의 잔차 화소 결합부;상기 각 역 변환된 임의 잔차 화소가 결합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변환하는 제 2 변환부;상기 변환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양자화하는 제 2 양자화부; 및상기 양자화된 잔차 매크블록을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환부는,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하여 4x4 블록 단위로 상기 잔차 매크로블록을 변환하되, 상기 이산 코사인 변환의 1차원 변환 방향의 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베이직 벡터를 사용하며, 상기 1차원 변환 방향의 순서는 상기 제 1 예측부의 예측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환부는,1차원 수평 변환을 수행한 후 1차원 수직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행 내지 제 3 행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4 행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평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열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2 열 내지 제 4 열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직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환부는,1차원 수직 변환을 수행한 후 1차원 수평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열 내지 제 3 열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4 열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직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행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2 행 내지 제 4 행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평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부호화 장치는,상기 양자화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역 양자화하는 제 2 역 양자화부;상기 역 양자화된 잔차 매츠로블록을 역 변환하는 제 2 역 변환부;상기 역 변환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상기 예측 매크로블록과 가산하여 복원된 현재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가산부; 및상기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의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상기 복원된 현재 매크로블록의 각 위치에 결합하는 임의 복원 화소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 변환부는,역 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하여 4x4 블록 단위로 상기 잔차 매크로블록의 주파수 계수를 역 변환하되, 상기 역 이산 코사인 변환의 1차원 역 변환 방향의 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베이직 벡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 변환부는,상기 제 2 변환부의 1차원 변환 방향의 순서의 역 순으로 1차원 역 변환 방향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 변환부는,1차원 수평 역 변환을 수행한 후 1차원 수직 역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행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2 행 내지 제 4 행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평 역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열 내지 제 3 열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4 열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1차원 수직 역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 변환부는,1차원 수직 역 변환을 수행한 후 1차원 수평 역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열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2 열 내지 제 4 열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직 역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행 내지 제 3 행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4 행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평 역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영상을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영상의 현재 매크로블록의 각 서브블록에서 미리 지정된 위치의 화소(이하, '임의 화소')를 추출하여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임의 화소 추출부;상기 임의 화소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예측부;상기 임의 화소 블록과 상기 예측 임의 화소 블록을 감산하여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감산부;상기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변환하는 제 1 변환부;상기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양자화하는 제 1 양자화부;상기 양자화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역 양자화하는 제 1 역 양자화부;상기 역 양자화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역 변환하는 제 1 역 변환부;상기 예측 임의 화소 블록과 상기 역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가산하여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가산부;상기 각 서브블록의 인접 화소들 및 상기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의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이용하여 상기 각 서브블록의 나머지 화소를 예측하여 각 예측 서브블록을 생성하는 제 2 예측부;상기 각 서브블록에서 상기 각 예측 서브블록을 감산하여 각 잔차 서브블록을 생성하는 제 2 감산부;상기 역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의 각 역 변환된 임의 잔차 화소를 상기 각 잔차 서브블록의 각 위치에 결합하는 임의 잔차 화소 결합부;상기 각 역 변환된 임의 잔차 화소가 결합된 각 잔차 서브블록을 변환하는 제 2 변환부;상기 변환된 각 잔차 서브블록을 양자화하는 제 2 양자화부; 및상기 양자화된 각 잔차 서브블록을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서브블록은 하나의 서브 블록이 부호화되고 복호된 후 다음 서브블록이 부호화되고 복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각 서브 블록을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는 순서는 H.264/AVC의 인트라 4x4 매크로블록을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는 순서이거나 래스터 스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예측부는,상기 각 서브블록마다 예측 방향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예측 방향으로 상기 각 서브블록의 나머지 화소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예측부는,상기 각 서브블록의 인접 화소들 중 상기 각 복원된 임의 화소와의 값의 차이가 최소인 인접 화소에서 상기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향하는 방향을 상기 예측 방향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예측부는,상기 각 서브블록에 대한 예측 방향에 따른 예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부호화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 항 또는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환부는,상기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의 각 임의 화소 잔차 신호만을 독립적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환부는,상기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의 각 임의 화소 잔차 신호를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각 임의 화소 잔차 신호만을 독립적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환부는,상기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한 후 하다마드 변환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 변환부는,상기 각 임의 화소 잔차 신호가 변환된 주파수 계수를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역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각 임의 화소 잔차 신호만을 독립적으로 역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 변환부는,상기 각 임의 화소 잔차 신호가 변환된 주파수 계수를 역 하다마드 변환한 후 상기 역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환부는,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하여 4x4 블록 단위로 상기 잔차 매크로블록을 변환하되, 상기 이산 코사인 변환의 1차원 변환 방향의 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베이직 벡터를 사용하며, 상기 1차원 변환 방향의 순서는 상기 제 1 예측부의 예측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환부는,1차원 수평 변환을 수행한 후 1차원 수직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행 내지 제 3 행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4 행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평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열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2 열 내지 제 4 열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직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환부는,1차원 수직 변환을 수행한 후 1차원 수평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열 내지 제 3 열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4 열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직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행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2 행 내지 제 4 행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평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부호화 장치는,상기 양자화된 각 잔차 서브블록을 역 양자화하는 제 2 역 양자화부;상기 역 양자화된 각 잔차 서브블록을 역 변환하는 제 2 역 변환부;상기 역 변환된 각 잔차 서브 블록을 상기 각 예측 서브블록과 가산하여 복원된 각 서브블록을 생성하는 제 2 가산부; 및상기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의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상기 복원된 각 서브 블록의 각 위치에 결합하는 임의 복원 화소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 1 예측부 및 상기 제 2 예측부는 상기 각 복원된 임의 화소가 결합된 각 서브블록을 저장하며 저장된 각 서브블록을 이용하여 다음 서브블록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 변환부는,역 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하여 4x4 블록 단위로 주파수 계수를 역 변환하되, 상기 역 이산 코사인 변환의 1차원 역 변환 방향의 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베이직 벡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 변환부는,상기 제 2 변환부의 1차원 변환 방향의 순서의 역 순으로 1차원 역 변환 방향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 변환부는,1차원 수평 역 변환을 수행한 후 1차원 수직 역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행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2 행 내지 제 4 행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평 역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열 내지 제 3 열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4 열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1차원 수직 역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 변환부는,1차원 수직 역 변환을 수행한 후 1차원 수평 역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열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2 열 내지 제 4 열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직 역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1 행 내지 제 3 행은 기존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각 4x4 블록의 제 4 행은 수정된 베이직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1차원 수평 역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 변환부는,역 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하여 4x4 블록 단위로 주파수 계수를 역 변환하되, 기존 베이직 벡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 변환부는,상기 주파수 계수 중 일부의 주파수 계수와 상기 각 복원된 임의 화소 중 일부의 화소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계수 중 나머지 주파수 계수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예측부는,상기 현재 매크로블록의 인접 화소들을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고 다운 샘플링한 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임의 화소 블록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예측부 및 상기 제 2 예측부는,상기 현재 매크로블록의 예측 모드에 따른 예측 방향과 동일한 예측 방향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 영상을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영상의 현재 매크로블록의 각 서브블록에서 미리 지정된 위치의 화소(이하, '임의 화소')를 추출하여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임의 화소 추출 단계;상기 임의 화소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예측 단계;상기 임의 화소 블록과 상기 예측 임의 화소 블록을 감산하여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감산 단계;상기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변환하는 제 1 변환 단계;상기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양자화하는 제 1 양자화 단계;상기 양자화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역 양자화하는 제 1 역 양자화 단계;상기 역 양자화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역 변환하는 제 1 역 변환 단계;상기 예측 임의 화소 블록과 상기 역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가산하여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가산 단계;상기 현재 매크로블록의 인접 화소들 및 상기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의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이용하여 상기 각 서브블록의 나머지 화소를 예측하여 예측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예측 단계;상기 현재 매크로블록에서 상기 예측 매크로블록을 감산하여 잔차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감산 단계;상기 역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의 각 역 변환된 임의 잔차 화소를 상기 잔차 매크로블록의 각 위치에 결합하는 임의 잔차 화소 결합 단계;상기 각 역 변환된 임의 잔차 화소가 결합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변환하는 제 2 변환 단계;상기 변환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양자화하는 제 2 양자화 단계; 및상기 양자화된 잔차 매크블록을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부호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부호화 방법은,상기 양자화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역 양자화하는 제 2 역 변환 단계;상기 역 양자화된 잔차 매츠로블록을 역 변환하는 제 2 역 변환 단계;상기 역 변환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상기 예측 매크로블록과 가산하여 복원된 현재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가산 단계; 및상기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의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상기 복원된 현재 매크로블록의 각 위치에 결합하는 임의 복원 화소 결합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 영상을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영상의 현재 매크로블록의 각 서브블록에서 미리 지정된 위치의 화소(이하, '임의 화소')를 추출하여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임의 화소 추출 단계;상기 임의 화소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예측 단계;상기 임의 화소 블록과 상기 예측 임의 화소 블록을 감산하여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감산 단계;상기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변환하는 제 1 변환 단계;상기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양자화하는 제 1 양자화 단계;상기 양자화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역 양자화하는 제 1 역 양자화 단계;상기 역 양자화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역 변환하는 제 1 역 변환 단계;상기 예측 임의 화소 블록과 상기 역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가산하여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가산 단계;상기 각 서브블록의 인접 화소들 및 상기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의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이용하여 상기 각 서브블록의 나머지 화소를 예측하여 각 예측 서브블록을 생성하는 제 2 예측 단계;상기 각 서브블록에서 상기 각 예측 서브블록을 감산하여 각 잔차 서브블록을 생성하는 제 2 감산 단계;상기 역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의 각 역 변환된 임의 잔차 화소를 상기 각 잔차 서브블록의 각 위치에 결합하는 임의 잔차 화소 결합 단계;상기 각 역 변환된 임의 잔차 화소가 결합된 각 잔차 서브블록을 변환하는 제 2 변환 단계;상기 변환된 각 잔차 서브블록을 양자화하는 제 2 양자화 단계; 및상기 양자화된 각 잔차 서브블록을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부호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각 서브블록이 부호화되고 복호된 후 다음 서브블록이 부호화되고 복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부호화 방법은,상기 양자화된 각 잔차 서브블록을 역 양자화하는 제 2 역 양자화 단계;상기 역 양자화된 각 잔차 서브블록을 역 변환하는 제 2 역 변환 단계;상기 역 변환된 각 잔차 서브 블록을 상기 각 예측 서브블록과 가산하여 복원된 각 서브블록을 생성하는 제 2 가산 단계; 및상기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의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상기 복원된 각 서브블록의 각 위치에 결합하는 임의 복원 화소 결합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 1 예측 단계 및 상기 제 2 예측 단계는 상기 각 복원된 임의 화소가 결합된 각 서브블록을 저장하며 저장된 각 서브블록을 이용하여 다음 서브블록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 영상을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잔차 매크로블록 및 예측 모드를 추출하는 복호화부;상기 잔차 매크로블록을 역 양자화하는 역 양자화부;상기 역 양자화된 잔차 매크로블록에서 각 서브블록의 미리 지정된 화소(이하, '임의 화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수를 추출하는 계수 추출부;상기 추출된 주파수 계수를 역 변환하여 역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역 변환부;상기 예측 모드에 따른 예측 방향에 따라 임의 화소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예측부;상기 예측 임의 화소 블록과 상기 역 변환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가산하여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가산부;상기 역 양자화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역 변환하여 역 변환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역 변환부;상기 영상의 현재 매크로블록의 인접 화소 및 상기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의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모드에 따른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영상의 현재 매크로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현재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예측부;상기 예측 현재 매크로블록과 상기 역 변환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이용하여 복원된 현재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가산부; 및상기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상기 복원된 현재 매크로블록의 각 위치에 결합하는 임의 화소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 영상을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잔차 매크로블록 및 예측 모드를 추출하는 복호화 단계;상기 잔차 매크로블록을 역 양자화하는 역 양자화 단계;상기 역 양자화된 잔차 매크로블록에서 각 서브블록의 미리 지정된 화소(이하, '임의 화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수를 추출하는 계수 추출 단계;상기 추출된 주파수 계수를 역 변환하여 복원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역 변환 단계;상기 예측 모드에 따른 예측 방향에 따라 임의 화소 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예측 단계;상기 예측 임의 화소 블록과 상기 복원된 임의 화소 잔차 블록을 가산하여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을 생성하는 제 1 가산 단계;상기 역 양자화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역 변환하여 역 변환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역 변환 단계;상기 영상의 현재 매크로블록의 인접 화소 및 상기 복원된 임의 화소 블록의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모드에 따른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영상의 현재 매크로블록을 예측하여 예측 현재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예측 단계;상기 예측 현재 매크로블록과 상기 역 변환된 잔차 매크로블록을 이용하여 복원된 현재 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제 2 가산 단계; 및상기 각 복원된 임의 화소를 상기 복원된 현재 매크로블록의 각 위치에 결합하는 임의 화소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8088A KR101432775B1 (ko) | 2008-09-08 | 2008-09-08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PCT/KR2009/004918 WO2010027182A2 (ko) | 2008-09-08 | 2009-09-01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US13/001,779 US20110150087A1 (en) | 2008-09-08 | 2009-09-01 | Method and device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ing arbitrary pixels in a sub-block |
US14/747,388 US9674551B2 (en) | 2008-09-08 | 2015-06-23 | Video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using an intra prediction |
US15/498,915 US9838696B2 (en) | 2008-09-08 | 2017-04-27 | Video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using an intra prediction |
US15/498,938 US9854250B2 (en) | 2008-09-08 | 2017-04-27 | Video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using an intra predi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8088A KR101432775B1 (ko) | 2008-09-08 | 2008-09-08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1991A Division KR101464949B1 (ko) | 2014-04-08 | 2014-04-08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KR1020140041990A Division KR101464944B1 (ko) | 2014-04-08 | 2014-04-08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9343A KR20100029343A (ko) | 2010-03-17 |
KR101432775B1 true KR101432775B1 (ko) | 2014-08-22 |
Family
ID=4179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8088A Active KR101432775B1 (ko) | 2008-09-08 | 2008-09-08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4) | US20110150087A1 (ko) |
KR (1) | KR101432775B1 (ko) |
WO (1) | WO2010027182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5671B1 (ko) * | 2015-05-08 | 2016-09-07 | 주식회사 실리콘그라피 | 영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영상 부호화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497B1 (ko) * | 2008-09-25 | 2015-01-20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임펄스 신호를 고려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
US9319578B2 (en) | 2012-10-24 | 2016-04-19 | Alcatel Lucent | Resolution and focus enhancement |
US9344736B2 (en) | 2010-09-30 | 2016-05-17 | Alcatel Lucent | Systems and methods for compressive sense imaging |
US9634690B2 (en) | 2010-09-30 | 2017-04-25 | Alcatel Lucent | Method and apparatus for arbitrary resolution video coding using compressive sampling measurements |
US8929456B2 (en) * | 2010-09-30 | 2015-01-06 | Alcatel Lucent | Video coding using compressive measurements |
US8644376B2 (en) | 2010-09-30 | 2014-02-04 | Alcatel Lucent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pressive measurements of video using spatial and temporal integration |
KR101763113B1 (ko) | 2010-12-06 | 2017-08-01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노이즈성분을 위한 공간영역에서의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WO2012081895A1 (ko) | 2010-12-13 | 2012-06-2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
US9462272B2 (en) | 2010-12-13 | 2016-10-04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Intra prediction method and apparatus |
CN105872566B (zh) * | 2011-01-12 | 2019-03-01 | 三菱电机株式会社 | 图像编码装置和方法、以及图像译码装置和方法 |
US9398310B2 (en) | 2011-07-14 | 2016-07-19 | Alcatel Lucent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resolution video coding using compressive sampling measurements |
WO2013015484A1 (ko) * | 2011-07-22 | 2013-01-31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연성 디블록킹 필터링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KR101834541B1 (ko) | 2011-07-22 | 2018-03-07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연성 디블록킹 필터링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EP3232665B1 (en) * | 2011-09-15 | 2024-07-03 | VID SCA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spatial prediction |
WO2015032350A1 (zh) * | 2013-09-07 | 2015-03-12 | 同济大学 | 一种使用块匹配的图像压缩方法和装置 |
US9600899B2 (en) | 2013-12-20 | 2017-03-21 | Alcatel Lucent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anomalies in the compressed sensing domain |
US9563806B2 (en) | 2013-12-20 | 2017-02-07 | Alcatel Lucent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anomalies using transform based compressed sensing matrices |
TWI536811B (zh) * | 2013-12-27 | 2016-06-01 |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 影像處理方法與系統、解碼方法、編碼器與解碼器 |
US9894324B2 (en) | 2014-07-15 | 2018-02-13 | Alcatel-Lucent Usa Inc. |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compressive sensing block sizes for video monitoring using distance information |
WO2016085229A1 (ko) | 2014-11-27 | 2016-06-02 | 주식회사 케이티 |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KR102331599B1 (ko) * | 2014-12-03 | 2021-1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US10554980B2 (en) * | 2015-02-23 | 2020-02-04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processing image on basis of intra prediction mode and device therefor |
CN114286112B (zh) | 2017-05-31 | 2025-01-03 | Lg电子株式会社 | 图像编码系统中基于帧内预测执行图像解码的方法和设备 |
US11457239B2 (en) * | 2017-11-09 | 2022-09-27 | Google Llc | Block artefact reduction |
US11159789B2 (en) | 2018-10-24 | 2021-10-26 |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based intra prediction for video coding |
KR20220021036A (ko) | 2019-02-05 | 2022-02-21 | 베이징 다지아 인터넷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인트라 서브-파티션 코딩 모드를 이용한 비디오 코딩 |
PL3941048T3 (pl) * | 2019-03-13 | 2024-12-16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Sposób i urządzenie do kodowania/dekodowania obrazu oraz sposób przesyłania strumienia bitów |
CN113728640B (zh) * | 2019-04-23 | 2024-08-02 |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 帧内预测和残差编解码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65304A1 (en) | 2005-01-27 | 2006-07-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layer video encoding/decoding method using residual re-estim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US20070025439A1 (en) | 2005-07-21 | 2007-02-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according to directional intra-residual prediction |
US20070047644A1 (en) | 2005-08-24 | 2007-03-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residual prediction and video encoder and decoder using the same |
JP2007060691A (ja) | 2002-04-10 | 2007-03-08 | Toshiba Corp |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448162B (zh) * | 2001-12-17 | 2013-01-02 | 微软公司 | 处理视频图像的方法 |
KR100965881B1 (ko) * | 2003-10-10 | 2010-06-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비디오 데이터 인코딩 시스템 및 디코딩 시스템 |
EP1558039A1 (en) * | 2004-01-21 | 2005-07-27 | Deutsche Thomson-Brandt Gmbh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evaluating prediction information in picture signal encoding/decoding |
KR101246294B1 (ko) * | 2006-03-03 | 2013-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KR100918377B1 (ko) * | 2006-05-30 | 2009-09-22 | 주식회사 메디슨 | 영상압축 방법 |
KR101365570B1 (ko) * | 2007-01-18 | 2014-02-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EP2210421A4 (en) * | 2007-10-16 | 2013-12-04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
-
2008
- 2008-09-08 KR KR1020080088088A patent/KR101432775B1/ko active Active
-
2009
- 2009-09-01 US US13/001,779 patent/US2011015008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9-01 WO PCT/KR2009/004918 patent/WO2010027182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
- 2015-06-23 US US14/747,388 patent/US9674551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04-27 US US15/498,915 patent/US9838696B2/en active Active
- 2017-04-27 US US15/498,938 patent/US985425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60691A (ja) | 2002-04-10 | 2007-03-08 | Toshiba Corp |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
US20060165304A1 (en) | 2005-01-27 | 2006-07-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layer video encoding/decoding method using residual re-estim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US20070025439A1 (en) | 2005-07-21 | 2007-02-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according to directional intra-residual prediction |
US20070047644A1 (en) | 2005-08-24 | 2007-03-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residual prediction and video encoder and decoder us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5671B1 (ko) * | 2015-05-08 | 2016-09-07 | 주식회사 실리콘그라피 | 영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영상 부호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230670A1 (en) | 2017-08-10 |
US9838696B2 (en) | 2017-12-05 |
US9854250B2 (en) | 2017-12-26 |
WO2010027182A3 (ko) | 2010-06-17 |
US20150296220A1 (en) | 2015-10-15 |
US20110150087A1 (en) | 2011-06-23 |
KR20100029343A (ko) | 2010-03-17 |
US9674551B2 (en) | 2017-06-06 |
WO2010027182A2 (ko) | 2010-03-11 |
US20170230671A1 (en) | 2017-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2775B1 (ko)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888333B1 (ko) | 연성 디블록킹 필터링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772046B1 (ko) | 예측모드에 따라 필터링된 화소값으로 인트라예측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444667B1 (ko) | 양방향 인트라 예측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379187B1 (ko) | 블록 변환을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와 그를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302660B1 (ko) | 고해상도 동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444675B1 (ko) |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 |
KR101739579B1 (ko) | 코딩 유닛 단위 병렬 인트라예측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712351B1 (ko) | 다차원 정수 변환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 |
KR20120012383A (ko) | 예측 블록 생성 장치 | |
KR20120074534A (ko) | 주변블록의 특징벡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483497B1 (ko) | 임펄스 신호를 고려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 |
KR101418095B1 (ko) | 예측 방향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 |
KR101943425B1 (ko) | 비균등 양자화를 이용한 효과적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537767B1 (ko)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483495B1 (ko)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997599B1 (ko) | 비균등 양자화를 이용한 효과적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20130044263A (ko) | 고해상도 동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534014B1 (ko)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464949B1 (ko)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464944B1 (ko) |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369161B1 (ko) | 예측 방향 전환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 |
KR101575634B1 (ko) | 고해상도 동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544379B1 (ko) | 고해상도 동영상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487436B1 (ko) | 선택적 부호화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9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4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