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1907B1 -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907B1
KR101431907B1 KR1020120135349A KR20120135349A KR101431907B1 KR 101431907 B1 KR101431907 B1 KR 101431907B1 KR 1020120135349 A KR1020120135349 A KR 1020120135349A KR 20120135349 A KR20120135349 A KR 20120135349A KR 101431907 B1 KR101431907 B1 KR 101431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land
connection land
conn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724A (ko
Inventor
이용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90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90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터미널 단자로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기판에 터미널 접속랜드와 배터리 접속랜드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접속랜드에 접속된 배터리와 상기 터미널 접속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터미널 접속랜드에 실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연장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의 접속 시 탄성복원 되는 접속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에 수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Terminal Socket for Power Supply}
본 발명은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터미널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장치들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원통형으로 구성되거나 코인 형태로 구성된다.
원통형으로 구성된 배터리는 전자장치의 부피가 비교적 큰 중대형 제품에서 사용되며, 코인 형태로 구성된 배터리는 비교적 부피가 작은 소형 제품에 설치된다.
이 중에서 최근 코인 형태로 구성된 배터리는 전자장치들이 점차 슬림화됨에 따라 배터리의 두께와 크기도 슬림화됨은 물론,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은 점점 더 길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를 생산하는 기업마다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효율은 저하되지 않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기판 일측에 구성된 터미널 접속랜드와 배터리 터미널이 연결되고, 배터리 접속랜드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배터리 설치존에 배터리 접속랜드가 설치되어 있어서 배터리 설치존에 끼움 시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전자장치는 터미널 접속랜드와 배터리 접속랜드를 연결하기 위한 공정 시 자동화된 공정이 아닌 작업자가 일일이 납땜으로 연결하고 있어 납땜 불량에 따른 접지 트러블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미널 접속랜드의 위치가 전자장치의 디자인 설계에 따라 가변될 경우 터미널 접속랜드에 대한 전자장치의 내부 설계 대응이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인용문헌: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KR2012-01019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균일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장치의 디자인 설계에 따라 터미널 접속랜드의 위치를 간단한 설계변경을 통해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기판에 터미널 접속랜드와 배터리 접속랜드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접속랜드에 접속된 배터리와 상기 터미널 접속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터미널 접속랜드에 실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연장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의 접속 시 탄성복원 되는 접속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에 수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터미널 접속랜드에 SMT로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와 접속부 사이에는 접속부의 탄성복원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절개홈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 단자는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는 자동화된 공정을 통해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균일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자장치의 디자인 설계에 따라 터미널 접속랜드의 위치를 간단한 설계변경을 통해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설계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가 전자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의 설치위치를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가 전자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의 설치위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50)는 전자장치 내부에 설치된 기판(10)에 설치될 수 있다.
기판(10)에는 전자부품이 작동되기 위한 다양한 부품이 실장될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가 안착되기 위한 배터리 안착존(12)과 배터리(20)와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배터리 접속랜드(30)와 터미널 단자(50)가 실장되는 터미널 접속랜드(40)가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 안착존(12)은 배터리(20)의 형상에 따라 그 영역의 크기가 결정되며,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20)의 형상을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배터리 안착존(12)에는 배터리(20)가 배치된 상태에서 배터리(20)의 저면이 밀착되도록 배터리 접속랜드(30)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접속랜드(30)는 기판(10) 상면에 구성되며, 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터미널 접속랜드(40)는 기판(10) 상면 중 배터리(20)가 배치되는 배터리 안착존(12)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터미널 접속랜드(40)는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 접속랜드(40)는 배터리(20)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배터리(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없다. 따라서 터미널 접속랜드(40)는 터미널 단자(50)를 통해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미널 단자(50)는 터미널 접속랜드(40)에 SMT를 통해 실장되도록 금속재로 구성된다.
터미널 단자(50)는 터미널 접속랜드(40)에 밀착되는 수평부(52)와 수평부(52)에서 연장 형성된 수직부(53)와 수직부(53)에서 연장 형성되며 배터리(20)가 배터리 안착존(12)에 안착 시 배터리(20) 외면과 밀착되는 접속부(54)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부(52)는 소정 길이를 갖는 편평한 패널로 구성되며, 터미널 접속랜드(40) 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수평부(52)가 SMT공정에 의해 터미널 접속랜드(40)에 실장 시 터미널 접속랜드(40)에 전체면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수평부(52)에는 수직부(53)가 수직 절곡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수직부(53)는 수평부(52)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된다.
또한 수평부(52)와 수직부(53) 사이에는 수직부(53)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도록 지지부(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55)는 수직부(53)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수직부(53)에 과도한 휨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직부(53)의 중앙부위를 지지함으로써 수직부(53)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부(55)는 수평부(52)와 수직부(53) 사이를 절개한 다음 수평부(52)에서 수직부(53)로 절곡시킨 경사각 보다 작은 각도로 밴딩시켜 구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금속패널을 이용하여 수평부(52)와 수직부(53) 사이에 납땜과 같은 공정으로 연결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직부(53)에는 배터리(52)의 외면과 접속하는 접속부(54)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54)는 배터리(20)의 외면과 접촉면적은 확대시키면서 배터리(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점에 밴딩이 이루어져 있다.
특히, 수직부(53)와 접속부(54)가 연결되는 위치에는 배터리(20)에 충분한 탄력지지가 가능하도록 반원형으로 밴딩이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밴딩부위의 중앙에는 접속부(54)의 탄성지지력을 소정만큼 저감시킬 수 있도록 절개홈(5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배터리(20)의 교환 시 접속부(54)에서 너무 강한 탄력복원력으로 배터리(20)를 지지하게 되면 배터리(20) 교환이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이를 상쇄하기 위하여 소정크기의 절개홈(56)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20)가 배터리 안착존(12)에 배치되면 배터리(20)의 저면은 배터리 접속랜드(30)에 밀착되고, 둘레면에는 터미널 단자의 접속부(54)와 밀착된다.
접속부(54)는 배터리(20)가 안착되는 과정에서 배터리(20)의 둘레면이 외력을 가하게 됨에 따라 원래 모양을 유지하지 못하고 더 구부러진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때, 지지부(55)는 접속부(54)에 가해지는 배터리(20)의 외력으로부터 수직부(53)의 형상이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수직부(53)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터미널 단자(50)는 배터리(20)가 배터리 안착존(12)에 설치된 후 배터리의 외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터미널 접속랜드(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의 디자인 변경이나 별도의 부품을 기판(10)에 추가적으로 실장 시 그 위치가 가변 될 수 있다. 이렇게 터미널 접속랜드(40)의 위치가 가변될 경우 터미널 단자(50)를 가변된 터미널 접속랜드(40)에 SMT 공정으로 실장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미널 단자(50)는 터미널 접속랜드(30)의 위치에 따라 그 위치를 가변시키는데 있어 특별한 제약이 없기 때문에 실장성이 우수하고 접지 트러블과 같은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기판 12: 배터리 안착존
20: 배터리 30: 배터리 접속랜드
40: 터미널 접속랜드 50: 터미널 단자
52: 수평부 53: 수직부
54: 접속부 55: 지지부
56: 절개홈

Claims (5)

  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기판에 터미널 접속랜드와 배터리 접속랜드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접속랜드에 접속된 배터리와 상기 터미널 접속랜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터미널 접속랜드에 실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연장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의 접속 시 탄성복원 되는 접속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에 수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터미널 접속랜드에 SMT로 실장되는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와 접속부 사이에는 접속부의 탄성복원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절개홈이 더 형성된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금속재로 구성된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



KR1020120135349A 2012-11-27 2012-11-27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 Expired - Fee Related KR10143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349A KR101431907B1 (ko) 2012-11-27 2012-11-27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349A KR101431907B1 (ko) 2012-11-27 2012-11-27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724A KR20140067724A (ko) 2014-06-05
KR101431907B1 true KR101431907B1 (ko) 2014-08-26

Family

ID=5112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3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1907B1 (ko) 2012-11-27 2012-11-27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257A (ko) 2018-01-10 2019-07-18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전원 공급용 터미널 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4372A (ja) * 1996-11-07 1998-05-29 Kokusai Electric Co Ltd 小型電子機器の端子構造
KR19990044079A (ko) * 1995-08-25 1999-06-25 세이취크 제이 엘 배터리 커넥터
JP2002203629A (ja) * 2000-12-28 2002-07-19 Icom Inc 接続端子の固定構造
KR20040018120A (ko) * 2002-08-23 2004-03-02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전자장치에 포함된 버튼형 배터리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079A (ko) * 1995-08-25 1999-06-25 세이취크 제이 엘 배터리 커넥터
JPH10144372A (ja) * 1996-11-07 1998-05-29 Kokusai Electric Co Ltd 小型電子機器の端子構造
JP2002203629A (ja) * 2000-12-28 2002-07-19 Icom Inc 接続端子の固定構造
KR20040018120A (ko) * 2002-08-23 2004-03-02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전자장치에 포함된 버튼형 배터리용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257A (ko) 2018-01-10 2019-07-18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전원 공급용 터미널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724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3344B (zh) 電連接器組合
CN107437673A (zh) 电连接器
US20170229791A1 (en) Connecting element with a spring tab
CN103199389B (zh) 弹片连接结构
KR101431907B1 (ko) 전원공급용 터미널 단자
US8042262B2 (en) Temporarily fixing device
KR101340341B1 (ko) 전기 접속용 단자 및 그 실장방법
US7891984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60072758A (ko) 전기 접점단자
KR101151986B1 (ko)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무선기기
JP2012019101A (ja) 面実装型電子回路モジュール
WO2016013363A1 (ja) 回路構成体
KR20160066358A (ko) 무선 통신 모듈
WO2014014066A1 (ja) 半導体モジュール用端子の折り曲げ方法
US10044143B2 (en) Multi-functional position holder and connector including same
CN103187643B (zh) 电连接装置
KR101263406B1 (ko) 모듈형 이어폰 잭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CN102324629B (zh) 一种手机和耳机插座及其焊接固定结构
CN101901978B (zh) 电连接器
JP6439221B2 (ja) 表面実装型の遮蔽ユニット及び遮蔽ユニットを備える電子機器
KR20120004216U (ko) 접속단자
KR101443526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20150095371A (ko)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CN102544851B (zh) 电路基板组装体、连接器、焊接方法
KR20190002629U (ko) 전자기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23